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100B1 - 전차선 및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차선 및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100B1
KR100853100B1 KR1020080040127A KR20080040127A KR100853100B1 KR 100853100 B1 KR100853100 B1 KR 100853100B1 KR 1020080040127 A KR1020080040127 A KR 1020080040127A KR 20080040127 A KR20080040127 A KR 20080040127A KR 100853100 B1 KR100853100 B1 KR 100853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distance
temperature
distance
change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석
Original Assignee
하나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솔루션(주) filed Critical 하나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080040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6Compensation means for variation in l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장력조정장치와 전차선의 이상 여부와 이상 징후를 실시간 감시 또는 사전 예측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원격 감시 시스템은 임의의 기준 점으로부터 장력추의 상대적인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센서부(70); 기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부(80); 상기 거리 측정 센서부(7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격 거리를 도출하고, 상기 온도 센서부(8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온을 도출하며, 이들 이격 거리 및 기온을 이용해서 이상 여부를 판단하거나 이상 징후를 판단하여 원격지에 보고하는 현장 단말 장치(60)로 구성된다. 본 발명 다른 양상에 따른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는 현장 단말 장치(60)가 이격 거리 및 기온을 원격지의 서버에 전송하고 원격지의 서버는 상기 이격 거리 및 기온을 이용해서 이상 여부를 판단하거나 이상 징후를 예측한다.
전차선, 장력조정장치, 단선, 이상, 거리, 위치

Description

전차선 및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Remote monitoring system for catenary and tensioning device}
본 발명은 전차선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장력조정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단말장치, 자동 장력조정장치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 장치, 및 이러한 장치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차선 또는 조가선을 감시하기 위한 단말장치, 전차선 또는 조가선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 장치, 및 이러한 장치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철, 고속철, 지하철 등의 전기 철도에서는 전기 철도 차량에 전력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 선로가 가설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기 선로에는 전기 철도 차량의 집전 장치와 직접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차선이 있고, 상기 전차선을 같은 높이로 수평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조가해 주는 조가선이 있다. 이러한 전차선 및 조가선을 일정한 장력으로 잡아 당기기 위하여 자동 장력조정장치를 사용한다.
자동 장력조정장치에는 활차식, 도르레식 및 스프링식 등이 있으며, 활차식 자동 장력조정장치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활차식 자동 장력조정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기 철도 차량(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 철도 차량(1)의 상부에는 집전판(12) 및 지지부(14)로 구성된 집전 장치(10)가 설치된다. 전력을 이송시키기 위한 전기 선로(30)는 전차선(32) 및 조가선(34) 등으로 구성되며, 전차선(32)은 집전장치(10)와 직접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조가선(34)은 전차선(32)을 같은 높이로 수평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전차선(32)을 조가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자동 장력조정장치(40)는 장력추(42), 추유도봉(44), 상부지지구(48), 하부지지구(47), 대활차(46), 소활차(45), 와이어a(49) 및 와이어b(43) 등으로 구성된다. 활차는 대활차(46) 및 소활차(45)로 구성되고 양자는 일체로 되어 있다.
소활차(45)는 와이어a(49)를 감고 있고 대활차(46)는 와이어b(43)을 감고 있다. 소활차(45)에서 와이어a(49)가 감기는 부위의 원주 길이와 대활차(46)에서 와이어b(43)가 감기는 부위의 원주 길이는 서로 상이하며, 상기 두 원주 길이의 비율(이하 '활차비'라 한다) 만큼 와이어a(49) 및 와이어b(43)의 이동 거리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소활차(45) 및 대활차(46)의 활차비가 1:4인 경우, 와이어a(49)가 소활차(45)에 10cm 감긴다면 와이어b(43)는 대활차(46)로부터 40cm 풀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장력추(42)는 와이어b(43)에 일정한 장력을 부가하는 기능을 하며, 와이어b(43)에 걸리는 장력은 상기 활차비에 해당만큼 증폭되어 와이어a(49)에 걸리고 이 장력은 다시 전차선(32) 및 조가선(34)에 전달되어 전기 선로(30)를 일정한 장력으로 당기게 된다. 추유도봉(44)은 장력추(42)를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하부지지구(47) 및 상부지지구(48)는 지주(22)에 설치되어 추유도봉(44)를 지지한다.
