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189B1 -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189B1
KR101935189B1 KR1020177023266A KR20177023266A KR101935189B1 KR 101935189 B1 KR101935189 B1 KR 101935189B1 KR 1020177023266 A KR1020177023266 A KR 1020177023266A KR 20177023266 A KR20177023266 A KR 20177023266A KR 101935189 B1 KR101935189 B1 KR 101935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supply amount
car
rope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7029A (ko
Inventor
마사히코 히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7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37Performance analy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bstract

간결한 구성으로, 보다 정확한 트랙션 능력의 진단을 실시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의 중간부가 감겨 걸려지는 쉬브를 가지는 권상기와, 상기 권상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제1 가감속도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1 주행 제어, 및, 상기 제1 가감속도보다 작은 제2 가감속도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2 주행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칸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켰을 때의, 상기 쉬브의 회전에 의한 상기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하는 로프 공급량차 검출 수단과, 상기 로프 공급량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쉬브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에 있어서는, 구동 활차와 메인 케이블 간의 미끄러짐량을 검출하는 미끄러짐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 진단시에는, 구동 활차의 가감속도가 통상의 속도 패턴보다도 큰 값의 엘리베이터 진단용의 속도 패턴에 기초하여 권상기를 회전 제어하여, 미끄러짐 검출 수단에 의해 미끄러짐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미끄러짐량에 기초하여 구동 활차와 메인 케이블 간의 마찰력 저하의 유무의 진단을 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쉬브(sheave)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구동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모터 구동 감시 수단으로서 모터에 마련된 제1 인코더와,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승강 속도 측정 수단으로서 조속기(調速機)에 마련된 제2 인코더를 구비하고, 모터 구동 감시 수단을 통해서 감시한 모터의 구동 상황에 기초하는 쉬브의 로프 송출 속도와, 승강 속도 측정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속도의 차를 로프 슬립(slip) 속도로서 산출하여, 그 로프 슬립 속도가 소정의 속도를 초과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휴지(休止)하는 것도 종래에 있어서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개 2011-032075호 공보 일본 특개 2008-290845호 공보
그런데, 엘리베이터의 쉬브와 메인 로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변위」는, 쉬브와 메인 로프 사이의 마찰력 즉 트랙션(traction) 능력의 부족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칸 측과 균형추(balance weight) 측의 메인 로프의 장력차(張力差)라고 하는 역학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들 특허문헌에 나타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역학적인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쉬브와 메인 로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변위」를 고려에 넣지 않았다. 이 때문에, 트랙션 능력의 저하를 판정하는 임계치의 설정이 곤란하거나, 트랙션 능력 진단이 부정확한 것으로 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나타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에서는, 권상기(모터)뿐만 아니라, 조속기에도 인코더를 마련할 필요가 있어, 구성이 복잡화되어 제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해 버린다고 하는 것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조속기 측에 인코더가 불필요하여 간결한 구성으로, 보다 정확한 트랙션 능력의 진단을 실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의 중간부가 감겨 걸려지는 쉬브를 가지는 권상기와, 상기 권상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제1 가감속도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1 주행 제어, 및, 상기 제1 가감속도보다 작은 제2 가감속도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2 주행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칸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켰을 때의, 상기 쉬브의 회전에 의한 상기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하는 로프 공급량차 검출 수단과, 상기 로프 공급량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쉬브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의 중간부가 감겨 걸려지는 쉬브를 가지는 권상기와, 상기 권상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제1 가감속 시간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1 주행 제어, 및, 상기 제1 가감속 시간보다 짧은 제2 가감속 시간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2 주행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칸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켰을 때의, 상기 쉬브의 회전에 의한 상기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하는 로프 공급량차 검출 수단과, 상기 로프 공급량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쉬브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에 있어서는, 간결한 구성으로, 보다 정확한 트랙션 능력의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의 제1 및 제2 주행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의 제1 및 제2 주행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의 메인 로프 및 쉬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을 통해서 같은 부호는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같은 부호의 부분에 대한 중복 설명은 적당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것으로, 도 1은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3은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의 제1 및 제2 주행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2)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레일로 안내되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칸(2)의 상단에는 메인 로프(1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메인 로프(10)의 타단은 균형추(3)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균형추(3)는 승강로(1) 내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메인 로프(10)의 중간부는 승강로(1)의 정부(頂部)에 설치된 권상기(5)(도 1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음)의 쉬브(20)에 감겨 걸려져 있다. 또한, 메인 로프(10)의 중간부는 승강로(1)의 정부에 쉬브(20)에 인접해서 마련된 디플렉터 쉬브(4)에도 감겨 걸려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메인 로프(10)에 의해서 승강로(1) 내에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승강하는 두레박 모양으로 매달려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는, 이른바 트랙션 방식의 엘리베이터이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서,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의 제어 계통을 포함한 구성에 대해 더 설명한다. 권상기(5)는 쉬브(20)를 회전 구동한다. 권상기(5)가 쉬브(20)를 회전시키면, 메인 로프(10)와 당해 쉬브(2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메인 로프(10)가 이동한다. 메인 로프(10)가 이동하면, 메인 로프(10)에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승강로(1) 내를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승강한다.
