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217B1 -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차선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차선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217B1
KR101192217B1 KR1020120038894A KR20120038894A KR101192217B1 KR 101192217 B1 KR101192217 B1 KR 101192217B1 KR 1020120038894 A KR1020120038894 A KR 1020120038894A KR 20120038894 A KR20120038894 A KR 20120038894A KR 101192217 B1 KR101192217 B1 KR 101192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ed
vehicle
car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구
Original Assignee
(주)신우디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디엔시 filed Critical (주)신우디엔시
Priority to KR102012003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6Compensation means for variation i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차선에 연결된 와이어의 원활한 감김과 풀림을 제공하는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와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를 이용하여 전차선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전차선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는 지주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대활차; 상기 대활차와 함께 회전되도록 대활차의 양측에 돌출고정되는 소활차; 상기 소활차에 감기면서 상기 대활차에 걸린 상태로 전기선로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 및 상기 고정와이어가 적층이 방지되면서 근접되는 상태로 소활차의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유도하는 와이어유도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는 와이어유도수단에 의하여 전기선로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와이어가 소활차에서 감기면서 발생하는 꼬임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차선 장력조절장치{PULLEY FOR TROLLEY WIRE AND TROLLEY WIRE TENSION CONTROL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선로에 연결된 고정와이어의 원활한 감김과 풀림을 제공하는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와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를 이용하여 전차선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전차선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철, 고속철, 지하철 등의 전기 철도에서는 전기 철도 차량에 전력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선로가 가설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기선로에는 전기 철도 차량의 집전 장치와 직접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차선이 있고, 상기 전차선을 같은 높이로 수평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조가선이 있다. 이러한 전차선 및 조가선을 일정한 장력으로 잡아당겨서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자동 장력조정장치가 사용된다.
장력조정장치에 사용되는 활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활차(1)와 소활차(2)는 일체로 형성되어 소활차(2)에 가변로프(3)가 감겨져서 가공전차선을 신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소활차(2)는 원통형태의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가변로프(3)가 감기거나 풀리는 과정에서 외부의 힘에 의해 꼬이면서 감기는 경우가 왕왕 발생되어 가변로프(3)가 풀려야 하는 경우에도 풀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변로프(3)가 순차적으로 감기거나 풀리도록 안내하는 구조가 결여되어 로프가 감기거나 풀리는 과정에서 원통형태의 외주면에서 이탈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소활차(2)는 가변로프(3)의 꼬임이나 이탈에 의해 회전되지 못하여 가공전차선의 장력을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소활차에 감기는 가변로프(3)가 2가닥으로 구성되어 밴드(4)로 압착하여서 고정하므로 설치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장력조절에 의해 압착된 밴드(4)가 풀리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가변로프(3)가 2가닥이 사용되므로 소활차에 감기는 가변로프의 길이를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기선로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고정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면서 감거나 풀수 있으면서 전기선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대활차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차선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하나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소활차로부터의 전기선로 사이에 연결되는 고정와이어가 다 풀리더라도 소활차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길이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차선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는 지주(2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대활차(10); 상기 대활차(10)와 함께 회전되도록 대활차(10)의 양측에 돌출고정되는 소활차(30); 상기 소활차(30)에 감기면서 상기 대활차(10)에 걸린 상태로 전기선로(40)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50); 및 상기 고정와이어(50)의 적층을 방지하면서 근접되는 상태로 소활차(30)의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유도하는 와이어유도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대활차(10)는 상기 고정와이어(50)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도록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상기 대활차(10)는 상기 관통홀(11)에 삽입고정되어 관통홀(11)에 삽입된 상기 고정와이어(50)의 외주면의 마모를 방지하는 마모방지부재(13)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는 지주(2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대활차(10); 상기 대활차(10)와 함께 회전되도록 대활차(10)의 양측에 돌출고정되는 소활차(30); 상기 소활차(30)에 감기면서 상기 대활차(10)에 걸린 상태로 