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297B1 - 차량 내장재에 적용되는 쿠션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장재에 적용되는 쿠션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297B1
KR101938297B1 KR1020170095646A KR20170095646A KR101938297B1 KR 101938297 B1 KR101938297 B1 KR 101938297B1 KR 1020170095646 A KR1020170095646 A KR 1020170095646A KR 20170095646 A KR20170095646 A KR 20170095646A KR 101938297 B1 KR101938297 B1 KR 101938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ushion
skin layer
stitch
cush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복
김만현
Original Assignee
애디언트코리아 주식회사
김만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디언트코리아 주식회사, 김만현 filed Critical 애디언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5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6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thermal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1/00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 커버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커버는 밀폐 구조에 의해 단단한 느낌의 쿠션감을 발휘할 수 있고, 완만한 경사면을 먼저 형성시키는 가압 과정에 의해 스티치를 형성시키는 제조 공정이 간편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내장재에 적용되는 쿠션 커버 및 그 제조 방법{Cushion cov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쿠션 커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단한 느낌의 쿠션감을 발휘할 수 있고, 스티치 형성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 시트백, 헤드레스트 또는 암레스트 등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부분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쿠션 성능을 갖는 커버가 씌워진다. 예컨대 탑승객이 앉을 수 있는 좌석의 시트백 상단에 체결되어 머리 부분을 편안하게 받쳐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헤드레스트는, 외관 형성을 위해 여러 장의 커버가 바디를 감싸는 형태로 제작된다. 이때 탑승자의 머리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전면 부분에 쿠션 커버가 씌워진다.
도1은 종래의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전면 커버를 제작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헤드레스트용 전면 커버 제작 과정을 살펴보면 도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피재(1), 쿠션재(2) 및 망상지지체(3)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도1의 (b)와 같이 가압부(6)를 이용하여 표피재(1) 가장자리를 열압착 함으로써, 도1의 (c)와 같이 표피재(1), 쿠션재(2) 및 망상지지체(3)가 일체로 접합된 압착부(4)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압착부(4)에는 스티치(5)가 형성되어 있으며, 압착부(4)에 다른 커버가 재봉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골격이 되는 바디 전체를 감쌀 수 있다.
하지만 도1의 과정으로 제작된 종래의 헤드레스트용 전면 커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표피재(1) 이면에 배치되는 쿠션재(2)를 받쳐주기 위해 망상지지체(3)가 사용되는데, 이에 따라 쿠션재(2)의 공기가 외부로 너무 쉽게 빠져나갈 수 있어서 쿠션 성능이 저하된다. 즉, 탑승자의 머리가 표피재(1)를 누를 경우, 누르는 힘에 의해 쿠션재(2)가 압축되는데 이에 따라 망상지지체(3)에 형성된 수많은 구멍을 통해 전면 커버 내에 머물고 있던 공기가 빠르게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즉 헤드레스트 전면 커버가 푹신하다는 느낌은 잠시 뿐이며, 쿠션재(2)가 압축되면 딱딱한 바디의 느낌이 그대로 머리에 전달되기 때문에 쿠션으로서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다.
또한 직각 구조의 가압부(6)를 이용하여 표피재(1)를 열압착 시킬 경우, 압착부(4)와 비압착부(쿠션재가 압착되지 않아 볼록한 부분) 사이의 경계 역시 직각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때 스티치(5)를 압착부(4) 상에 형성시켜야 하는데, 압착부(4) 중간 지점에 스티치(5)를 형성시킬 경우 미관을 해칠 수가 있어서, 압착부(4)와 비압착부 사이의 경계 지점에 정확하게 스티치(5)를 형성시켜야 한다. 따라서 정확한 위치에 스티치(5)를 형성시켜야 한다는 제조 공정상의 어려움이 있다.
