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909B1 -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909B1
KR101923909B1 KR1020110086895A KR20110086895A KR101923909B1 KR 101923909 B1 KR101923909 B1 KR 101923909B1 KR 1020110086895 A KR1020110086895 A KR 1020110086895A KR 20110086895 A KR20110086895 A KR 20110086895A KR 101923909 B1 KR101923909 B1 KR 101923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s
period
row
image signals
data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250A (ko
Inventor
요시유키 구로카와
다카유키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120021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66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with the matrix divided into s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05Simultaneous scanning of several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5Field-sequential colour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Scrolling of light from the illumination source over the display in combination with the scanning of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양의 전압을 액정에 인가하는 제 1 화상 신호를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을 통하여 화소에 공급하는 제 1 기간과, 주사선에 의해 화소를 비선택으로 하여 1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음의 전압을 액정에 인가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1 데이터선에 공급하고, 또한 제 (n+1) 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음의 전압을 액정에 인가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2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제 2 기간과, 음의 전압을 액정에 인가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을 통하여 화소에 공급하는 제 3 기간을 갖는 것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특히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액정 소자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대형 표시 장치로부터 휴대 전화 등의 소형 표시 장치에 이르기까지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는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이 요구되고 있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는 한층 더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액정 표시 장치의 각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선의 수를 늘리고, 화소의 구동을 보다 고기능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복수의 데이터선을 형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도 2 참조)에서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각과, 화소의 트랜지스터를 접속하는 구성에 관해서 개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86451호
우선은 본 발명의 일 형태의 과제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해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및 그 구동에 관해서, 도 10a 내지 도 10e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0a는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에 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10a에서는 1개의 데이터선(신호선이라고도 한다)으로부터 화상 신호를 화소에 공급하는 경우의 구성에 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10a에는 화소부(901)와, 주사선 구동 회로(902)와, 데이터선 구동 회로(903)(신호선 구동 회로라고도 한다)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주사선 구동 회로(902)는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행마다 형성된 주사선(904)에 의해 화소(905)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공급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903)는, m개(m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열마다 형성된 데이터선(906)에 의해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한다.
도 10b는 화소부(901)의 각 화소로의 화상 신호의 공급 순서에 관해서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b에서는 화살표(91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번째 행의 화소를 주사선(904)으로 선택하여 1번째 열 내지 m번째 열의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해 가고, n번째 행의 화소를 주사선(904)으로 선택하여 1번째 열 내지 m번째 열의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모든 화소(905)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1 프레임 기간에 상당하는 기간으로, 화소부(901)의 각 화소로의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양의 전압 또는 음의 전압 중 하나만을 인가하는 것에 의한 액정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액정에 인가하는 화상 신호의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켜서 공급하는 교류 구동이 필수가 된다. 교류 구동에는 게이트 라인 반전 구동, 소스 라인 반전 구동, 프레임 반전 구동 등이 있다. 프레임 반전 구동은 양의 전압을 「+」, 음의 전압을 「-」로 나타내면,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의 전압을 인가하는 기간과, 음의 전압을 인가하는 기간이 교대로 나타나는 프레임 기간이 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양의 전압 및 음의 전압은, 기준 전압이 되는 대향 전극의 공통 전압(common voltage)과의 상대적인 대소 관계에 기초하는 것이다.
도 10b, 도 10c에서 설명한, 프레임 기간이 전환되는 기간에 있어서의, 양의 전압을 인가하는 기간과 음의 전압을 인가하는 기간이 전환될 때의 모식도를 도 10d에 도시한다. 도 10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n번째 행의 화소에 양의 전압의 화상 신호가 데이터선 구동 회로(903)로부터 데이터선(906)을 통하여 공급된 후, 프레임 기간이 전환됨으로써 1번째 행의 화소에 음의 전압의 화상 신호가 데이터선(906)을 통하여 데이터선 구동 회로(903)로부터 공급되게 된다.
도 10d에서의 임의의 일렬의 데이터선 전압에 관해서, 세로축을 전압(V), 가로축을 시간(T)으로 하여 도 10e에 도시한다. 또한 도 10e에 도시하는 「V+」은 액정에 양의 전압을 인가할 때의 최대 전압, 「Vcom」은 대향 전극에 인가하는 공통 전압, 「V-」은 액정에 음의 전압을 인가할 때의 최소 전압이 된다. 도 10e에서 n번째 행의 화소에 양의 전압의 화상 신호를 공급한 후, 1번째 행의 화소에 음의 전압의 화상 신호를 공급할 때, 도 10e 중 「ΔV」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전압의 변화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점선(921)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액정 표시 장치의 대형화, 고속 동작화가 진행되는 경우, 상기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한 영역이 현저해진다.
단 도 10a 내지 도 10e의 경우, 상기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한 영역은 1번째 행의 화소이기 때문에, 1번째 행의 화소가 화소부(901)에 있어서의 시인하는 영역이 되지 않도록 화소부(901)가 시인되지 않는 영역에 1번째 행이 되는 화소(더미의 화소라고도 한다)를 배치함으로써 상기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한 영역을 시인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0a 내지 도 10e의 경우, 상기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한 영역인 1번째 행의 화소(905)가 화소부(901)의 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프레임 기간의 전환에 있어서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한 경우라도, 실제로 시인할 때는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이 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의 열마다 형성되는 데이터선의 수를 늘리는 경우에 관해서 별도 설명한다. 즉 이하에서는, 주사선에 의해 복수의 행을 동시에 선택하여 개별 데이터선으로부터 개별 화상 신호를 개별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1a는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에 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11a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의 열마다 형성되는 데이터선을 2개로 하고, 2개의 데이터선으로부터 동일한 열에 형성된 화소에 상이한 화상 신호를 동일한 타이밍으로 공급하는 경우의 구성에 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11a에는 화소부(901)와, 주사선 구동 회로(902)와, 데이터선 구동 회로(903)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주사선 구동 회로(902)는 2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행마다 형성된 주사선(904)에 의해 화소(905)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공급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903)는 m개의 열마다 형성된 제 1 데이터선(906A) 및 m개의 열마다 형성된 제 2 데이터선(906B)에 의해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화소부(901)는 2개의 영역(영역(907A) 및 영역(907B))으로 분할되고, 영역마다 매트릭스상(n행 m열)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것이 된다.
또한, 각 주사선(904)은 화소부(901)에 있어서 매트릭스상(2n행 m열)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905) 중, 어느 하나의 행에 배치된 m개의 화소에 접속된다. 또한, 각 제 1 데이터선(906A)은 영역(907A)에 있어서 매트릭스상(n행 m열)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905) 중, 어느 하나의 열에 배치된 n개의 화소에 접속된다. 또한, 각 제 2 데이터선(906B)은 영역(907B)에 있어서 매트릭스상(n행 m열)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905) 중, 어느 하나의 열로 배치된 n개의 화소에 접속된다.
도 11b는 도 10b와 같이, 화소(905)로의 화상 신호의 공급 순서에 관해서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b에서는 화살표(91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번째 행의 화소를 주사선(904)으로 선택하여 1번째 열 내지 m번째 열의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해 가고, n번째 행의 화소를 주사선(904)으로 선택하여 1번째 열 내지 m번째 열의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영역(907A)의 모든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영역(907A)으로의 화상 신호의 공급과 동시에, 도 11b에서는 화살표(913)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n+1)번째 행의 화소를 주사선(904)으로 선택하여 1번째 열 내지 m번째 열의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고, 2n번째 행의 화소를 주사선(904)으로 선택하여 1번째 열 내지 m번째 열의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영역(907B)의 모든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1프레임 기간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영역(907A) 및 영역(907B)의 각 화소에 대한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도 10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의 전압 또는 음의 전압 중 하나만을 인가하는 것에 의한 액정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액정에 인가하는 화상 신호의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켜 공급하는 교류 구동이 필수가 된다. 따라서 양의 전압을 인가하는 기간과, 음의 전압을 인가하는 기간이 교대로 나타나게 된다.
도 11b에서 설명한, 프레임 기간이 전환되는 기간에 있어서의, 양의 전압을 인가하는 기간과 음의 전압을 인가하는 기간이 전환될 때의 모식도를 도 11c에 도시한다.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n번째 행의 화소에 양의 전압의 화상 신호를 데이터선 구동 회로(903)로부터 제 1 데이터선(906A)을 통하여 공급한 후, 프레임 기간이 전환됨으로써 1번째 행의 화소에 음의 전압의 화상 신호를 데이터선 구동 회로(903)로부터 제 1 데이터선(906A)을 통하여 공급하게 된다. 또한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n번째 행의 화소에 양의 전압의 화상 신호를 데이터선 구동 회로(903)로부터 제 2 데이터선(906B)을 통하여 공급한 후, 프레임 기간이 전환됨으로써 (n+1) 번째 행의 화소에 음의 전압의 화상 신호를 데이터선 구동 회로(903)로부터 제 2 데이터선(906B)을 통하여 공급하게 된다.
도 11c에서의 임의의 일렬의 데이터선 전압에 관해서, 도 10e와 같이 하여, 세로축을 전압(V), 가로축을 시간(T)으로 하여 도 11d에 도시한다. 도 11d에서는 특히, 영역(907B)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제 2 데이터선(906B)의 전압에 관해서 도시한다. 또한 영역(907A)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제 1 데이터선(906A)의 전압에 관해서는, 도 10e와 같다.
