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719B1 -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719B1
KR101930719B1 KR1020170067473A KR20170067473A KR101930719B1 KR 101930719 B1 KR101930719 B1 KR 101930719B1 KR 1020170067473 A KR1020170067473 A KR 1020170067473A KR 20170067473 A KR20170067473 A KR 20170067473A KR 101930719 B1 KR101930719 B1 KR 101930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ase plate
attachment
holes
att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080A (ko
Inventor
토모미 카츠키
아키히로 아시하라
유카리 카와즈
토모아키 스에츠구
마사유키 모치타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0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과제) 대변기에의 부착 강도를 확보하는 것.
(해결수단)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본체부를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대변기의 상면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한쌍의 부착구멍을 갖고, 한쌍의 부착구멍에 부착된 체결부재를 한쌍의 관통구멍에 삽입통과시킴으로써, 대변기의 상면에 부착된다. 본체부는 세정 노즐을 포함하는 기능부품을 내장하고,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대변기에 부착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는 한쌍의 부착구멍보다 내측에만 본체부와의 부착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SANITARY WASHING DEVICE}
개시의 실시형태는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장실 공간의 의장성을 높이기 위해서, 위생 세정 장치에 접속되는 급수 호스나 급전 코드를 은폐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변기의 상면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이러한 관통구멍에 급수 호스나 급전 코드를 통과시켜서 대변기의 배면측으로부터 꺼내도록 함으로써 급수 호스나 급전 코드를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대변기의 상면에는 위생 세정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한쌍의 관통구멍(이하, 제 1 관통구멍이라고 기재한다)이 형성되어 있고, 급수 호스나 급전 코드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하, 제 2 관통구멍이라고 기재한다)은 한쌍의 제 1 관통구멍보다 외측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특허문헌 1에는 제 2 관통구멍이 형성된 대변기에 대해서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부를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베이스 플레이트는 대변기의 한쌍의 제 1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대변기에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부착구멍을 갖는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베이스 플레이트는 대변기의 제 2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급수 호스나 급전 코드를 삽입통과하기 위한 삽입통과구멍을 갖는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베이스 플레이트는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베이스 플레이트는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된 훅과 감합하는 갈고리홈이나,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조를 안내하는 조구(條溝)를 갖는다. 이들의 부착부는 삽입통과구멍과 마찬가지로 한쌍의 부착구멍보다 외측에 형성된다.
일본 특허공개 2016-50468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기재된 베이스 플레이트는 본체부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가 급수 호스나 급전 코드를 삽입통과하기 위해서 개구된 삽입통과구멍의 근방에 배치되므로 부착 강도를 확보한다고 하는 점에서 더나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
개시의 실시형태는 대변기에의 부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형태의 일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는 대변기의 상면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한쌍의 부착구멍을 갖고, 상기 한쌍의 부착구멍에 형성된 체결부재를 상기 한쌍의 관통구멍에 삽입통과시킴으로써, 상기 대변기의 상면에 부착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세정 노즐을 포함하는 기능부품을 내장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대변기에 부착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한쌍의 부착구멍보다 내측에만 상기 본체부와의 부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쌍의 부착구멍보다 내측에만 부착부가 형성되므로 한쌍의 부착구멍보다 외측에 있어서 급수 호스나 급전 코드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해서 개구된 삽입통과구멍에 근접해서 부착부가 배치되는 종래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비교해서, 대변기에의 부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부착구멍보다 내측에 부착부를 집약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를 종래품과 비교해서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대변기의 한쌍의 관통구멍보다 외측에 급수 호스나 급전 코드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이러한 관통구멍을 막지 않고, 급수 호스나 급전 코드를 이러한 관통구멍에 통과시켜서 은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본체부의 부착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부착 방향 앞측 및 상방으로 개구하는 한쌍의 조구와, 상기 한쌍의 조구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부착 방향 앞측 및 상기 조구측으로 개구하고, 상방이 막혀진 한쌍의 제 1 맞물림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쌍의 조구가 본체부의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제 1 맞물림 오목부가 본체부의 상방으로의 빠짐을 방지함으로써 본체부를 적절하게 고정해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는 상기 한쌍의 조구의 측면에 볼록하게 형성된 압입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구의 좌우 양 측면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측의 측면에 상기 제 1 맞물림 오목부가 형성되고, 외측의 측면에 상기 압입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입 볼록부에 의해 본체부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맞물림 오목부와 압입 볼록부의 배치를 반대로 한 경우와 비교해서 부착부를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한쌍의 부착부보다 내측의 영역 내에 부착부를 적절하게 집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는 상기 한쌍의 조구의 상기 부착 방향 안측의 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부착 방향 앞측으로 개구하고, 상방이 막혀진 한쌍의 제 2 맞물림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쌍의 제 2 맞물림 오목부가 본체부의 상방으로의 빠짐을 방지함으로써 본체부를 보다 적절하게 고정해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조구보다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부착 방향 앞측으로 개구하고, 상방이 막혀진 제 3 맞물림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제 2 맞물림 오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보다 상기 부착 방향 안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맞물림 오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보다 상기 부착 방향 앞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부에 대해서 부착 방향 안측으로부터 상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주로 한쌍의 제 2 맞물림 오목부가 힘을 받고, 본체부에 대해서 부착 방향 앞측으로부터 상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주로 제 3 맞물림 오목부가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체부에 대해서 부착 방향 안측 및 앞측 중 어느 측으로부터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본체부를 적절하게 고정해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는 상기 한쌍의 조구보다 내측에 형성된 한쌍의 갈고리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맞물림 오목부는 상기 한쌍의 갈고리홈 중 한쪽의 상기 갈고리홈에 있어서의 상기 부착 방향 안측의 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착 방향 앞측에 갈고리홈을 배치하고, 안측에 제 3 맞물림 오목부를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부착부를 보다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한쌍의 부착부보다 내측의 영역 내에 부착부를 적절하게 집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한쌍의 볼트와,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상기 볼트의 삽입통과구멍을 갖고, 상기 부착구멍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볼트를 상기 부착구멍에 위치 결정하는 한쌍의 위치 결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부착구멍은 상기 위치 결정판을 상기 부착구멍에 대해서 제 1 방향에서 부착한 경우 및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180°회전시킨 제 2 방향에서 부착한 경우 중 어느 경우에나 상기 삽입통과구멍과 연통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한쌍의 관통구멍의 피치가 다른 2종류의 대변기에 대해서 베이스 플레이트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범용성이 높은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실시형태의 일형태에 의하면, 대변기에의 부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가 설치된 화장실 공간을 나타내는 모식 사시도이다.
