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500A -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500A
KR20240007500A KR1020220084486A KR20220084486A KR20240007500A KR 20240007500 A KR20240007500 A KR 20240007500A KR 1020220084486 A KR1020220084486 A KR 1020220084486A KR 20220084486 A KR20220084486 A KR 20220084486A KR 20240007500 A KR20240007500 A KR 20240007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lamp
steel tower
steel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4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500A/ko
Publication of KR20240007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4Devices or coupling-pieces designed for easy formation of adjustable loops, e.g. choker hooks; Hooks or eyes with integral parts designed to facilitate quick attachment to cables or ropes at any point, e.g. by forming loops
    • F16G11/146E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락 방지를 위해 철탑에 체결되는 와이어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탑의 상부 및 하부의 산형강에 각각 설치되는 상단클램프 및 하단클램프와, 상단클램프와 하단클램프 사이에 설치되며 와이어 끼움걸이가 구비되는 중간클램프와, 와이어 끼움걸이를 거쳐 양단이 상단클램프 및 하단클램프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단클램프는 와이어의 상단이 삽입되어 압착 고정되는 슬리브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PREVENTING STEEL TOWER FALL}
본 발명은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추락 방지를 위해 철탑에 체결되는 와이어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탑은 송전탑과 같이 고압전선이나 통신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물로서, 케이블의 설치 또는 기타 유지 보수로 인한 고소 작업시 작업자가 직접 올라가 작업을 하는 철재 타워(Tower)를 말한다.
철탑은 다수의 철재 앵글(Angle)이 트러스(Truss) 구조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철탑의 상부 측에 주로 전선이 연결된다. 이러한 철탑은 보통 지면으로부터 수십미터의 높이를 가지며, 이에 따라 철탑의 상부 측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항상 추락의 위험을 안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철탑 추락 방지 장치가 요구된다.
일 예로서, 철탑 추락 방지 장치는 철탑에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체결장치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몸에 장착된 안전고리를 와이어에 연결하여 움직임으로써, 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가 작업 중 추락하더라도 와이어에 걸려 낙하하지 않고 매달려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철탑(1)의 상단에는 상부클램프(10)가 설치되고, 상부클램프(10)의 하부클램프 본체(11)는 철탑의 산형강(2)에 고정장착되고, 클램프 본체(11)에 연결되는 상부 와이어 연결고리(12)에 와이어(40)가 장착된다.
철탑(1)의 중간에는 일정간격으로 수직중간클램프(20)가 설치되고, 수직중간클램프 본체(21)는 산형강(3)에 고정장착되고, 수직중간클램프 본체(21)에는 추락방지고리(22)가 설치된다.
철탑(1)의 하단에는 하부클램프(30)가 설치되고, 하부클램프(30)의 하부클램프 본체(31)는 철탑의 산형강에 고정장착되고, 하부클램프 본체(31)에는 하부 와이어 연결고리(32)가 장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40)는 상부 와이어 연결고리(12)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부 와이어 연결고리(32)에 하단이 연결되며, 수직중간클램프(20)의 추락방지고리(22)를 관통하여 위치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철탑의 추락방지장치의 요소인 수직중간클램프(20)에 대한 설치 사진이다.
