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100B1 -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100B1
KR101997100B1 KR1020190024182A KR20190024182A KR101997100B1 KR 101997100 B1 KR101997100 B1 KR 101997100B1 KR 1020190024182 A KR1020190024182 A KR 1020190024182A KR 20190024182 A KR20190024182 A KR 20190024182A KR 101997100 B1 KR101997100 B1 KR 101997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adjusting
weight
wire
tension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충희
Original Assignee
유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충희 filed Critical 유충희
Priority to KR102019002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6Compensation means for variation i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게추의 무게를 이용하여 전차선의 장력을 조절함과 더불어 전차선의 배선을 위한 도르래의 위치 변경을 통해 전차선의 장력을 조절하여 장력 조절 효과를 향상하고 도르래 등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는, 전차선(1)과 조가선(2)이 결합된 요크(3)에 연결되는 장력조절 와이어(10)와;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며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르래(20)와; 지주의 둘레부에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32)과; 하나 이상의 무게추(30)가 수납되며 상기 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전차선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시키는 무게추 하우징(31)과; 상기 무게추 하우징의 승강과 연동하여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가 감긴 상기 도르래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를 승강시켜 상기 전차선의 장력 조절을 돕는 보조 장력조절수단(100)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장력조절수단은, 지주의 둘레부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중앙부가 상기 지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단부에 상기 도르래가 설치되는 회동바(110), 상기 무게추 하우징에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래크(120), 상기 지주의 둘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130), 상기 피니언이 결합되는 권취드럼(140), 일측이 상기 회동바에 연결되는 한편 타측이 상기 권취드럼에 연결되는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1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Tension Adjusting Apparatus of Electric Car Line}
본 발명은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추의 무게 및 도르래의 위치 변경을 통해 전차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산업 고도화에 따라 물류량 증가와 도시 인구 집중에 따른 교통난 심화로 교통문제 해결이 심각하게 부각되고 있고, 자동차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육로 교통은 이제 한계 상황에 이르렀으며 공해, 소음 등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도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가운데 환경 친화적이고 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안전성(安全性)과 신속성(迅速性), 편의성(便宜性) 등 대중 교통수단으로서 여러 가지 이점을 갖고 있는 전기 철도는 교통문제 해결의 최선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전기 철도는 전차선로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주행하며, 상기 전차선로는 공중 가선(Overhead Lines) 방식으로 시설물을 설치하게 된다.
전차선로(Catenary System)는 현수 지지(Carriage Cable) 역할을 수행하는 조가선(Messenger Wire)이 제일 상부에 설치되고, 차량의 팬터그래프(Pantograph)와 접촉하여 전기철도 차량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Contact Wire)이 제일 하부에 설치된다.
한편, 전차선은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뿐만 아니라 도선 마모 등으로 인한 탄성 선재의 신장과 장기간 사용에 의한 버팀대의 기울어짐 등으로 인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차선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전차선 장력조정장치에는 자동식과 수동식이 있다. 수동식 전차선 장력조정장치는 작업자가 일일이 전차선의 장력을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온도변화와 같은 주위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장력을 조정하는 자동식 전차선 장력조정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전차선 장력조절기술로서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192217호)은 지주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대활차; 상기 대활차와 함께 회전되도록 대활차의 양측에 돌출고정되는 소활차; 상기 소활차에 감기면서 상기 대활차에 걸린 상태로 전기선로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 및 상기 고정와이어가 적층이 방지되면서 근접되는 상태로 소활차의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유도하는 와이어유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대활차는 상기 고정와이어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대활차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고정되어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고정와이어의 외주면의 마모를 방지하는 마모방지부재로 구성된다.