한편, 전기 선로(30)은 단선될 가능성이 있다. 전기 선로(30)에 이러한 비상 상황이 발생된 것을 경보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위치 센서(51) 및 전차선 관리 판넬 장치(50) 등을 사용하는 기술이 있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센서(51)는 지주(22)에 부착되고 장력추(42)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향하여 배치된다. 종래 기술에서의 위치 센서(51)는 특정 지점에서 장력추(42)가 존재하는 지를 센싱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기 선로(30)가 단선되는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장력추(42)는 하부 지지구(47)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위치 센서(51)의 측정 위치는 하부 지지구(47)로부터 특정한 거리에 설치되며, 장력추(42)가 하강하여 상기 측정 위치이하로 하강하는 경우에는 위치 센서(51)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감지된 신호는 전차선 관리 판넬 장치(50)에 전달되며 전차선 관리 판넬 장치(50)는 중앙의 관리 서버(미도시) 등에게 전기 선로(30)의 상황을 보고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기 선로(30)가 단선되는 등의 비상 상황에서, 장력추(42)가 미리 설정된 한계선 이하로 하강한 것을 감지하고 경보할 수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전기 선로(30)가 단선되는 등의 비상 상황을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런데, 기온이 상승하여 전기 선로(30)가 신장되는 경우, 자동 장력조정장치(40)가 정상적이라면 장력추(42)가 하강하여 전기선로(3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자동 장력조정장치(40)가 정상적인 경우라면 전기선로(30)에 항상 일정한 장력 을 공급함으로써 전기선로(30)의 처짐을 방지한다. 그런데, 가령 활차에 이상이 발생하여 활차가 유동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장력추(42)는 추유도봉(44)에 가이드되면서 유동될 수 있어야 하지만, 어떠한 원인으로 장력추(42)가 추유동봉(44)에 끼여서 유동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 기온이 상승하게 되면 전기 선로(30)가 신장하여도 자동 장력조정장치(40)의 장력추(42)는 하강할 수 없으므로 전기 선로(30)는 장력을 잃게 되고 규정된 높이 이하로 처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장력추(42)가 한계선이하로 하강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을 뿐, 장력추(42)의 유동이 없는 경우는 감지할 수 없다. 자동 장력조정장치(40)에 이상이 발생하면 전기 선로(30)가 처지는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도 종래 기술은 이를 감지하여 보고할 수 없다. 또한 자동 장력조정장치(40)에 이상이 발생하여 활차가 유동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기온이 내려가면 전기선로(3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므로 전기선로(30)에 규정된 장력이상의 장력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종래의 기술은 이러한 상항을 감지하여 보고할 수 없다.
한편, 전차선(32)은 기온에 따라 신축하는 외에, 전차선(32)의 마모와 노후화 등의 원인으로 전차선(32)의 길이가 늘어질 수 있다. 또한, 전차선(32)을 처음 가설할 때 영구신장조성(pre-stretch)을 미시행하거나 전차선(32) 재료의 불량으로 전차선(32)은 시공 후 급격하게 신장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기온에서 전차선(32)의 길이는 항상 동일해야지만, 영구신장조성(pre-stretch)의 미시행, 전차선(32)의 마모, 재료 불량, 또는 노후화 등의 원인으로 동일한 기온이더라도 전차선(32)의 길이가 늘어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장력 추(42)가 설정된 한계선 이하로 하강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전차선(32)이 늘어지는 한계 길이를 정하고 그 이상으로 신장하는 것을 감지할 수는 있다. 그러나 전차선(32)은 기온의 변화에 따라서도 신축하는 것이므로, 장력추(42)가 한계선 이하로 하강하는 것이 기온의 변화(즉, 높은 기온)에 기인하는 량과, 전차선(32)의 마모, 재료 불량 또는 노후화에 기인하는 량을 구분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차선(32)의 마모, 재료불량 또는 노후화 등으로 기인하는 이상이 있는지를 감지하기는 어렵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장력조정장치의 이상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보고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선로의 이상 징후를 자동으로 미리 감지하여 보고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선로의 이상을 보다 정확히 경보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여 고속으로 주행하는 열차의 안전 운행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은 임의의 기준 점으로부터 장력추의 상대적인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센서부(70); 기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부(80); 상기 거리 측정 센서부(7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격 거리를 도출하고, 상기 온도 센서부(8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온을 도출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기 이격 거리의 변화량과 상기 기온의 변화량으로부터 자동 장력조정장치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원격지에 보고하는 현장 단말 장치(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은 임의의 기준 점으로부터 장력추의 상대적인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센서부(70); 기 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부(80); 상기 거리 측정 센서부(7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격 거리를 도출하고, 상기 온도 센서부(8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온을 도출하여 원격지로 전송하는 현장 단말 장치(60); 상기 원격지에 설치되며, 상기 현장 단말 장치(60)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격 거리와 상기 기온에 있어서, 시간에 따른 상기 기온의 변화량과 상기 이격 거리의 변화량으로부터 자동 장력조정장치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은 임의의 기준 점으로부터 장력추의 상대적인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센서부(70); 기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부(80); 상기 거리 측정 센서부(7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격 거리를 도출하고, 상기 온도 센서부(8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온을 도출하며, 상기 기온에 대응하여 미리 알려진 표준 이격 거리를 계산하며, 상기 표준 이격 거리와 측정된 상기 이격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전기선로의 이상 징후를 판단하여 원격지에 보고하는 현장 단말 장치(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은 임의의 기준 점으로부터 장력추의 상대적인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센서부(70); 기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부(80); 상기 거리 측정 센서부(7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격 거리를 도출하고, 상기 온도 센서부(8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온을 도출하여, 상기 이격 거리와 상기 기온 을 원격지로 전송하는 현장 단말 장치(60); 상기 원격지에 설치되며, 상기 현장 단말 장치(60)로부터 전송된 상기 기온에 대응하여 미리 알려진 표준 이격 