도 11d에서 영역(907B)의 2n번째 행의 화소에 양의 전압의 화상 신호를 공급한 후, (n+1)번째 행의 화소에 음의 전압의 화상 신호를 공급할 때, 도 10e와 같이, 도 11d 중 「ΔV」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전압의 변화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점선(922)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액정 표시 장치 대형화, 고속 동작화가 진행되는 경우, 상기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한 영역이 현저하게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도 11d가 도 10e와 상이한 점은,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해지는 (n+1)번째 행의 화소가 화소부(901)의 중앙 부근인 점에 있다. 이로 인해 프레임 기간의 전환에 있어서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한 경우에 표시 불량으로서 시인되어 버린다. 또한 도 10e의 경우와 달리 상기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한 영역은 (n+1) 번째 행의 화소이기 때문에, (n+1)번째 행에는 더미의 화소를 형성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상기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한 영역을 시인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어려우며, 표시 불량으로서 시인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화소의 열마다 형성된 복수의 데이터선에 의해 상이한 영역으로 반전 구동을 행하기 위한 화상 신호를 동일한 타이밍으로 공급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선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한 것에 의한 표시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양의 전압을 액정에 인가하는 제 1 화상 신호를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을 통하여 화소에 공급하는 제 1 기간과, 주사선에 의해 화소를 비선택으로 하고 1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음의 전압을 액정에 인가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1 데이터선에 공급하고, 또한 제 (n+1) 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음의 전압을 액정에 인가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2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제 2 기간과, 음의 전압을 액정에 인가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을 통하여 화소에 공급하는 제 3 기간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양의 전압을 액정에 인가하기 위한 제 1 화상 신호, 및 음의 전압을 액정에 인가하기 위한 제 2 화상 신호가 화소의 열마다 형성된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에 의해 공급되고, 제 1 번째 행 내지 제 n 번째 행(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제 1 데이터선에 의한 제 1 번째 행 내지 제 n 번째 행의 화소로의 제 1 화상 신호 또는 제 2 화상 신호의 공급과, 제 (n+1) 번째 행 내지 제 2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제 2 데이터선에 의한 제 (n+1) 번째 행 내지 제 2n 번째 행의 화소로의 제 1 화상 신호 또는 제 2 화상 신호의 공급을 동시에 행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제 1 번째 행 내지 제 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 및 제 (n+1) 번째 행 내지 제 2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에 의해 화소를 선택하고,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에 의해 제 1 화상 신호를 화소에 공급하는 제 1 기간과, 제 1 번째 행 내지 제 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 및 제 (n+1) 번째 행 내지 제 2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에 의해 화소를 비선택으로 하고, 제 1 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1 데이터선에 공급하고, 또한 제 (n+1) 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2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제 2 기간과, 제 1 번째 행 내지 제 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 및 제 (n+1) 번째 행 내지 제 2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에 의해 화소를 선택하고,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에 의해 제 2 화상 신호를 화소에 공급하는 제 3 기간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제 1 기간과 제 3 기간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기간은, 제 1 번째 행 내지 제 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 및 제 (n+1) 번째 행 내지 제 2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에 의해 화소를 비선택으로 하고, 제 1 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1 데이터선에 공급하고, 또한 제 (n+1) 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2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동작을 복수회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양의 전압을 액정에 인가하기 위한 제 1 화상 신호, 및 음의 전압을 액정에 인가하기 위한 제 2 화상 신호가 화소의 열마다 형성된 제 1 데이터선 내지 제 3 데이터선에 의해 공급되고, 제 1 번째 행 내지 제 n 번째 행(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제 1 데이터선에 의한 제 1 번째 행 내지 제 n 번째 행의 화소로의 제 1 화상 신호 또는 제 2 화상 신호의 공급과, 제 (n+1) 번째 행 내지 제 2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제 2 데이터선에 의한 제 (n+1) 번째 행 내지 제 2n 번째 행의 화소로의 제 1 화상 신호 또는 제 2 화상 신호의 공급과, 제 (2n+1) 번째 행 내지 제 3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제 3 데이터선에 의한 제 (2n+1) 번째 행 내지 제 3n 번째 행의 화소로의 제 1 화상 신호 또는 제 2 화상 신호의 공급을 동시에 행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제 1 번째 행 내지 제 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 제 (n+1) 번째 행 내지 제 2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 및 제 (2n+1) 번째 행 내지 제 3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에 의해 화소를 선택하고, 제 1 데이터선 내지 제 3 데이터선에 의해 제 1 화상 신호를 화소에 공급하는 제 1 기간과, 제 1 번째 행 내지 제 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 제 (n+1) 번째 행 내지 제 2n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 및 제 (2n+1) 번째 행 내지 제 3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에 의해 화소를 비선택으로 하고, 제 1 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1 데이터선에 공급하고, 또한 제 (n+1) 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2 데이터선에 공급하고, 또한 제 (2n+1) 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3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제 2 기간과, 제 1 번째 행 내지 제 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 제 (n+1) 번째 행 내지 제 2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 및 제 (2n+1) 번째 행 내지 제 3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에 의해 화소를 선택하고, 제 1 데이터선 내지 제 3 데이터선에 의해 제 2 화상 신호를 화소에 공급하는 제 3 기간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제 1 기간 또는 제 3 기간에 있어서의 제 1 화상 신호 또는 제 2 화상 신호의 공급후에, 백 라이트의 광원을 점등하는 기간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백 라이트의 광원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광원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제 1 번째 행 내지 제 n 번째 행의 화소, 제 (n+1) 번째 행 내지 제 2n 번째 행의 화소 및 제 (2n+1) 번째 행 내지 제 3n 번째 행의 화소에는 상이한 색의 광원에 기초하는 화상 신호가 공급되는 것인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제 1 기간과 제 3 기간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기간은, 제 1 번째 행 내지 제 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 제 (n+1) 번째 행 내지 제 2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 및 제 (2n+1) 번째 행 내지 제 3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에 의해 화소를 비선택으로 하고, 제 1 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1 데이터선에 공급하고, 또한 제 (n+1) 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2 데이터선에 공급하고, 또한 제 (2n+1) 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3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동작을 복수회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화소의 열마다 형성된 복수의 데이터선에 의해 상이한 영역에 반전 구동을 행하기 위한 화상 신호를 동일한 타이밍으로 공급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표시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실시형태 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실시형태 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실시형태 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실시형태 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실시형태 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실시형태 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실시형태 3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실시형태 4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형태의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의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취지 및 그 범위에서 일탈하지 않고 그 형태 및 상세를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동일한 것을 지시하는 부호는 상이한 도면간에 있어서 공통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형태의 도면 등에 있어서 나타내는 각 구성의 크기, 층의 두께, 신호 파형은, 명료화를 위해 과장되어 표기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반드시 그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제 1, 제 2, 제 3, 내지 제 n(n은 자연수)이라는 용어는, 구성 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붙인 것이며, 수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닌 것을 부기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이한 화상 신호를 동일한 열에 형성된 화소에 동일한 타이밍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데이터선으로서,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의 2개를 구비하는 구성을 일례로 하여 설명을 한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은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을 통하여 반전 구동을 행하는 화상 신호인, 양의 전압을 액정에 인가하기 위한 화상 신호(이하, 제 1 화상 신호라고 한다)를 화소에 공급하는 기간 및 음의 전압을 액정에 인가하기 위한 화상 신호(이하, 제 2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기간이 교대로 형성되는 프레임 기간을 사용한다. 또한 제 1 화상 신호가 화소에 공급되는 기간(이하, 제 1 기간이라고 한다)과 제 2 화상 신호가 화소에 공급되는 기간(이하, 제 3 기간이라고 한다) 사이에는, 제 1 기간과 제 3 기간의 전환에 있어서의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의 바람직한 전압의 변화를 확실하게 행하기 위한 블랭크 기간(이하, 제 2 기간이라고 한다)을 갖는 것이다.
또한 제 1 기간 및 제 3 기간에 있어서, 화상 신호가 데이터선을 통하여 화소에 공급되는 것을, 화상 신호를 화소에 기록한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제 2 기간에 있어서, 화상 신호가 데이터선에 공급되고, 또한 화소를 주사선에 의해 비선택으로 함으로써 데이터선의 상기 화상 신호가 화소에 공급되지 않는 것을, 화상 신호를 데이터선에 기록한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화소란, 1개의 색 요소(예를 들면 R(적색)G(녹색)B(청색) 중 어느 하나)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표시 단위에 상당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컬러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컬러 화상의 최소 표시 단위는, R의 화소와 G의 화소와 B의 화소의 3화소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단, 컬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색 요소는, 3색에 한정되지 않고, 3색 이상을 사용해도 좋고, RGB 이외의 색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전압이란, 어떤 전위와, 기준의 전위(예를 들면 그라운드 전위)의 전위차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압을 전위, 전위차라고 바꿔 말할 수 있다.