권상기(5)의 동작은 제어반(30)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제어반(30)은 권상기(5)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는 제어 수단이다.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기 위한 권상기(5)의 제어는, 특히, 제어반(30)이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가 담당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4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41)는 제1 주행 제어를 행한다. 제1 주행 제어란 미리 설정된 제1 가감속도로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는 제어이다. 제2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42)는 제2 주행 제어를 행한다. 제2 주행 제어란 미리 설정된 제2 가감속도로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는 제어이다. 여기서, 제2 가감속도는 제1 가감속도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된다.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4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42)를 구비함으로써, 제1 가감속도로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는 제1 주행 제어, 및, 제1 가감속도보다 작은 제2 가감속도로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2 주행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칸 제어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는 주행 이외의 엘리베이터 칸(2)에 관한 제어 전반,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2)의 도어 개폐의 제어 등도 행하고 있다.
제어반(30)은, 추가로,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는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켰을 때의, 쉬브(20)의 회전에 의한 메인 로프(10)의 공급(feed)량의 차를 검출한다.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는 점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제1 주행 제어 및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에 있어서의 경과시간과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의 가로축이 시간 축, 세로축이 속도 축이다. 도 3의 그래프 중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이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의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변화,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것이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의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변화이다.
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에는, 엘리베이터 칸(2)이 출발층을 출발하면, 우선, 엘리베이터 칸(2)은 상기 제1 가감속도로 가속된다.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미리 정해진 정격 속도에까지 도달하면 가속을 중지한다. 엘리베이터 칸(2)은 이 정격 속도를 최고 속도로 하는 일정 속도로 주행한다. 엘리베이터 칸(2)이 정지층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앞의 위치를 통과하면, 이번에는, 엘리베이터 칸(2)은 상기 제1 가감속도로 감속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2)은 정지층에 정지한다.
또한,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에는, 엘리베이터 칸(2)이 출발층을 출발하면, 우선, 엘리베이터 칸(2)은 상기 제2 가감속도로 가속된다.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가 상기 정격 속도에까지 도달하면 가속을 중지한다. 엘리베이터 칸(2)은 상기 정격 속도를 최고 속도로 하는 일정 속도로 주행한다. 즉, 상기 제2 주행 제어에 있어서의 최고 속도는, 상기 제1 주행 제어의 경우와 같이 상기 정격 속도이다.
엘리베이터 칸(2)이 정지층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앞쪽 위치를 통과하면, 이번에는, 엘리베이터 칸(2)은 상기 제2 가감속도로 감속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2)은 정지층에 정지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감속도는 상기 제1 가감속보다 작다. 이 때문에, 출발층을 출발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2)이 정격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시간 및 감속을 개시하고 나서 정지층에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 즉 가감속 시간은 상기 제1 주행 제어시보다도 상기 제2 주행 제어시 쪽이 길게 된다.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킨다고 하는 것은,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의 출발층으로부터 정지층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의 출발층으로부터 정지층까지의 거리가 동일하다고 하는 것이다. 즉, 도 3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의 속도 변화의 그래프와 시간 축으로 둘러싸이는 면적과,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의 속도 변화의 그래프와 시간 축으로 둘러싸이는 면적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주행을 실현하려면,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의 출발층 및 정지층과,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의 출발층 및 정지층을 완전히 같게 하면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을 계속한다. 쉬브(20)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해, 인코더(6)가 마련되어 있다. 인코더(6)는 쉬브(20)의 회전 위상 각도에 따라 예를 들면 펄스 모양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 인코더(6)로부터 출력된 펄스 모양 신호의 펄스 수를 계수(計數)함으로써, 쉬브(20)의 회전수 및 쉬브(20)의 회전 위상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는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켰을 때의, 쉬브(20)의 회전수의 차에 기초하여, 쉬브(20)의 회전에 의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한다. 즉,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는 인코더(6)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는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출발층으로부터 정지층까지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켰을 때의 인코더(6)에 의해 검출된 쉬브(20)의 회전수를, 제어반(30)이 구비하는 기억부(33)에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는 상기 제1 주행 제어로 출발층으로부터 정지층까지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켰을 때의 인코더(6)에 의해 검출된 쉬브(20)의 회전수와, 기억부(33)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의 쉬브(20)의 회전수의 차를 구한다. 그리고,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는, 예를 들면, 이와 같이 하여 구한 쉬브(20)의 회전수의 차에 쉬브(20)의 둘레 길이(周長)를 곱함으로써, 쉬브(20)의 회전에 의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반(30)이 구비하는 판정부(34)는, 이와 같이 하여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에 기초하여,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한다. 이 판정부(34)에 의한 트랙션 능력의 판정 원리에 대해 다음에 설명한다.
트랙션 방식의 엘리베이터는 쉬브(20)와 메인 로프(10)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쉬브(20)의 회전을 메인 로프(10)의 이동으로 변환하여 엘리베이터 칸(2)을 승강시킨다. 쉬브(20)와 메인 로프(10)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충분하지 않게 되면, 쉬브(20)와 메인 로프(10)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한다. 쉬브(20)와 메인 로프(10)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가, 트랙션 능력이 불충분한 상태이다.
