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971A -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971A
KR20210142971A KR1020200059796A KR20200059796A KR20210142971A KR 20210142971 A KR20210142971 A KR 20210142971A KR 1020200059796 A KR1020200059796 A KR 1020200059796A KR 20200059796 A KR20200059796 A KR 20200059796A KR 20210142971 A KR20210142971 A KR 20210142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ok
fixture
tubular suppor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3185B1 (ko
Inventor
이원교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59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18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관형지지물 승강장치는, 발등덮개(24)가 설치된 발판(20)과, 발판(20)의 측면 일측에 지지대(20)를 매개로 관형지지물(1)에 설치된 승강고정대(3)를 사이에 두고 뒷면과 앞면에 각각 밀차되면서 승강고정대(3)의 착탈홈(5)을 향해 종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후크(40)와 제2 후크(42)를 포함하는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10)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관형지지물(1)에 승탑 시 사용되는 기존 사다리를 없애어 관형지지물(1)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기존 사다리 설치 시 발생되었던 추가비용을 없앨 수 있고, 기존 사다리 사용 시 빈번하게 발생되었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관형지지물 승강장치{APPARATUS FOR LIFTING OF TUBULAR STEEL POLE}
본 발명은 종방향 분리가 가능한 관형지지물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선로 또는 통신선로 철탑 등에 사용되는 관형지지물의 승강고정대로부터 종방향 분리되는 휴대용 승강기(일명, Foot Hook)를 작업자가 양쪽 신발에 착용한 상태로 관형지지물을 승강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탑은 고압전력을 공급하는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송전철탑,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는 통신선로를 지지하는 통신철탑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철탑은 크게 지반에 형성되는 기초, 기초의 상부에 기립 설치되는 탑 구조를 이루는 복수 개의 지주프레임, 지주프레임을 수평 내지 경사지게 연결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프레임 및 주프레임의 일측에 외측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암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철탑의 송전선로나 통신선로 등을 이상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철탑의 고소에서 송전선로나 통신선로를 지지하는 구조물을 비롯하여 송전이나 통신과 관련된 전기전자부품을 점검 및 교체하는 유지보수 작업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때, 철탑은 대부분 산중턱이나 산꼭대기에 설치되어 있어 고가사다리차의 접근이 불가능하여 유지보수 작업시 작업자가 직접 철탑의 고소까지 올라가야만 한다.
즉, 철탑의 지주프레임 일면과 타면에 복수 개의 발판볼트가 상하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작업자가 철탑의 고소까지 오르내릴 때 손잡이와 발판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발판볼트는 지주프레임에 고정되는 나사부를 제외하고는 외면이 둥그면서 매끈하여 작업자가 수부로 잡거나 족부를 딛을 때 미끄러짐이 심하여 손잡이와 발판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작업자가 지주프레임을 따라 오르내릴 때나 고소작업을 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추락사고 예방을 위해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와 연결할 수 있는 안전로프를 지주프레임의 일면에 걸어놓아 생명줄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이때, 안전로프는 바람에 의해 이리저리 유동하지 않고 작업자의 추락시 안전벨트가 걸리도록 지주프레임의 일면과는 복수 개의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는 지지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발판볼트 중의 일부를 대체한 것으로, 그 일측은 지주프레임에 체결 고정되는 나사봉으로 이루어지고그 타측은 안전로프가 통과하는 연결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연결구가 발판볼트를 대체하더라도 그 일측이 발판볼트와 같이 둥글고 매끈한 외면을 가짐에 따라 손잡이와 발판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으며, 안전로프가 연결링을 통과한 상태임에 따라 작업자가 오르내리기 위해서는 연결구가 있는 위치마다 안전벨트를 안전로프에서 분리하고 다시 연결하는 조작을 반복해야 해므로 불편함을 물론이고 안전벨트가 안전로프에서 분리되는 순간이 발생하여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송전선로 철탑 중 관형지지물 형태인 경우 일반 사각철탑에 비해 지표면을 기준으로 기울기가 없는 구조이므로 승강이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장치로 임시방편인 안전로프를 작업자에 구비된 안전벨트에 연결하고 구조물이나 사다리에 걸어 이용한다.