한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등에서 쿠션성을 제공하는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136538호(1998.11.13. '헤드레스트의 쿠션 장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단한 느낌의 쿠션감을 발휘할 수 있고, 스티치 형성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쿠션 커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커버는, 신체와 접촉하게 되는 표피층; 상기 표피층 아래에 적층되는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 아래에 적층되는 내피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피층, 쿠션층 및 내피층의 가장자리가 열압착되어 일체로 접합된 압착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표피층과 내피층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되, 상기 압착부가 형성된 부분과 인접하여 스티치가 형성되고, 상기 스티치 형성 과정에서 발생한 미세한 틈을 통해 상기 표피층과 내피층 사이에 적층된 상기 쿠션층으로 외부 공기가 출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커버의 제조 방법은, 표피층, 쿠션층 및 내피층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준비하는 (a)단계; 상기 표피층의 가장자리를 열압착하여 상기 표피층, 쿠션층 및 내피층이 일체로 접합된 압착부를 형성시켜 상기 표피층과 내피층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b)단계; 및 상기 압착부가 형성된 부분과 인접하여 스티치를 형성시키는 (c)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표피층의 가장자리를 열압착할 시 저면 일측에 홈이 형성된 가압부를 이용하여 열압착 함으로써, 상기 압착부와 볼록한 형태로 남아 있는 비압착부 사이의 경사가 완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스티치를 형성시킬 때, 상기 압착부와 볼록한 형태로 남아 있는 비압착부 사이의 완만한 경사 부분에 상기 스티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커버는 쿠션층의 쿠션 성능에 더불어 에어 쿠션 성능까지 기대할 수 있어서 단단한 느낌의 쿠션감을 발휘할 수가 있다. 더불어 스티치 형성 공정에서 발생한 미세한 틈을 통해 쿠션층에 머물던 공기가 외부로 천천히 빠져나갈 수 있어서, 쿠션층이 외부 압력에 의해 천천히 압축되면서 더욱 안락한 느낌을 받을 수 있고, 외부 압력이 소멸되면 미세한 틈을 통해 외부 공기가 다시 들어와 쿠션층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홈이 형성된 가압부를 통해 전면 커버 가장자리를 열압착 함으로써, 홈에 의해 열압착 되지 않은 부분에 완만한 경사를 형성시킬 수 있고, 완만한 경사 부분에 스티치를 형성시키면, 내외부 공기 소통이 가능한 미세한 틈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 스티치 공정에 의해 납작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의 경계가 비로소 형성되는 것이어서, 정확하게 스티치 위치를 잡아야만 하는 공정상의 불편함이 해소된다.
도1은 종래의 헤드레스트용 전면 커버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 커버가 적용된 헤드레스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도2에 도시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에서 쿠션 커버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3의 과정으로 제조된 쿠션 커버에서 스티치가 형성되는 위치에 따른 작용 효과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직각 구조의 가압부로 압착부를 형성시킬 경우 스티치 형성의 어려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3의 과정으로 제조된 쿠션 커버에서 스티치 형성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커버는 자동차용 시트, 시트백, 헤드레스트, 암레스트 등에서 신체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씌워지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커버가 헤드레스트 전면에 적용되는 예시를 설명토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 커버가 적용된 헤드레스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2를 참조하여 헤드레스트(10)의 구조를 설명하면, 헤드레스트(10)는 베이스(11), 쿠션 커버(12), 후면 커버(18)를 포함한다.
베이스(11)는 헤드레스트(10)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하부에 연결된 프레임(19)을 통해 시트백에 장착된다. 쿠션 커버(12)와 후면 커버(18)는 서로 봉재되어 베이스(11)의 둘레를 감싸 헤드레스트(10)의 외관을 형성시킨다. 실시하기에 따라 쿠션 커버(12) 및 후면 커버(18) 외에 측면 커버(미도시)나 상부 커버(미도시) 등이 추가될 수도 있다.
베이스(11)의 전면에 씌워지는 쿠션 커버(12)는 탑승자의 머리가 닿는 부분이기 때문에 쿠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3의 과정으로 제작되고, 후면 커버(18)는 탑승자의 접촉이 없기 때문에 반드시 쿠션 재질로 제작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도2에 도시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10)의 구성 중 쿠션 커버(12)에 대하여 다룰 것이며, 이하에서는 도3 내지 도6을 통해 쿠션 커버의 제조 과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쿠션 커버의 특징을 자세하게 설명토록 한다.
도3은 쿠션 커버(12)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쿠션 커버(12) 제조를 위해 먼저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표피층(13), 쿠션층(14) 및 내피층(15)을 적층시켜 준비<S305>한다.
표피층(13)은 헤드레스트(10)의 전면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 천연 가죽이나 PU Leather 등의 인조 가죽으로 제조된 원단을 소정 크기로 재단하여 준비한다.
