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216B1 -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216B1
KR101454216B1 KR1020140051886A KR20140051886A KR101454216B1 KR 101454216 B1 KR101454216 B1 KR 101454216B1 KR 1020140051886 A KR1020140051886 A KR 1020140051886A KR 20140051886 A KR20140051886 A KR 20140051886A KR 101454216 B1 KR101454216 B1 KR 101454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ension
tension adjusting
pulley
suppor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승환
Original Assignee
어드벤처닷케이알(주)
길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9986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5421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벤처닷케이알(주), 길승환 filed Critical 어드벤처닷케이알(주)
Priority to KR1020140051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21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07Cable tens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1/00Ski lift, sleigh lift or like trackless systems with guided towing cable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6Safety devices or measures against cable fr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210)에 지지되는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에 일단부가 지지되고 장력 조절 도르래(20)를 통해 장력조절장치(40)에 연결되는 조절 케이블(30)과; 메인 케이블(50)에 연결되고 상기 장력 조절 케이블(30)을 장력조절장치(40)에 연결되도록 방향을 바꾸어주는 장력 조절 도르래(20)와; 상기 바닥(210)에 지지되고 상기 장력 조절 케이블(30)을 잡아당기거나 풀어주어 메인 케이블(5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40)와; 구조물(200)에 지지되는 케이블 풀리(60)와; 상기 케이블 풀리(60)를 통해 상기 장력 조절 도르래(20)에 연결되는 메인 케이블(50)과; 상단부가 상기 메인 케이블(50)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바닥(210)에 지지되는 백업 케이블(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강용 메인 케이블의 계절별 신축에 따른 장력 조절을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메인 케이블의 절단 등 문제 발생시 곧바로 대처가 가능하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관련 조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인 케이블의 관리소홀로 인해 불시에 케이블이 터지더라도 케이블의 안전 이중 백업 시스템으로 인명피해 및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wire cable Tension control and Backup system for Zipwire}
본 발명은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강 레저 스포츠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와이어 케이블이 계절별 온도와 반복 사용과 장력조정에 따라 늘어지거나 줄어들어 와이어 케이블의 장력을 계절에 맞게 조절하지 못할 경우 지정 장소에 도착하지 못해 발생되는 안전사고와 반복 사용과 장력조정에 따라 와이어 케이블이 불시에 끊어질 경우 백업케이블로 와이어 케이블을 잡아주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활강 레포츠는 짚와이어가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짚와이어(Zipwire)이란 양편의 나무 또는 지주대 사이로 튼튼한 와 이어를 설치 후 탑승자와 연결된 트롤리( 도르레 )를 와이어에 걸고 빠른 속도로 반대편으로 마치 타잔처럼 줄을 타고 숲과 계곡 사이를 날아서 이동하는 레포츠의 통칭이다.
이런 하강 시설은 통상 높은 지역에서 낮은 지역으로 와이어 케이블을 연결하고 그 케이블 위에 도르래를 장착하여 타고 내려가 도착지점에 착지하는 구조이다.
이런 하강 시설은 체험자가 하강하는 거리에 따라 기본적으로 와이어 케이블의 처짐 안전율(%)을 적용하여 설치하게 된다. 하강거리가 짧을 경우 케이블의 처짐율은 적으며 반대로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처짐율은 높아지게 된다.
이렇게 처짐율을 적용하여 출발 및 도착지역의 통나무 혹은 철골 등의 주 기둥(지주대)에 와이어 케이블을 체결하게 되는데 체결시에는 와이어 크립 등의 체결 철물로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체결철물을 사용할 경우 와이어 케이블의 인장력을 평균 20% 정도 감소시키게 되고 또 계절별 탑승시의 풍향과 풍속, 대기 온도 및 습도, 그리고 체험자의 체중과 탑승 중 동작에 의해 지정한 장소에 도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럴 경우 와이어 케이블을 당기거나 풀러주어 장력을 조절해야 하는데 하강 거리가 짧을 경우 케이블의 무게가 적게 나가므로 인력으로 당기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하강 거리가 길 경우 케이블의 무게로 인해 인력으로 케이블을 당기기는 어려워지게 된다. 그래서 관련 중장비를 이용하거나 전문적인 와이어 케이블 관련 장비 및 전문인력을 동원하여 조치를 해 주어야 한다.
