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933A -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933A
KR20230098933A KR1020210187909A KR20210187909A KR20230098933A KR 20230098933 A KR20230098933 A KR 20230098933A KR 1020210187909 A KR1020210187909 A KR 1020210187909A KR 20210187909 A KR20210187909 A KR 20210187909A KR 20230098933 A KR20230098933 A KR 20230098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lamp
wire rope
clamp panel
safet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콤
Priority to KR102021018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8933A/ko
Publication of KR20230098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9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8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5Vertical life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56Horizontal lif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구조물을 이루는 'ㄱ'자 채널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편평한 패널을 절곡하여 형성되고, 수평으로 놓이는 채널의 외표면에 맞닿는 제1 부분, 제1 부분으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부분 및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안전 와이어 로프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3 부분을 갖추는 것인 제1 클램프 패널, 편평한 패널을 절곡하여 형성되고, 수직으로 놓이는 패널의 외표면에 맞닿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클램프 패널의 제2 부분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 부분을 갖추는 것인 제2 클램프 패널, 및 제1 클램프 패널과 제2 클램프 패널의 제2 부분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볼트와 제1 클램프 패널과 제2 클램프 패널의 제2 부분의 반대측 표면에서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제1 클램프 패널과 제2 클램프 패널이 서로 당겨지는 인장력이 인가되어 제1 클램프 패널과 제2 클램프 패널이 채널에 고정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Device for Fixing a Safety Wire Rope to a Structure}
이 발명은 안전 와이어 로프를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송전탑과 같은 구조물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와이어 로프의 일단을 구조물을 이루는 채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을 전송하는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을 높은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송전탑은 철제 채널을 가로, 세로 및 대각선으로 결합하여 형성하는 구조물이고, 이 구조물의 상단측에는 송전선 등이 지지된다.
송전탑이나 송전선 등의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송전탑의 높은 위치에 올라가 작업을 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송전탑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설치하고, 작업자와 안전 와이어 로프 사이에 안전 죔줄을 설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이러한 안전 와이어 로프는 송전탑에서 수직 및 수평으로 설치되는데, 안전 와이어 로프의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 장치들이 송전탑을 이루는 채널에 고정 결합되고, 안전 와이어 로프는 양 단부가 각각 고정 장치에 결합되어 송전탑에 설치된다.
작업자가 송전탑으로부터 추락하는 경우에, 추락에 따른 하중은 안전 와이어 로프를 통하여 고정 장치에 전달되므로, 고정 장치는 작업자의 추락에 따른 충격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고, 충격이나 진동 등의 요인에 의해 송전탑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와 안정성을 가지고 송전탑의 채널에 고정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39623호(문헌 1)에서는 철탑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그러한 장치에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로프를 가이드하는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문헌 1에서 개시하는 가이드 장치는 철탑을 이루는 수평 부분과 수직 부분을 갖춘 'ㄱ'자 채널의 양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클램프 및 클램프 사이에서 클램프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볼트를 갖추고, 볼트의 양단은 각각의 클램프의 외측면에서 너트가 체졀되어 한쌍의 클램프에 인장력을 가하여 클램프를 채널에 고정하여 준다.
일측의 클램프의 단부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와이어 로프가 관통하는 고리가 부착되어 있어서, 와이어 로프가 철탑의 채널의 위치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가이드된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202866호(문헌 2)에서는 철탑의 트러스 구조를 이루는 'ㄱ'자 채널의 양단에 장착되는 와이어 클램프를 개시하고 있다.
문헌 2에서 개시하는 와이어 클램프는 문헌 1의 가이드 장치의 구조를 그대로 차용하여 채널의 양 단부에 맞닿아 놓이는 한 쌍의 클램프 및 볼트를 구비하고, 하나의 클램프에는 와이어 로프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리를 갖춘 부재가 고정된다.
