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098B1 -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 - Google Patents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098B1
KR101229098B1 KR1020110088718A KR20110088718A KR101229098B1 KR 101229098 B1 KR101229098 B1 KR 101229098B1 KR 1020110088718 A KR1020110088718 A KR 1020110088718A KR 20110088718 A KR20110088718 A KR 20110088718A KR 101229098 B1 KR101229098 B1 KR 101229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bolt
pole
support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사균
Original Assignee
나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8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Ladder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및 송전용 철탑 또는 전주와 같은 고층 시설물에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철탑이나 전주의 승주 작업 시 작업자의 발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추락에 대한 공포심을 해소할 수 있으며, 공중에서 오랜 시간 작업하는 경우 작업자의 발에 통증이 발생되는 등의 열악한 작업 환경을 개선시켜 편안한 자세로 작업할 수 있는 다목적 발 디딤쇠로 구성되어 공중 추락사고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과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는, 철탑 또는 전주와 같은 고층 시설물에 승주하거나 장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디딤쇠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몸체를 갖도록 형성되어 별도로 형성된 나사구멍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길이방향의 일측에 나사산부가 형성된 볼트지지봉과, 상기 볼트지지봉의 몸체 부분이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적어도 상기 볼트지지봉의 단면 폭 이상의 깊이를 갖는 지지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의 양측에는 플랜지부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지지봉과 일체로 결합되는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MULTIPURPOSE SAFETY FOOT STEP IRONWARE}
본 발명은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및 송전용 철탑 또는 전주와 같은 고층 시설물에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철탑이나 전주의 승주 작업 시 작업자의 발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추락에 대한 공포심을 해소할 수 있으며, 공중에서 오랜 시간 작업하는 경우 작업자의 발에 통증이 발생되는 등의 열악한 작업 환경을 개선시켜 편안한 자세로 작업할 수 있는 다목적 발 디딤쇠로 구성되어 공중 추락사고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과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탑은 철골이나 철주를 소재로 한 탑으로 전력회사, 방송국, 국가기관 및 통신사업자 등이 유/무선 시설을 지상으로부터 이격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을 의미한다.
최근 무선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그 서비스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도심지나 교외의 들판 및 산간지역에까지 특정 지역을 가리지 않고 수많은 철탑들이 시설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건물옥상 등에 시설되는 소형철탑에서 크기가 50m에 이르는 대형 철탑까지 다양하게 형성되고 있다.
철탑은 사람들의 편의와 안전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만큼 설치된 이후에도 유지 보수 및 안정성 확보가 중요한데 철탑은 외부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이유에서 기상 상태 등에 따른 고장요인이 산재해 있다. 특히, 이동통신용 철탑의 경우에는 철탑 꼭대기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통신안테나, 피뢰침, 항공주의표시등, 통신용 커넥터와 같은 장비들의 교체 및 유지 보수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장비들을 보수하기 위해서는 철탑 주변으로 사다리와 같은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계단을 통해 승주하여 작업자의 발을 지탱할 수 있도록 철탑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된 안전발판에 몸을 의지하여 보수 작업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안전발판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장비들의 유지 보수를 위해 양쪽 다리가 안전발판을 따라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중심을 잡고 주변의 철탑프레임에 고정시킨 안전띠에 의지하여 통신 장비 및 각종 전기설비 등을 유지 보수하는 작업 등을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 방법은 테두리 형태로 구비된 안전발판에서는 몸의 정면이 보수 장비를 향해 정면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두 다리가 안전발판을 따라 나란한 자세만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몸의 균형을 잡기가 힘들게 되고, 교체 또는 보수하여야 할 장비의 부피가 큰 경우에는 안전띠를 주변의 철탑 프레임에 체결한 상태에서 체결된 안전띠에 의지하여 작업자의 몸을 중심에서 뒤로 기울인 채 작업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방법은 안전띠의 체결이 제대로 이루어지 못하는 경우 추락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작업자로 하여금 공포심을 유발하게 되며, 몸의 균형이 흐트러진 채 작업을 실시하게 됨으로써 작업이 더디게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한편, 전주에는 배선 등의 전기공사를 하기 위해 작업자가 전주에 용이하게 승주하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부터 디딤쇠가 전주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주용 디딤쇠는 전주의 생산공정과는 별도의 공정에 의해 전주의 외벽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제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디딤쇠는 전주의 외주면에 돌출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미관상 