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948B1 -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948B1
KR102412948B1 KR1020220000805A KR20220000805A KR102412948B1 KR 102412948 B1 KR102412948 B1 KR 102412948B1 KR 1020220000805 A KR1020220000805 A KR 1020220000805A KR 20220000805 A KR20220000805 A KR 20220000805A KR 102412948 B1 KR102412948 B1 KR 102412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e
insulator
lifting device
ba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순
이강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이앤지
Priority to KR1020220000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활선공법에 사용되는 LP애자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선 승강장치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상단에 절곡연장된 상단수평부와 수직부의 하단에 절곡연장된 하단수평부로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수평부의 말단 하부에 형성된 완철 고정클램프와 몸체부의 상단수평부 말단에 형성된 전선 견인부로 구성되되,상기 전선 견인부는 상기 상단수평부 말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권취부와 상기 권치부에 권취되는 로프와 상기 로프 일단에 결합된 전선 견인구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개별 LP애자를 교체시 핫스틱, 로터스틱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안전은 물론 효율적으로 LP애자를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Electric wire lifting device for LP insulator indirect live wire replacemen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간접활선에서 사용되는 LP애자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활선상태에서 작업자가 절연버켓에 탑승하여 전력선과 이격된 상태에서 핫스틱, 로터스틱, 핸드스틱, 그랩스틱 등의 절연스틱과 선단공구와 보조기구(보조암, 거치대, 윈치)를 활용하여 결함이 있는 LP애자를 교체하는데 사용되는 전선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의 상단부에 애자가 구비된 완철을 가로 방향으로 설치하여 3상의 전선을 완철의 애자에 고정 및 절연하게 되고, 전선로에 대한 점검을 한 결과 설비에 결함이 발생되면 해당 결함 부품에 대한 교체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전선로의 보수 및 교체시에는 승강 가능한 절연가완목을 전주에 설치하고 고압 전선을 절연가완목에 이 선한 후, 절연가완목을 들어 올려 고압전선과 작업자가 간의 안전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선로의 LP애자를 교체시에는 승강 가능한 절연가완목을 전주에 설치하고 고압 전선을 절연가완목에 이 선한 후, 절연가완목을 들어 올려 고압전선과 작업자가 간의 안전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2단 장주의 상단 LP애자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승강 가능한 절연가완목을 전선로의 상단 완철과 하단 완철 사이에 설치하여 승강시켜야 하고 절연가완목을 승강시키는 장치는 하단 완철의 하부에 설치해야 하는데 하단 완철에 설치된 선로의 충전부가 접촉되어 감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어 이 방법만으로는 작업이 불가하다. 따라서 하단 선로를 바이패스케이블공법을 이용하여 휴전 상태로 만들고 상단 완철의 선로는 방호구를 씌워 절연한 후 절연가완목을 설치한 후 절연가완목을 들어 올려 고압전선과 작업자가 간의 안전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LP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하단 선로에 변압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동용변압기차공법을 추가로 병행시공하여 변압기를 휴전시킨 후 작업을 하고 있다.
한편, 완철에 설치된 LP애자의 경우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결함 유무를 점검하며, 통상 완철에 설치된 3개의 LP애자가 동시에 결함이 발생되는 것은 아니고 1개가 결함이 발생되므로 1개의 LP애자에 대한 부분적인 교체 작업시도 절연가완목을 이용한 복잡한 과정을 거쳐 3상의 전선을 모두 들어 올린 후 작업을 수행해왔으며, 2단 장주 상단의 LP애자 교체 시에는 바이패스케이블공법과 이동용변압기차공법을 병행하여 시행해 왔다.
