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721A -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 - Google Patents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26721A KR20060126721A KR1020067014337A KR20067014337A KR20060126721A KR 20060126721 A KR20060126721 A KR 20060126721A KR 1020067014337 A KR1020067014337 A KR 1020067014337A KR 20067014337 A KR20067014337 A KR 20067014337A KR 20060126721 A KR20060126721 A KR 200601267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issors
- traction
- scissor
- traction mechanism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High-Pressure Fuel Injection Pump Control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행하게 이격되고 베이스 유닛(20)과 상하로 움직이는 지지 유닛(10) 사이에 배치된 2개의 가위를 포함하는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위들은 가위 축(9)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선회 가능한 가위 다리(1, 2)를 갖는다. 상기 플랫폼은 또한 하나 이상의 스페이싱 유닛(4)을 가진 엘리베이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싱 유닛은 지지 유닛의 승강을 위해 가위 다리들(1, 2) 사이로 왕복 운동할 수 있고, 모터 구동식 와인딩 롤러(8.1) 상에 감겨질 수 있는 견인 메커니즘(5)을 통해 와인딩 롤러(8.1)에 결합되고, 상기 견인 메커니즘은 평행하게 서로 이격된 2개 이상의 편평한 견인 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견인 벨트의 폭은 지지 유닛(10)이 상승 될 때 벨트가 상기 와인딩 롤러에 중첩되도록 선택된다. 구동 모터(8.2)에 의해 발생된 구동 토크, 견인 메커니즘(5) 내에 작용하는 인장력 및/또는 상승 운동의 속도 진행에 영향을 주기 위해 상기 스페이싱 유닛(4)과 협동하는 캠 스페이서(3)가 피봇 핀(9)과 관련해서 스페이싱 유닛(4)을 향해 있는 양측 가위의 하나 이상의 가위 다리 부분에 배치된다. 확실한 작동 상태를 보장하기 위해, 스페이싱 유닛(4)은 견인 메커니즘(5)에 느슨하게 결합 되고, 와인딩 롤러(8.1)로부터 먼, 견인 메커니즘(5)의 단부는 견인수단 지지부(7)에 의해 스페이싱 유닛(4)의 외부에서 엘리베이팅 플랫폼에 또는 별도의 지지 장치에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8.2)의 제어, 및 와인딩 롤러(8.1)에서 이동 경로에 따라 변하는 견인 벨트의 와인딩 반경을 포함하는 캠 스페이서의 아우트라인 은,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8.2)의 제어 또는 조절에 의해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8.2)의 미리 주어진 토크 진행 및 견인 메커니즘(5)의 미리 주어진 인장력 진행이 이동 경로를 따라 재현되도록, 서로 매칭된다.
엘리베이팅 플랫폼, 지지 유닛, 베이스 유닛, 가위, 스페이싱 유닛, 엘리베이팅 장치, 견인 메커니즘, 와인딩 롤러.
Description
본 발명은 평행하게 이격되고 베이스 유닛과 상하로 움직이는 지지 유닛 사이에 배치된 2개의 가위를 포함하는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위들은 가위 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선회 가능한 2개의 가위 다리를 갖는다. 상기 플랫폼은 또한 하나 이상의 스페이싱 유닛을 가진 엘리베이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싱 유닛은 지지 유닛의 승강을 위해 가위 다리들 사이로 왕복 운동할 수 있고, 모터 구동식 와인딩 롤러 상에 감겨 질 수 있는 견인 메커니즘을 통해 와인딩 롤러에 결합 되고, 상기 견인 메커니즘은 평행하게 서로 이격된 2개 이상의 편평한 견인 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견인 벨트의 폭은 지지 유닛이 상승될 때 벨트가 상기 와인딩 롤러에 중첩되도록 선택된다. 구동 모터에 의해 발생된 구동 토크, 견인 메커니즘 내에 작용하는 인장력 및/또는 상승 운동의 속도 진행에 영향을 주기 위해 상기 스페이싱 유닛과 협동하는 캠 스페이서가 피봇 핀과 관련해서 스페이싱 유닛을 향해 있는, 양측 가위의 하나 이상의 가위 다리 부분에 배치된다.
