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443B1 - 의복 - Google Patents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443B1
KR101938443B1 KR1020147022505A KR20147022505A KR101938443B1 KR 101938443 B1 KR101938443 B1 KR 101938443B1 KR 1020147022505 A KR1020147022505 A KR 1020147022505A KR 20147022505 A KR20147022505 A KR 20147022505A KR 101938443 B1 KR101938443 B1 KR 101938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ongation
rear body
garment
front body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5377A (ko
Inventor
다츠야 기도
야스시 후지타
모토코 가메다
미치코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5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41B1/0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전면 몸체 (2)와 후면 몸체 (3)을 포함하는 옷의 몸체를 갖고, 전면 몸체 (2)를 구성하는 소재와 후면 몸체 (3)을 구성하는 소재가 동일하며, 후면 몸체 (3)의 품 (7)이 전면 몸체 (2)의 품 (6)보다도 짧은 의복. 착용자의 상반신의 움직임이나 상태를 적절한 자세로 유도하여, 견갑골 주변의 운동 추종성 및 착용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의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복{CLOTHING}
본 발명은, 착용자의 상반신의 움직임이나 상태를 적절한 자세로 유도하는 기능을 갖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체의 건강 촉진이나 스타일 향상을 목적으로서, 등줄기를 펴서 서있는 신체 상태를 수직으로 유지하고, 가슴을 펴게 함으로써 새우등 등의 자세를 개선하여, 어깨 결림 등으로 이어지는 근육의 긴장을 경감시키는 사고 방식이 보급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등줄기를 펴서 서있는 신체 상태를 수직으로 유지하여 가슴을 펴게 하는 상태를, 착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기능성 의복이 판매되고 있다. 이들 기능성 의복은, 소재의 신장 응력을 이용하여 좌우의 견갑골부를 신체의 뒤쪽 중심부로 잡아당기는 등, 신체의 부위별로 상이한 부하를 부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의복으로서, 예를 들어 상반신부를 갖고 신체에 밀착하는 편 직물을 사용하여, 착용자의 자세를 적절한 상태로 유도하는 설계가 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히 신장률이 상이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신체의 부위마다 상이한 부하를 부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어떠한 기능성 의복도 의복 소재의 신장 응력에 의해 등줄기를 펴는 것을 촉진시킴으로써 외관상의 자세의 양호함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그 효과를 보다 크게 하기 위해 높은 신장 응력의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시판되어 있는 기능성 의복은 착용시의 조임이 크고, 강하게 압박되는 것이 많아, 스포츠를 할 때만 착용하는 등 단시간 사용에 적합하며, 장시간 착용하고 있을 때의 쾌적성이 떨어진다. 또한, 의복의 조임은 착탈성에도 영향을 미쳐, 착탈시의 통과 부위의 걸림 등 착용자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기능성 의복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신장 응력이 상이한 소재를 조합하여, 견갑골 상각으로부터 하각에 걸친 영역에 신장 응력이 높은 소재를 배치하여, 부위별의 강약을 전환한 것(특허문헌 1, 4), 옷감 재단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종횡 신장 응력의 차를 이용하여 부위별의 강약을 전환한 것(특허문헌 2), 긴체(緊締) 부재를 몸 옷감에 접합하여 부위별의 강약을 전환한 것(특허문헌 3), 동일 옷감에서 조직의 전환 등을 행함으로써 부위별의 강약을 전환한 것(특허문헌 5)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4431616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64401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10-095803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61207호 일본 특허 공개 제 2007-138335호
그러나, 특허문헌 1, 3, 4의 상이한 소재를 조합하여 부위별의 강약을 전환한 것은, 긴체부 소재와 본체 소재의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소재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사용할 수 있는 소재의 조합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소재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다. 즉 소재의 범용성이 부족하다. 또한, 2개의 상이한 소재를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진다.
특허문헌 2의 재단 방향을 전환한 것은, 바이어스 재단 등 비스듬히 커트하거나 함으로써 옷감의 사용량, 즉 옷감의 치수가 증가하여 생산성이 나쁘다. 또한, 재단 방향에 따른 세탁 후의 치수 변화율의 차이가 의복상의 동일한 방향에 발생하는 결과, 왜곡 등이 발생한다.
특허문헌 5의 동일 옷감에서 조직을 전환한 것은, 편성의 전환에 의해 부분적으로 조직을 바꾸기 위해 한 벌씩 편성할 필요가 있어, 소량 생산에 적합한 방법이며 생산성이 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능성 의복은, 모두 소재의 범용성, 생산성, 착용시의 쾌적성에 있어서 충분한 성능을 충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의복은 다음의 구성을 갖는다. 즉,
전면 몸체(front body)와 후면 몸체(back body)를 포함하는 옷의 몸체를 갖고, 상기 전면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와 상기 후면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가 동일하며, 상기 후면 몸체의 품이 상기 전면 몸체의 품보다도 짧은 의복이다.
본 발명의 의복은, 상기 후면 몸체가 복수의 후면 몸체 부분이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후면 몸체 부분은, 이들 각 후면 몸체 부분을 접합하지 않고 배열한 평면 상태에서 도려냄부(cutting out portion)를 형성하는 형상이며, 상기 복수의 후면 몸체 부분을 접합한 상태에서, 상기 도려냄부를 막는 접합부가 인체의 견갑골 상각으로부터 견갑골 하각에 걸쳐서 좌견갑골과 우견갑골 사이를 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복은, 상기 전면 몸체의 품과 상기 후면 몸체의 품의 비(전면 몸체의 품/후면 몸체의 품)가 1.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복은, 상기 후면 몸체의 하기 식으로 구한 신장률 2가 상기 전면 몸체의 하기 식으로 구한 신장률 1보다도 크고, 상기 전면 몸체 및 후면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의 상기 신장률 2에서의 품 방향의 신장 응력 2가 상기 신장률 1에서의 품 방향의 신장 응력 1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ㆍ신장률 1(%)={(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의 체스트(chest) 또는 버스트(bust) 치수 범위의 중간값/2)-전면 몸체의 품}/전면 몸체의 품×100
ㆍ신장률 2(%)={(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의 체스트 또는 버스트 치수 범위의 중간값/2)-후면 몸체의 품}/후면 몸체의 품×100
(단, 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란, 상기 의복을 설계할 때에 기준으로 한 의료 규격 및 의료 사이즈임)
본 발명의 의복은, 상기 신장 응력 1이 1 내지 30gf/cm(980 내지 29,400dyn/cm), 상기 신장 응력 2가 20 내지 100gf/cm(19,600 내지 98,000dyn/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복은, 상기 전면 몸체 및 후면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의 14.7N 신장시의 신장률 3이 품 방향에서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복은, 상기 전면 몸체 및 후면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의 14.7N 신장시의 신장률 3의 품 방향과 길이 방향의 비(품 방향의 신장률 3/길이 방향의 신장률 3)가 0.5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복은, 상기 전면 몸체 및 후면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의 14.7N 신장 후의 신장 회복률이 품 방향에서 85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복은, 상기 전면 몸체의 품과 상기 후면 몸체의 품의 합계 치수가 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의 체스트 또는 버스트 치수 범위의 하한값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 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란, 상기 의복을 설계할 때에 기준으로 한 의료 규격 및 의료 사이즈이다.
본 발명의 의복은, 착용시에 좌우의 견갑골부를 신체의 뒤쪽 중심부로 잡아당기는 기능을 가지면서도, 1개의 소재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소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의복을 제조할 때에 복수의 소재를 조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옷감 생산 공정과 봉제 공정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의복은 착용시의 쾌적성의 인자인 압박감을 감소시키고, 착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의복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의복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의복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의 의복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의복의 전면 몸체의 전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의복의 후면 몸체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의복의 후면 몸체의 전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후면 몸체의 전개도이다.
도 9는, 인체의 배면으로부터 본 근ㆍ골격도이다.
도 10은, (a) 본 발명의 의복 착용시의 인체 상면도와, (b) 본 발명의 의복 미착용시의 인체 상면도이다.