여러 번 케이블을 풀고 조임을 반복할 경우 케이블의 손상으로 이어지며 이는 케이블의 수명과 불시에 케이블 터짐을 유발할 수 있으며, 만약 조절할 지역이 산간지역이나 진입이 어려운 지역이라면 더더욱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며, 수시로 이런 일이 발생될 경우 많은 손실과 인명피해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339337 호에 "활강 레포츠용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도 1에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활강 레포츠용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가 적용된 일실시예가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활강 레포츠에 사용되는 와이어(2)는 상당히 긴 거리를 연결하고 있으며 와이어(2)자체도 튼튼한 강철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무게가 상당하다.
더욱이 양측에서 잡아당겨 어느 정도 일정한 장력을 가져야만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하강하여 상기 도면에 도시된 렌딩존(5)에 안착할 수 있는 것으로 보통 튼튼한 지주대(1)를 지면에 설치한 후 이러한 지주대(1)에 와이어(2)를 연결하고 와이어 반대방향으로는 지주대(1)가 와이어(2)의 장력에 의하여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와어어(4)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지주대(1)와 와이어(2)의 사이에 장력 조절장치(3)를 형성하여 와이어(2)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종래의 기술은 와이어의 진입각도를 완만하게 조정하지 못하고 움직 도르래를 이용하여 와이어 케이블에 걸리는 장력을 감소시키는 것 없이 장력조정장치로 조절하게 되면, 하강 길이가 길 경우 와이어 케이블의 장력과 무게로 인해 또 다른 인장장치로 와이어 케이블을 당겨놓고 장력조정장치의 조정볼트를 감거나 풀어야 하는 문제점과 반복적인 조절로 인해 와이어 케이블 및 관련 조정볼트의 훼손으로 인해 케이블 체결부의 파손에 대한 추가적인 안전 백업장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39337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출발지 및 도착지의 구조물(지주대)에 설치되는 와이어 케이블의 인장력을 그대로 유지하는 체결상태에서, 하강 거리와 무관하게 소수의 인력으로 와이어 케이블의 장력 조절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와이어 케이블의 반복적인 장력조절에 따른 끊어짐에 대비하는 안전한 이중 백업을 할 수 있는 케이블 장력 조절 및 백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 케이블의 장력을 움직 도르래로 감소시켜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소수의 인력으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백업 케이블을 와이어 케이블에 걸어두어 와이어 케이블의 반복적인 장력조절에 따른 끊어짐에 대비함으로써 안전한 이중 백업을 할 수 있는 케이블 장력 조절 및 백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일단부가 지지되고 장력 조절 도르래를 통해 장력조절장치에 연결되는 조절 케이블과; 메인 케이블에 연결되고 상기 장력 조절 케이블을 장력조절장치에 연결되도록 방향을 바꾸어주는 장력 조절 도르래와; 상기 바닥에 지지되고 상기 장력 조절 케이블을 잡아당기거나 풀어주어 메인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와; 구조물에 지지되는 케이블 풀리와; 상기 케이블 풀리를 통해 상기 장력 조절 도르래에 연결되는 메인 케이블과; 상단부가 상기 메인 케이블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바닥에 지지되는 백업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력 조절 도르래는 상기 메인 케이블을 잡아당겨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메인 케이블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에 몸체의 걸고리가 걸려 연결되며, 상기 장력 조절 케이블을 장력조절장치에 연결되도록 방향을 바꾸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력 조절 케이블은 상기 지지판에 일단부가 지지되고 장력 조절 도르래의 바퀴를 통해 장력조절장치에 연결되어 장력조절장치에 의해 잡아 당겨지거나 풀어져 상기 장력 조절 도르래를 잡아당기거나 풀어지게 하여 메인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케이블 풀리는 구조물에 지지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2개의 풀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풀리에 의해 상기 메인 케이블이 진입하는 각도를 완만하게 꺾이도록 하여 상기 메인 케이블에 걸리는 장력을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력조절장치에 인장 검사기가 추가되어 연결되며, 상기 인장검사기를 통하여 인장력을 디지털로 표시되는 숫자로 파악하며, 요구되는 인장력을 kg단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에 의해 하강용 메인 케이블의 