이러한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은 독일 특허 공개 제100 01 910 A 1호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은 베이스 유닛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수용될 부하용 지지 장치 사이에는 2개의 평행하게 이격된 가위를 포함하는 가위 장치가 배치된다. 각각의 가위의 가위 다리들은, 각각의 가위의 2개의 가위 다리 사이에서 엘리베이팅 캐리지가 견인 수단 및 그것에 연결된 구동부에 의해 지지 장치의 상승을 위해 가위 축을 향해 당겨짐으로써 엘리베이팅 장치에 의해 스페이싱 된다. 각각의 가위 다리들 사이에는 엘리베이팅 캠이 배치되며, 상기 캠 상에서 상기 엘리베이팅 캐리지가 롤링함으로써, 엘리베이팅 캠의 윤곽에 의해 상승 운동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공지된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의 경우, 평형 벨트 형태의 다수의 벨트형 견인 수단을 가진 견인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견인 수단은 구동부에 의해 가위 축에 대해 평행하게 베이스 유닛에 배치된 와인딩 드럼 상에 감겨 진다. 평형 벨트에 의해 상기 벨트의 중첩이 이루어지고, 드럼 회전마다 와인딩 반경이 벨트 두께만큼 증가 된다.
유사한 다른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은 독일 특허 공개 제 199 21 435 A1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에서, 엘리베이팅 장치는 다수의 평형 견인 벨트를 갖는다. 이는 평형 톱니 벨트로서 형성되며 구동 샤프트 주위로 안내되고, 상기 샤프트를 통해 움직인다. 견인 벨트는 하부 드럼 및 상부 드럼을 가지며, 상기 상부 드럼에는 가위 다리들 사이에서 롤링하는 엘리베이팅 캐리지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승 운동이 더욱 개선된, 상기 방식의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싱 유닛은 견인 메커니즘과 느슨하게 결합 되고, 와인딩 롤러로부터 먼, 견인 메커니즘의 단부가 견인수단 지지부에 의해 스페이싱 유닛의 외부에서 엘리베이팅 플랫폼에 또는 별도의 지지 장치에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의 제어, 및 와인딩 롤러에서 이동 경로에 따라 변하는 견인 벨트의 와인딩 반경을 포함하는 캠 스페이서의 아우트라인은,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의 제어 또는 조절에 의해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의 미리 주어진 토크 진행 및 견인 메커니즘의 미리 주어진 인장력 진행이 이동 경로를 따라 재현되도록, 서로 매칭된다.
견인 메커니즘에 의해 느슨한 롤러의 방식으로 움직이는 스페이싱 유닛, 예컨대 스페이싱 캐리지 또는 진자식으로 지지 된 롤러 유닛에 의해, 상승 운동을 위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운동 과정이 더 설명되는 조치에 의해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고 견인 벨트 및 엘리베이팅 장치의 다른 소자들은 보호된다. 스페이싱 되는 2개의 다리에는 각각 캠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캠 스페이서의 윤곽에 의해 스페이싱 유닛 또는 엘리베이팅 장치의 운동 과정이 결정될 수 있다.
구동 모터 및 기어 장치에 의한 구동의 설계에 있어서 그리고 견인 메커니즘과 엘리베이팅 장치의 나머지 디자인에 있어서, 견인 메커니즘 내의 인장력 진행 또는 토크 진행은 적어도 이동 경로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의 합보다 큰 이동 경로의 중간 부분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미리 주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크 진행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견인 벨트 내의 인장력은 처음에, 즉 와인딩 반경이 작을 때 가장 크고, 와인딩 반경이 커짐에 따라, 즉 엘리베이팅의 증가에 따라 감소된다. 따라서, 지지 유닛의 더 임계적인 더 높은 위치에서 벨트가 찢어질 위험이 더 낮은 위치에서보다 낮다. 예컨대 전체 상승 운동의 1/4 또는 1/5 보다 작은 이동 거리의 짧은 시작 부분 및/또는 끝 부분에서, 필요한 경우 견인 벨트에서의 인장력 진행 또는 토크 진행이 보다 낮게 설계될 수 있다.
엘리베이팅 제어를 위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동시에 상승 속도가 적어도 이동 경로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의 합보다 큰 이동 경로의 중간 부분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견인 메커니즘에서 인장력 및/또는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에 의해 제공되는 토크의 측정을 위해, 상승 운동 동안 변하는 벨트 길이가 상기 인장력 및/또는 상기 제공될 토크에 매칭되고, 제어 장치에서 변하는 벨트 길이에 의존하는 와인딩 반경의 제어 또는 조절 시에 포함되면,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이 각각의 사용 조건에 따라, 예컨대 상승 될 부하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또는, 견인 벨트의 변하는 길이의 선택에 따라 더 높은 또는 더 낮은 출력의 구동 모터 및 더 높은 또는 더 낮은 안정성의 구동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감김에 의해 커지는 와인딩 반경 및 캠 스페이서의 곡률이, 상승 운동 시에 벨트 길이 대이동 거리의 비율에 의해 규정되는 엘리베이팅 비율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서로 매칭되면, 양호한 토크 상수 및 속도 상수가 얻어진다.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엘리베이팅 비율은 처음에, 즉 비교적 덜 임계적인 엘리베이팅 단계에서, 즉 와인딩 직경이 작을 때 벨트 내의 비교적 큰 인장 하중을 제공하지만, 엘리베이팅 증가에 따라 감소되고, 높은 위치에서, 즉 와인딩 직경이 최대일 때 가장 낮은 인장 하중 값을 제공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견인 소자 파괴에 대한 시스템의 안전성이 추가로 높아진다.