도 1a는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부에 있어서의 화상 신호의 공급의 개념도에 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1a에서는, 화상 신호의 화소로의 공급이 제 1 기간(도면 중, Tp) 및 제 3 기간(도면 중, Tn)에 의해, 제 2 기간(도면 중, Tb)을 사이에 개재하여 교대로 이루어지는 모양에 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1a에서는 가로축을 시간(T)으로 하고, 제 1 기간 및 제 3 기간에서의 화소부 영역(100A)의 1번째 행으로부터 n번째 행까지의 화상 신호의 화소로의 공급을 화살표(101A), 영역(100B)의 (n+1)번째 행으로부터 2n번째 행까지의 화상 신호의 화소로의 공급을 화살표(101B)로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a에 있어서의 화살표(101A) 및 화살표(101B)는 제 1 기간 및 제 3 기간에서의 영역(100A)과 영역(100B)에 있어서, 화상 신호를 동일한 타이밍으로 각 화소에 공급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영역(100A)과 영역(100B)을 모두 n행의 화소를 갖는 구성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영역마다 상이한 행수의 화소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1a에 도시하는 제 1 기간에서는, 화소부 영역(100A)에 있어서 제 1 번째 행 내지 제 n 번째 행의 화소 중에서 주사선에 의해 화소를 선택하고, 제 1 데이터선을 통하여 제 1 화상 신호를 상기 화소에 공급한다. 또한, 도 1a에 도시하는 제 1 기간에서는, 화소부 영역(100B)에 있어서 제 (n+1) 번째 행 내지 제 2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에 의해 화소를 선택하고, 제 2 데이터선을 통하여 제 1 화상 신호를 상기 화소에 공급한다.
도 1a에 도시하는 제 3 기간에서는, 제 1 기간(Tp)과 같이, 화소부 영역(100A)에 있어서 제 1 번째 행 내지 제 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에 의해 화소를 선택하고, 제 1 데이터선을 통하여 제 2 화상 신호를 상기 화소에 공급한다. 또한, 도 1a에 도시하는 제 3 기간에서는, 화소부 영역(100B)에 있어서 제 (n+1) 번째 행 내지 제 2n 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주사선에 의해 화소를 선택하고, 제 2 데이터선을 통하여 제 2 화상 신호를 상기 화소에 공급한다.
또한 도 1a에서는, 제 2 기간에서의 화소부 영역(100A)의 화상 신호의 제 1 데이터선으로의 공급을 점선 화살표(102A), 영역(100B)의 화상 신호의 제 2 데이터선으로의 공급을 점선 화살표(102B)로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a에 있어서의 점선 화살표(102A) 및 점선 화살표(102B)는, 제 2 기간에서의 영역(100A)과 영역(100B)에 있어서, 화상 신호를 동일한 타이밍으로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기간과 제 3 기간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기간에 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제 1 기간(Tp), 이어서 제 2 기간(Tb), 이어서 제 3 기간(Tn)의 순으로 구동하는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다른 구성으로서, 제 3 기간(Tn), 제 2 기간(Tb), 이어서 제 1 기간(Tp)의 순으로 구동하는 경우라도 좋다. 이 경우, 적절히 입력하는 화상 신호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 등에 의해 같은 구동으로 할 수 있다.
도 1b는, 상기 도 1a에서의 제 1 기간(Tp), 제 2 기간(Tb), 제 3 기간(Tn)에 있어서의, 데이터선으로의 화상 신호의 공급, 및 화소에 공급되는 화상 신호의 양 또는 음의 전압의 극성에 관해서 가시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b는 프레임 반전 구동을 행하기 위한 제 1 화상 신호의 전압을 「+」, 제 2 화상 신호의 전압을 「-」으로 나타냈을 때의, 프레임 기간이 전환되는 기간의 모식도가 된다.
도 1b에서는 제 1 기간(Tp)에 있어서의, 제 1 데이터선(104A)에 n번째 행의 화소(106)의 제 1 화상 신호, 및 제 2 데이터선(104B)에 2n번째 행의 화소(106)의 제 1 화상 신호가 데이터선 구동 회로(103)로부터 공급되고, n번째 행 및 2n번째 행의 화소가 주사선(105)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화소(106)에 공급되는 기간에 있어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b에서는, 제 1 데이터선(104A)을 통하여 n번째 행의 화소(106)에 공급되는 제 1 화상 신호를 점선 화살표(107A)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b에서는, 제 2 데이터선(104B)을 통하여 2n번째 행의 화소(106)에 공급되는 제 1 화상 신호를 점선 화살표(107B)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b에서는 제 1 기간(Tp) 뒤의 제 2 기간(Tb)에 있어서의, 제 1 데이터선(104A)에 제 3 기간(Tn)에서 1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하는 제 2 화상 신호, 및 제 2 데이터선(104B)에 (n+1) 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하는 제 2 화상 신호가 데이터선 구동 회로(103)에 의해 공급되고, 모든 행의 주사선을 비선택으로 함으로써 화소(106)에 공급되지 않는 기간에 있어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b에서는, 제 1 데이터선(104A)에 공급되는 1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점선 화살표(108A)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b에서는, 제 2 데이터선(104B)에 공급되는 (n+1)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하는 제 1 화상 신호를 점선 화살표(108B)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b에서는 제 2 기간(Tb)뒤의 제 3 기간(Tn)에 있어서의, 제 1 데이터선(104A)에 1번째 행의 화소(106)의 제 2 화상 신호, 및 제 2 데이터선(104B)에 (n+1) 번째 행의 화소(106)의 제 2 화상 신호가 데이터선 구동 회로(103)로부터 공급되고, 1번째 행 및 (n+1)번째 행의 화소가 주사선(105)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화소(106)에 공급되는 기간에 있어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b에서는, 제 1 데이터선(104A)을 통하여 1번째 행의 화소(106)에 공급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점선 화살표(109A)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b에서는, 제 2 데이터선(104B)을 통하여 (n+1) 번째 행의 화소(106)에 공급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점선 화살표(109B)로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도 1b에서의 제 1 기간 내지 제 3 기간에서의 임의의 일렬의 제 1 데이터선(104A)의 전압에 관해서, 세로축을 전압(V), 가로축을 시간(T)으로 하여 도 1c에 도시한다. 또한 도 1c에 도시하는 「V+」은 액정에 양의 전압을 인가할 때의 최대 전압, 「Vcom」은 대향 전극에 인가하는 공통 전압, 「V-」은 액정에 음의 전압을 인가할 때의 최소 전압이 된다.
도 1c의 제 1 기간(Tp)에서는, 우선 1번째 행의 화소에 제 1 화상 신호를 기록하고, 그 후 순차적으로 2번째 행 내지 n번째 행의 화소에 제 1 화상 신호를 공급한다. 이어서 도 1c의 제 2 기간(Tb)에서는, 제 3 기간(Tn)에서 1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1 데이터선에 공급한다. 이어서 도 1c의 제 3 기간(Tn)에서는, 1번째 행의 화소에 의해 제 2 화상 신호를 기록하고, 그 후 순차적으로 2번째 행 내지 n번째 행의 화소에 제 2 화상 신호를 공급한다.
도 1c에서의 제 1 기간 내지 제 3 기간의 전압의 변화는, 제 1 기간과 제 3 기간에서는, 특히 1번째 행의 화소에 제 2 화상 신호를 공급할 때, 도 1c 중 「ΔV」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전압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미리 제 3 기간(Tn)에서 1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1 데이터선에 공급해 두는 제 2 기간을 마련하고, 점선(11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압의 변화를 제 3 기간 전에 발생시켜 둔다. 그 결과, 도 1c의 제 3 기간(Tn)에서는, 미리 제 1 데이터선이 음의 전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1번째 행의 화소로부터 제 2 화상 신호를 공급할 때에 제 1 데이터선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한 것에 의한 표시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c와 같이 하여 도 1b에서의 임의의 일렬의 제 2 데이터선(104B)의 전압에 관해서, 세로축을 전압(V), 가로축을 시간(T)으로 하여 도 1d에 도시한다. 또한 도 1c와 같이, 도 1d에 도시하는 「V+」은 액정에 양의 전압을 인가할 때의 최대 전압, 「Vcom」은 대향 전극에 인가하는 공통 전압, 「V-」은 액정에 음의 전압을 인가할 때의 최소 전압이 된다.
도 1d의 제 1 기간(Tp)에서는, 우선 (n+1) 번째 행 내지 2n번째 행의 화소에 제 1 화상 신호를 기록하고, 그 후 순차적으로 (n+2)번째 행 내지 2n번째 행의 화소에 제 1 화상 신호를 공급한다. 이어서 도 1d의 제 2 기간(Tb)에서는, 제 3 기간(Tn)에서 (n+1) 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2 데이터선에 공급한다. 이어서 도 1d의 제 3 기간(Tn)에서는, (n+1)번째 행의 화소에 의해 제 2 화상 신호를 기록하고, 그 후 순차적으로 (n+2)번째 행 내지 2n번째 행의 화소에 제 2 화상 신호를 공급한다.
