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282B1 -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282B1
KR102005282B1 KR1020190015592A KR20190015592A KR102005282B1 KR 102005282 B1 KR102005282 B1 KR 102005282B1 KR 1020190015592 A KR1020190015592 A KR 1020190015592A KR 20190015592 A KR20190015592 A KR 20190015592A KR 102005282 B1 KR102005282 B1 KR 102005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rope
fall
operato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점주
Original Assignee
김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주 filed Critical 김점주
Priority to KR1020190015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5Vertical life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사고가 발생한 작업자가 본인의 의지로 지상까지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착 가능하게 작업자 신체에 착용되는 안전복과, 상기 안전복 후면에 소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송전철탑이나 해당 송전철탑의 안전구조물과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작업자가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부재 및 상기 안전복 전면에 길이연장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추락방지부재와 체결되어 그 연장되는 길이에 의해 작업자가 안전하게 지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하강와이어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fall prevention of steel tower}
본 발명은 송전 기술 분야 중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사고가 발생한 작업자가 본인의 의지로 지상까지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탑은 철재로 이루어진 탑으로서, 고압전력을 공급하는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송전철탑이 있다.
필요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은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는 통신선로를 지지하는 통신철탑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철탑은 크게 지반에 형성되는 기초, 기초의 상부에 기립 설치되는 탑 구조를 이루는 복수 개의 지주프레임, 지주프레임을 수평 내지 경사지게 연결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프레임 및 주프레임의 일측에 외측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암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철탑의 송전선로나 통신선로 등을 이상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철탑의 고소에서 송전선로나 통신선로를 지지하는 구조물을 비롯하여 송전이나 통신과 관련된 전기전자부품을 점검 및 교체하는 유지보수 작업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때 철탑은 대부분 산중턱이나 산꼭대기에 설치되어 있어 고가사다리차의 접근이 불가능하여 유지보수 작업시 작업자가 직접 철탑의 고소까지 올라가야만 한다.
단, 철탑의 지주프레임 일면과 타면에 복수 개의 발판볼트가 상하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작업자가 철탑의 고소까지 오르내릴 때 손잡이와 발판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발판볼트는 지주프레임에 고정되는 나사부를 제외하고는 외면이 둥그면서 매끈하여 작업자가 수부로 잡거나 족부를 딛을 때 미끄러짐이 심하여 손잡이와 발판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작업자가 지주프레임을 따라 오르내릴 때나 고소작업을 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추락사고 예방을 위해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밸트와 연결할 수 있는 안전로프를 지주프레임의 일면에 걸어놓아 생명줄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이때 안전로프는 바람에 의해 이리저리 유동하지 않고 작업자의 추락시 안전밸트가 걸리도록 지주프레임의 일면과는 복수 개의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는 지지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발판볼트 중의 일부를 대체한 것으로, 그 일측은 지주프레임에 체결 고정되는 나사봉으로 이루어지고그 타측은 안전로프가 통과하는 연결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작업자는 철탑에 올라가 작업시에 상술한 안전로프에 고리 형상을 갖는 체결링을 결합하여 작업을 실시하며, 해당 작업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지상으로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시 상기 체결링에 연결된 안전와이어가 작업자의 작업복과 연결되어 있어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안전장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사고를 일으키지 못하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지상으로 추락하는 과정에서 안전로프와 너무 떨어지거나 하면 해당 안전로프에 메달린 상태로 다른 구조대가 도착하기 전까지 대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940630호(공고일:2019.01.21.) 국내공개실용 제97-38870호(공개일:1997.07.29.)