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711B1 -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711B1
KR101622711B1 KR1020150009045A KR20150009045A KR101622711B1 KR 101622711 B1 KR101622711 B1 KR 101622711B1 KR 1020150009045 A KR1020150009045 A KR 1020150009045A KR 20150009045 A KR20150009045 A KR 20150009045A KR 101622711 B1 KR101622711 B1 KR 101622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ain
smart
descen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승환
Original Assignee
어드벤처닷케이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벤처닷케이알(주) filed Critical 어드벤처닷케이알(주)
Priority to KR1020150009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0Cable traction drives
    • B61B12/105Acceleration devices or deceleration devices other than bra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9/00Tramway or funicular systems with rigid track and cable tr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험시설물을 이용하는 체험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안전케이블로부터 탈거하지 않고 출발지점부터 도착지점까지 하강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을 한다.
또한 체험자가 상기 하강시설물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진입하기 위한 방향 조정장치의 제공과 함께 메인 케이블의 파손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이중 백업장치 및 체험자가 도착지역에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강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여 하강시설물을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의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LEISURE SPORTS FACILITIES EQUIPPED WHIT SMART DESCENT UNIT ON THE CABLE CONFIGU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전케이블로부터 하강수단을 탈거하지 않고 이용가능한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 이상의 체험 라인을 이용할 시에 체험자의 하강수단을 안전케이블로부터 탈거하지 않고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 구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짚라인, 짚와이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 하강시설물은 일반적으로 복수 이상으로 형성된 지주에 각종 모험시설물을 설치하여 이용하게 되며, 모험시설물을 이용하는 체험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확보용 와이어 케이블이 항상 함께 설치되어진다.
상기 안전확보용 와이어 케이블은 도르래 형태의 안전장치를 장착하여 시작지점에서 도착지점으로 이동하여 체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출발과 도착이 독립적인 시설로 이루어진 구조와 복수 이상의 안전케이블이 설치되어 여러 번에 걸쳐 안전장치를 탈거 및 재장착하면서 복수 이상의 안전케이블을 이용해야하는 구조 등 두 가지 종류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하강시설물 대부분은 안전장치를 이용하여 도착지까지 이동해야하기 때문에 한번 이상의 안전장치를 장착 및 탈거가 요구되며, 복수 이상의 하강시설물일 경우에는 하강시설물의 개수만큼 여러 번에 걸쳐 안전장치를 탈거 및 재장착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의 모험시설물은 대부분의 이용공간이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올라가야하는 고공이거나 1평방미터 정도의 좁고 제한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어 안전장비를 다뤄야 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안전장치를 안전케이블에 장착시키고 안전장비의 무게중심 하측 끝단에 형성된 구멍과 체험자의 안전줄 일측 끝단을 링크나 캐러비너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고정 체결해야하며 타측 끝단은 체험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의 안전 고리 구멍에 링크나 캐러비너를 사용하여 고정체결하게 되지만, 매번 탈거 및 장착을 할 때마다 체험자의 안전줄에 걸린 링크나 캐러비너도 함께 탈거해야지만 안전케이블에서 안전장치를 분리하거나 다시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탈거와 재장착하는 횟수가 늘어나는 만큼 체험자가 위험상황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또한 체험자가 위험에 노출에 노출되는 횟수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사고 및 인명사고가 발생할 가능성 또한 증가하는 요인이 되며, 안전장치를 탈거 및 장착하려다 실수로 놓치게 되어 예기치 못한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국내 대부분의 하강시설물이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강시설물을 이용하는 체험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하강수단을 안전케이블로부터 탈거하지 않고 출발지점으로부터 도착지점까지 하강할 수 있는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을 한다.