거리를 계산하며, 상기 표준 이격 거리와 측정된 상기 이격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전기선로의 이상 징후를 판단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은 임의의 기준 점으로부터 장력추의 상대적인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센서부(70); 상기 거리 측정 센서부(7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격 거리를 도출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기 이격 거리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허용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전기선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원격지에 보고하는 현장 단말 장치(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은 임의의 기준 점으로부터 장력추의 상대적인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센서부(70); 상기 거리 측정 센서부(7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격 거리를 도출하여 원격지로 전송하는 현장 단말 장치(60); 상기 원격지에 설치되며, 상기 현장 단말 장치(60)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격 거리에 있어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기 이격 거리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허용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전기선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자동장력조정장치의 활차, 추유도봉 및 와이어 등에 이상이 있어서 자동 장력조정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전기선로에 이상 징후가 있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차선의 마모, 전차선 및 조가선의 노후화, 재료의 불량, 영구신장조성의 미시행 등의 원인에 의하여 전차선이 늘어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차선의 사고 이전에 미리 사용자에게 경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전기선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를 정확히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차선 단선, 조가선 단선, 교차개소 변형, 평행개소 변형 등의 경우에도 보다 정확히 이를 감시하여 경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이 설치된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전력을 이송시키기 위한 전기 선로(30)는 전차선(32) 및 조가선(34) 등으로 구성되며, 전차선(32)은 집전장치(미도시)와 직접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조가선(34)은 전차선(32)을 같은 높이로 수평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전차선(32)을 조가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전차선과 조가선은 엄격한 의미에서 구 별되지만, 이하의 기재에서 '전차선'은 조가선을 포함하여 지칭되는 경우도 있다). 자동 장력조정장치(40)는 장력추(42), 추유도봉(44), 상부지지구(48), 하부지지구(49), 대활차(46), 소활차(45), 와이어a(49) 및 와이어b(43) 등으로 구성된다. 활차는 대활차(46) 및 소활차(45)로 구성되고 양자는 일체로 되어 있다. 장력추(42)는 와이어b(43)에 일정한 장력을 부가하는 기능을 하며, 와이어b(43)에 걸리는 장력은 활차비에 해당만큼 증폭되어 와이어a(49)에 걸리고 이 장력은 다시 전차선(32) 및 조가선(34)에 전달되어 전기 선로(30)를 일정한 장력으로 당기게 된다. 추유도봉(44)은 장력추(42)를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하부지지구(47) 및 상부지지구(48)는 지주(22)에 설치되어 추유도봉(44)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활차식의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며, 특정한 자동 장력조정장치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활차식외에도 도르레식 및 스프링식 등 모든 방식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전차선과 조가선을 함께 장력 조정하는 일괄 장력 방식과 전차선과 조가선을 각각 장력 조정하는 개별 장력 방식의 모두에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종래 기술과 대비되어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는 거리 측정 센서(70)를 사용한다. 거리 측정 센서(70)는 상부 지지구(48)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 지지구(48)부터 장력추(42)의 상단까지의 거리(X)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지지구(48)로부터 장력추(42)의 상단까지의 거리(x)를 측정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하부 지지구(47)에 거리 측정 센서(70)를 설치하고 하부 지지구(47)로부터 장력추(42)의 하단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도 된다. 기준점 을 설정하고 그 기준점으로부터 장력추(42)가 이격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기만 하면 어떠한 방법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장력추(42)의 상단 또는 하단을 중심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굳이 장력추(42)의 상단 또는 하단이 아니어도 장력추(42)와 연동되어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장력추(42)에 다른 부착물을 설치하고 이 부착물이 기준 점으로 부터 이격하는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장력추(47)는 기온의 변화 또는 다른 요인에 의해 상부 지지구(48)와 하부 지지구(47)의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으며, 그 유동할 수 있는 선상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점으로부터 어느 정도 이격되어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도록 거리 측정 센서부(70)가 구성되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거리 측정 센서부(70)가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이 될 수도 있고, 전파를 이용하는 방식이 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거리 측정 센서부(70)에서는 초음파,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방사하며 장력추(42)의 상단부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감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는 온도 센서부(80)를 구비한다. 온도 센서부(80)는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는 현장 단말 장치(60)를 구비한다. 현장 단말 장치(60)는 거리 측정 센서부(70) 및 온도 센서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거리 측정 센서부(70) 및 온도 센서부(80)와 연동하여 이격거리 값 및 기온 값을 획득한다. 거리 측정 센서부(70) 및 온도 센서부(80)는 스스로 또는 현장 단말 장치(60)의 명령에 의해 이격거리 및 기온을 측정하여 그 데이터 값을 현장 단말 장치(6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이격거리 및 기온을 직접 나타내는 데이터 값이 아니라 신호 처리를 통하여 이격거리 및 기온 값을 추출할 수 있는 전기 신호의 형태로 현장 단말 장치(6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현장 단말 장치(60)는 거리 측정 센서부(70) 및 온도 센서부(8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격거리 및 기온의 구체적인 값을 획득할 수 있어야 하며, 이 이격거리 및 기온에 기초하여 앞으로 설명할 유용한 판단을 하거나 상기 이격거리 및 기온의 값을 원격지에 보고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된다. 