이처럼 승강 가능한 절연가완목을 이용한 교체작업은 교체 대상에 비해 불필요한 장비의 사용이나 인력 투입으로 인해 경제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작업의 번거로움 및 복잡성으로 작업 시간이 오래 걸려 작업 효율이 저하될 뿐 아니라 안전에도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선로의 효율적인 유지 보수를 위해 간접활선공법에 최적인 LP애자의 부분 교체용 장비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4289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완철의 LP애자 교체시 절연가완목과 같은 다수의 장비 및 많은 인력을 투입하여 복잡한 과정을 통해 3상의 전선을 모두 하부에서 상부로 들어 올려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작업 없이 교체하고자하는 결함 LP애자 측근 상부에 전선 승강장치를 설치하여 절연스틱 등을 이용하는 간접활선공법으로 선로상 LP애자를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LP애자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발명은 간접활선공법에 사용되는 전선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선 승강장치는, 전선을 LP애자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시키는 수직바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완철 고정클램프와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전선 견인부로 구성되되, 상기 전선 견인부는 상기 몸체부 상단에 구비된 권취부와 상기 권치부에 권취되는 로프와 상기 로프 일단에 결합된 전선 견인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상단에 절곡 연장된 상단수평부와 수직부의 하단에 절곡 연장된 하단수평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완철 고정클램프는, 하방이 개방된 “n”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완철의 상부면에 면접촉하는 상단바와, 완철의 일측면에 면접촉하며 단부에 슬릿형상의 개방홈이 형성된 측면바와, 완철의 타측면을 면접촉하며 단부에 슬릿형상의 개방홈이 형성된 체결측면바와, 일단은 상기 측면바에 힌지 결합되어 측면바와 체결측면바의 슬릿형상의 개방홈에 내삽 되면서 타단은 상기 체결측면바에 아이너트로 걸림체결된다.
또한, 상기 측면바와 체결바를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에는 마찰력에 의해 일정 토크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탄성부가 개재된다.
또한, 상기 상단바와 상기 체결측면바의 내측면에는 아세탈수지판이 부착되되 체결측면바의 내측면에 부착된 아세탈수지판은 하단부에 경사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바는, 삼지창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부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웜기어와 웜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웜휠기어와 웜휠기어와 동일축상에 형성된 로프감김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권취부 상부에는 인상고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선 견인구는, 로프와 결합되는 견인연결부와 상기 견인연결부와 힌지 결합되는 고리가 형성된 후크형상의 홀딩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견인연결부 일측에는 스톱부가 형성되되, 상기 스톱부는 홀딩부에 전선이 안착될 경우 자중에 의해 홀딩부가 자연스럽게 회전되어 홀딩부의 상부 개방부가 폐쇄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프감김부 하부에는 로프가 로프감김부에 일정하게 감길 수 있도록 로프가이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는 LP애자의 높이에 따라 교체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LP애자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는 LP애자를 부분적으로 교체 시에도 간접활선 공법으로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LP애자의 교체를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수행함은 물론 간접활선 공법을 정착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승강 가능한 가완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선 승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권취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견인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발명의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발명의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발명의 전선 승강장치가 완철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간접활선 공법에 사용되는 가완목에 대한 실시예이고, 도 2 내지 6은 종래기술을 보완한 본 발명의 전선 승강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발명의 전선 승강장치가 완철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체하고자 하는 LP애자에 바인딩되거나 커버 등으로 고정된 전선을 상부로 이격한 후 불량 LP애자를 정상 LP애자로 교체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활선상태인 전선을 LP애자 상부로 이격한 상태로 유지하는 전선 승강장치 이다.
상기 전선 승강장치(100)는 전선을 LP애자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시키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에 형성된 완철 고정클램프(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에 형성된 전선 견인부(130)로 구성되며, 상기 전선 견인부(130)는 상기 몸체부(110) 상단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권취부(131)와 상기 권치부(131)에 권취되는 로프(132)와 상기 로프(132) 일단에 결합된 전선 견인구(1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선 승강장치(100)의 몸체부(110), 고정클램프(120), 견인부(1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몸체부(110)는 완철에 결합되는 고정클램프(120)와 전선을 들어 올리는 권치부(131) 간을 일정 높이로 이격시키는 수단으로서 단순하게는 수직바 구조로 이루어지고 수직바 상단에 견인부(130)를 형성하고 하단에 고정클램프(12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몸체부(110)을 단순 수직바 구조로 형성하면 몸체부(110)의 수직바(111)가 교체하고자하는 LP애자에 근접설치 되므로 작업공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LP애자 교체에 어려움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10)는 수직부(111)와 수직부(111)의 상단에서 완철길이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상단수평부(112)와 수직부(111)의 하단에서 전선 길이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하단수평부(113)로 형성하며, 상기 상단수평부(112) 말단에 전선 견인부(130)를 형성하고, 상기 하단수평부(113)의 말단 하부에 완철 고정클램프(1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부(110)의 수직부(111)는 교체하고자하는 LP애자에서 완철 길이 방향으로 상단수평부(112) 길이 만큼 이격되고 전선 길이 방향으로 하단수평부(113) 길이 만큼 이격 설치되므로 LP애자 교체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또한 Lp애자의 높이에 따라 몸체부(110)의 수직부(111)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 승강장치의 높이 및 중량을 최적화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즉, Lp애자의 높이에 따라 수직부(111)와 상단수평부(112) 또는 하단수평부(113) 간을 결합하는 볼트/너트(111b)를 이용하여 적정높이의 수직바(111)로 교체하여 조립함으로써 몸체부(110)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완철 고정클램프(120)는 몸체부(110) 하단에 설치되어 몸체부(110)를 완철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하방이 개방된 “n”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인 구조는 설치하고자하는 완철(200)의 상부면에 면접촉하는 상단부(121)와 완철(200)의 일측면에 면접촉하는 측면바(122)와 완철(200)의 타측면을 면접촉하며 단부에 슬릿형상의 개방홈(123h)이 형성된 체결측면바(123)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바(122) 단부에는 고정클램프(120)의 하방 개방부를 폐쇄할 체결바(124) 일단이 힌지(124a) 결합된다.