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안전와이어에 의해 안전사고가 방지된 작업자가 스스로의 힘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가 불가하여 구조대의 구조를 기다려야 하는 경우, 해당 구조대의 구조를 기대하지 않고도 작업자 본인의 의지로 지상에 안전하게 내려올 수 있는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는 탈착 가능하게 작업자 신체에 착용되는 안전복과, 상기 안전복 후면에 소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송전철탑이나 해당 송전철탑의 안전구조물과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작업자가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부재 및 상기 안전복 전면에 길이연장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추락방지부재와 체결되어 그 연장되는 길이에 의해 작업자가 안전하게 지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하강와이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추락방지부재는 소정길이를 갖는 로프(ROPE)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안전구조물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핀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하강와이어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제1결합부가 형성된 상부로프 및 소정길이를 갖는 로프(ROPE)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회전에 의해 나사결합하여 상기 상부로프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안전복에 형성된 체결링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안전복과 상기 추락방지부재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하부로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강와이어부재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안전복과 결합하되 속이 빈 함체 형상을 갖는 외함, 상기 외함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 상기 롤러와 회전가능하게 구동축이 축 결합하되 작업자가 지상으로 하강시에 해당 작업자의 하중에 의한 상기 롤러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감속모터, 일단이 상기 롤러와 고정 결합하되 상기 롤러 외면에 감겨지며 상부에는 상기 외함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체결공과 탈착 가능하게 체결하는 하강핀이 형성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송전철탑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한 작업자가 추락방지부재에 의해 1차적으로 안전하게 안전구조물에 메달린 상태를 유지하되 해당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하강와이어부재를 동작시켜 2차적으로 본인의 의지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상에 내려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의 하강와이어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가 안전구조물에 결합한 사용상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의 작용관계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이하, 간략하게 '안전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1)는 크게 안전복(100), 추락방지부재(200) 및 하강와이어부재(3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안전복(1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착용한 작업복의 외부에 결쳐 입을 수 있게 소매가 없는 배자(褙子: 일반적으로 '조끼'라 부름)의 형상을 하고 있어 해당 작업자의 상의로 착용된다.
해당 안전복(100)은 작업자의 가슴 하부 즉, 허리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클립이 구비되어 용이하게 착용 또는 탈의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의 안전복(100)은 후면(작업자의 등 부분)에 후술하는 결합핀(223)과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기 위한 체결링(1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송전철탑에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시에 해당 작업자가 추락방지부재(200)와 체결링(110)에 의해 추락하지 않도록 보호한다.
안전복(100) 전면에는 후술하는 하강와이어부재(3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강와이어부재(300)가 안전복(100) 전면에 형성된 이유는 작업자가 추락방지부재(200)에 의해 메달린 상태를 갖는 경우, 용이하게 상기 하강와이어부재(3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추락방지부재(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송전철탑에 형성된 안전구조물(10)과 결합하되 그 타단은 상술한 체결링(110)과 결합하여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작업자에게 발생시에 해당 작업자가가 지상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부로프(210)와 하부로프(2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부로프(2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밧줄을 의미하며, 삼실이나 가느다란 다수의 강철선을 꼬아 만들거나 섬유 따위를 꼬아 만든 것을 사용한다.
상부로프(210)의 길이는 한정하고 있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안전구조물(10)에 추락방지부재(200)가 결합한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송전철탑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한다.
아울러 상부로프(210) 상부에는 고정핀(211)이 구비되며, 그 하부에는 제1결합부(213)가 구비된다.
여기서 고정핀(211)은 바(BAR) 형상을 갖도록 송전철탑에 설치된 안전구조물(10) 외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결합부(213)는 후술하는 제2결합부(221)와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여 작업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221)와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결합부(213) 하면에는 제2결합부(221) 상면에 돌출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며, 그 외면에는 후술하는 하강핀(341)과 탈착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공(215)이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로프(220)는 상불한 상부로프(210)와 동일한 재질로 소정길이를 갖게 형성되되 그 상부에는 제2결합부(221)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결합핀(223)이 형성된다.
