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318B1 -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318B1
KR101923318B1 KR1020170096153A KR20170096153A KR101923318B1 KR 101923318 B1 KR101923318 B1 KR 101923318B1 KR 1020170096153 A KR1020170096153 A KR 1020170096153A KR 20170096153 A KR20170096153 A KR 20170096153A KR 101923318 B1 KR101923318 B1 KR 101923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intake manifold
boss
plenum chamb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기
김형욱
나찬가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70096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318B1/ko
Priority to US16/029,105 priority patent/US10508627B2/en
Priority to CN201810751500.7A priority patent/CN109306923B/zh
Priority to RU2018126987A priority patent/RU2699046C1/ru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62Flow guides, obstructions, deflecto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22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PCV]; Additional air admission, lubricant or fuel vapour ad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02M35/112Intake manifolds for engines with cylinders all in one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011Breather valves
    • F01M2013/0027Breather valves with a de-icing or defros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2013/0038Layout of crankcase breath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2013/0433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with a deflection device, e.g. scr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4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 F01M2013/0455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having means for purifying air before leaving crankcase, e.g. removing oil with a de-icing or defrost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크랭크케이스로부터 빠져나와 가스유입구를 통해 흡기매니폴드의 플래넘챔버로 유입되는 블로우바이가스의 결빙을 방지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래넘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가스유입구로부터 토출되는 블로우바이가스를 신기유입구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플래넘챔버의 내부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재, 및 가이드부재를 흡기매니폴드에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블로우바이가스가 유입되는 입구에서 결빙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유입구가 결빙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DEVICE FOR PREVENTING BLOW BY GAS OF A INTAKE MANIFOLD FROM ICING }
본 발명은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크랭크케이스로부터 빠져나와 가스유입구를 통해 흡기매니폴드의 플래넘챔버로 유입되는 블로우바이가스가 결빙되어 상기 가스유입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기매니폴드(Intake Manifold)는 기화기에서 형성된 혼합기를 연소실에 균일하게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흡기매니폴드는 하부 일측에 공급된 혼합기를 일시 저장하는 플래넘챔버(Plenum chamber), 플래넘챔버의 일측에 연통하도록 부설되어 기화기를 거친 혼합기가 유동하게 하는 신기유입유로(Throttle body), 및 플래넘 챔버에 저장된 혼합기가 각 연소실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인테이크 러너(Intake runner) 등으로 구성된다.
인테이크 러너를 통해 각 연소실로 공급되는 혼합기 중 압축행정과 팽창행정 동안 실린더와 피스톤의 간극을 통하여 연소실로부터 크랭크 케이스로 빠져나온 미연소 배출가스를 블로우바이가스(Blow by Gas)라 하는데, 블로우바이가스는 연소실로부터 크랭크 케이스로 빠져나온 뒤 PCV(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시스템을 통해 실린더 블록 및 실린더 헤드의 배출통로와 헤드커버를 통과하고 별도의 PCV호스를 통해 흡기매니폴드로 재순환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V호스(도면 미도시)는 PCV니플(141)에 연결되어 블로우바이가스가 PCV니플(141)을 통해 가스유입구(142)로 유입되고, 가스유입구(142)로 유입된 블로우바이가스는 플래넘챔버(120)로 토출된 후 신규로 공급되는 혼합기와 혼합되어 각 인테이크러너로 분배된다.