그래서,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하기 위해서는, 쉬브(20)와 메인 로프(10)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면 된다. 그렇지만, 쉬브(20)와 메인 로프(1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변위」는, 트랙션 능력의 부족뿐만 아니라,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역학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즉, 엘리베이터 칸(2) 측과 균형추(3) 측의 메인 로프(10)의 장력에 차가 있는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2)을 이동시키면, 장력차에 의한 메인 로프(10)의 연신량의 차이에 의해 쉬브(20)와 메인 로프(10)의 상대 위치에 미소한 「변위」가 반드시 발생한다. 이 현상은 쉬브(20)의 엘리베이터 칸(2) 측과 균형추(3) 측을 걸치도록 메인 로프(10)가 이동할 때의 메인 로프(10)의 장력 변화에 의해 역학적으로 반드시 발생한다. 1:1 로핑(roping)의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칸(2)을 왕복 운전시켰을 경우에 당해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변위」의 양은 다음의 (1)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L = L·{△W/(A·E)} … (1)
또한, (1) 식에 있어서, △L이 쉬브(20)와 메인 로프(10)의 상대 위치의 미소한 「변위」의 양으로, L은 엘리베이터 칸(2)을 왕복 운전시킨 층간 거리, △W는 엘리베이터 칸(2) 측과 균형추(3) 측의 질량차(장력차), A는 메인 로프(10)의 단면적(강선의 면적), E는 메인 로프(10)의 탄성 계수이다.
엘리베이터의 트랙션 능력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쉬브(20)와 메인 로프(10)의 상대 위치의 「변위」에 대해서도 고려에 넣을 필요가 있다. 여기서, (1) 식에 의하면, 같은 층간 거리 L로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켜도, 다른 변수인 △W, A, E가 다르면, 「변위」의 양 △L은 다르다. 따라서, 「변위」의 양 △L은 엘리베이터마다 다른 것으로 된다.
그런데, 엘리베이터의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이, 쉬브(20)와 메인 로프(10)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일이 없을 정도로 충분히 큰 지 여부는, 다음의 (2)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exp(k·μ·θ) ≥ {Wcar·(g+α)}/{Wcwt·(g-α)} … (2)
이 (2) 식에 있어서, exp(x)는 자연대수의 밑(base) e의 x승을 의미하고 있다. k는 홈 계수이며, 메인 로프(10)가 감겨 걸려지는 쉬브(20)의 홈의 형상에 의해 기하학적으로 결정되는 값이다. 또한, μ는 쉬브(20)와 메인 로프(10)의 마찰 계수, θ는 접촉각으로, 접촉각이란 메인 로프(10)가 쉬브(20)에 걸리는 각도이다. 그리고, Wcar는 엘리베이터 칸(2) 측의 질량, Wcwt는 균형추(3) 측의 질량, g는 중력가속도, α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2)의 운전시의 가감속도이다.
이 (2) 식이 성립하면,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이, 쉬브(20)와 메인 로프(10)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일이 없을 정도로 크다. 한편, (2) 식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이 작아, 쉬브(20)와 메인 로프(10)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해 버린다.
여기서, (2) 식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2)의 가감속도 α의 값이 작을수록, (2) 식의 우변의 값은 작아진다. 그리고, (2) 식의 우변의 값은 작을수록, (2) 식의 부등호는 성립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트랙션 능력이 저하해도, 엘리베이터 칸(2)의 가감속도 α의 값을 작게 함으로써, 쉬브(20)와 메인 로프(10)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일 없이, (1) 식으로 나타내지는 바와 같은 역학적 요인에 의한 「변위」만이 발생하는 상태를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트랙션 능력은 쉬브(20)의 홈의 마모 등으로 서서히 저하되어 가는 것을 생각하면, 통상의 가감속도(상기 제1 가감속도)로 「미끄러짐」이 발생하기 시작한 상황에서는, 통상의 가감속도보다 작은 가감속도(상기 제2 가감속도)로는 아직도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일 개연성이 높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에 있어서는,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는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켰을 때의, 쉬브(20)의 회전에 의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한다.
상기 제2 주행 제어는 상기 제1 주행 제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가감속도보다 작은 상기 제2 가감속도로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이유에 따라,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고 있었다고 해도,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의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은, (1) 식으로 나타내지는 역학적 요인에 의한 「변위」만을 반영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는, (1) 식으로 나타내지는 역학적 요인에 의한 「변위」를 뺀, 트랙션 능력 저하에 따른 메인 로프(10)와 쉬브(20) 사이의 「미끄러짐」의 양이다. 그리고, 판정부(34)는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에 기초하여,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한다.
즉,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와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에,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에 차이가 없으면 메인 로프(10)와 쉬브(20) 사이에 「미끄러짐」이 없어, 트랙션에 문제가 없다고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칸(2)의 주행거리가 같아도, 트랙션 능력이 떨어지면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의 쉬브(20)의 회전수가 변화하여 「변위」의 양이 많아진다. 즉, 「미끄러짐」이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와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에,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에 차이가 발생한다. 허용 가능한 「미끄러짐」의 양을 미리 설정해 놓고, 그 허용치를 상기 기준치로서 트랙션 능력을 정기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미연에 트랙션 결함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판정부(34)는 (1) 식으로 나타내지는 역학적 요인에 의한 「변위」를 뺀, 트랙션 능력 저하에 따른 메인 로프(10)와 쉬브(20) 사이의 「미끄러짐」의 양에 기초하여,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판정부(34)는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낮다고 판단한다.