이러한 문헌 1 및 문헌 2에 따른 가이드 장치나 고정 장치는 서로 동일한 형상의 클램프 요소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볼트에 의해 철탑의 채널에 결합되므로 조립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들 장치에서는 클램프 요소가 채널의 양 단부에만 접촉하여 지지되므로 클램프 요소 및 채널에는 충격 하중 등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므로, 채널이나 클램프 요소가 높은 강도와 강성을 갖도록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들 장치에서 사용하는 클램프 요소는 채널의 양면에 맞닿아 충격 하중을 지지하면서도 볼트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도록 특정의 형상과 체적으로 주조되어야 하므로 원가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중량 및 체적이 매우 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39623호 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202866호
이 발명은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해 송전탑과 같은 구조물 설치되는 안전 와이어 로프를 송전탑에 고정하는 고정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구조물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와이어 로프의 일단을 구조물을 이루는 채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구조물을 이루는 요소로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수평 부분의 단부에서 수직 하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ㄱ'자 채널에 손쉽게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제조가 용이하고 높은 강도와 강성을 가지면서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구성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이 발명의 해결 과제는 구조물을 이루는 'ㄱ'자 채널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안전 와이어 로프의 일단이 고정되는 것인 이 발명에 따른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 발명의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는,
편평한 패널을 절곡하여 형성되고, 수평으로 놓이는 채널의 외표면에 맞닿는 제1 부분, 제1 부분으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부분 및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안전 와이어 로프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3 부분을 갖추는 것인 제1 클램프 패널,
편평한 패널을 절곡하여 형성되고, 수직으로 놓이는 패널의 외표면에 맞닿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클램프 패널의 제2 부분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 부분을 갖추는 것인 제2 클램프 패널, 및
제1 클램프 패널과 제2 클램프 패널의 제2 부분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제1 클램프 패널과 제2 클램프 패널에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인장력을 인가하는 체결 수단
를 포함하고,
체결 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제1 클램프 패널과 제2 클램프 패널이 서로 당겨지는 인장력이 인가되어 제1 및 제2 클램프 패널의 제1 부분이 채널의 외측 표면에 압박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2개의 패널을 절곡하여 제1 및 제2 클램프 패널을 형성하고 이들 패널들 사이에 체결 수단에 의해 인장력을 인가함으로써 제1 및 제2 클램프 패널의 제1 부분이 채널의 외측 표면에 압박되어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고정 장치는 제1 및 제2 클램프 패널이 구조물을 이루는 패널을 표면에 서로 수직인 상태에서 접촉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체결 수단을 체결하는 작업에 의해 클램프 패널들 사이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클램프 패널의 제1 부분이 채널의 표면에 압박되어 지지된다.
클램프 패널들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체결 수단이 인가하는 인장력에 의해 서로에 대해 당겨지면서 채널의 표면에 밀착되므로, 클램프 패널들이 채널로부터 이탈할 우려가 없게 된다.
클램프 패널들은 편평한 패널을 절단하고 굴곡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마련되어 장치의 제조가 매우 용이하고 저렴하게 된다.
또한, 고정 장치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마련할 필요 없이 제1 클램프 패널을 연장한 제3 부분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조 원가가 저렴하고 제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 발명의 실시 양태로서, 제1 클램프 패널의 제3 부분은 제2 부분으로부터 굴곡되어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안전 와이어 로프의 단부가 관통하는 홀이 마련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클램프 패널의 제3 부분은 이 발명의 고정 장치로서 수평으로 돌출되고 여기에 안전 와이어 로프의 단부를 체결하는데, 제3 부분에 홀을 마련하여 안전 와이어 로프의 단부가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요소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제1 클램프 패널에 바로 안전 와이어 로프를 설치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요소를 설치하는 일이 없이 고정 장치에 결합하는 안전 와이어 로프에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에 따라 제1 클램프 패널의 제3 부분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굴곡함으로써 작용 하중의 방향에 맞추어 높은 인장 강도를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클램프 패널과 제2 클램프 패널의 제2 부분 사이에는 제1 클램프 패널과 제2 클램프 패널의 제2 부분 사이에는 체결 수단으로서 1개 또는 2개 이상의 볼트가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클램프 패널의 체결 수단을 제2 부분을 관통하는 볼트 및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고정 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볼트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제1 클램프 패널의 내측면에는 제1 부분으로부터 제3 부분까지 제1 클램프 패널의 표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보강 패널이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보강 패널은 클램프 패널이 굴곡되는 방향으로 놓이므로 고정 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클램프 패널의 강도와 강성을 높인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의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의 고정 장치가 송전탑을 이루는 'ㄱ'자 채널에 설치된 상태를 아래측으로부터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의 고정 장치가 송전탑을 이루는 'ㄱ'자 채널에 설치된 상태를 좌측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예의 고정 장치가 송전탑을 이루는 'ㄱ'자 채널에 설치되고 안전 와이어 로프가 각각 수평 및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이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안전 와이어 로프를 송전탑에 고정하는 고정 장치의 구성과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이 발명에 따른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고정 장치(100)는 송전탑을 이루는 'ㄱ'자형 채널(1)에 고정된다.