쿠션층(14)은 표피층(13) 아래에 적층되어 쿠션 기능을 발휘하기 마련된다. 이러한 쿠션층(14)은 초연질 스폰지, 즉 PU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쿠션층(14)으로는 필터폼, PP펠트 또는 PET펠트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내피층(15)은 쿠션층(14) 아래에 적층되어 쿠션 커버(12)의 아래에서 공기 밀폐를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내피층(15)은 PU 필름, EVA 필름, PET 필름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쿠션 커버(12)의 구성들인 표피층(13), 쿠션층(14) 및 내피층(15)이 준비<S305>되면, 가압부(20)를 이용하여 표피층(13)의 가장자리를 가압한다. 가압부(20)는 고주파 웰딩 방식으로 열압착을 수행<S310>하며, 이에 따라 가압부(20)에 의해 가압된 부분의 쿠션층(14)이 용융되면서 해당 부분의 표피층(13), 쿠션층(14)(용융된 부분) 및 내피층(15)이 일체로 접합된다. 이하에서는 쿠션 커버(12)에서 열압착에 의해 일체로 접합되어 납작해진 부분을 압착부(16a)라 부르도록 하며, 열압착이 가해지지 않아 쿠션층(14)의 부피에 의해 볼록하게 남아 있는 부분을 비압착부(16b)라 부르도록 한다.
비압착부(16b)와 압착부(16a)는 높이 차이를 갖기 때문에 비압착부(16b)와 압착부(16a) 사이의 경계에서는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때 열압착 과정에서 사용되는 가압부(20)의 독특한 형태로 인해 비압착부(16b)와 압착부(16a)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완만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S310> 과정을 살펴보면 가압부(20)의 저면 일측에는 소정 깊이의 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부(20)의 저면과 접촉되는 부분에서는 열압착이 수행되지만, 홈(21)이 형성된 부분은 표피층(13)과 직접 접합하지 아니하여 열압착이 수행되지 아니한다. 하지만 가압부(20)에서 홈(21)이 형성된 부분의 안쪽 측면에 의해 표피층(13)이 일정 깊이까지는 가압(열압착은 아님)된다. 따라서 볼록한 형태의 비압착부(16b)와 열압착된 압착부(16a)의 높이차가 발생하게 되고, 가압부(20)에 형성된 홈(21)에 의해 비압착부(16b)와 압착부(16a) 사이에 이루어지는 경사가 완만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완만한 경사 부분은 열압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쿠션층(14)이 용융되지 않은 상태이다.
가압 과정<S310>을 마치고 가압부(20)를 제거하면 표피층(13)의 가장자리가 납작해진 형태의 압착부(16a)를 갖는 쿠션 커버(12)가 제조<S315>된다. 여기서 쿠션 커버(12) 상부의 표피층(13)은 PU Leather와 같은 인조 가죽 재질이고, 하부의 내피층(15)은 PU 필름 등의 재질이기 때문에 쿠션층(14)의 상부와 하부를 통해서는 공기가 통할 수 없다. 또한 쿠션 커버(12)의 가장자리에서는 열압착 과정에 의해 표피층(13), 쿠션층(14) 및 내피층(15)이 일체로 접합된 압착부(16a)가 형성된 상태이다. 따라서 쿠션층(14)의 둘레를 통해서도 공기가 통할 수 없다. 즉 <S315> 과정에서 준비된 쿠션 커버(12)는 표피층(13)과 내피층(15) 사이의 쿠션층(14) 공간이 완전히 밀폐된 상태이다.