또한 체험자가 상기 하강시설물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진입하기 위한 방향 조정장치의 제공과 함께 메인 케이블의 파손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이중 백업장치 및 체험자가 도착지역에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강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여 하강시설물을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의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험자가 착용하는 하강수단을 탈거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용 케이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장치는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 설치되어지는 메인지주(MC)와 상기 메인지주(MC)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이격되어 설치되어지는 보조지주(SC)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메인지주(MC)와 보조지주(SC)에 연결되어 설치되어지는 메인케이블(C1)과, 출발지점의 메인지주(MC)에 설치되어지는 보조케이블(C2)로 구성되는 안전케이블(C)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케이블(C1)을 따라서 체험자가 탑승하여 출발지점에서 도착지점으로 하강되어지도록 하는 스마트 하강수단(10)과, 상기 스마트 하강수단(10)이 탈거되지 않고 통과되어지도록 상기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 각각 설치된 메인지주(MC)와 보조지주(SC)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제 1 스마트 패싱수단(20)과, 상기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 설치된 메인지주(MC)와 연결되어진 메인케이블(C1)상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지는 제 2 스마트 패싱수단(30)과, 상기 스마트 하강수단(10)에 탑승한 체험자가 도착지점에 진입하게 되면 일정한 속도로 감속되어지도록 하는 브레이크 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하강수단(10)의 상부에는 메인케이블(C1)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홈이 형성된 한 쌍의 도르래 장치(11)와, 하부에는 체험자가 착용하는 안전장구와 결속되어지는 연결링크가 체결되도록 하기위한 체결홈(12)과, 일측표면상에는 상기 제 1, 2 스마트 패싱수단(20, 30)이 통과되어지기 위한 관통홈(13)과, 상기 체결홈(12)에 체결되어지면 체험자가 착용하는 안전장구와 결속되어지는 연결링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케이블(C1)의 장력이 조정되어지도록 출발지점의 메인지주(MC)에 연결되어지는 보조케이블(C2)의 일측단부는 상기 메인지주(MC)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지며, 타측단부에는 장력조정 수단(50)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지며, 상기 장력조정 수단(50)은 메인지주(MC)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케이블 길이조절부(51)와, 상기 케이블 길이조절부(51)의 상측에는 케이블 장력을 숫자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재(52)와, 상기 표시부재(52)의 상측에는 케이블 장력이 조정되어지기 위한 장력 조정부(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스마트 패싱수단(20)은 사각형상의 철판으로 형성된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의 일측표면상에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더 넓게 형성되어지는 지지대(22)와, 상기 지지대(22)에 결합되어지는 브라켓 플레이트(23)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23)의 상측에는 상기 메인케이블(C1)이 내부로 관통되도록 속이 빈 중공 형상의 파이프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스마트 패싱수단의 몸체부(21)는 상기 메인지주(MC) 및 보조지주(SC)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용 볼트구멍(25)과, 상기 몸체부(21)에는 자연목에 띠장의 벤딩바가 삽입되어 메인지주(MC)와 보조지주(SC)에 고정되어지기 위한 삽입구멍(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23)는 상기 메인케이블(C1)의 처짐 및 유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이를 조정하기 위한 케이블 조정볼트(27)와, 상기 케이블 조정볼트(27)를 조여 상기 메인케이블(C1)이 압착되어 고정되도록 케이블 압착 체결핀(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스마트 패싱수단(30)은 양끝이 둥근 부채형상의 판형으로 형성된 케이블 암(31)과, 상기 케이블 암(31)의 일측끝단에는 메인지주(MC) 또는 연결 풀리(S)에 체결되기 위하여 관통되어 형성되어지는 체결홈(32)과, 상기 케이블 암(31)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가 형성되어지는 지지대(33)와, 상기 지지대(33)의 상측에는 메인케이블(C1)이 내부에 관통되어 체결되어지기 위한 중공의 파이프부(34)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암(31)은 일측표면상에는 제 2 스마트 패싱수단(30)과 상기 메인케이블(C)간의 경사각 및 진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한 쌍의 경사맞춤 볼트구멍(35)을 추가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레이크 수단(40)은 도착지점에 형성된 메인지주(MC)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지지케이블(41)과, 상기 메인지주(MC)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지며 브레이크 지지케이블(41)의 하측부에 형성되어지는 브레이크 로프 고정부(42)와, 일측단부는 상기 브레이크 로프 고정부(42)에 결합되어지며 소정의 위치는 결합부(44)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지지케이블(41)에 고정되어지는 브레이크 로프(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레이크 로프(43)의 타측단부와 결합되어지는 