좋지 않으며, 보행자가 쉽게 오르내릴 수 있어 감전 등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주의 상부는 상기 디딤쇠를 구비시키고, 전주의 하부는 작업자가 승주할 수 있도록 보조디딤쇠(스텝)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밴드를 전주의 외주면에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운용하고 있으며, 작업자는 작업공구만을 가지고 상기 보조디딤쇠와 디딤쇠를 밝고 승주하여 작업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보조디딤쇠는 전주의 하부에 설치됨에 따라 작업시에는 승주가 용이하지만 작업 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여 둠으로써 호기심이 많은 보행자가 상기 보조디딤쇠를 밝고 승주하게 됨으로써 자칫 인명피해를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 전주가 보도측에 구비됨에 따라 보행시 무의식중에 상기 보조디딤쇠에 인체가 부딪혀 타박상을 입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37676호 '전주용 디딤쇠 지지구'에서는 전주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고정밴드를 그대로 사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는 지지구를 구성하여 별도의 승주를 위한 보조도구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로 작업자가 디딤쇠만을 가지고 이동한 후 전주에 결합시킨 상태로 용이하게 승주할 수 있으며, 작업 후에는 디딤쇠를 분리시켜 놓게 됨에 따라 보행자로 하여금 승주를 미연에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9-0100785호 '전주용 디딤쇠'에서는 전주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케이스가 매립되어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발판볼트의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면서 절첩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작업자가 전주 작업 시 승주하기 위한 디딤쇠의 탈부착이 없어 작업과정에서나 작업준비시 디딤쇠를 떨어뜨려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유발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들은 모두 작업자가 디딜 수 있는 디딤쇠가 봉체로 형성되어 있어 오랜시간 전주에 매달린 채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의 발에 통증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되고, 이러한 통증으로 인해 발의 감각이 둔해질 경우 발을 헛디뎌 관절이 다치거나 추락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전주용 디딤쇠'와 같은 기술은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부품이 소요되는 관계로 비용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하여야 함으로써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이동통신 및 송전용 철탑 등 고층 철탑의 상층에 구비된 각종 장비들의 유지 보수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작업자가 안전하고 편한 자세로 작업할 수 있도록 근무 환경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전주의 승주 작업 시 작업자의 발이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발에 전해지는 통증과 추락에 대한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고, 디딤쇠의 제작과정이 간편하며,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소요 비용의 절감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는, 철탑 또는 전주와 같은 고층 시설물에 승주하거나 장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디딤쇠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몸체를 갖도록 형성되어 별도로 형성된 나사구멍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길이방향의 일측에 나사산부가 형성된 볼트지지봉과, 상기 볼트지지봉의 몸체 부분이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적어도 상기 볼트지지봉의 단면 폭 이상의 깊이를 갖는 지지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의 양측에는 플랜지부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지지봉과 일체로 결합되는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는, 상기 발판은 상기 볼트지지봉의 몸체 부분이 상기 지지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홈의 내측면과 서로 맞닿는 부분이 용접되어 상기 볼트지지봉과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지지홈은 상기 볼트지지봉이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 어느 일측 말단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 일측 말단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크기가 작아지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으로 경사지게 꺾인 꺾임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는, 전주의 외주면에 구비된 고정밴드 또는 철탑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걸려 고정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지지봉의 나사산부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볼트지지봉이 상기 지지구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상기 체결공의 내측에서 상기 나사산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는, 철탑 또는 전주와 같은 고층 시설물에 승주하거나 장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디딤쇠에 있어서,
일측에 나사산부가 형성된 볼트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몸체의 타측에는 고리 형태로 구부려진 고리부가 형성된 고리디딤쇠와,