계절별 신축에 따른 장력 조절을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메인 케이블의 절단 등 문제 발생시 곧바로 대처가 가능하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관련 조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인 케이블의 관리소홀로 인해 불시에 케이블이 터지더라도 케이블의 안전 이중 백업 시스템으로 인명피해 및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활강 레포츠용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가 적용된 일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백업장치에 따라 메인 케이블의 이중 백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장력조절장치에 턴버클과 인장력 검사기가 추가되는 실시예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 본 발명에 의한 백업장치에 따라 메인 케이블의 이중 백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100)는 바닥(210)에 지지되는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에 일단부가 지지되고 장력 조절 도르래(20)를 통해 장력조절장치(40)에 연결되는 조절 케이블(30)과; 메인 케이블(50)에 연결되고 상기 장력 조절 케이블(30)을 장력조절장치(40)에 연결되도록 방향을 바꾸어주는 장력 조절 도르래(20)와; 상기 바닥(210)에 지지되고 상기 장력 조절 케이블(30)을 잡아당기거나 풀어주어 메인 케이블(5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40)와; 구조물(200)에 지지되는 케이블 풀리(60)와; 상기 케이블 풀리(60)를 통해 상기 장력 조절 도르래(20)에 연결되는 메인 케이블(50)과; 상단부가 상기 메인 케이블(50)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바닥(210)에 지지되는 백업 케이블(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지판(10)은 강철판 등의 재질로 제작되며, 도착지에 설치되는 철근 콘크리트, 강철 등으로 제작되는 바닥(110)에 용접, 볼트와 너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된다.
장력 조절 도르래(20)는 메인 케이블(50)을 잡아당겨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메인 케이블(50)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51)에 몸체의 걸고리(21)가 걸려 연결되며, 장력 조절 도르래(20)의 바퀴를 통해 상기 장력 조절 케이블(30)을 장력조절장치(40)에 연결되도록 방향을 바꾸어 준다.
장력 조절 케이블(30)은 상기 지지판(10)에 일단부가 지지되고 장력 조절 도르래(20)의 바퀴를 통해 장력조절장치(40)에 연결되어 장력조절장치(40)에 의해 잡아 당겨지거나 풀어져 상기 장력 조절 도르래(20)를 잡아당기거나 풀어지게 하여 메인 케이블(50)의 장력을 조절한다.
장력조절장치(40)는 하단부가 상기 바닥(210)에 지지되고 상단부가 상기 장력 조절 케이블(30)을 잡아당기거나 풀어주어 메인 케이블(50)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메인 케이블(50)은 케이블 풀리(60)를 통해 상기 장력 조절 도르래(2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장력조절장치(40)로 상기 장력조절 케이블(30)을 잡아당김으로써 장력 조절 도르래(20)를 아래로 잡아당기고 동시에 메인 케이블(50)이 당겨져서 장력이 증가된다.
반대로 상기 장력조절장치(40)로 상기 장력조절 케이블(30)을 풀어줌으로써 상기 장력 조절 도르래(20)를 풀어주고 동시에 메인 케이블(50)이 풀어져서 장력이 감소된다.
케이블 풀리(60)는 구조물(200)에 지지되는 지지대(61)와 상기 지지대(61)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2개의 풀리(62, 63)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조물(200)에 지지되는 지지대(61)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2개의 풀리(62, 63)에 의해 메인 케이블(50)이 진입하는 각도를 완만하게 꺾이도록 하여 메인 케이블(50)에 걸리는 장력을 분산시키고 케이블 소선의 훼손을 예방한다.
구조물(200)로 진입하는 메인 케이블(50)을 우측 풀리(63)로 둔각, 예를 들면 135로 꺽어 좌측 풀리(62)에서 다시 둔각으로 꺽어서 장력 조절 도르래(20)에 연결되도록 하여 메인 케이블(50)이 꺽이는 각도를 완만하게 한다.
백업 케이블(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상기 메인 케이블(50)의 고리(51)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바닥(21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장력조절 케이블(30)의 반복적인 장력조정작업에 의해 약해져서 끊어지는 경우 메인 케이블(50)을 잡아당겨주는 이중 안전 백업장치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장력조정은 작업자가 메인 케이블(50)의 처짐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메인 케이블(50)의 장력을 50% 경감시키기 위해 움직 도르래 의 원리가 적용되는 장력 조절 도르래(20)를 사용한다.
