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286A -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286A
KR20220129286A KR1020210033979A KR20210033979A KR20220129286A KR 20220129286 A KR20220129286 A KR 20220129286A KR 1020210033979 A KR1020210033979 A KR 1020210033979A KR 20210033979 A KR20210033979 A KR 20210033979A KR 20220129286 A KR20220129286 A KR 20220129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cover body
breathability
opening
functional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8511B1 (ko
Inventor
권남섭
Original Assignee
권남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남섭 filed Critical 권남섭
Priority to KR1020210033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511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체의 내부에 폼재를 통으로 형성하지 않고 불규칙하게 잘게 자른 폼재와 일정 형상의 비드를 혼합하여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폼재에 의해 베개 사용시에 원형으로 천천히 복원되는 완충성을 확보하면서도 폼재와 비드의 혼합으로 통기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일정크기의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일정크기로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14)가 형성되고, 개구부(14)의 외측에는 개폐수단(15)이 형성되어 개폐수단(15)에 의하여 개폐되는 커버체(10)와; 커버체(10)의 내부공간에는 규칙 또는 불규칙한 형상으로 조각내어져 구성되는 폴리우레탄 폼재(20) 및 일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30)가 혼합되어 채워지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 to ensure simultaneous buffer and breathability}
본 발명은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체의 내부에 폼재를 통으로 형성하지 않고 불규칙하게 잘게 자른 폼재와 일정 형상의 비드를 혼합하여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폼재에 의해 베개 사용시에 원형으로 천천히 복원되는 완충성을 확보하면서도 폼재와 비드의 혼합으로 통기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에 나오는 기능성 베개는 베개속으로 스티로폼 등의 비드, 파이프칩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베개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머리 형태에 맞추어 베개가 유동하도록 하는 방식과, 라텍스나 메모리폼 등을 이용하여 기능을 갖는 형태를 통으로 제작하여 커버를 씌워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스티로폼 등의 비드, 파이프칩(바이오/빨대)은 장점은 빨대 모양의 플라스틱 관체로 이루어져 여기에 균이 서식하지 않아 곰팡이나 진드기 걱정이 없고 충전양에 따라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세탁이 용이한 반면에 통기성은 좋지만 흡수성이 약하기 때문에 땀이 많은 사람에게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통상 메모리폼이라 하는 폴리우레탄 폼재는 푹신한 감으로 인하여 체형을 받쳐줘 편안한 것인 반면에 수분의 흡수성이나 통기성이 좋지 않아 주기적으로 그늘에 말려줘야 하고 성형된 이후에는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며 특히 열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882615호 "아로마테라피 메모리 폼 베개"(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인체의 두부 부분이 안착 되는 파여진 홈이 있으며, 상기 홈을 중심으로 전방으로는 경추가 접촉하는 접촉부가 있고 상기 홈의 후방으로는 경추가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부의 높이는 경추가 닿지 않는 상기 비접촉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며, 상기 접촉부는 경추의 접촉을 유도하는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와 비접촉부 중 적어도 한 곳에 홀을 포함하고, 통기성을 부여하는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메모리폼 베개의 본체; 향 방사물질을 충진하여 상기 홀을 따라 삽입되는 포켓; 및 상기 베개의 중앙부측에 형성되고, 두부의 뒷부분 두형을 지지하는 상기 홈의 이면에 수직방향으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두부의 뒷부분이 상기 홈에 접촉하여 가압력이 작용할 때 주변에 비해 우선적으로 하부로 변형되는 쿠션 홈;을 포함하는 아로마테라피 메모리 폼 베개'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통공을 형성하여 통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였으나 통공을 형성하지 않은 부분은 역시 통기가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882615호 "아로마테라피 메모리 폼 베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개의 커버 내부에 폼재를 기능성을 갖도록 굴곡을 주어 통으로 형성하는 대신 불규칙하게 잘게 자른 폼재와 일정 형상의 비드를 혼합하여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폼재에 의해 베개 사용시에 원형으로 천천히 복원되는 완충성을 확보하면서도 폼재와 비드의 혼합으로 통기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는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일정크기의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일정크기로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14)가 형성되고, 개구부(14)의 외측에는 개폐수단(15)이 형성되어 개폐수단(15)에 의하여 개폐되는 커버체(10)와; 커버체(10)의 내부공간에는 규칙 또는 불규칙한 형상으로 조각내어져 구성되는 폴리우레탄 폼재(20) 및 일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30)가 혼합되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의 섬유재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개구부(14)에 봉제되며 타단부는 묶어서 개구부(14)를 폐합하고 다시 개폐수단(15)에 의해 이중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이중폐합부재(4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커버체(10)는 스판재질의 외피(10a)와 내피(10b) 및 외피(10a)와 내피(10b) 사이에 구성되며 통기성 폼재 또는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완충재(10c)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커버체(10)는 상부재(11)와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재(12) 및 상부재(11)와 하부재(12)의 사이의 측면을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측면재(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커버체(10)는 