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952Y1 - 자유변형 대쿠션 - Google Patents

자유변형 대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952Y1
KR200426952Y1 KR2020060016525U KR20060016525U KR200426952Y1 KR 200426952 Y1 KR200426952 Y1 KR 200426952Y1 KR 2020060016525 U KR2020060016525 U KR 2020060016525U KR 20060016525 U KR20060016525 U KR 20060016525U KR 200426952 Y1 KR200426952 Y1 KR 200426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outer shell
free deformation
large cush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호준
Original Assignee
(주)인터피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피플 filed Critical (주)인터피플
Priority to KR2020060016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9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9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6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fluid-like particles, e.g. filled with b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1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chair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유변형 대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취하는 자세에 따라 외형을 변형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불편 없이 편안하고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유변형 대쿠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유변형 대쿠션은, 외피와; 상기 외피 내부에 삽입되는 내피; 및 상기 내피 내부에 채워지는 충전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전체적인 몸체의 외형은 상부 꼭짓점이 일측으로 편향된 삼각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꼭짓점이 편향된 측의 외피 모서리와, 상기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몸체의 양 측면의 외피에는 몸체의 외형을 변형시켜 전체적인 몸체의 형상 및 몸체 내부의 부피를 변화시키기 위한 외형변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쿠션, 자유변형, 외형변형수단

