KR102098481B1 -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481B1
KR102098481B1 KR1020180086164A KR20180086164A KR102098481B1 KR 102098481 B1 KR102098481 B1 KR 102098481B1 KR 1020180086164 A KR1020180086164 A KR 1020180086164A KR 20180086164 A KR20180086164 A KR 20180086164A KR 102098481 B1 KR102098481 B1 KR 102098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e
support body
passage
depar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284A (ko
Inventor
김건영
조원상
조용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8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4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3)가 수직으로 통과하는 통과공(101)이 형성된 지지몸체(110)와 상기 와이어(3)에 설치되는 추락방지대(10)와 연결된 로프(11)가 상기 지지몸체(110)의 외측에서 상기 통과공(101)으로 인입되고 상기 통과공(101)에서 상기 지지몸체(110)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통과공(101)과 연통되는 출구(103)와 상기 통과공(101)과 상기 출구(10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3)가 상기 지지몸체(110)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개방형 구조로 되어 추락방지대를 와이어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철탑을 이동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확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추락사고 예방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ROPE-PASSYING TYPE 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주 또는 철탑과 같은 송전선로 지지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주 또는 철탑은 고압전선이나 통신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물로서, 다양한 각종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을 설치하기도 하고 강풍이나 기타 다른 외부적인 요인으로 파손된 송전금구나 전선 등을 수리하기 위해 작업자가 철주 또는 철탑에 올라가 작업을 하게 된다.
작업자가 철탑에 올라가서 작업을 하면 작업자의 추락 위험이 있으므로 철탑에 수직으로 와이어(3)를 설치하고, 작업자는 안전대를 착용한 후 안전대와 연결된 로프(11)를 추락방지대(10)를 이용하여 와이어(3)에 고정하게 된다(도 3 참조).
와이어에 고정된 추락방지대는 와이어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어 송전선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추락시에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추락방지대가 와이어에 협착되면서 정지하여 작업자의 수직 낙하를 방지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에 수직으로 와이어를 설치하면 와이어의 횡진(흔들림)에 따른 활선선로 근접 우려가 있고 이로 인해 선로 고장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1)에 와이어 지지대(20)를 설치하고 있다. 와이어 지지대(20)의 통과공(21)을 와이어(3)가 수직으로 통과하게 하여 와이어(3)의 횡진 및 활선 근접을 방지한다.
그런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락방지대(10)가 와이어(3)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와이어 지지대(20)를 통과할 필요가 있을 때, 와이어 지지대(20)는 통과공(21)이 폐쇄형이므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락방지대(10)를 와이어(3)에서 분리하고,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지지대(20) 상부 측에서 와이어(3)에 추락방지대(10)를 다시 재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성이 저하되고 불편하다.
특히, 철탑(1)에 와이어 지지대(20)가 다수 개 설치된 경우에는 추락방지대를 와이어에서 분리하고 재설치하는 작업을 수회 반복해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작업자가 추락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성이 보장되기 어렵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주 또는 철탑과 같은 송전선로 지지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와이어를 지지하면서, 와이어에 설치된 추락방지대를 와이어에서 분리하지 않고 통과가 가능하도록 된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와이어가 수직으로 통과하는 통과공이 형성된 지지몸체와 상기 와이어에 설치되는 추락방지대와 연결된 로프가 상기 지지몸체의 외측에서 상기 통과공으로 인입되고 상기 통과공에서 상기 지지몸체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통과공과 연통되는 출구와 상기 통과공과 상기 출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지지몸체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통과공은 상기 추락방지대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통과공은 라운드진 형상이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통과공과 상기 출구 사이에 굴곡형 통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이탈방지돌기이다.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지지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몸체 내에 일측이 개방된 통과공을 형성하는 제1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제1 이탈방지돌기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이탈방지돌기와 사이에 제1 통로를 형성하는 제2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제2 이탈방지돌기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이탈방지돌기와의 사이에 상기 제1 통로와 연통되는 제2 통로를 형성하는 제3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제2 이탈방지돌기가 겹쳐지는 부분의 길이와 상기 제2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제3 이탈방지돌기가 겹쳐지는 부분의 길이가 상기 제1 통로와 연결되는 상기 통과공의 개방된 부분 및 상기 출구의 폭보다 길다.
상기 통로 및 출구는 상기 로프가 통과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몸체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몸체에서 철탑과 마주하는 일단 일측에 상기 출구가 형성되고 일단 타측은 더 연장되어 상기 철탑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몸체와 상기 이탈방지수단 및 상기 고정부는 한 몸체로 형성된다.