운동 과정의 정확한 제어 및 지속적인 높은 신뢰도를 위해, 특히 견인 메커니즘이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료 내에 매립된 강 케이블을 가진 하나 이상의 견인 벨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2개, 예컨대 3개 또는 4개의 견인 벨트가 제공됨으로써, 견인 벨트 중 하나가 찢어져도 비상 작동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경우에도 지지 유닛 또는 엘리베이팅 플랫폼의 충격적인 운동은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견인 메커니즘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다수의 견인 수단이 각각 대응 배치된 고정 수단을 통해 견인수단 지지부에 연결되고, 각각의 견인 수단의 손상에 대한 별도의 견인수단 모니터링 장치가 배치됨으로써, 확실한 작동이 지원된다. 견인 수단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견인 수단의 손상, 특히 찢어짐이 예컨대 인장력에 의해 검출되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고 및/또는 평가 장치를 통해 진단 장치에, 예컨대 날짜 및 시간 또는 적합한 작동 파라미터, 예컨대 관련 벨트의 작동 지속시간 또는 그 엘리베이팅 사이클과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 장치는 베이스 유닛, 지지 유닛 및 2개의 평행한 가위 다리에 대해 고정 배치되고, 가위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축을 가진 와인딩 드럼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견인수단 지지부가 베이스 유닛, 지지 유닛 또는 2개의 평행한 가위 다리에 대해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견인 수단 또는 견인수단 지지부의 각도 변경으로 인해 필요한 경우, 이것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견인 메커니즘이 베이스 유닛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하나의 가위 다리의 하단부들을 연결시키는 방향 전환 축 주위로 안내되거나, 및/또는 지지 유닛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다른 가위 다리의 상단부들을 연결시키는 방향 전환 축 주위로 안내되면, 상승 운동 동안 처음에는 비교적 편평한 가위 다리의 위치가 특히 스페이싱 유닛에 의해 야기되는 한편, 상승 시에 상승 운동은, 견인 수단에 의한 관련 가위 다리의 움직일 수 있는 단부(들)에서의 견인에 의해 점차 증가된다.
엘리베이팅 플랫폼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유닛이 차량 구조에 통합되고, 구동 장치가 구동 샤프트를 통해 차량 고유의 구동부에 결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구동부를 갖는다.
가급적 적은 토크 및 그에 따라 작은 기어장치 크기 및 비용상 장점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견인 메커니즘이 가위 다리의 관련 하단부의 가동 베어링의 영역에서 방향 전환 소자의 주위로뿐만 아니라 가위 다리의 관련 상단부의 가동 베어링의 영역에서 다른 방향 전환 소자의 주위로 안내된다. 이 경우, 특히 대향 하는 2개의 다리 부분에 배치된 대향 엘리베이팅 캠으로는 비교적 편평한 엘리베이팅 캠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캠은 낮은 높이를 위해 바람직하다.
캠 스페이서의 윤곽은 상승 속도가 전체 이동 거리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또는 소정 특성, 예컨대 하부 엘리베이팅 영역에서 가속 구간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f는 특히 견인 메커니즘의 안내 및 그 연결이 상이한,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의 여러 실시예.
도 2는 견인수단 지지부에 견인 메커니즘을 연결하기 위한 실시예.
도 1a 내지 도 1f에 따른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의 여러 실시예의 개략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의 각각의 실시예는 가위 축(9)에서 교차되어 서로 상대적으로 선회 가능한 가위 다리(1, 2)로 이루어진 가위 장치를 갖는다. 상기 가위 다리들의 하단부는 베이스 유닛(20), 예컨대 바닥 프레임 또는 차량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되고, 그 상단부는 지지 유닛(10)에 지지된다. 하나의 가위 다리(1)의 상단부는 지지 유닛(10)에 고정 지지되며 그 하단부는 베이스 유닛(20)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가위 다리(2)의 상단부는 지지 유닛(10)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하단부는 베이스 유닛(20)에 고정 지지된다. 이 경우, 각각의 베어링 점에서 선회 운동이 가능해진다. 각각의 엘리베이팅 플랫폼은 평행하게 서로 이격된 2개의 가위를 포함한다. 지지 유닛(10)과 경우에 따라 그 위에 배치된 부하의 상승을 위해, 가위의 가위 다리(1, 2) 사이에 스페이싱 유닛, 예컨대 스페이싱 캐리지(4)가 배치된다. 상기 스페이싱 캐리지는 상승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견인 메커니즘(5)을 통해 구동 장치(8)에 결합된다.