내부에서 양단부가 각각 상부재(11)와 하부재(12)에 고정되어 상부재(11)와 하부재(12)를 연결하도록 복수의 형태유지부재(50a)(50b)가 구성되며, 커버체(10)의 내부는 형태유지부재(50a)(50b)에 의해 구획되지 않고 모두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형태유지부재(50a)(50b)는 커버체(10)의 평면에서 하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사선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측면지지부 형태유지부재(50a)와, 평면에서 중앙부 상부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한 쌍이 형성되는 머리안착부 형태지지부재(5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측면지지부 형태유지부재(50a)는 커버체(10)의 평면상 상부가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머리안착부 형태지지부재(50b)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되, 중앙부가 근접하도록 볼록한 부분이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는 커버체의 내부에 폼재를 통으로 형성하지 않고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잘게 자른 폼재와 일정 형상의 비드를 혼합하여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폼재에 의해 베개 사용시에 원형으로 천천히 복원되는 완충성을 확보하면서도 폼재와 비드의 혼합으로 통기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특히, 폼재를 통으로 형성하지 않고 작은 사이즈로 쪼개어 표면적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압력 및 무게를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중폐합부재를 넣은것을 보인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커버체의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이중폐합부재를 넣은것을 보인 일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커버체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커버체(10)와 커버체(10)의 내부에 폴리우레탄 폼재(20) 및 일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30)가 혼합되어 채워지도록 하여, 통기성과 완충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1)는 도 7에서와 같이, 일반 베개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U형이나 7형 등의 바디 필로우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커버체(1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일정크기의 주머니 형상으로 도 7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부에 폼재(20) 및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30)가 채워지게 된다
특히, 커버체(10)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일반 베개 형태인 경우에는 상부재(11)와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재(12) 및 상부재(11)와 하부재(12)의 사이의 측면을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측면재(13)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을 갖는 일정크기의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내부에 폼재(20) 및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30)가 채워지게 된다.
이때, 내부에 폼재(20)와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30)의 주입 및 높이조절을 위하여 제거가 용이하도록 커버체(10)의 일측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일정크기로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14)가 형성되고, 개구부(14)의 외측에는 지퍼, 벨크로 등 다양한 개폐수단(15)이 형성되어 개폐수단(15)에 의하여 개구부가 개폐되도록 한다.
커버체(10)의 형상은 다양한 기능성을 갖도록 평면상에서 하부 및 상부의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그 크기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상부재(11), 하부재(12) 및 측면재(13) 모두 외피(10a)와 내피(10b) 및 외피(10a)와 내피(10b)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완충재(10c)가 구성되도록 하여 내부에 충전되는 폼재(20)와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30)의 형상을 직접 사용자가 머리로 느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외피(10a)와 내피(10b)는 싱글 스판 원단 등의 스판재질로 이루어져, 베개의 복원력에 따라 커버체(10)가 그 형태에 대응하여 자연스럽게 형태를 변형시키도록 하고, 외피(10a)와 내피(10b) 사이에는 완충재(10c)가 구성되는데, 완충재(10c)는 통기가 원활하도록 중공 등이 형성되는 통기성 메모리폼이나 이외에도 스펀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통기성과 안락함을 동시에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커버체(10)는 일측에 작은 크기로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부분을 지퍼 등의 개폐수단(15)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하여 내부에 폼재(20)와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30)의 주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높이조절을 위하여 일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때, 폼재(20)와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30)는 조각이 작기 때문에 커버체(10)의 개폐수단(15)을 여닫을때나 개폐수단15)이 완전히 닫혀지지 않아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이중폐합부재(40)를 덧대어 이중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잇다.
이중폐합부재(40)는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의 섬유재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개구부(14)에 봉제되며 타단부는 묶어서 개구부(14)를 폐합하고 다시 개폐수단(15)에 의해 이중으로 개폐하도록 하여 외부로 이중폐합부재(40)가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내부의 폼재(20)와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30)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완충성과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커버체(10)의 내부공간에는 규칙 또는 불규칙한 형상으로 조각내어져 구성되는 폴리우레탄 폼재(20) 및 일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30)가 혼합되어 채워지도록 한다.