제2결합부(221) 상부에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제1결합부(213) 하면에 형성된 홈부와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며, 결합핀(223)은 상술한 체결링(11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하부로프(220) 하부는 다수의 결합핀(223)이 구비되어 복수의 체결링(110)과 각각 결합함으로써,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상부로프(210)나 하부로프(220)가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해당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안전구조물(10)에 메달리는 형태로 있는 경우, 안정적으로 메달릴 수 있게 다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강와이어부재(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추락방지부재(200)에 의해 작업자가 안전구조물(10)에 메달린 상태에서 본인의 의지에 의해 지상으로 안정되게 하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외함(310), 롤러(320), 감속모터(330), 와이어(340) 및 발광부재(350)를 포함한다.
외함(310)은 전체적으로 속이 빈 함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그 후면은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20)에 의해 안전복(100) 전면에 고정 설치된다.
외함(310) 상부에는 롤러(320)에 감겨진 와이어(34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개구부(311)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311)의 끝단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와이어(340)가 접촉시에 상하지 않도록 패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덮개(미도시)가 형성되어 이물질이나 습기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롤러(320)는 외함(3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게 양측에 각각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은 외함(310)과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고, 타측은 감속모터(330)의 구동축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320)가 외함(310)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롤러(320) 외면에는 수회에 걸쳐 와이어(340)가 감겨진 형태를 이루도록 하며, 작업자가 하강시에 와이어(340)가 개구부(311)를 통해 권출될 수 있도록 한다.
감속모터(330)는 외함(310) 내부에 고정 구비되되 그 구동축이 롤러(320) 타측과 결합하여 상기 롤러(320)가 회전시에 일정속도로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에서의 롤러(320)는 그 특성상 작업자의 하중에 따라 회전속도가 제어될 수 있으므로, 상기 롤러(320)에 그 내부 구조에 의해 일정속도만 회전할 수 있는 감속모터(330)를 결합하여 작업자가 와이어(340)에 의해 지상으로 하강시에 가속도가 붙지 않도록 상기 롤러(320)의 회전속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감속모터(330)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다수의 기어들에 의한 결합으로 롤러(3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기어박스(미도시)도 가능하다.
와이어(340)는 상술한 상부로프(210)나 하부로프(220)와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안전사고가 발생한 작업자가 지상으로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롤러(320) 외면에 적어도 150미터 이상(통상의 송전철탑 높이는 80미터)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지상으로의 하강이 용이하도록 한다.
와이어(340) 일단은 롤러(320)와 고정결합하며, 그 타단에는 상술한 체결공(215)과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기 위한 하강핀(341)이 형성된다.
이때, 하강핀(341)은 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만 체결공(215)과 체결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재(35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조명을 조사하여 작업자의 의식 여부를 외부에 알리거나 특히, 야간에 안전사고가 발생한 작업자의 위치는 물론, 하강 중인 작업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배터리(351), 스위치(353) 및 램프(355)를 포함한다.
배터리(351)는 충전이 용이한 배터리(351)를 사용하며, 외함(310) 외면에 노출 구비된 램프(3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위치(353)는 배터리(351)와 램프(355)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배터리(351)의 전원이 상기 램프(0에 인가되어 상기 램프(355)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한다.
스위치(353)의 사용은 작업자가 지상으로 하강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만 사용하여 외부에서도 해당 작업자에게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램프(355)는 외함(310) 외면에 구비되되 스위치(353)에 의해 배터리(351)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발광할 수 있는 엘이디 등을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1)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제1결합부(213)와 제2결합부(221)를 나사 결합하여 상부로프(210)와 하부로프(22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하부로프(220) 하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핀(223)과 안전복(100) 후면에 형성된 체결링(110)을 연결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체결링(110)에 의해 추락방지부재(200)가 연결된 안전복(100)을 착용하며, 착용된 상태로 송전철탑에 올라가 작업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작업자는 송전철탑에 형성된 안전구조물(10)에 고정핀(211)을 체결한 상태로 올라가거나 해당 송전철탑의 작업위치에 올라간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211)을 상기 안전구조물(10)에 체결하여 추락에 대한 안전사고에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송전철탑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제1결합부(213)와 제2결합부(221)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부로프(210)와 하부로프(220)를 통해 해당 작업자는 안전구조물(10)에 메달린 형태를 갖게 된다.