또한,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 및 판정부(34)에서 이용하는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단위에 대해서는, 쉬브(20)의 둘레 길이를 곱하는 일 없이, 쉬브(20)의 회전수 그 자체를 단위로 해도 된다.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는 판정부(34)에 의해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낮다고 판단된 후는, 엘리베이터 칸(2)을 통상시보다 작은 가감속도로 주행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가감속도를 통상시의 가감속도라고 하면,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는 판정부(34)에 의해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이 기준보다 낮다고 판단된 후는, 엘리베이터 칸(2)을 상기 제2 가감속도로 주행시킨다.
또는,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는 판정부(34)에 의해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낮다고 판단된 후는, 엘리베이터 칸(2)을 통상시보다 낮은 최고 속도로 주행시킨다. 즉,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는 판정부(34)에 의해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낮다고 판단된 후는, 엘리베이터 칸(2)을 통상시의 정격 속도보다 낮은 최고 속도로 주행시킨다.
또한, 제어반(30)은 알림부(35)를 구비하고 있다. 알림부(35)는 판정부(34)에 의해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이 상기 기준보다 낮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그 취지를, 당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 내의 관리실, 혹은, 외부의 예를 들면 감시 센터 등에 알린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쉬브(20)의 트랙션 능력 저하된 경우에, 응급 처치로서 가감속도 혹은 최고 속도를 낮추어 「미끄러짐」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과 함께, 보수가 필요한 취지를 통지하여 적절한 대응을 촉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에 의한 트랙션 능력 진단의 동작 흐름을 다시금 설명한다. 우선, 스텝 S0에 있어서, 제어반(30)이 트랙션 능력의 진단을 개시하면, 스텝 S1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스텝 S0의 트랙션 능력의 진단 개시는, 미리 설정된 시간대가 되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이 진단을 개시하는 시간대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가 사용되고 있지 않는 시간대로 미리 설정한다. 즉,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에 의한 제1 주행 제어 및 제2 주행 제어,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에 의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의 검출, 및, 판정부(34)에 의한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의 판정은, 미리 설정된, 엘리베이터가 사용되고 있지 않는 시간대에 행해진다.
또는, 제어반(30)은 상기의 시간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이 주행하고 있지 않고, 또한, 호출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계속된 경우에, 트랙션 능력의 진단을 자동적으로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1에 있어서는, 우선,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42)는, 상기 제2 주행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가감속도보다 작은 상기 제2 가감속도로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킨다. 이 주행은 미리 설정된 출발층과 정지층의 사이에서 행해진다. 그리고,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는, 인코더(6)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이때의 쉬브(20)의 회전량을 계측한다. 쉬브(20)의 회전량은 쉬브(20)에 대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에 상당한다. 이렇게 하여 계측한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값은, 「미끄러짐」의 검출의 기준 △L로서, 기억부(33)에 일단 기억된다.
스텝 S1 다음은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 있어서는, 이번에는,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41)는, 상기 제1 주행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가감속도로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킨다. 이 주행은 스텝 S1에서의 주행거리와 동일하게 되도록 미리 설정된 출발층과 정지층의 사이에서 행해진다. 그리고,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는, 인코더(6)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이때의 쉬브(20)의 회전량, 즉, 쉬브(20)에 대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을 계측한다. 이렇게 하여 계측한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값을 △L1으로 한다.
스텝 S2 다음은 스텝 S3로 진행한다. 스텝 S3에 있어서는, 판정부(34)는 트랙션 능력의 진단을 행한다. 즉, 판정부(34)는, 우선, 스텝 S2에서 계측한 △L1과, 스텝 S1에서 계측하여 기억부(33)에 일단 기억한 △L의 차(△L1-△L)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판정부(34)는 산출한 차(△L1-△L)와 기준치를 비교한다. 또한, 이 기준치는, 미리 설정되어, 예를 들면 기억부(33)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스텝 S3 다음은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 있어서는, 판정부(34)는 엘리베이터가 정격 속도로 운전 가능한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스텝 S3에서의 비교에 의해, 차(△L1-△L)가 상기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판정부(34)는 엘리베이터가 정격 속도로 운전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한편, 차(△L1-△L)가 상기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판정부(34)는 엘리베이터가 정격 속도로 운전 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한다.
판정부(34)가 엘리베이터가 정격 속도로 운전 가능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는 정격 속도로의 서비스를 계속한다. 즉,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는 엘리베이터 칸(2)을 정격 속도를 최고 속도로서 주행시킨다. 그리고, 일련의 동작 플로우는 종료하게 된다.
한편, 판정부(34)가 엘리베이터가 정격 속도로 운전 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 S6로 진행한다. 스텝 S6에 있어서는, 알림부(35)는 트랙션 능력이 저하되어 있는 것을 통지한다. 이 통지는 건물 내의 관리실 또는 외부의 감시 센터 등에, 경고를 표시하는 등의 방법에 따라 행해진다. 경고의 표시 대신에, 혹은, 경고의 표시와 함께 음성에 의해 통지해도 된다.
스텝 S6 다음은 스텝 S7으로 진행한다. 스텝 S7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는 저(低)가속도로의 서비스를 계속한다. 즉,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는 통상시보다 작은 가감속도로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킨다. 그리고, 일련의 동작 플로우는 종료하게 된다.