도 1d에서의 제 1 기간 내지 제 3 기간의 전압의 변화는, 제 1 기간과 제 3 기간에서는, 특히 (n+1) 번째 행의 화소에 제 2 화상 신호를 공급할 때, 도 1d 중 「ΔV」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전압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미리 제 3 기간(Tn)에서 (n+1) 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2 데이터선에 공급해 두는 제 2 기간을 마련하고, 점선(111)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압의 변화를 제 3 기간 전에 발생시켜 둔다. 그 결과, 도 1d의 제 3 기간(Tn)에서는, 미리 제 2 데이터선이 음의 전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n+1)번째 행의 화소로부터 제 2 화상 신호를 공급할 때에 제 2 데이터선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한 것에 의한 표시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c 및 도 1d에서는, 제 3 기간에서 1번째 행 및 (n+1)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하는 제 2 화상 신호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해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화소부의 중앙 부근이 되는 (n+1)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제 2 데이터선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해질 때에 효과적이다. 즉, 화소부의 중앙 부근이 되는 (n+1)번째 행의 화소는 특히, 시인할 때에 표시 불량을 시인하기 쉽고, 또한 더미의 화소를 형성하는 것도 어려운 개소가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표시 불량을 저감시키는 것의 효과가 크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구성은, 액정 표시 장치의 대형화, 고속 동작화가 진행되는 경우, 상기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한 영역이 현저하게 나타나게 된다. 이로 인해, 특히 대형의 액정 표시 장치, 고속 동작이 요구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특히 효과가 크다.
계속해서, 도 1a에서 도시한 영역(100A) 및 영역(100B)을 갖는 화소부의 상세에 관해서 도 2a 내지 도 2d로 설명한다.
도 2a는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에 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2a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의 열마다 형성되는 데이터선을 2개로 하고, 2개의 데이터선으로부터 동일한 열에 형성된 화소에 상이한 화상 신호를 동일한 타이밍으로 공급하는 경우의 구성에 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2a에는 화소부(201)와, 주사선 구동 회로(202)와, 데이터선 구동 회로(203)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주사선 구동 회로(202)는 2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행마다 형성된 주사선(204)에 의해 화소(205)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공급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203)는, m개의 열마다 형성된 제 1 데이터선(206A) 및 m개의 열마다 형성된 제 2 데이터선(206B)에 의해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화소부(201)는 2개의 영역(영역(100A) 및 영역(100B))으로 분할되고, 영역마다 매트릭스상(n행 m열)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것이 된다.
또한, 각 주사선(204)은 화소부(201)에 있어서 매트릭스상(2n행 m열)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205) 중, 어느 하나의 행에 배치된 m개의 화소에 접속된다. 또한, 각 제 1 데이터선(206A)은 영역(100A)에 있어서 매트릭스상(n행 m열)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205) 중, 어느 하나의 열에 배치된 n개의 화소에 접속된다. 또한, 각 제 2 데이터선(206B)은 영역(100B)에 있어서 매트릭스상(n행 m열)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205) 중, 어느 하나의 열에 배치된 n개의 화소에 접속된다.
도 2b는 화소(205)로의 화상 신호의 공급의 순서에 관해서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b에서는 화살표(21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번째 행의 화소를 주사선(204)으로 선택하여 1번째 열 내지 m번째 열의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해 가고, n번째 행의 화소를 주사선(204)으로 선택하여 1번째 열 내지 m번째 열의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영역(100A)의 모든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영역(100A)으로의 화상 신호의 공급과 동시에, 도 2b에서는 화살표(21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n+1)번째 행의 화소를 주사선(204)으로 선택하여 1번째 열 내지 m번째 열의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고, 2n번째 행의 화소를 주사선(204)으로 선택하여 1번째 열 내지 m번째 열의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영역(100B)의 모든 화소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1 프레임 기간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영역(100A) 및 영역(100B)의 각 화소로의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c 및 도 2d는 화소(205)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c는 도 2a의 영역(100A)에 배치된 화소(205)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d는 도 2a의 영역(100B)에 배치된 화소(205)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c에 도시하는 화소(205A)는 게이트 단자가 주사선(204)에 접속되고, 소스 및 드레인의 한쪽 단자가 제 1 데이터선(206A)에 접속된 트랜지스터(221)와, 한쪽 전극이 트랜지스터(221)의 소스 및 드레인의 다른쪽 단자에 접속되고, 다른쪽 전극이 용량선에 접속된 용량 소자(222)와, 한쪽 전극(화소 전극)이 트랜지스터(221)의 소스 및 드레인의 다른쪽 단자 및 용량 소자(222)의 한쪽 전극에 접속되고, 다른쪽 전극(대향 전극)이 공통 전압을 공급하는 배선에 접속된 액정 소자(223)를 가진다.
도 2d에 도시하는 화소(205B)도 회로 구성 자체는, 도 2c에 도시하는 화소(205A)와 동일하다. 단, 도 2d에 도시하는 화소(205B)에서는, 트랜지스터(231)의 소스 및 드레인의 한쪽이 제 1 데이터선(206A)이 아니라 제 2 데이터선(206B)에 접속되는 점이 도 2c에 도시하는 화소(205A)와 상이하다.
또한, 트랜지스터는 게이트와, 드레인과, 소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세개의 단자를 갖는 소자이며, 드레인 영역과 소스 영역 사이에 채널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드레인 영역과 채널 영역과 소스 영역을 통하여 전류를 흘려 보낼 수 있다. 여기에서, 소스와 드레인은, 트랜지스터의 구조나 동작 조건 등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가 소스 또는 드레인인지를 한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소스 및 드레인으로서 기능하는 영역을, 소스 또는 드레인이라고 부르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일례로서는, 각각을 한쪽 단자, 다른쪽 단자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또는, 각각을 제 1 전극(단자), 제 2 전극(단자)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또는,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또는, 소스 단자, 드레인 단자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화소에 형성하는 트랜지스터의 구조에 관해서는 역스태거형의 구조라도 좋고, 순스태거형의 구조라도 좋다. 또는, 채널 영역이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직렬로 접속된, 더블 게이트형의 구조라도 좋다. 또는, 게이트 전극이 채널 영역의 상하에 형성된 듀얼 게이트형의 구조라도 좋다. 또한,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반도체층을 복수의 섬 형상의 반도체층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스위칭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 소자로 해도 좋다.
계속해서, 도 1a 내지 도 1d에서 설명한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에 공급되는 제 1 화상 신호 또는 제 2 화상 신호와, 주사선의 행이 선택되는 모양에 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에 공급되는 화상 신호가 주사선의 선택으로 선택된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지, 공급되지 않는지에 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도시하는 것이다.
도 3a에는, 제 1 기간(Tp), 제 2 기간(Tb) 및 제 3 기간(Tn)에서의 주사선의 선택, 제 1 데이터선의 화상 신호 및 제 2 데이터선의 화상 신호에 관해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a에서 도시하는 주사선의 선택은, 상단이 상기 도 1a 내지 도 1d에서 설명한 화소부에 있어서의 영역(100A), 하단이 상기 도 1a 내지 도 1d에서 설명한 화소부에 있어서의 영역(100B)에 상당한다. 또한 도 3a에서 도시하는 주사선의 선택에서는, 기간마다 선택하는 주사선의 행, 및 제 2 기간(Tb)에서 주사선을 비선택으로 하는 것에 관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a에서 도시하는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은, 주사선의 선택 또는 비선택에 따라, 제 1 데이터선에 공급되는 각 행의 화상 신호 및 제 2 데이터선에 공급되는 각 행의 화상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1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화상 신호이면 D(1)로 나타내고, n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되는 화상 신호이면 D(n)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은 액정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1 화상 신호, 「-」은 액정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2 화상 신호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a 내지 도 1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기간(Tp)에서는, 1번째 행의 화소에 제 1 화상 신호를 기록하고, 그 후 순차적으로 2번째 행 내지 n번째 행의 화소에 제 1 화상 신호를 공급한다. 이어서 제 2 기간(Tb)에서는, 제 3 기간(Tn)에서 1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1 데이터선에 공급한다. 이어서 제 3 기간(Tn)에서는, 1번째 행의 화소에 의해 제 2 화상 신호를 기록하고, 그 후 순차적으로 2번째 행 내지 n번째 행의 화소에 제 2 화상 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제 1 기간(Tp)에서는, (n+1)번째 행의 화소에 양의 전압을 기록하고, 그 후 순차적으로 (n+2)번째 행 내지 2n번째 행의 화소에 제 1 화상 신호를 공급한다. 이어서 도 1d의 제 2 기간(Tb)에서는, 제 3 기간(Tn)에서 (n+1) 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2 데이터선에 공급한다. 이어서 도 1d의 제 3 기간(Tn)에서는, (n+1)번째 행의 화소에 의해 제 2 화상 신호를 기록하고, 그 후 순차적으로 (n+2)번째 행 내지 2n번째 행의 화소에 제 2 화상 신호를 공급한다.