특허문헌 등의 종래 전차선 장력 조절 기술은 무게추의 무게만을 이용하여 전차선을 당겨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게추의 중량을 과도하게 무겁게 해야 하고 무게추의 이동 경로도 길게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장력조절 와이어의 배선을 위한 도르래에 큰 하중이 전가되어 도르래의 처짐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등록특허 제10-119221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게추의 무게를 이용하여 전차선의 장력을 조절함과 더불어 전차선의 배선을 위한 도르래의 위치 변경을 통해 전차선의 장력을 조절하여 장력 조절 효과를 향상하고 도르래 등을 보호하는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는, 전차선과 조가선이 결합된 요크에 연결되는 장력조절 와이어와;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며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르래와; 지주의 둘레부에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과; 하나 이상의 무게추가 수납되며 상기 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전차선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시키는 무게추 하우징과; 상기 무게추 하우징의 승강과 연동하여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가 감긴 상기 도르래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를 승강시켜 상기 전차선의 장력 조절을 돕는 보조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는, 전차선과 조가선이 결합된 요크에 연결되는 장력조절 와이어와;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며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르래와; 상기 지주의 둘레부에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과; 하나 이상의 무게추가 수납되며 상기 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전차선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시키는 무게추 하우징과; 상기 무게추 하우징의 승강 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무게추 하우징의 하강을 감지하는 무게추 위치센서와; 상기 무게추 위치센서의 감지 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무게추 하우징이 일정 위치까지 하강하면 상기 도르래의 높이를 높여줌으로써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를 상승시켜 상기 전차선의 장력 조절을 돕는 보조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에 의하면, 무게추의 무게를 이용하여 전차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기존 방식을 유지하면서 간단한 구성의 추가로 도르래의 위치를 변경하여 전차선의 장력 조절에 도움을 줌으로써 무게추의 중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중량추의 이동 경로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공성을 향상함은 물론 전차선의 장력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므로 장력 조절 장치로서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실시예 1의 경우 무게추의 하강과 연동하여 도르래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무동력에 의한 저렴한 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고, 실시예 2의 경우 도르래의 위치 변경 시점을 자유롭게 세팅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에 적용된 권취드럼과 피니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에 적용된 권취드럼의 높이조절 브래킷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의 작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에 적용된 회동바 위치센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의 작용 상태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는 무게추의 무게를 이용하여 전차선의 장력을 조절함과 더불어 장력조절 와이어가 감기는 도르래의 위치를 변경 즉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차선 장력 조절을 돕는 것으로 무게추의 하강과 연동하여 도르래를 이동시키는 방식(실시예 1), 무게추의 위치를 감지하여 도르래를 이동시키는 방식(실시예 2)이 있다.
<실시예 1>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는, 전차선(1)과 연결되는 장력조절 와이어(10), 장력조절 와이어(10)가 감겨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도르래(20), 도르래(20)를 통해 방향 전환된 장력조절 와이어(10)의 단부가 연결되며 자중을 이용하여 장력조절 와이어(10)를 당겨 전차선(1)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하는 무게추(30)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여기에 보조 장력조절수단(100)이 추가로 적용된다.
전차선(1)은 조가선(2)과 함께 배선되고 요크(3)를 장력조절 와이어(10)와 연결된다.
장력조절 와이어(10)는 일측이 요크(3)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무게추(30)에 연결되어 무게추(30)의 자중에 의한 하강으로 전차선(1)을 당겨 전차선(1)의 장력을 팽팽하게 조절한다.
도르래(20)는 장력조절 와이어(10)의 배선을 안내하며 보조 장력조절수단의 회동바(40)를 통해 설치되며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무게추(30)는 중량물로서 무게추 하우징(31)을 통해 1개 이상이 사용된다. 즉, 무게추 하우징(31)은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구조이고 상기 공간은 덮개를 통해 밀폐될 수 있다.
무게추(30)는 예를 들어 육면체의 블록 형태이며 무게추 하우징(31)의 공간에 수납되며, 따라서, 전차선(1)의 길이 등에 관계없이 전차선(1)의 장력조절을 위한 수량의 무게추(30)를 사용함으로써 전차선(1)의 효율적인 장력조절이 가능하다.
장력조절 와이어(10)는 무게추(30) 또는 무게추 하우징(31)에 연결된다.
무게추 하우징(31)의 안정적인 승강을 위하여 레일(32)이 구성된다.
레일(32)은 예를 들어 무게추 하우징(31)의 서로 대향되는 양쪽에 지지되어 무게추 하우징(31)의 승강을 안내하고, 무게추 하우징(31)과 요철 구조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레일(32)은 무게추 하우징(31)의 승강 방향을 따라 길게 돌기가 형성되고 무게추 하우징(31)의 둘레면에는 상기 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다.
레일(32)은 지주(4) 또는 지면에 고정장치를 통해 고정된다.