도 2는 와이어(40)가 바람에 의해 진동함에 따라 수직중간클램프(20)의 추락방지고리(22)와 접촉하면서 와이어(40)가 손상됨을 보여주고 있다. 와이어(40)가 철탑(1)의 상단과 하단에 팽팽하게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바람이나 철탑의 진동 등 주변환경의 영향에 의해 현과 같이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40)와 추락방지고리(22) 사이에 반복적으로 마찰이 발생하게 되어, 와이어(40) 손상에 따른 작업자의 추락 사고 발생 위험이 있다. 아울러, 장시간 사용시 와이어(40)의 장력이 저하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해치게 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와이어(40)의 장력 저하나 손상 발생시, 와이어(40)의 장력을 조절하거나 새 와이어(40)로 교체하는 등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종래의 경우 장력 조절이나 교체를 위한 와이어(40) 분리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철탑에 고정 설치된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탑에 고정 설치된 클램프로부터 와이어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철탑의 상부 및 하부의 산형강에 각각 설치되는 상단클램프 및 하단클램프; 상기 상단클램프와 상기 하단클램프 사이에 설치되며 와이어 끼움걸이가 구비되는 중간클램프; 상기 와이어 끼움걸이를 거쳐 양단이 상단클램프 및 하단클램프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클램프는, 상기 와이어의 상단이 삽입되어 압착 고정되는 슬리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단클램프는, 철탑 상부의 산형강에 결합되는 클램프부재와, 상기 클램프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슬리브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상단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단클램프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와이어가 상기 하단클램프를 거쳐 소정 길이만큼 다시 상부로 연장된 후, 고리 모양으로 감겨 예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단클램프는, 철탑 하부의 산형강에 결합되는 하단브라켓과, 상기 하단브라켓의 일측에 탄성 지지되는 와이어 고정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의 하단부가 상기 와이어 고정고리의 고리홀부를 관통하여 결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단클램프는, 철탑 하부의 산형강에 결합되는 하단브라켓과, 상기 하단브라켓의 일측에 탄성 지지되는 와이어 고정고리와, 상기 와이어 고정고리의 고리홀부에 일단이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장력 조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의 하단부가 상기 다수 개의 체결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와이어의 장력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 의하면, 와이어의 상단이 슬리브부재에 압착 고정되므로, 필요시 슬리브부재로부터 와이어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 의하면, 장력 조절부재를 따라 와이어의 하단부를 승강시켜 체결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의 장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 의하면, 와이어 길이의 여유분으로 예비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상된 와이어 구간을 절단한 후 절단된 길이만큼 예비부를 풀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에 의하면, 와이어의 상하 양단이 상단클램프와 하단클램프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와이어의 손상이나 장력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수직중간클램프와 와이어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단클램프의 측면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단클램프의 측면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단클램프의 정면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단클램프의 측면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단클램프의 정면 확대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이하, '안전장치')(100)는, 철탑(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단클램프(200)와, 철탑(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단클램프(300)와, 상단클램프(200)와 하단클램프(300)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클램프(400)와, 상단클램프(200)로부터 중간클램프(400)를 거쳐 하단클램프(300)에 연결되는 와이어(500)를 포함한다.
상단클램프(200)는 철탑(1) 상부의 산형강(2)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클램프(300)는 철탑(1) 하부의 산형강(3)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중간클램프(400)는 상단클램프(200)와 하단클램프(300) 사이, 예컨대 철탑(1) 중간부의 산형강(4)에 고정 설치되는데, 와이어(500)가 관통하여 지나가도록 일측에 원호 형태로 절곡된 와이어 끼움걸이(410)가 형성된다.
와이어(500)는 상단클램프(200)에 상단이 결합되며, 중간클램프(400)의 와이어 끼움걸이(410)를 지나 하부로 연장된다. 와이어(500)의 하단은 하단클램프(300)에 결합되는데,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고정고리(320)의 고리홀부(322)를 관통하여 결속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단클램프의 측면 확대도이며, 상단클램프(200)에 의해 와이어(500)의 상단이 탄성 지지된다.
여기서, 상단클램프(200)는, 철탑(1) 상부의 산형강(2)에 결합되는 클램프부재(210)와, 클램프부재(210)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는 상단브라켓(220)과, 상단브라켓(220)의 타단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결합되는 슬리브부재(230)와, 상단브라켓(220)과 슬리브부재(230) 사이에 개재되어 슬리브부재(230)를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240)을 포함한다.
이때, 클램프부재(210)는, 'ㄱ'자 형태로 절곡된 산형강(2)의 폭 방향 양단에 상호 대칭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프(211)와, 한 쌍의 클램프(211)를 관통하여 도면상 경사지게 결합되는 롱볼트(212)를 포함한다.