금속 재질로 되고 상기 고정부가 용접에 의해 상기 철탑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개방형 구조로 되어 추락방지대를 와이어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철탑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폐쇄형 구조 대비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확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추락사고 예방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는 이탈하지 않고 추락방지대와 추락방지대에 연결된 로프만 통과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철탑에 수직으로 설치된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철탑에 와이어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 철탑에 와이어 지지대가 설치되어 와이어를 지지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은 종래 와이어 지지대를 추락방지대가 통과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가 철탑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지지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를 추락방지대 및 추락방지대에 연결된 로프가 통과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가 철탑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지지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100)는 철탑(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와이어(3)를 지지하기 위해 철탑(1)에 설치된다.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100)는 와이어(3)의 횡진 및 활선 근접을 예방하기 용이하도록 철탑(1)의 중간 변곡점에 설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철탑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와이어를 '수직 와이어'라 지칭할 수 있다.
수직 와이어(3)에 추락방지대(10)가 설치된다. 추락방지대(10)는 로프(11)의 일단이 연결되며, 로프(11)의 타단은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대(미도시)에 연결된다.
추락방지대(10)는 수직 와이어(3)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어, 로프(11)를 통해 추락방지대(10)에 연결된 안전대를 착용한 작업자는 철탑(1)을 올라가면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추락방지대(10) 및 로프(11)가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100)를 통과할 수 있다.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100)는 추락방지대(10) 및 로프(11)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구조로 된다. 개방된 구조를 통해 와이어(3)는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100)를 이탈하지 않고 추락방지대(10)는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100)를 통과할 수 있다.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100)는 지지몸체(110), 출구(103) 및 이탈방지수단(120)을 포함한다.
지지몸체(110)는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지지몸체(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이며 폭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지지몸체(110)는 철탑(1)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수직 와이어(3)를 지지할 수 있도록 폭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지지몸체(110)는 길이방향 일단이 철탑(1)에 고정되며 반대되는 타단은 지면과 수평이 된다.
지지몸체(110)는 상하로 개방되어 와이어(3)가 수직으로 통과하는 통과공(101)이 형성된다. 통과공(101)은 지지몸체(110)의 타단에 형성된다. 통과공(101)은 추락방지대(10)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통과공(101)은 와이어의 횡진시 와이어가 모서리와의 마찰로 끊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된다. 통과공(101)은 일측이 개방된 원형으로 형성된다.
출구(103)는 지지몸체(110)의 통과공(101)과 연통된다. 출구(103)는 통과공(101)과 연통되어 와이어(3)에 설치되는 추락방지대(10)와 연결되는 로프(11)가 지지몸체(110)의 외측에서 통과공(101)으로 인입되거나 통과공(101)에서 지지몸체(110)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탈방지수단(120)은 통과공(101)과 출구(103) 사이에 구비되어 와이어(3)가 지지몸체(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수단(120)은 통과공(101)과 출구(103) 사이에 굴곡형 통로(130)를 형성하는 다수의 이탈방지돌기()일 수 있다. 굴곡형 통로(130)는 와이어(3)를 잡고 통로(130)를 통과시키지 않는 한 와이어(3)가 통과공(101)에서 임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수단(120)은 제1 이탈방지돌기(121) 내지 제3 이탈방지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탈방지돌기(121)는 지지몸체(1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몸체(110) 내에 일측이 개방된 통과공(101)을 형성한다. 제2 이탈방지돌기(122)는 제1 이탈방지돌기(121)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제1 이탈방지돌기(121)와 대향된 위치에서 지지몸체(1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1 이탈방지돌기(121)와 사이에 제1 통로(131)를 형성한다. 제3 이탈방지돌기(123)는 제2 이탈방지돌기(122)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제2 이탈방지돌기(122)와 대향된 위치에서 지지몸체(1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2 이탈방지돌기(122)와의 사이에 제1 통로(131)와 연통되는 제2 통로(132)를 형성한다. 제1 이탈방지돌기(121) 내지 제3 이탈방지돌기(123)의 형상은 'ㄹ' 형상의 굴곡형 통로(130)를 형성한다.
제1 이탈방지돌기(121)와 제2 이탈방지돌기(122)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의 길이와 제2 이탈방지돌기(122)와 제3 이탈방지돌기(123)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의 길이는 제1 통로(131)와 연결되는 통과공(101)의 개방된 부분 및 출구(103)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다. 이는 통로(130)를 통한 와이어(3)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용이하다.
굴곡형 통로(130)는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100)를 통과하기 위한 추락방지대(10)의 로프(11)가 통과한다. 굴곡형 통로(130)는 제1 통로(131)와 제2 통로(132)가 연결되는 부분이 라운드처리되고, 제1 이탈방지돌기(121) 내지 제3 이탈방지돌기(123)의 단부도 라운드 처리되어 굴곡형 통로(130)를 통과하는 로프(11)의 손상을 방지한다. 굴곡형 통로(130) 및 출구(103)는 로프(11)가 통과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다.