보조 장력조절수단(100)은 도르래(20)를 전차선(1)의 장력 조절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동바(110), 무게추 하우징(31)에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래크(120), 지주(4)에 설치되며 래크(120)에 치합되는 피니언(130), 피니언(130)과 함께 구성되는 권취드럼(140), 회동바(110)와 권취드럼(140)에 연결되는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150)로 구성된다.
회동바(110)는 지주(4)의 둘레부로서 도르래(20)가 설치되는 위치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면서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 사이 예를 들어 중앙부가 지주(4)에 고정되는 브래킷(111)을 통해 힌지(112) 연결되고 힌지(112)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도면 기준 우측)에는 도르래(20)가 자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에는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150)가 연결된다. 즉, 회동바(110)는 힌지(112)의 안내를 받아 양측이 시소 운동하는 구조이다.
래크(120)는 무게추 하우징(31)의 일측에 상하 종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구성되고, 무게추 하우징(31)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 별도로 구성되어 무게추 하우징(31)에 고정되는 것 모두가 가능하다.
피니언(130)은 지주(4)에 브래킷(131)을 통해 고정되며 래크(120)에 치합된다.
권취드럼(140)은 피니언(13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되어 피니언(130)의 회전에 의해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에 의해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150)를 감거나 풀도록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150)가 연결된다.
피니언(130)과 권취드럼(140)은 나란하게 즉, 권취드??(140)의 일측에 피니언(130)이 동축으로 연결되는 형태이고, 권취드럼(140)은 둘레부에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150)가 삽입되는 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구성될 수 있다.
피니언(130){또는 권취드럼(140)}에는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150)가 연결되는 구멍 등이 구성되는데, 이 때,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15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다수의 위치 조절공(132)(도 2 참고)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회동바(110)의 위치(초기 설치 위치)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차선(1)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권취드럼(140)의 높이 변경을 통해 초기 설치 시 전차선(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권취드럼(140)은 높이조절 브래킷(141)을 매개로 하여 설치된다.
높이조절 브래킷(141)은 다단의 높이조절공(142)이 구비되고, 권취드럼(140)은 높이조절 브래킷(141)의 높이조절공(142) 중에서 어느 하나에 체결구(볼트와 너트 등)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 조절공(132)과 높이조절 브래킷(141)은 각각 적용되는 것, 2개가 함께 적용되는 것 모두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위치 조절공(132)과 높이조절 브래킷(141)을 통해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15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회동바(110)를 회동시켜 설치 초기 시에도 전차선(1)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150)는 유연성은 있지만 길이가 변하지 않는 재질과 구조로서, 와이어, 체인 등이 가능하고,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회동바(110)의 타측 단부와 권취드럼(140){또는 피니언(130)}에 연결되어 권취드럼(140)의 회전에 의해 하강 또는 상승하고, 하강 시 회동바(110)를 회동시켜 전차선(1)의 장력을 팽팽하게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초기 설치 상태이며, 전차선(1)의 장력이 조절된 상태이다. 여기서, 전차선(1)의 장력은 무게추(30)의 중량, 보조 장력조절수단(100)에 의해 조절된다.
온도 변화 등으로 인하여 전차선(1)이 느슨해지는 경우,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무게추(30)의 중량에 의해 무게추(30)가 무게추 하우징(31)과 함께 레일(32)을 따라 하강하고, 따라서, 장력조절 와이어(10)가 무게추(30)의 하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차선(1)을 당기게 되어 전차선(1)의 장력이 팽팽하게 조절된다.
이와 동시에, 무게추 하우징(31)에 형성된 래크(120)가 하강하고, 하강 운동은 래크(120)에 치합된 피니언(130)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되어 권취드럼(140)이 회전(도면 기준 시계방향)하게 된다.
권취드럼(140)의 회전 시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15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거나 권취드럼(140)에 감기게 되고, 회동바(110)가 힌지(112)의 안내를 받아 도면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은 회동바(110)의 회동으로 도르래(20)가 상승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차선(1)의 장력을 팽팽하게 조절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게추(30)의 중량을 이용하여 전차선(1)의 장력을 조절함과 아울러 도르래(20)의 위치 변경을 통해 전차선(1)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기존 무게추만을 이용하는 방식에 비해 장력 조절 효과가 우수하고 도르래(20)에 전가되는 전차선(1)의 하중으로 인한 도르래(20)의 손상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회동바(110)가 과도하게 회동하는 것을 막아 전차선(1)의 과도한 처짐으로 인한 사고를 막고 장력조절장치의 보수와 교체를 위한 비용도 절감하기 위하여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회동바(110)의 회동 각도를 감지하는 회동바 위치센서(113)가 구성될 수 있다.