도 2a는 위생 세정 장치의 부착 순서를 나타내는 모식 사시도이다.
도 2b는 위생 세정 장치의 부착 순서를 나타내는 모식 사시도이다.
도 3은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부의 모식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모식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플레이트 본체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6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대변기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7은 본체부가 구비하는 피부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저면도이다.
도 8은 본체부가 구비하는 피부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사시도이다.
도 9는 위치 결정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10a는 위치 결정판이 부착구멍에 대해서 제 1 방향에서 부착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10b는 위치 결정판이 부착구멍에 대해서 제 2 방향에서 부착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11a는 한쌍의 부착구멍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11b는 한쌍의 부착구멍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11c는 한쌍의 부착구멍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12는 변형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원이 개시하는 위생 세정 장치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위생 세정 장치의 전체구성>
우선, 위생 세정 장치의 전체구성에 대해서 도 1∼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가 설치된 화장실 공간을 나타내는 모식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위생 세정 장치의 부착 순서를 나타내는 모식 사시도이다. 도 3은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부의 모식 분해 사시도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연직 상향 방향을 「상방」, 연직 하향 방향을 「하방」이라고 기재한다. 또한, 대변기(5)에 정면으로 마주 대한 사용자로부터 볼 때 대변기(5)의 앞측을 「전방」, 안측을 「후방」, 우측을 「우측방」, 좌측을 「좌측방」이라고 기재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위생 세정 장치(1)는 화장실 공간(100)에 배치된 대변기(5)의 상부에 설치된다. 대변기(5)는 서양식의 수세대변기이며, 위생 세정 장치(1)보다 후방에는 탱크(6)가 설치된다.
도 2a에 나타내듯이, 대변기(5)의 상면(52)에는 볼부(51)보다 후방측에 한쌍의 제 1 관통구멍(53,53)과, 제 2 관통구멍(54)이 형성된다.
한쌍의 제 1 관통구멍(53,53)은 위생 세정 장치(1)를 부착하기 위한 관통구멍이며, 대변기(5)의 좌우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다.
제 2 관통구멍(54)은 위생 세정 장치(1)에 접속되는 급수 호스(232) 및 급전 코드(233)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며, 한쌍의 제 1 관통구멍(53,53)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관통구멍(54)은 한쌍의 제 1 관통구멍(53,53) 중, 예를 들면 좌측방의 제 1 관통구멍(53)의 좌측방에 상기 제 1 관통구멍(53)에 근접해서 배치된다. 제 2 관통구멍(54)은 한쌍의 제 1 관통구멍(53)보다 대경이다.
위생 세정 장치(1)는 본체부(2)와, 베이스 플레이트(3)를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본체부(2)는 변기덮개(21)와, 변기시트(22)와, 기능부(23)를 구비한다. 변기덮개(21) 및 변기시트(22)는 기능부(23)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변기시트(22)는 사용자의 둔부를 따뜻하게 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가열부를 내장한다.
기능부(23)는 각종의 기능부품을 내장한다. 예를 들면 기능부(23)는 기능부품으로서 세정 노즐(231)을 내장한다. 세정 노즐(231)은 기능부(23)의 내부로부터 볼부(51)를 향해서 진출해서 사용자의 국부에 물을 토출함으로써, 사용자의 국부를 세정한다.
또, 기능부(23)는 세정 노즐(231) 이외의 기능부품으로서, 예를 들면 볼부(51) 내의 공기를 빨아들여서 필터나 촉매 등을 통해 악취성분을 저감시키는 탈취 기능부나, 사용자의 둔부 등을 향해서 온풍을 분사해서 온풍 건조 기능부 등을 내장하고 있어도 좋다.