Description

자유변형 대쿠션{A Free-form cush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유변형 대쿠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유변형 대쿠션의 측면도.
도 3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변형 대쿠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유변형 대쿠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피 20 : 내피
30 : 충전재 40, 50 : 고정부재
42, 52 : 체결부재
본 고안은 자유변형 대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취하는 자세에 따라 외형을 변형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불편 없이 편안하고 안락 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유변형 대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받이, 베개 등으로 사용되는 쿠션은 외피 내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부드러운 탄성이 주는 안락함을 갖도록 구성된다.
쿠션은 그 크기나 기능에 따라 베개 또는 등받이 기능을 갖는 쿠션과, 안락의자나 침대 기능을 갖는 프리폼(free-form) 쿠션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최적의 안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운반이나 취급이 용이하도록 가벼운 것이 좋다.
종래의 프리폼 쿠션을 살펴보면, 보통 쿠션과 같이 외피 내부에 충전재를 채워서 사용하였으며, 등받이와 베개와 같이 충전재를 조밀하게 채워 넣지 않기 때문에 등받이나 베개로 사용되는 쿠션에 비하여 작은 경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프리폼 쿠션은 경도가 작기 때문에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외형이 쉽게 변형되기는 하지만, 신체의 특정 부위, 특히 머리부분을 바쳐주는 등의 기능이 추가되어 있지 않다. 특정한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프리폼 쿠션 제조 시 패턴 제작이 복잡해지고, 그에 따라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단순한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순한 형태의 프리폼 쿠션에 기대거나 누워서 휴식을 취하는 경우 장시간 동안 편안한 자세를 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별도로 소형 쿠션 등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종래의 프리폼 쿠션은 안락의자용이나 침대용 등으로 분리되어 있어 안락의자용 쿠션을 침대로 사용한다거나, 침대용 쿠션을 안락의자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불편함을 느끼게 하고 심하게는 신체의 피로도를 증가 시켜 다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쿠션의 외피 소정 위치에 체결수단과 고정수단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체결수단과 고정수단을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하여 쿠션의 외형을 인체공학적으로 변형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불편 없이 편안하고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유변형 대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유변형 대쿠션은,
외피와;
상기 외피 내부에 삽입되는 내피; 및
상기 내피 내부에 채워지는 충전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전체적인 몸체의 외형은 상부 꼭짓점이 일측으로 편향된 삼각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꼭짓점이 편향된 측의 외피 모서리와, 상기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몸체의 양 측면의 외피에는 몸체의 외형을 변형시켜 전체적인 몸체의 형상 및 몸체 내부의 부피를 변화시키기 위한 외형변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유변형 대쿠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유변형 대쿠션의 측면도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유변형 대쿠션은, 사용자가 전신을 기대거나 눕힐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상부 꼭지점이 일측으로 편향된 삼각뿔 형태의 외피(10)와, 상기 외피(10) 내부에 삽입되는 내피(20) 및 상기 내피(20)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피(10)에는 쿠션의 외형을 변형시키기 위한 세 개의 외형변형수단(40, 42, 50, 5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유변형 대쿠션의 외피(10)는 통기성 및 흡습성이 우수한 에어매쉬(airmesh) 원단이 사용된다. 이는 외피(10)가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이므로 사용자가 자유변형 대쿠션을 장시간 이용하는 경우, 땀이나 습기에 의해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되기 때문이다. 또한, 외피(10)는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의 범위를 넓혀줄 수 있다.
외피(10)는 삼각뿔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부 꼭짓점이 일측으로 편향되어, 외피(10)의 상면과 저면은 꼭짓점의 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 측면은 그 반대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외피(10)의 상부 꼭짓점 부근은 머리받침으로 사용되는데, 꼭짓점으로부터 소정 길이에 걸쳐 봉제선이 형성되어 있어 외피(10)의 표면이 입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머리받침부위가 자연스럽게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다.
외피(10)에는 외피(10)와 내피(20)를 분리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외피(10)의 세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에서는 외피(10)에 세 개의 외형변형수단을 형성하여 쿠션의 외형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한 개의 외형변형수단은 한 쌍의 고정부재(40, 50)와 체결부재(42, 5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0, 50)는 링, 단추구멍, 매듭용 끈 및 벨크로 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42, 52)는 클립, 단추, 매듭용 끈 및 벨크로 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40, 50)로 링을 사용하는 경우, 체결부재(42, 52)로는 클립이나 벨크로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고, 고정부재(40, 50)로 단추구멍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체결부재(42, 52)로 단추를 사용할 수 있으며, 매듭용 끈이나 벨크로 테이프는 고정부재(40, 50)와 체결부재(42, 52)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쿠션의 외형 변형은 체결부재(42, 52)를 고정부재(40, 50)에 연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세 쌍의 고정부재(40, 50)와 체결부재(42, 52) 중 한 쌍(40, 42)은 외피(10)의 상부 꼭짓점과 동측에 구비되는 하부의 꼭짓점과 연결되는 모서리 하단부에 구비되고, 나머지 두 쌍의 고정부재(50)와 체결부재(52)는 상기 상부 꼭짓점 타측의 양단부위에 각각 구비된다.
다시 설명하면, 외피(10)의 하면 꼭짓점 부위에 구비되는 외형변형수단(40, 42)은 고정부재(40)가 하부 꼭짓점에 구비되고, 체결부재(42)는 상기 고정부재(4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하부 꼭짓점에서 상부 꼭짓점을 연결하는 모서리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나머지 두 개의 외형변형수단(50, 52)은 고정부재(50)가 상기 외피(10)의 상부 꼭짓점 타측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체결부 재(52)가 상기 고정부재(5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외피(10)의 양 측면이나 상기 고정부재(50)가 구비되는 꼭짓점을 연결하는 모서리의 소정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외형변형수단은 외피(10)를 서로 겹쳐지게 함으로써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부위에 형성되며, 머리받침 부위를 제외하고 외피(10)를 쉽게 겹쳐지게 할 수 있는 각 꼭짓점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의 외형 변형은 고정부재(40, 50)와 체결부재(42, 52)를 서로 연결하여 외피(10)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수행되며, 외피(10)의 부피가 줄어들면 충전재(30)가 이동하여 쿠션 자체의 경도가 높아져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서 변형이 줄어들게 된다.
외피(10) 저면에 구비되는 고정부재(40)와 체결부재(42)를 서로 연결하면 사용자의 하반신과 상반신이 이루는 각도가 증가하여 사용자가 누웠을 때 더욱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고정부재(40, 50)와 체결부재(42, 52)의 연결에 따른 쿠션의 외형 변화에 대한 설명은 이 후 도 3 및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하기로 한다.
내피(20)는 통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매쉬(mesh) 원단이 사용된다. 내피(20) 내부에는 충전재(30)가 충전되는데, 사용자가 쿠션에 앉거나 기대었을 때 많은 하중을 받게 되기 때문에 찢어지거나 터지지 않도록 내구성을 가져야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 때문에 외피(10)와 내피(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피(10)와 내피(20)의 꼭짓점 부위나 모 서리 부위에는 외피(10)와 내피(2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내피(20)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30)는 발포 폴리스틸렌(Expandable Polystyrene) 입자가 사용된다. 상기 발포 폴리스틸렌 입자는 비드(beads)형으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가볍고 탄성을 가지며, 내수성, 단열성, 방음성, 완충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가압성형하여 포장재, 포장용 완충재, 건축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충전재(30)는 발포 폴리스틸렌 입자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체를 움직일 때마다 발포 폴리스틸렌 입자가 압력을 받으면 개별적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부드러움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발포 폴리스틸렌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변형이 없고 탄성이 감소되지 않기 때문에 발포 폴리스틸렌에 의해 쿠션의 수명이 줄어드는 일은 없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유변형 대쿠션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유변형 대쿠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외피(10)의 상부 꼭짓점 타측의 양단부위에 구비되어 있는 체결부재(52)와 고정부재(50)를 서로 연결한 상태를 보여준다.
체결부재(52)와 고정부재(50)를 서로 연결하면 연결부위의 외피(10)가 서로 겹쳐져 쿠션의 전체적인 부피가 줄어들면서 겹쳐진 부위에 있던 충전재가 주변으로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하반신을 지지하는 부위의 높이가 높아진다. 이러한 쿠션의 상태는 사용자가 독서를 하거나 TV를 시청하는데 적합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때, 쿠션 자체의 경도가 증가하여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서도 변형이 적어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유변형 대쿠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쿠션의 배면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체결부재(42)와 고정부재(40)까지 연결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쿠션의 배면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체결부재(42)와 고정부재(40)를 연결하면 쿠션의 머리받침부위가 쿠션의 저면쪽으로 이동하여 쿠션은 침대에 가까운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가 이루는 각도가 커져서 사용자는 누운 자세를 취하게 되며, 휴식을 취하거나 수면을 취하는데 적합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에도 쿠션의 머리받침부위는 삼각뿔 형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로 베개를 사용하지 않아도 편안한 자세를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 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유변형 대쿠션은 외피에 체결수단 및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인체공학적으로 쿠션의 외형을 변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불편 없이 편안하고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외피와;
    상기 외피 내부에 삽입되는 내피; 및
    상기 내피 내부에 채워지는 충전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전체적인 몸체의 외형은 상부 꼭짓점이 일측으로 편향된 삼각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꼭짓점이 편향된 측의 외피 모서리와, 상기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몸체의 양 측면의 외피에는 몸체의 외형을 변형시켜 전체적인 몸체의 형상 및 몸체 내부의 부피를 변화시키기 위한 외형변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 대쿠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에어매쉬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 대쿠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매쉬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 대쿠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발포 폴리스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 대쿠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변형수단은 체결수단과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체결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은 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 대쿠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클립, 단추, 매듭용 끈 및 벨크로테이프 중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 대쿠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고리, 단추구멍, 매듭용 끈 및 벨크로테이프 중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 대쿠션.
KR2020060016525U 2006-06-20 2006-06-20 자유변형 대쿠션 KR2004269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525U KR200426952Y1 (ko) 2006-06-20 2006-06-20 자유변형 대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525U KR200426952Y1 (ko) 2006-06-20 2006-06-20 자유변형 대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952Y1 true KR200426952Y1 (ko) 2006-09-20