채널(1)은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부(2)와 수평부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굴곡되어 하측으로 배치되는 수직부(3)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를 갖고 배치된다.
고정 장치(100)는 채널의 수평부(1)의 외측 표면에 맞닿아 놓이는 제1 클램프 패널(10)과 수직부(2)의 외측 표면에 맞닿아 놓이는 제2 클램프 패널(20) 및 제1 클램프 패널(10)과 제2 클램프 패널(20) 사이에 인장력을 인가하여 이들을 서로 결합시켜서 채널(1)에 고정되게 해주는 2개의 볼트(31) 및 볼트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너트(32)로 이루어져 있다.
제1 클램프 패널(10)은 편평한 패널을 굴곡하여 형성되고, 굴곡 위치를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3개의 부분으로 구별된다.
제1 클램프 패널(10)은 채널의 수평부(2)의 외표면에 맞닿아 수평으로 놓이는 제1 부분(11), 제1 부분으로부터 45도의 경사각으로 하향 굴곡되어 제1 클램프 패널(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12), 제2 부분으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어 수평으로 놓이는 제3 부분(13) 및 제2 부분(12)과 제3 부분(13)의 하측 표면에서 폭방향 중심에 놓이는 보강 패널(15)로 이루어져 있다.
보강 패널(15)은 제2 부분(12)과 제3 부분(13)에 걸쳐 폭방향 중심에서 하측면에 수직으로 고정 배치되어 제1 클램프 패널(10)의 강도와 강성을 보강한다.
또한, 보강 패널의 일측 단부(151)는 제1 부분(11)쪽으로 돌출되고 제1 부분(11)에서 채널의 수평부(2)와 맞닿는 표면과 대향하여 채널의 수평부(2)의 하측면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채널의 수평부(2)는 제1 클램프 패널의 제1 부분(11)과 보강 패널(15) 사이에 놓이게 된다.
제2 클램프 패널(20)은 편평한 패널을 굴곡하여 형성되고, 굴곡 위치를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2개의 부분으로 구별된다.
제2 클램프 패널(20)은 채널의 수직부(3)의 외표면에 맞닿아 수직으로 놓이는 제1 부분(21)과 제1 부분으로부터 45도의 경사각으로 상향 굴곡되어 제2 클램프 패널(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2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및 제2 클램프 패널의 제2 부분(12, 2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마주보게 되며, 이들에는 상응하는 위치에 볼트(31)가 관통하는 2개의 관통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31)는 제1 및 제2 클램프 패널(10, 20)의 관통홀(211)을 관통하여 놓이고, 제1 및 제2 클램프 패널(10, 20)의 외측면으로부터 너트(32)가 체결된다.
이러한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따라, 제1 및 제2 클램프 패널(10, 20)은 서로에 대해 체결되고 상호 간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인장력에 의해 제1 및 제2 클램프 패널(10, 20)의 제1 부분(11, 21)은 채널의 표면에 맞닿아 압박되어 고정 장치(100)가 채널(1)에 고정된다.
제1 클램프 패널(10)의 제3 부분(13)에는 안전 와이어 로프(4)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14)이 마련되어 있다.
도 4에서는 고정 장치(100)가 채널(1)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 장치에 안전 와이어 로프(4)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안전 와이어 로프(4)는 단부(5)가 홀(14)을 통하여 제1 클램프 패널의 제3 부분(13)를 통과하는 고리(6)를 형성하고, 단부(5)는 3개의 U 볼트(7)에 의해 안전 와이어 로프(4)의 다른 부분과 결합되어 풀리지 않게 된다. 이로써 안전 와이어 로프(4)는 일측 단부가 실시예의 고정 장치(100)에 의해 채널(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안전 와이어 로프(4)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 실시예의 고정 장치(100)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 와이어 로프(4)가 수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안전 와이어 로프(4)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1 클램프 패널(10)의 제3 부분(13)이 제2 부분(12)으로부터 하향 굴곡되어 수직으로 배치되게 구성하여, 수직 하향의 하중을 받기에 적합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체결 수단으로서 볼트(31)와 너트(32)를 이용하고, 볼트(31)는 볼트 헤드를 갖추지 않고 양 단부에 숫나사가 형성되어 여기에 너트(32)가 체결되는 것으로 구성하였지만, 볼트 헤드를 갖는 볼트를 사용하여 일측에서만 너트를 체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체결 수단은 볼트와 너트 외에도 제1 및 제2 클램프 사이에 인장력을 인가하고 제1 및 제2 클램프 사이에 멀어지는 외부의 힘에 의해 실질적으로 늘어나지 않는 것이라면 어떠한 수단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이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작동을 설명하였는바, 이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한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 및 구성 요소의 부가가 가능하다.