만약 이 상태의 쿠션 커버(12)를 그대로 헤드레스트(10)의 베이스(11) 전면에 설치한다면, 탑승자가 머리를 쿠션 커버(12)에 지지할 시, 쿠션층(14)의 쿠션과 표피층(13)과 내피층(15) 사이에 채워진 공기에 의한 에어 쿠션 작용으로 인해 단단한 느낌의 쿠션성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쿠션재의 이면을 망상지지체가 지지하고 있어서 공기가 너무 쉽게 빠져나갈 수 있는 구조로 인해 물렁물렁한 쿠션감을 느끼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쿠션 커버(12) 내부가 완전히 밀폐된 구조이기 때문에 단단한 느낌의 쿠션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완전 밀폐된 구조는 통통 튕기는 느낌을 줄 수가 있어서 탑승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다. 따라서 쿠션 커버(12)의 내외부 사이에 미세하게나마 공기 흐름이 유지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가압 과정<S310>에 의해 압착부(16a)가 형성된 쿠션 커버(12)가 준비되면 압착부(16a)와 인접한 위치에 스티치(17)를 형성시킨다. <S315> 과정을 살펴보면 스티치 위치(S)가 표시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압착부(16a)와 비압착부(16b) 사이의 완만한 경사 부분에 스티치(17)를 형성시키게 되며, 스티치(17)가 이루어지고 나면 완만한 경사 부분의 쿠션층(14)이 일부 압착되면서 표피층(13)과 내피층(15)이 가까워진다. 스티치(17)가 형성된 모습을 <S320> 과정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쿠션 커버(12)에 스티치(17)를 형성시키면 실과 표피층(13)의 스티치 구멍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스티치(17)가 형성된 위치는 쿠션층(14)이 용융된 압착부(16a)가 아니라 가압부(20)의 홈(21)에 의해 압착만 되고 용융되지는 아니한 완만한 경사 부분이다. 따라서 쿠션층(14)이 머금고 있던 공기가 스티치(17) 형성 과정에서 생성된 미세한 틈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3의 과정에 의해 스티치(17)까지 형성된 쿠션 커버(12)를 헤드레스트(10)의 베이스(11) 전면에 설치하면, 탑승자가 머리를 기댈 시 단단한 느낌의 쿠션감을 느낄 수 있으면서도, 탑승자 머리의 가압에 의해 쿠션층(14)이 압축되면, 쿠션층(14)이 머금고 있던 공기가 스티치(17)와 표피층(13)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해 천천히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즉 쿠션 커버(12)가 단단한 쿠션감을 발휘하면서도, 미세한 틈을 통한 내외부 공기 흐름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 힘에 의한 쿠션층(14)의 압축 효과도 발휘할 수 있어서, 보다 안락한 느낌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미세한 틈을 통해 발휘되는 쿠션 성능은 구조용 에어 매트의 원리와 비교하면 이해가 쉽다. 구조용 에어 매트가 완전히 밀폐된 구조일 경우, 낙하하는 물체는 에어 매트와 부딪힌 후 튕겨 나가게 된다. 이를 위해 구조용 에어 매트 저면에는 미세하게 구멍을 뚫어 놓는다. 따라서 낙하하는 물체가 에어 매트에 떨어지면 미세한 구멍을 통해 공기가 천천히 빠져나갈 수 있어서, 물체가 튕겨나가지 않고 살며시 가라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와 동일하게 도3의 과정을 통해 제조된 쿠션 커버(12)를 헤드레스트(10) 전면에 설치하면, 탑승자의 머리가 쿠션 커버(12)에 지지되었을 시 최초에는 단단한 쿠션감을 느끼게 되지만, 이후에는 스티치(17)가 형성된 부분에서 미세하게 공기가 빠져나감으로써 탑승자의 머리 형태에 대응하여 쿠션층(14)이 천천히 압착되면서 머리를 지지함으로써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탑승자가 쿠션 커버(12)에서 머리를 들어 올리면, 쿠션층(14)은 복원력을 발생시키는데 공기가 빠져나갔던 미세한 틈을 통해 외부 공기가 쿠션층(14)으로 다시 스며들면서 천천히 복원력을 발휘하여 표피층(13)이 다시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4 내지 도6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 커버의 특징을 보다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
도4는 도3의 과정으로 제조된 쿠션 커버에서 스티치가 형성되는 위치에 따른 작용 효과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 커버(12) 제조 과정에서, 스티치(17)는 압착부(16a)가 아닌 압착부(16a) 인접 지점에 형성된다. 이는 쿠션층(14)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도4의 (a)와 같이 압착부(16a)에 스티치(17)가 형성된다면, 표피층(13)과 내피층(15)에 구멍이 뚫린다 하더라도, 압착부(16a) 위치의 쿠션층(14)은 용융되어 쿠션성이 완전히 사라진 상태로 굳은 상태이기 때문에, 쿠션 커버(12) 내외부의 공기 흐름은 기대할 수가 없다.