견인 메커니즘(5)은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예컨대 2개의, 3개의, 4개의 또는 5개의 편평한 벨트형 견인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 수단은 플라스틱 또는 고무에 매립된 다수의 강 케이블을 포함하고 충분한 가요성을 가지며, 높은 인장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다수의 이러한 견인 수단의 평행한 배치는 전체 엘리베이팅 시스템의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충분한 가요성의 운반 케이블 또는 관절형 견인 소자, 예컨대 체인도 가능하지만, 덜 바람직하다.
견인 메커니즘(5)은 한편으로는 구동 모터(8.2)에 의해 구동되는 와인딩 드럼 또는 와인딩 롤러(8.1)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견인수단 지지부(7)에 연결된다. 견인 메커니즘은 각각의 가위 다리(1, 2) 사이로 느슨한 롤러의 방식으로 안내되도록, 스페이싱 캐리지(4) 주위에 놓이며 이것에서 방향 전환된다. 스페이싱 캐리지(4)에 대응 배치된 가위 다리(1,2)의 부분들 사이에는, 각각 가위 다리(1, 2)에 설치된 캠 스페이서(3)가 배치된다. 스페이서 캐리지(4)는 하나 또는 다수의 양측 롤러에 의해 상기 캠 스페이서의 윤곽 상에서 롤링한다. 견인수단 지지부(7) 및 구동 장치(8)의 와인딩 드럼(8.1)은 도 1a 내지 도 1f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에 대해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위 축(9)에 대해 평행한 회전축을 가진, 견인 메커니즘(5)용 하나 또는 다수의 방향 전환 소자(6)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a 는 견인수단 지지부(7)가 가위 축(9)의 영역에 설치되며 견인 메커니즘이 가위 다리(2)의 관련 하단부의 가동 베어링 영역에서 회전 가능한 방향 전환 소자(6) 주위에 배치되고 와인딩 드럼(8.1)은 베이스 유닛(20)의 영역에서 다른 가위 다리(1)의 하단부의 베어링 점 근처에 배치된다. 구동 모터(8.2)에 의해 견인 메커니즘(5)을 와인딩 드럼(8.1) 상에 감을 때, 상승 운동은 가위 다리 하단부들을 함께 당김으로써 그리고 스페이싱 캐리지(4)를 가위 축(9)을 향해 당김으로써 야기된다. 상승 운동은 편평하게 놓인 가위 다리(1, 2)의 영역에서는 특히 스페이싱 캐리지(40)에 의해 그리고 지지 유닛(10)이 더욱 상승될 때는 상승 운동은 가위 다리(2)의 가동 하단부에서의 당김에 의해 증가된다. 구동 모터(8.2)는 예컨대 바닥 프레임 또는 베이스 유닛(20)의 관련 안내 소자 외부 옆에 배치될 수 있고 와인딩 드럼의 직접 구동을 위한 하나 또는 2개의 기어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8.2)를 베이스 유닛(20)의 프레임 내부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간단한 조립과 낮은 높이를 위해 프레임의 외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인 메커니즘이 하나 또는 다수의 벨트형 견인 수단 또는 견인 벨트를 포함하면, 이들은 상승 시에 중첩되어 감겨진다. 와인딩 드럼(8.1)의 회전 당 와인딩 반경은 견인 수단의 두께만큼 커지므로, 상승 운동의 명확한 제어가 이루어진다. 승강 운동은 캠 스페이서의 윤곽에 의해 추가로 영향을 받는다. 상기 윤곽은 엘리베이팅 시스템의 소정 특성에 따라 계산되거나 또는 간단한 기하학 윤곽에 의해, 예컨대 일정한 반경을 가진 캠에 의해 미리 주어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8.2)의 제어 또는 조절은 모터 제어 장치에 미리 주어진 또는 미리 주어질 수 있는 토크 진행 곡선 또는 견인 메커니즘(5) 내의 인장력의 미리 주어진 또는 미리 주어질 수 있는 진행 곡선에 의해 이루어지며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도 1b에 따른 실시예에서, 견인수단 지지부(7)는 도 1a와는 달리 스페이싱 캐리지(4)로부터 떨어진, 2개의 평행한 가위 다리(1)의 상부에 배치된다. 고정 배 치된 견인수단 지지부(7)는 견인 메커니즘(5)의 변하는 각도에 상응하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c에 따른 실시예에서, 견인 메커니즘(5)은 도 1b에 따른 실시예와는 달리, 평행한 가위 다리(1)의 상부 가동 베어링 내에 배치된 방향 전환 소자(6') 주위로 안내되고, 지지 유닛(10)을 따라 다른 가위 다리(2)의 상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안내되며 지지 유닛(10)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견인 운동은 가위 다리(2)의 가동 하부 및 가위 다리(1)의 가동 상부에서 이루어지며, 따라서 상승 운동을 위한 힘도 특별한 방식으로 분할되고 특히 바람직한 토크 진행 및 특히, 2개의 캠 스페이서(3)가 대향 되는 경우, 편평한 구성이 얻어진다.