현장 단말 장치(60)의 구체적인 내부 구조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사항이 아니며 상기한 이격 거리 및 기온의 구체적인 값을 획득한 후, 이를 기초로 유용한 판단을 하거나 이를 원격지에 보고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이든지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현장 단말 장치(6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현장 단말 장치(60)는 제어 및 연산부(61), 통신부(62), 메모리(63), 신호처리부(64) 및 전원부(65)를 포함한다. 전원부(65)는 현장 단말 장치(60)의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배터리(651), 태양전지(652), 충전장치(653) 및 유도전력부(654)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652)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충전장치(653)에 공급하며, 유도전력부(654)는 전차선에 흐르는 전력으로부터 필요한 만큼의 전력을 유도하여 충전장치(653)에 공급한다. 충전장치(653)는 태양전지(652) 또는 유도전 력부(65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651)를 충전하는 동시에 배터리(651)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을 현장 단말 장치(60)의 각 구성요소가 쓰기에 적절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온도 센서부(80) 및 거리 측정 센서부(70)가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측정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먼저 신호 처리부(64)가 온도 및 이격 거리 값을 수신한다. 신호 처리부(64)는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필요한 필터링 및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한 후에도 디지털 신호 처리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온도 센서부(80) 및 거리 측정 센서부(70)가 디지털 신호 형태로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신호 처리부(64)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제어 및 연산부(61)에 입력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일단 신호 처리부(64)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한 다음 제어 및 연산부(61)에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 및 연산부(61)가 온도 센서부(80) 또는 거리 측정 센서부(70)와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로 온도 또는 이격 거리 값을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직렬 또는 병렬 포트를 통하여 직렬 또는 병렬의 유선 통신이 가능함은 물론, 무선 통신 방식으로 교환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인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망을 구성하는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다양한 표준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통신부(62)는 현장 단말 장치(60)가 원격지의 서버와 각종 필요한 정보 및 명령를 교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현장 단말 장치(60)가 원격지의 서버와 통신하는 방식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원격의 서버와 정보 및 명령을 교환할 수 있는 방식이며 무엇이든 좋다. CDMA, GSM, 휴대인터넷, 무선인터넷 등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고 ADSL, DSL, 광통신 등의 유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전차선을 매개로 한 전력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메모리(63)는 현장 단말 장치(60)의 제어 및 연산부(61)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제어 및 연산부(61)가 사용할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 및 연산부(61)가 연산 과정에서 사용할 임시 저장 장소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 및 연산부(61)는 신호 처리부(64)를 통하여 또는 직접 온도 센서부(80) 및 거리측정 센서부(70)로부터 기온 및 이격 거리를 입력받으며, 입력 받은 상기 기온 및 이격 거리를 통신부(62)를 통하여 원격지에 있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 제어 및 연산부(61)는 입력받은 기온 및 이격 거리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유용한 판단(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을 하고 그 후에 통신부(62)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그 판단 결과를 보고할 수도 있다.
전차선(32)(조가선(34)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은 외기의 온도에 따라 신축한다. 이러한 전차선(32)의 신축에 대응하여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 장력조정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며, 전차선(32)이 기온에 따라 신축하면, 그 신축하는 길이에 활차비를 곱한 길이만큼 장력추(42)가 추유도봉(4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구체적인 사항은 종래 기술에 관한 기재를 참조한다). 따라서 자동 장력 조정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면, 기온의 변화에 대응하는 양만큼 장력추(42)의 이동이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우측의 그래프는 기온 변화에 따라 장력추(42)가 이동하는 양 을 나타낸 것이다. 가로축은 전차선의 길이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전차선(32)의 신축에 대응되는 장력추(42)의 이동량을 나타내며, 기온이 10℃일 때 장력추(42)의 위치를 영점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전차선(32)의 길이가 800 m 일 때, 기온이 40℃ 로 올라가면 장력추(42)는 영점으로부터 아래로 1500 mm 정도 하강하고, 반대로 기온이 - 20 ℃ 로 내려가면 장력추(42)가 영점으로부터 위로 1500 mm 정도 상승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상승 거리와 하강 거리는 전차선의 선종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그런데, 만약 자동 장력조정장치의 활차에 이상이 발생하여 활차가 정상적으로 회전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전차선(42)의 신축은 장력추(43)에 전혀 전달될 수 없거나 전달되는 양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장력추(42)는 추유도봉(44)에 가이드되면서 유동될 수 있어야 하지만, 어떠한 원인으로 장력추(42)가 추유동봉(44)에 끼여서 유동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마찬가지로 전차선(42)의 신축은 장력추(43)에 전혀 전달될 수 없거나 전달되는 양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하기의 식(1)은 전차선(42)이 신장하는 길이를 계산할 수 있는 한 수학적 모델링을 표현한 것이다.
Figure 112008031025889-pat00001
····식(1)
A는 전차선의 신축량[m]이며, C는 전차선 선팽창 계수로서 예를 들면 1.7×10-5이며, L은 전차선의 길이이다. T는 표준온도(예를 들면 10℃)에 대한 온도 변화량[℃]으로서, t-t0 (t:현재 온도, to:표준온도)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전차선의 선팽창계수 및 길이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차선의 신축량은 온도 변화량에 비례하여 변화된다. 따라서 표준 온도를 벗어나 대기의 온도에 변화가 있으면 당연히 그에 해당하는 전차선의 신축이 있고 이 신축은 장력추(42)의 이동을 가져올 것이다. 하기의 식(2)는 장력추(42)의 이동량을 나타내는 식이다.