도 11은, 의복을 구성하는 소재의 신장률-신장 응력 곡선의 일례이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의복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의복의 정면도의 예를, 도 2에 의복의 배면도의 예를, 도 3 및 도 4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의복의 배면도의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의복 (1)의 구성 부재로서는, 전면 몸체 (2)와 후면 몸체 (3)의 적어도 2개의 부재가 있다. 도 1 내지 4의 예에서는, 전면 몸체 (2)와 후면 몸체 (3)은 각각 소매 (4), 옷깃 (5)에서 접합부 (8)에 접합되고, 전면 몸체 (2)와 후면 몸체 (3)도 접합부 (8)에서 접합되어, 일체의 의복 본체 (1)이 되어 있다. 부호 6은 전면 몸체 (2)의 품이며, 부호 7은 후면 몸체 (3)의 품이다.
전면 몸체 (2)는 의복 본체 (1)을 조립하기 전의 부분으로서 전면 몸체 부분 (2a)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전면 몸체 (2)를 구성하는 전면 몸체 부분 (2a)의 예를 도 5에 도시한다.
후면 몸체 (3)은 의복 본체 (1)을 조립하기 전의 부분으로서 후면 몸체 부분 (3a)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의 후면 몸체 (3)을 구성하는 후면 몸체 부분 (3a)의 예를 도 6에, 도 4의 후면 몸체 (3)을 구성하는 후면 몸체 부분 (3a)의 예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의 후면 몸체 부분 (3a)의 예에서는, 각 후면 몸체 부분 (3a)를 접합 전의 상태에서 배열했을 때에 도려냄부 (9)가 발생하는 형상이 되어 있다. 도려냄부 (9)에 대해서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각각의 후면 몸체 부분 (3a)의 품에 해당하는 개소의 길이 (7a)의 합계값이 접합 후의 후면 몸체 (3)의 품 (7)이 된다.
전면 몸체 부분 (2a) 및 후면 몸체 부분 (3a)는, 더 작은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6의 후면 몸체 부분 (3a)를 더 작은 부분으로 분할한 예를 도 8에 도시한다.
인체의 목으로부터 어깨 주변의 근ㆍ골격 구조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견갑골 (21), 상완골 (22)로부터 시작되어, 건판 (23)은 견갑골 (21)로, 견갑골 (21)은 승모근 (24)로, 승모근 (24)는 광배근으로, 광배근은 골반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각이 서로 끌어당겨 신체 동작을 일으키는 기구로 되어 있다.
견갑골 (21)은, 상하 좌우 전후 6 방향으로 입체적으로 움직이는 기구로 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의 상단부에 상각 (21a), 하단부에 하각 (21b)가 위치하고 있다. 새우등 등 자세가 앞쪽으로 기우는 경향은 견갑골의 전방 경사의 상태이다.
한편, 견갑골 (21)의 좌우간의 영역에는 승모근 (24)가 통하고 있으며, 승모근 (24)의 근력은 견갑골 (21)을 내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기는 인장 응력과 관련이 있다. 승모근 (24)의 근력이 약하면(약해지면) 견갑골 (21)이 좌우 외측으로 열리는 거동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특히 여성은 견갑골 (21)을 끌어당기는 승모근 (24)의 근력이 약하여 남성에 비해 좌우로 열리기 쉬운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의복은, 착용시에 신체에 대하여 견갑골 좌우간의 등 중심 방향으로 신장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승모근의 근력을 서포트하고, 견갑골 좌우를 등 중심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서있는 자세를 수직 상태에 가깝게 하거나 가슴을 편 자세로 유도하여, 자세 개선을 촉진함과 함께 승모근의 긴장을 경감한다.
본 발명의 의복은, 전면 몸체 (2)와 후면 몸체 (3)이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의복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전면 몸체 (2)와 후면 몸체 (3)을 다른 소재로 구성하지 않더라도 착용시에 견갑골 좌우를 등 중심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전면 몸체 (2)의 소재와 후면 몸체 (3)의 소재를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의복을 제조할 때에 복수의 소재를 조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옷감 생산 공정과 봉제 공정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의복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소재는,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를 사용한 섬유 직편물이 범용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합성 섬유 및 천연 섬유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지만, 내세탁성이나 원사ㆍ편직 설계의 범용성을 고려하면,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섬유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나아가 폴리우레탄, 레이온, 아크릴, 면 섬유 등과 복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편직 설계에 있어서는 직물, 편물 중 어느 것일 수도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높은 신장 특성을 갖고, 조직 구조에 따라 흡한(吸汗)ㆍ속건(速乾) 기능 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물이 적합하다. 편조직은 경편, 위편 중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체의 주위 방향, 즉 의복의 조임 방향인 가로 방향으로 비교적 높은 신장성을 갖는 위편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의복은, 후면 몸체 (3)의 품 (7)이 전면 몸체 (2)의 품 (6)보다도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인체의 견갑골 좌우를 후방 등 중심부로 움직이게 하여, 가까이 끌어당긴 자세일 때의 가슴폭과 등폭의 관계(가슴폭>등폭)에 가깝게 할 수 있으며, 의복 본체 (1)을 착용했을 때에 인체의 견갑골 좌우를 후방 등 중심부로 가까이 끌어당긴 자세를 재현시키기 쉬워, 의복의 외관상으로도 인체 형상에 따른 양호한 실루엣을 얻을 수 있다. 후면 몸체 (3)의 품 (7)이 전면 몸체 (2)의 품 (6)보다도 길면, 몸이 앞쪽으로 기운 자세일 때의 가슴폭과 등폭의 관계(가슴폭<등폭)에 가까워짐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인체의 견갑골 좌우를 후방 등 중심부로 가까이 끌어당기는 자세를 재현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의복의 외관상으로도 앞쪽으로 기운 자세, 즉 새우등 모양의 실루엣이 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의복은 후면 몸체 (3)의 품 (7)이 전면 몸체 (2)의 품 (6)보다도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신장률 2(%)가 신장률 1(%)보다도 커지고, 결과적으로 견갑골을 등 중심 방향으로 유도하는 신장 응력이 얻어지고 있다.
ㆍ신장률 1(%)={(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의 체스트 또는 버스트 치수 범위의 중간값/2)-전면 몸체 (2)의 품 (6)}/전면 몸체 (2)의 품 (6)×100
ㆍ신장률 2(%)={(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의 체스트 또는 버스트 치수 범위의 중간값/2)-후면 몸체 (3)의 품 (7)}/후면 몸체 (3)의 품 (7)×100
여기서, 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란, 이 의복을 설계할 때에 기준으로 한 의료 규격 및 의료 사이즈이다.
의료 규격으로서는, 예를 들어 JIS L 4002(1997년판) 및 JIS L 4003(1997년판)「소년(소녀)용 의료의 사이즈」, JIS L 4004(2001년판) 및 JIS L 4005(2001년판)「성인 여자(남자)용 의료의 사이즈」, JIS L 4006(1998년판)「파운데이션의 사이즈」, 사단 법인 일본 스포츠 용품 공업 협회(JASPO)가 정하는 JASPO 규격 사이즈(성인 남자, 성인 여자, 주니어) 등을 들 수 있다. 의료 사이즈는, 체형 구분 표시, 단수 표시, 범위 표시 등 어떠한 표시 방법으로 나타낸 사이즈여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의복을 JIS L 4004(2001년판)「성인 남자용 의료의 사이즈」의 범위 표시 M 사이즈에 기초하여 설계하는 경우, 그의 규격의 체스트 치수 범위는 88 내지 96cm이기 때문에, 「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의 체스트 또는 버스트 치수 범위의 중간값」은 92cm가 된다.
신장률 1은, 의복 본체 (1)을 구성하는 전면 몸체 (2)의 패턴 품 치수와 인체 치수의 차를 기초로, 의복을 착용했을 때에 전면 몸체 (2)를 구성하는 소재가 품 방향으로 어느 정도 신장되는지 모의적으로 구한 것이다.