전기선로(40)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50); 및 상기 고정와이어(50)의 적층을 방지하면서 근접되는 상태로 소활차(30)의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유도하는 와이어유도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소활차(30)는 상기 고정와이어(5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과정에서 상기 대활차(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타단에 접촉방지부재(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는 지주(2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대활차(10); 상기 대활차(10)와 함께 회전되도록 대활차(10)의 양측에 돌출고정되는 소활차(30); 상기 소활차(30)에 감기면서 상기 대활차(10)에 걸린 상태로 전기선로(40)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50); 및 상기 고정와이어(50)의 적층을 방지하면서 근접되는 상태로 소활차(30)의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유도하는 와이어유도수단(70);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유도수단(70)은 상기 소활차(30)의 외주면에 대칭되게 각기 형성되되, 상기 고정와이어(50)가 수용되면서 감기도록 단면이 원호형태인 나선형의 홈이고, 상기 와이어유도수단(70)은 상기 고정와이어(50)가 소활차의 외주면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소활차(30)에 감기도록, 소활차(30)의 회전에 의해 소활차(3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와이어(50)를 상기 소활차에 안내하는 와이어안내수단(7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안내수단(71)은 예컨대 상기 나선형의 홈의 사이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면서 단면이 "C"형태인 가이드홈(73); 및 상기 고정와이어가 상기 소활차의 외주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홈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나선형의 홈에 감기는 고정와이어를 커버하는 커버부재(75); 및 상기 커버부재(75)의 양단에 제각기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73)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돌기(79);를 포함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어유도수단(70)은 상기 고정와이어(50)가 소활차의 외주면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소활차(30)에 감기도록, 소활차(30)의 회전에 의해 소활차(3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와이어(50)를 상기 소활차에 안내하는 와이어안내수단(71);을 더 포함하며, 와이어안내수단(71)은 예컨대 상기 소활차(30)의 외측면 중앙에 회전핀(74)에 의해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지지대(72); 및 상기 회전지지대(72)의 타단에 롤러축(7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소활차(30)에 감기는 상기 고정와이어(50)가 상기 소활차(30)의 외주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와이어(50)를 커버하여서 지지하는 롤러(76);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롤러(76)는 상기 고정와이어(50)를 순차적으로 커버하도록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요홈(76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차선 장력조절장치는 지주(2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대활차(10); 상기 대활차(10)와 함께 회전되도록 대활차(10)의 양측에 돌출고정되는 소활차(30); 상기 소활차(30)에 감기면서 상기 대활차(10)에 걸린 상태로 전기선로(40)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50); 상기 고정와이어(50)의 적층을 방지하면서 근접되는 상태로 소활차(30)의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유도하는 와이어유도수단(70); 및 상기 전기선로(40)의 신축에 대응하도록 전기선로(40)의 장력을 조절하여서 전기선로(40)의 긴장상태를 유지시키는 장력조절수단(80);을 포함하며, 상기 장력조절수단(80)은 예컨대 지주(20)의 길이방향을 향해 수직상태로 지주에 고정되는 추유도봉(81); 상기 추유도봉(81)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추유도봉(81)에 마련되는 장력추(83); 상기 대활차(10)에 감기는 상태로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장력추(83)에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와이어(85); 및 상기 연결와이어(85)에 마련되어 연결와이어(85)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87);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부재(87)는 대활차(10)와 장력추(83)에 각기 고정되도록 복수로 구성되는 연결와이어(85)의 양단에 각기 고정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나사축(87a)과 상기 복수의 나사축(87a)에 나사결합되는 턴버클(87b)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는 와이어유도수단에 의하여 전기선로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와이어가 소활차에서 감기면서 발생하는 꼬임을 예방할 수 있고, 고, 대활차에 형성된 관통홀에 마련되는 마모방지부재에 의해 대활차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활차를 관통하는 하나의 고정와이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활차와 전기선로 사이에 연결되는 고정와이어의 길이를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와이어가 다 풀리더라도 소활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와이어가 소활차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감기도록 고정와이어를 커버한 상태로 소활차의 외주면에 안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차선 장력조절장치는 고정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면서 와이어를 감거나 풀수 있으면서 전기선로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기선로가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장력이 조절된 상태로 전기 철도 차량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활차와 소활차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와이어안내수단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안내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 6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안내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와이어안내수단을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활차(10), 소활차(30), 고정와이어(50), 와이어유도수단(70)을 포함한다.