도 1d 에 따른 실시예에서, 견인수단 지지부(7)는 가위 다리(1)의 하부의 부동 베어링 점의 영역에서 베이스 유닛(20)에 고정되고, 견인 메커니즘(5)은 방향 전환 소자(6)의 주위에서 베이스 유닛의 영역 내의 다른 가위 다리(2)의 가동 베어링 점에 배치되는 한편, 와인딩 드럼(8.1)은 가위 축(9)에 배치된다.
도 1e 에 따르면, 와인딩 드럼(8.1) 및 방향 전환 소자(6)는 도 1a 및 도 1b 에 따른 실시예에 상응하게 배치되는 한편, 견인 메커니즘(5)은 상기 방향 전환 소자(6)로부터 가위 축(9) 내의 다른 방향 전환 소자를 지나 그리고 스페이싱 캐리지(4) 둘레로, 상기 가위 축(9)에 대해 스페이싱 캐리지(4)에 대향 하는, 가위 다리(2)의 하부에 설치된 견인수단 지지부(7)를 향해 안내된다. 여기서도, 상승 운동 동안 하부 가위 다리들이 함께 당겨지고 스페이싱 캐리지(4)에 의해 스페이싱 된다.
와인딩 드럼(8.1)이 도 1a 또는 도 1b에 따른 실시예에 상응하는 도 1f 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싱 캐리지(4)가 와인딩 드럼(8)에 대한 가위 축(9)의 대향 측면에 형성된 캠 스페이서(3)에 지지되고, 와인딩 드럼(8.1)으로부터 스페이싱 캐리지(4) 주위로 안내된 견인 메커니즘(5)은 견인수단 지지부(7)로 안내된다. 상기 견인수단 지지부(7)는 가위 축(9)에 대해 스페이싱 캐리지(4)에 대향 하는 가위 다리(2)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승 운동이 스페이싱 캐리지(4)에 의해서만 발생된다.
도 2는 3개 또는 4개의 견인 벨트를 견인수단 지지부(7)에 연결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견인수단 지지부는 예컨대 평행하게 이격된 2개의 가위 다리들(1) 사이에 또는 지지 유닛(10)에 고정되며 예컨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견인수단 지지부(7)는 하나 또는 다수의 고정 소자(7.2) 및 모니터링 수단(7.3)을 가진 고정 유닛(7.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소자(7.2)에 의해 견인 벨트가 동일한 인장력으로 조정될 수 있다. 견인 수단 모니터링 장치의 모니터링 수단(7.3)에 의해, 견인 수단이 찢어지는지의 여부가 검출될 수 있다. 견인 수단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응하는 통보, 예컨대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고, 필요한 경우 구동 모터의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진단 조치가 취해질 수 있고 에러가 적합한 다른 정보, 예컨대 날짜 및 시간 또는 적합한 작동 파라미터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견인수단 지지부(7)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각각의 벨트 단부가 각각 대응 배치된 짧은 드럼 부분에 클램핑되고,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횡단면이 둥근 드럼 부분이 분리되어 클램핑부로서 사용되고, 상기 부분은 스크루에 의해, 상기 드럼 부분에 놓인, 관련 견인 벨트의 단부에 고정된다. 클램핑된 벨트 단부는 예컨대 제 1 방향 전환(스페이싱 캐리지(4)에서 또는 가위 다리의 단부에서)이 일어나기 전에, 드럼 부분 둘레에 예컨대 2 내지 2 1/2 번 감겨진다. 벨트가 부하를 받으면, 벨트는 고유 마찰에 의해 클램핑 부분이 거의 완전히 부하 경감되도록 조여진다. 이로 인해, 견인수단 지지부(7)의 강도가 적어도 견인 벨트의 마찰 강도 정도의 크기로 된다. 드럼 부분들은 서로 분리되어 각각의 홀딩 소자에 지지되거나 또는 연속하는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와인딩 드럼(8.1)과 연결된 견인 벨트의 단부가 고정된다. 