한편, 출구(103)는 지지몸체(110)에서 철탑(1)과 마주하는 일단 일측에 형성된다. 지지몸체(110)에서 일단 타측은 지지몸체(110)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 철탑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철탑(1)에 설치되는 고정부(140)를 형성한다.
출구(103)가 철탑(1)과 마주하는 일단에 구비되어야 철탑(1)을 올라가는 작업자가 로프(11)를 잡고 출구(103)를 통해 통과공(101)에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키기 용이하다. 그리고 출구(103)가 철탑(1)과 마주하는 일단에 구비되므로 고정부(140)는 출구(103)보다 더 돌출되어야 출구(103)를 통한 로프(11)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다.
지지몸체(110)와 이탈방지수단(120) 및 고정부(140)는 한 몸체로 형성되며, 강도 확보를 위해 금속 재질로 될 수 있다.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100)는 고정부(140)가 철탑 암에 용접되어 철탑(1)에 설치될수 있으며, 지지몸체(110)는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통과공(101)을 와이어(3)가 수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작용에서는 추락방지대가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를 통과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를 추락방지대 및 추락방지대에 연결된 로프가 통과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락방지대(10)는 와이어(3)에 설치되며 와이어(3)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추락방지대(10)에는 로프(11)가 연결된다. 로프(11)는 작업자의 안전대에 연결된 로프이다.
작업자가 철탑(1)에 올라가 작업하는 과정에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락방지대(10)가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100)를 통과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로프(11)를 잡고 지지몸체(110)의 출구(103)로 로프(11)를 밀어 넣는다.
지지몸체(110)의 출구(103)로 밀어넣은 로프(11)는 굴곡형 통로(130)를 따라 더 밀어넣으면 로프(11)가 굴곡형 통로(130)의 제2 통로(132)를 통해 제1 통로(131)로 이동되고,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공(101)으로 인입된다.
로프(11)가 통과공(101)으로 인입되면 작업자는 철탑(1)을 타고 올라간다. 이 과정에서 로프(11)가 상부로 당겨지고, 로프(11)는 추락방지대(10)와 함께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100)를 자연스럽게 통과하게 된다.
이때, 통과공(101)은 추락방지대(10)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므로 작업자는 로프(11)를 당겨 추락방지대(10)가 통과공(101)을 통과하도록 하는 작업을 직접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로프(11)를 밀어넣는 출구(103)가 철탑(1)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작업자는 한 손으로 철탑(1)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는 로프(11)를 잡고 출구(103)로 로프(11)를 밀어넣는 작업을 하기 용이하다.
또한, 지지몸체(110)는 굴곡형 통로(130)를 포함한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출구(103)로 로프(11)를 밀어넣은 과정 및 로프(11)가 굴곡형 통로(1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로프(11)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로프(11)가 지지몸체(110)와의 마찰로 인해 손상되면 로프(11)가 끊어질 수 있으므로 굴곡형 통로(130)를 포함한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지게 형성한 것은 작업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굴곡형 통로(130)는 통과공(101)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와이어(3)의 임의 이탈은 방지하므로 와이어(3)가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1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철탑(1)에서 내려오면서 작업하는 과정에서, 추락방지대(10)가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100)를 통과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작업자는 철탑 아래로 이동하여 추락방지대(10)와 로프(11)가 통과공(101)을 통과하도록 한다. 그러면 도 6의 (d) 상태에서 도 6의 (c)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로프(11)를 잡고 로프(11)가 통과공(101)의 일측 개방된 부분을 통해 굴곡형 통로(130)로 인입되도록 한다. 굴곡형 통로(130)로 인입된 로프(11)를 굴곡형 통로(130)를 따라 이동시켜 출구(103)로 인출하면 도 6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철탑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100)는 추락방지대(10)의 로프(11)가 통과할 수 있도록 폐쇄형이 아닌 개방형 구조로 형성되므로, 추락방지대(10)를 와이어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철탑(1)을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확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추락사고 예방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3)는 이탈하지 않고 추락방지대(10)와 추락방지대(10)에 연결된 로프(11)만 통과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수직 와이어(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가 철탑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철주와 같은 송전선로 지지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용도 등 다양한 용도의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철탑 3: 와이어
10: 추락방지대 11: 로프
100: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110: 지지몸체
101: 통과공 103: 출구
120: 이탈방지수단 121: 제1 이탈방지돌기
122: 제2 이탈방지돌기 123: 제3 이탈방지돌기
130: 통로 131: 제1 통로
132: 제2 통로 140: 고정부

Claims (10)

  1. 와이어가 수직으로 통과하는 통과공이 형성된 지지몸체;
    상기 와이어에 설치되는 추락방지대와 연결된 로프가 상기 지지몸체의 외측에서 상기 통과공으로 인입되고 상기 통과공에서 상기 지지몸체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통과공과 연통되는 출구; 및