기능부(23)에는 예를 들면 세정 노즐(231)에서 사용되는 물을 위생 세정 장치(1)에 공급하기 위한 급수 호스(232)와, 기능부(23)에 내장되는 각종 기능부품이나 변기시트(22)에 내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가열부에의 급전을 행하기 위한 급전 코드(233)가 접속된다. 급수 호스(232) 및 급전 코드(233)는 예를 들면 기능부(23)의 좌측방에 배치된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듯이, 베이스 플레이트(3)는 베이스 플레이트(3)를 대변기(5)에 부착하기 위한 한쌍의 부착구멍(31,31)과, 본체부(2)를 베이스 플레이트(3)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32)를 갖는다. 한쌍의 부착구멍(31,31)은 대변기(5)의 상면(52)에 형성된 한쌍의 제 1 관통구멍(53,5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부착부(32)는 이러한 제 1 관통구멍(53,53)보다 내측에 설치된다.
위생 세정 장치(1)를 대변기(5)에 부착할 경우에는 우선, 대변기(5)의 상면(52)에 베이스 플레이트(3)를 부착한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플레이트(3)의 한쌍의 부착구멍(31,31)에 부착된 볼트(41,41) 등의 체결부재를 제 1 관통구멍(53,53)에 삽입통과하고, 볼트(41,41)를 드라이버 등으로 돌려넣음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3)를 대변기(5)에 체결 고정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는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대변기(5)의 상면(52)에 부착된다.
이어서, 본체부(2)에 접속된 급수 호스(232) 및 급전 코드(233)를 대변기(5)의 제 2 관통구멍(54)에 통과시켜서 대변기(5)의 후방측으로부터 꺼낸다. 이에 따라 급수 호스(232) 및 급전 코드(233)가 외부로부터 보이기 어려워지므로, 화장실 공간의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급수 호스(232) 및 급전 코드(233)는 각각 급수원인 및 전원에 접속된다.
이어서, 베이스 플레이트(3)에 본체부(2)를 부착한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2)의 하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의 부착부(32)와 맞물리는 도시하지 않은 피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2)를 베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서 수평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본체부(2)의 피부착부가 베이스 플레이트(3)의 부착부(32)와 맞물려서 본체부(2)가 베이스 플레이트(3)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위생 세정 장치(1)의 본체부(2)는 대변기(5)의 상면(52)에 부착된 베이스 플레이트(3)를 통해 대변기(5)에 부착된다.
<2.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성>
다음에,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3)의 구성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베이스 플레이트(3)의 모식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3)는 장판(長板)형상의 플레이트 본체(30)와, 한쌍의 볼트(41,41)와, 한쌍의 위치 결정판(42,42)과, 한쌍의 제 1 너트(43,43)와, 한쌍의 부시(44,44)와, 한쌍의 제 2 너트(45,45)를 구비한다.
플레이트 본체(30)는 상술한 한쌍의 부착구멍(31,31)과, 부착부(32)를 갖는다. 플레이트 본체(30)는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된다. 플레이트 본체(3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볼트(41)는 플레이트 본체(30)를 대변기(5)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이다. 볼트(41)는 플레이트 본체(30)의 상방으로부터 위치 결정판(42)을 통해 부착구멍(31)에 삽입통과된다.
위치 결정판(42)은 좌우 방향을 길게 하는 장판형상을 갖고, 볼트(41)가 삽입통과되는 삽입통과구멍(421)과, 플레이트 본체(30)에 형성된 홈(311)과 맞물리는 다수의 홈(422)을 갖는다. 홈(422)은 위치 결정판(42)의 하면에 형성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삽입통과구멍(421)은 위치 결정판(42)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지만,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위치 결정판(42)은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된다.
제 1 너트(43,43), 부시(44,44) 및 제 2 너트(45,45)는 플레이트 본체(30)를 대변기(5)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이며, 부착구멍(31)에 삽입통과된 볼트(41,41)에 대해서 플레이트 본체(30)의 하방으로부터 부착된다. 제 1 너트(43), 부시(44) 및 제 2 너트(45)는 예를 들면 고무로 형성된다.
한쌍의 부착구멍(31,31)에 부착된 볼트(41,41), 제 1 너트(43,43), 부시(44,44) 및 제 2 너트(45,45)를 대변기(5)의 한쌍의 제 1 관통구멍(53,53)에 삽입통과시키고,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볼트(41,41)를 돌린다. 그렇게 하면, 제 1 너트(43,43) 및 제 2 너트(45,45)가 부시(44,44)에 밀어넣어짐으로써 부시(44,44)가 제 1 관통구멍(53,53) 내에서 넓혀져서 제 1 관통구멍(53,53)을 막아 플레이트 본체(30)를 고정한다. 이렇게 해서 베이스 플레이트(3)는 대변기(5)의 상면에 부착된다.
다음에 플레이트 본체(3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는 플레이트 본체(30)의 모식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베이스 플레이트(3)를 대변기(5)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듯이, 한쌍의 부착구멍(31,31)은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구멍이며, 플레이트 본체(3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형성된다.