회동바 위치센서(113)는 회동바(110)의 회동 경로, 바람직하게 브래킷(111)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이다.
회동바 위치센서(113)와 함께 알람이 구성된다.
상기 알람은 회동바 위치센서(113)가 회동바(110)를 감지할 때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이며, 전차선(1)의 설치 현장과 원거리의 통제실에 갖추어진다.
<실시예 2>
도 6과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는, 전차선(1)과 연결되는 장력조절 와이어(10), 장력조절 와이어(10)가 감겨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도르래(20), 도르래(20)를 통해 방향 전환된 장력조절 와이어(10)의 단부가 연결되며 자중을 이용하여 장력조절 와이어(10)를 당겨 전차선(1)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하는 무게추(30){무게추 하우징(31)과 레일(32) 포함}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실시예 1이 무게추(30)의 하강과 연동하여 회동바(110)가 회동하는 것인데 반해, 본 실시예는 무게추(30)의 위치를 감지하고 회동바(110)를 별도의 구동원인 모터에 의해 회동시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보조 장력조절수단(100)은 회동바(110), 무게추(30)의 승강 경로에 설치되는 무게추 위치센서(160), 모터(170), 모터(17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드럼(180), 회동바(110)와 권취드럼(180)에 연결되며 권취드럼(180)에 감기면서 회동바(110)를 회동시키는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190)로 구성된다.
회동바(110)는 실시예 1의 회동바(11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무게추 위치센서(160)는 예를 들어 레일(32)에 설치되며 무게추(30)가 통과할 때 접점이 변하는 광센서 등이 가능하다. 무게추 위치센서(160)의 위치는 무게추(30)가 과도하게 하강한 위치일 수 있으며, 이 때, 도르래(20)를 상승시켜 전차선(1)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무게추(30)가 더 이상 하강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전차선(1)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다.
모터(170)는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온/오프되고, 무게추 위치센서(160)가 무게추(30)를 감지하지 않을 때 오프되고 무게추 위치센서(160)가 무게추(30)를 감지할 때 온된다.
권취드럼(180)은 모터(170)의 구동축에 축 결합되어 모터(17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고 이 회전을 통해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190)를 감거나 반대로 풀게 된다.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190)는 권취드럼(180)에 감기면서 회동바(110)를 당겨 회전시킴으로써 도르래(20)를 상승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게추 위치센서(160)에 의한 무게추(30)의 감지가 없는 상태에서는 무게추(30)의 중량에 의해 장력조절 와이어(10)를 당겨 전차선(1)의 장력을 조절한다.
한편, 무게추(30)가 하강하다가 무게추 위치센서(160)가 무게추(30)를 감지하면 컨트롤러는 모터(170)에 전원을 인가하고, 모터(170)의 구동에 의해 권취드럼(180)이 회전하면서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190)를 감아 회동바(110)의 일측을 하측으로 당기게 되고, 회동바(110)의 회동에 의해 도르래(20)가 상승하면서 장력조절 와이어(10)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190)에 의해 이동된 도르래(20)는 그 위치가 유지된다.
한편, 무게추 위치센서(160)는 무게추(30)의 상승과 하강을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무게추 위치센서(160)는 무게추(30)의 승강 경로를 따라 상하로 배열되는 제1,2무게추 위치센서로 이루어진다.
컨트롤러는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제1무게추 위치센서 - 제2무게추 위치센서의 순서로 무게추 감지신호가 발생한 경우 무게추(30)의 하강으로 판단하여 모터(170)를 정방향{장력조절 와이어(10)가 팽팽해지는 방향}으로 구동 제어함으로써 도르래(20)가 상승하도록 하고, 반대로,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제2무게추 위치센서 - 제1무게추 위치센서의 순서로 무게추의 감지신호가 발생한 경우 무게추(30)의 상승으로 판단하여 모터(170)를 역방향으로 구동 제어함으로써 도르래(20)가 하강하도록 한다.