연결부(45)와, 체험자의 스마트 하강수단(10)과 맞닿게 될 시에 충격이 저감되어지기 위해 완충소재로 구성되어지는 완충 패드부(46)와, 상기 메인케이블(C1)이 관통되어 삽입되어지기 위해 속이 빈 중공 형상의 파이프로 구성되어지는 안전케이블 삽입구(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케이블(C1)의 장력이 조절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출발지점에 설치되는 제 2 스마트 패싱수단(30)의 체결홈(32)과 결합되어지는 도르래형상의 제1 연결 풀리(S1)와, 출발지점에 설치된 메인지주(MC)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지는 도르래 형상의 제2 연결 풀리(S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케이블(C2)의 일측단부는 출발지점에 설치된 메인지주(MC)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지며, 타측단부가 상기 메인지주(MC)의 하부에 위치된 장력조정 수단(50)에 체결되어지고, 상기 보조케이블(C2)의 중간부분은 상기 제1, 2 연결풀리(S1, S2)를 관통하여 연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케이블(C1)이 파손되어질 때에 체험자가 케이블장치로부터 추락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중백업 수단(60)으로서 작용되어지도록, 상기 메인지주(MC)의 둘레부를 감아 형성되어지며 양측단부는 상기 보조케이블(C2) 상에 결합고정되어지는 원형케이블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착지점의 메인케이블(C1)의 소정의 위치에는 스마트 하강수단(10)을 통하여 하강할 경우에 과속도로 인한 안전사고가 방지되어지도록 감속수단(70)이 더 포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는 체험자가 복수 이상의 케이블로 구성된 하강시설물을 체험하는데 있어, 출발지점에서부터 도착지점에 걸쳐 지상에 안전하게 도착할 때 까지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스마트 하강수단으로부터 안전장구를 탈거하지 않아 만약에 모를 인명피해 및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연결된 안전케이블이라 하더라도 계절별로 케이블의 신축 및 처짐의 문제가 발생될 경우에 안전케이블을 손대지 않고 별도의 장력조정 수단을 구비하여 손쉽게 처짐 조정과 기타 유지보수를 재빨리 조치할 수 있어 시간낭비 및 비용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체험자가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하여 도착지역에 진입할 시에 과속도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의 출발지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의 도착지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의 스마트 하강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의 제 1 스마트 패싱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의 제 2 스마트 패싱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의 브레이크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의 장력조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의 스마트 하강수단이 제 1 스마트 패싱수단을 지나가는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의 출발지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의 도착지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험자가 착용하는 하강수단을 탈거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용 케이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장치는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 설치되어지는 메인지주(MC)와 상기 메인지주(MC)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이격되어 설치되어지는 보조지주(SC)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메인지주(MC)와 보조지주(SC)에 연결되어 설치되어지는 메인케이블(C1)과, 출발지점의 메인지주(MC)에 설치되어지는 보조케이블(C2)로 구성되는 안전케이블(C)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케이블(C1)을 따라서 체험자가 탑승하여 출발지점에서 도착지점으로 하강되어지도록 하는 스마트 하강수단(10)과, 상기 스마트 하강수단(10)이 탈거되지 않고 통과되어지도록 상기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 각각 설치된 메인지주(MC)와 보조지주(SC)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제 1 스마트 패싱수단(20)과, 상기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 설치된 메인지주(MC)와 연결되어진 메인케이블(C1)상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지는 제 2 스마트 패싱수단(30)과, 상기 스마트 하강수단(10)에 탑승한 체험자가 도착지점에 진입하게 되면 일정한 속도로 감속되어지도록 하는 브레이크 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기본적 구성요소로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하강수단(10)의 상부에는 메인케이블(C1)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홈이 형성된 한 쌍의 도르래 장치(11)와, 하부에는 체험자가 착용하는 안전장구와 결속되어지는 연결링크가 체결되도록 하기위한 체결홈(12)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스마트 하강수단(10)의 일측표면상에는 상기 제 1, 2 스마트 패싱수단(20, 30)이 통과되어지기 위한 관통홈(13)과, 상기 체결홈(12)에 체결되어지면 체험자가 착용하는 안전장구와 결속되어지는 연결링크(14)가 구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메인케이블(C1)의 장력이 조정되어질 수 있도록 출발지점의 메인지주(MC)에는 보조케이블(C2)이 구성되어지는데, 상기 보조케이블(C2)의 일측단부는 상기 메인지주(MC)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지며, 타측단부는 장력조정 수단(50)이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결합되어진다.