신장률 2는, 의복 본체 (1)을 구성하는 후면 몸체 (3)의 패턴 품 치수와 인체 치수의 차를 기초로, 의복을 착용했을 때에 후면 몸체 (3)을 구성하는 소재가 품 방향으로 어느 정도 신장되는지를 모의적으로 구한 것이다. 후면 몸체 (3)이 복수의 후면 몸체 부분 (3a)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식에서의 후면 몸체 (3)의 품 (7)은 각 후면 몸체 부분 (3a)의 품 (7a)의 합계값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의복은, 후면 몸체 (3)을 구성하는 소재의 신장률 2에서의 품 방향의 신장 응력 2가 전면 몸체 (2)를 구성하는 소재의 신장률 1에서의 품 방향의 신장 응력 1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률 1, 2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이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별도로 구한 소재의 품 방향에서의 신장-응력 곡선을 사용하여 구한 신장률 1, 2 각각의 지점에서의 신장 응력의 값이다.
신장률 1에서의 품 방향의 신장 응력 1이란, 의복 본체 (1)을 착용했을 때의 전면 몸체 품 방향으로 가해지는 신장 응력을, 신장률 2에서의 신장 응력 2란, 의복 본체 (1)을 착용했을 때의 후면 몸체 (3)의 품 방향으로 가해지는 신장 응력을, 신장률 1, 2 및 소재의 신장-응력 곡선으로부터 모의적으로 구한 것이다.
통상, 의복 소재의 신장률과 신장 응력은 비례 관계에 있으며, 신장률이 커질수록 신장 응력도 커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복은, 전면 몸체 (2)와 후면 몸체 (3)이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면 몸체 (3)의 품 (7)이 전면 몸체 (2)의 품 (6)보다도 짧고, 신장률 2가 신장률 1보다도 커지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신장 응력 2는 신장 응력 1보다 커진다. 즉, 의복 본체 (1)을 착용했을 때에 후면 몸체 (3)의 품 방향으로 가해지는 신장 응력이 전면 몸체 (2)의 품 방향으로 가해지는 신장 응력보다도 커져, 소재의 신장 응력을 견갑골 좌우간의 등 중심 방향에 집중시킬 수 있다.
후면 몸체 (3)의 품 (7)이 전면 몸체 (2)의 품 (6)보다도 길면, 신장률 2가 신장률 1보다도 작아지기 때문에, 신장 응력 2가 신장 응력 1보다도 작아진다. 그 결과, 의복 본체 (1)을 착용했을 때에 후면 몸체 (3)의 품 방향으로 가해지는 신장 응력이 전면 몸체 (2)의 품 방향으로 가해지는 신장 응력보다도 작아지고, 소재의 신장 응력이 전방 방향으로 분산되어, 목적으로 하는 견갑골 좌우간의 등 중심에 소재의 신장 응력을 집중시키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의복은, 의복 본체 (1)을 착용했을 때의 후면 몸체 (3)의 품 방향으로 가해지는 신장률 및 신장 응력을, 전면 몸체 (2)의 품 방향으로 가해지는 신장률 및 신장 응력보다 높게 함으로써, 의복 본체 (1)을 착용했을 때에 소재의 신장 응력을 견갑골 좌우간에 집중시켜, 서있는 자세를 수직 상태에 가깝게 하거나 가슴을 편 자세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복은, 전면 몸체 (2)의 품 (6)과 후면 몸체 (3)의 품 (7)의 비(전면 몸체 (2)의 품 (6)/후면 몸체 (3)의 품 (7))가 1.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6의 범위이다. 상기 비율이 1.1 이상이면 인체의 견갑골 좌우를 후방 등 중심부로 움직이게 하여, 가까이 끌어당긴 자세일 때의 가슴폭과 등폭의 비(가슴폭/등폭)에 가깝게 할 수 있으며, 의복 본체 (1)을 착용했을 때에 인체의 견갑골 좌우를 후방 등 중심부로 가까이 끌어당긴 자세를 재현시키기 쉬워진다.
후면 몸체 (3)의 품 (7)을 전면 몸체 (2)의 품 (6)보다도 짧게 하는 의복의 설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의복은, 후면 몸체 (3)을 구성하는 각 후면 몸체 부분 (3a)를 접합하지 않고 배열한 평면 상태에서, 인체의 형상이나 인체의 치수와는 관계없이 소재의 일부가 도려내진 부분, 즉 도려냄부 (9)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려냄부 (9)가 존재하는 후면 몸체 부분 (3a)는, 각 후면 몸체 부분 (3a)를 접합하지 않고 배열한 평면 상태에서는, 마치 인체의 형상이나 인체의 치수에 일치하고 있는 후면 몸체 (3)로부터 옷감의 일부분이 도려내진 부분이 형성된다. 도려냄부 (9)는 접합부 (8)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최종적인 후면 몸체 (3)은 도려냄부 (9)에 의한 개구가 없는 외관이 된다. 또한, 이 최종적인 후면 몸체 (3)의 품 (7)의 치수는, 도려냄부 (9)가 막힌 부분만큼 인체의 품 치수보다도 짧아진다. 또한, 각 후면 몸체 부분 (3a)를 접합하지 않고 배열한 평면 상태의 품(도려냄부의 폭도 포함함)을 전면 몸체 (2)의 품 (6)과 동일하게 해두면, 최종적인 후면 몸체 (3)의 품 (7)의 치수는 도려냄부 (9)가 막힌 부분만큼 전면 몸체 (2)의 품 (6)보다도 짧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복의 봉제에 있어서는 착용시에 입체감을 갖게 하거나, 국소적으로 치수를 좁히는 목적으로 다트(dart)나 턱(tuck)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들은 모두 인체 형상에 따르도록 고려되어, 의복의 마무리 치수가 인체 치수에 대하여 약간의 여유를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려냄부 (9)와는 상이하다.
의복 착용시에 국소적으로 큰 신장 응력을 부여하고자 하는 부위에 도려냄부 (9)를 설치함으로써, 그 부위의 마무리 치수와 인체 치수간에 큰 치수차가 발생하여, 의복 착용시에 의복의 당해 부위가 인체에 의해 펴져 넓혀지며, 그에 따른 소재의 신장과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통상, 의복 본체 (1)에 국소적으로 큰 신장 응력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 그 부위에 신장률 및 신장 응력이 상이한 소재를 전환하여 배치하거나, 당해 부위의 조직이나 실의 사용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의복에서는, 도려냄부 (9)를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단일 소재로 조직, 실의 사용을 변경하지 않고 상이한 신장과 응력을 얻을 수 있다.
도려냄부 (9)의 예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의 예에서는, 후면 몸체 (3)의 품 (7)의 중앙부 주변에 도려냄부 (9)가 형성되어 있다. 후면 몸체 (3)은 복수의 후면 몸체 부분 (3a)로 구성되며, 각 후면 몸체 부분 (3a)의 품 (7a)의 합계값이 인체 치수보다 짧아져 있다. 또한, 품 (7a)의 합계값과 인체 치수의 차분이 품 중앙부에서 최대가 되도록 도려냄부 (9)가 품의 중앙부 주변에 커브를 그려서 형성되어 있다.
도려냄부 (9)의 다른 예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7의 예에서는, 후면 몸체 (3)의 견갑골 좌우 주변에 도려냄부 (9)가 형성되어 있다. 후면 몸체 (3)은 복수의 후면 몸체 부분 (3a)로 구성되며, 후면 몸체 부분 (3a)의 품 (7a)의 합계값이 인체 치수보다 짧아져 있다. 또한, 품 (7a)의 합계값과 인체 치수의 차분이 품 중앙부에서 최대가 되도록 도려냄부 (9)가 견갑골 좌우 주변에 커브를 그려서 형성되어 있다.
도려냄부 (9)는, 후면 몸체 부분 (3a)를 접합했을 때의 도려냄부 (9)의 접합부가 인체의 견갑골 좌우의 사이를 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에 도려냄부 (9)가 형성됨으로써, 의복 본체 (1) 착용시에 인체의 견갑골 좌우를 후방 등 중심부로 유도하는 신장 응력이 크고, 서있는 자세를 수직 상태에 가깝게 하거나 가슴을 편 자세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려냄부 (9)는, 후면 몸체 부분 (3a)를 접합했을 때의 도려냄부 (9)의 접합부가 견갑골 상각으로부터 견갑골 하각에 걸쳐서 존재하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길이로 함으로써, 견갑골의 가동 영역을 커버하고, 의복 본체 (1) 착용시에 견갑골 좌우를 후방 등 중심부로 유도하는 신장 응력을 효율적으로 부여할 수 있어, 자세 개선을 촉진시킨다.