제 1 기간 내지 제 3 기간의 전압의 변화는, 제 1 기간과 제 3 기간에서는, 특히 1번째 행 및 (n+1)번째 행의 화소에 제 2 화상 신호를 공급할 때, 큰 전압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미리 제 3 기간(Tn)에서 1번째 행 및 (n+1)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하는 제 2 화상 신호를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에 공급해 두는 제 2 기간을 마련하고, 전압의 변화를 제 3 기간 전에 발생시켜 둔다. 그 결과, 제 3 기간(Tn)에서는, 미리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이 음의 전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1번째 행 및 (n+1)번째 행의 화소로부터 제 2 화상 신호를 공급할 때에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한 것에 의한 표시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a에서 도시한 제 2 기간은, 길이를 가변하는 기간이라도 좋고,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한 화상 신호를 복수회,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2 기간에 있어서, 확실하게 제 3 기간 전에 제 1 데이터선 및 제 2 데이터선의 전압의 변화를 제 2 기간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구성에서는, 제 3 기간에서 1번째 행 및 (n+1)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하는 제 2 화상 신호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화소부의 중앙 부근이 되는 (n+1)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제 2 데이터선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해질 때에 효과적이며, 시인할 때의 표시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에 기재한 구성과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구동 방법을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 필드 시퀀셜 방식의 표시를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들어 도 4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예>
도 4a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부(30)와, 주사선 구동 회로(31)와, 데이터선 구동 회로(32)와, 각각이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주사선 구동 회로(31)에 의해 전위가 제어되는 3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주사선(33)과, 각각이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데이터선 구동 회로(32)에 의해 전위가 제어되는, m개(m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제 1 데이터선(341), m개의 제 2 데이터선(342), 및 m개의 제 3 데이터선(343)을 가진다.
또한, 화소부(30)는 3개의 영역(영역(301) 내지 영역(303))으로 분할되고, 영역마다 매트릭스상(n행 m열)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가진다. 또한, 각 주사선(33)은 화소부(30)에 있어서 매트릭스상(3n행 m열)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 중, 어느 하나의 행에 배치된 m개의 화소에 접속된다. 또한, 각 제 1 데이터선(341)은, 영역(301)에 있어서 매트릭스상(n행 m열)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351) 중, 어느 하나의 열에 배치된 n개의 화소에 접속된다. 또한, 각 제 2 데이터선(342)은 영역(302)에 있어서 매트릭스상(n행 m열)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352) 중, 어느 하나의 열에 배치된 n개의 화소에 접속된다. 또한, 각 제 3 데이터선(343)은 영역(303)에 있어서 매트릭스상(n행 m열)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353) 중, 어느 하나의 열에 배치된 n개의 화소에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영역(301) 내지 영역(303)을 모두 n행의 화소를 갖는 구성으로서 설명하지만, 영역마다 상이한 행수의 화소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주사선 구동 회로(31)에는, 외부로부터 주사선 구동 회로용 스타트 신호(GSP), 주사선 구동 회로용 클록 신호(GCK), 및 고전원 전위, 저전원 전위 등의 구동용 전원이 입력된다. 또한, 데이터선 구동 회로(32)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선 구동 회로용 스타트 신호(SSP), 데이터선 구동 회로용 클록 신호(SCK), 화상 신호(data1 내지 data3) 등의 신호, 및 고전원 전위, 저전원 전위 등의 구동용 전원이 입력된다.
도 4b 내지 도 4d는 화소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4b는 영역(301)에 배치된 화소(351)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c는 영역(302)에 배치된 화소(352)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d는 영역(303)에 배치된 화소(353)의 회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하는 화소(351)는 게이트 단자가 주사선(33)에 접속되고, 소스 및 드레인의 한쪽 단자가 제 1 데이터선(341)에 접속된 트랜지스터(3511)와, 한쪽 전극이 트랜지스터(3511)의 소스 및 드레인의 다른쪽 단자에 접속되고, 다른쪽 전극이 용량선에 접속된 용량 소자(3512)와, 한쪽 전극(화소 전극)이 트랜지스터(3511)의 소스 및 드레인의 다른쪽 단자 및 용량 소자(3512)의 한쪽 전극에 접속되고, 다른쪽 전극(대향 전극)이 대향 전위를 공급하는 배선에 접속된 액정 소자(3514)를 가진다.
도 4c에 도시하는 화소(352) 및 도 4d에 도시하는 화소(353)도 회로 구성 자체는, 도 4b에 도시하는 화소(351)와 동일하다. 단, 도 4c에 도시하는 화소(352)에서는, 트랜지스터(3521)의 소스 및 드레인의 한쪽이 제 1 데이터선(341)이 아니라 제 2 데이터선(342)에 접속되는 점이 도 4b에 도시하는 화소(351)와 상이하며, 도 4d에 도시하는 화소(353)에서는, 트랜지스터(3531)의 소스 및 드레인의 한쪽이 제 1 데이터선(341)이 아니라 제 3 데이터선(343)에 접속되는 점이 도 4b에 도시하는 화소(351)와 상이하다.
<주사선 구동 회로(31)의 구성예>
도 5a는 도 4a에 도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갖는 주사선 구동 회로(3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31)는, n개의 출력 단자를 갖는 시프트 레지스터(311) 내지 시프트 레지스터(313)를 가진다. 또한, 시프트 레지스터(311)가 갖는 출력 단자의 각각은, 영역(301)에 배치된 n개의 주사선(33)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시프트 레지스터(312)가 갖는 출력 단자의 각각은, 영역(302)에 배치된 n개의 주사선(33)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시프트 레지스터(313)가 갖는 출력 단자의 각각은, 영역(303)에 배치된 n개의 주사선(33)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다. 즉, 시프트 레지스터(311)는 영역(301)에 있어서 주사 신호(선택 신호)를 공급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이며, 시프트 레지스터(312)는 영역(302)에 있어서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이며, 시프트 레지스터(313)는, 영역(303)에 있어서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이다. 구체적으로는, 시프트 레지스터(31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주사선 구동 회로용 스타트 펄스 신호(GSP)를 계기로 하여, 1번째 행에 배치된 주사선(33)을 기점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주사 신호를 시프트(주사선(33)을 주사선 구동 회로용 클록 신호(GCK) 1/2주기 마다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기능을 가진다. 시프트 레지스터(312)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주사선 구동 회로용 스타트 펄스 신호(GSP)를 계기로 하여, n+1번째 행에 배치된 주사선(33)을 기점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주사 신호를 시프트하는 기능을 가진다. 시프트 레지스터(313)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주사선 구동 회로용 스타트 펄스 신호(GSP)를 계기로 하여, 2n+1번째 행에 배치된 주사선(33)을 기점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주사 신호를 시프트하는 기능을 가진다.
<주사선 구동 회로(31)의 동작예>
상기한 주사선 구동 회로(31)의 동작예에 관해서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b에는 주사선 구동 회로용 클록 신호(GCK), 시프트 레지스터(311)가 갖는 n개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SR311out), 시프트 레지스터(312)가 갖는 n개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SR312out), 및 시프트 레지스터(313)가 갖는 n개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SR313out)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기간(Tp)에 있어서, 시프트 레지스터(311)에서는, 1번째 행에 배치된 주사선(33)을 기점으로 하여 n번째 행에 배치된 주사선(33)까지 하이 레벨의 전위가 1/2 클록 주기(수평 주사 기간)마다 순차적으로 시프트하고, 시프트 레지스터(312)에서는, n+1번째 행에 배치된 주사선(33)을 기점으로 하여 2n번째 행에 배치된 주사선(33)까지 하이 레벨의 전위가 1/2 클록 주기(수평 주사 기간)마다 순차적으로 시프트하고, 시프트 레지스터(313)에서는, 2n+1번째 행에 배치된 주사선(33)을 기점으로 하여 3n번째 행에 배치된 주사선(33)까지 하이 레벨의 전위가 1/2 클록 주기(수평 주사 기간)마다 순차적으로 시프트한다. 이로 인해, 주사선 구동 회로(31)는 주사선(33)을 통하여, 1번째 행에 배치된 m개의 화소(351)로부터 n번째 행에 배치된 m개의 화소(351)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동시에, n+1번째 행에 배치된 m개의 화소(352)로부터 2n번째 행에 배치된 m개의 화소(352)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2n+1번째 행에 배치된 m개의 화소(353)로부터 3n번째 행에 배치된 m개의 화소(353)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게 된다. 즉, 주사선 구동 회로(31)는 수평 주사 기간마다 상이한 3행에 배치된 3m개의 화소에 대해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기간(Tb)에 있어서, 주사선 구동 회로용 클록 신호(GCK), 주사선 구동 회로용 스타트 신호(도시하지 않음)의 주사선 구동 회로(31)로의 입력을 정지함으로써, 주사선 구동 회로(31)의 하이 레벨의 전위를 순차적으로 시프트시켜 출력하는 주사 신호를 정지한다. 또한 제 3 기간(Tn)에 있어서, 시프트 레지스터(311) 내지 시프트 레지스터(313)의 동작은, 제 1 기간(Tp)과 동일하다. 즉, 주사선 구동 회로(31)는 제 1 기간(Tp)과 같이, 수평 주사 기간마다 특정한 3행에 배치된 3m개의 화소에 대해 주사 신호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2 기간(Tb)에 있어서, 주사선 구동 회로용 클록 신호(GCK)의 주사선 구동 회로(31)로의 입력은, 정지하지 않아도 좋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32)의 구성예>
도 6a는 도 4a에 도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갖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32)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하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32)은, m개의 출력 단자를 갖는 시프트 레지스터(320)와, m개의 트랜지스터(321)와, m개의 트랜지스터(322)와, m개의 트랜지스터(323)를 가진다. 또한, 트랜지스터(321)의 게이트 단자는, 시프트 레지스터(320)가 갖는 j번째(j는, 1 이상 m 이하의 자연수)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소스 및 드레인의 한쪽 단자가 제 1 순서의 화상 신호(data1)를 공급하는 배선에 접속되고, 소스 및 드레인의 다른쪽 단자가 화소부(30)에 있어서 j번째 열에 배치된 제 1 데이터선(341)에 접속된다. 또한, 트랜지스터(322)의 게이트 단자는, 시프트 레지스터(320)가 갖는 j번째(j는, 1 이상 m 이하의 자연수)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소스 및 드레인의 한쪽 단자가 제 2 순서의 화상 신호(data2)를 공급하는 배선에 접속되고, 소스 및 드레인의 다른쪽 단자가 화소부(30)에 있어서 j번째 열에 배치된 제 2 데이터선(342)에 접속된다. 또한, 트랜지스터(323)의 게이트 단자는, 시프트 레지스터(320)가 갖는 j번째(j는, 1 이상 m 이하의 자연수)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소스 및 드레인의 한쪽 단자가 제 3 순서의 화상 신호(data3)를 공급하는 배선에 접속되고, 소스 및 드레인의 다른쪽 단자가 화소부(30)에 있어서 j번째 열에 배치된 제 3 데이터선(343)에 접속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 1 순서의 화상 신호(data1)는 적색(R)의 화상 신호(백 라이트가, 적색(R)을 점등할 때에 화소에 있어서 유지되는 화상 신호)를 제 1 데이터선(341)에 공급하고, 이어서 녹색(G)의 화상 신호를 제 1 데이터선(341)에 공급하고, 이어서 청색(B)의 화상 신호를 제 1 데이터선(341)에 공급한다. 또한, 제 2 순서의 화상 신호(data2)는, 청색(B)의 화상 신호를 제 2 데이터선(342)에 공급하고, 이어서 적색(R)의 화상 신호를 제 2 데이터선(342)에 공급하고, 이어서 녹색(G)의 화상 신호를 제 2 데이터선(342)에 공급한다. 또한, 제 3 순서의 화상 신호(data3)는, 녹색(G)의 화상 신호를 제 3 데이터선(343)에 공급하고, 이어서 청색(B)의 화상 신호를 제 3 데이터선(343)에 공급하고, 이어서 적색(R)의 화상 신호를 제 3 데이터선(343)에 공급한다. 또한 제 1 순서의 화상 신호 내지 제 3 순서의 화상 신호(data1 내지 data3)는, 동일한 타이밍으로 행해짐으로써 서로 상이한 색에 대응한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것이 된다. 또한 제 1 순서의 화상 신호 내지 제 3 순서의 화상 신호(data1 내지 data3)는, 동일한 색에 대응한 화상 신호를 동일한 순서로 출력하는 것이라도 좋다.