한쌍의 부착구멍(31,31)의 둘레가장자리에는 플레이트 본체(30)의 상면보다 한층 낮은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단차부에는 대변기(5)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홈(311)은 위치 결정판(42)의 홈(422)과 맞물린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종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한쌍의 부착구멍보다 외측의 영역에 본체와의 부착부가 설치되어 있었다. 예를 들면 종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한쌍의 부착구멍보다 외측에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조를 안내하는 조구(601,601)나,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된 훅과 감합하는 갈고리홈(602,602)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서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3)에서는 한쌍의 부착구멍(31,31)보다 내측에만 본체부(2)와의 부착부(3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 본체(30)의 길이 방향(대변기(5)의 좌우 방향)의 길이를 종래의 것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급수 호스(232)나 급전 코드(233)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 2 관통구멍(54)이 형성되는 경우에, 이러한 제 2 관통구멍(54)을 막지않고 급수 호스(232)나 급전 코드(233)를 제 2 관통구멍(54)에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삽입통과구멍(603)의 근방에 조구(601,601)나 갈고리홈(602,602)이라는 부착부가 형성되는 종래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비교해서 대변기(5)에의 부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5로 되돌아와서, 부착부(32)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듯이, 부착부(32)는 본체부(2)의 부착 방향(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조구(320,320)와, 본체부(2)의 부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즉,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갈고리홈(330,330)을 갖는다.
한쌍의 조구(320,320) 및 한쌍의 갈고리홈(330,330)은 플레이트 본체(30)의 전방측(즉, 부착 방향 앞측) 및 상방으로 개구하는 홈부이며, 한쌍의 조구(320,320)보다 내측에 한쌍의 갈고리홈(330,330)이 형성된다. 또, 한쌍의 갈고리홈(330,330) 중 하나(여기에서는 좌측방측의 갈고리홈(330))은 한쌍의 조구(320,320) 중 하나(여기에서는 좌측방측의 조구(32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부착부(32)를 보다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각 조구(320)의 측면에는 제 1 맞물림 오목부(321)와, 복수의 압입 볼록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맞물림 오목부(321)는 플레이트 본체(30)의 전방측(즉, 부착 방향 앞측) 및 조구(320)측으로 개구하고, 상방이 막혀진 오목부이다. 압입 볼록부(322)는 조구(320)의 측면에 볼록하게 형성된다.
제 1 맞물림 오목부(321)는 조구(320)의 전방측(즉, 부착 방향 앞측)의 단부보다 후방측(즉, 부착 방향 안측)에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제 1 맞물림 오목부(321)보다 전방측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노치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노치부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해서 본체부(2)의 슬라이드량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본체부(2)의 착탈에 요하는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전후 방향(즉, 부착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맞물림 오목부(321)의 길이(d1)는 본체부(2)에 가해진 힘을 주로 받는 부분이 제 1 맞물림 오목부(321)인 것을 고려하여, 예를 들면 20mm 이상으로 설정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3)에서는 조구(320)의 좌우 양 측면 중, 베이스 플레이트(3)의 중심측(즉, 갈고리홈(330)측)의 측면에 제 1 맞물림 오목부(321)가 형성되고, 외측(즉, 부착구멍(31)측)의 측면에 압입 볼록부(32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맞물림 오목부(321)와 압입 볼록부(322)의 배치를 반대로 한 경우와 비교해서 부착부(32)를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어 한쌍의 부착구멍(31,31)보다 내측의 영역 내에 부착부(32)를 적절하게 집약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조구(320,320)의 후방측(즉, 부착 방향 안측)의 면에는 플레이트 본체(30)의 전방측(즉, 부착 방향 앞측)을 향해서 개구하고, 상방이 막혀진 제 2 맞물림 오목부(323,323)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 2 맞물림 오목부(323,323)는 플레이트 본체(30)의 중심보다 플레이트 본체(30)의 후방측(부착 방향 안측)에 형성된다.
또한, 한쌍의 갈고리홈(330,330) 중 한쪽의 갈고리홈(330)(여기에서는 우측방측의 갈고리홈(330))의 후방측(즉, 부착 방향 안측)의 면에는 플레이트 본체(30)의 전방측을 향해서 개구하고, 상방이 막혀진 제 3 맞물림 오목부(331)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 3 맞물림 오목부(331)는 플레이트 본체(30)의 중심보다 플레이트 본체(30)의 전방측(부착 방향 앞측)에 형성된다.
이렇게, 한쌍의 갈고리홈(330,330) 중 한쪽의 갈고리홈(330)에 있어서의 부착 방향 안측의 면에 제 3 맞물림 오목부(331)를 오목하게 형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제 3 맞물림 오목부(331)와 한쌍의 갈고리홈(330,330)을 다른 장소에 독립해서 형성한 경우와 비교해서 부착부(32)를 보다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한쌍의 부착구멍(31,31)보다 내측의 영역 내에 부착부(32)를 적절하게 집약할 수 있다.