상기 체결바(124)의 하부에는 당김고리(124d)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바(124) 타단에는 숫나사산(124c)이 형성되고 숫나사산에는 내경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아이너트(124b)가 체결된다.
즉, 고정클램프(120)를 완철(200)에 설치시 고정클램프(120) 하방을 개방한 상태에서 완철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내리면서 고정클램프(120)를 완철에 외삽한 후 체결바(124)를 힌지(124a)를 기점으로 회전시켜 체결바(124)의 타단부가 체결측면바(123)의 슬릿형상의 개방홈(123h)를 통해 내삽한 상태에서 아이너트(124b)를 회전시켜 체결바(124)의 타단이 체결측면바(123)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반대로 완철에 설치된 고정클램프(120)를 해체시에는 체결바(124)의 타단에 조여진 아이너트(124b)를 풀은 후 핸드스틱으로 당김고리(124d)를 집고 아래로 당겨 고정클램프(120)의 하방을 개방한 후 전선 승강장치장치(100)을 완철(200)에서 해체한다.
상기 힌지(124a)에는 측면바(122)와 체결바(124)가 상대 회전시 일정 토크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측면바(122)와 체결바(124) 간에 탄성부(요철 와셔)를 개재할 수 있다(도면 미도시).이는 완철에 고정클램프(120)를 체결시 고정클램프(120)의 하방을 개방한 후 고정클램프(120)을 완철(200)에 외삽한 상태에서 체결바(124)를 힌지(124a)를 기준으로 회전시켜 폐쇄한 후 체결바(124) 타단의 아이너트(124b)를 조이는 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체결바(124)가 자유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측면바(122) 단부에는 슬릿형상의 개방홈(122h)이 형성되어 측면바(122)에 힌지(124a) 결합된 체결바(124)가 슬릿형상의 개방홈(122h) 통로를 통해 자연스럽게 회전함으로써 고정클램프(120) 하방을 원활하게 폐쇄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바(1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지창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고정클램프(120)에 내삽되는 완철의 밑면과 안정적으로 접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고정클램프(120)를 완철(2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고정클램프(120)와 완철(200) 간의 접촉을 안정적으로 하면서도 중량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클램프(120)의 상단바(121)와 상기 체결측면바(123)의 내측면에는 아세탈수지판(121a/123a)이 부착된다.
이는 아세탈수지판이 탄성이 있으면서도 미끄럼 마찰계수가 적으므로 완철에 고정클램프(120)을 용이하게 외삽가능하게 할 뿐아니라 완철에 외삽된 고정클램프(120)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체결측면바(123)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아세탈수지판(123a)는 하단부가 하향 경사진 경사부(123s)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클램프(120)를 완철에 외삽시 고정클램프(120)의 내접부가 하광상협 형상을 이룸으로써 완철에 쉽게 외삽하기 위함이다.
상기 전선 견인부(130)의 권취부(131)는 외부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웜기어(131d)와 웜기어(131d)에 맞물려 회전방향을 90° 변경하는 웜휠기어(131b)와 웜휠기어(131b)와 동일축인 권취축(131a)에 형성된 로프감김부(131c)로 이루어진다.
즉, 전선 승강장치(100)를 고정클램프(120)를 통해 완철에 설치한 후 몸체부(110)의 상단에 형성된 권취부(131)의 웜기어(131d)를 로터스틱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므로써 로프감김부(131c)에 권취된 로프(132)가 감기거나 풀린다.
바람직하기로는 웜기어(131d)의 외부로 노출되는 일단은 육각 볼트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외삽되는 로터스틱의 단부는 육각복스로 이루어져 로터스틱을 이용하여 웜기어(131d)를 회전시킨다.