따라서 장력 조절 도르래(20)에 연결되는 메인 케이블(50)을 잡아당기기 위해 장력 조절 도르래(20)의 바퀴를 통과하는 장력조절 케이블(30)을 상기 장력조절장치(40)로 잡아당기면 움직 도르래의 원리에 의해 메인 케이블(50)에 걸리는 장력 T1의 1/2에 해당하는 힘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그러므로 중장비에 의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장력조절장치(40)로 메인 케이블(50)을 잡아당김으로써 장력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구조물(200)로 진입하는 메인 케이블(50)의 진입각도를 케이블 풀리(60)를 사용하여 2번 꺽어줌으로써 꺽어지는 각도를 90°이하로 감소시켜 메인 케이블(50)에 가해지는 장력을 2개의 풀리(62, 63)로 분배하여 집중되는 힘을 1/2로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케이블(50)의 끝단에 고리(51)를 만들어 장력 조절 도르래(20)에 걸고리(21)로 연결시키고, 장력조절장치(40)의 반복적인 장력조절 작업에 의해 장력 조절 케이블(30)이 끊어지는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백업 케이블(70)로 메인 케이블(50)을 잡아당겨줌으로써 메인 케이블(50)이 끊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장력조절장치에 턴버클과 인장력 검사기가 추가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력조절 케이블(30)의 일단부가 지지판(10)에 고정되고, 장력조절 도르래(20)를 통해 장력조절장치(40)에 연결되고, 상기 장력조절장치(40)는 장력조절 케이블(30)에 걸리는 장력을 디지털 숫자로 장력이 측정 표시되는 인장력 검사기(80)와 연결된다. 인장력 검사기(80)는 장력을 조절하는 턴버클(90)을 통해 지지판(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인장력 검사기(80)로 장력조절 케이블(30)에 걸리는 장력을 측정하면서 장력조절장치(40)와 턴버클(90)을 사용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계절별로 달라지는 장력조절 케이블(30)의 처짐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장력조절 케이블(30)에 연결된 상기 인장력 검사기(80)를 통하여 표시되는 인장력을 디지털 숫자로 파악하고 장력조절장치(40)와 턴버클(90)을 사용하여 각 계절별로 요구되는 인장력을 kg 단위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을 형성하는 기술사상에 대한 것인 한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지지판 20: 장력 조절 도르래
21: 걸고리 30: 장력 조절 케이블
40: 장력조절장치 50: 메인 케이블
51: 고리 60: 케이블 풀리
61: 지지대 62,63: 좌,우측 풀리
70: 백업 케이블 80: 인장력 검사기
90: 턴버클 100: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Claims (7)

  1.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일단부가 지지되고 장력 조절 도르래를 통해 장력조절장치에 연결되는 장력 조절 케이블과;
    메인 케이블에 연결되고 상기 장력 조절 케이블을 장력조절장치에 연결되도록 방향을 바꾸어주는 장력 조절 도르래와;
    상기 바닥에 지지되고 상기 장력 조절 케이블을 잡아당기거나 풀어주어 메인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와;
    구조물에 지지되는 케이블 풀리와;
    상기 케이블 풀리를 통해 상기 장력 조절 도르래에 연결되는 메인 케이블과;
    상단부가 상기 메인 케이블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바닥에 지지되는 백업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 도르래는 상기 메인 케이블을 잡아당겨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메인 케이블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에 몸체의 걸고리가 걸려 연결되며, 상기 장력 조절 케이블을 장력조절장치에 연결되도록 방향을 바꾸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 케이블은 상기 지지판에 일단부가 지지되고 장력 조절 도르래의 바퀴를 통해 장력조절장치에 연결되어 장력조절장치에 의해 잡아 당겨지거나 풀어져 상기 장력 조절 도르래를 잡아당기거나 풀어지게 하여 메인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풀리는 구조물에 지지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2개의 풀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풀리에 의해 상기 메인 케이블이 진입하는 각도를 완만하게 꺾이도록 하여 상기 메인 케이블에 걸리는 장력을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장치에는 장력조절 케이블에 걸리는 장력을 측정표시하는 인장력 검사기가 추가로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 검사기는 인장력이 디지털로 표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7. 삭제
KR1020140051886A 2014-04-29 2014-04-29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Active KR101454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886A KR101454216B1 (ko) 2014-04-29 2014-04-29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886A KR101454216B1 (ko) 2014-04-29 2014-04-29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216B1 true KR101454216B1 (ko) 2014-10-23

Family