1 : 전차선, 2 : 조가선
3 : 요크, 4 : 지주
10 : 장력조절 와이어, 20 : 도르래
30 : 무게추, 31 : 무게추 하우징
32 : 레일, 100 : 보조 장력조절수단
110 : 회동바, 111 : 브래킷
112 : 힌지, 113 : 회동바 위치센서
120 : 래크, 130 : 피니언
140,180 : 권취드럼, 150,190 :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
160 : 무게추 위치센서, 170 : 모터

Claims (8)

  1. 전차선(1)과 조가선(2)이 결합된 요크(3)에 연결되는 장력조절 와이어(10)와;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며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르래(20)와;
    지주의 둘레부에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32)과;
    하나 이상의 무게추(30)가 수납되며 상기 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전차선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시키는 무게추 하우징(31)과;
    상기 무게추 하우징의 승강과 연동하여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가 감긴 상기 도르래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를 승강시켜 상기 전차선의 장력 조절을 돕는 보조 장력조절수단(100)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장력조절수단은, 지주의 둘레부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중앙부가 상기 지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단부에 상기 도르래가 설치되는 회동바(110), 상기 무게추 하우징에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래크(120), 상기 지주의 둘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130), 상기 피니언이 결합되는 권취드럼(140), 일측이 상기 회동바에 연결되는 한편 타측이 상기 권취드럼에 연결되는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150)를 포함하며, 상기 무게추 하우징의 하강 시 상기 권취드럼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를 감아 상기 회동바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도르래를 상승시켜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2. 전차선(1)과 조가선(2)이 결합된 요크(3)에 연결되는 장력조절 와이어(10)와;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며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르래(20)와;
    지주의 둘레부에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32)과;
    하나 이상의 무게추(30)가 수납되며 상기 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전차선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시키는 무게추 하우징(31)과;
    상기 무게추 하우징의 승강 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무게추 하우징의 하강을 감지하는 무게추 위치센서(160)와;
    상기 무게추 위치센서의 감지 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무게추 하우징이 일정 위치까지 하강하면 상기 도르래의 높이를 높여줌으로써 상기 장력조절 와이어를 상승시켜 상기 전차선의 장력 조절을 돕는 보조 장력조절수단(100)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장력조절수단은 지주의 둘레부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중앙부가 상기 지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단부에 상기 도르래가 설치되는 회동바, 상기 무게추 위치센서의 감지 값을 근거로 하는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드럼, 일측이 상기 회동바에 연결되는 한편 타측이 상기 권취드럼에 연결되는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무게추 위치센서를 통해 상기 무게추 하우징이 일정 높이로 하강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권취드럼이 회전하면서 상기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를 감아 상기 회동바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권취드럼은 상기 보조 장력조절 와이어가 연결되는 다수의 위치 조절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서로 다른 높이의 다단의 높이조절공이 구비된 높이조절 브래킷을 포함하여 상기 권취드럼은 상기 높이조절공을 통해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의 위치를 감지하는 회동바 위치센서, 상기 회동바 위치센서에 의해 상기 회동바가 감지되면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 위치센서는 상기 무게추의 승강 경로를 따라 상하로 배치되는 제1,2무게추 위치센서로 이루어지고, 컨트롤러는 상기 제1,2무게추 위치센서의 감지 순서를 근거로 하여 상기 무게추의 상승과 하강을 판단하여 상기 모터를 양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KR1020190024182A 2019-02-28 2019-02-28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KR101997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182A KR101997100B1 (ko) 2019-02-28 2019-02-28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182A KR101997100B1 (ko) 2019-02-28 2019-02-28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100B1 true KR101997100B1 (ko) 2019-07-05

Family

ID=6722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182A KR101997100B1 (ko) 2019-02-28 2019-02-28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1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5778A (zh) * 2020-07-05 2020-10-16 兰州新伟车辆装备有限公司 恒张力移动接触网驱动力转动装置及其操作方法