대활차(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기립되는 지주(20)에 수직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대활차(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활차(30)의 사이에 위치되어서 일체화된 상태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0)에 설치된 브라켓(21)에 소활차(3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대활차(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와이어(50)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도록 관통홀(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통홀(11)은 고정와이어(50)가 용이하게 관통삽입되도록 고정와이어(5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활차(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모방지부재(13)를 더 포함한다. 마모방지부재(13)는 상기 관통홀(11)에 삽입고정되어 관통홀(11)에 삽입된 상기 고정와이어(50)의 외주면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미도시된 베어링이나 부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모방지부재(13)는 고정와이어(50)가 삽입된 상태로 전기선로(40)의 무게에 의해 당겨지거나 설치과정에서 외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관통홀(11)의 내주면 테두리에 마찰되어서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소활차(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활차(10)와 함께 회전되도록 대활차(10)의 양측에 돌출고정된다. 이러한, 소활차(30)는 대활차(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소활차(30)는 일단에 이탈방지부재(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탈방지부재(31)는 고정와이어(50)가 걸려서 소활차(3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와이어(50)의 직경보다 큰 높이를 갖는 플랜지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탈방지부재(31)는 상기 소활차(30)에 상기 고정와이어(5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과정에서 소활차(3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감겨지거나 풀려질 수 있다. 즉, 이탈방지부재(31)는 고정와이어(50)가 소활차(30)와 브라켓(21)의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활차(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에 접촉방지부재(3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촉방지부재(33)는 상기 고정와이어(5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과정에서 상기 대활차(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와이어(50)의 직경보다 큰 높이를 갖는 플랜지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접촉방지부재(33)는 상기 소활차(30)에 상기 고정와이어(5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과정에서 대활차(10)의 테두리에 접촉되어 외주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소활차(30)에 용이하게 감겨지거나 풀려질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이탈방지부재(31)와 접촉방지부재(33)는 고정와이어(50)를 소활차(30)에 안내하도록 각각의 테두리에 테이퍼(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32)는 소활차(30)에서 이탈되는 고정와이어(50)를 슬라이딩시켜서 소활차(30)에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고정와이어(5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활차(30)에 감기면서 상기 대활차(10)에 걸린 상태로 전기선로(40)에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와이어(50)는 양단이 당김금구(60)에 고정된다. 즉, 고정와이어(50)는 고정되는 당김금구(60)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전기선로(4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고정와이어(50)는 하나로 구성되어 소활차(30)에 감기면서 대활차(10)에 관통상태로 고정되므로, 대활차(10)에 고정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에서 가변 와이어가 복수로 구성되어 밴드에 의해 고정되어서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피로가 누적되는 경우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해결되었다.
더욱이, 작업자는 고정와이어(50)가 소활차(30)들에 감면서 대활차(10)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와이어(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소활차(30)에 감기는 반대방향으로 소활차(30)를 회전시키는 경우, 고정와이어(50)가 소활차(30)에서 느슨한 상태로 풀리게 되므로, 대활차(10)의 관통홀(11)에 관통상태인 고정와이어(50)를 관통홀(1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밀거나 당겨서 고정와이어(50)의 중앙부분이 관통홀(11)에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덧붙여, 고정와이어(50)는 관통홀(11)에 중앙부분이 위치되는 경우 양단이 당김금구(60)에 동일한 길이로 고정되므로 당김금구(60)를 균등한 힘으로 당기게 된다.