Figure 112008031025889-pat00002
····식(2)
P는 장력추(42)의 상단이 표준온도(예를 들면 10℃)일 때를 중심으로 현재 이격하고 있는 거리[m]를 나타내고, n은 활차비를 나타내며, A는 전차선의 신축량[m]을 나타낸다. 장력추(42)가 영점으로부터 이격하는 거리는 전차선(32)의 신축량에 활차비를 곱한 것만큼 증폭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장 단말 장치(60)가 거리 측정 센서부(7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단 지지구(48)로부터 장력추(42)의 상단이 이격하고 있는 거리(X)를 측정하면, 장력추(42)가 표준온도일 때 장력추(42)의 위치(영점)로부터 이격하고 있는 거리(P)을 계산해 낼 수 있으며, 상기 거리(P)로부터 활차비를 나누면 전차선(32)의 신축량을 역으로 알 수 있다. 한편, 현장 단말 장치(60)는 대기의 온도를 온도 센서부(8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알 수 있으므로 현장 단말 장치(60)는 상기 식(1)을 이용하여 이론적인 전차선의 신축량을 계산해 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이 자동 장력조정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이상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에서는, 기온의 변화에 따라서 장력추(42)의 이격 거리가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감시하여 판단한다. 기온의 변화에 따라 당연히 예상되는 이격 거리의 변화량에 비하여 실제 측정되는 이격 거리의 변화량이 없거나 예상량에 미치지 못한다면 이는 자동 장력조정장치의 이상으로 일단 판단하여 보고하게 된다.
단계 S10에서는 각종 초기화를 수행하게 된다. 계산 및 판단에서 요구되는 각종 기본 파라미터와 데이터를 셋팅하는 과정, 각종 조건을 설정하는 과정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온(T)의 변화량과 이격거리(X)의 변화량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최소한 2개 시점의 데이터가 필요하므로 단계(S11)로 진행하기 전에 미리 1개 이상의 측정 데이터를 확보하는 과정이 초기화 단계(S10)에 부가될 수도 있다.
단계 S11에서는 현재 기온(T)과 현재 장력추의 이격 거리(X)를 측정한다. 현재 기온(T)과 현재 장력추의 이격 거리(X)를 측정하는 것은 현장 단말 장치(60)의 명령에 의할 수도 있고, 온도센서부(80) 및 거리 측정 센서부(70)가 정해진 시간에 스스로 측정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이격 거리(X)는 도 2에 따르면, 상부 지지구(48)로부터 장력추(42)의 상단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한 기준 점으로부터 장력추(42)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 수 있는 거리이면 무엇으로 해도 좋다.
단계 S12에서 현장 단말 장치(60)는 측정된 기온(T) 및 이격 거리(X)를 메모리(63)에 저장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현장 단말 장치(60)의 메모리(63)에 저장하는 것으로 하나, 다른 실시 형태로서 현장 단말 장치(60)에 저장하지 않고 원격지의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에 저장할 수도 있고 양자 모두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단계 S13에서는 기온(T)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이격 거리(X)의 변화량을 계산한다. 기온(T)의 변화량이란 기온(T)이 변화한 량을 나타낸다. 기온(T)의 변화량을 정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미리 지정되어 있는 시간 간격을 설정해 두고 현재 시점과 상기 시간 간격 이전의 두 시점에 대해서 기온(T)의 변화량을 계산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기온(T)의 변화량을 미리 설정해 두고 이를 기온(T)의 변화량으로 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이 때에는 해당 과거 시점에서의 이격거리(X)의 값을 읽어서 이용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온(T)의 변화량을 가져온 두 시점에서 이격거리(X)의 측정값들을 읽어와서 두 시점에서의 이격거리(X)의 변화량(이하 이를 '측정 이격거리(X)의 변화량'이라 한다)을 계산한다.
단계 S14에서는 기온(T)의 변화량에 해당하는 이론적인 이격 거리(X)의 변화량을 계산하거나 도출한다. 단계 S13에서의 이격 거리(X)의 변화량은 측정된 값들로부터 계산되는 것이라면, 단계 S14에서의 이격 거리(X)의 변화량은 이론적인 값들로부터 계산되는 것이다. 이론적인 이격 거리(X)은 계산식에 의해서 얻을 수도 있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에서 찾아낼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13에서 기온(T)의 변화량을 계산한, 그 두 시점 사이에서 이론적으로 예상하는 이격 거리(X)의 변화량(이하 '예상 이격 거리(X)의 변화량'이라 한다)을 이론적으로 계산하거나 도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임의의 시점 사이에서 이격 거리(X)의 변화량은 이격 거리(P)의 변화량과 동일하다. 그리고 식(1)과 식(2)를 참조하면, 이격 거리(X)의 변화량은 기온(T)의 변화량으로부터 이론적으로 계산할 수 있게 되며, 다음의 식(3)과 같다.
Figure 112008031025889-pat00003
····식(3)
△X는 이격 거리(X)의 변화량, n은 활차비, C는 전차선 선팽창 계수, L은 전차선의 길이, △T는 기온(T)의 변화량이다. 활차비, 전차선의 선팽창 계수 및 전차선의 길이는 미리 정해진 상수이므로, 기온(T)의 변화량(△T)을 알면 수학적으로 이격 거리(X)의 변화량(△X)을 이론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한 수학식의 관계를 테이블로서 메모리에 저장해두서 테이블을 참조하여 이론적인 거리(X)의 변화량을 테이블 룩업으로 찾을 수도 있다.