<백 라이트의 구성예>
도 6b는 도 4a에 도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부(30)의 후방에 형성되는 백 라이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에 도시하는 백 라이트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3색을 나타내는 광원을 구비한 백 라이트 유닛(36)을 복수 가진다. 또한, 복수의 백 라이트 유닛(36)은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특정한 영역마다 점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3n행 m열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에 대한 백 라이트로서, 적어도 k행 m열마다(여기서는, k는, n/4이라고 한다)에 백 라이트 유닛(36)이 형성되고, 상기 백 라이트 유닛(36)의 점등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상기 백 라이트가 적어도 1번째 행 내지 k번째 행의 화소용 백 라이트 유닛 내지 2n+3k+1번째 행 내지 3n번째 행의 화소용 백 라이트 유닛을 가지며, 각각의 백 라이트 유닛의 점등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예>
도 7은 상기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주사 신호의 공급과, 백 라이트의 점등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제 1 기간(Tp)에 있어서, 1번째 행에 배치된 m개의 화소(351)로부터 n번째 행에 배치된 m개의 화소(351)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또한 n+1번째 행에 배치된 m개의 화소(352)로부터 2n번째 행에 배치된 m개의 화소(352)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또한 2n+1번째 행에 배치된 m개의 화소(353)로부터 3n번째 행에 배치된 m개의 화소(353)를 순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각 화소에 제 1 화상 신호를 입력한다. 이어서 제 2 기간(Tb)에 있어서 제 1 기간(Tp)에서 점등시킨 백 라이트의 점등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1번째 행 내지 3n번째 행의 주사선을 비선택으로 하여 제 1 데이터선 내지 제 3 데이터선에 제 3 기간(Tn)에서 1번째 행, (n+1)번째 행, 및 (2n+1)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하는 제 2 화상 신호를 공급해 둔다. 이어서 제 3 기간(Tn)에 있어서, 제 1 기간(Tp)과는 상이한 극성의 제 2 화상 신호를 각 화소에 입력해 간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주사 신호의 공급과, 백 라이트의 점등 타이밍은, 영역(1번째 행 내지 n번째 행, n+1번째 행 내지 2n번째 행, 및 2n+1번째 행 내지 3n번째 행)마다, 주사 신호의 주사와, 특정 색을 나타내는 백 라이트 유닛(적색(R), 녹색(G), 또는 청색(B))의 점등을 병행하여 행하는 타이밍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해서 >
본 실시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실시형태 1의 구동 방법의 구성을 적용하여 제 3 기간에서 1번째 행, (n+1)번째 행 및 (2n+1)번째 행의 화소에 공급하는 제 2 화상 신호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화소부의 중앙 부근이 되는 (n+1)번째 행 및 (2n+1)번째 행의 화소에 접속되는 제 2 데이터선 및 제 3 데이터선의 전압의 변화가 불충분해질 때에 효과적이며, 시인할 때의 표시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에 기재한 구성과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장치, 여기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가 갖는 화소의 평면도 및 단면도의 일례에 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표시 패널이 갖는 복수의 화소의 하나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는 도 8a의 일점 쇄선 A-B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8a에 있어서, 제 1 데이터선 내지 제 3 데이터선이 되는 배선층(소스 전극층(1201A) 내지 소스 전극층(1201C), 드레인 전극층(1202)을 포함한다)은, 도면 중 상하 방향(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주사선이 되는 배선층(게이트 전극층(1203)을 포함)은, 소스 전극층(1201A) 내지 소스 전극층(1201C)에 개략 직교하는 방향(도면 중 좌우 방향(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용량 배선층(1204)은 게이트 전극층(1203)에 개략 평행한 방향이며, 또한, 소스 전극층(1201A) 내지 소스 전극층(1201C)에 개략 직교하는 방향(도중 좌우 방향(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8a에 있어서, 표시 패널의 화소에는, 게이트 전극층(1203)을 갖는 트랜지스터(1205)가 형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205) 위에는, 절연막(1227), 절연막(1228), 및 층간막(1229)이 형성되어 있다.
도 8a, 도 8b에 도시하는 표시 패널의 화소는, 트랜지스터(1205)에 접속되는 제 1 전극층으로서 투명 전극층(1208)을 가진다. 트랜지스터(1205) 위의 절연막(1227), 절연막(1228), 및 층간막(1229)에는, 개구(콘택트 홀)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콘택트 홀)에 있어서, 투명 전극층(1208)과 트랜지스터(1205)가 접속되어 있다.
도 8a, 도 8b에 도시하는 트랜지스터(1205)는, 게이트 절연층(1212)을 개재하여 게이트 전극층(1203) 위에 배치된 반도체층(1206)을 가지며, 반도체층(1206)에 접하여 소스 전극층(1201A) 및 드레인 전극층(1202)을 가진다. 또한, 용량 배선층(1204), 게이트 절연층(1212), 및 드레인 전극층(1202)이 적층되어, 용량 소자(1207)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1205)가 형성되는 제 1 기판(1218)은, 액정층(1217)을 사이에 개재하여 제 2 기판(1219)과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8b에서는, 트랜지스터(1205)로서 보텀 게이트 구조의 역스태거형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절연층을 개재하여 게이트 전극층이 반도체층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 게이트 구조의 트랜지스터, 및, 게이트 절연층을 개재하여 게이트 전극층이 반도체층의 하측에 배치되는 보텀 게이트 구조의 스태거형 트랜지스터 및 플레이너(planar)형 트랜지스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에 기재한 구성과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4)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표시 장치는, 다양한 전자 기기(게임기도 포함)에 적용할 수 있다. 전자 기기로서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장치(텔레비전,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라고도 한다), 컴퓨터용 등의 모니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카메라, 디지털 포토 프레임, 휴대 전화기(휴대 전화, 휴대 전화 장치라고도 한다), 휴대형 게임기, 휴대 정보 단말, 음향 재생 장치, 파칭코기 등의 대형 게임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9a는 전자 서적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에 도시하는 전자 서적은, 케이스(1700) 및 케이스(1701)의 2개의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1700) 및 케이스(1701)는 경첩(1704)에 의해 일체로 되어 있고, 개폐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서적과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케이스(1700)에는 표시부(1702)가 내장되고, 케이스(1701)에는 표시부(1703)가 내장되어 있다. 표시부(1702) 및 표시부(1703)는, 연속 화면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상이한 화면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이한 화면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우측의 표시부(도 9a에서는 표시부(1702))에 문장을 표시하고, 좌측의 표시부(도 9a에서는 표시부(1703))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9a에서는, 케이스(1700)에 조작부 등을 구비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1700)는 전원 입력 단자(1705), 조작 키(1706), 스피커(1707) 등을 구비하고 있다. 조작 키(1706)에 의해, 페이지를 넘길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표시부와 동일면에 키보드나 포인팅 디바이스 등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케이스의 이면이나 측면에, 외부 접속용 단자(이어폰 단자, USB 단자, 및 USB 케이블 등의 각종 케이블과 접속 가능한 단자 등), 기록 매체 삽입부 등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9a에 도시하는 전자 서적은, 전자 사전으로서의 기능을 갖게 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9b는 표시 장치를 사용한 디지털 포토 프레임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9b에 도시하는 디지털 포토 프레임은, 케이스(1711)에 표시부(1712)가 내장되어 있다. 표시부(1712)는 각종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표시시킴으로써, 통상의 사진 액자와 같이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b에 도시하는 디지털 포토 프레임은, 조작부, 외부 접속용 단자(USB 단자, USB 케이블 등의 각종 케이블과 접속 가능한 단자 등), 기록 매체 삽입부 등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들 구성은, 표시부와 동일면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지만, 측면이나 이면에 구비하면 디자인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디지털 포토 프레임의 기록 매체 삽입부에,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 메모리를 삽입하여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1712)에 표시시킬 수 있다.