이러한 안전로프는 철탑 지지물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가 필요하고 이는 작업자의 추락방지를 위해 철탑이나 지지물에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작업자가 상하로 이동 시 안전로프를 기존 결속부로부터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야 하기 때문에 승강 작업 시 추락 요인 등 위험 문제를 해소하고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가진 사다리와 함께 안전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안전성 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관형지지물 조립에 사용되는 방법은 모듈형 관재를 쌓아 올리는 방법이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방법은 모듈을 조립하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딛고 올라가 단재 사이에 볼트, 너트를 체결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발을 딛고 관형지지물을 올라갈 수 있도록 사다리가 반드시 구비되어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사다리로부터 이탈에 의한 추락 방지 기능을 갖춘 레일과 안전장구가 필요하므로 이는 관형지지물의 중량이 증가로 인한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40630호(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관형지지물에 승탑 시 사용되는 사다리를 없애어 관형지지물의 중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사다리 설치 시 발생되었던 추가비용을 없애고, 기존 사다리 사용 시 빈번하게 발생되었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 승강장치는, 관형지지물에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고정대와, 상기 승강고정대의 가장자리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절개 형성된 착탈홈과, 작업자가 양 발에 착용한 채로 상기 착탈홈에 종방향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승강고정대를 타고 승강할 수 있는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를 구성하되,
상기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는, 작업자의 발을 받쳐주면서 고정하도록 발등덮개가 설치된 발판과, 상기 발판의 측면 일측에 고정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착탈홈에 끼워지면서 승강고정대의 뒷면과 밀착되는 제1 후크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고정대의 앞면에 밀착되는 제2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발판의 상면 중앙에는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발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발등덮개의 일측에는 버튼식 발등조임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지지대의 일측에는 상기 제2 후크가 전후방으로 이동된 후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걸쇠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걸쇠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는 상기 제2 후크를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후크와 제2 후크는 상부에서 볼 때 상기 발판의 한쪽 측면과 앞면에 위치되도록 각각 직각으로 절곡된 봉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후크와 제2 후크에 대해 상기 발판의 앞쪽에 위치한 외주면에는 상기 승강고정대와 접촉 시 마찰력을 높여주는 고무캡이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후크는 상기 발판보다 높도록 상기 지지대를 매개로 상기 발판의 한쪽 측면 및 앞면과 일정 거리를 두고 직각되게 수평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후크는 상기 발판보다 낮도록 상기 지지대를 매개로 상기 발판의 한쪽 측면 및 앞면 하부와 일정 거리를 두고 직각되게 수평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착탈홈은 상기 승강고정대의 좌측과 우측에서 승강고정대의 중앙을 향해 수평으로 일정 깊이까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착탈홈은 상기 승강고정대의 좌측과 우측에서 승강고정대의 중앙을 향해 일정각도로 하향되게 기울어지면서 일정 깊이까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형지지물 승강장치는, 발등덮개가 설치된 발판과, 발판의 측면 일측에 지지대를 매개로 관형지지물에 설치된 승강고정대를 사이에 두고 뒷면과 앞면에 각각 밀차되면서 승강고정대의 착탈홈을 향해 종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후크와 제2 후크를 포함하는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관형지지물에 승탑 시 사용되는 기존 사다리를 없애어 관형지지물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기존 사다리 설치 시 발생되었던 추가비용을 없앨 수 있고, 기존 사다리 사용 시 빈번하게 발생되었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승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에 적용되는 관형지지물의 승강고정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관형지지물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가 관형지지물의 승강고정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가 관형지지물의 승강고정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승강장치는, 관형지지물(1)에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고정대(3)와, 상기 승강고정대(3)의 가장자리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절개 형성된 착탈홈(5)과, 작업자가 양 발에 착용한 채로 상기 착탈홈(5)에 종방향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승강고정대(3)를 타고 승강할 수 있는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10)를 구성한다.