이 상황에서 작업자는 외함(310) 외부로 인출된 와이어(340) 상단의 하강핀(341)을 제1결합부(213)에 형성된 체결공(215)에 연결하고, 상기 제1결합부(213)와 나사 결합한 제2결합부(221)를 분리할 준비를 한다.
이때, 작업자는 외부에 자신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고나 현재 의식이 있음을 알리기 위해 외함(310) 외면에 구비된 스위치(353)를 작동하여 램프(355)를 발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제2결합부(221)를 회전시켜 상기 제2결합부(221)가 제1결합부(213)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상부로프(210)와 하부로프(220)가 서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제1결합부(213)에 체결된 하강핀(341)에 의해 와이어(340)가 롤러(320)에서 감속모터(330)의 감속에 의해 권출되면서 서서히 지상으로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체결공(215)에 체결된 하강핀(341)과 안전구조물(10)에 결합한 고정핀(211)을 통해 와이어(340)와 상부로프(210)가 일체로 연결되어 작업자는 하부로프(220)를 제외해도 감속모터(330)에 의해 회전속도가 제어된 롤러(3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340)가 풀려 안전하게 지상으로 내려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송전철탑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한 작업자가 추락방지부재(200)에 의해 1차적으로 안전하게 안전구조물(10)에 메달린 상태를 유지하되 해당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하강와이어부재(300)를 동작시켜 본인의 의지에 의해 2차적으로 안정되게 지상으로 내려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
100: 안전복 110: 체결링
200: 추락방지부재 210: 상부로프
211: 고정핀 213: 제1결합부
215: 체결공 220: 하부로프
221: 제2결합부 223: 결합핀
300: 하강와이어부재 310: 외함
311: 개구부 320: 롤러
330: 감속모터 340: 와이어
341: 하강핀 350: 발광부재
351: 배터리 353: 스위치
355: 램프 10: 안전구조물
20: 체결수단

Claims (1)

  1. 탈착 가능하게 작업자 신체에 착용되는 안전복(100);
    상기 안전복(100) 후면에 소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송전철탑이나 해당 송전철탑의 안전구조물(10)과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작업자가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부재(200); 및
    상기 안전복(100) 전면에 길이연장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추락방지부재(200)와 체결되어 그 연장되는 길이에 의해 작업자가 안전하게 지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하강와이어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추락방지부재(200)는
    소정길이를 갖는 로프(ROPE)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안전구조물(1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핀(211)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하강와이어부재(300)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공(215)이 형성된 제1결합부(213)가 형성된 상부로프(210) 및 소정길이를 갖는 로프(ROPE)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213)와 회전에 의해 나사결합하여 상기 상부로프(21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결합부(22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안전복(100)에 형성된 체결링(11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안전복(100)과 상기 추락방지부재(2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합핀(223)을 포함하는 하부로프(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강와이어부재(300)는
    체결수단(20)에 의해 상기 안전복(100)과 결합하되 속이 빈 함체 형상을 갖는 외함(310), 상기 외함(3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320), 상기 롤러(320)와 회전가능하게 구동축이 축 결합하되 작업자가 지상으로 하강시에 해당 작업자의 하중에 의한 상기 롤러(320)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감속모터(330), 일단이 상기 롤러(320)와 고정 결합하되 상기 롤러(320) 외면에 감겨지며 상부에는 상기 외함(310)에 형성된 개구부(311)를 통해 상기 체결공(215)과 탈착 가능하게 체결하는 하강핀(341)이 형성된 와이어(340)를 포함하고,
