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293Y1 - 변기용 가변 브라켓 - Google Patents

변기용 가변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293Y1
KR200396293Y1 KR20-2005-0019540U KR20050019540U KR200396293Y1 KR 200396293 Y1 KR200396293 Y1 KR 200396293Y1 KR 20050019540 U KR20050019540 U KR 20050019540U KR 200396293 Y1 KR200396293 Y1 KR 200396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lider
malt
fixed
bid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5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두열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95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2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용 가변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변기용 가변 브라켓 구성을 달리하여 비데가 좌변기 상에 견고히 체결되도록 하고 평상시에도 관리가 용이하고, 또한 좌변기의 크기에 따라 좌우방향 뿐만 아니라 전후방향으로도 체결부재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좌변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용성이 뛰어난 변기용 가변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기용 가변 브라켓{device for variable braket in bidet}
본 고안은 변기용 가변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체격 또는 변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슬라이더에 의해 전·후는 물론 좌·우로도 몰트 등의 결합부재가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변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공용성이 뛰어난 비데용 가변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용 고정 브라켓은 변기의 하단부에 마련된 공간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석하여 용변을 보기위해 좌변기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실용 보조용구로써, 사용자가 용변시 착석가능하도록 원형의 시트와 시트의 상단부에 구비된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는 개패가 가능하도록 후면부에 천공된 결합공을 통해 고정 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시트와 커버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변기용 고정 브라켓은 변기에 천공된 설치공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에 결합된 몰트 등의 결합부재가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변기의 크기에 따라 주문 제작해야 하는 등 설치시 제약조건이 많아 실용성에 있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변기에 사용되는 비데의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특허공개번호 제 0041888호의 경우, 비데용 가변 브라켓으로써, 길이가 다른 좌변기의 설치공와 대응하도록 비데몸체의 저면에 안내부를 구성하고, 상기 안내부에 슬라이드 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좌변기의 설치공에 끼워지는 고정부를 구성함으로써, 고정부의 수직인장력을 분산시키도록 하는 발명이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특허공개번호 제 0041888호의 경우에 슬라이드 결합에 의해 전·후로만 이동이 가능하고, 한정된 범위(센터중심으로 140,200,230㎜ 3가지 경우)에서만 설치가 가능하여 고정 브라켓의 크기에 따라 별도로 비데용 가변 브라켓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효율성에 있어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또, 상기 안내부와 이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몰드의 구조가 결합력만을 강조하여 필요이상으로 제작이 복잡하고 부품의 교체도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공용성을 기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일시에 해결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고정 프레임의 평면상에 슬라이더를 개재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전·후로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슬라이더 내에 결합되는 몰트 등이 좌·우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변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고, 부품의 분리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성시킨 공용성이 뛰어난 비데용 가변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설치공이 형성된 변기에 시트 및 커버를 고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변기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고 끼움공이 형성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결합장공에 결착되어 상기 변기의 설치공을 통해 삽입·고정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고정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체결부재는 몰트로 성형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와셔 또는 너트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가변 브라켓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가변 브라켓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 프레임에 슬라이더 및 몰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보통의 변기에는 변기의 시트가 안착된 후면에 2개의 설치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설치공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변기에 부착되는 비데(100)가 고정되게 되는데, 상기 설치공의 대응하는 부위에는 비데(100) 하부에 마련된 공간에 고정 프레임(1)이 위치하게 된다. 더욱 정확하게는, 후술할 슬라이더(2)에 삽입·결합되는 몰트(3)가 상기 설치공에 삽입·결합되게 된다.
고정 프레임(1)에는 상기 비데(100)의 하부공간에 결합되는 결합부(7)가 형성되어 있고, 일정한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모양의 플레이트 구조를 갖는다. 또, 양측 일정부위는 비스듬하게 만곡되어 있고, 상기 직사각형 모양의 플레이트 중 일측을 제외하고 외측면을 따라 외측판(9)이 수직방향으로 돌설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판(9)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위를 통해 후술할 슬라이더(2)를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의 내면에는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2개의 내측판(6)이 수직방향으로 돌설되어 있어 상기 고정 프레임(1)을 3등분으로 구획하게 된다. 한편, 상기 2개의 내측판(6)의 일측에는 일정한 모양을 가지고 수평으로 길이방향 연장되어 결합돌기(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8)는 상기 비데(100)의 하부에 마련된 공간에 결합시 이탈을 방지하여 더욱 견고하게 비데(1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에 고정되는 비데용 가변 브라켓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넓게는 좌변기에 시트 및 커버를 고정하는 장치로써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 프레임(1)의 3등분 중 최좌측과 최우측은 좌우대칭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상기 고정 프레임(1)의 최좌측 또는 최우측 바닥면에는 내주면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이격되어 상기 바닥면과 동일한 모양으로 끼움공(10)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10)의 외주면을 따라 걸림턱(9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공(10)에는 후술할 슬라이더(2)가 수용된다. 상기 걸림턱(9A)에는 상기 슬라이더(2)의 양단의 일부위가 걸쳐지게 되고, 슬라이드가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7에서 보듯이, 종래의 비데용 가변 브라켓은 고정 프레임(1)에 일부위에 좌우로 결합돌기(8)가 성형되어 있고, 몰트의 머리부(11)가 상기 결합장공(30)내에서 전·후로만 이동이 가능하므로, 이에 비교해 본 고안은 좌·우로도 넓은 결합범위를 가짐으로써 그 효율성이 월등히 뛰어나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2)는 직사각형 모양의 플레이트 구조를 갖으며 상기 플레이트상의 양측으로는 수직방향으로 돌설되어 양측판(2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전술한 상기 고정 프레임(1)의 최좌측 또는 최우측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상기 슬라이더(2)의 바닥면의 일정부위에는 내주면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이격되어 상기 바닥면과 동일한 모양으로 결합장공(3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장공(30)의 외주면을 따라 걸림턱(9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장공(30)에는 후술할 몰트(3)가 삽입되고, 상기 양측판(20)에는 몰트(3) 머리부(11)의 측면이 맞닿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9A)에는 몰트(3)의 머리부(11) 일부위가 걸쳐지게 되고, 상기 양측판(20)은 상기 몰트의 머리부(11) 측면이 맞닿은 상태로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어 몰트(3)가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슬라이더(2)의 양측판(20)은 후술할 몰트(4)의 머리부(11)가 고정되어 맞닿는 부위로써, 상기 몰트(4)의 머리부(11)가 상기 슬라이더(2)의 양측판(20)에 맞물려 결합·고정되어 상기 몰트(4)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몰트(4)의 나사부(5)가 형성된 몸통부위는 상기 결합장공(30)에 삽입되어 전술한 변기의 설치공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몰트(4)는 변기의 설치공에 결합·고정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상기 몰트(4)의 머리부(11)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사부(5)가 형성된 것이 적합하다. 또, 상기 몰트(4)는 변기에 형성된 설치공에 삽입·결합되고 일측에는 상기 나사부(5)에 너트(4)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몰트(4)가 슬라이더(2)의 전·후 이동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몰트(4)가 상기 슬라이더(2)의 상기 결합장공(30)에 삽입되어 좌·우로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가변 브라켓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가변 브라켓의 구조에 의하면,
슬라이더가 고정 프레임 내에서 전·후는 물론 좌·우로도 가변적으로 유동할 수 있어 변기의 설치공 위치에 관계없이 설치될 수 있으며, 청소나 이동시 제품과 고정 프레임 전부를 변기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이 간단하게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가변 브라켓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 프레임에 슬라이더 및 몰트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가변 브라켓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가변 브라켓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변기용 가변 브라켓의 평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 고정 프레임 2 : 슬라이더
3 : 몰트 4 : 너트
5 : 나사부 6 : 내측판
7 : 결합부 8 : 결합돌기
9 : 외측판 9A : 걸림턱
10 : 끼움공 11 : 몰트의 머리부
20 : 양측판 30 : 결합장공
100 : 비데