삭제
또한, 또한, 상기 장력조정 수단(50)은 메인지주(MC)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케이블 길이조절부(51)와, 상기 케이블 길이조절부(51)의 상측에는 케이블 장력을 숫자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재(52)와, 상기 표시부재(52)의 상측에는 케이블 장력이 조정되어지기 위한 장력 조정부(53)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상기 길이조정부(51)는 일반적으로 단조턴버클 죠앤죠(Forged TurnBuckles Jaw & Jaw)가 사용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수단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표시부재(52)는 일반적으로 다이나모미터(Dynamometer)가 사용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수단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4는 제 1 스마트 패싱수단(20)을 도시한 도면으로, 사각형상의 철판으로 형성된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의 일측표면상에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더 넓게 벌어지는 형상의 지지대(22)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22)에는 사각형상의 철판으로 형성된 브라켓 플레이트(23)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23)의 상측으로는 중공의 파이프부(24)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케이블(C1)이 중공 내부로 관통되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 1 스마트 패싱수단의 몸체부(21)는 상기 메인지주(MC) 및 보조지주(SC)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용 볼트구멍(25)을 형성하여 볼트에 의해 결합고정되며, 또한 나무와 같은 자연목에 손상을 주지 않고 결합고정하기 위한 삽입구멍(26)이 형성되어 띠장의 벤딩바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23)는 상기 파이프부(24)와 체결된 상기 메인케이블(C1)이 처짐 및 유격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이를 조정하기 위한 케이블 조정볼트(27)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조정볼트(27)을 조이게 되면 케이블 압착 체결핀(28)에 의해 상기 메인케이블(C1) 압착되어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는 제 2 스마트 패싱수단(30)을 도시한 도면으로, 양끝이 둥근 부채형상의 판형으로 형성된 케이블 암(31)과, 상기 케이블 암(31)의 일측끝단에는 메인지주(MC) 또는 연결 풀리(S)에 체결되기 위하여 관통되어 형성되어지는 체결홈(32)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암(31)에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지지대(33)와, 상기 지지대(33)의 상측에는 속이 빈 중공 형상의 파이프부(34)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메인케이블(C1)이 파이프부(34)를 관통하며 체결되어진다.
또한 상기 제 2 스마트 패싱수단(30)은 상기 메인케이블(C1)과 결합되어지는데, 메인케이블(C1)간의 경사각과 진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하여 한 쌍의 긴 타원형으로 형성된 경사맞춤 볼트구멍(35)이 형성되어진다.
