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062U -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 Google Patents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062U
KR20180000062U KR2020160003707U KR20160003707U KR20180000062U KR 20180000062 U KR20180000062 U KR 20180000062U KR 2020160003707 U KR2020160003707 U KR 2020160003707U KR 20160003707 U KR20160003707 U KR 20160003707U KR 20180000062 U KR20180000062 U KR 201800000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panels
fixing
bent
bo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927Y1 (ko
Inventor
유병철
김태영
조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160003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927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0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0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927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레이팅 패널을 구조물에 안착시킨 후에 다수의 그레이팅 패널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레이팅의 고정작업시 고정 각도의 제한없이 360°의 각도에서 고정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앵글이나 H빔의 구조물 상측에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는 복수의 그레이팅 패널과, 양측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그레이팅 패널들 중 서로 근접된 제1,2그레이팅 패널들의 상측 테두리에 각각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연결클립과, 상기 연결클립의 하측에 위치하며 양측 단부에 절곡된 끼움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1,2그레이팅 패널의 하측 테두리에 결합되는 고정홀더와, 상기 연결클립과 고정홀더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볼트와, 상기 연결볼트의 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일단부가 고정홀더의 하측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절곡되며 하측에 상기 연결볼트가 체결되는 고정너트가 일체로 구성된 클램프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GRATING MOUNTING STRUCTURE}
본 고안은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레이팅 패널을 구조물에 안착시킨 후에 다수의 그레이팅 패널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레이팅의 고정작업시 고정 각도의 제한없이 어느 각도에서도 고정작업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Grating)은 주철과 같은 금속을 격자 모양으로 만든 패널을 총칭하며, 그레이팅은 주로 차도의 배수로의 개방된 상단에 설치되거나 각종 산업현장의 보행로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그레이팅은, 산업 현장에 적용되는 경우 H빔이나 앵글 등의 철 구조물에 상기 그레이팅 패널을 안착시키고, 복수의 그레이팅 패널을 구조물에 별도의 고정구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 그레이팅 결합구조는 그레이팅 패널을 H빔이나 앵글의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구조물을 고정하는 클램프와 체결너트를 작업자가 손 또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한 후에 결속볼트를 조여서 그레이팅 패널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자가 그레이팅의 하측으로 들어가서 작업하거나 그레이팅 패널 사이로 손가락을 집어 넣어 조립하는 과정에서 부품이 추락하여 분실하거나,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기존 그레이팅 고정구는 구조물과 그레이팅 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각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기존 그레이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7654호 "조립식 그레이팅"(등록일자 : 2008.06.05)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l"자형이나 "I"자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양측 사이드바와, 상기 양측 사이드바 각각에 서로 마주하도록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양측 끼움공 각각에 끼움되는 끼움돌부가 양단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베어링바들을 상기 양측 사이드바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되는 그레이팅에 있어서, 상기 양측 사이드바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끼움공들은 양측 사이드바 각각의 상,하단에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는 상,하부 끼움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바들 각각의 양단에 돌출되는 끼움돌부들은 상기 양측 사이드바 각각의 상,하단에 형성된 각 상,하부 끼움공에 끼워줄 수 있도록 베어링바들 각각의 양단에 상,하로 돌출되는 상,하부 끼움돌부로 구성되며, 이들 상,하부 끼움돌부들 사이에는 단층진 상태로 요입되어 양측 사이드바 각각의 내면에 지지되는 단층지지면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 각 베어링바들의 양단에 형성된 상기한 상,하부 끼움돌부는 양측 사이드바 각각의 상,하단에 형성된 상,하부 끼움공에 끼워지고 상기한 단층지지면은 양측 사이드바 내면에 지지되도록 조립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상기의 경우에는 양측 사이드바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끼움공을 형성시켜야 함과 아울러, 끼움돌부가 끼움공 내에 끼워지도록 폭이 축소되어야 함과 아울러, 그 부위에 하중이 반복적으로 전달될 경우 충분한 강성을 만족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기존 그레이팅 구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467161호 "그레이팅 패널 체결용 고정구"(등록일자 : 2014.11.25)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가로바와 세로바를 갖는 그레이팅 패널을 서포터 빔에 고정하기 위한 그레이팅 패널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와 상기 세로바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러그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클립; 및 상기 클립의 관통공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서포터 빔에 기설치된 스터드 핀에 결합되는 어댑터를 포함하되; 상기 어댑터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을 갖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작은 외주면을 갖는 중앙 몸통부; 상기 중앙 몸통부의 상단에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넓은 외주면을 갖는 헤드부; 및 상기 중앙 몸통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 몸통부를 향하여 점차 지름이 커지는 테이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퍼부는 