벨트가 견인수단 지지부(7)의 드럼 부분에 대한 상승 위치와는 무관하게 항상 접선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회전 가능한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조치에 의해, 엘리베이팅 시스템이 각각의 적용예에 적합하게 설계될 수 있다. 견인 수단에서의 부하, 예컨대 와인딩 드럼(8.1)에서의 토크 또는 구동 장치(8)의 작동 샤프트에서의 토크는 방향 전환 소자(6)를 가진 선택된 방향 전환 시스템과 캠 스페이서 윤곽의 설계에 의존한다. 엘리베이팅 시스템의 중요한 소자들이 동일한 형태의 부하를 갖도록 엘리베이팅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의 제어에 매칭되는 캠 스페이서 윤곽은 예컨대 견인 수단 또는 견인 메커니즘(5)의 부하가 전체 이동 경로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또는 와인딩 드럼(8.1)에 제공되는 토크가 적어도 이동 경로의 주로 중간 부분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동 경로의 시작 및/또는 끝에서 토크가 감소됨으로써, 상승 운동의 부드러운 시작과 종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일정한 토크의 경우, 견인 수단의 인장 하중은 상승 운동이 시작될 때, 즉 와인딩 직경이 가장 작고 엘리베이팅 플랫폼이 낮은 위치에 있을 때, 가장 높고, 상기 플랫폼이 점점 더 올라가면 상기 인장 하중이 점점 작아져서, 엘리베이팅 플랫폼이 높은 위치에 있을 때, 즉 와인딩 직경이 가장 클 때, 상기 인장 하중의 값이 가장 낮아진다. 따라서, 이러한 설계의 경우, 견인 메커니즘(5)에 대한 엘리베이팅 시스템의 안전성이 추가로 높아진다.
구동 토크 및/또는 견인 메커니즘 내의 인장력은 모터 구동부의 제어 장치에 저장된 또는 미리 주어진 함수에 따라 미리 주어질 수 있는 진행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캠 스페이서(3) 및 와인딩 반경이 함께 고려된다. 또한, 상승 운동 중에 변하는 견인 벨트 길이가 각각의 요구 조건에 매칭될 수 있고, 주어진 이동 경로와 관련해서 변하는 더 긴 벨트 길이는 감을 때(또는 풀 때) 벨트 내의 더 작은 인장력 및 와인딩 롤러(8.1)에 제공될 더 작은 토크를 요구하며, 그 역도 성립한다. 변하는 견인 벨트 길이가 길면, 동일한 상승 속도에서 와인딩 롤러(8.1)의 회전수가 변하는 짧은 벨트 길이에서보다 더 높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 경우, 변하는 벨트 길이가 상이할 때 와인딩 반경이 상응하게 상이하게 신속히 변하고, 그것에 캠 스페이서 및/또는 토크 진행 및/또는 견인 벨트 내의 인장력의 진행이 매칭되는 것도 고려된다.
관련 가위 다리 상부 및/또는 하부의 영역에서 견인 메커니즘(5)의 방향 전 환은 와인딩 롤러와 스페이싱 롤러 사이에서 직접 벨트를 안내하는 것에 비해 훨씬 더 작은 힘이 특히 상승 된 위치의 스페이싱 롤러에 가해짐으로써, 스페이싱 유닛(4)은 상응하게 더 바람직한 치수로 설계될 수 있다.
견인 벨트를 감는 것 대신에, 견인 메커니즘(5)으로부터 떨어진 한 단부 또는 양단부의 왕복 운동이 예컨대 전술한 DE 199 21 435 A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회전 장치에 대한 결합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팅 플랫폼은 고정 지면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차량 구조에 통합됨으로써 이동식 엘리베이팅 장치가 얻어진다. 이 경우, 구동 장치는 구동 샤프트를 통해 차량 고유의 구동부와 결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구동부를 가질 수 있다.