따라서 도4의 (b)와 같이 압착부(16a)와 비압착부(16b) 사이의 완만한 경사 부분에 스티치(17)를 형성시키는 것인데, 완만한 경사 부분의 쿠션층(14)은 일부 가압이 이루어지긴 하였더라도 열압착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쿠션성이 여전히 남아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도 가능하고, 그 부분에 스티치(17)를 형성시키면 미세한 틈을 통해 내외부 공기 흐름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 커버(12) 제조 방법에 의하면, 스티치(17)의 형성 공정도 간편해질 수 있다.
만약 홈(21)이 형성되지 않은 직각 구조의 가압부를 이용하여 표피층(13) 가장자리를 가압한다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착부(16a)가 형성될 것이다. 즉 압착부(16a)와 비압착부(16b) 사이의 경사가 완만하지 아니하고 거의 수직에 가까운 급격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 도5의 (a)와 같이 스티치(17)를 압착부(16a) 경계 지점에서 벗어난 지점에 형성시킨다면 미관을 저해하게 된다. 따라서 도5의 (b)와 같이 비압착부(16b)와 압착부(16a) 사이의 경계 지점에 정확하게 스티치(17)를 형성시켜야 하는데, 정교한 스티치(17) 작업이 제조 공정의 어려움으로 남게 된다. 더군다나 직각 구조의 가압부를 이용할 경우 비압착부(16b)와 압착부(16a) 사이의 경계 지점 역시 쿠션층(14)이 용융된 상태이기 때문에 쿠션 커버(12) 내외부의 공기 소통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반면 홈(21)이 형성된 가압부(20)를 통해 쿠션 커버(12) 가장자리를 가압하였을 경우 도6의 (a)와 같이 압착부(16a)와 비압착부(16b) 사이에 완만한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완만한 경사면에 스티치 위치(S)를 잡은 후 스티치(17) 형성 공정을 수행하면, 도6의 (b)와 같이 스티치(17) 공정에 의해 완만한 경사 부분의 표피층(13)과 내피층(15)이 가까워지면서 비로소 거의 직각에 가까운 경계가 형성된다.
즉, 직각 구조로 가압할 경우 스티치(17)를 납작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의 경계 지점에 정확히 형성시켜야 했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홈(21)이 형성된 가압부(20)로 가압할 경우 완만한 경사 지점에 스티치(17)를 형성시키면, 바로 그 스티치(17) 공정 작업에 의해 납작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의 경계가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스티치(17) 공정을 위해 정확하게 위치를 잡아야 할 필요가 없으며, 완만한 경사 부분에서 일부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어차피 그 부분에서 경계가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이 있는 것이다.
한편 도3의 과정에서는 미리 재단된 표피층(13), 쿠션층(14) 및 내피층(15)을 이용하여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가압후 형성된 압착부(16a)의 둘레를 절단하여 필요한 크기의 쿠션 커버(12)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커버(12)는 쿠션층(14)의 쿠션 성능에 더불어 에어 쿠션 성능까지 기대할 수 있어서 단단한 느낌의 쿠션감을 발휘할 수가 있다. 더불어 스티치(17) 형성 공정에서 발생한 미세한 틈을 통해 쿠션층(14)에 머물던 공기가 외부로 천천히 빠져나갈 수 있어서, 쿠션층(14)이 외부 압력에 의해 천천히 압축되면서 더욱 안락한 느낌을 받을 수 있고, 외부 압력이 소멸되면 미세한 틈을 통해 외부 공기가 다시 들어와 쿠션층(14)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홈(21)이 형성된 가압부(20)를 통해 쿠션 커버(12) 가장자리를 열압착 함으로써, 홈(21)에 의해 열압착 되지 않은 부분에 완만한 경사를 형성시킬 수 있고, 완만한 경사 부분에 스티치(17)를 형성시키면, 내외부 공기 소통이 가능한 미세한 틈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 스티치(17) 공정에 의해 납작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의 경계가 비로소 형성되는 것이어서, 정확하게 스티치 위치(S)를 잡아야만 하는 공정상의 불편함이 해소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쿠션 커버(12)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10)에 적용된 예시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쿠션 커버(12)는 헤드레스트(10) 외에도 시트, 시트백, 암레스트 등에서 신체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씌워질 수 있으며 그 적용 범위가 한정되어 있지 않음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바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종래기술>
1 : 표피재
2 : 쿠션재
3 : 망상지지체
4 : 압착부
5 : 스티치
6 : 가압부
<본원발명>
10 : 헤드레스트
11 : 베이스
12 : 쿠션 커버
13 : 표피층
14 : 쿠션층
15 : 내피층
16a : 압착부
16b : 비압착부
17 : 스티치
S : 스티치 위치
18 : 후면 커버
19 : 프레임
20 : 가압부
21 : 홈

Claims (4)

  1. 신체와 접촉하게 되는 표피층;
    상기 표피층 아래에 적층되는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 아래에 적층되는 내피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피층, 쿠션층 및 내피층의 가장자리가 열압착되어 일체로 접합된 압착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표피층과 내피층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되, 상기 압착부가 형성된 부분과 인접하여 스티치가 형성되고, 상기 스티치 형성 과정에서 발생한 미세한 틈을 통해 상기 표피층과 내피층 사이에 적층된 상기 쿠션층으로 외부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커버.