이 도려냄부 (9)를 형성하는 방법 이외에도, 후면 몸체 (3)의 품 (7)을 인체 치수보다 짧게 하거나, 또는 전면 몸체 (2)의 품 (6)보다도 짧게 하는 방법은 있다. 예를 들어, 후면 몸체 (3) 전체의 치수를 폭 방향으로 축소하는 방법이나, 옆솔기선 상단부 및 진동 둘레 하단부의 위치를 품 (7) 방향의 내측으로 좌우 각각 이동하여, 품 (7) 치수를 축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어떠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도려냄부 (9)를 형성하는 방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려냄부 (9)를 형성하는 방법은, 옆솔기선 상단부나 진동 둘레 하단부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후면 몸체 (3)과 접합하는 소매의 접합부의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착용시의 쾌적성이나 운동 추종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도려냄부 (9)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신장 응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양의 범용성이 우수하다. 또한, 도려냄부 (9)에 신장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견갑골 좌우간의 등 중심에 도려냄부 (9)를 배치하거나 하여 견갑골을 가까이 끌어당기는 효과를 보다 높이기 쉽고, 자세의 개선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의복은, 전면 몸체 (2)와 후면 몸체 (3) 이외에 소매 (4), 옷깃 (5), 포켓 등이 부가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복은, 의복 조립시에 각 부분을 접합하는 접합부 (8)을 갖는다. 각 부분의 접합부 (8)의 접합 수단은, 미싱에 의한 봉제, 테이프에 의한 접착, 용착 가공 등 어느 것일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미싱 봉제가 강도와 생산성의 밸런스가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접합부 (8)의 형상은 옷감 끝을 노출시키지 않는 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피부에 대한 접촉을 감소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복은, 상기 식으로 구한 신장률 1에서의 신장 응력 1이 1 내지 30gf/cm(980 내지 29,400dyn/cm)의 범위, 신장률 2에서의 신장 응력 2가 20 내지 100gf/cm(19,600 내지 98,000dyn/c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 응력이 1gf/cm(980dyn/cm) 이상이면 전면 몸체 (2)에 충분한 신장 응력이 가해지고, 후면 몸체 (3)측에만 신장 응력이 치우치지 않기 때문에, 착용시에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발생시키지 않고, 신장 응력 1이 30gf/cm(29,400dyn/cm) 이하이면, 전면 몸체 (2)의 압박감이 지나치게 강해지지 않기 때문에, 흉부 등에 불쾌감이 발생하는 경우도 없다. 신장 응력 1은, 5 내지 20gf/cm(4,900 내지 19,600dyn/cm)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신장 응력 2가 20gf/cm(19,600dyn/cm) 이상이면 후면 몸체 (3)의 견갑골 좌우간의 영역에 충분한 신장 응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서있는 자세를 수직 상태에 가깝게 하거나 가슴을 편 자세로 유도하기 쉬워지고, 신장 응력 2가 100gf/cm(98,000dyn/cm) 이하이면, 견갑골 좌우를 등 중심으로 유도하는 힘이 적당한 범위가 되기 때문에, 앞쪽으로 기운 자세 등 통상의 신체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압박에 의해 불쾌감이 발생하는 경우도 없다. 신장 응력 2는, 20 내지 60gf/cm(19,600 내지 58,800dyn/cm)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신장 응력 1을 1 내지 30gf/cm(980 내지 29,400dyn/cm)의 범위, 신장 응력 2를 20 내지 100gf/cm(19,600 내지 98,000dyn/cm)의 범위로 함으로써 착용 쾌적성이 우수하고, 서있는 자세를 수직 상태에 가깝게 하거나 가슴을 편 자세로 유도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의복은, 전면 몸체 (2)와 후면 몸체 (3)을 구성하는 소재의 14.7N 신장시의 신장률 3이 품 방향에서 70% 이상인 것이 인체 운동시의 피부 신장에 추종할 수 있기 때문에, 운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착탈성도 양호해져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신장률 3이란, 의복의 형상이나 치수에 관계없이, 사용 소재의 물리 특성으로서의 신장의 크기를 실측정에 의해 구하는 것이며, 의복 본체 (1) 착용시를 상정하여 전면 몸체 (2), 후면 몸체 (3)의 신장 크기를 간이식으로 구한 상술한 신장률 1, 신장률 2와는 상이하다.
신장률 3은, JIS L 1096(2010년판)「직물 및 편물의 옷감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한다. 이 JIS 규격으로 정해져 있는 정속 신장형의 시험기를 사용하여, 전면 몸체 (2)와 후면 몸체 (3)을 구성하는 소재를 척(chuck) 간격 20cm, 인장 속도 20cm/분으로 인장 하중 14.7N까지 신장시켰을 때의 신장률을 구한다.
또한, 전면 몸체 (2)와 후면 몸체 (3)을 구성하는 소재의 의복 길이 방향 및 품 방향의 양쪽의 14.7N 신장시의 신장률이 70%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지만, 적어도 인체를 조이는 주위 방향에 속하는 값, 즉 품 방향의 신장률이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 몸체 (2)와 후면 몸체 (3)을 구성하는 소재는, 사용이나 착용시에 인장 신장이 반복하여 가해지기 때문에, 14.7N으로 신장한 후에 신장력을 개방했을 때의 신장 회복률이 85 내지 100%의 범위인 것이 착용 전후의 왜곡이나 치수 변화가 적어 반복 사용에 견디고, 착용감이 크게 상이한 것이 되지 않아 바람직하다.
신장 회복률은, JIS L 1096(2010년판) B-1법(정하중법)에 기초하여 측정한다. 하중을 제거한 후의 표시간 길이는 하중 해방 후 30초 후에 측정한 값을 사용한다.
신장 회복률은 90 내지 100%가 더욱 바람직하다.
전면 몸체 (2)와 후면 몸체 (3)을 구성하는 소재가 피부 신장에 추종한 신장률 3과 신장 회복 특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운동 추종성과 치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복은, 전면 몸체 (2)와 후면 몸체 (3)을 구성하는 소재의, 14.7N 신장시의 신장률 3의 품 방향과 길이 방향에서의 값의 비(품 방향의 신장률 3/길이 방향의 신장률 3)가 0.5 내지 2.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률 3의 품 방향과 길이 방향에서의 값의 비가 이 범위 내이면, 의복 본체 (1)을 착용하여 운동했을 때의 인체의 길이 방향 및 품 방향의 피부 신장에 대하여 의복 본체 (1)의 길이 방향 및 품 방향의 신장 밸런스가 양호하고, 운동 추종성이 우수하다.