도 9c는 표시 장치를 사용한 텔레비전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9c에 도시하는 텔레비전 장치는, 케이스(1721)에 표시부(1722)가 내장되어 있다. 표시부(1722)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스탠드(1723)에 의해 케이스(1721)를 지지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표시부(1722)는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낸 표시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도 9c에 도시하는 텔레비전 장치의 조작은, 케이스(1721)가 구비하는 조작 스위치나, 별체의 리모트 컨트롤 조작기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조작기가 구비하는 조작 키에 의해, 채널이나 음량의 조작을 행할 수 있고, 표시부(1722)에 표시되는 영상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 조작기에, 상기 리모트 컨트롤 조작기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9d는 표시 장치를 사용한 휴대 전화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9d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는, 케이스(1731)에 내장된 표시부(1732) 외에, 조작 버튼(1733), 조작 버튼(1737), 외부 접속 포트(1734), 스피커(1735), 및 마이크(1736)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9d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는, 표시부(1732)가 터치 패널이 되고, 손가락 등의 접촉에 의해, 표시부(1732)의 표시 내용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전화의 발신, 또는 메일의 작성 등은, 표시부(1732)를 손가락 등으로 접촉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에 기재한 구성과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30 화소부 31 주사선 구동 회로
32 데이터선 구동 회로 33 주사선
36 백 라이트 유닛 100A 영역
100B 영역 101A 화살표
101B 화살표 102A 점선 화살표
102B 점선 화살표 103 데이터선 구동 회로
104A 제 1 데이터선 104B 제 2 데이터선
105 주사선 106 화소
107A 점선 화살표 107B 점선 화살표
108A 점선 화살표 108B 점선 화살표
109A 점선 화살표 109B 점선 화살표
110 점선 111 점선
201 화소부 202 주사선 구동 회로
203 데이터선 구동 회로 204 주사선
205 화소 205A 화소
205B 화소 206A 제 1 데이터선
206B 제 2 데이터선 211 화살표
212 화살표 221 트랜지스터
222 용량 소자 223 액정 소자
231 트랜지스터 301 영역
302 영역 303 영역
311 시프트 레지스터 312 시프트 레지스터
313 시프트 레지스터 320 시프트 레지스터
321 트랜지스터 322 트랜지스터
323 트랜지스터 341 제 1 데이터선
342 제 2 데이터선 343 제 3 데이터선
351 화소 352 화소
353 화소 901 화소부
902 주사선 구동 회로 903 데이터선 구동 회로
904 주사선 905 화소
906 데이터선 906A 제 1 데이터선
906B 제 2 데이터선 907A 영역
907B 영역 911 화살표
912 화살표 913 화살표
921 점선 922 점선
1201A 소스 전극층 1201B 소스 전극층
1201C 소스 전극층 1202 드레인 전극층
1203 게이트 전극층 1204 용량 배선층
1205 트랜지스터 1206 반도체층
1207 용량 소자 1208 투명 전극층
1212 게이트 절연층 1217 액정층
1218 기판 1219 기판
1227 절연막 1228 절연막
1229 층간막 1700 케이스
1701 케이스 1702 표시부
1703 표시부 1704 경첩
1705 전원 입력 단자 1706 조작 키
1707 스피커 1711 케이스
1712 표시부 1721 케이스
1722 표시부 1723 스탠드
1731 케이스 1732 표시부
1733 조작 버튼 1734 외부 접속 포트
1735 스피커 1736 마이크
1737 조작 버튼 3511 트랜지스터
3512 용량 소자 3514 액정 소자
3521 트랜지스터 3531 트랜지스터

Claims (16)

  1. 액정 표시 장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간 동안, 제 1 데이터선들을 통해 제 1 행 내지 제 n 행(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화소들에 제 1 화상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제 2 데이터선들을 통해 제 (n+1) 행 내지 제 2n 행의 화소들에 제 2 화상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제 2 기간 동안, 상기 제 1 행 내지 제 2n 행의 상기 화소들을 비선택하면서, 상기 제 1 행의 상기 화소들에 대응하는 제 3 화상 신호들의 일부를 상기 제 1 데이터선들에 공급하고 상기 제 (n+1) 행의 상기 화소들에 대응하는 제 4 화상 신호들의 일부를 상기 제 2 데이터선들에 공급하는 단계;
    제 3 기간 동안, 상기 제 1 데이터선들을 통해 상기 제 1 행 내지 제 n 행의 상기 화소들에 상기 제 3 화상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 2 데이터선들을 통해 상기 제 (n+1) 행 내지 제 2n 행의 상기 화소들에 상기 제 4 화상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간 및 상기 제 2 기간 동안 백라이트의 제 1 색을 갖는 제 1 광원들을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간 및 상기 제 2 기간 동안 상기 백라이트의 제 2 색을 갖는 제 2 광원들을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간 동안 상기 제 1 화상 신호들의 상기 공급 및 상기 제 2 화상 신호들의 상기 공급은 동시에 수행되고,
    상기 제 3 기간 동안 상기 제 3 화상 신호들의 상기 공급 및 상기 제 4 화상 신호들의 상기 공급은 동시에 수행되고,
    상기 제 1 화상 신호들 및 상기 제 2 화상 신호들은 양의 전압들이고,
    상기 제 3 화상 신호들 및 상기 제 4 화상 신호들은 음의 전압들이고,
    상기 제 2 기간은 상기 제 1 기간과 상기 제 3 기간 사이이고,
    상기 제 1 화상 신호들은 상기 제 1 색에 대응하는 신호들이고,
    상기 제 2 화상 신호들은 상기 제 2 색에 대응하는 신호들인, 액정 표시 장치 구동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의 상기 제 1 광원들 및 상기 제 2 광원들의 각각은 적색 광원들, 녹색 광원들, 및 청색 광원들 중 하나인, 액정 표시 장치 구동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행의 상기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 3 화상 신호들의 상기 일부 및 상기 제 (n+1) 행의 상기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 4 화상 신호들의 상기 일부는 상기 제 2 기간 동안 상기 제 1 행 내지 제 2n 행의 상기 화소들을 비선택하면서 복수회 공급되는, 액정 표시 장치 구동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행의 상기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 3 화상 신호들의 상기 일부는 상기 제 2 기간 동안 및 상기 제 3 기간 동안 데이터선 구동 회로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제 (n+1) 행의 상기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 4 화상 신호들의 상기 일부는 상기 제 2 기간 동안 및 상기 제 3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선 구동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액정 표시 장치 구동 방법.
  7. 액정 표시 장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간 동안, 제 1 데이터선들을 통해 제 1 행 내지 제 n 행(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화소들에 제 1 화상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제 2 데이터선들을 통해 제 (n+1) 행 내지 제 2n 행의 화소들에 제 2 화상 신호들을 공급하고, 제 3 데이터선들을 통해 제 (2n+1) 행 내지 제 3n 행의 화소들에 제 3 화상 신호들을 공급하는 단계;
    제 2 기간 동안, 상기 제 1 행 내지 제 3n 행의 상기 화소들을 비선택하면서, 상기 제 1 행의 상기 화소들에 대응하는 제 4 화상 신호들의 일부를 상기 제 1 데이터선들에 공급하고 상기 제 (n+1) 행의 상기 화소들에 대응하는 제 5 화상 신호들의 일부를 상기 제 2 데이터선들에 공급하고 상기 제 (2n+1) 행의 상기 화소들에 대응하는 제 6 화상 신호들의 일부를 상기 제 3 데이터선들에 공급하는 단계;
    제 3 기간 동안, 상기 제 1 데이터선들을 통해 상기 제 1 행 내지 제 n 행의 상기 화소들에 상기 제 4 화상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 2 데이터선들을 통해 상기 제 (n+1) 행 내지 제 2n 행의 상기 화소들에 상기 제 5 화상 신호들을 공급하고 상기 제 3 데이터선들을 통해 상기 제 (2n+1) 행 내지 제 3n 행의 상기 화소들에 상기 제 6 화상 신호들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간 및 상기 제 2 기간 동안 백라이트의 제 1 색을 갖는 제 1 광원들을 점등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간 및 상기 제 2 기간 동안 상기 백라이트의 제 2 색을 갖는 제 2 광원들을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화상 신호들을 공급하는 단계 동안 상기 백라이트의 제 3 색을 갖는 제 3 광원들을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간 동안 상기 제 1 화상 신호들의 상기 공급, 상기 제 2 화상 신호들의 상기 공급 및 상기 제 3 화상 신호들의 상기 공급은 동시에 수행되고,
    상기 제 3 기간 동안 상기 제 4 화상 신호들의 상기 공급, 상기 제 5 화상 신호들의 상기 공급 및 상기 제 6 화상 신호들의 상기 공급은 동시에 수행되고,
    상기 제 1 화상 신호들, 상기 제 2 화상 신호들 및 상기 제 3 화상 신호들은 양의 전압들이고,
    상기 제 4 화상 신호들, 상기 제 5 화상 신호들 및 상기 제 6 화상 신호들은 음의 전압들이고,
    상기 제 2 기간은 상기 제 1 기간과 상기 제 3 기간 사이이고,
    상기 제 1 화상 신호들은 상기 제 1 색에 대응하는 신호들이고,
    상기 제 2 화상 신호들은 상기 제 2 색에 대응하는 신호들이고,
    상기 제 3 화상 신호들은 상기 제 3 색에 대응하는 신호들인, 액정 표시 장치 구동 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의 상기 제 1 광원들, 상기 제 2 광원들 및 상기 제 3 광원들의 각각은 적색 광원들, 녹색 광원들, 및 청색 광원들 중 하나인, 액정 표시 장치 구동 방법.