상단브라켓(220)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이며, 상단브라켓(220)의 일단이 클램프(211) 외측으로 돌출된 롱볼트(212)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단브라켓(220)의 타단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단브라켓(220)의 타단을 수직 관통하도록 슬리브부재(230)가 결합된다. 슬리브부재(230)는 상단브라켓(220)의 타단을 관통하는 본체부(231)와, 본체부(231)의 하단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걸림부(232)와, 걸림부(232)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홈(233)이 형성되는 압착고정부(234)를 포함하며, 와이어(500)의 상단이 압착고정부(234)의 삽입홈(233)으로 삽입되어 압착, 고정된다. 이에 따라, 압착고정부(234)의 외측면에는 압착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 개의 압착홈(234a)이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처럼 와이어(500)가 슬리브부재(230)의 삽입홈(233)에 삽입되어 압착, 고정됨에 따라, 필요시 슬리브부재(230)로부터 와이어(500)를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와이어(500)의 손상된 일부 구간을 절단한 후 남은 구간을 다시 슬리브부재(230)에 재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단브라켓(220)의 상측에는 슬리브부재(230)를 탄성 지지하도록 코일스프링 형태의 제1 스프링(240)이 설치된다. 이때, 제1 스프링(240)의 하단은 상단브라켓(220)의 상측에 지지되며, 상단은 슬리브부재(230)의 본체부(231)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등의 스토퍼부재(250)에 의해 지지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슬리브부재(230)의 삽입홈(233)에 상단이 압착, 고정된 와이어(500)는 중간클램프(400)의 와이어 끼움걸이(410)를 지나 하부로 연장된다. 일 예로서, 중간클램프(400)는 철탑(1)의 산형강(4)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철탑(1)의 외측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간클램프(400)의 타단은 고리 형태로 절곡되어 와이어 끼움걸이(4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단클램프의 측면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단클램프의 정면 확대도이다.
와이어 끼움걸이(410)를 지나 하부로 연장된 와이어(500)의 하단은 하단클램프(300)를 거쳐 소정 길이만큼 다시 상부로 연장된 후 결속된다.
여기서, 하단클램프(300)는, 철탑(1) 하부의 산형강(3)에 결합되는 하단브라켓(310)과, 하단브라켓(310)의 일측에 탄성 지지되는 와이어 고정고리(320)를 포함하며, 와이어(500)의 하단은 와이어 고정고리(320) 상단의 고리홀부(322)를 관통하여 상향 연장된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 클립(600)에 의해 결속된다.
이때, 하단브라켓(310)은 'ㄴ'자 형태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311)와, 강도 보강을 위해 몸체(311)의 양측에 비스듬하게 경사져서 결합되는 한 쌍의 보강프레임(3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단브라켓(310)의 몸체(311)는, 산형강(3)에 결합되는 수직부(311a)와, 수직부(311a)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수평부(311b)를 포함하며, 하단브라켓(310)의 몸체(311)를 관통하여 와이어 고정고리(320)가 수직하게 결합된다.
와이어 고정고리(320)는 하단브라켓(310)의 수평부(311b)를 관통하는 삽입부(321)와, 삽입부(321)의 상단에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고리홀부(322)를 포함하며, 와이어(500)의 하단이 고리홀부(322)를 관통하여 상향 연장된 후, 와이어 클립(600)에 의해 결속된다. 이때, 와이어(500)는 하향 연장된 하단부가 절곡되어 다시 상향 연장되면서 고리부(510)를 형성하며, 이 고리부(510)는 고리홀부(322)에 결합된 말굽 형태의 절연부(700)를 둘러 상향 연장될 수 있다.