폼재(20)는 메모리폼 등 폴리우레탄으로 만든 완충재로서 원형으로 천천히 복원되는 성질이 있어 베개나 매트리스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폼재(20)를 베개의 형태대로 제작하지 않고 잘게 조각내어 사용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사용시에 압력에 의해 눌리더라도 천천히 형태를 회복하도록 하여 완충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작게자은 규치 rEh는 불규칙적인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30)와 자연스럽게 섞이도록 하며, 공극율을 낮출수 있도록 하여 사용감을 높이고 완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되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30)는 스티로폼 등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거나 파이프칩(바이오/빨대) 등을 일정 크기로 잘라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30)는 오나충성이 높지는 않으나 베개 내부에서 통기성을 높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비드(3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특히,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은 무독 무취로 인체에 무해하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복원력도 뛰어나서 활용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폼재(20)와 복원력은 천천히 복원되는데 반하여 비드(30)는 복원이 빨리 되기 때문에 형태의 복원이 용이하고 통기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폼재(20)와 비드(30)는 다양한 비율로 혼합되도록 하는데, 폼재(70)가 65중량비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에는 안정감이 떨어지고 75중량비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에는 통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중량비로 폼재(20) 65~75중량비, 비드(30) 25~35중량비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잘게 잘라 구성한 폼재(20)와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30)에 의해 완총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는데, 폼재(20)에 의해 커버체(10)가 부풀어 오르게 되는데, 이때, 폼재(20)를 통으로 형성되것이 아니고 잘게 자른 조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커버체(10)의 위치에 따라 높낮이가 달라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부재(11)와 하부재(12)를 일정 높이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커버체(10)는 내부에서 양단부가 각각 상부재(11)와 하부재(12)에 고정되어 상부재(11)와 하부재(12)를 연결하도록 복수의 형태유지부재(50a)(50b)가 구성되도록 하여, 폼재(20)에 의해 커버체(10)가 부풀어 오르더라도 복수의 형태유지부재(50a)(50b)에 의해 베개의 내부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복수의 형태유지부재(50a)(50b)가 상부재(11) 및 하부재(12)에 봉제, 접착 등의 방법으로 구속하여 복수의 형태유지부재(50a)(50b)가 구성된 부분을 중심으로 주변이 높이지고 형태유지부재(50a)(50b)부분만 낮아져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머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커버체(10)의 내부는 형태유지부재(50a)(50b)에 의해 구획되지 않고 모두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폼재(20)와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30)는 커버체(10)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연동될 수 있다.
특히, 형태유지부재(50a)(50b)가 안정적으로 사용자가 머리를 안착시키거나 기능성을 갖도록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커버체(10)의 평면에서 하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사선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측면지지부 형태유지부재(50a)가 형성되도록 하고, 평면에서 중앙부 상부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한 쌍이 형성되는 머리안착부 형태지지부재(50b)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측면지지부 형태유지부재(50a)는 사용자가 머리를 베개의 상부에 안착시켰을때 양측의 측면지지부 형태유지부재(50a)에 의해 측면으로 쏠리지 않고 중앙으로 모아주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머리안착부 형태지지부재(50b)는 쌍으로 형성되어 머리안착부 형태지지부재(50b) 부분이 상부재(11)와 하부재(12)에 구속되어 요입되기 때문에 머리가 안착되기 용이한 형태를 갖도록 한다.
특히, 측면지지부 형태유지부재(50a)는 커버체(10)의 평면상 상부가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측면으로 눕더라도 측면지지부 형태유지부재(50a)의 상부와 하부가 폼재(20)의 탄성으로 볼록하게 솟아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가 벗어나지 않도록 하며, 머리안착부 형태지지부재(50b)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되 중앙부가 근접하도록 볼록한 부분이 마주하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한 쌍의 머리안착부 형태지지부재(50b)의 중앙부가 가까워져 외측보더 중앙부가 더 하부로 요입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의 머리의 안착과 자연스럽게 중앙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는 커버체의 내부에 폼재를 통으로 형성하지 않고 불규칙하게 잘게 자른 폼재와 일정 형상의 비드를 혼합하여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폼재에 의해 베개 사용시에 원형으로 천천히 복원되는 완충성을 확보하면서도 폼재와 비드의 혼합으로 통기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폼재를 통으로 형성하지 않고 작은 사이즈로 쪼개어 표면적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압력 및 무게를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기능성 베개 10 : 커버체
11 : 상부재 12 : 하부재
13 : 측면재 14 : 개구부
15 : 개폐수단 20 : 폼재
30 :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
40 : 이중폐합부재

Claims (7)