다음으로 도 6은 다음으로 도 6은 브레이크 수단(40)을 도시한 도면으로, 체험자가 상기 스마트 하강수단(10)을 이용하여 도착지점에 진입하게 되면 과속도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착지점에 형성된 메인지주(MC)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지지케이블(41)과, 상기 메인지주(MC)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지며 브레이크 지지케이블(41)의 하측부에 형성되어지는 브레이크 로프 고정부(42)와, 일측단부는 상기 브레이크 로프 고정부(42)에 결합되어지며 소정의 위치는 결합부(44)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지지케이블(41)에 고정되어지는 브레이크 로프(43)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브레이크 로프(43)는 타측단부와 결합되어지는 연결부(45)가 형성되어지며, 체험자의 스마트 하강수단(10)과 맞닿게 될 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완충소재로 구성되어지는 완충 패드부(46)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메인케이블(C1)이 관통되어 삽입되어지도록 속이 빈 중공 형상의 파이프로 구성되어지는 안전케이블 삽입구(47)가 형성되어진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의 장력조정 수단(50)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메인케이블(C1)의 장력이 조절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출발지점에 설치되는 제 2 스마트 패싱수단(30)의 체결홈(32)과 결합되어지는 도르래형상의 제1 연결 풀리(S1)와, 출발지점에 설치된 메인지주(MC)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지는 도르래 형상의 제2 연결 풀리(S2)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보조케이블(C2)의 일측단부는 출발지점에 설치된 메인지주(MC)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지며, 타측단부가 상기 메인지주(MC)의 하부에 위치된 장력조정 수단(50)에 체결되어지고, 상기 보조케이블(C2)의 중간부분은 상기 제1, 2 연결풀리(S1, S2)를 관통하여 연장되어진다.
한편, 상기 메인케이블(C1)이 파손되어질 때에 체험자가 케이블장치로부터 추락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중백업 수단(60)으로서 작용되어지도록, 상기 메인지주(MC)의 둘레부를 감아 형성되어지며 양측단부는 상기 보조케이블(C2) 상에 결합고정되어지는 원형케이블을 형성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착지점의 메인케이블(C1)의 소정의 위치에는 스마트 하강수단(10)을 통하여 하강할 경우에 과속도로 인한 안전사고가 방지되어지도록 브러쉬 형태로 형성된 감속수단(70)이 추가로 구비되어진다.
삭제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의 스마트 하강수단(10)이 제 1 스마트 패싱수단(20)을 거쳐 지나가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스마트 하강수단(10)은 체험자가 출발지점의 계단으로 올라가기 전에 미리 안전장구와 체결되며 보조 지주에 형성된 상기 제 1 패싱수단(20)을 통과하게 되며, 이때 상기 스마트 하강수단(1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홈(13)이 상기 제 1 패싱수단(20)의 측면에 브라켓 플레이트(23)를 거쳐 통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패싱수단(20)을 통과하고 체험자가 메인지주를 지나 하강준비지점에 올라서게 되면 제 2 패싱수단(30)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스마트 하강수단(1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홈(13)이 상기 제 2 패싱수단(30)의 측면에 형성된 지지대(33)를 거쳐 통과하게 된다.

체험자가 상기 스마트 하강수단(10)을 이용하여 메인케이블(C1)을 따라 하강하고 도착지점에 진입하게 되면, 도착지점으로부터 일정거리에 배치된 브레이크 수단(40)에 의해 일정속도로 감속하게 되어, 도착지점의 계단을 내려와 지면에 도착하게 됨에 따라, 체험자는 안전장구를 상기 스마트 하강수단(10)으로부터 탈거하지 않고 안전하게 하강시설물을 이용하게 됨에 따라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게 된다.