전주의 외주면에 구비된 고정밴드 또는 철탑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걸려 고정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디딤쇠의 나사산부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리디딤쇠와 상기 지지구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상기 체결공의 내측에서 상기 나사산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는 이동통신 및 송전용 철탑 등 고층 철탑의 상층에 구비된 각종 장비들의 유지 보수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작업자가 안전하고 편한 자세로 작업할 수 있도록 근무 환경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전주의 승주 작업 시 작업자의 발이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발에 전해지는 통증과 추락에 대한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고, 디딤쇠의 제작과정이 간편하며,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소요 비용의 절감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가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가 철탑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가 이동통신용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가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가 철탑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가 이동통신용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는 전문작업인이 철탑 또는 전주와 같은 고층 시설물에 승주하여 장시간 동안 작업할 경우 작업자의 피로와 노고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열악한 근무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승주 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1)는, 볼트지지봉(21), 발판(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볼트지지봉(21)은 전문작업인이 철탑 또는 전주와 같은 고층 시설물에 승주하거나 승주한 상태에서 통신장비 및 전기 시설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 시 편리한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봉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볼트지지봉(21)은 일측에 나사산(21a)이 형성되어 전주(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나사구멍(10a)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발판(22)은 상기 볼트지지봉(21)과 일체로 결합되어 디딤쇠(20)를 구성한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디딜 수 있는 디딤쇠가 본 발명의 볼트지지봉(21)과 같이 단순하게 봉체로 형성되어 있어 오랜 시간 전주에 매달린 채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작업자는 발에 통증을 느끼게 되고, 승주 시 발에 닿는 면적이 한정되어 관절에 무리가 오거나, 균형을 잡기 어렵기 때문에 땅으로 추락하게 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판(22)이 상기 볼트지지봉(21)과 일체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안정된 자세로 전주(10)에 승주할 수 있게 되고, 오랜 시간 작업을 지속하더라도 작업자의 발에 통증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갖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1)는 상기 볼트지지봉(21)과 상기 발판(22)이 서로 용접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발판(22)은 상기 볼트지지봉(21)의 몸체 부분이 안착되어 고정되기 위한 지지홈(221)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홈(221)은 상기 볼트지지봉(21)의 몸체 부분이 깊숙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상기 볼트지지봉(21)의 단면 폭 이상의 깊이를 갖도록 발판(2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221)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체 즉, 상기 발판(22)의 중앙 부분을 절곡시켜 형성한 것으로 상기 볼트지지봉(21)이 상기 발판(22)의 일측 방향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발판(22)의 일측 말단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면을 갖도록 절곡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금속 재질의 판체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홈(221)을 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발판(22)의 제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홈(2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지지봉(21)이 상기 지지홈(22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볼트지지봉(21)의 몸체 부분이 일정 길이만큼 깊숙하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입구의 단면이 "└┘"자 형태를 이루도록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발판(22)은 판체를 절곡시켜 상기 지지홈(221)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지지홈(221) 양측 방향에 플랜지부(222)가 자연적으로 길게 형성되게 된다. 이에, 상기 플랜지부(222)는 상기 지지홈(221)의 양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형태로 평탄면을 제공하여 전주(10)에 승주하는 작업자의 발이 종래와 같이 상기 볼트지지봉(21)에 닿지 않고, 상기 발판(22)의 플랜지부(222)에 넓은 간격으로 닿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발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발판(22)은 상기 볼트지지봉(21)의 몸체 부분이 상기 지지홈(22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홈(221)과 서로 맞닿는 부분이 용접(W)되어 상기 볼트지지봉(21)과 일체로 결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발판(22)은 상기 전주(10)의 나사구멍(10a)에 고정되기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볼트지지봉(21)과 용접(W)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볼트지지봉(21)의 몸체 부분이 상기 발판(22)의 지지홈(221)에 길게 안착된 상태에서 서로 맞닿는 면을 따라 용접(W)되어 진다. 