  1. 내부에 공간을 갖는 일정크기의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일정크기로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14)가 형성되고, 개구부(14)의 외측에는 개폐수단(15)이 형성되어 개폐수단(15)에 의하여 개폐되는 커버체(10)와;
    커버체(10)의 내부공간에는 규칙 또는 불규칙한 형상으로 조각내어져 구성되는 폴리우레탄 폼재(20) 및 일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비드(30)가 혼합되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의 섬유재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개구부(14)에 봉제되며 타단부는 묶어서 개구부(14)를 폐합하고 다시 개폐수단(15)에 의해 이중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이중폐합부재(4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
  3. 제 1항에 있어서,
    커버체(10)는 스판재질의 외피(10a)와 내피(10b) 및 외피(10a)와 내피(10b) 사이에 구성되며 통기성 폼재 또는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완충재(10c)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
  4. 제 1항에 있어서,
    커버체(10)는 상부재(11)와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재(12) 및 상부재(11)와 하부재(12)의 사이의 측면을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측면재(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
  5. 제 4항에 있어서,
    커버체(10)는 내부에서 양단부가 각각 상부재(11)와 하부재(12)에 고정되어 상부재(11)와 하부재(12)를 연결하도록 복수의 형태유지부재(50a)(50b)가 구성되며,
    커버체(10)의 내부는 형태유지부재(50a)(50b)에 의해 구획되지 않고 모두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
  6. 제 5항에 있어서,
    형태유지부재(50a)(50b)는 커버체(10)의 평면에서 하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사선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측면지지부 형태유지부재(50a)와,
    평면에서 중앙부 상부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한 쌍이 형성되는 머리안착부 형태지지부재(5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
  7. 제 6항에 있어서,
    측면지지부 형태유지부재(50a)는 커버체(10)의 평면상 상부가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머리안착부 형태지지부재(50b)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되, 중앙부가 근접하도록 볼록한 부분이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
KR1020210033979A 2021-03-16 2021-03-16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 KR102518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979A KR102518511B1 (ko) 2021-03-16 2021-03-16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979A KR102518511B1 (ko) 2021-03-16 2021-03-16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286A true KR20220129286A (ko) 2022-09-23
KR102518511B1 KR102518511B1 (ko) 2023-04-04

Family

ID=83445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979A KR102518511B1 (ko) 2021-03-16 2021-03-16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5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9542A (ja) * 2000-04-25 2001-10-30 Teiken:Kk
KR200372022Y1 (ko) * 2004-09-23 2005-01-10 (주)트윈 세이버 칩베개
KR20160100457A (ko) * 2015-02-14 2016-08-24 홍성우 통째로 세탁가능한 높이조절베개
KR101882615B1 (ko) 2017-05-28 2018-07-26 정태연 아로마테라피 메모리 폼 베개
KR102083454B1 (ko) * 2018-10-17 2020-03-02 주식회사 신세계인터내셔날 베개
KR102134917B1 (ko) * 2019-09-30 2020-08-26 양수원 머리받침이 안락하면서 높이조절가능한 베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9542A (ja) * 2000-04-25 2001-10-30 Teiken:Kk
KR200372022Y1 (ko) * 2004-09-23 2005-01-10 (주)트윈 세이버 칩베개
KR20160100457A (ko) * 2015-02-14 2016-08-24 홍성우 통째로 세탁가능한 높이조절베개
KR101882615B1 (ko) 2017-05-28 2018-07-26 정태연 아로마테라피 메모리 폼 베개
KR102083454B1 (ko) * 2018-10-17 2020-03-02 주식회사 신세계인터내셔날 베개
KR102134917B1 (ko) * 2019-09-30 2020-08-26 양수원 머리받침이 안락하면서 높이조절가능한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511B1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1179B2 (ja) 変形可能な壁部材を有するゼラチン状エラストマークッションを含んでいる枕及び関連の方法
US7430765B2 (en) Infant hats, caps, bonnets, and hoods with padded pressure relief region
KR200447052Y1 (ko) 개폐식 머리받침이 구비된 빈백 소파
KR101996180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US10051967B2 (en) Adjustable thickness travel pillows
WO2013116512A1 (en) Universal pillow
KR101899145B1 (ko) 침구
KR20220129286A (ko) 완충성 및 통기성을 동시에 확보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
US20070180615A1 (en) Three-dimensional shaped bedding
KR102345937B1 (ko) 적층형 베개
KR20230064167A (ko) 베개 구조체
JP6161591B2 (ja) 寝具及びクッション
KR102646980B1 (ko) 독립 쿠션의 에어셀 분할구조를 갖는 기능성 베개
KR101942361B1 (ko) 통풍베개
KR101469411B1 (ko) 유아용 베개
JP2000139653A (ja)
KR102668612B1 (ko) 베개
KR102606372B1 (ko) 목쿠션 겸용 베개
CN201153790Y (zh) 枕头
KR102520310B1 (ko) 경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200496825Y1 (ko) 소프트충진재와 하드충진재가 함께 수용되는 베개
JP3074823U (ja)
JP3225673U (ja)
CN219125895U (zh) 用于家纺产品的复合片材及家纺产品
KR200426952Y1 (ko) 자유변형 대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