전후 방향(즉, 부착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맞물림 오목부(323) 및 제 3 맞물림 오목부(331)의 길이(d2,d3)는 전후 방향(즉, 부착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맞물림 오목부(321)의 길이(d1)보다 짧게 설정된다. 예를 들면 제 2 맞물림 오목부(323) 및 제 3 맞물림 오목부(331)의 길이(d2,d3)는 20mm 이하로 설정된다. 이렇게, 본체부(2)에 가해진 힘을 주로 받는 제 1 맞물림 오목부(321)의 길이(d1)를 가장 길게 설정함으로써 부착 강도를 확보하면서, 제 2 맞물림 오목부(323) 및 제 3 맞물림 오목부(331)의 길이(d2,d3)를 제 1 맞물림 오목부(321)보다 짧게 설정함으로써 본체부(2)의 착탈시의 스트로크량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듯이, 플레이트 본체(30)의 한쌍의 부착구멍(31,31)보다 내측에는 변기덮개(21)의 개폐를 검지하는 개폐 검지 센서로서의 자석(33)이 내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석(33)은 한쌍의 조구(320,320)보다 내측에 내장된다.
<3.본체부(2)의 피부착부의 구성>
다음에 본체부(2)가 구비하는 피부착부의 구성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체부(2)가 구비하는 피부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저면도이며, 도 8은 본체부(2)가 구비하는 피부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본체부(2)가 구비하는 기능부(23)의 하부에는 피부착부로서 한쌍의 제 1 돌출조(210,210)와, 한쌍의 훅부(220,220)와, 제 2 돌출조(230)가 형성된다.
제 1 돌출조(210,210), 훅부(220,220) 및 제 2 돌출조(230)는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3)의 조구(320,320), 갈고리홈(330,330) 및 제 3 맞물림 오목부(331)에 대응해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훅부(220,220)는 한쌍의 제 1 돌출조(210,210)보다 내측에 형성되고, 제 2 돌출조(230)는 한쌍의 훅부(220,220)보다 내측에 형성된다.
한쌍의 제 1 돌출조(210,210)의 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한 제 1 맞물림 볼록부(211,211)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선단측으로 돌출한 제 2 맞물림 볼록부(212,212)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돌출조(230)의 선단부에는 선단측으로 돌출한 제 3 맞물림 볼록부(235)가 형성된다. 제 1 맞물림 볼록부(211,211), 제 2 맞물림 볼록부(212,212) 및 제 3 맞물림 볼록부(235)는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3)의 제 1 맞물림 오목부(321,321), 제 2 맞물림 오목부(323,323) 및 제 3 맞물림 오목부(331)와 맞물린다.
한쌍의 훅부(220,22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록킹 레버(221)에 접속되어 있고, 록킹 레버(221)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시, 우측 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또, 스프링 부재에 의한 바이어싱은 도시하지 않은 해제 버튼에 의해 해제할 수 있다.
본체부(2)를 대변기(5)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서 슬라이드시키면, 훅부(220,220)가 베이스 플레이트(3)의 갈고리홈(330,330)에 접촉하고, 록킹 레버(221)에 형성된 스프링 부재가 축소됨으로써 훅부(220,22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해서 갈고리홈(330,330)에 끼워넣어진다. 이에 따라 본체부(2)의 전후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또한, 본체부(2)를 슬라이드시키면, 한쌍의 제 1 돌출조(210,210)가 베이스 플레이트(3)의 한쌍의 조구(320,320)에 끼워넣어진다. 이에 따라 본체부(2)의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또한, 이 때, 압입 볼록부(322,322)에 의해 본체부(2)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또한, 한쌍의 제 1 돌출조(210,210)가 한쌍의 조구(320,320)에 끼워넣어지면, 제 1 맞물림 볼록부(211,211) 및 제 2 맞물림 볼록부(212,212)가 각각 제 1 맞물림 오목부(321,321) 및 제 2 맞물림 오목부(323,323)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친다. 또한, 제 3 맞물림 볼록부(235)가 제 3 맞물림 오목부(331)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겹친다.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3)의 상방으로의 빠짐이 방지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맞물림 오목부(323,323)는 플레이트 본체(30)의 중심보다 플레이트 본체(30)의 후방측(부착 방향 안측)에 형성되고, 제 3 맞물림 오목부(331)는 플레이트 본체(30)의 중심보다 플레이트 본체(30)의 전방측(부착 방향 앞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체부(2)에 대해서 플레이트 본체(30)의 후방측으로부터 상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주로 한쌍의 제 2 맞물림 오목부(323,323)가 힘을 받고, 본체부(2)에 대해서 플레이트 본체(30)의 전방측으로부터 상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주로 제 3 맞물림 오목부(331)가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체부(2)에 대해서 플레이트 본체(30)의 후방측 및 전방측 중 어느 측으로부터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본체부(2)를 적절하게 고정해 둘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듯이, 기능부(23)는 한쌍의 제 1 돌출조(210,210)보다 내측에 변기덮개(21)의 개폐를 검지하는 개폐 검지 센서로서의 홀 IC(25)를 구비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 IC(25) 및 자석(33)(도 5 참조)은 평면에서 볼 때 한쌍의 부착구멍(31,31)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에 의하면, 홀 IC나 자석이 한쌍의 부착구멍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종래의 위생 세정 장치와 비교해서 한쌍의 부착구멍(31,31)보다 외측의 영역을 빈 공간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4.부착구멍 및 위치 결정판의 구성>