한편, 하단브라켓(310)의 하측에는 와이어 고정고리(320)를 탄성 지지하도록 코일스프링 형태의 제2 스프링(330)이 설치된다. 제2 스프링(330)의 상단은 하단브라켓(310)의 하측에 지지되며, 하단은 와이어 고정고리(320)의 삽입부(321)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등의 스토퍼부재(340)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500)의 하단부가 제2 스프링(330)이 설치된 하단브라켓(310)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와이어(500)의 상단은 제1 스프링(240)이 설치된 상단브라켓(22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50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제1,제2 스프링(240,330)의 탄성력에 의해 그 충격이 흡수되어, 와이어(500)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500)의 하단은 와이어 고정고리(320)의 고리홀부(322)를 관통하여 소정 길이 상향 연장되며, 이렇게 상향 연장된 소정 길이의 와이어(500)는 고리 모양으로 감긴 후 결속구(800)에 의해 결속되어 예비부(520)를 형성한다. 즉, 상단클램프(200)로부터 하단클램프(300)까지 연결된 와이어(500)의 길이 여유분을 고리 모양으로 감아서 똬리 형태의 예비부(520)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와이어(500) 손상시 손상된 부분을 절단하고, 절단된 길이만큼 예비부(520)의 와이어를 풀어서 다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전히 새로운 와이어(500)로 교체하지 않고, 기존 와이어(500)의 여유분을 재사용함으로써, 안전장치(100)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단클램프의 측면 확대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단클램프의 정면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100a)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구성이 유사하며, 다만, 하단클램프(300a)에 와이어(500)의 장력 조절을 위한 장력조절부재(350)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100a)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100a)는 와이어 고정고리(320)의 고리홀부(322)에 장력조절부재(350)의 하단이 결합되고, 장력조절부재(350)의 상단에는 와이어(500)의 하단부가 결합된다.
이때, 장력조절부재(350)는 한 쌍의 플레이트부재(351)와, 플레이트부재(3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홀(3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플레이트부재(351)의 하단부에 4개의 하부 체결홀(352)이 관통 형성되고, 상단부에 4개의 상부 체결홀(352)이 관통 형성되며, 하부 체결홀(352) 그룹과 상부 체결홀(352) 그룹이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하부 체결홀(352)과 상부 체결홀(352)의 배치, 체결홀(352)의 개수나 직경 등의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한 쌍의 플레이트부재(351)는 하단이 와이어 고정고리(320)의 고리홀부(322) 양면에 각각 덧대어져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 체결홀(352)과 와이어 고정고리(320)의 고리홀부(322)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353)에 의해 결합된다. 즉, 하부 체결홀(352)과 고리홀부(322)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부재(353)에 의해, 와이어 고정고리(320)와 장력조절부재(35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한 쌍의 플레이트부재(351)의 상단은 와이어(500)의 고리부(510) 양면에 각각 덧대어져 상호 대향하며, 상부 체결홀(352)과 와이어(500)의 고리부(51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354)에 의해 결합된다. 즉, 상부 체결홀(352)과 고리부(510)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부재(354)에 의해, 와이어(500)와 장력조절부재(35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와이어(500)의 장력 조절이 필요한 경우, 장력조절부재(350)의 체결홀(352)을 따라 와이어(500)의 고리부(510) 또는 와이어 고정고리(320)의 고리홀부(322) 체결 위치를 옮김으로써 와이어(500)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느슨해진 와이어를 다시 팽팽하게 연결하기 위해, 와이어(500)의 고리부(510)를 아래쪽으로 잡아당겨 원래의 체결홀(352)보다 더 아래쪽의 체결홀(352)에 체결하거나, 장력조절부재(350)를 아래쪽으로 내려 와이어 고정고리(320)의 고리홀부(322)가 원래의 체결홀(352)보다 더 위쪽의 체결홀(352)에 체결되게끔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100a)의 경우에도,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처럼 와이어(500)가 상단클램프(200)와 하단클램프(300a)의 제1,제2 스프링(240,330)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와이어(500)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와이어(500) 하단부의 길이 여유분으로 고리 모양의 예비부(520)를 형성해 둠으로써, 와이어(500)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100a :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200 : 상단클램프 210 : 클램프부재