계속해서, 고정와이어(50)가 감기는 방향으로 소활차(30)를 회전켜서 고정와이어(50)를 소활차(30)들에 수회 감기도록 한 후에, 고정와이어(50)의 긴장상태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대활차(10)에 후술되며 장력추(83)가 고정된 연결와이어(85)를 연결하는 경우, 고정와이어(50)가 장력추(83)의 무게에 의해 긴장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와이어(50)는 소활차(30)에 감기면서 대활차(10)에 고정된 상태로 양단이 전기선로(40)에 연결되어 장력추(83)의 무게에 의해 전기선로(4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와이어유도수단(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와이어(50)가 적층이 방지되면서 근접되는 상태로 소활차(30)의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상기 소활차(30)의 외주면에 대칭되게 각기 형성되되, 단면이 원호형태인 나선형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나선형의 홈은 고정와이어(50)의 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와이어(50)는 나선형의 홈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유도수단(70)은 상기 소활차(30)에 고정와이어(50)가 적층이 방지되거나 근접되는 상태로 감기도록 소활차(30)의 고정와이어(50)를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즉, 나선형의 홈은 고정와이어(50)가 순차적으로 소활차(30)에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고정와이어(50)를 안내할 수 있으므로, 고정와이어(50)가 적층되거나 이격되지 않으면서 소활차(30)에 고르게 감기도록 안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유도수단(7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안내수단(71)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와이어안내수단(71)은 상기 고정와이어(50)가 와이어유도수단(70)인 나선형의 홈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소활차(30)에 감기도록, 소활차(30)의 회전에 의해 소활차(3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와이어(50)를 상기 소활차에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가이드홈(73), 커버부재(75) 및 돌기(79)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73)은 도 7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선형의 홈의 사이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면서 단면이 "C"형태로 형성된다.
커버부재(75)는 상기 고정와이어(50)가 상기 나선형의 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홈(73)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홈(73)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나선형의 홈에 감기는 고정와이어(50)를 커버한다. 여기서, 커버부재(75)는 고정와이어(50)를 커버하도록 단면이 "U"형태로 절곡형성된다.
돌기(79)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75)의 양단에 제각기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73)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커버부재(75)의 일단에 형성된 돌기(79)를 소활차(30)의 단부에 노출된 가이드홈(73)의 일측으로 삽입시킨 상태로 커버부재(75)를 소활차(30)의 외주면을 따라 일회전 시킨 후에, 타단의 돌기(79)를 가이드홈(73)의 일측으로 삽입시킨 상태로 일회전 더 회전시키는 경우 커버부재(75)가 가이드홈(73)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75)는 돌기(79)들이 "C"형태의 가이드홈(73)에 걸리게 되므로 자중에 의해 소활차(30)의 하부에 매달린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복수의 커버부재(75)를 소활차(30)의 양측에 각기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정와이어(50)를 나선형의 홈과 커버부재(75)의 사이에 삽입시키면서 소활차(30)에 수회 감기게 한 상태로 양단을 도 4에 도시된 전기선로(40)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설치된 커버부재(75)는 도 4에 도시된 전기선로(40)가 신축되는 경우 소활차(30)가 회전되므로 소활차(30)에 감기거나 풀리는 고정와이어(50)가 나선형의 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상태로 소활차(30)의 나선형의 홈에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75)는 고정와이어(70)의 이동을 부드럽게 안내하기 위해 롤러(77)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77)는 커버부재(75)의 중앙부분에 회전축(77a)에 의해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소활차(30)에 감기거나 풀리는 고정와이어(70)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므로 고정와이어(70)와 접촉시 마찰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마찰에 의한 고정와이어(70)나 커버부재(7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롤러(77)는 중앙부분이 양단의 테두리보다 작은 직경으로 요홈(77b)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오목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롤러(77)는 외주면이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고정와이어(70)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접촉되어서 고정와이어(70)와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와이어(70)를 커버하는 상태로 고정와이어(7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안내수단(71)은 고정와이어(50)가 소활차(30)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감기도록 고정와이어(50)를 커버한 상태로 소활차(30)의 외주면에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안내수단(71)은 전술한 바와 달리 예컨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지지대(72) 및 롤러(7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지지대(72)는 상기 소활차(30)의 외측면 중앙에 회전핀(74)에 의해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롤러(76)는 상기 회전지지대(72)의 타단에 롤러축(7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소활차(30)에 감기는 상기 고정와이어(50)가 상기 소활차(30)의 외주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와이어(50)를 커버하여서 지지한다. 