  2. 표피층, 쿠션층 및 내피층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준비하는 (a)단계;
    상기 표피층의 가장자리를 열압착하여 상기 표피층, 쿠션층 및 내피층이 일체로 접합된 압착부를 형성시켜 상기 표피층과 내피층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b)단계; 및
    상기 압착부가 형성된 부분과 인접하여 스티치를 형성시키는 (c)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커버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표피층의 가장자리를 열압착할 시 저면 일측에 홈이 형성된 가압부를 이용하여 열압착 함으로써, 상기 압착부와 볼록한 형태로 남아 있는 비압착부 사이의 경사가 완만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커버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스티치를 형성시킬 때, 상기 압착부와 볼록한 형태로 남아 있는 비압착부 사이의 완만한 경사 부분에 상기 스티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커버의 제조 방법.
KR1020170095646A 2017-07-27 2017-07-27 차량 내장재에 적용되는 쿠션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KR101938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646A KR101938297B1 (ko) 2017-07-27 2017-07-27 차량 내장재에 적용되는 쿠션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646A KR101938297B1 (ko) 2017-07-27 2017-07-27 차량 내장재에 적용되는 쿠션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297B1 true KR101938297B1 (ko) 2019-01-14

Family

ID=6502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646A KR101938297B1 (ko) 2017-07-27 2017-07-27 차량 내장재에 적용되는 쿠션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2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885Y1 (ko) 2004-01-31 2004-04-29 박해훈 신발의 구조
KR101582204B1 (ko) 2015-03-13 2016-01-04 김만현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전면 시트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JP2016190620A (ja) 2015-03-31 2016-11-10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
JP2017023587A (ja) 2015-07-27 2017-02-02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内装部品及びその製作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885Y1 (ko) 2004-01-31 2004-04-29 박해훈 신발의 구조
KR101582204B1 (ko) 2015-03-13 2016-01-04 김만현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전면 시트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JP2016190620A (ja) 2015-03-31 2016-11-10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
JP2017023587A (ja) 2015-07-27 2017-02-02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内装部品及びその製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0875B2 (en) Trim cover assembly and sewing method for forming same
CN103957751A (zh) 支承元件及其实现方法
CN107107797B (zh) 座椅
US3266066A (en) Upholstery cushion construction
US4002520A (en) Manufacture of vehicle seats
KR101938297B1 (ko) 차량 내장재에 적용되는 쿠션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AU627507B2 (en) Apparatus for forming a seat
JP2883032B2 (ja) 表皮付き多層異硬度座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34314B2 (ja) 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構造
JP5292022B2 (ja) 背負い式バックの背当て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33968Y1 (ko) 의자 좌판부의 통기 구조
KR20180017493A (ko) 폭신한 느낌의 차량 시트부재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JPH0630702B2 (ja) シートの製造方法
JP3048138B2 (ja) 表皮付き多層異硬度座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30481A (ja) クッション体
KR101104242B1 (ko) 필로우탑 매트리스 및 이를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
JP2004174762A (ja) シート用パッドの製造方法
KR20220129286A (ko)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
JP2004194929A (ja) 背負い式バッグの背当て部材
JP3046219U (ja) シ−ト用クッション
JP3182099U (ja) 座椅子
JPH03193539A (ja) 自動車用アームレス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59408Y1 (ko) 방석용 쿠션
JP3085271U (ja) クッション
JP2775148B2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