  10. 삭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행의 상기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 4 화상 신호들의 상기 일부, 상기 제 (n+1) 행의 상기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 5 화상 신호들의 상기 일부, 및 상기 제 (2n+1) 행의 상기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 6 화상 신호들의 상기 일부는 상기 제 2 기간 동안 상기 제 1 행 내지 제 3n 행의 상기 화소들을 비선택하면서 복수회 공급되는, 액정 표시 장치 구동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행의 상기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 4 화상 신호들의 상기 일부는 상기 제 2 기간 및 상기 제 3 기간 동안 데이터선 구동 회로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제 (n+1) 행의 상기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 5 화상 신호들의 상기 일부는 상기 제 2 기간 및 상기 제 3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선 구동 회로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제 (2n+1) 행의 상기 화소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 6 화상 신호들의 상기 일부는 상기 제 2 기간 및 상기 제 3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선 구동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액정 표시 장치 구동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의 상기 제 1 색을 갖는 상기 제 1 광원들을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백라이트의 상기 제 2 색을 갖는 상기 제 2 광원들을 점등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액정 표시 장치 구동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선들의 각각 및 상기 제 2 데이터선들의 각각은 화소들의 하나의 열에 대응하는, 액정 표시 장치 구동 방법.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의 상기 제 1 색을 갖는 상기 제 1 광원들을 점등하는 단계, 상기 백라이트의 상기 제 2 색을 갖는 상기 제 2 광원들을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백라이트의 상기 제 3 색을 갖는 상기 제 3 광원들을 점등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액정 표시 장치 구동 방법.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선들의 각각, 상기 제 2 데이터선들의 각각, 및 상기 제 3 데이터선들의 각각은 화소들의 하나의 열에 대응하는, 액정 표시 장치 구동 방법.
KR1020110086895A 2010-08-31 2011-08-30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923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94546 2010-08-31
JPJP-P-2010-194546 2010-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250A KR20120021250A (ko) 2012-03-08
KR101923909B1 true KR101923909B1 (ko) 2018-11-30

Family

ID=45696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895A KR101923909B1 (ko) 2010-08-31 2011-08-30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43580B2 (ko)
JP (2) JP2012073599A (ko)
KR (1) KR101923909B1 (ko)
TW (1) TWI5592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3683A (ja) 2010-10-14 2012-05-3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130095040A (ko) * 2012-02-17 2013-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JP2014032399A (ja) 2012-07-13 2014-02-20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表示装置
JP6204025B2 (ja) 2013-03-05 2017-09-27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ドライバic
US10133419B2 (en) * 2013-08-07 2018-11-20 Synaptics Incorporated Flexible processing module for different integrated touch and display configurations
CN107025892B (zh) * 2017-04-27 2020-02-07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数据驱动电路与显示面板
KR20200111215A (ko) * 2018-02-09 2020-09-2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2847A1 (ja) * 2007-06-12 2008-12-18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6496A (en) 1989-08-22 1995-05-16 Wood; Lawson A.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5128782A (en) 1989-08-22 1992-07-07 Wood Lawson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which is back-lit with colored lights
WO1991010223A1 (en) 1989-12-22 1991-07-11 David Sarnoff Research Center, Inc. Field-sequential display system utilizing a backlit lcd pixel array and method for forming an image
US5225823A (en) 1990-12-04 1993-07-06 Harris Corporation Field sequential liquid crystal display with memory integrated within the liquid crystal panel
JPH0748148B2 (ja) * 1991-01-25 1995-05-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液晶表示コントローラ、液晶表示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JPH07175454A (ja) * 1993-10-25 1995-07-14 Toshiba Corp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3356580B2 (ja) * 1995-05-12 2002-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TW455725B (en) * 1996-11-08 2001-09-21 Seiko Epson Corp Driver of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5977942A (en) 1996-12-20 1999-11-02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ultiplexed display element sequential color LCD panel
KR20000016257A (ko) 1997-04-22 2000-03-25 모리시타 요이치 화상 판독기능을 가진 액정 표시장치, 화상판독방법 및 제조방법
JP3450164B2 (ja) * 1997-09-26 2003-09-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ットマトリクス表示装置
JP3280307B2 (ja) * 1998-05-11 2002-05-1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液晶表示装置
EP0997868B1 (en) 1998-10-30 2012-03-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Field sequenti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head mounted display
US6597348B1 (en) 1998-12-28 2003-07-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US7145536B1 (en) 1999-03-26 2006-12-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590553B1 (en) 1999-07-23 2003-07-08 Nec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3688574B2 (ja) * 1999-10-08 2005-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光源装置
US6882012B2 (en) 2000-02-28 2005-04-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282956B (en) 2000-05-09 2007-06-21 Sharp Kk Data signal line drive circuit, and image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TW518552B (en) 2000-08-18 2003-01-21 Semiconductor Energy Lab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hav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385579B2 (en) 2000-09-29 2008-06-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3186451A (ja) 2001-12-20 2003-07-04 Sharp Corp マトリクス型画像表示装置
JP2004077567A (ja) 2002-08-09 2004-03-1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4094058A (ja) 2002-09-02 2004-03-2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7193593B2 (en) 2002-09-02 2007-03-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003405B1 (ko) 2002-11-29 2010-12-2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및 전자기기
US7271784B2 (en) * 2002-12-18 2007-09-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319219B2 (en) 2003-07-14 2012-11-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WO2005104072A1 (en) 2004-04-22 2005-11-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JP2006126346A (ja) * 2004-10-27 2006-05-18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6220685A (ja) 2005-02-08 2006-08-24 21 Aomori Sangyo Sogo Shien Center スキャンバックライトを用いた分割駆動フィールドシーケンシャルカラー液晶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および装置
EP1832915B1 (en) 2006-01-31 2012-04-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contrast
JP4400593B2 (ja) * 2006-05-19 2010-01-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8154493B2 (en) 2006-06-02 2012-04-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of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9020197A (ja) * 2007-07-10 2009-01-29 Sharp Corp 表示装置ならびにその駆動回路および駆動方法
EP2291856A4 (en) 2008-06-27 2015-09-23 Semiconductor Energy Lab THIN FILM TRANSISTOR
JP5590868B2 (ja) 2008-12-11 2014-09-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JP5100670B2 (ja) 2009-01-21 2012-12-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タッチパネル、電子機器
TWI496042B (zh) 2009-07-02 2015-08-11 Semiconductor Energy Lab 觸控面板及其驅動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2847A1 (ja) * 2007-06-12 2008-12-18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59286B (zh) 2016-11-21
JP2012073599A (ja) 2012-04-12
US20120050348A1 (en) 2012-03-01
JP2016066082A (ja) 2016-04-28
KR20120021250A (ko) 2012-03-08
US8643580B2 (en) 2014-02-04
TW201214407A (en) 201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909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0564491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TWI383361B (zh) 驅動電路、液晶裝置、電子機器及液晶裝置之驅動方法
US8947371B2 (en) Display device with detection function
JP5818722B2 (ja) 液晶表示装置、表示駆動方法、電子機器
TWI397893B (zh) 液晶裝置
US10373577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80079680A1 (en)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evice,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664017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115719B2 (en) Electro-optical device
US9172946B2 (en)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
JP5172212B2 (ja) 液晶表示装置
JP5789354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086170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7112928B2 (ja) 表示装置
JP6322944B2 (ja) 電気光学装置、駆動用集積回路、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KR20180049290A (ko)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JP2020086016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178524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567208B1 (ko) 셀 검사회로가 구비된 액정패널 및 이를 포함한 액정 표시장치
JP4858521B2 (ja) 電気光学装置、駆動回路および電子機器
JP2009086172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9086171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6189657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