즉, 상기 착탈홈(5)은 후술하는 제1 후크(40)가 착탈홈(5)에서 빠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고정대(3)의 좌측과 우측에서 승강고정대(3)의 중앙을 향해 수평으로 일정 깊이까지 형성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고정대(3)의 좌측과 우측에서 승강고정대(3)의 중앙을 향해 일정각도로 하향되게 기울어지면서 일정 깊이까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10)는, 작업자의 발을 받쳐주면서 고정하도록 발등덮개(24)가 설치된 발판(20)과, 상기 발판(20)의 측면 일측에 고정된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고정대(3)의 가장자리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절개 형성된 착탈홈(5)에 끼워지면서 승강고정대(3)의 뒷면과 밀착되는 제1 후크(40)와, 상기 지지대(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고정대(3)의 앞면에 밀착되는 제2 후크(4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발판(20)은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도록 상면 중앙에 발안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등덮개(24)는 상기 발판(20)의 양 측면 중앙에서 상기 발판(20)의 상측으로 아치형(Arch Type)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발등덮개(24)의 일측에 작업자의 발등을 상기 발등덮개(24)를 조일 수 있도록 버튼식 발등조임부(2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30)의 앞면 중앙 일측에는 상기 제2 후크(42)가 전후방으로 이동된 후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걸쇠(32)가 설치되고, 상기 걸쇠(32)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대(30)를 관통하는 상기 제2 후크(42)를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후크(40)와 제2 후크(42)는 상부에서 볼 때 상기 발판(20)의 한쪽 측면과 앞면에 위치되도록 각각 직각으로 절곡된 봉 형태로서, 상기 발판(20)의 앞쪽에 위치한 외주면에는 상기 관형지지물(1)의 승강고정대(3)와 접촉 시 마찰력을 높여주도록 고무캡(44)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후크(40)는 상기 발판(20)보다 높도록 상기 지지대(30)를 매개로 상기 발판(20)의 한쪽 측면 및 앞면과 일정 거리를 두고 직각되게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후크(42)는 상기 발판(20)보다 낮도록 상기 지지대(30)를 매개로 상기 발판(20)의 한쪽 측면 및 앞면 하부와 일정 거리를 두고 직각되게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10)를 착용한 상태에서 관형지지물(1)의 승강고정대(3)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착탈홈(5)을 타고 승탑하기 위해서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승강고정대(3)의 앞쪽에서 착탈홈(5)을 향해 제1 후크(40)의 앞쪽에 형성된 절곡부분측 측면 외경을 종방향으로 끼우면, 제1 후크(40)의 앞면측이 승강고정대(3)의 뒷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제2 후크(42)의 앞면측이 승강고정대(3)의 앞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휴대용 승강기(10)의 발판(20)에 작업자의 체중이 도 6에 표시한 화살표 A 방향과 같이 가해지면, 제1 후크(40)는 착탈홈(5)을 회전점으로 제1 후크(40)의 뒷쪽이 도 6에 표시한 화살표 B1 방향과 같이 승강고정대(3)의 앞쪽에서 하부로 회전되려는 작용과 제1 후크(40)의 앞쪽이 도 6에 표시한 화살표 B2 방향과 같이 승강고정대(3)의 뒷쪽에서 상부로 회전하려는 반작용에 의해 지지되고, 제2 후크(42)는 도 6에 표시한 화살표 C 방향과 같이 승강고정대(3)의 앞면에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제1 후크(40)와 제2 후크(42)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양 발이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10)에 착용된 상태로 안정되게 서 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측 휴대용 승강기(10)와 우측 휴대용 승강기(10)를 승강고정대(3)의 가장자리 좌측과 우측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착탈홈(5)을 좌측 및 우측 또는 우측 및 좌측 교번되게 옮겨가면서 승강고정대(3)의 소정 높이까지 오르거나 내려올 수 있다.
그리고 제1 후크(40)의 앞쪽과 제2 후크(42)의 앞쪽은 고무캡(44)이 각각 씌워진 구조이기 때문에 승강고정대(3)를 사이에 두고 뒷면과 앞면에 각각 접촉될 때 마찰력을 높여주기 때문에 휴대용 승강기(10)가 승강고정대(3)를 타고 승강할 때 움직이거나 미끄러는 것을 예방하여 주게 된다.
또한, 휴대용 승강기(10)의 발판(20)에 형성된 발안착홈(22)은 작업자가 발이 발판(20)을 벗어나지 않도록 잡아줌과 동시에 발안착홈(22)의 표면에 처리된 미끄럼방지 기능에 의해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 처럼, 본 발명의 관형지지물 승강장치는, 발등덮개(24)가 설치된 발판(20)과, 발판(20)의 측면 일측에 지지대(20)를 매개로 관형지지물(1)에 설치된 승강고정대(3)를 사이에 두고 뒷면과 앞면에 각각 밀차되면서 승강고정대(3)의 착탈홈(5)을 향해 종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후크(40)와 제2 후크(42)를 포함하는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10)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관형지지물(1)에 승탑 시 사용되는 기존 사다리를 없애어 관형지지물(1)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기존 사다리 설치 시 발생되었던 추가비용을 없앨 수 있고, 기존 사다리 사용 시 빈번하게 발생되었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 관형지지물 3 : 승강고정대
5 : 착탈홈
10 : 휴대용 승강기 20 : 발판
22 : 발바닥안착홈 24 : 발등덮개
26 : 덮개조임부 30 : 지지대
32 : 걸쇠 40 : 제1 후크
42 : 제2 후크 44 : 고무캡

Claims (11)

  1. 관형지지물(1)에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고정대(3)와, 상기 승강고정대(3)의 가장자리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절개 형성된 착탈홈(5)과, 작업자가 양 발에 착용한 채로 상기 착탈홈(5)에 종방향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승강고정대(3)를 타고 승강할 수 있는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10)를 구성하되,
    상기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10)는,
    작업자의 발을 받쳐주면서 고정하도록 발등덮개(24)가 설치된 발판(20)과,
    상기 발판(20)의 측면 일측에 고정된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착탈홈(5)에 끼워지면서 승강고정대(3)의 뒷면과 밀착되는 제1 후크(40)와,