일단에 상기 관통공보다 지름이 작은 삽입단과, 타단에는 상기 관통공의 지름보다 넓은 걸림단을 갖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기존 그레이팅 패널 고정구는 서포터 빔에 스터드 볼트를 장착시킨 후에, 스터드 볼트 상에 고정구의 어댑터가 위치하도록 고정구를 격자공간에 삽입한 후에 어댑터를 스터드 볼트에 체결해야 하므로, 어댑터를 스터드 볼트 상측에 위치하도록 고정구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조립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7654호 "조립식 그레이팅"(등록일자 : 2008.06.05)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467161호 "그레이팅 패널 체결용 고정구"(등록일자 : 2014.11.25)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그레이팅 패널을 구조물에 안착시킨 후에 다수의 그레이팅 패널을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레이팅의 고정작업시 고정 각도의 제한없이 360°의 각도에서 고정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앵글이나 H빔의 구조물 상측에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는 복수의 그레이팅 패널과, 양측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그레이팅 패널들 중 서로 근접된 제1,2그레이팅 패널들의 상측 테두리에 각각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연결클립과, 상기 연결클립의 하측에 위치하며 양측 단부에 절곡된 끼움편이 형성되어 상기 제1,2그레이팅 패널의 하측 테두리에 결합되는 고정홀더와, 상기 연결클립과 고정홀더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볼트와, 상기 연결볼트의 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일단부가 고정홀더의 하측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절곡되며 하측에 상기 연결볼트가 체결되는 고정너트가 일체로 구성된 클램프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클립은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2그레이팅 패널의 상측 테두리 부위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1,2절곡부와, 상기 제1,2절곡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2그레이팅 패널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립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기 고정홀더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구조물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연결볼트가 관통되는 제1통공이 형성된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타단부로부터 하측으로 휘어지도록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구조물과 접촉되는 상향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볼트가 관통되는 제2통공이 형성된 하면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구조물에 안착된 복수의 그레이팅 패널들 중 서로 인접된 제1,2그레이팅 패널의 상,하측 테두리를 연결클립과 고정홀더로 하여금 감싸도록 한 후에, 연결클립과 고정홀더를 관통하는 연결볼트에 결합된 클램프부재로 하여금 구조물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그레이팅 패널을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의 추락 분실없이 조립된 하나의 어셈블리로 고정 및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조립된 본 고안의 고정구가 제1,2그레이팅 패널 내부로 진입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 고정홀더의 양측 단부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고정구를 매개로 그레이팅 패널이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고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앵글이나 H빔의 구조물(20) 상측에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는 복수의 그레이팅 패널(10)과, 양측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그레이팅 패널(10)들 중 서로 근접된 제1,2그레이팅 패널(12,14)들의 상측 테두리에 각각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연결클립(110)과, 상기 연결클립(1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양측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제1,2그레이팅 패널(12,14)의 하측 테두리에 결합되는 고정홀더(120)와, 상기 연결클립(110)과 고정홀더(120)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볼트(140)와, 상기 연결볼트(140)의 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일단부가 고정홀더(120)의 하측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조물(20)에 지지되도록 절곡되며 하측에 상기 연결볼트(140)가 체결되는 고정너트(135)가 일체로 구성된 클램프부재(13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결클립(110)은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2그레이팅 패널(12,14)의 상측 테두리 부위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1,2절곡부(112A,112B)와, 상기 제1,2절곡부(112A,112B)를 연결하며 상기 제1,2그레이팅 패널(12,14)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립되는 연결부(114)로 구성된다.
또한, 연결클립(110)의 연결부(114)는 상기 제1,2절곡부(112A,112B)를 연결하도록 각각 제1,2절곡부(112A,112B)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부(114a)와, 각각의 제1연결부(114a)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114b)로 구성된다.
제1연결부(114a)와 제2연결부(114b)는 제1,2그레이팅 패널(12,14)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고정홀더(120)는 양측 단부에 절곡되도록 형성된 끼움편(122)이 제1,2그레이팅 패널(12,14)의 하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이를 위해 중간부위가 제1,2그레이팅 패널(12,14)의 하측을 가로지도록 배치되고 양측 단부의 끼움편(122)이 상향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고정홀더(120)는 연결볼트(140)가 관통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볼트(140)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클램프부재(130)는 상기 고정홀더(12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구조물(20)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연결볼트(140)가 관통되는 제1통공(132a)이 형성된 상면부(132)와, 상기 상면부(132)의 타단부로부터 하측으로 휘어지도록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구조물(20)과 접촉되는 상향지지부(134b)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볼트(140)가 관통되는 제2통공(134a)이 형성된 하면부(134)로 구성된다.
또한, 클램프부재(130)는 상면부(132)와 하면부(134)의 단부가 구조물(20)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대략 "⊃"자 형태를 갖는다.