상기 로프감김부(131c) 하부에는 로프가이드(131e)가 부가 형성된다.
상기 로프가이드(131e)는 권취축(131a)과 평행하게 구비된 로프가이드축에 롤러형태로 외삽되어 로프가이드(131e)가 로프가이드축에 자유회전한다.
이는 로프감김부(131c)에 권취되는 로프(132)가 뒤틀리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로프(132)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납작한 띠모양의 로프(132)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동일 인장강도의 로프(132)를 로프감김부(131c)에 많이(길게) 권취하기 위함이다.
상기 권취부(131)의 상부에는 전선 승강장치(100)를 완철로 견인할 때 사용되는 인상고리가(131f)가 형성된다.
상기 인상고리(131f)는 전선 승강장치(100)의 무게 중심에 형성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프(132)의 일단에 결합되어 전선을 홀딩하여 견인하는 상기 견인구(133)는 로프(132)의 일단에 결합되는 견인연결부(133d)와 견인연결부(133d)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형상의 홀딩부(133a)로 형성된다.
상기 홀딩부(133a)는 견인연결부(133d)와 상대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홀딩부(133a) 하부 일측에 고리(133c)가 형성되고, 견인연결부(133d) 일측에는 스톱부(133b)가 형성된다.
상기 고리(133c)는 전선 승강장치(100)을 완철에 설치한 상태에서 핫스틱의 후크를 고리(133c)에 걸어 전선이 홀딩부(133a)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스톱부(133b)는 견인연결부(133d) 일측에 설치되되, 홀딩부(133a)에 전선이 안착될 경우 자중에 의해 홀딩부(133a)가 자연스럽게 회전되어 홀딩부(133a)의 상부 개방부가 스톱부(133b)에 의해 폐쇄되는 위치에 고정 결합된다.
즉, 상기 스톱부(133b)는 홀딩부(133a)의 안착된 전선을 상부로 견인하는 과정에서 전선이 상부 개방부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선승강기(100)은 절연재료로 FRP를 사용하여 절연성능을 높이고, 금속사용 부위는 절연코팅으로 안전성을 확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간접활선공법에 사용되는 LP애자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 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 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 전선 승강장치 110 : 몸체부
111 : 수직부 111b: 볼트/너트
112 : 상단수평부 113 : 하단수평부
120 : 고정클램프 121 : 상단바
121a: 아세틸수지판 122 : 측면바
122h: 개방홈 123 : 체결측면바
123a: 아세틸수지판 123h: 개방홈
123s : 경사부 124 : 체결바
124a: 힌지 124b: 아이너트
124c: 숫나사산 124d: 당김고리
130 : 견인부 131 : 권취부
131a: 권취축 131b: 웜휠기어
131c: 로프감김부 131d: 웜기어
131e: 로프가이드 131f: 인상고리
132 : 로프 133 : 견인구
133a: 홀딩부 133b: 스톱부
133c: 고리 133d: 견인연결부
200 : 완철

Claims (12)

  1. 전선 승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전선 승강장치(100)는,
    전선을 LP애자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시키는 수직바 형상의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에 형성된 완철 고정클램프(120)와
    몸체부(110)의 상단에 형성된 전선 견인부(130)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110)는,
    수직부(111)와 수직부(111)의 상단에 절곡 연장된 상단수평부(112)와 수직부(111)의 하단에 절곡 연장된 하단수평부(113)로 형성되고,
    상기 전선 견인부(130)는 상기 몸체부(110) 상단에 구비된 권취부(131)와 상기 권취부(131)에 권취되는 로프(132)와 상기 로프(132) 일단에 결합된 전선 견인구(1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철 고정클램프(120)는,
    하방이 개방된“n”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완철(200)의 상부면에 면접촉하는 상단바(121)와, 완철(200)의 일측면에 면접촉하며 단부에 슬릿형상의 개방홈(122h)이 형성된 측면바(122)와, 완철(200)의 타측면을 면접촉하며 단부에 슬릿형상의 개방홈(123h)이 형성된 체결측면바(123)와, 일단은 상기 측면바(122)에 힌지(124a) 결합되어 측면바(122)와 체결측면바(123)의 슬릿형상의 개방홈 (122h/123h)에 내삽 되면서 타단은 상기 체결측면바(123)에 아이너트(124b)로 걸림체결되는 체결바(124)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바(122)와 체결바(124)를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124a)에는 마찰력에 의해 일정 토크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탄성부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5.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바(121)와 상기 체결측면바(123)의 내측면에는 아세탈수지판(121a/123a)이 부착되되 체결측면바(123)의 내측면에 부착된 아세탈수지판(123a)은 하단부가 경사부(123s)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6.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124)는, 삼지창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7.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131)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웜기어(131d)와 웜기어(131d)에 맞물려 회전하는 웜휠기어(131b)와 웜휠기어(131b)와 동일축상에 형성된 로프감김부(131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8.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131) 상부에는 인상고리(131f)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9.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견인구(133)는,