Claims (2)

  1. 설치공이 형성된 변기에 시트 및 커버를 고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기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결착되어 상기 변기의 설치공을 통해 삽입·고정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고정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가변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몰트로 성형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와셔 또는 너트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가변 브라켓.
KR20-2005-0019540U 2005-07-05 2005-07-05 변기용 가변 브라켓 KR200396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40U KR200396293Y1 (ko) 2005-07-05 2005-07-05 변기용 가변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40U KR200396293Y1 (ko) 2005-07-05 2005-07-05 변기용 가변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293Y1 true KR200396293Y1 (ko) 2005-09-20

Family

ID=4369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540U KR200396293Y1 (ko) 2005-07-05 2005-07-05 변기용 가변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2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647B1 (ko) * 2006-04-14 2007-04-09 주식회사 가온메카트로닉스 시트 및 비데의 고정구조
KR101417879B1 (ko) 2008-01-09 2014-07-09 코웨이 주식회사 탈착이 용이한 비데
JP2019039228A (ja) * 2017-08-25 2019-03-1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647B1 (ko) * 2006-04-14 2007-04-09 주식회사 가온메카트로닉스 시트 및 비데의 고정구조
KR101417879B1 (ko) 2008-01-09 2014-07-09 코웨이 주식회사 탈착이 용이한 비데
JP2019039228A (ja) * 2017-08-25 2019-03-1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3201B2 (en) Remote controller
USD541225S1 (en) Remote control for a toilet seat with bidet
KR200396293Y1 (ko) 변기용 가변 브라켓
KR20040025859A (ko) 에어백 모듈과 주변 구조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장치 및 방법
EP3037596B1 (en) Flush toilet
TW201807294A (zh) 衛生洗淨裝置
USD485337S1 (en) Combination toilet seat and bidet set
JP2005255149A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ショルダーアジャスタ
JP2009167627A (ja) 便器装置
JP2010180673A (ja) 便器
JP2007191948A (ja) 便器装置
CN219175401U (zh) 偏心式按键组件及坐便器
JP7321967B2 (ja) 水洗大便器
RU2005140299A (ru) Регулируем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труб к конструкции для установки санитар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в частности унитаза со смывным бачком
CN211633040U (zh) 用于马桶的侧安装式支架组件和马桶
JP2004076477A (ja) 手摺用接続具
KR200189719Y1 (ko) 의자 등받이의 높이 조절장치
JP2020103594A (ja) 便座装置
KR100458555B1 (ko)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
JP4137428B2 (ja) スイッチボックスアセンブリ
JP2015071900A (ja) 小便器用スプレッダー
JP4240767B2 (ja) 便座ボックス
JP2023141504A (ja) 水栓装置
KR101945368B1 (ko) 비데 고정장치
JP6698298B2 (ja) 水洗大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