또한, 이 스텝 S7의 저 가속도로의 서비스 계속은, 스텝 S6의 통지를 받은 보수원 등에 의한 대응이 실시될 때까지의 잠정적인 것이다. 스텝 S6의 통지를 받은 보수원 등이, 예를 들면, 쉬브(20)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는 등의 적절한 대응을 실시한 후에, 통상 운전으로 복귀한다. 또한, 스텝 S7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는 저 가속도로의 서비스를 계속하는 것 외, 전술한 바와 같이, 최고 속도를 통상시보다 느리게 하여 서비스를 계속하도록 해도 된다.
그런데, 이상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의 로핑 방식을, 1:1 로핑으로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해 왔다. 그렇지만, 이 로핑 방식은 이상에서 설명한 1:1 로핑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가 적용되는 엘리베이터는, 트랙션 방식이면, 2:1 로핑 등, 다른 로핑 방식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2)을 매다는 메인 로프(10)의 중간부가 감겨 걸려지는 쉬브(20)를 가지는 권상기(5)와, 권상기(5)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는 제어 수단인 제어반(3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수단인 제어반(30)은 제1 가감속도로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는 제1 주행 제어, 및, 상기 제1 가감속도보다 작은 제2 가감속도로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는 제2 주행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와,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켰을 때의, 쉬브(20)의 회전에 의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하는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와,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에 기초하여,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하는 판정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속기 측에 인코더가 불필요하여 간결한 구성으로, 염가이며 용이하게 트랙션 능력의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측과 균형추 측의 메인 로프의 장력차라고 하는 역학적인 요인에 의해서 발생한 쉬브와 메인 로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변위」도 고려에 넣은, 보다 정확한 트랙션 능력의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아가서는, 보다 적절한 보수의 실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의 제1 및 제2 주행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 형태 1은, 트랙션 능력을 진단하기 위해서, 가감속도를 바꾸어 엘리베이터 칸(2)을 같은 거리만큼 주행시켰을 때의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하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2는, 전술한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있어서, 트랙션 능력을 진단하기 위해서, 가감속 시간을 바꾸어 엘리베이터 칸(2)의 같은 거리만큼 주행시켰을 때의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의 제어 계통을 포함한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기 때문에, 실시 형태 1의 설명에서 이용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가 구비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41)는, 제1 주행 제어를 행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가 구비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42)는, 제2 주행 제어를 행한다.
다만, 이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1과 달리, 제1 주행 제어란 미리 설정된 제1 가감속 시간으로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는 제어이다. 또한, 제2 주행 제어란 미리 설정된 제2 가감속 시간으로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는 제어이다. 여기서, 제2 가감속 시간은 제1 가감속 시간보다 짧게 되도록 설정된다.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4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42)를 구비함으로써, 제1 가감속 시간으로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는 제1 주행 제어, 및, 제1 가감속 시간보다 작은 제2 가감속 시간으로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2 주행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칸 제어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제어반(30)이 구비하는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는, 실시 형태 1과 같이,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켰을 때의, 쉬브(20)의 회전에 의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한다.
다만, 이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주행 제어 및 상기 제2 주행 제어의 내용이 실시 형태 1과는 다르게 되어 있다. 그래서, 이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는 점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제1 주행 제어 및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에 있어서의 경과시간과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의 가로축이 시간 축, 세로축이 속도 축이다. 도 5의 그래프 중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이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의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변화,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것이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의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 변화이다.
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에는, 엘리베이터 칸(2)이 출발층을 출발하면, 우선, 엘리베이터 칸(2)은 일정한 가속도로 가속된다. 그리고, 가속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제1 가감속 시간이 경과하면,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을 중지한다. 이 가속을 중지한 시점에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는 정격 속도로 되어 있다. 반대로 말하면, 상기 제1 가감속 시간은 상기 일정한 가속도로 가속된 엘리베이터 칸(2)이 정지상태로부터 정격 속도에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미리 설정된다.
엘리베이터 칸(2)은 이 정격 속도를 최고 속도로 하는 일정 속도로 주행한다. 엘리베이터 칸(2)이 정지층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앞쪽 위치를 통과하면, 이번에는, 엘리베이터 칸(2)은 일정한 감속도로 감속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2)은 정지층에 정지한다. 이때의 감속에 필요한 시간은, 상기 제1 가감속 시간이다.
또한,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에는, 엘리베이터 칸(2)이 출발층을 출발하면, 우선, 엘리베이터 칸(2)은 상기 일정한 가속도로 가속된다. 그리고, 가속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제2 가감속 시간이 경과하면, 엘리베이터 칸(2)의 가속을 중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감속 시간은 상기 제1 가감속 시간보다 짧다. 따라서, 이 가속을 중지한 시점에서, 엘리베이터 칸(2)의 속도는 상기 정격 속도보다도 느리다. 엘리베이터 칸(2)은 이 상기 정격 속도보다도 느린 속도를 최고 속도로 하는 일정 속도로 주행한다.
엘리베이터 칸(2)이 정지층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앞쪽 위치를 통과하면, 이번에는, 엘리베이터 칸(2)은 상기 일정한 감속도로 감속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2)은 정지층에 정지한다. 이때의 감속에 필요한 시간은, 상기 제2 가감속 시간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주행 제어는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의 상기 제1 가감속 시간보다도 짧은 상기 제2 가감속 시간으로, 출발시의 가속 및 정지시의 감속이 행해진다. 이때의 가감속의 크기는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에서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2 주행 제어는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의 최고 속도보다도 느린 최고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는 것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킨다고 하는 것은,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의 출발층으로부터 정지층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의 출발층으로부터 정지층까지의 거리가 동일하다고 하는 것이다. 즉, 도 5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의 속도 변화의 그래프와 시간 축으로 둘러싸이는 면적과,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의 속도 변화의 그래프와 시간 축으로 둘러싸이는 면적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주행을 실현하려면,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의 출발층 및 정지층과,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의 출발층 및 정지층을 완전히 같게 하면 된다.