이로 인해, 상기 발판(22)은 상기 볼트지지봉(21)과 견고하게 결합 가능하게 되고, 상기 볼트지지봉(21)과 상기 발판(22)이 일체로 결합된 상기 디딤쇠(20)는 상기 볼트지지봉(21)의 나사산(21a) 부분이 상기 전주(10)의 나사구멍(10a)에 체결되도록 하여 전주(10)에 승주하기 위한 작업자가 안정되게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주(10)의 승주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볼트지지봉(21)과 상기 발판(22)은 서로 맞닿는 부분에 별도의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조적인 안전성과 체결 작업의 번거러움을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용접(W) 작업을 통해 일체로 결합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홈(221)은 상기 볼트지지봉(21)이 상기 발판(22)의 길이방향 어느 일측 말단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발판(22)의 길이방향 일측 말단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크기가 작아지게 절곡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홈(221)은 상기 볼트지지봉(21)이 안착되는 방향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 타측 말단부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홈(221)의 내주면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볼트지지봉(21)은 상기 지지홈(221)의 홈 깊이가 깊은 곳에 안착된 상태에서 몸체 부분이 지지홈(22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판(22)의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미끄럼방지부(223)가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23)는 상기 발판(22)의 길이방향의 일측 말단부 즉, 상기 발판(22)의 상기 볼트지지봉(21)이 안착되는 방향의 타측 말단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23)는 작업자가 전주(10)에 승주하여 작업하는 경우 전주(10)의 외측 방향으로 작업자의 발이 밀려 상기 발판(22)의 바깥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 미끄럼방지부(223)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경사각이 90°에 가까워질수록 작업자가 승주할 때 발이 걸려 불편하게 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끄럼방지부(223)가 상기 발판(22)의 외측 즉, 상기 전주(10)에 고정된 디딤쇠(20)의 외측 방향으로 15° 내지 30° 정도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랜지부(222)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으로 경사지게 꺾인 꺾임면(22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꺽임면(222a)은 상기 플랜지부(222)의 가장자리 부분 즉,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만큼 절곡하여 형성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작업자가 전주(10)에 승주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판(22)의 측면 대각 방향에서 발이 먼저 닿기 때문에 상기 발판(22)의 플랜지부(222)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꺾임면(222a)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발이 상기 플랜지부(222)로 무사히 안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평탄면을 형성하여 작업자의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2)는, 전주(10)의 외주면에 구비된 고정밴드(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볼트지지봉(21)과 일체로 결합되는 지지구(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구(30)는 지상에서 전주(10)를 따라 공중으로 이어지는 케이블(C)을 고정하도록 전주(10)를 감싸도록 구비된 고정밴드(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지지구(30)는 상기 고정밴드(11)에 걸려 지지되기 위한 걸림부(31)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지지봉(21)의 나사산부(21a)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공(32)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구(3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 상기 볼트지지봉(21)과 발판(22)이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디딤쇠(20)가 상기 전주(10)에 고정되도록 하는 브라켓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디딤쇠(20)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디딤쇠(20)를 상기 전주(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구(30)는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꺾어지게 형성되고, 그 단면의 일측과 측방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구(30)는 상단부가 하부를 향해 "┌┐"자 형태로 꺾인 단면을 갖는 걸림부(31)가 형성되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밴드(11)의 상단부 내측으로 지지구(30)가 걸려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구(30)는 상기 디딤쇠(20)와 마주하는 방향의 수직한 몸체 부분으로 체결공(3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2)은 상기 볼트지지봉(21)의 나사산부(21a)가 상기 지지구(30)의 측면 방향에서 삽입되도록 지지구(30) 몸체의 측면 방향을 향하여 원형의 형태로 천공된 삽입공(3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공(32a)의 하부에는 상기 삽입공(32a)의 하부 방향으로 이어져 절개된 형태로 걸림턱(32b)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체결공(32)은 상기 볼트지지봉(21)의 나사산부(21a)가 상기 삽입공(32a)을 통해 상기 지지구(30)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나사산부(21a)가 상기 삽입공(32a)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32b) 방향으로 내려지면 상기 볼트지지봉(21)이 상기 걸림턱(32b)에 양측으로 지지도어 좌우로 크게 요동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지지봉(21)은 상기 나사산부(21a)에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너트(34)가 상기 지지구(30)의 걸림턱(32b) 내측 단부에서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구(30)와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발판(22)의 지지홈(2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지지봉(21)이 안착되어 용접되기 위한 삽입구(221a)가 "┌┐"자 형태로 수직한 