신장률 3의 품 방향과 길이 방향의 비는 0.8 내지 1.2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전면 몸체 (2)와 후면 몸체 (3)을 구성하는 소재의 신장률 3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에 있어서의 값을 가깝게 하여 양 방향의 신장 밸런스를 취함으로써, 의복 본체 (1)을 착용했을 때의 운동 추종성이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의복은, 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의 체스트 또는 버스트 치수 범위의 하한값보다도, 전면 몸체 (2)의 품 (6)과 후면 몸체 (3)의 품 (7)의 합계 치수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란, 본 발명의 의복을 설계할 때에 기준으로 한 의료 규격 및 의료 사이즈이다. 본 발명의 의복은, 후면 몸체 (3)의 품 (7)이 전면 몸체 (2)의 품 (6)보다도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 몸체 (2)의 품 (6)과 후면 몸체 (3)의 품 (7)의 합계 치수는 통상의 의복보다도 짧아지고, 그에 따라 견갑골을 등 중심 방향으로 유도하는 신장 응력이 얻어지고 있다. 또한, 전면 몸체 (2)의 품 (6)과 후면 몸체 (3)의 품 (7)의 합계 치수를 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의 체스트 또는 버스트 치수 범위의 하한값보다도 더 짧게 함으로써, 견갑골을 등 중심 방향으로 유도하는 신장 응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의료 규격으로서는, 상술한 각종 이상 규격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의복을 JIS L 4004(2001년판)「성인 남자용 의료의 사이즈」의 범위 표시 M 사이즈에 기초하여 설계하는 경우, 그의 규격의 체스트 치수 범위는 88 내지 96cm이기 때문에, 「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의 체스트 또는 버스트 치수 범위의 하한값」은 88cm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복은, 의복 본체 (1)의 형상이 소매 (4)를 갖지 않는 소위 노슬리브나 탱크탑이라 불리는 타입의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소매 (4)를 갖는 경우에는 그의 소매 (4)의 사양을 래글런 사양으로 하거나 세트인 사양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의복 본체 (1)의 전면 몸체 및 후면 몸체가 인체 흉부 및 견갑골 주변부를 덮는 한편, 복부 및 배면 하부를 덮지 않는, 소위 하프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의복 본체 (1)의 옷 종류에 있어서는, 주로 내의, 파운데이션, 컵 부착 이너, 커트 앤드 소운(cut and sewn), 재킷의 용도에 적절하게 사용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의복의 자세 개선성, 운동 추종성, 착용 쾌적성에 대하여 피험자 10명에 의한 모니터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을 표 1에 나타낸다. 피험자 전원의 평가 점수의 합계 점수를 각 평가 결과로 하고, 각 평가 결과의 합계 점수를 종합 평가로 하였다. 종합 평가가 15점 이상이면 양호한 의복이며, 점수가 클수록 우수하다.
(측정)
[신장률 1, 2]
제작한 의복의 전면 몸체 및 후면 몸체의 품 치수와, 그 의료를 설계할 때에 기준으로 한 의료 규격 및 의료 사이즈의 관계로부터 신장률 1, 2를 하기 식과 같이 구하였다. 또한, 각 사이즈의 체스트 또는 버스트 치수는 범위 표시 구간의 중간값을 사용하였다.
ㆍ신장률 1(%)={(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의 체스트 또는 버스트 치수 범위의 중간값/2)-전면 몸체의 품}/전면 몸체의 품×100
ㆍ신장률 2(%)={(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의 체스트 또는 버스트 치수 범위의 중간값/2)-후면 몸체의 품}/후면 몸체의 품×100
여기서, 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란, 이 의복을 설계할 때에 기준으로 한 의료 규격 및 의료 사이즈이다.
[신장 응력 1, 2]
JIS L 1096(2010년판)「직물 및 편물의 옷감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이 JIS 규격으로 정하는 정속 신장형의 시험기를 사용하여, 전면 몸체 및 후면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를 척 간격 20cm, 인장 속도 20cm/분의 조건으로 품 방향으로 신장률 1까지 신장시켰을 때의 신장 응력을 신장 응력 1, 신장률 2까지 신장시켰을 때의 신장 응력을 신장 응력 2로 하여 각각 구하였다.
[신장률 3]
JIS L 1096(2010년판)「직물 및 편물의 옷감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이 JIS 규격으로 정하는 정속 신장형의 시험기를 사용하여, 전면 몸체 및 후면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를 척 간격 20cm, 인장 속도 20cm/분으로 인장 하중 14.7N (1.5Kgf)까지 신장시켰을 때의 신장률을 길이 방향, 품 방향에 대하여 각각 구하였다.
[신장률 3의 비]
전면 몸체 및 후면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의 신장률 3의 길이 방향과 품 방향에서의 값으로부터, 연신율 3의 비를 하기 식에 의해 구하였다.
ㆍ신장률 3의 비=품 방향의 신장률 3/길이 방향의 신장률 3
[신장 회복률]
JIS L 1096(2010년판) B-1법(정하중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전면 몸체 및 후면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의 길이 방향, 품 방향에 대하여 각각 (1) 원래의 표시간 길이, (2) 14.7N(1.5kgf)의 하중을 가하여 1시간 유지한 후의 표시간 길이, (3) 하중을 제거한 후 30초 후의 표시간 길이를 측정하여, 회복률을 구하였다.
[견갑골 돌점(突点)간 거리 변화율]
도 10(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복 본체 (1) 착용 전후에서의 서있는 자세에서의 견갑골 내측 돌점의 좌우간 거리 (10)을 (주)선ㆍ엔지니어링 제조 삼차원 계측기로 계측하고, 착용 전후에서의 변화율을 하기 식에 의해 구하였다.
ㆍ변화율(%)=(착용 후의 견갑골 내측 돌점의 좌우간 거리 (10)-착용 전의 견갑골 내측 돌점의 좌우간 거리 (10))/착용 전의 견갑골 내측 돌점의 좌우간 거리 (10)×100
또한, 동일 의복 사이즈의 피험자 10명으로 측정했을 때의 평균값을 평가 결과로 하고, -5% 이하를 양호로 하였다.
(평가)
[자세 개선성]
동일 의복 사이즈의 피험자 10명에게 의복 본체 (1)을 착용시키고, 서있는 자세를 취했을 때의 자세 개선성, 즉 견갑골 좌우가 등 중심 방향으로 유도되는 감각의 유무를 4 단계로 평가하였다. 평가 점수가 높을수록 자세 개선성이 우수하다. 모니터 평가자 10명의 평가 점수 합계를 평가 결과로 하고, 평가 점수 합계가 5점 이상인 경우를 양호로 하였다. 평가 기준을 표 1에 나타낸다.
[운동 추종성]
동일 의복 사이즈의 피험자 10명에게 의복 본체 (1)을 착용시키고, 상지 하수 전굴(上肢下垂前屈) 동작을 행했을 때의 의복 추종성을 4 단계로 평가하였다. 평가 점수가 높을수록 운동 추종성이 우수하다. 모니터 평가자 10명의 평가 점수 합계를 평가 결과로 하고, 평가 점수 합계가 5점 이상인 경우를 양호로 하였다. 평가 기준을 표 1에 나타낸다.
[착용 쾌적성]
동일 의복 사이즈의 피험자 10명에게 의복 본체 (1)을 착용시키고, 서있는 자세를 취했을 때의 착용압ㆍ압박에 대한 쾌적성을 4 단계로 평가하였다. 평가 점수가 높을수록 착용 쾌적성이 우수하다. 모니터 평가자 10명의 평가 점수 합계를 평가 결과로 하고, 평가 점수 합계가 5점 이상인 경우를 양호로 하였다. 평가 기준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076133368-pct00001
실시예, 비교예는 모두 JIS L 4004(2001년판)「성인 남자용 의료의 사이즈」로 정해진 범위 표시의 M 사이즈에 기초하여 설계하였다.
[실시예 1]
도 5의 전면 몸체 부분 (2a)와 도 6의 후면 몸체 부분 (3a)를 사용하여, 도 1의 정면도와 도 3의 배면도에 도시한 의복 (1)을 제작하였다. 의복 본체 (1)의 소재로서 폴리에스테르 88%, 폴리우레탄 12%의 교편 평짜기 옷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소재의 신장률 3은 길이 방향, 품 방향 각각 120%, 150%, 신장 회복률은 길이 방향, 품 방향 각각 91%, 93%이며, 신장률 3의 비는 1.25였다. 이어서, 성인 남자용 M 사이즈의 전면 몸체 부분 (2a), 후면 몸체 부분 (3a), 소매 (4) 및 옷깃 (5)의 패턴을 제작하고, 소재의 길이 방향이 각 부분의 옷 길이, 소매 (4) 길이 방향이 되도록 패턴 배치하여 재단하였다.
전면 몸체 (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매의 전면 몸체 부분 (2a)로부터 구성하였다. 전면 몸체 (2)의 품 (6)의 치수는, JIS L 4004(2001년판) 범위 표시의 M 사이즈 체스트 치수 범위 88 내지 96cm의 중간값인 92cm에 대하여 신장률 1이 18%가 되도록 39cm로 하였다.