    로프(132)와 결합되는 견인연결부(133d)와 상기 견인연결부(133d)와 힌지 결합되는 고리(133c)가 형성된 후크형상의 홀딩부(133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10.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연결부(133d) 일측에는 스톱부(133b)가 형성되되, 상기 스톱부(133b)는 홀딩부(133a)에 전선이 안착될 경우 자중에 의해 홀딩부(133a)가 자연스럽게 회전되어 홀딩부(133a)의 상부 개방부가 폐쇄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11.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감김부(131c) 하부에는 로프(132)가 로프감김부(131c)에 일정하게 감길 수 있도록 로프가이드(131e)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1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111)는 LP애자의 높이에 따라 교체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KR1020220000805A 2022-01-04 2022-01-04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KR102412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805A KR102412948B1 (ko) 2022-01-04 2022-01-04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805A KR102412948B1 (ko) 2022-01-04 2022-01-04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948B1 true KR102412948B1 (ko) 2022-06-24

Family

ID=8221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805A KR102412948B1 (ko) 2022-01-04 2022-01-04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9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289B1 (ko) 2012-04-27 2013-12-23 임용호 승강구동장치를 이용한 배전활선 장주 교체공법
KR101873712B1 (ko) * 2018-03-16 2018-07-03 대원전기 주식회사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KR102327599B1 (ko) * 2021-03-17 2021-11-17 대원전기 주식회사 트랩형 활선 단말 절연캡 및 이를 이용한 점퍼선의 간접활선 절연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289B1 (ko) 2012-04-27 2013-12-23 임용호 승강구동장치를 이용한 배전활선 장주 교체공법
KR101873712B1 (ko) * 2018-03-16 2018-07-03 대원전기 주식회사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KR102327599B1 (ko) * 2021-03-17 2021-11-17 대원전기 주식회사 트랩형 활선 단말 절연캡 및 이를 이용한 점퍼선의 간접활선 절연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90669U (zh) 架空避雷线防振锤复位器
WO2012088987A1 (zh) 用于直流输电线路绝缘子的检修工具
CN212695606U (zh) 一种更换直线杆边相针式绝缘子的专用抱杆
KR102412949B1 (ko) Lp애자 간접활선 교체공법
CN107425475B (zh) 一种架空地线提线器及其提升就位方法
KR102412948B1 (ko) Lp애자 간접활선 교체용 전선 승강장치
CN106229889A (zh) 一种输电线路架空线提线器
EP2358995A2 (de) Vorrichtung zum montieren und demontieren eines rotorblatts einer windernergieanlage
JP7151236B2 (ja) ブレード取り付け装置
CN106786138A (zh) 高压输电杆塔架空避雷线旋转臂升降装置
CN107317291B (zh) 一种输电塔和绝缘子的防护装置
CN104836156A (zh) 合成绝缘子简易爬梯
CN217555571U (zh) 一种用于电杆上起吊材料的多功能起重装置
CN102163824B (zh) 带电更换t型挂点悬垂绝缘子作业工具及其作业方法
CN114242355B (zh) 一种用于应急止舞的自动连接绝缘子及其使用方法
CN104037658A (zh) 悬垂玻璃绝缘子串提升系统
CN201339405Y (zh) 一种防下落安全保护装置
CN201171147Y (zh) 超高层电缆垂直吊装夹具
CN211078234U (zh) 一种电缆盖板安全提升装置
KR101327759B1 (ko) 현수교의 케이블설치용 인양장치 및 그것의 설치구조
CN110429509B (zh) 一种高强度纤维绳收放装置
CN107845978A (zh) 一种特高压输电线高空紧挂线架线方法
JP6005203B1 (ja) ケーブル吊りベルト
CN207368571U (zh) 一种架空地线线夹打开专用工器具
CN107293998B (zh) 一种输电线路带电作业机器人上下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