그런데, 한쌍의 제 1 관통구멍(53,53)간의 피치는 규격에 의해 정해져 있고, 예를 들면 제 1 피치(예를 들면 140mm 피치)와, 제 1 피치보다 피치가 큰 제 2 피치(예를 들면 155mm 피치)가 존재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3)는 이들 2종류의 피치에 대응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위치 결정판(42)의 구성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위치 결정판(42)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듯이, 위치 결정판(42)은 좌우 방향을 길게 하는 직사각형상의 판상부재이다. 위치 결정판(42)의 삽입통과구멍(421)은 위치 결정판(42)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위치 결정판(42)을 부착구멍(31)에 대해서 제 1 방향(예를 들면 삼각형의 마크(423)가 플레이트 본체(30)의 외측에 위치하는 방향)에서 부착된 경우와, 제 1 방향으로부터 위치 결정판(42)을 180° 회전(수평 회전)시킨 제 2 방향(예를 들면 마크(423)가 플레이트 본체(30)의 중심측에 위치하는 방향)에서 부착된 경우에서 부착구멍(31) 내에 있어서의 삽입통과구멍(42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0a는 위치 결정판(42)이 부착구멍(31)에 대해서 제 1 방향에서 부착된 베이스 플레이트(3)의 모식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b는 위치 결정판(42)이 부착구멍(31)에 대해서 제 2 방향에서 부착된 베이스 플레이트(3)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10a에 나타내듯이, 위치 결정판(42)을 부착구멍(31)에 대해서 제 1 방향에서 부착한 경우, 각 위치 결정판(42,42)의 삽입통과구멍(421,421)의 위치는 제 1 피치(P1)로 형성된 제 1 관통구멍(53,53)의 위치에 대응한다. 바꿔 말하면, 삽입통과구멍(421,421)의 간격은 제 1 피치(P1)가 된다.
한편, 도 10b에 나타내듯이, 위치 결정판(42)을 부착구멍(31)에 대해서 제 2 방향에서 부착한 경우, 각 위치 결정판(42,42)의 삽입통과구멍(421,421)의 위치는 제 2 피치(P2)로 형성된 제 1 관통구멍(53,53)의 위치에 대응한다. 바꿔 말하면, 삽입통과구멍(421,421)의 간격은 제 2 피치(P2)가 된다.
이어서, 한쌍의 부착구멍(31,3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도 11a∼도 11c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1a∼도 11c는 한쌍의 부착구멍(31,31)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또, 도 11a∼도 11c에서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한쌍의 부착구멍(31,31) 이외의 구성을 적당하게 생략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듯이, 부착구멍(31)은 위치 결정판(42)을 부착구멍(31)에 대해서 제 1 방향에서 부착한 경우(도 10a 참조) 및 제 2 방향에서 부착한 경우(도 10b 참조) 중 어느 경우에나 삽입통과구멍(421)과 연통하는 폭(W)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도 11c에 나타내듯이, 부착구멍(31)의 좌우 방향의 폭(W)은 제 1 방향에서 부착된 위치 결정판(42)의 삽입통과구멍(421)(도면 중, 1점 쇄선으로 나타낸 삽입통과구멍(421))과, 제 2 방향에서 부착된 위치 결정판(42)의 삽입통과구멍(421)(도면 중, 실선으로 나타낸 삽입통과구멍(421))의 서로 가장 먼 측의 둘레면(421a,421b)끼리의 간격 이상으로 설정된다.
또한, 부착구멍(31)의 좌우 방향의 폭(W)은 제 1 피치(P1)로 형성된 제 1 관통구멍(53)과, 제 2 피치(P2)로 형성된 제 1 관통구멍(53)의 서로 가장 먼 측의 둘레면(53a,53b)끼리의 간격(C) 미만으로 설정된다(즉, W<C).
이렇게,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3)는 한쌍의 제 1 관통구멍(53,53)의 2종류의 피치에 대응 가능하다. 즉, 한쌍의 제 1 관통구멍(53,53)이 제 1 피치(P1)로 형성된 대변기(5)와, 한쌍의 제 1 관통구멍(53,53)이 제 2 피치(P2)로 형성된 대변기(5)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를 공용할 수 있다. 따라서, 범용성이 높은 위생 세정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5.변형예>
다음에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3)의 변형예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변형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미 설명한 부분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3)가 한쌍의 제 1 관통구멍(53,53)의 2종류의 피치에 대응 가능한 부착구멍(31,31)을 구비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부착구멍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부착구멍은 보다 다종의 변기에 대응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듯이, 변형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3A)는 플레이트 본체(30A)와, 한쌍의 볼트(41,41)와, 도시하지 않은 한쌍의 제 1 너트(43,43)와, 도시하지 않은 한쌍의 부시(44,44)와, 도시하지 않은 한쌍의 제 2 너트(45,45)를 구비한다. 플레이트 본체(30A)는 한쌍의 부착구멍(31A,31A)과, 부착부(32)를 구비한다.