CN111775777A (zh) * 2020-07-05 2020-10-16 兰州新伟车辆装备有限公司 恒张力移动接触网及其操作控制方法
RU2779403C1 (ru) * 2022-03-16 2022-09-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О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путей сообщения" Компенсатор контактной подвески
KR20230081234A (ko) 2021-11-30 2023-06-07 한국전력공사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8823A (ja) * 2007-01-12 2008-07-24 Sanwa Tekki Corp 架空線のテンションバランサ
KR100853100B1 (ko) * 2008-04-29 2008-08-19 하나솔루션(주) 전차선 및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192217B1 (ko) 2012-04-16 2012-10-17 (주)신우디엔시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차선 장력조절장치
KR20150078151A (ko) * 2013-12-30 2015-07-08 (주) 동원전력개발 전차선 장력조정장치 및 방법
JP2016153284A (ja) * 2015-02-20 2016-08-25 三和テッキ株式会社 電車線のテンションバランサ
KR20170005297A (ko) * 2015-07-02 2017-01-12 한국철도공사 전차선 자동장력조정장치 장력추 상하부 위치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8823A (ja) * 2007-01-12 2008-07-24 Sanwa Tekki Corp 架空線のテンションバランサ
KR100853100B1 (ko) * 2008-04-29 2008-08-19 하나솔루션(주) 전차선 및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192217B1 (ko) 2012-04-16 2012-10-17 (주)신우디엔시 전기선로 고정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차선 장력조절장치
KR20150078151A (ko) * 2013-12-30 2015-07-08 (주) 동원전력개발 전차선 장력조정장치 및 방법
JP2016153284A (ja) * 2015-02-20 2016-08-25 三和テッキ株式会社 電車線のテンションバランサ
KR20170005297A (ko) * 2015-07-02 2017-01-12 한국철도공사 전차선 자동장력조정장치 장력추 상하부 위치감지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7461B1 (ko) 2019-10-10 2024-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송 로봇용 백래쉬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송 로봇의 백래쉬 조절 방법
CN111775778A (zh) * 2020-07-05 2020-10-16 兰州新伟车辆装备有限公司 恒张力移动接触网驱动力转动装置及其操作方法
CN111775777A (zh) * 2020-07-05 2020-10-16 兰州新伟车辆装备有限公司 恒张力移动接触网及其操作控制方法
CN111775778B (zh) * 2020-07-05 2024-03-22 兰州新伟车辆装备有限公司 恒张力移动接触网驱动力转动装置及其操作方法
CN111775777B (zh) * 2020-07-05 2024-03-22 兰州新伟车辆装备有限公司 恒张力移动接触网及其操作控制方法
KR20230081234A (ko) 2021-11-30 2023-06-07 한국전력공사 조가선 장력 상태 표시 장치
RU2779403C1 (ru) * 2022-03-16 2022-09-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О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путей сообщения" Компенсатор контактной подвески
RU2804160C1 (ru) * 2023-04-24 2023-09-2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О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путей сообщения" Управляемый компенсатор анкерного участка контактной подвеск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100B1 (ko)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NL1026458C2 (nl) Hijskraan en offshorevaartuig.
KR100825670B1 (ko) 무대시설용 안전장치
JP4842112B2 (ja) エレベーターの調速機ロープ振れ止め装置
CA2419856C (en) Lifting platform for vehicles
US4067446A (en) Cable stay crane
KR101755004B1 (ko) 자율 주행형 랩핑장치
KR102133307B1 (ko)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US5947232A (en) Swing arm to prevent sway of elevator ropes
US5489033A (en) Low headroom stacker crane
JPWO2006038299A1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張力調整装置
KR20060126721A (ko)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
SE470403B (sv) Lyftanordning för kontrollerad förflyttning i vertikalled av föremål, såsom ljuskronor
KR20010086076A (ko) 트랙에 연결된 전기로 작동되는 고속 차량과 콘택 와이어사이의 집전 장치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3656720B1 (en) Elevator car apron
CN118215598A (zh) 用于充电站的定位单元和建立接触的方法
KR20140000050U (ko)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
CN2484294Y (zh) 筒仓升降吊篮
JPH06210217A (ja) 壁面移動装置
JP4973945B2 (ja) 昇降装置
JPH0859106A (ja) エレベータの着床誤差修正装置
CN219009026U (zh) 一种料罐小车运行报警系统
KR102223449B1 (ko) 각도 변환 경사형 로프웨이 장치
JP2000186437A (ja) 昇降装置の索状体の検知装置
JP2003128380A (ja) ホイス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