절단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너트(34)가 상기 나사산부(21a)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구(30)의 체결공(32) 주변 단부와 상기 삽입구(221a) 부분이 수직하게 맞닿아 지지됨으로써 상기 지지구(30)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안정감있게 체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고정너트(34)는 상기 볼트지지봉(21)의 체결 작업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나사산부(21a)의 내측 방향으로 체결된 하나의 고정너트(34)를 나사산부(21a)의 바깥 방향으로 체결된 고정너트(34)가 내측 고정너트(34)를 이중으로 지지하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디딤쇠(20)와 결합된 상기 지지구(30)는 상기 고정밴드(11)에 걸려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요동하지 않도록 전주(10)에 맞닿아 지지되는 버팀지지면(33a,33b)이 형성되어 상기 디딤쇠(20)가 전주(10)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2)는 전주(10)에 나사구멍(10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고정밴드(11)와 같은 케이블 고정수단에 상기 지지구(30)를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디딤쇠(20)를 전주(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주(10)에 설치되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송전용 철탑 또는 이동통신용 철탑과 같은 초고층의 철탑에서도 이동통신 장비 및 전기설비 등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작업자의 근무 환경을 개선시켜 줄 수 있는 다목적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5는 상기 디딤쇠(20)가 철탑(100)에 설치된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철탑(100)의 꼭대기층에는 중앙으로 피뢰침이 설치되고, 중앙층 또는 꼭대기층의 변두리 방향에는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통신장비 및 전기설비 등의 각종 장비들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100)의 꼭대기층에는 이동통신안테나(110) 및 통신커넥터(120)와 같은 통신 장비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장비들의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키높이 정도의 하부에는 철탑(100)의 외측 프레임을 둘러싸는 형태의 안전발판(101)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안전발판(101)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안테나(110) 및 통신커넥터(120)의 보수 및 교체 작업을 실시할 경우, 몸의 정면이 보수 장비를 향해 정면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 작업자의 두 다리가 상기 안전발판(101)을 따라 나란한 자세가 되어 몸의 균형을 잡기가 힘들게 되고, 통신장비 중 배터리와 같이 부피가 큰 장비의 경우에는 안전띠를 주변의 철탑 프레임에 체결한 상태에서 체결된 안전띠에 의지하여 작업자의 몸을 중심에서 뒤로 기울인 채 작업하여야 하는 것으로 작업자로 하여금 추락에 대한 공포심을 유발하게 되며, 몸의 균형이 흐트러진 채 작업을 실시하게 됨으로써 작업이 더디게 진행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2)는 상기와 같은 철탑(100) 구조물에서 각종 통신 장비들의 보수 작업 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볼트지지봉(20)이 철탑(100)에 구비된 안전발판(101)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안전발판(101)의 테두리 상단부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이동통신안테나(110) 및 통신커넥터(120)와 같은 장비들의 교체 또는 보수 작업을 위해 상기 안전발판(101)에 딛고 있는 작업자의 한 발을 상기 디딤쇠(20)에 지지하여 상기와 같은 장비들에 대하여 작업자의 양 발이 지그재그 방향으로 향하여 몸의 균형이 쉽게 잡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조로 안전띠를 작업자의 몸에 체결한 상태에서 더욱 안정감 있는 작업을 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발생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2)는 작업자가 휴대한 상태에서 철탑(100)에 승주하여 착탈식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디딤쇠(20)의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철탑(100)의 건설 과정에서 안전발판(101)의 측면 단부에 별도로 나사구멍 등을 형성시킨 경우에는 상기 지지구(30)를 구성하지 않더라도 상기 디딤쇠(20)를 상기 나사구멍에 결합시켜 상술한 장비들의 유지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2)의 지지구(30)의 크기와 디딤쇠(20)의 길이는 철탑(100)에 구비되는 안전발판(101)의 테두리 상단부 두께와 철탑(100)의 규모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최근에 많이 설치되고 있는 이동통신용 전주(100')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W)가 각종 장비들을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안전발판(101')이 구비되고, 상기 안전발판(101')의 키높이 부분에는 프레임이 전주에 고정되어 넓게 설치되며, 그 프레임에 이동통신용 광중계기(110') 및 배전반과 같은 각종 장비들이 설치되어 통신 접속 작업이나 변압기, 배터리 등의 교체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설치된 광중계기(110') 등의 장비들은 매우 다양한 종류가 여러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발판(101')의 테두리 부분보다 측방으로 많이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장시간 이루어지는 유지 보수 작업을 실시하기가 어렵게 되고, 작업자(W)가 무리하게 몸을 틀어 작업하게 되면 추락의 위험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W)는 본 발명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2)를 휴대한 상태에서 이동통신용 전주(100')에 승주하여 상기 안전발판(101')의 테두리 부분에 간편하게 설치하게 됨으로써 작업자(W)의 다리를 상기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2)에 지지한 상태로 몸이 상기 안전발판(101')의 외측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광중계기(110')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장비들을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안전띠와 같은 별도의 보조장비를 상기 