    상기 지지대(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고정대(3)의 앞면에 밀착되는 제2 후크(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20)의 상면 중앙에는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발안착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등덮개(24)의 일측에는 버튼식 발등조임부(2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의 일측에는 상기 제2 후크(42)가 전후방으로 이동된 후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걸쇠(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쇠(32)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대(30)를 관통하는 상기 제2 후크(42)를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40)와 제2 후크(42)는 상부에서 볼 때 상기 발판(20)의 한쪽 측면과 앞면에 위치되도록 각각 직각으로 절곡된 봉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40)와 제2 후크(42)에 대해 상기 발판(20)의 앞쪽에 위치한 외주면에는 상기 승강고정대(3)와 접촉 시 마찰력을 높여주는 고무캡(44)이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40)는 상기 발판(20)보다 높도록 상기 지지대(30)를 매개로 상기 발판(20)의 한쪽 측면 및 앞면과 일정 거리를 두고 직각되게 수평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후크(42)는 상기 발판(20)보다 낮도록 상기 지지대(30)를 매개로 상기 발판(20)의 한쪽 측면 및 앞면 하부와 일정 거리를 두고 직각되게 수평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홈(5)은 상기 승강고정대(3)의 좌측과 우측에서 승강고정대(3)의 중앙을 향해 수평으로 일정 깊이까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착탈홈(5)은 상기 승강고정대(3)의 좌측과 우측에서 승강고정대(3)의 중앙을 향해 일정각도로 하향되게 기울어지면서 일정 깊이까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KR1020200059796A 2020-05-19 2020-05-19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KR102363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796A KR102363185B1 (ko) 2020-05-19 2020-05-19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796A KR102363185B1 (ko) 2020-05-19 2020-05-19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971A true KR20210142971A (ko) 2021-11-26
KR102363185B1 KR102363185B1 (ko) 2022-02-15

Family

ID=7870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796A KR102363185B1 (ko) 2020-05-19 2020-05-19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24375A (zh) * 2022-11-24 2023-03-03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电力移动式钢管提升下降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963U (ja) * 1992-06-01 1993-12-21 朝日金属精工株式会社 墜落防止装置付昇降梯子
KR20060079956A (ko) * 2005-01-04 2006-07-07 김철한 신발에 착용하는 미끄럼 방지구
JP2012210093A (ja) * 2011-03-30 2012-10-2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碍子昇降具
KR101940630B1 (ko) 2018-03-26 2019-01-21 주식회사 신신전력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1971019B1 (ko) * 2018-04-25 2019-04-22 (주)바이브록 자성체 커버를 갖는 안전 승주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963U (ja) * 1992-06-01 1993-12-21 朝日金属精工株式会社 墜落防止装置付昇降梯子
KR20060079956A (ko) * 2005-01-04 2006-07-07 김철한 신발에 착용하는 미끄럼 방지구
JP2012210093A (ja) * 2011-03-30 2012-10-2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碍子昇降具
KR101940630B1 (ko) 2018-03-26 2019-01-21 주식회사 신신전력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1971019B1 (ko) * 2018-04-25 2019-04-22 (주)바이브록 자성체 커버를 갖는 안전 승주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24375A (zh) * 2022-11-24 2023-03-03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电力移动式钢管提升下降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185B1 (ko)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6996C (en) Ladder docking device
US10064403B2 (en) Safety rail
KR102363185B1 (ko)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CN102691474A (zh) 维护平台
CA2539883C (en) Apparatus for escaping area of accident
KR102045343B1 (ko) 퀵핀이 구비된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N102556890B (zh) 自升钢井架物料提升机安装平台及其安装方法
CN210044719U (zh) 钢管杆防坠落装置
JP4524434B2 (ja) 柱状体昇降具
JP4737475B1 (ja) 梯子アタッチメント
CN215057032U (zh) 一种用于桥梁施工的高空作业爬梯
CN214118052U (zh) 一种绝缘防滑梯
CN212743324U (zh) 一种女儿墙用挂篮
JP3218243U (ja) 雪おろし用具
JP3180786U (ja) 墜落防止装置
KR102219389B1 (ko) 승주용 안전발판
AU2020234999B2 (en) System for securing an upright ladder
KR102437370B1 (ko) 추락방지용 탈부착식 승탑장치
CN210029828U (zh) 一种塔机直爬梯牵引安全防坠装置
US7232009B1 (en) Ascension/descension apparatus and method
CN111998317B (zh) 一种便于维修的防护式铁道信号设备安装支架
CA2943729C (en) Fall arrester and ladder fall prevention system
JP5429569B2 (ja) 可動梯子用の安全ブロック取付治具
CN219299202U (zh) 升压站高空作业安全爬梯
GB2241257A (en) Securing rope to overhea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