제어반(30)이 구비하는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는, 실시 형태 1과 같이,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켰을 때의, 쉬브(20)의 회전수의 차에 기초하여, 쉬브(20)의 회전에 의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반(30)이 구비하는 판정부(34)는, 실시 형태 1과 같이,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에 기초하여,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한다.
다만, 이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의 가감속도와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의 가감속도는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 형태 1에서 나타낸 (2) 식의 우변의 값은,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와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에서 변하지 않게 된다. 다만, 트랙션 능력의 저하에 따라 메인 로프(10)와 쉬브(20)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이 「미끄러짐」의 양은 「미끄러짐」이 발생하고 있는 시간의 길이에 비례한다. 이 때문에, 가감속 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발생하는 「미끄러짐」의 총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와 상기 제2 주행 제어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1에서 나타낸 (1) 식으로 나타내지는 역학적 요인에 의한 「변위」는 발생한다. 그래서, 상기 제1 주행 제어시와 상기 제2 주행 제어시의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평가함으로써, (1) 식으로 나타내지는 역학적 요인에 의한 「변위」의 효과를 제거한, 트랙션 능력 저하에 따른 메인 로프(10)와 쉬브(20) 사이의 「미끄러짐」의 양에 대해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이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도, 판정부(34)는 (1) 식으로 나타내지는 역학적 요인에 의한 「변위」의 효과를 제거하고, 트랙션 능력 저하에 따른 메인 로프(10)와 쉬브(20) 사이의 「미끄러짐」의 양에 기초하여,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며,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2)을 매다는 메인 로프(10)의 중간부가 감겨 걸려지는 쉬브(20)를 가지는 권상기(5)와, 권상기(5)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는 제어 수단인 제어반(3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수단인 제어반(30)은 제1 가감속 시간으로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는 제1 주행 제어, 및, 상기 제1 가감속 시간보다 짧은 제2 가감속 시간으로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키는 제2 주행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와,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켰을 때의, 쉬브(20)의 회전에 의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하는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와,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에 기초하여, 쉬브(20)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하는 판정부(34)를 구비한 것이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의 메인 로프 및 쉬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는, 트랙션 능력을 진단하기 위해서, 제1 주행 제어 및 제2 주행 제어로 엘리베이터 칸(2)을 같은 거리만큼 주행시켰을 때의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 3은, 이와 같은 전술한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2의 구성에 있어서, 트랙션 능력을 진단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2)의 같은 거리의 주행을 왕복 주행으로 한 것이다.
이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의 제어 계통을 포함한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이므로,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의 설명에서 이용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가 구비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41)는, 제1 주행 제어를 행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가 구비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42)는, 제2 주행 제어를 행한다.
제어반(30)이 구비하는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는,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켰을 때의, 쉬브(20)의 회전에 의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때의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에 따른 같은 거리의 엘리베이터 칸(2)의 주행은, 미리 정해진 층상 사이의 왕복 주행이다.
즉, 트랙션 능력의 진단시에는,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는, 왕로 및 귀로 중 한쪽을 상기 제1 주행 제어로, 왕로 및 귀로 중 다른 쪽을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엘리베이터 칸(2)을 왕복 주행시킨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42)는, 출발층으로부터 정지층까지를 상기 제2 주행 제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킨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31)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41)는, 이번에는, 상기 정지층으로부터 상기 출발층까지를 상기 제1 주행 제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왕로와 귀로에서 주행 제어를 바꾸어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엘리베이터 칸(2)을 주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는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엘리베이터 칸(2)을 왕복 주행시켰을 때의, 쉬브(20)의 회전에 의한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한다. 이때,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는,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쉬브(20)의 회전수의 차에 기초하여 검출해도 되지만, 다음과 같이 해도 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2)을 왕복 운전시켜 출발층으로 돌아왔을 때, 이상적인 조건하에서는 쉬브(20)의 회전 위상 각도도, 출발 전의 상태로 돌아와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 실시 형태 3에서는, 왕복 주행 전후의 쉬브(20)의 회전 위상 각도의 차에 의해서,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차를 구할 수 있다. 그래서,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는, 왕로 및 귀로 중 한쪽을 상기 제1 주행 제어로, 왕로 및 귀로 중 다른 쪽을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엘리베이터 칸(2)을 왕복 주행시켰을 때의, 쉬브(20)의 회전 위상 각도의 차에 기초하여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한다.