    상기 추락방지부재(200)는 송전철탑에서 작업자가 1차적으로 안전하게 안전구조물(10)에 메달린 상태를 유지하여 추락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이 상태에서 해당 작업자는 상기 하강핀(341)을 상기 체결공(215)에 결합하되 상기 외함(310)에 구비된 스위치(353)를 전기적으로 온(ON) 작동하여 상기 감속모터(33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롤러(320)를 통해 상기 하강핀(341)과 연결된 상기 와이어(340)가 상기 외함(310)에서 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작업자의 의지에 의해 안전하게 지상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
KR1020190015592A 2019-02-11 2019-02-11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 KR102005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92A KR102005282B1 (ko) 2019-02-11 2019-02-11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92A KR102005282B1 (ko) 2019-02-11 2019-02-11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282B1 true KR102005282B1 (ko) 2019-07-30

Family

ID=6747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592A KR102005282B1 (ko) 2019-02-11 2019-02-11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2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983B1 (ko) * 2023-05-09 2023-10-05 김창순 압전발전·안전신호음·내마모성으로 이루어진 쓰리이펙트형 스마트 전봇대 안전벨트용 안전신호발생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870A (ko) 1995-12-29 1997-07-24 한승준 자동차의 리어 피니셔 장착구조
JPH1136309A (ja) * 1997-07-24 1999-02-09 Shimizu Corp 作業用昇降装置
KR100977071B1 (ko) * 2010-01-28 2010-08-19 주식회사 세진안전 교량 안전점검로의 작업자 안전보조구
KR101940630B1 (ko) 2018-03-26 2019-01-21 주식회사 신신전력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870A (ko) 1995-12-29 1997-07-24 한승준 자동차의 리어 피니셔 장착구조
JPH1136309A (ja) * 1997-07-24 1999-02-09 Shimizu Corp 作業用昇降装置
KR100977071B1 (ko) * 2010-01-28 2010-08-19 주식회사 세진안전 교량 안전점검로의 작업자 안전보조구
KR101940630B1 (ko) 2018-03-26 2019-01-21 주식회사 신신전력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983B1 (ko) * 2023-05-09 2023-10-05 김창순 압전발전·안전신호음·내마모성으로 이루어진 쓰리이펙트형 스마트 전봇대 안전벨트용 안전신호발생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13757B (zh) 一种电工可背负式升降工具包
KR102097377B1 (ko)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수 작업자 안전장치
KR102005282B1 (ko)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
KR102464142B1 (ko)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케이블 보수 작업자 안전시스템 제공방법
CN108824490B (zh) 一种安全性高的井口防坠保护装置
KR101187186B1 (ko) 전주용 안전로프장치
CN210710210U (zh) 一种电梯救援装置
CN214318905U (zh) 一种便捷的塔机攀爬安全带吊挂装置
KR102009187B1 (ko) 배전선로의 케이블 설치 작업자 보호장치
CN213950262U (zh) 一种智慧楼宇电梯逃生装置
CN217816273U (zh) 升降装置及照明设备
CN209778238U (zh) 一种用于煤仓的升降机构
CN109939384A (zh) 一种高处作业用安全带挂架
CN110783851B (zh) 输电线路出线装置
CN213265479U (zh) 塔式起重机人员通勤的安全装置
CN201171871Y (zh) 高楼自救逃生器
CN111686384B (zh) 电力线路首登人员安全绳临时固定装置
CN107461218B (zh) 救援车
IT9019932A1 (it) Apparecchio di sollevamento compatto
CN216890008U (zh) 一种适用临界机组的检修升降电动平台
CN215567840U (zh) 一种闸门启闭机输出端润滑机构
CN218714843U (zh) 建筑工程钢结构攀登装置
CN219929453U (zh) 一种冶金起重机起升机构
CN216336009U (zh) 一种电梯滑轮的防护罩
CN2571910Y (zh) 钢索导轨提升机的锁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