단계 S15에서는 측정 이격거리(X)의 변화량과 예상 이격거리(X)의 변화량을 비교하여 판단한다. 측정 이격거리(X)의 변화량이 예상 이격거리(X)의 변화량에 비하여 일정 수준이하의 작은 값을 나타낸다면, 일단, 어떤 원인에 의해서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단계 S15에서 측정 이격거리(X)의 변화량이 예상 이격거리(X)의 변화량에 비하여 일정 수준 이하의 작은 값이라면 단계 S17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다면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에서는 다음의 측정 주기까지 일정시간 대기하며, 단계 S17에서는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일단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18에서는 이를 보고한다. 단계 S12 내지 단계 S17은 현장 단말장치(60)가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 형태로서 현장 단말 장치(60)는 측정된 기온(T) 및 이격거리(X)를 원격지의 서버에 보고하고 원격지의 서버가 단계 S12 내지 S17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이 전차선의 이상 징후를 미리 경보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이 전차선의 이상 징후를 미리 경보하는 방법은 현재 장력추(42)의 이격 거리(X)와 예상되는 장력추(42)의 이격 거리(X)를 대비하여 판단한다. 전차선을 가설하고 자동 장력조정장치를 설치할 때에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엄격한 규격서에 따라서 정밀하게 설치하게 된다. 특정한 기온(T)에서 장력추(42)의 이격 거리(X)는 상기 규격서에 따라 미리 표준값으로 정해져 있고 그에 따라 전차선 및 자동 장력조정장치가 설치된다. 그런데, 전차선의 가설과 자동 장력조정장치의 설치 후, 영구신장조성(pre-stretch) 미시행, 전차선 재료의 불량으로 기온과 무관하게 전차선이 늘어지거나, 전차선의 마모로 인해서 전차선이 늘어질 수 있다. 그렇다면, 측정된 장력추(42)의 이격 거리(X)와, 기온(T)에 따라 표준으로 설정된 이격 거리(X)(이하 '표준 이격 거리(X)'라 한다)를 비교함으로써, 전차선 이상 징후를 미리 경보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20에서는 각종 초기화를 수행하게 된다. 계산 및 판단에서 요구되는 각종 기본 파라미터와 데이터를 셋팅하는 과정, 각종 조건을 설정하는 과정 등이 있을 수 있다.
단계 S21에서는 현재 기온(T)을 측정하고 현재 장력추의 이격 거리(X)(이하 '측정 이격 거리(X)'라 한다)를 측정한다. 현재 기온(T)과 현재 장력추의 이격 거리(X)를 측정하는 것은 현장 단말 장치(60)의 명령에 의할 수도 있고, 온도센서 부(80) 및 거리 측정 센서부(70)가 정해진 시간에 스스로 측정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이격 거리(X)는 도 2에 따르면, 상부 지지구(48)로부터 장력추(42)의 상단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한 기준 점으로부터 장력추(42)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 수 있는 거리이면 무엇으로 해도 좋다.
단계 S22에서 현장 단말 장치(60)는 측정된 기온(T) 및 이격 거리(X)를 메모리(63)에 저장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현장 단말 장치(60)의 메모리(63)에 저장하는 것으로 하나, 다른 실시 형태로서 현장 단말 장치(60)에 저장하지 않고 원격지의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단계 S23에서 상기 측정된 기온(T)으로부터 장력추의 표준 이격거리(X)를 계산한다. 식(1)과 식(2)로부터 이격 거리(P)를 먼저 계산하고 이격 거리(P)로부터 이격 거리(X)를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측정된 기온(T)으로부터 장력추의 표준 이격거리(X)를 계산하지 않고, 미리 기온(T)에 해당하는 표준 이격거리(X)의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을 룩업하여 상기 측정된 기온(T)으로부터 표준 이격거리(X)를 구할 수도 있다. 한편, 전차선과 자동 장력조정장치를 설치할 때, 정확히 규격서가 요구하는 대로 설치되지 않고 설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이때에는 기온(T)에 따른 표준 이격 거리(X)의 수식이나 테이블에 상기 설치 오차를 반영하여 수식이나 테이블을 각 전차선 구간별로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24에서는 측정 이격거리(X)와 표준 이격거리(X)를 비교한다. 양자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허용범위 안에 있으면 정상인 것으로 하고 그 차이가 허용범위 를 벗어나면 비정상으로 판단한다. 단계 S24의 판단 결과 정상이면 단계 S25로 진행하며, 비정상이면 단계 S26으로 진행한다.
단계 S25에서는 다음의 측정 시점까지 일정시간을 대기하도록 하며, 단계 S26에서는 보고토록 한다. 단계 S26의 보고는 현장 단말 장치가 직접 단계 S22 내지 단계 S25를 수행하는 방식이면, 현장 단말 장치(60)가 원격지의 서버에 보고하는 것을 의미하며, 원격지의 서버가 단계 S22 내지 단계 S25를 수행하는 방식이면,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경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S22 내지 단계 S26는 현장 단말 장치(60)가 직접 모두 수행할 수도 있고, 다른 실시 형태로서 원격지의 서버가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이 전기 선로의 이상를 경보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전차선이 외력에 의해 끊어지거나 조류, 이물질 등에 의해 쇼트되어 끊어지는 경우에는 장력추(42)가 급격히 하강하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차선(32) 및 조가선(34) 중에서 한 선만 단선되는 경우에는, 와이어a(49)의 장력을 끊어지지 않은 나머지 선이 잡아 주게 되어 장력추(42)가 하부지지대(47)까지는 처지지 않고 일정량 만큼만 처지게 될 수 있다. 또한 전차선(32) 및 조가선(34)이 모두 단선되거나 와이어a(49)가 단선되더라도 활차내의 스토퍼가 작동하여 장력추(42)가 하부지지대(47)까지는 처지지 않고 일정량 만큼만 처지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하부지지대 근방을 감시하고 있는 종래의 위치 센서(51)는 이를 경보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는 단 시간내에 장력추(42)의 급격한 위치 변동이 있는지를 감시하여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단계 S30에서는 각종 초기화를 수행하게 된다. 계산 및 판단에서 요구되는 각종 기본 파라미터와 데이터를 셋팅하는 과정, 각종 조건을 설정하는 과정 등이 있을 수 있다.