이러한, 롤러(76)는 소활차(30)에 순차적으로 감기는 고정와이어(50)를 전체적으로 커버하여 지지하도록 소활차(30)의 길이와 같거나 약간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롤러(76)는 소활차(30)의 외측에 수직으로 매달린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지지대(72)의 타단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소활차(30)에 감기거나 풀리는 고정와이어(50)의 외주면을 지지한다. 즉, 고정와이어(50)가 소활차(30)에 감기거나 풀리는 경우 고정와이어(50)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와이어(50)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고정와이어(50)가 나선형의 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76)는 상기 고정와이어(50)를 순차적으로 커버하도록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요홈(76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요홈(76a)은 고정와이어(5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롤러(76)는 일정간격마다 외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소활차(30)에 감기거나 풀리는 고정와이어(50)를 나선형의 홈에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차선 장력조절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활차(10), 소활차(30), 와이어유도수단(70), 고정와이어(50), 장력조절수단(80)을 포함한다.
여기서, 대활차(10), 소활차(30), 와이어유도수단(70), 고정와이어(50)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장력조절수단(80)은 상기 전기선로(40)의 신축에 대응하도록 전기선로(40)의 장력을 조절하여서 전기선로(40)의 긴장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유도봉(81), 장력추(83), 연결와이어(85), 및 길이조절부재(87)를 포함한다.
추유도봉(81)은 상기 지주(20)의 길이방향을 향해 수직상태로 지주에 고정된다. 이러한, 추유도봉(8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지주(20)의 상하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브라켓(23)에 의해 지주(20)의 길이방향으로 지주(20)에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장력추(83)는 상기 추유도봉(81)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추유도봉(81)에 마련된다. 이러한, 장력추(83)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적층상태로 추유도봉(81)에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력추(83)의 개수를 전기선로(40)의 무게에 적합하도록 선택하여서 추유도봉(81)에 적층시킬 수 있다.
연결와이어(85)는 상기 대활차(10)에 감기는 상태로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장력추(83)에 타단이 연결된다.
길이조절부재(87)는 상기 연결와이어(85)에 마련되어 연결와이어(85)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활차(10)와 장력추(83)에 각기 고정되도록 복수로 구성되는 연결와이어(85)의 양단에 각기 고정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나사축(87a)과 상기 복수의 나사축(87a)에 나사결합되는 턴버클(87b)을 포함한다.
즉, 길이조절부재(87)는 작업자에 의해 턴버클(87b)이 정회전되거나 역회전되는 경우 복수의 나사축(87a)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되므로 복수로 구성되는 연결와이어(85)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길이조절부재(87)는 연결와이어(85)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무더운 여름날씨에 따른 고온에 의해 과도하게 인장되는 전기선로(40)에 의해 장력추(83)가 과도하게 하강되어 지주(20)의 하부에 마련된 고정브라켓(23)에 접촉되거나 추운 겨울날씨에 따른 저온에 의해 과도하게 수축되는 전기선로(40)에 의해 장력추(83)가 과도하게 상승되어 지주(20)의 상부에 마련된 고정브라켓(23)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길이조절부재(87)는 연결와이어(85)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고온이나 저온에 의해 전기선로(40)의 신축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장력조절수단(80)은 장력추(83)가 연결와이어(85)에 연결된 상태로 대활차(10)에 고정되므로 소활차(30)에 감겨진 고정와이어(50)가 전기선로(40)를 항상 당기게 되므로 전기선로(40)의 신축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전기선로(40)의 긴장상태를 항상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전기선로(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차선(41)과 조가선(4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당김금구(60)는 전류를 차단하는 상태로 연결되는 연결수단(90)을 통해 전기선로(4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수단(90)은 당김금구(60)에 연결되는 전차선인류봉(91)과, 전차선인류봉(91)에 연결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애자(93)와, 애자(93)에 연결되는 다른 전차선인류봉(95)과, 다른 전차선인류봉(95)에 연결된 상태로 양단이 전차선(41)과 조가선(43)에 각각 연결되는 요크(97)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선로(40)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면서 와이어를 감거나 풀수 있으면서 전기선로(4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기선로(40)가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장력이 조절된 상태로 전기 철도 차량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기선로(40)의 장기간의 장력조절에도 와이어가 소활차(30)에서 풀리지 않도록 하나로 구성되어 대활차(10)에 관통되어서 걸린 상태로 전기선로(40)에 양단이 고정되므로, 장기간동안 전기선로(40)의 장력조절에도 소활차(30)에서 풀리지 않는다.