삭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C1 : 메인케이블 C2 : 보조케이블
MC : 메인지주 SC : 보조지주
10 : 스마트 하강수단 20 : 제 1 스마트 패싱수단
30 : 제 2 스마트 패싱수단 40 : 브레이크 수단
50 : 장력조정 수단 60 : 이중백업 수단
70 : 감속수단

Claims (15)

  1. 체험자가 착용하는 하강수단을 탈거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용 케이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장치는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 설치되어지는 메인지주(MC)와 상기 메인지주(MC)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이격되어 설치되어지는 보조지주(SC)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메인지주(MC)와 보조지주(SC)에 연결되어 설치되어지는 메인케이블(C1)과, 출발지점의 메인지주(MC)에 설치되어지는 보조케이블(C2)로 구성되는 안전케이블(C)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케이블(C1)을 따라서 체험자가 탑승하여 출발지점에서 도착지점으로 하강되어지도록 하는 스마트 하강수단(10)과,
    상기 스마트 하강수단(10)이 탈거되지 않고 통과되어지도록 상기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 각각 설치된 메인지주(MC)와 보조지주(SC)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제 1 스마트 패싱수단(20)과,
    상기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 설치된 메인지주(MC)와 연결되어진 메인케이블(C1)상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지는 제 2 스마트 패싱수단(30)과,
    상기 스마트 하강수단(10)에 탑승한 체험자가 도착지점에 진입하게 되면 일정한 속도로 감속되어지도록 하는 브레이크 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하강수단(10)의 상부에는 메인케이블(C1)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홈이 형성된 한 쌍의 도르래 장치(11)와, 하부에는 체험자가 착용하는 안전장구와 결속되어지는 연결링크가 체결되도록 하기위한 체결홈(12)과, 일측표면상에는 상기 제 1, 2 스마트 패싱수단(20, 30)이 통과되어지기 위한 관통홈(13)과, 상기 체결홈(12)에 체결되어지면 체험자가 착용하는 안전장구와 결속되어지는 연결링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케이블(C1)의 장력이 조정되어지도록 출발지점의 메인지주(MC)에 연결되어지는 보조케이블(C2)의 일측단부는 상기 메인지주(MC)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지며, 타측단부에는 장력조정 수단(50)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지며,
    상기 장력조정 수단(50)은 메인지주(MC)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케이블 길이조절부(51)와, 상기 케이블 길이조절부(51)의 상측에는 케이블 장력을 숫자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재(52)와, 상기 표시부재(52)의 상측에는 케이블 장력이 조정되어지기 위한 장력 조정부(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마트 패싱수단(20)은 사각형상의 철판으로 형성된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의 일측표면상에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더 넓게 형성되어지는 지지대(22)와, 상기 지지대(22)에 결합되어지는 브라켓 플레이트(23)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23)의 상측에는 상기 메인케이블(C1)이 내부로 관통되도록 속이 빈 중공 형상의 파이프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마트 패싱수단의 몸체부(21)는 상기 메인지주(MC) 및 보조 지주(SC)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용 볼트구멍(25)과, 상기 몸체부(21)에는 자연목에 띠장의 벤딩바가 삽입되어 메인지주(MC)와 보조지주(MC)에 고정되어지기 위한 삽입구멍(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 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23)는 상기 메인케이블(C1)의 처짐 및 유격이 발생할 때에 이를 조정하기 위한 케이블 조정볼트(27)와, 상기 케이블 조정볼트(27)를 이용하여 메인케이블(C1)이 압착되어 고정되어지도록 하는 케이블 압착 체결핀(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마트 패싱수단(30)은 양끝이 둥근 부채형상의 판형으로 형성된 케이블 암(31)과, 상기 케이블 암(31)의 일측끝단에는 메인지주(MC) 또는 연결 풀리(S)에 체결되기 위하여 관통되어 형성되어지는 체결홈(32)과, 상기 케이블 암(31)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정 각도가 형성되어지는 지지대(33)와, 상기 지지대(33)의 상측에는 메인케이블(C1)이 내부에 관통되어 체결되어지기 위한 중공의 파이프부(34)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암(31)은 일측표면상에는 제 2 스마트 패싱수단(30)과 상기 메인케이블(C)간의 경사각 및 진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한 쌍의 경사맞춤 볼트구멍(35)을 추가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수단(40)은 도착지점에 형성된 메인지주(MC)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지지케이블(41)과, 상기 메인지주(MC)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지며 브레이크 지지케이블(41)의 하측부에 형성되어지는 브레이크 로프 고정부(42)와, 일측단부는 상기 브레이크 로프 고정부(42)에 결합되어지며 소정의 위치는 결합부(44)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지지케이블(41)에 