상기 클램프부재(130)는 하면부(134)가 자체 탄력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면부(134)의 단부에 형성된 상향지지부(134b)가 구조물(20)과 접촉되어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정너트(135)는 하면부(134)의 하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통공(134a)을 통과한 연결볼트(140)의 단부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미설명 부호 "15"는 복수의 그레이팅 패널(10)을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구(15)를 나타낸 것이다.
구조물(20)은 H빔이나 앵글 등을 채용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H빔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연결볼트(140)는 연결클립(110)과 고정홀더(12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들을 관통하도록 결합된 후에 클램프부재(130)의 상면부(132)와 하면부(134)를 관통하여 고정너트(135)에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은 서로 이격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된 구조물(20)의 상측에 복수의 그레이팅 패널(10)의 단부가 안착되고, 복수의 그레이팅 패널(10)들 중 서로 인접된 제1,2그레이팅 패널(12,14)들 사이로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100)를 진입시키면, 연결클립(110)의 제1,2절곡부(112A,112B)가 제1,2그레이팅 패널(12,14)의 상측 테두리에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이때, 고정홀더(120)는 양측 단부가 제1,2그레이팅 패널(12,14)의 사이로 진입되도록 상기 연결볼트(140)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고, 클램프부재(130)는 제1,2그레이팅 패널(12,14)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고정홀더(120)를 양측 단부가 세로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연결볼트(140)에 대해 90°의 각도로 회전시켜 고정홀더(120)의 양측 단부가 제1,2그레이팅 패널(12,14)의 하측 테두리 부위를 감싸도록 결합시킨다.
이후에,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100)를 구조물(20) 측으로 이동하도록 당기면, 하면부(134)의 상향지지부(134b)가 구조물(20)인 H빔의 플랜지에 접촉되면서 지지된다.
그 후에 연결볼트(140)를 조이면, 클램프부재(130)의 상면부(132)가 고정홀더(120)의 하측면을 지지하게 되면서 제1,2그레이팅 패널(12,14)의 상,하측 테두리를 연결클립(110)과 고정홀더(120)로 감싸면서 클램프부재(130)의 하면부(134)가 구조물(20)을 지지하게 되어 구조물(20)에 그레이팅 패널(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100)를 이용한 그레이팅 패널(10)의 일단부 고정작업은 그레이팅 패널(10)의 타단부에도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된다.
한편, 그레이팅 패널(10)을 구조물(2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한 고정작업의 역순으로 진행되며, 간략하게 설명하면 연결볼트(140)의 조임을 해제한 후에,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100)를 밀어서 클램프부재(130)와 구조물(20)의 지지상태를 해제시킨 후에, 고정홀더(120)를 다시 원래 가로 방향을 향하도록 한 후에 들어 올리면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100)가 분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구조물(20)에 안착된 복수의 그레이팅 패널(10)들 중 서로 인접된 제1,2그레이팅 패널(12,14)의 상,하측 테두리를 연결클립(110)과 고정홀더(120)로 하여금 감싸도록 한 후에, 연결클립(110)과 고정홀더(120)를 관통하는 연결볼트(140)에 결합된 클램프부재(130)로 하여금 구조물(20)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그레이팅 패널(10)을 구조물(20)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의 추락 분실없이 조립된 하나의 어셈블리로 고정 및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이 가지는 기술적 사상과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 그레이팅 패널 12,14 : 제1,2그레이팅 패널
15 : 연결구 20 : 구조물
100 :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110 : 연결클립
112A,112B : 제1,2절곡부 114 : 연결부
120 : 고정홀더 122 : 끼움편
130 : 클램프부재 132 : 상면부
132a : 제1통공 134 : 하면부
134a : 제2통공 134b : 상향지지부
135 : 고정너트 140 : 연결볼트

Claims (3)

  1. 앵글이나 H빔의 구조물(20) 상측에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는 복수의 그레이팅 패널(10)과,
    양측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그레이팅 패널(10)들 중 서로 근접된 제1,2그레이팅 패널(12,14)들의 상측 테두리에 각각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연결클립(110)과,
    상기 연결클립(1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양측 단부에 절곡된 끼움편(122)이 형성되어 상기 제1,2그레이팅 패널(12,14)의 하측 테두리에 결합되는 고정홀더(120)와,
    상기 연결클립(110)과 고정홀더(120)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볼트(140)와,
    상기 연결볼트(140)의 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일단부가 고정홀더(120)의 하측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조물(20)에 지지되도록 절곡되며 하측에 상기 연결볼트(140)가 체결되는 고정너트(135)가 일체로 구성된 클램프부재(1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립(110)은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2그레이팅 패널(12,14)의 상측 테두리 부위를 감싸도록 절곡되는 제1,2절곡부(112A,112B)와,
    상기 제1,2절곡부(112A,112B)를 연결하며 상기 제1,2그레이팅 패널(12,14)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립되는 연결부(1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130)는 상기 고정홀더(12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구조물(20)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연결볼트(140)가 관통되는 제1통공(132a)이 형성된 상면부(132)와,