안전발판(101') 또는 광중계기(110') 등의 장비가 설치된 프레임에 체결시켜 몸을 지지시킴으로써 추락사고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용 전주(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1)를 함께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전주에 승주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설치된 봉 형상의 디딤쇠를 빼내고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디딤쇠(20)를 간편하게 체결하여 승주 작업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고, 굳이 승주 작업시에는 상기 디딤쇠(20)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이동통신용 전주(100')의 꼭대기 부분에서 상기 안전발판(101')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피뢰침, 안테나 등의 각종 통신 장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실시할 경우 상기 이동통신용 전주(100')의 일부분에만 상기 디딤쇠(20)를 간편하게 체결시켜 작업자(W)의 다리를 안전하게 지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3)는 일측에 나사산부(21a')가 형성된 볼트몸체(21')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몸체(21')의 타측에는 고리 형태로 구부려진 고리부(22')가 형성된 고리디딤쇠(20')와 상기 지지구(30)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구(3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2)에서와 동일하게 전주(10)에 구비된 상기 고정밴드(11)에 걸려 지지되기 위한 걸림부(31)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디딤쇠(20')의 나사산부(21a')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공(32)이 형성되어 상기 고리디딤쇠(20')가 상기 지지구(30)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상기 체결공(32)의 내측에서 상기 나사산부(21a')에 체결되는 고정너트(3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3)는 상기 지지구(30)와 상기 고리디딤쇠(20')의 결합을 통해 종전과 같이 봉체로 형성된 볼트지지봉(21)의 몸체를 고리 형태로 절곡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구성된 발판(22)과 같이 전주의 승주 작업시 작업자의 발바닥 부분에 닿을 수 있는 다수개의 디딤면이 넓은 간격으로 제공됨으로써 작업자의 발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리디딤쇠(20')는 상기 지지구(30)와 결합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전주(10)에 형성된 나사구멍(10a)에 상기 나사산부(21a')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고리디딤쇠(20')를 전주(10)에 바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리디딤쇠(20')의 고리부(22')는 상기 나사산부(21a')를 상기 나사구멍(10a)에 체결할 때 쉽게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막대와 같이 길게 형성된 별도의 도구를 상기 고리부(22')에 끼운 상태에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고리디딤쇠(2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고리디딤쇠(20')의 체결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전주 10a 나사구멍
11 고정밴드 20 디딤쇠
21 볼트지지봉 21a 나사산부
22 발판 221 지지홈
222 플랜지부 222a 꺾임면
223 미끄럼방지부 30 지지구
31 걸림부 32 체결공
32a 삽입공 32b 걸림턱
33a,33b 버팀지지면 34 고정너트

Claims (4)

  1. 철탑 또는 전주와 같은 고층 시설물에 승주하거나 장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디딤쇠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몸체를 갖도록 형성되어 별도로 형성된 나사구멍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길이방향의 일측에 나사산부가 형성된 볼트지지봉과, 상기 볼트지지봉의 몸체 부분이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적어도 상기 볼트지지봉의 단면 폭 이상의 깊이를 갖는 지지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의 양측에는 플랜지부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지지봉과 일체로 결합되는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판은 상기 볼트지지봉의 몸체 부분이 상기 지지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홈의 내측면과 서로 맞닿는 부분이 용접되어 상기 볼트지지봉과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지지홈은 상기 볼트지지봉이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 어느 일측 말단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 일측 말단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크기가 작아지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으로 경사지게 꺾인 꺾임면이 형성되고,
    전주의 외주면에 구비된 고정밴드 또는 철탑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걸려 고정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지지봉의 나사산부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볼트지지봉이 상기 지지구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상기 체결공의 내측에서 상기 나사산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
  2. 삭제
  3. 삭제
  4. 철탑 또는 전주와 같은 고층 시설물에 승주하거나 장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디딤쇠에 있어서,
    일측에 나사산부가 형성된 볼트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몸체의 타측에는 고리 형태로 구부려진 고리부가 형성된 고리디딤쇠와,
    전주의 외주면에 구비된 고정밴드 또는 철탑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걸려 고정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디딤쇠의 나사산부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리디딤쇠와 상기 지지구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상기 체결공의 내측에서 상기 나사산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디딤쇠.