Family

ID=41775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525U KR200426952Y1 (ko) 2006-06-20 2006-06-20 자유변형 대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9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52Y1 (ko) 2009-04-09 2009-12-21 (주)인터피플 개폐식 머리받침이 구비된 빈백 소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52Y1 (ko) 2009-04-09 2009-12-21 (주)인터피플 개폐식 머리받침이 구비된 빈백 소파
WO2010117131A3 (ko) * 2009-04-09 2010-12-02 (주)인터피플 개폐식 머리받침이 구비된 빈백 소파
US8336964B2 (en) 2009-04-09 2012-12-25 Interpeople Co., Ltd. Beanbag sofa with retractable headre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052Y1 (ko) 개폐식 머리받침이 구비된 빈백 소파
CN102421336A (zh) 枕头
JP4858809B2 (ja) 機能性枕
JP5336532B2 (ja)
JP3111334U (ja) 快眠枕
KR200426952Y1 (ko) 자유변형 대쿠션
JP6067795B1 (ja) 携帯用多機能枕
JP3128886U (ja) 枕装置
JP3132068U (ja) 枕装置
JP3131886U (ja)
JP3221368U (ja) 骨盤クッション
JP2005185739A (ja) 枕一体型抱き枕
KR200463898Y1 (ko) 목베개 겸용 쿠션
JP3100276U (ja) ビーズクッションソファ
CN212438102U (zh) 枕头
KR102520310B1 (ko) 경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JP6737444B1 (ja) ソファ兼用マットレス
JP3214178U (ja)
CN216651835U (zh) 一种沙发腰枕
JP3086195U (ja) 敷布団
JP3124603U (ja) 座椅子クッション
JP7118345B2 (ja)
JP3103630U (ja) 椅子の背もたれクッション装置
JP2023092608A (ja) クッション体、及び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
JP3041464U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