후면 몸체 (3)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품 중점을 경계로 좌우로 2 분할한 2매의 후면 몸체 부분 (3a)로부터 구성하였다. 후면 몸체 (3)의 품 (7)의 치수는, M 사이즈 체스트 치수 범위의 중간값 92cm에 대하여 신장률 2가 53%가 되도록 30cm로 하였다. 이 30cm를 2 분할한 15cm를 각 후면 몸체 부분 (3a)의 품 (7a)의 치수로 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품 치수에 기초하여 2매의 후면 몸체 부분 (3a)를 접합하는 접합부 (8)의 라인을 그려, 도려냄부 (9)를 1개소 형성하였다. 이 도려냄부 (9)는, 후면 몸체 부분 (3a)를 접합했을 때에 좌우 견갑골의 중심을 상각으로부터 허리에 걸쳐서 도려냄부 (9)의 접합부가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얻어진 전면 몸체 부분 (2a), 후면 몸체 부분 (3a), 소매 (4) 및 옷깃 (5)를 플랫 시머 머신을 사용하여 도 1 및 도 3과 같이 접합부 (8)에서 봉제 접합하여 의복 본체 (1)을 구성하였다.
얻어진 의복의 자세 개선성, 운동 추종성, 착용 쾌적성을 표 1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의복의 신장 응력 1, 2는 각각 12gf/cm(11,760dyn/cm), 40gf/cm(39,200dyn/cm)였다. 전면 몸체 (2)의 품 (6)과 후면 몸체 (3)의 품 (7)의 비는 1.13, 전면 몸체 (2)의 품 (6)과 후면 몸체 (3)의 품 (7)의 합계는 69cm이며, JIS 규격의 체스트 치수 범위의 하한 88cm를 하회하는 것이었다. 표 2에 각 수치와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2]
도 5의 전면 몸체 부분 (2a)와 도 7의 후면 몸체 부분 (3a)를 사용하여, 도 1의 정면도와 도 4의 배면에 도시한 의복 (1)을 제작하였다. 의복 본체 (1)의 소재로서 면 51%, 아크릴 24%, 레이온 20%, 폴리우레탄 5%의 교편 평짜기 옷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소재의 신장률 3은 길이 방향, 폭 방향 각각 70%, 90%, 신장 회복률은 길이 방향, 폭 방향 각각 80%, 86%이며, 신장률 3의 비는 1.28이었다. 이어서, 성인 남자용 M 사이즈의 전면 몸체 부분 (2a), 후면 몸체 부분 (3a), 소매 (4) 및 옷깃 (5)의 패턴을 제작하고, 소재의 길이 방향이 각 부분의 옷 길이, 소매 (4) 길이 방향이 되도록 패턴 배치하여 재단하였다.
전면 몸체 (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매의 전면 몸체 부분 (2a)로부터 구성하고, 전면 몸체 (2)의 품 (6)의 치수는 JIS L 4004(2001년판) 범위 표시의 M 사이즈 체스트 치수 범위 88 내지 96cm의 중간값인 92cm에 대하여 신장률 1이 39%가 되도록 33cm로 하였다.
후면 몸체 (3)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견갑골 내측 근방에 해당하는 위치를 경계로 좌우 및 중앙으로 3 분할한 3매의 후면 몸체 부분 (3a)로부터 구성하고, 후면 몸체 (3)의 품 (7)의 치수는 M 사이즈 체스트 치수 범위의 중간값 92cm에 대하여 신장률 2가 59%가 되도록 29cm로 하였다. 이것을 3 분할했을 때의 치수를 각 후면 몸체 부분 (3a)의 품 (7a)의 치수로 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품 치수에 기초하여 3매의 후면 몸체 부분 (3a)를 접합하는 접합부 (8)의 라인을 그려, 도려냄부 (9)를 형성하였다. 이 도려냄부 (9)는, 후면 몸체 부분 (3a)를 접합했을 때에 좌우 견갑골의 사이에서 거의 좌우 견갑골에 따라 상각으로부터 하각에 걸쳐서 도려냄부 (9)의 접합부가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얻어진 전면 몸체 부분 (2a), 후면 몸체 부분 (3a), 소매 (4) 및 옷깃 (5)를 플랫 시머 머신을 사용하여 도 1 및 도 4와 같이 접합부 (8)에서 봉제 접합하여 의복 본체 (1)을 구성하였다.
얻어진 의복의 자세 개선성, 운동 추종성, 착용 쾌적성을 표 1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의복의 신장 응력 1, 2는 각각 32gf/cm(31,360dyn/cm), 48gf/cm(47,040dyn/cm)였다. 전면 몸체 (2)의 품 (6)과 후면 몸체 (3)의 품 (7)의 비는 1.13, 전면 몸체 (2)의 품 (6)과 후면 몸체 (3)의 품 (7)의 합계는 62cm이며, JIS 규격의 체스트 치수 범위의 하한 88cm를 하회하는 것이었다. 표 2에 각 수치와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3]
도 1의 정면도와 도 2의 배면도에 도시한 의복 (1)을 제작하였다. 후면 몸체 (3)은, 도려냄부 (9)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1매의 후면 몸체 부분 (3a)로 구성하였다.
후면 몸체 부분 (3a)는, 옆솔기선 상단부 및 진동 둘레 하단부의 위치를 전면 몸체 부분 (2a)보다도, 품 (7) 방향의 내측으로 좌우 각각 이동하여 품 (7)을 전면 몸체 (2)의 품 (6)보다 짧은 30cm으로 하였다. 또한, 소매 (4)의 소매 달림선의 길이 및 끝점 위치를 진동 둘레 위치에 맞췄다. 이들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해지도록 의복 본체 (1)을 구성하였다.
얻어진 의복의 자세 개선성, 운동 추종성, 착용 쾌적성을 표 1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의복의 신장 응력 1, 2 및 전면 몸체 (2)의 품 (6)과 후면 몸체 (3)의 품 (7)의 비, 전면 몸체 (2)의 품 (6)과 후면 몸체 (3)의 품 (7)의 합계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69cm이며, JIS 규격의 체스트 치수 범위의 하한 88cm를 하회하는 것이었다. 표 2에 각 수치와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예 1]
도 1의 정면도와 도 2의 배면도에 도시한 의복 (1)을 제작하였다. 의복 본체 (1)의 소재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였다. 후면 몸체 (3)은, 도려냄부 (9)를 갖지 않는 1매의 후면 몸체 부분 (3a)로 구성하였다.
성인 남자용 M 사이즈의 전면 몸체 부분 (2a), 후면 몸체 부분 (3a), 소매 (4) 및 옷깃 (5)의 패턴을 제작하고, 소재의 길이 방향이 각 부분의 옷 길이, 소매 (4) 길이 방향이 되도록 패턴 배치하여 재단하였다.
전면 몸체 (2)의 품 (6)의 치수는, JIS L 4004(2001년판) 범위 표시의 M 사이즈 체스트 치수 범위 88 내지 96cm의 중간값인 92cm에 대하여 신장률 1이 -16%가 되도록 55cm로 치수 설정하였다. 후면 몸체 (3)의 품 (7)의 치수도, 신장률 2가 -16%가 되도록 55cm로 치수 설정하였다. 즉, 의복 (1)을 착용했을 때에 전면 몸체 (2)도 후면 몸체 (6)도 신장되지 않는다.
얻어진 전면 몸체 부분 (2a), 후면 몸체 부분 (3a), 소매 (4) 및 옷깃 (5)를 플랫 시머 머신을 사용하여 도 1 및 도 2와 같이 접합부 (8)에서 봉제 접합하여 의복 본체 (1)을 구성하였다.
얻어진 의복의 자세 개선성, 운동 추종성, 착용 쾌적성을 표 1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의복의 신장 응력 1, 2는 모두 0gf/cm(0dyn/cm)로, 신장 응력은 없었다. 전면 몸체 (2)의 품 (6)과 후면 몸체 (3)의 품 (7)의 비는 1.0, 전면 몸체의 품 (6)과 후면 몸체 (3)의 품 (7)의 합계는 110cm이며, JIS 규격의 체스트 치수 범위의 하한 88cm는 물론, 상한 96cm도 상회하는 것이었다. 표 2에 각 수치와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예 2]
도 1의 정면도와 도 2의 배면도에 도시한 의복 (1)을 제작하였다. 후면 몸체 (3)은, 도려냄부 (9)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1매의 후면 몸체 부분 (3a)로 구성하였다. 의복 본체 (1)의 소재에는 폴리에스테르 100% 싱글 트리코트 옷감을 사용하였으며, 소재의 신장률 3은 길이 방향, 폭 방향 각각 130%, 50%, 신장 회복률은 길이 방향, 폭 방향 각각 80%, 75%이고, 신장률 3의 비는 0.38이었다.