쉬브(20)의 회전 위상 각도의 차에 기초하는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의 검출의 제1 예는, 인코더(6)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코더(6)는 쉬브(20)의 회전 위상 각도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여, 쉬브(20)의 회전수뿐만 아니라, 쉬브(20)의 회전 위상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는, 이 인코더(6)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쉬브(20)의 회전 위상 각도의 차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쉬브(20)의 회전 위상 각도의 차에 기초하는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의 검출의 제2 예를,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2 예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로프(1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로프측 마크(11)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쉬브(2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는 쉬브측 마크(21)가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는 왕로 및 귀로 중 한쪽을 상기 제1 주행 제어로, 왕로 및 귀로 중 다른 쪽을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엘리베이터 칸(2)을 왕복 주행시켰을 때의, 로프측 마크(11)와 쉬브측 마크(21)의 상대 위치의 변화에 기초하여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한다.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엘리베이터 칸을 왕복 주행시켰을 때의, 로프측 마크(11)와 쉬브측 마크(21)의 상대 위치의 변화에 기초하여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왕복 주행 전에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프측 마크(11)와 쉬브측 마크(21)가 같은 위치에 있고, 왕복 주행 후에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프측 마크(11)와 쉬브측 마크(21)의 위치에 미소한 변위가 발생했다고 한다. 이 경우, 이 도 6의 (b)에 나타난 미소한 변위에 의해 왕복 주행 전후의 쉬브(20)의 회전 위상 각도의 차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로프측 마크(11)와 쉬브측 마크(21)의 상대 위치는, 예를 들면, 메인 로프(10) 및 쉬브(20)를 카메라 등으로 촬영한 화상 처리 등에 의해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론, 왕복 주행 전후의 로프측 마크(11)와 쉬브측 마크(21)의 상대 위치의 변화를 보수원 등의 사람 눈에 의해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이며,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는, 실시 형태 1의 구성 또는 실시 형태 2의 구성에 있어서,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32)는 왕로 및 귀로 중 한쪽을 제1 주행 제어로, 왕로 및 귀로 중 다른 쪽을 제2 주행 제어로 엘리베이터 칸(2)을 왕복 주행시켰을 때의, 쉬브(20)의 회전 위상 각도의 차에 기초하여 메인 로프(10)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왕복 주행 전후의 쉬브의 회전 위상 각도의 차에 기초하여 트랙션 능력의 진단을 보다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의 중간부가 감겨 걸려지는 쉬브를 가지는 권상기를 구비한 트랙션 방식의 엘리베이터의 트랙션 능력을 진단하는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승강로
2 엘리베이터 칸
3 균형추
4 디플렉터 쉬브
5 권상기
6 인코더
10 메인 로프
11 로프측 마크
20 쉬브
21 쉬브측 마크
30 제어반
31 엘리베이터 칸 제어부
32 로프 공급량차 검출부
33 기억부
34 판정부
35 알림부
41 제1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
42 제2 엘리베이터 칸 주행 제어부

Claims (10)

  1.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의 중간부가 감겨 걸려지는 쉬브(sheave)를 가지는 권상기와,
    상기 권상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제1 가감속도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1 주행 제어, 및, 상기 제1 가감속도보다 작은 제2 가감속도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2 주행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칸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켰을 때의, 상기 쉬브의 회전에 의한 상기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하는 로프 공급량차 검출 수단과,
    상기 로프 공급량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쉬브의 트랙션(traction) 능력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2.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의 중간부가 감겨 걸려지는 쉬브를 가지는 권상기와,
    상기 권상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제1 가감속 시간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1 주행 제어, 및, 상기 제1 가감속 시간보다 짧은 제2 가감속 시간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제2 주행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칸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켰을 때의, 상기 쉬브의 회전에 의한 상기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하는 로프 공급량차 검출 수단과,
    상기 로프 공급량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쉬브의 트랙션 능력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프 공급량차 검출 수단은, 상기 제1 주행 제어와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같은 거리만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켰을 때의, 상기 쉬브의 회전수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프 공급량차 검출 수단은, 왕로 및 귀로 중 한쪽을 상기 제1 주행 제어로, 왕로 및 귀로 중 다른 쪽을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왕복 주행시켰을 때의, 상기 쉬브의 회전 위상 각도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쉬브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인코더를 구비하고,
    상기 로프 공급량차 검출 수단은 상기 인코더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쉬브의 회전 위상 각도를 검출하는 인코더를 구비하고,
    상기 로프 공급량차 검출 수단은 상기 인코더의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로프에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로프측 마크가 부여되고,
    상기 쉬브에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쉬브측 마크가 부여되며,
    상기 로프 공급량차 검출 수단은 왕로 및 귀로 중 한쪽을 상기 제1 주행 제어로, 왕로 및 귀로 중 다른 쪽을 상기 제2 주행 제어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왕복 주행시켰을 때의, 상기 로프측 마크와 상기 쉬브측 마크의 상대 위치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차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쉬브의 트랙션 능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낮다고 판단된 후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통상시보다 작은 가감속도로 주행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쉬브의 트랙션 능력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낮다고 판단된 후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통상시보다 낮은 최고 속도로 주행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제1 주행 제어 및 상기 제2 주행 제어, 상기 로프 공급량차 검출 수단에 의한 상기 메인 로프의 공급량의 차의 검출, 및,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한 상기 쉬브의 트랙션 능력의 판정은, 미리 설정된, 엘리베이터가 사용되고 있지 않는 시간대에 행해지는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KR1020177023266A 2015-02-18 2015-02-18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KR101935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4457 WO2016132484A1 (ja) 2015-02-18 2015-02-18 エレベータの診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029A KR20170107029A (ko) 2017-09-22
KR101935189B1 true KR101935189B1 (ko) 2019-01-03

Family

ID=5669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266A KR101935189B1 (ko) 2015-02-18 2015-02-18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86935B2 (ko)
JP (1) JP6304443B2 (ko)
KR (1) KR101935189B1 (ko)
CN (1) CN107207198B (ko)
BR (1) BR112017014164A2 (ko)
DE (1) DE112015006188B4 (ko)
WO (1) WO2016132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6371B2 (en) * 2014-10-22 2019-04-2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ontrol apparatus
WO2016132484A1 (ja) * 2015-02-18 2016-08-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診断装置
WO2020089508A1 (en) * 2018-11-02 2020-05-07 Kone Corporation Arrangement for detecting bearing failures in elevator
JP7197059B2 (ja) * 2020-06-26 2022-12-27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検査端末
CN115339977B (zh) * 2022-09-16 2023-06-20 江西维毅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电梯曳引轮滑移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5179B1 (en) * 2000-07-19 2001-12-04 Otis Elevator Company Determining elevator brake, traction and related performance parameters
ES2376168T3 (es) * 2004-05-28 2012-03-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etector de deslizamiento de cuerda de elevador y sistema elevador.