KR1020110088718A 2011-09-01 2011-09-01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 KR101229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718A KR101229098B1 (ko) 2011-09-01 2011-09-01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718A KR101229098B1 (ko) 2011-09-01 2011-09-01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098B1 true KR101229098B1 (ko) 2013-02-01

Family

ID=4789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718A KR101229098B1 (ko) 2011-09-01 2011-09-01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0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630B1 (ko) 2018-03-26 2019-01-21 주식회사 신신전력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1960059B1 (ko) 2018-07-16 2019-03-19 주식회사 신신전력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N110585622A (zh) * 2019-10-30 2019-12-20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检修公司 防绳索干涉的防坠脚钉
KR20230099364A (ko) 2021-12-27 2023-07-04 한국전력공사 발판볼트 고정형 안전고리의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598Y1 (ko) * 2001-10-05 2001-12-29 김병기 천막용 와이어의 텐션조절장치
KR200437676Y1 (ko) * 2007-02-15 2007-12-17 최승연 전주용 디딤쇠 지지구
KR100970257B1 (ko) * 2009-12-15 2010-07-16 한일통신 주식회사 연결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598Y1 (ko) * 2001-10-05 2001-12-29 김병기 천막용 와이어의 텐션조절장치
KR200437676Y1 (ko) * 2007-02-15 2007-12-17 최승연 전주용 디딤쇠 지지구
KR100970257B1 (ko) * 2009-12-15 2010-07-16 한일통신 주식회사 연결고정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630B1 (ko) 2018-03-26 2019-01-21 주식회사 신신전력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1960059B1 (ko) 2018-07-16 2019-03-19 주식회사 신신전력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N110585622A (zh) * 2019-10-30 2019-12-20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检修公司 防绳索干涉的防坠脚钉
KR20230099364A (ko) 2021-12-27 2023-07-04 한국전력공사 발판볼트 고정형 안전고리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098B1 (ko)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
CN210698685U (zh) 一种电力输电线路杆塔用助爬装置
KR200437676Y1 (ko) 전주용 디딤쇠 지지구
CN207003981U (zh) 一种带有安全支撑的移动式高空作业防护架
CN203895813U (zh) 一种变电设备检修架
CN203756015U (zh) 一种输电铁塔高空作业平台
CN201981995U (zh) 一种单柱设备检修抱杆梯
CN107819290B (zh) 高度可调防坠高空作业平台
CN206290066U (zh) 一种便于攀爬的电线杆
CN105804633A (zh) 一种辅助装置和应用该辅助装置的多功能登高梯
CN201883932U (zh) 抱箍式垂直绝缘单梯
KR102219389B1 (ko) 승주용 안전발판
CN211798366U (zh) 一种登高、高空作业安全装置
CN208534080U (zh) 一种建筑墙体施工防护装置
KR20130002098U (ko) 전주용 슬라이딩 사다리
CN217028753U (zh) 一种防坠落的检修梯
CN205832417U (zh) 一种安全带悬控装置
KR200457076Y1 (ko) 천장철거용 보조기구
CN205100455U (zh) 隐藏式钢梯扶手栏杆
CN220395336U (zh) 一种带有防倾斜倒塌结构的水泥杆
CN214402638U (zh) 一种施工安全爬梯
CN207863501U (zh) 重冰区加固型杆塔攀爬横担加固板防坠落装置
CN217925707U (zh) 一种便于攀爬的水泥电杆
CN209761326U (zh) 一种钢杆攀爬装置
CN212439930U (zh) 一种电力安装用脚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