더욱이, 고정와이어(50)가 대활차(10)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고정와이어(50)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고정와이어(50)를 밀어 넣거나 당겨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길이가 조절된 고정와이어(50)에 의해 전기선로(40)에 균일한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대활차 11 : 관통홀
13 : 마모방지부재 30 : 소활차
31 : 이탈방지부재 33 : 접촉방지부재
50 : 고정와이어 70 : 와이어유도수단
71 : 와이어안내수단 80 : 장력조절수단
81 : 추유도봉 83 : 장력추
85 : 연결와이어 87 : 길이조절부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지주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대활차;
    상기 대활차와 함께 회전되도록 대활차의 양측에 돌출고정되는 소활차;
    상기 소활차에 감기면서 상기 대활차에 걸린 상태로 전기선로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 및
    상기 고정와이어가 적층이 방지되면서 근접되는 상태로 소활차의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유도하는 와이어유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대활차는
    상기 고정와이어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대활차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고정되어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고정와이어의 외주면의 마모를 방지하는 마모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4. 삭제
  5. 지주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대활차;
    상기 대활차와 함께 회전되도록 대활차의 양측에 돌출고정되는 소활차;
    상기 소활차에 감기면서 상기 대활차에 걸린 상태로 전기선로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 및
    상기 고정와이어가 적층이 방지되면서 근접되는 상태로 소활차의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유도하는 와이어유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소활차는
    상기 고정와이어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과정에서 상기 대활차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타단에 접촉방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6. 삭제
  7. 지주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대활차;
    상기 대활차와 함께 회전되도록 대활차의 양측에 돌출고정되는 소활차;
    상기 소활차에 감기면서 상기 대활차에 걸린 상태로 전기선로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 및
    상기 고정와이어가 적층이 방지되면서 근접되는 상태로 소활차의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유도하는 와이어유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유도수단은
    상기 소활차의 외주면에 대칭되게 각기 형성되되, 상기 고정와이어가 수용되면서 감기도록 단면이 원호형태인 나선형의 홈이고,
    상기 와이어유도수단은
    상기 고정와이어가 소활차의 외주면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소활차에 감기도록, 소활차의 회전에 의해 소활차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와이어를 상기 소활차에 안내하는 와이어안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안내수단은
    상기 나선형의 홈의 사이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면서 단면이 "C"형태인 가이드홈;
    상기 고정와이어가 상기 소활차의 외주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홈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나선형의 홈에 감기는 고정와이어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양단에 제각기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73)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유도수단은
    상기 고정와이어가 소활차의 외주면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소활차에 감기도록, 소활차의 회전에 의해 소활차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와이어를 상기 소활차에 안내하는 와이어안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안내수단은
    상기 소활차의 외측면 중앙에 회전핀에 의해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지지대; 및
    상기 회전지지대의 타단에 롤러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소활차에 감기는 상기 고정와이어가 상기 소활차의 외주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와이어를 커버하여서 지지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9. 삭제
  10. 지주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대활차;
    상기 대활차와 함께 회전되도록 대활차의 양측에 돌출고정되는 소활차;
    상기 소활차에 감기면서 상기 대활차에 걸린 상태로 전기선로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
    상기 고정와이어가 적층이 방지되면서 근접되는 상태로 소활차의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유도하는 와이어유도수단; 및
    상기 전기선로의 신축에 대응하도록 전기선로의 장력을 조절하여서 전기선로의 긴장상태를 유지시키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향해 수직상태로 지주에 고정되는 추유도봉;
    상기 추유도봉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추유도봉에 마련되는 장력추;
    상기 대활차에 감기는 상태로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장력추에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와이어; 및
    상기 연결와이어에 마련되어 연결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대활차와 장력추에 각기 고정되도록 복수로 구성되는 연결와이어의 양단에 각기 고정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나사축과 상기 복수의 나사축에 나사결합되는 턴버클을 포함하는 전차선 장력조절장치.