1: 채널 4: 안전 와이어 로프
100: 고정 장치 10: 제1 클램프 패널
20: 제2 클램프 패널 31: 볼트

Claims (4)

  1. 구조물을 이루는 'ㄱ'자 채널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로서,
    편평한 패널을 절곡하여 형성되고, 수평으로 놓이는 채널의 외표면에 맞닿는 제1 부분, 제1 부분으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부분 및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안전 와이어 로프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3 부분을 갖추는 것인 제1 클램프 패널,
    편평한 패널을 절곡하여 형성되고, 수직으로 놓이는 채널의 외표면에 맞닿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클램프 패널의 제2 부분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 부분을 갖추는 것인 제2 클램프 패널, 및
    제1 클램프 패널과 제2 클램프 패널의 제2 부분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제1 클램프 패널과 제2 클램프 패널에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인장력을 인가하는 체결 수단
    를 포함하고,
    체결 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제1 클램프 패널과 제2 클램프 패널이 서로 당겨지는 인장력이 인가되어 제1 및 제2 클램프 패널의 제1 부분이 채널의 외측 표면에 압박되는 것인,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클램프 패널의 제3 부분은 제2 부분으로부터 굴곡되어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안전 와이어 로프의 단부가 관통하는 홀이 마련되는 것인,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클램프 패널과 제2 클램프 패널의 제2 부분 사이에는 체결 수단으로서 1개 또는 2개 이상의 볼트가 평행하게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인,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 클램프 패널의 내측면에는 제1 부분으로부터 제3 부분까지 제1 클램프 패널의 표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보강 패널이 배치되는 것인,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
KR1020210187909A 2021-12-27 2021-12-27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KR202300989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909A KR20230098933A (ko) 2021-12-27 2021-12-27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909A KR20230098933A (ko) 2021-12-27 2021-12-27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933A true KR20230098933A (ko) 2023-07-04

Family

ID=8715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909A KR20230098933A (ko) 2021-12-27 2021-12-27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893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866B1 (ko) 2020-11-11 2021-01-14 제룡산업 주식회사 산형강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KR20210039623A (ko) 2019-10-02 2021-04-12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623A (ko) 2019-10-02 2021-04-12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장치
KR102202866B1 (ko) 2020-11-11 2021-01-14 제룡산업 주식회사 산형강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0453B2 (ja) アングル鉄塔用の支線取付金具
US6779630B2 (en) Rebar stanchion horizontal lifeline fall arrest system
KR102202866B1 (ko) 산형강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US20160040446A1 (en) Aseismic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panel to a beam
KR100976269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로프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
KR102548346B1 (ko)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KR20180000062U (ko)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KR20230098933A (ko)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WO1994028268A1 (en) Anchoring device for use on a roof
KR20230098935A (ko)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JP4592609B2 (ja) 通信ケーブル固定具
KR101522390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벽체의 내진보강방법
JP6349007B1 (ja) 天井材落下防止構造
US6537155B2 (en) Counterweight arbor guide system
KR20230098934A (ko) 구조물에서 안전 와이어 로프를 가이드하는 장치
JP2018186440A (ja) アンテナ設置用の支持金具
KR101499690B1 (ko) 내구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케이블 지지용 채널 결합체
JP5476738B2 (ja) スレート屋根用安全設備
KR102634167B1 (ko) 태양광모듈 고정장치
JP6404493B1 (ja) エレベータ装置の釣合いおもり及びエレベータ装置
KR101746753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2335540B1 (ko) 크레인 주행용 레일 연결 장치
KR100668593B1 (ko)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KR20160137083A (ko) 아치형 응력 분산부재가 구비되는 psc 거더
JP6407062B2 (ja) ゴンドラ用ガイドレールの取付金具および同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