Claims (12)
- 2개의 가위 및 엘리베이팅 장치를 포함하는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으로서, 상기 가위들는 평행하게 이격되고 베이스 유닛(20)과 상하로 움직이는 지지 유닛(10) 사이에 배치되고, 가위 축(9)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선회 가능한 2개의 가위 다리(1, 2)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싱 유닛(4)을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싱 유닛은 상기 지지 유닛의 승강을 위해 상기 가위 다리들(1, 2) 사이로 왕복 운동할 수 있고, 모터 구동식 와인딩 롤러(8.1) 상에 감겨질 수 있는 견인 메커니즘(5)을 통해 상기 와인딩 롤러(8.1)에 결합되고, 상기 견인 메커니즘은 평행하게 서로 이격된 2개 이상의 편평한 견인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 벨트의 폭은 상기 지지 유닛(10)이 상승될 때 상기 벨트가 상기 와인딩 롤러에 중첩되도록 선택되며, 구동 모터(8.2)에 의해 발생된 구동 토크, 상기 견인 메커니즘(5) 내에 작용하는 인장력 및/또는 상승 운동의 속도 진행에 영향을 주기 위해 상기 스페이싱 유닛(4)과 협동하는 캠 스페이서(3)가 피봇 핀(9)과 관련해서 상기 스페이싱 유닛(4)을 향해 있는 양측 가위의 하나 이상의 가위 다리 부분에 배치되는,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에 있어서,상기 스페이싱 유닛(4)은 상기 견인 메커니즘(5)에 느슨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인딩 롤러(8.1)로부터 먼, 상기 견인 메커니즘(5)의 단부는 상기 견인수단 지지부(7)에 의해 상기 스페이싱 유닛(4)의 외부에서 상기 엘리베이팅 플랫폼에 또는 별도의 지지 장치에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8.2)의 제어, 및 와인딩 롤 러(8.1)에서 이동 경로에 따라 변하는 견인 벨트의 와인딩 반경을 포함하는 캠 스페이서의 아우트라인은,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8.2)의 제어 또는 조절에 의해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8.2)의 미리 주어진 토크 진행 및 상기 견인 메커니즘(5)의 미리 주어진 인장력 진행이 이동 경로를 따라 재현되도록, 서로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토크 진행 또는 상기 견인 메커니즘(5) 내의 인장력의 진행은 상기 진행이 적어도 이동 거리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의 합 보다 큰 이동 경로의 중간 부분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미리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동시에 상승 속도가 적어도 이동 거리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의 합 보다 큰 이동 경로의 중간 부분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견인 메커니즘에서 인장력 및/또는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8.2)에 의해 제공되는 토크의 측정을 위해, 상승 운동 동안 변하는 벨트 길이가 상기 인장력 및 /또는 상기 제공될 토크에 매칭되고, 제어 장치에서 변하는 벨트 길이에 의존하는 와인딩 반경의 제어 또는 조절 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감김에 의해 커지는 상기 와인딩 반경 및 상기 캠 스페이서(3)의 곡률이, 상승 운동 시에 벨트 길이 대이동 거리의 비율에 의해 규정되는 엘리베이팅 비율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서로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견인 벨트가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료 내에 매립된 강 케이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견인 메커니즘의 평행하게 연장하는 상기 견인 벨트들이 각각 대응 배치된 고정 수단(7.1, 7.2)을 통해 상기 견인수단 지지부(7.3)에 연결되고,각각의 견인 수단의 손상에 대한 별도의 견인수단 모니터링 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구동 장치(8)는 상기 베이스 유닛, 상기 지지 유닛 및 2개의 평행한 가위 다리(1 또는 2)에 대해 고정 배치되고, 상기 가위 축(9)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축을 가진 와인딩 드럼(8.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견인수단 지지부(7)가 상기 베이스 유닛, 상기 지지 유닛 또는 2개의 평행한 가위 다리(1 또는 2)에 대해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견인 메커니즘(5)이 상기 베이스 유닛(2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하나의 가위 다리(2)의 하단부들을 연결시키는 방향 전환 축의 주위로 안내되거나, 및/또는 상기 지지 유닛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다른 가위 다리의 상단부들을 연결시키는 방향 전환 축의 주위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 유닛(20)이 차량 구조에 통합되고, 상기 구동 장치(8)가 구동 샤프트를 통해 차량 고유의 구동부에 결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구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견인 메커니즘(5)이 상기 가위 다리(2)의 관련 하단부의 가동 베어링의 영역에서 방향 전환 소자(6)의 주위로뿐만 아니라 상기 가위 다리(1)의 관련 상단부의 가동 베어링의 영역에서 다른 방향 전환 소자(6')의 주위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359490A DE10359490A1 (de) | 2003-12-18 | 2003-12-18 | Scherenhubtisch |
DE10359490.6 | 2003-12-1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6721A true KR20060126721A (ko) | 2006-12-08 |
Family
ID=3467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14337A KR20060126721A (ko) | 2003-12-18 | 2004-12-20 | 가위형 엘리베이팅 플랫폼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017748A1 (ko) |
EP (1) | EP1699728B1 (ko) |
KR (1) | KR20060126721A (ko) |
AT (1) | ATE387401T1 (ko) |
DE (2) | DE10359490A1 (ko) |
WO (1) | WO200505874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469152B2 (en) * | 2007-09-25 | 2013-06-25 | Hunter Engineering Company |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capacity vehicle lift system |
US8827246B2 (en) | 2011-03-25 | 2014-09-09 | Parking Source Llc | Scissor lift |