단계 S31에서는 현재 장력추의 이격 거리(X)를 측정한다. 현재 장력추의 이격 거리(X)를 측정하는 것은 현장 단말 장치(60)의 명령에 의할 수도 있고, 거리 측정 센서부(70)가 정해진 시간에 스스로 측정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이격 거리(X)는 도 2에 따르면, 상부 지지구(48)로부터 장력추(42)의 상단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한 기준 점으로부터 장력추(42)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 수 있는 거리이면 무엇으로 해도 좋다.
단계 S32에서 현장 단말 장치(60)는 측정된 이격 거리(X)를 메모리(63)에 저장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현장 단말 장치(60)의 메모리(63)에 저장하는 것으로 하나, 다른 실시 형태로서 현장 단말 장치(60)에 저장하지 않고 원격지의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단계 S33에서 일정 시간 간격만큼 이전에 측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이격 거리(X)와 현재 측정된 이격 거리(X)를 비교하여 그 변화량(이하 '이격 거리(X)의 변화량'이라 한다)을 계산한다.
단계 S34에서는 이격거리(X)의 변화량이 허용되는 범위내에 있는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격거리(X)의 변화량이 허용되는 범위는 상기 일정 시간 간격 동안에 가능한 기온(T)의 가장 급격한 변화에 따라 가능한 가장 급격한 이격거리(X)의 변화량보다는 크게 되도록 한다. 측정의 주기가 되는 일정 시간 간격을 작게 잡으면, 가능한 가장 급격한 이격거리(X)의 변화량은 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변화량보다 큰 값이면, 전차선(32), 조가선(34), 또는 와이어a(49)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단계 S34의 판단결과, 허용 범위 내에 있으면 단계 S35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 S36으로 진행한다.
단계 S35에서는 다음의 측정 시점까지 일정시간을 대기하도록 하며, 단계 S36에서는 보고토록 한다. 단계 S36의 보고는 현장 단말 장치가 직접 단계 S32 내지 단계 S35를 수행하는 방식이면, 현장 단말 장치(60)가 원격지의 서버에 보고하는 것을 의미하며, 원격지의 서버가 단계 S32 내지 단계 S35를 수행하는 방식이면,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경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S32 내지 단계 S36은 현장 단말 장치(60)가 직접 모두 수행할 수도 있고, 다른 실시 형태로서 원격지의 서버가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활차식 자동 장력조정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이 설치된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현장 단말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이 자동 장력조정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이 전차선의 이상 징후를 미리 경보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격 감시 시스템이 전기 선로의 이상을 경보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Claims (10)

  1. 임의의 기준 점으로부터 장력추의 상대적인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센서부(70);
    기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부(80);
    상기 거리 측정 센서부(7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격 거리를 도출하고, 상기 온도 센서부(8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온을 도출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기 이격 거리의 변화량과 상기 기온의 변화량으로부터 자동 장력조정장치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되, (i)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기온의 변화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격 거리에 변화량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자동 장력조정장치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원격지에 보고하거나, 또는 (ii) 상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기 이격 거리의 변화량이, 상기 기온의 변화량에 따라 미리 예상할 수 있는 상기 이격 거리의 변화량에 비하여 일정 수준 이하로 작은 경우 상기 자동 장력조정장치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원격지에 보고하는, 현장 단말 장치(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2. 임의의 기준 점으로부터 장력추의 상대적인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센서부(70);
    기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부(80);
    상기 거리 측정 센서부(7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격 거리를 도출하고, 상기 온도 센서부(8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온을 도출하여 원격지로 전송하는 현장 단말 장치(60);
    상기 원격지에 설치되며, 상기 현장 단말 장치(60)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격 거리와 상기 기온에 있어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기 기온의 변화량과 상기 이격 거리의 변화량으로부터 자동 장력조정장치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되, (i)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기온의 변화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격 거리에 변화량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자동 장력조정장치의 이상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ii) 상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기 이격 거리의 변화량이, 상기 기온의 변화량에 따라 미리 예상할 수 있는 상기 이격 거리의 변화량에 비하여 일정 수준 이하로 작은 경우 상기 자동 장력조정장치의 이상으로 판단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임의의 기준 점으로부터 장력추의 상대적인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센서부(70);
    상기 거리 측정 센서부(7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격 거리를 도출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기 이격 거리의 변화량이, 기온의 가장 급격한 변화에 따라 가능한 이격거리의 변화량보다 크면 전기선로의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원격지에 보고하는 현장 단말 장치(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9. 임의의 기준 점으로부터 장력추의 상대적인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센서부(70);
    상기 거리 측정 센서부(70)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격 거리를 도출하여 원격지로 전송하는 현장 단말 장치(60);
    상기 원격지에 설치되며, 상기 현장 단말 장치(60)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격 거리에 있어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기 이격 거리의 변화량이, 기온의 가장 급격한 변화에 따라 가능한 이격 거리의 변화량보다 크면 전기선로의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10. 삭제