220 : 상단브라켓 230 : 슬리브부재
233 : 삽입홈 234 : 압착고정부
240 : 제1 스프링 300, 300a : 하단클램프
310 : 하단브라켓 320 : 와이어 고정고리
321 : 삽입부 322 : 고리홀부
330 : 제2 스프링 350 : 장력조절부재
351 : 플레이트부재 352 : 체결홀
400 : 중간클램프 410 : 와이어 끼움걸이
500 : 와이어 510 : 고리부
520 : 예비부 600 : 와이어 클립
700 : 절연부 800 : 결속구

Claims (5)

  1. 철탑의 상부 및 하부의 산형강에 각각 설치되는 상단클램프 및 하단클램프;
    상기 상단클램프와 상기 하단클램프 사이에 설치되며 와이어 끼움걸이가 구비되는 중간클램프;
    상기 와이어 끼움걸이를 거쳐 양단이 상단클램프 및 하단클램프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클램프는, 상기 와이어의 상단이 삽입되어 압착 고정되는 슬리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클램프는, 철탑 상부의 산형강에 결합되는 클램프부재와, 상기 클램프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슬리브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상단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클램프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와이어가 상기 하단클램프를 거쳐 소정 길이만큼 다시 상부로 연장된 후, 고리 모양으로 감겨 예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클램프는, 철탑 하부의 산형강에 결합되는 하단브라켓과, 상기 하단브라켓의 일측에 탄성 지지되는 와이어 고정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의 하단부가 상기 와이어 고정고리의 고리홀부를 관통하여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클램프는, 철탑 하부의 산형강에 결합되는 하단브라켓과, 상기 하단브라켓의 일측에 탄성 지지되는 와이어 고정고리와, 상기 와이어 고정고리의 고리홀부에 일단이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장력 조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의 하단부가 상기 다수 개의 체결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와이어의 장력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KR1020220084486A 2022-07-08 2022-07-08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KR20240007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486A KR20240007500A (ko) 2022-07-08 2022-07-08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486A KR20240007500A (ko) 2022-07-08 2022-07-08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500A true KR20240007500A (ko) 2024-01-16

Family

ID=8971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486A KR20240007500A (ko) 2022-07-08 2022-07-08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75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866B1 (ko) 산형강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KR101666993B1 (ko)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KR102466376B1 (ko) 장력 표시부가 구비된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KR102344183B1 (ko)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KR101129399B1 (ko) 낙석 방지망
KR102491957B1 (ko) 충돌방지를 위한 가공배전선 간격 유지기구
KR20240007500A (ko)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KR102548346B1 (ko)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CN110420408B (zh) 一种高空作业安全导索组件以及高空作业安全导索系统
WO1997007579A1 (en) Suspension clamp for hanging the wires of high-voltage open cables on a support structure
CN111276924B (zh) 一种能够自适应的杆塔导地线张力释放装置
CN101420103A (zh) 防绕击避雷针及其安装工具
CN214069523U (zh) 一种输电线路防振装置
CN210542957U (zh) 一种安全导索组件以及安全导索系统
KR101622711B1 (ko) 스마트 하강수단이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의 케이블장치
KR102643852B1 (ko) 양방향 연결형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CN113202319A (zh) 一种车间高空作业用生命线以及安装方法
KR102599053B1 (ko) 변압기용 추락방지시스템
KR102599062B1 (ko) 변압기용 추락방지시스템
CN217334999U (zh) 一种用于低压导线的固定支架
KR101459343B1 (ko)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CN218386700U (zh) 一种防止胶瓦振动位移的新型分裂导线间隔棒
CN214543535U (zh) 一种保护导线外皮的街码
CN216904228U (zh) 一种电力输送铁塔的架空地线保护角
CN220954587U (zh) 一种简易的立杆双道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