US9707880B2 (en) * | 2014-12-09 | 2017-07-18 | Kenneth Ochenkowski | Motorcycle lift |
US10173574B2 (en) * | 2014-12-09 | 2019-01-08 | Kenneth Ochenkowski | Motorcycle lift |
DE202017001721U1 (de) | 2017-03-31 | 2017-05-02 | Klaus Pfleghaar | Absturzsicherung für Scherenhubtische |
US11383211B2 (en) * | 2019-04-29 | 2022-07-12 | Tokyo Electron Limited | Point-of-use dynamic concentration delivery system with high flow and high uniformity |
EP3922592A1 (de) * | 2020-06-10 | 2021-12-15 | Grundei Hebetische Verladetechnik GmbH | Scherenhubtisch |
EP4029624A1 (de) | 2021-01-18 | 2022-07-20 | voestalpine Automotive Components Dettingen GmbH & Co. KG | Presse |
DE102021209083B4 (de) * | 2021-08-18 | 2023-06-07 | Siemens Healthcare Gmbh | Patientenlagerungstisch |
USD1007804S1 (en) | 2023-05-15 | 2023-12-12 | Bean's Best, LLC | Heavy-duty scissor jack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311989B (ko) * | 1967-11-21 | 1969-06-30 | G Wiklund | |
US3785462A (en) * | 1972-06-23 | 1974-01-15 | Applied Radiation Corp | Scissor lift and drive mechanism therefor |
US4123039A (en) * | 1975-07-03 | 1978-10-31 | American Sterilizer Company | Raise-lower device |
DE10001910B4 (de) * | 1999-06-19 | 2007-12-27 | Geisler Gmbh & Co. Kg | Scherenhubtisch |
DE19921435A1 (de) * | 1999-05-08 | 2000-11-16 | Heckert Gmbh | Scherenhubtisch |
DE10047582B4 (de) * | 2000-09-22 | 2005-06-23 | Penzek, Eckhardt, Dipl.-Ing. | Scherenhubtisch |
US6516478B2 (en) * | 2001-05-31 | 2003-02-11 | Health & Technology, Inc. | Adjustable height bed |
FR2837193A1 (fr) * | 2002-03-12 | 2003-09-19 | Transportes Continuos Interior | Table elevatrice a ciseaux |
-
2003
- 2003-12-18 DE DE10359490A patent/DE10359490A1/de not_active Ceased
-
2004
- 2004-12-20 KR KR1020067014337A patent/KR2006012672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12-20 WO PCT/EP2004/014470 patent/WO2005058742A1/de active IP Right Grant
- 2004-12-20 DE DE502004006359T patent/DE502004006359D1/de active Active
- 2004-12-20 AT AT04804070T patent/ATE387401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2-20 EP EP04804070A patent/EP1699728B1/de active Active
-
2006
- 2006-06-19 US US11/455,516 patent/US20070017748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699728B1 (de) | 2008-02-27 |
WO2005058742A1 (de) | 2005-06-30 |
ATE387401T1 (de) | 2008-03-15 |
US20070017748A1 (en) | 2007-01-25 |
DE10359490A1 (de) | 2005-07-14 |
EP1699728A1 (de) | 2006-09-13 |
DE502004006359D1 (de) | 2008-04-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00721B2 (en) | Elevator installation | |
US20070017748A1 (en) | Scissors-type lifting platform | |
CN209651616U (zh) | 行走式放线机构 | |
EP1357075B1 (en) | Cage device for double deck elevators | |
US20110127477A1 (en) | Hoist systems | |
AU2017289326B2 (en) | Method for constructing an elevator system having an adaptable usable lifting height | |
RU2008117485A (ru) | Подъемник с кабиной, блок направляющих шкивов для подъемника и способ размещения в подъемнике датчика для взвешивания груза | |
JP2002544095A (ja) | シザーズ型リフトテーブル | |
US20220009753A1 (en) | Crane device, method for determining number of falls, and computer 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 |
CN108463421A (zh) | 用于在绞车滚筒上卷绕绳索的系统和卷绕装置 | |
EP0385313B1 (en) | Apparatus for adjusting air gap in toroidal type linear motor | |
KR102032642B1 (ko) | 주행휠 고임장치 | |
US6571970B1 (en) | Monorail telescopic carrier | |
WO201821116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ension in the suspension arrangement of an elevator | |
EP2574584A1 (en) | Frictional drive for an elevator and operating method | |
EP3828115A1 (en) | Emergency stop system for elevator | |
KR101764906B1 (ko) | 근력 훈련장비용 부하저항 발생장치 | |
JP2003300681A (ja) | 往復移動体装置 | |
KR102633128B1 (ko) | 와이어로프의 자율안착활차 및 장력감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구동장치 | |
KR100744743B1 (ko) | 트레드의 위치유도장치 | |
KR102507242B1 (ko) |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 |
PT1097101E (pt) | Sistema de elevador que tem motor de accionamento localizado na porção inferior da via de elevação | |
KR100817365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WO2007043178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SU912619A1 (ru) | Подъемна установк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