    상기 통과공과 상기 출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지지몸체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몸체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몸체에서 철탑과 마주하는 일단 일측에 상기 출구가 형성되고 일단 타측은 더 연장되어 상기 철탑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과공은 상기 추락방지대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과공은 라운드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통과공과 상기 출구 사이에 굴곡형 통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이탈방지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돌기는
    상기 지지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몸체 내에 일측이 개방된 통과공을 형성하는 제1 이탈방지돌기;
    상기 제1 이탈방지돌기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이탈방지돌기와 사이에 제1 통로를 형성하는 제2 이탈방지돌기; 및
    상기 제2 이탈방지돌기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이탈방지돌기와의 사이에 상기 제1 통로와 연통되는 제2 통로를 형성하는 제3 이탈방지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제2 이탈방지돌기가 겹쳐지는 부분의 길이와 상기 제2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제3 이탈방지돌기가 겹쳐지는 부분의 길이가 상기 제1 통로와 연결되는 상기 통과공의 개방된 부분 및 상기 출구의 폭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로 및 출구는 상기 로프가 통과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와 상기 이탈방지수단 및 상기 고정부는 한 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금속 재질로 되고 상기 고정부가 용접에 의해 상기 철탑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KR1020180086164A 2018-07-24 2018-07-24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KR102098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164A KR102098481B1 (ko) 2018-07-24 2018-07-24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164A KR102098481B1 (ko) 2018-07-24 2018-07-24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284A KR20200011284A (ko) 2020-02-03
KR102098481B1 true KR102098481B1 (ko) 2020-04-08

Family

ID=6962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164A KR102098481B1 (ko) 2018-07-24 2018-07-24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4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866B1 (ko) 2020-11-11 2021-01-14 제룡산업 주식회사 산형강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KR102388397B1 (ko) 2021-10-05 2022-04-20 제룡산업 주식회사 유도전압의 차단이 가능한 철탑용 추락방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2715A (ja) * 2012-08-28 2014-03-1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墜落防止用ワイヤの中間支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157U (ja) * 1993-03-30 1994-10-21 大成建設株式会社 親綱規制用治具
JP2729365B2 (ja) * 1995-10-09 1998-03-18 和明 宇佐美 建設現場に張り巡らす安全索の支持係留金具
JP3212961U (ja) * 2017-07-28 2017-10-12 有限会社コーセーリトル 親綱中間支持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2715A (ja) * 2012-08-28 2014-03-1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墜落防止用ワイヤの中間支持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212961 U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866B1 (ko) 2020-11-11 2021-01-14 제룡산업 주식회사 산형강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KR102388397B1 (ko) 2021-10-05 2022-04-20 제룡산업 주식회사 유도전압의 차단이 가능한 철탑용 추락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284A (ko) 202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710B1 (ko) 추락방지장치
KR102098481B1 (ko)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JP5113906B2 (ja) 落下阻止アセンブリ
KR101159450B1 (ko) 캣워크 로프 장력 이완을 이용한 캣워크 로프 캐리어의 주탑 정상부 가이드 롤러장치 통과 방식의 현수교 캣워크 로프 가설방법
KR102355719B1 (ko)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KR101390150B1 (ko) 추락방지용 난간대
US9469025B1 (en) Remote anchorage installation tool and method
JP6567631B2 (ja) 建物の解体時の飛散防止方法
KR20130006566U (ko) 작업자의 이동작업이 가능한 추락방지 안전장치
KR20200004657A (ko)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
JP6557888B2 (ja) ネットの昇降装置
JP2014132814A (ja) 高所作業方法
CN210659900U (zh) 一种防坠落电力维修梯
CN211521453U (zh) 一种具有安全防坠机构的升降台
JP2015113207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搭載方法及び撤去方法、そのために用いる操作装置
CN104994917B (zh) 支架和升/降设备总成
KR200480875Y1 (ko) 로프 작업용 견인대
CN216663842U (zh) 一种建筑施工安全防护装置
CN218685798U (zh) 一种登高防坠持续保护装置
KR102598341B1 (ko) 안전 와이어 로프의 가이드 장치
KR20210004094A (ko) 고소작업자 추락 방지용 로프홀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소작업자 추락 방지 공법
KR20210078822A (ko) 안전벨트 걸이구가 구비된 서스펜션 핀 및 각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주 작업방법
KR101622711B1 (ko)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CN209720424U (zh) 一种钢绞线安全放置防护架
CA3017472A1 (en) Bucket safety har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