고정되어지는 브레이크 로프(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로프(43)의 타측단부와 결합되어지는 연결부(45)와, 체험자의 스마트 하강수단(10)과 맞닿게 될 시에 충격이 저감되어지기 위해 완충소재로 구성되어지는 완충 패드부(46)와, 상기 메인케이블(C1)이 관통되어 삽입되어지기 위해 속이 빈 중공 형상의 파이프로 구성되어지는 안전케이블 삽입구(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케이블(C1)의 장력이 조절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출발지점에 설치되는 제 2 스마트 패싱수단(30)의 체결홈(32)과 결합되어지는 도르래형상의 제1 연결 풀리(S1)와, 출발지점에 설치된 메인지주(MC)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지는 도르래 형상의 제2 연결 풀리(S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보조케이블(C2)의 일측단부는 출발지점에 설치된 메인지주(MC)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지며, 타측단부가 상기 메인지주(MC)의 하부에 위치된 장력조정 수단(50)에 체결되어지고, 상기 보조케이블(C2)의 중간부분은 상기 제1, 2 연결풀리(S1, S2)를 관통하여 연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케이블(C1)이 파손되어질 때에 체험자가 케이블장치로부터 추락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중백업 수단(60)으로서 작용되어지도록, 상기 메인지주(MC)의 둘레부를 감아 형성되어지며 양측단부는 상기 보조케이블(C2) 상에 결합고정되어지는 원형케이블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지점의 메인케이블(C1)의 소정의 위치에는 스마트 하강수단(10)을 통하여 하강할 경우에 과속도로 인한 안전사고가 방지되어지도록 감속수단(70)이 더 포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50009045A 2015-01-20 2015-01-20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KR101622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45A KR101622711B1 (ko) 2015-01-20 2015-01-20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045A KR101622711B1 (ko) 2015-01-20 2015-01-20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711B1 true KR101622711B1 (ko) 2016-05-19

Family

ID=56103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045A KR101622711B1 (ko) 2015-01-20 2015-01-20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846B1 (ko) * 2022-07-07 2023-04-05 어드벤처 주식회사 직선형 및 곡선형 혼합 구조의 연속빌레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520B1 (ko) 2011-11-25 2012-03-19 짚트랙코리아 주식회사 짚 트렉 시스템
US20130112103A1 (en) 2011-11-08 2013-05-09 Thomas Austin Elhard Turn wheel for supporting a curved portion of a load-transporting cable
KR101454216B1 (ko) 2014-04-29 2014-10-23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12103A1 (en) 2011-11-08 2013-05-09 Thomas Austin Elhard Turn wheel for supporting a curved portion of a load-transporting cable
KR101122520B1 (ko) 2011-11-25 2012-03-19 짚트랙코리아 주식회사 짚 트렉 시스템
KR101454216B1 (ko) 2014-04-29 2014-10-23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846B1 (ko) * 2022-07-07 2023-04-05 어드벤처 주식회사 직선형 및 곡선형 혼합 구조의 연속빌레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8900A (en) Horizontal lifeline energy absorber
KR101209868B1 (ko) 추락방지장치
KR101622711B1 (ko)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KR20210041451A (ko)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대
US5947229A (en) Energy absorbing device for use with a safety lanyard and system including the device
CN204932649U (zh) 高空防坠落自锁装置
CN102502373B (zh) 一种用于施工升降机的双向防坠安全装置
KR102098481B1 (ko)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CN208814462U (zh) 一种高效稳定曳引机机架
CN203922551U (zh) 用于高空作业的卷扬机滑轮导向架
CN107235413A (zh) 一种构件吊索具
CN206494622U (zh) 一种电梯吊顶连接结构
KR102599053B1 (ko) 변압기용 추락방지시스템
CN210250921U (zh) 一种用于竖向支撑的安全带悬挂装置
KR102579491B1 (ko) 전주 작업자용 추락방지장치
CN219290475U (zh) 生命绳悬挂装置
CN112324481A (zh) 一种锚索的安全防护装置
KR20240007500A (ko)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CN217908649U (zh) 防爆区域高空作业防坠落装置
KR20110050318A (ko) 교량의 슈 점검용 안전장치
KR102548561B1 (ko)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강하장치
CN211393518U (zh) 一种自动扶梯安全保护装置
CN113386819B (zh) 风缸防护组件以及用于机动车的风缸
JP3769392B2 (ja) 墜落防止装置
KR102598341B1 (ko) 안전 와이어 로프의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