KR1020120038894A 2012-04-16 2012-04-16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차선 장력조절장치 KR10119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894A KR101192217B1 (ko) 2012-04-16 2012-04-16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차선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894A KR101192217B1 (ko) 2012-04-16 2012-04-16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차선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2217B1 true KR101192217B1 (ko) 2012-10-17

Family

ID=4728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894A KR101192217B1 (ko) 2012-04-16 2012-04-16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차선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2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216B1 (ko) 2014-04-29 2014-10-23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KR101949917B1 (ko) * 2017-11-03 2019-02-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와이어 풀리 장치
KR101997100B1 (ko) 2019-02-28 2019-07-05 유충희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423A (ja) 2004-02-16 2005-08-25 Meielec:Kk 滑車式テンションバランサ
KR101078022B1 (ko) * 2010-12-22 2011-10-28 주식회사 삼진일렉스 전차선 자동 장력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423A (ja) 2004-02-16 2005-08-25 Meielec:Kk 滑車式テンションバランサ
KR101078022B1 (ko) * 2010-12-22 2011-10-28 주식회사 삼진일렉스 전차선 자동 장력 조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216B1 (ko) 2014-04-29 2014-10-23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케이블 장력조절 및 백업장치
KR101949917B1 (ko) * 2017-11-03 2019-02-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와이어 풀리 장치
KR101997100B1 (ko) 2019-02-28 2019-07-05 유충희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7073B2 (en) Arrangement for cable guiding and a wind turbine using such arrangement
KR101192217B1 (ko)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차선 장력조절장치
CN208454437U (zh) 电线敷设施工用的吊线升降装置
CN104818807B (zh) 一种无缝天幕遮阳篷
CN113629579B (zh) 一种具有升降功能的装置
CN216311447U (zh) 一种电缆生产绞线装置
CN218058006U (zh) 充电桩的充电枪线收放装置及充电桩
KR102139113B1 (ko) 충전 케이블용 릴 장치
CN110937460A (zh) 一种线状材料卷绕装置
CN210763652U (zh) 一种高性能聚乙烯缆改进型编制系统
CN204873224U (zh) 一种拉丝机的辅助设备
CN113911839A (zh) 一种高压输电电力电缆
KR101476736B1 (ko) 배전선로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CN201850001U (zh) 漆包线放线器
CN204778033U (zh) 张力调节装置
CN102055161B (zh) 跨越架放线滑轮装置
CN211998588U (zh) 一种供电电杆导线提升器设备
RU164793U1 (ru) Штанговый токоприемник для электр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6945701U (zh) 一种光伏设备用新能源电缆收卷装置
CN203333073U (zh) 一种涤纶绳绕线张力调节装置
CN205442214U (zh) 牵引架
CN219708794U (zh) 一种电力线缆放线托架
KR102412948B1 (ko)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CN209389564U (zh) 一种电杆除鸟窝的装置
CN212769023U (zh) 一种电缆放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