CN101456507B (zh) * 2004-05-28 2011-04-2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绳索打滑检测装置
JP4836564B2 (ja) * 2005-12-06 2011-12-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用主ロープの滑り量検出方法及び滑り量検出装置
JP5050362B2 (ja) * 2006-02-08 2012-10-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US7637353B2 (en) * 2006-05-16 2009-12-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EP2112114B1 (en) * 2007-02-14 2014-04-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FI120828B (fi) * 2007-02-21 2010-03-31 Kone Corp Elektroninen liikkeenrajoitin ja menetelmä elektronisen liikkeenrajoittimen ohjaamiseksi
JP2008290845A (ja) 2007-05-24 2008-12-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KR101034926B1 (ko) * 2007-06-14 2011-05-1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JP2009023768A (ja) * 2007-07-18 2009-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ロープスリップ検出装置
JP5333234B2 (ja) * 2007-12-17 2013-11-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5164995B2 (ja) * 2007-12-19 2013-03-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DE112007003745B4 (de) 2007-12-27 2019-06-27 Mitsubishi Electric Corp. Aufzugsystem
JP5334868B2 (ja) 2008-02-08 2013-11-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2036898B (zh) * 2008-06-27 2013-05-0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及其运转方法
JP5326474B2 (ja) * 2008-10-06 2013-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ロープ滑り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5383375B2 (ja) 2009-08-05 2014-01-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2460753A1 (en) * 2010-12-03 2012-06-06 Inventio AG Method for testing elevator brakes
EP2695838B1 (en) * 2011-04-08 2016-09-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ulti-car elev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4245557B (zh) * 2012-04-16 2016-10-19 三菱电机株式会社 多轿厢式电梯
JP2014043291A (ja) * 2012-08-24 2014-03-13 Hitachi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904072B2 (ja) 2012-09-20 2016-04-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BR112015011905A2 (pt) * 2012-12-17 2017-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aparelho de elevador
EP2813457B1 (en) * 2013-06-10 2016-03-23 Ko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vator group
ES2896407T3 (es) * 2013-08-08 2022-02-24 Kone Corp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un ascensor y un ascensor
JP6271948B2 (ja) * 2013-10-30 2018-01-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ーリ溝診断装置付きエレベータ
CN107000961B (zh) * 2014-11-24 2021-05-07 奥的斯电梯公司 电磁制动系统
WO2016132484A1 (ja) * 2015-02-18 2016-08-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診断装置
US10479645B2 (en) * 2015-06-29 2019-11-19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magnetic brake system for elevator application
US10207894B2 (en) * 2017-03-16 2019-02-19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Controlling sway of elevator cable with movement of elevator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5006188B4 (de) 2021-12-30
DE112015006188T5 (de) 2017-11-02
CN107207198A (zh) 2017-09-26
WO2016132484A1 (ja) 2016-08-25
JP6304443B2 (ja) 2018-04-04
KR20170107029A (ko) 2017-09-22
US10486935B2 (en) 2019-11-26
CN107207198B (zh) 2020-09-08
US20170327342A1 (en) 2017-11-16
JPWO2016132484A1 (ja) 2017-08-31
BR112017014164A2 (pt)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189B1 (ko) 엘리베이터의 진단 장치
JP5050362B2 (ja) エレベータ
US11014781B2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JP5371991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10858218B2 (en) Elevator apparatus
US9981825B2 (en) Monitoring elevator traction rope
JP2011195253A (ja) エレベータの綱車摩耗量測定装置
EP2743225B1 (en) Elevator system
JP201205669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7922150B (zh) 电梯控制系统和操作电梯系统的方法
JP6223586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の伸び検知装置
KR20180041175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326474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滑り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CN109153537B (zh) 电梯装置
JP5947094B2 (ja) エレベータ
JP4566587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3001474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運転システムおよび安全運転方法
JP2008156127A (ja) エレベータ
KR10134588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8349693B (zh) 电梯及电梯的运转方法
CN113767059B (zh) 电梯的打滑检测系统
CN115465750A (zh) 电梯控制装置及电梯控制方法
CN117279854A (zh) 用于估计电梯系统中的绳索滑动的方法和系统
CN114104911A (zh) 电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