부착구멍(31A)은 플레이트 본체(30A)의 길이 방향(한쌍의 부착구멍의 배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플레이트 본체(30A)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부착구멍(31A)의 폭은 볼트(41)의 나사부의 지름보다 크고, 볼트(41)의 나사머리부의 지름보다 작다.
변형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3A)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볼트(41)를 부착구멍(31A)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제 1 너트(43), 부시(44) 및 제 2 너트(45)에 의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임의의 장소에서 볼트(41)를 부착구멍(31A)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3A)에 의하면, 한쌍의 제 1 관통구멍의 피치로서 상술한 제 1 피치(P1) 및 제 2 피치(P2) 이외의 피치를 갖는 대변기에 대해서도 부착구멍(31A)의 폭 내이면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변형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3A)는 부착구멍(31A)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개구를 갖지만, 이들 개구는 반드시 형성되는 것을 요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는 베이스 플레이트(3,3A)와, 본체부(2)를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3A)는 대변기(5)의 상면(52)에 형성된 한쌍의 제 1 관통구멍(53,53)(관통구멍의 일례)에 대응하는 한쌍의 부착구멍(31,31(31A,31A))을 갖고, 한쌍의 부착구멍(31,31(31A,31A))에 부착된 볼트(41,41), 제 1 너트(43,43), 부시(44,44), 제 2 너트(45,45)(체결부재의 일례)를 한쌍의 제 1 관통구멍(53,53)에 삽입통과시킴으로써, 대변기(5)에 부착된다. 본체부(2)는 세정 노즐(231)을 포함하는 기능부품을 내장하고, 베이스 플레이트(3,3A)를 통해 대변기(5)에 부착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3,3A)는 한쌍의 부착구멍(31,31(31A,31A))보다 내측에만 본체부(2)와의 부착부(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장치(1)에 의하면, 대변기(5)에의 부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본체(30,30A)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급수 호스(232)나 급전 코드(233)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 2 관통구멍(54)을 막지 않고 급수 호스(232)나 급전 코드(233)를 제 2 관통구멍(54)에 통과시킬 수 있다.
새로운 효과나 변형예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보다 광범위한 형태는 이상과 같이 나타내고 또한 기술한 특정 상세 및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첨부의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총괄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위생 세정 장치
2: 본체부
3: 베이스 플레이트
5: 대변기
6: 탱크
31: 부착구멍
32: 부착부
42: 위치 결정판
53: 제 1 관통구멍
54: 제 2 관통구멍
100: 화장실 공간
232: 급수 호스
233: 급전 코드
320: 조구
321: 제 1 맞물림 오목부
322: 압입 볼록부
323: 제 2 맞물림 오목부
330: 갈고리홈
331: 제 3 맞물림 오목부

Claims (7)

  1. 대변기의 상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 1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한쌍의 부착구멍을 갖고, 상기 한쌍의 부착구멍에 부착된 체결부재를 상기 한쌍의 제 1 관통구멍에 삽입통과시킴으로써, 상기 대변기의 상면에 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세정 노즐을 포함하는 기능부품을 내장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대변기에 부착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한쌍의 부착구멍보다 내측에만 상기 본체부와의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대변기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접속되는 급수 호스 및 급전 코드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며, 상기 한쌍의 제 1 관통구멍보다 외측에 배치된 제 2 관통구멍을 막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본체부의 부착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부착 방향 앞측 및 상방으로 개구하는 한쌍의 조구와,
    상기 한쌍의 조구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부착 방향 앞측 및 상기 조구측으로 개구하고, 상방이 막혀진 한쌍의 제 1 맞물림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한쌍의 조구의 측면에 볼록하게 형성된 압입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구의 좌우 양 측면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측의 측면에 상기 제 1 맞물림 오목부가 형성되고, 외측의 측면에 상기 압입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한쌍의 조구의 상기 부착 방향 안측의 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부착 방향 앞측으로 개구하고, 상방이 막혀진 한쌍의 제 2 맞물림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조구보다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부착 방향 앞측으로 개구하고, 상방이 막혀진 제 3 맞물림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제 2 맞물림 오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보다 상기 부착 방향 안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맞물림 오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보다 상기 부착 방향 앞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한쌍의 조구보다 내측에 형성된 한쌍의 갈고리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맞물림 오목부는,
    상기 한쌍의 갈고리홈 중 한쪽의 상기 갈고리홈에 있어서의 상기 부착 방향 안측의 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한쌍의 볼트와,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상기 볼트의 삽입통과구멍을 갖고, 상기 부착구멍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볼트를 상기 부착구멍에 위치 결정하는 한쌍의 위치 결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부착구멍은,