ID=5199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886A Active KR101454216B1 (ko) 2014-04-29 2014-04-29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2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711B1 (ko) 2015-01-20 2016-05-19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KR101627291B1 (ko) * 2015-01-07 2016-06-03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
KR102406006B1 (ko) 2021-12-23 2022-06-08 (주)신흥이앤지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KR102470792B1 (ko) * 2022-04-13 2022-11-28 최병길 짚라인 출발게이트 작동방법
KR102598990B1 (ko) 2023-01-13 2023-11-06 어드벤처 주식회사 에코라이더의 텐션 조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011B1 (ko) 2005-12-21 2007-05-02 한국수자원공사 수중 대차 슬러지 수집장치의 로프 장력 조절장치
KR100979520B1 (ko) 2008-11-14 2010-09-01 서울메트로 지상부전차선 장력조정상태 검사장치
KR101192217B1 (ko) 2012-04-16 2012-10-17 (주)신우디엔시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차선 장력조절장치
KR20130006916U (ko) * 2012-03-14 2013-12-02 와바다다 주식회사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011B1 (ko) 2005-12-21 2007-05-02 한국수자원공사 수중 대차 슬러지 수집장치의 로프 장력 조절장치
KR100979520B1 (ko) 2008-11-14 2010-09-01 서울메트로 지상부전차선 장력조정상태 검사장치
KR20130006916U (ko) * 2012-03-14 2013-12-02 와바다다 주식회사 이동형 공중 하강 체험 시스템
KR101192217B1 (ko) 2012-04-16 2012-10-17 (주)신우디엔시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차선 장력조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291B1 (ko) * 2015-01-07 2016-06-03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
KR101622711B1 (ko) 2015-01-20 2016-05-19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KR102406006B1 (ko) 2021-12-23 2022-06-08 (주)신흥이앤지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KR102470792B1 (ko) * 2022-04-13 2022-11-28 최병길 짚라인 출발게이트 작동방법
KR102598990B1 (ko) 2023-01-13 2023-11-06 어드벤처 주식회사 에코라이더의 텐션 조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216B1 (ko)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US10030397B2 (en) Fall protection system
US10662040B2 (en) Rope guidance for second device used on durahoist arm
US4606430A (en) Rail mounted safety restraint device
US10277023B2 (en) Aerial cable laying device
US6311625B1 (en) Horizontal lifeline traversing device
US8746148B1 (en) Portable various pitch rope tow system
CN101947370A (zh) 防跌落自救吊运车以及包括该吊运车的系统
CN211899304U (zh) 一种屋面光伏组件运维系统及其运维踏板
KR20220149959A (ko) 추락방지를 위한 와이어로프 안전장치
WO1992011426A1 (en) Hoisting and rescue apparatus
US20210029986A1 (en) Self-Climbing Platform
US20060090961A1 (en) Safety net system
CN209940309U (zh) 一种高稳定性桥式起重机
US9637139B2 (en) Rigid tensioning member and tension measuring device for a towing system for towing a user on a support material
CN106758578A (zh) 一种山区带转角、多支点固定式重载索道架设方法
US20120037451A1 (en) Anchor for a height safety system and height safety system incorporating an anchor
KR101538404B1 (ko) 활강 레포츠 시설물
US11459779B2 (en) Roof-anchoring systems and methods
GB2334292A (en) Roof safety assembly
CN206494622U (zh) 一种电梯吊顶连接结构
NL2007997C2 (en) System, tethering line and method for preventing a person from falling from a corner of a roof.
US8157057B1 (en) Safety apparatus for scaffolding
US9637138B2 (en) Towing system for towing a user on a support material
EP3125381B1 (en) Transmission line replacement system &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111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4101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41112

Appeal identifier: 202410000327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