    상기 상면부(132)의 타단부로부터 하측으로 휘어지도록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구조물(20)과 접촉되는 상향지지부(134b)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볼트(140)가 관통되는 제2통공(134a)이 형성된 하면부(1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KR2020160003707U 2016-06-27 2016-06-27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Active KR200486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707U KR200486927Y1 (ko) 2016-06-27 2016-06-27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707U KR200486927Y1 (ko) 2016-06-27 2016-06-27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62U true KR20180000062U (ko) 2018-01-04
KR200486927Y1 KR200486927Y1 (ko) 2018-07-16

Family

ID=6127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707U Active KR200486927Y1 (ko) 2016-06-27 2016-06-27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9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259U (ko) * 2021-07-26 2023-02-02 에스지산업 주식회사 그레이팅 미끄럼 방지용 안전발판
KR102528931B1 (ko) * 2022-11-11 2023-05-03 주식회사 천수 교량내 배수관 고정장치
KR20250072030A (ko) 2023-11-16 2025-05-23 대양비엔티(주) 그레이팅 고정구용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946B1 (ko) 2018-12-03 2020-02-24 전하철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KR102257347B1 (ko) 2019-01-30 2021-05-26 전하철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KR20210039108A (ko) 2019-10-01 2021-04-09 전하철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KR20210116995A (ko) 2020-03-18 2021-09-28 전하철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54B1 (ko) 2007-04-09 2008-06-13 기성에이알씨(주) 조립식 그레이팅
JP2010196276A (ja) * 2009-02-23 2010-09-09 Chubu Corporation グレーチングの連結具
KR20120136012A (ko) * 2011-06-08 2012-12-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 고정용 홀더 및 그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의 그레이팅 구조체
KR101467161B1 (ko) 2013-07-05 2014-1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 패널 체결용 고정구
JP3198716U (ja) * 2015-05-07 2015-07-16 株式会社ナカジマ クリップナット
KR20160141409A (ko) * 2015-06-01 2016-12-09 박종태 그레이팅용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9887Y2 (ja) * 1992-01-30 1998-04-28 株式会社ダイクレ グレーチング取付固定用受具
KR940007275Y1 (ko) * 1992-07-13 1994-10-17 이해규 오픈바 그레이팅 고정용 파스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54B1 (ko) 2007-04-09 2008-06-13 기성에이알씨(주) 조립식 그레이팅
JP2010196276A (ja) * 2009-02-23 2010-09-09 Chubu Corporation グレーチングの連結具
KR20120136012A (ko) * 2011-06-08 2012-12-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 고정용 홀더 및 그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의 그레이팅 구조체
KR101467161B1 (ko) 2013-07-05 2014-1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 패널 체결용 고정구
JP3198716U (ja) * 2015-05-07 2015-07-16 株式会社ナカジマ クリップナット
KR20160141409A (ko) * 2015-06-01 2016-12-09 박종태 그레이팅용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259U (ko) * 2021-07-26 2023-02-02 에스지산업 주식회사 그레이팅 미끄럼 방지용 안전발판
KR102528931B1 (ko) * 2022-11-11 2023-05-03 주식회사 천수 교량내 배수관 고정장치
KR20250072030A (ko) 2023-11-16 2025-05-23 대양비엔티(주) 그레이팅 고정구용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927Y1 (ko) 201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927Y1 (ko)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JP564766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構造
KR101467161B1 (ko) 그레이팅 패널 체결용 고정구
KR101008020B1 (ko)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
KR20160004264U (ko) 배관 거치대
KR100952314B1 (ko) 파이프 및 패널의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조립체
JP5882382B2 (ja) ソーラーパネル取付金具
KR20150022502A (ko) 빔용 클램프
KR20160141409A (ko) 그레이팅용 고정장치
JP5762654B1 (ja) 防護柵用横部材取付金具
KR20160054685A (ko) 케이블 레이스 웨이용 조인트
KR20110008010A (ko) 패널용 연결 요소
JP4794005B2 (ja) 布板ずれ防止治具
KR20180001758A (ko) 건축용 고정부재
KR20180051034A (ko) 부재 연결 장치
JP2020076252A (ja) 建築用金具
KR200485887Y1 (ko) 조립식 트레이용 가로대
KR200342272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JP2018186440A (ja) アンテナ設置用の支持金具
JP2007327321A (ja) 型枠構造
KR200475014Y1 (ko) 트레이 커버 고정용 클램프
JP2019203316A (ja) 足場板支持用ブラケット
JP5178245B2 (ja) 横架材の接合装置
JP5851640B1 (ja) 屋根板取り付け金具
JP2008163697A (ja) 型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06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7112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07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