KR1020080040127A 2008-04-29 2008-04-29 전차선 및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853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127A KR100853100B1 (ko) 2008-04-29 2008-04-29 전차선 및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127A KR100853100B1 (ko) 2008-04-29 2008-04-29 전차선 및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688A Division KR20090114296A (ko) 2008-07-01 2008-07-01 전차선 원격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100B1 true KR100853100B1 (ko) 2008-08-19

Family

ID=39878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127A KR100853100B1 (ko) 2008-04-29 2008-04-29 전차선 및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10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248B1 (ko) 2013-12-30 2016-03-17 (주)동원전력개발 전차선 장력조정장치 및 방법
KR101665523B1 (ko) 2015-04-22 2016-10-13 (주)태성로직스 장력조정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05297A (ko) 2015-07-02 2017-01-12 한국철도공사 전차선 자동장력조정장치 장력추 상하부 위치감지시스템
KR101997100B1 (ko) * 2019-02-28 2019-07-05 유충희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KR20190093756A (ko) 2018-01-11 2019-08-12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만물 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스프링식 자동장력조정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CN111907377A (zh) * 2020-08-10 2020-11-10 国网四川省电力公司宜宾供电公司 一种接触网固定架线缆张紧装置及其控制警报系统
GB2600986A (en) * 2020-11-16 2022-05-18 Hastec Rail Ltd Balance weight monitoring
GB2623403A (en) * 2020-11-16 2024-04-17 Hastec Rail Ltd Balance weight monito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320B1 (ko) * 1999-10-16 2002-05-13 김병두 전기설비의 원격감시제어시스템
KR100366397B1 (ko) * 2000-03-03 2003-01-09 한국도로공사 교량 상태진단을 위한 자동 계측시스템
KR100493546B1 (ko) * 2002-09-25 2005-06-07 (주) 테라웨이브 전차선 원격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320B1 (ko) * 1999-10-16 2002-05-13 김병두 전기설비의 원격감시제어시스템
KR100366397B1 (ko) * 2000-03-03 2003-01-09 한국도로공사 교량 상태진단을 위한 자동 계측시스템
KR100493546B1 (ko) * 2002-09-25 2005-06-07 (주) 테라웨이브 전차선 원격관리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248B1 (ko) 2013-12-30 2016-03-17 (주)동원전력개발 전차선 장력조정장치 및 방법
KR101665523B1 (ko) 2015-04-22 2016-10-13 (주)태성로직스 장력조정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05297A (ko) 2015-07-02 2017-01-12 한국철도공사 전차선 자동장력조정장치 장력추 상하부 위치감지시스템
KR20190093756A (ko) 2018-01-11 2019-08-12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만물 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스프링식 자동장력조정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997100B1 (ko) * 2019-02-28 2019-07-05 유충희 전차선용 장력 조절 장치
CN111907377A (zh) * 2020-08-10 2020-11-10 国网四川省电力公司宜宾供电公司 一种接触网固定架线缆张紧装置及其控制警报系统
CN111907377B (zh) * 2020-08-10 2021-08-31 国网四川省电力公司宜宾供电公司 一种接触网固定架线缆张紧装置及其控制警报系统
GB2600986A (en) * 2020-11-16 2022-05-18 Hastec Rail Ltd Balance weight monitoring
GB2600986B (en) * 2020-11-16 2023-09-27 Hastec Rail Ltd Balance weight monitoring
GB2623403A (en) * 2020-11-16 2024-04-17 Hastec Rail Ltd Balance weight monito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100B1 (ko) 전차선 및 자동 장력조정장치에 대한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785987B1 (ko) 실시간 압력계측형 송전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실시간 압력계측형 송전선 모니터링 방법
ES2357418T3 (es) Procedimiento para la supervisión de instalaciones de energía eólica.
KR101453301B1 (ko) 선로 전환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4296A (ko) 전차선 원격 감시 시스템
CA2758447C (en) Catenary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6297280B2 (ja) レール破断検知装置
KR101183587B1 (ko)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BR112017004795B1 (pt) sistemas de detecção de trilhos interrompidos para uma porção de uma via férrea e método para detectar trilhos interrompidos em uma porção de uma via férrea
KR100979520B1 (ko) 지상부전차선 장력조정상태 검사장치
KR20120059892A (ko) 항공장애등 점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공장애등 점검 시스템
KR20200000187A (ko) 장력 조정 장치
CN109443427A (zh) 一种无线通信检测接触网定位器状态预警系统及方法
CN108291526A (zh) 输出用于风能设备或风电场的控制指令或事件通知的方法以及用于此的评估装置和系统
CN110686726A (zh) 一种用于装配式梁桥的可移动式快速化监测系统
KR101288608B1 (ko) 압전소자를 포함한 전력발생기를 이용한 철도차량의 다기능 검지장치
KR101192218B1 (ko) 장력 조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US202102193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line monitoring
EP3835169B1 (en) System, method, and railway vehicle for monitoring a contact wire of an overhead power supply line
JP6033571B2 (ja) 変位計測用センサノード、および、変位計測用センサノードによる変位量計測方法
EP3666710B1 (en) Safety system based on hoistway access detection
KR100950324B1 (ko) 철도레일 신축이음매장치 변위 검지 시스템
KR101303320B1 (ko) 항공장애등 점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공장애등 점검 시스템
CN207245034U (zh) 一种膜结构表面积雪检测与清除系统
CN114740307A (zh) 一种柔性接触网状态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