성인 남자용 M 사이즈의 전면 몸체 부분 (2a), 후면 몸체 부분 (3a), 소매 (4) 및 옷깃 (5)의 패턴을 제작하고, 소재의 길이 방향이 각 부분의 옷 길이, 소매 (4) 길이 방향이 되도록 패턴 배치하여 재단하였다.
전면 몸체 (2)의 품 (6)의 치수는, JIS L 4004(2001년판) 범위 표시의 M 사이즈 체스트 치수 범위 88 내지 96cm의 중간값인 92cm에 대하여 신장률 1이 12%가 되도록 41cm로 치수 설정하였다. 후면 몸체 (3)의 품 (7)의 치수는, 신장률 2가 8%가 되도록 42.5cm로 치수 설정하였다.
얻어진 전면 몸체 부분 (2a), 후면 몸체 부분 (3a), 소매 (4) 및 옷깃 (5)를 플랫 시머 머신을 사용하여 도 1 및 도 2와 같이 접합부 (8)에서 봉제 접합하여 의복 본체 (1)을 구성하였다.
얻어진 의복의 자세 개선성, 운동 추종성, 착용 쾌적성을 표 1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의복의 신장 응력 1, 2는 각각 130gf/cm(127,400dyn/cm), 120gf/cm(117,600dyn/cm)였다. 전면 몸체 (2)의 품 (6)과 후면 몸체 (3)의 품 (7)의 비는 0.8, 전면 몸체 (2)의 품 (6)과 후면 몸체 (3)의 품 (7)의 합계는 83.5cm이며, JIS 규격의 체스트 치수의 하한 88cm를 하회하는 것이었다. 표 2에 각 수치와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8084272523-pct00014
실시예 1 내지 3의 의복은, 후면 몸체 (3)의 품 (7)이 전면 몸체 (2)의 품 (6)에 비해 짧게 구성됨으로써, 좌우의 견갑골부를 신체의 뒤쪽 중심부로 잡아당기는 자세 개선성이 우수한 의복이 되었다.
실시예 1의 의복은, 신장률 1에서의 신장 응력 1이 1 내지 30gf/cm(980 내지 29,400dyn/cm)의 범위, 신장률 2에서의 신장 응력 2가 20 내지 100gf/cm(19,600 내지 98,000dyn/cm)의 범위이기 때문에, 신장률 1에서의 신장 응력 1이 30gf/cm(29,400dyn/cm)를 초과하는 실시예 2의 의복보다도 착용 쾌적성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의 의복은, 의복 소재의 14.7N 신장시의 신장률 3이 품 방향에서 70% 이상이며, 신장률 3이 품 방향에서 70% 미만인 비교예 2의 의복보다도 운동 추종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의복 쪽이 실시예 2의 의복보다도 품 방향에서의 신장률 3이 크기 때문에, 보다 운동 추종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및 2의 의복은, 모두 도려냄부 (9)의 접합부가 좌우 견갑골의 사이의 상각으로부터 허리에 걸쳐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도려냄부 (9)의 접합부가 없고, 옆솔기선 상단부 및 진동 둘레 하단부의 형상을 변경한 실시예 3의 의복보다도 자세 개선성, 운동 추종성, 착용 쾌적성 모두에 있어서 우수하였다.
비교예 1의 의복은, 전면 몸체 (2)의 품 (6)과 후면 몸체 (3)의 품 (7)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면 몸체 (2)의 품 (6)과 후면 몸체 (3)의 품 (7)의 합계 치수가 치수에 여유가 있어 착용 쾌적성은 우수하지만, 자세 개선성이 없는 의복이었다.
비교예 2의 의복은, 전면 몸체 (2)의 품 (6)과 후면 몸체 (3)의 품 (7)의 합계 치수가 JIS 규격으로 정하는 의료 사이즈의 체스트 또는 버스트 치수의 하한값을 하회하고 있지만, 후면 몸체 (3)의 품 (7)이 전면 몸체 (2)의 품 (6)에 비해 길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의 견갑골부를 신체의 뒤쪽 중심부로 잡아당기는 기능이 없어, 자세 개선성이 없는 의복이었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상반신의 움직임이나 상태를 적절한 자세로 유도하고, 견갑골 주변 근육의 긴장을 경감시키는 기능성 의복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의복 본체
2: 전면 몸체
2a: 전면 몸체 부분
3: 후면 몸체
3a: 후면 몸체 부분
4: 소매
5: 옷깃
6: 전면 몸체의 품
7: 후면 몸체의 품
7a: 분할된 후면 몸체의 품
8: 접합부
9: 도려냄부
10: 견갑골 내측 돌점의 좌우간 거리
21: 견갑골
21a: 견갑골 상각
21b: 견갑골 하각
22: 상완골
23: 건판
24a: 승모근 상부
24b: 승모근 중부
24c: 승모근 하부
25: 후두골
26: 흉추
27: 쇄골
28: 삼각근
X: 신장률(%)
Y: 신장 응력(gf/cm[980dyn/cm])
A: 길이 방향
B: 품 방향

Claims (9)

  1. 전면 몸체(front body)와 후면 몸체(back body)를 포함하는 옷의 몸체를 갖고, 상기 전면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와 상기 후면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는 동일하며, 상기 후면 몸체의 품이 상기 전면 몸체의 품보다도 짧고, 상기 전면 몸체의 품과 상기 후면 몸체의 품의 비(전면 몸체의 품/후면 몸체의 품)가 1.1 이상이고, 상기 후면 몸체의 하기 식으로 구한 신장률 2가 상기 전면 몸체의 하기 식으로 구한 신장률 1보다도 크고, 상기 전면 몸체 및 후면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의 상기 신장률 2에서의 품 방향의 신장 응력 2가 상기 신장률 1에서의 품 방향의 신장 응력 1보다도 큰 의복.
    ㆍ신장률 1(%)={(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의 체스트 또는 버스트 치수 범위의 중간값/2)-전면 몸체의 품}/전면 몸체의 품×100
    ㆍ신장률 2(%)={(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의 체스트(chest) 또는 버스트(bust) 치수 범위의 중간값/2)-후면 몸체의 품}/후면 몸체의 품×100
    (단, 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란, 상기 의복을 설계할 때에 기준으로 한 의료 규격 및 의료 사이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몸체가 복수의 후면 몸체 부분이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후면 몸체 부분은, 이들 각 후면 몸체 부분을 접합하지 않고 배열한 평면 상태에서 도려냄부(cutting out portion)를 형성하는 형상이며, 상기 복수의 후면 몸체 부분을 접합한 상태에서, 상기 도려냄부를 막는 접합부가 인체의 견갑골 상각으로부터 견갑골 하각에 걸쳐서 좌견갑골과 우견갑골 사이를 통하고 있는, 의복.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응력 1이 1 내지 30gf/cm(980 내지 29,400dyn/cm), 상기 신장 응력 2가 20 내지 100gf/cm(19,600 내지 98,000dyn/cm)인 의복.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몸체 및 후면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의 14.7N 신장시의 신장률 3이 품 방향에서 70% 이상인 의복.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몸체 및 후면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의 14.7N 신장시의 신장률 3의 품 방향과 길이 방향의 비(품 방향의 신장률 3/길이 방향의 신장률 3)가 0.5 내지 2.0인 의복.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몸체 및 후면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의 14.7N 신장 후의 신장 회복률이 품 방향에서 85 내지 100%인 의복.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몸체의 품과 상기 후면 몸체의 품의 합계 치수가 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의 체스트 또는 버스트 치수 범위의 하한값보다도 짧은, 의복.