    상기 위치 결정판을 상기 부착구멍에 대해서 제 1 방향에서 부착한 경우 및 상기 제 1 방향에서 180°회전시킨 제 2 방향에서 부착한 경우 중 어느 경우에나 상기 삽입통과구멍과 연통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KR1020170067473A 2016-08-17 2017-05-31 위생 세정 장치 KR101930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0201A JP6737064B2 (ja) 2016-08-17 2016-08-17 衛生洗浄装置
JPJP-P-2016-160201 2016-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080A KR20180020080A (ko) 2018-02-27
KR101930719B1 true KR101930719B1 (ko) 2018-12-19

Family

ID=5963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473A KR101930719B1 (ko) 2016-08-17 2017-05-31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99640B2 (ko)
EP (1) EP3284378B1 (ko)
JP (1) JP6737064B2 (ko)
KR (1) KR101930719B1 (ko)
CN (1) CN107752893B (ko)
TW (1) TWI6484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465B1 (ko) * 2018-04-25 2019-11-11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비데 설치 구조
JP7411403B2 (ja) 2019-12-16 2024-01-11 株式会社Lixil 便座固定プレート及び便座固定プレートの施工方法
KR102350134B1 (ko) * 2020-04-22 2022-01-11 김승현 양변기 커버 체결구조
US20230144681A1 (en) * 2021-01-08 2023-05-11 Nuri Dorra Auto cleaning toilet seat assembly
JP2023020480A (ja) 2021-07-30 2023-02-09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IT202100030578A1 (it) * 2021-12-02 2023-06-02 Oli Sist Sanitarios S A Dispositivo di fissaggio per fissare un gruppo sedile su un vaso sanitari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1470A (ja) * 2008-07-25 2010-02-12 Aisin Seiki Co Ltd 取付器具、取付器具セット及び局部洗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7061A (ja) * 1998-01-07 1999-07-27 Toto Ltd 便座固定用基材
JP2000116570A (ja) * 1998-10-13 2000-04-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便座装置取付構造
KR100760108B1 (ko) 1999-11-29 2007-09-18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탱크레스 변기
TW469317B (en) * 1999-11-29 2001-12-21 Inax Corp Tank-less toilet, western style flush toilet, private part washing device, and spud for flush toilet
JP3650325B2 (ja) * 2000-10-23 2005-05-18 アロン化成株式会社 シャワー付便器
JP4300834B2 (ja) * 2003-03-19 2009-07-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トイレ装置
KR20040093824A (ko) * 2003-04-30 2004-11-09 주식회사 파세코 비데장치
JP4516465B2 (ja) * 2005-03-29 2010-08-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便座装置
CN101960077B (zh) * 2008-02-29 2012-12-26 Toto株式会社 冲厕装置
JP4998372B2 (ja) * 2008-05-29 2012-08-15 株式会社Lixil 便器上面設備
JP5384410B2 (ja) * 2010-03-31 2014-01-08 株式会社Lixil 便座リフトアップ装置及び昇降便座
JP2012067531A (ja) * 2010-09-24 2012-04-05 Toto Ltd 衛生洗浄装置
CN201861548U (zh) * 2010-09-25 2011-06-15 李飞宇 一种座厕盖板的快速安装支座
CN103866837B (zh) * 2012-12-10 2017-04-26 杜拉维特股份有限公司 卫生装置
CN203970265U (zh) * 2014-05-30 2014-12-03 吉博力(上海)投资管理有限公司 连接装置及具有该连接装置的坐便器
JP6425117B2 (ja) * 2014-09-02 2018-11-21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及び、大便器ユニット
CN205234393U (zh) * 2015-09-29 2016-05-18 林土 一种电子座便盖与座便器的内置式固定连接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1470A (ja) * 2008-07-25 2010-02-12 Aisin Seiki Co Ltd 取付器具、取付器具セット及び局部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49606A1 (en) 2018-02-22
JP6737064B2 (ja) 2020-08-05
TWI648455B (zh) 2019-01-21
TW201807294A (zh) 2018-03-01
CN107752893B (zh) 2021-03-09
EP3284378A1 (en) 2018-02-21
CN107752893A (zh) 2018-03-06
JP2018028200A (ja) 2018-02-22
US10299640B2 (en) 2019-05-28
KR20180020080A (ko) 2018-02-27
EP3284378B1 (en)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719B1 (ko) 위생 세정 장치
US7308907B2 (en) Induction flush device
JP6425117B2 (ja) トイレ装置、及び、大便器ユニット
US7536732B1 (en) Toilet seat shock absorption and slide prevention device
JP2014173390A (ja) 便器設置構造
KR101301592B1 (ko) 양변기 시트 고정장치
CN103866837B (zh) 卫生装置
JP6205257B2 (ja) 便器上面設備
JP7051280B2 (ja) 便器装置
KR200396293Y1 (ko) 변기용 가변 브라켓
KR101477924B1 (ko) 자동차용 보조매트의 고정장치
KR100668579B1 (ko)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
JP4269955B2 (ja) 便器上面設備
JP6771188B2 (ja) トイレキャビネット
US9125531B2 (en) Sealing arrangement for bath bar
JP5685729B2 (ja) 手洗器
DE502005007917D1 (de)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Backenschiene auf einer gleisinneren Seite einer Zungenvorrichtung einer Weiche
CN220868372U (zh) 一种分体式洁身器
JP6659375B2 (ja) 水栓部品の取付構造
JP2002213005A (ja) 局部洗浄装置
JP6659376B2 (ja) 水栓部品
KR20090038712A (ko) 좌변기용 세정장치의 고정유닛
JP3054118U (ja) ペット用飲水器
US20210093130A1 (en) Water Inlet Through Seat Post
JP2012241453A (ja) 便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