    (단, 특정한 의료 규격으로 정해진 특정한 의료 사이즈란, 상기 의복을 설계할 때에 기준으로 한 의료 규격 및 의료 사이즈임)
  9. 삭제
KR1020147022505A 2012-01-26 2013-01-17 의복 KR101938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13827 2012-01-26
JP2012013827A JP5293844B2 (ja) 2012-01-26 2012-01-26 衣服
PCT/JP2013/050746 WO2013111660A1 (ja) 2012-01-26 2013-01-17 衣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377A KR20140125377A (ko) 2014-10-28
KR101938443B1 true KR101938443B1 (ko) 2019-01-14

Family

ID=4887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505A KR101938443B1 (ko) 2012-01-26 2013-01-17 의복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08035B2 (ko)
EP (1) EP2807936B1 (ko)
JP (1) JP5293844B2 (ko)
KR (1) KR101938443B1 (ko)
CN (1) CN104066347B (ko)
CA (1) CA2861776A1 (ko)
TW (1) TWI538629B (ko)
WO (1) WO20131116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103A (ko) 2020-04-16 2021-10-26 오성규 자세 교정용 의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8460A (ja) * 2013-10-17 2015-04-23 東レ株式会社 カップ付き衣料
USD745249S1 (en) * 2013-11-29 2015-12-15 Our Own Products LLC Combined underarm gusset and back panel
JP5877572B1 (ja) * 2015-06-22 2016-03-08 優美 三井 姿勢矯正衣類
USD795535S1 (en) * 2015-09-08 2017-08-29 Vicky Azoulay Three fabric garment
US20180213860A1 (en) * 2016-06-13 2018-08-02 Accent Sunwear Sun garment
EP3287107B1 (en) * 2016-08-22 2020-07-22 Sanko Tekstil Isletmeleri San. Ve Tic. A.S. Compression garment with multiple compression force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WO2018138948A1 (ja) * 2017-01-27 2018-08-02 トラタニ株式会社 衣類
WO2019009276A1 (ja) * 2017-07-03 2019-01-10 東洋紡株式会社 生体情報計測用衣類
JP6656690B2 (ja) * 2017-07-19 2020-03-04 トラタニ株式会社 衣類
JP6656691B2 (ja) * 2017-07-19 2020-03-04 トラタニ株式会社 衣類
EP3656234B1 (en) * 2017-07-19 2023-12-20 Toratani Co., Ltd. Upper body part of garment
JP7224112B2 (ja) * 2018-05-21 2023-02-17 Juki株式会社 縫製システム
JP6516314B1 (ja) * 2018-07-04 2019-05-22 トラタニ株式会社 衣料の上半身部
WO2020095438A1 (ja) * 2018-11-09 2020-05-14 トラタニ株式会社 衣料の上半身部
US11950649B2 (en) * 2019-02-18 2024-04-09 Toratani Co., Ltd. Upper body of garment
JP7269796B2 (ja) * 2019-05-27 2023-05-09 東洋紡株式会社 動物用衣類、および動物用生体情報計測装置
JP2021014665A (ja) * 2019-07-16 2021-02-12 ヤマシタ商事株式会社 プリントシャツ
EP3854242A4 (en) * 2019-11-29 2022-05-11 Nsw Inc. REVERSIBLE SHI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8302A (ja) * 2000-10-31 2002-05-14 Wacoal Corp 女性用衣類
JP2007023467A (ja) * 2005-06-13 2007-02-01 Mizuno Corp 運動用上衣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7878A (en) * 1996-11-22 1999-09-28 Gilliam; Phillip L. Body support garments
KR100563575B1 (ko) * 1998-05-11 2006-03-27 히로시 요시하라 인체의 지지ㆍ보정기구 및 이것을 갖춘 의복기구
JP2001081602A (ja) * 1999-09-07 2001-03-27 Sasada Medias Kk ハーフトップ下着
JP2001164401A (ja) 1999-12-10 2001-06-19 Azu:Kk シャツ
JP4485077B2 (ja) * 2001-01-16 2010-06-16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用上衣
JP3997389B2 (ja) * 2001-06-07 2007-10-24 モリト株式会社 マタニティブラジャー
JP4018682B2 (ja) * 2004-09-21 2007-12-05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スパッツ
JP3739778B1 (ja) * 2004-09-22 2006-01-25 有限会社 Fine Blue 体形補正用上衣、体形補正用上衣の製造方法
JP2006161207A (ja) 2004-12-06 2006-06-22 Toyobo Co Ltd 衣料
US7913323B2 (en) * 2005-07-08 2011-03-29 Asics Corporation Garment
JP2007138335A (ja) * 2005-11-18 2007-06-07 Descente Ltd 姿勢をコントロールするためのウェア
JP2007162162A (ja) * 2005-12-13 2007-06-28 Aitosu Kk 作業用ユニフォームの上衣
JP5367261B2 (ja) * 2005-12-26 2013-12-1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部分的に異なるストレッチ性を有する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JP4268623B2 (ja) * 2006-05-02 2009-05-27 株式会社ヴィオレッタ 伸縮性経編地
JP4861073B2 (ja) * 2006-06-22 2012-01-25 ヤーマン株式会社 痩身衣類
JP2010095803A (ja) 2007-01-30 2010-04-30 Utax:Kk 身体に密着する衣類
JP3142101U (ja) * 2008-03-19 2008-06-05 有限会社イシコ フライス編み肌着
JP5576613B2 (ja) * 2009-02-17 2014-08-20 東洋紡Stc株式会社 着用時の保温性に優れた衣料用生地
JP5053345B2 (ja) * 2009-09-07 2012-10-17 株式会社新和 姿勢矯正具及び衣類
JP4762335B2 (ja) * 2009-09-14 2011-08-31 株式会社ゴールドウイン スポーツ用衣服
JP5486932B2 (ja) * 2010-01-12 2014-05-07 美津濃株式会社 シャ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8302A (ja) * 2000-10-31 2002-05-14 Wacoal Corp 女性用衣類
JP2007023467A (ja) * 2005-06-13 2007-02-01 Mizuno Corp 運動用上衣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103A (ko) 2020-04-16 2021-10-26 오성규 자세 교정용 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7936B1 (en) 2017-06-07
WO2013111660A1 (ja) 2013-08-01
TWI538629B (zh) 2016-06-21
JP2013151771A (ja) 2013-08-08
TW201334718A (zh) 2013-09-01
CN104066347B (zh) 2016-12-07
US9808035B2 (en) 2017-11-07
CN104066347A (zh) 2014-09-24
EP2807936A1 (en) 2014-12-03
JP5293844B2 (ja) 2013-09-18
US20140366241A1 (en) 2014-12-18
CA2861776A1 (en) 2013-08-01
KR20140125377A (ko) 2014-10-28
EP2807936A4 (en)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443B1 (ko) 의복
TW201701783A (zh) 具有預先配置加壓區與整合結構圖案的訓練緊身褲
JP4613292B2 (ja) 男性用パンツ兼用ガードル
JPH06158402A (ja) 衣 服
US8574025B2 (en) Body slimmer
WO2006080095A1 (ja) 股部を有する衣類
CN113576055A (zh) 拳击短裤
TWI760529B (zh) 下半身用衣物
KR20200087850A (ko) 보텀 의료
JP2016050367A (ja) 肌着
JP2008050718A (ja) 姿勢補整用ボトムズ
JP6277078B2 (ja) 肌着
JP4953671B2 (ja) 姿勢補整用ボトムズ
US20100251463A1 (en) Butterfly Panty
JP3214243U (ja) ズボン
JP7415554B2 (ja) 体型補整衣類
JP6811832B1 (ja) スポーツ用衣料
JP7162118B2 (ja) 下半身用衣類
JP3216080U (ja) 伸縮性スラックス
KR200489753Y1 (ko) 신축성 바지
JP3203905U (ja) 下衣部
JP3189707U (ja) ダブルガーゼ生地を用いたドレスシャツ又はカジュアルシャツ
WO2024124602A1 (zh) 具有橡胶弹性面料的塑身衣
JP2021070891A (ja) ボトム衣類
JP3175227U (ja) マタニティウエ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