그러나, 혹한 지역에서는 외기와의 온도차로 인해 흡기매니폴드로 유입된 블로우바이가스 내의 수분이 결빙되어 유로를 막게 된다. 즉 블로우바이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142)의 주위에서 신기와 접촉함에 따라 차가운 신기와의 온도차에 결빙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가스유입구(142)가 좁아지거나 막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8562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3464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블로우바이가스가 유입되는 입구에서 결빙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유입구가 결빙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는, 엔진의 크랭크케이스로부터 빠져나와 가스유입구를 통해 흡기매니폴드의 플래넘챔버로 유입되는 블로우바이가스의 결빙을 방지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로서, 상기 플래넘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스유입구로부터 토출되는 블로우바이가스를 신기유입구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플래넘챔버의 내부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흡기매니폴드에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스유입구로부터 토출되는 블로우바이가스의 토출방향을 상기 신기유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엘보우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외측에 신기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가 서로 이격되게 이중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제1가이드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되 상기 제1가이드보다 상기 신기유입구로부터 더 멀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의 측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되 상기 플래넘챔버의 내측벽에 접촉되게 구비되고 상기 가스유입구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플래넘챔버의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블로우바이가스를 차단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의 양쪽 측면 중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반대편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드레인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와 일체로 사출성형되고, 보스수용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보스부, 및 상기 흡기매니폴드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보스부를 수용하는 보스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스수용부는 상기 흡기매니폴드의 하부쉘과 중간쉘이 포개어지는 결합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스부가 상기 보스수용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쉘과 상기 중간쉘이 포개어져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스부는 상기 하부쉘과 상기 중간쉘이 합체되는 방향으로 상기 보스수용부에 끼워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에 의하면, 블로우바이가스와 신기가 혼합되는 위치를 흡기매니폴드의 내부방향으로 깊숙히 이동시켜 결정이 성장되는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결빙을 지연 및 차단함으로써 블로우바이가스가 유입되는 입구에서 결빙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유입구가 결빙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빙방지장치가 장착된 흡기매니폴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횡단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부분확대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부재의 저면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흡기매니폴드의 중간쉘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흡기매니폴드의 하부쉘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도 8 및 9에 도시된 중간쉘 및 하부쉘과 가이드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는, 엔진의 크랭크케이스로부터 빠져나와 가스유입구(142)를 통해 흡기매니폴드(100)의 플래넘챔버(120)로 유입되는 블로우바이가스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스유입구(142)로부터 토출되는 블로우바이가스를 신기유입구(130)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플래넘챔버(120)의 내부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재(200), 및 상기 가이드부재(200)를 상기 흡기매니폴드(100)에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흡기매니폴드(100)에는 기화기와 트로틀바디를 거쳐 공급되는 신기를 저장하였다가 다수개의 인테이크러너로 공급하는 플래넘챔버(120)가 구비되어 있다. 기화기로부터 공급되는 신기는 신기유입구(130)를 통해 상기 플래넘챔버(120)로 유입되고, 블로우바이가스는 가스유입구(142)를 통해 상기 플래넘챔버(120)로 유입된다.
흡기매니폴드(100)는 복수개의 쉘로 제조된 후 합체 조립되는데, 본 실시예의 흡기매니폴드(100)는 하부쉘(111)과 중간쉘(112) 및 상부쉘(113)의 세 개로 이루어져 있다. 도 8에는 중간쉘(112)이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하부쉘(111)이 도시되어 있다. 두 개의 쉘은 서로 포개어지는 결합부(115)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각 결합부(115)는 각 쉘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다른 쉘의 결합부(115)와 접합됨으로써 두 개의 쉘이 합체된다. 도 2와 도 3 및 도 12에는 상기 하부쉘(111)과 중간쉘(112) 및 상부쉘(113)이 합체된 흡기매니폴드(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엘보우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가이드(210), 및 상기 가스유입구(142)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플래넘챔버(120)의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블로우바이가스를 차단하는 베이스플레이트(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210)는 엘보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스유입구(142)로부터 토출되는 블로우바이가스의 토출방향을 상기 신기유입구(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게 된다. 즉 엘보우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가이드(210)는 상기 가스유입구(142)로부터 토출되는 블로우바이가스를 토출 직후 상기 플래넘챔버(120)의 내측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토출방향을 절환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블로우바이가스가 상기 신기유입구(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플래넘챔버(120)의 내부 깊숙한 위치로 이동하여 토출된다.
도 6과 도 7 및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가이드(21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가이드(210)는 제1가이드(211)와 제2가이드(212)가 서로 이격되게 이중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드(211)와 상기 제2가이드(21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 위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신기유입구(130)를 통해 상기 플래넘챔버(120)로 유입되는 신기는 상기 제1가이드(211)의 외측면에 1차적으로 접촉하여 블로우바이가스와 신기의 접촉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제2가이드(212)가 2차적으로 열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2가이드(212)는 상기 플래넘챔버(120)의 내측벽에 대하여 상기 제1가이드(211)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되 상기 제1가이드(211)보다 상기 신기유입구(130)로부터 더 멀게 연장되어 있다. 즉, 상기 제1가이드(211)가 상기 제2가이드(212)보다 더 짧게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211)와 상기 제2가이드(212)가 단차지게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212)의 선단으로 갈수록 신기와의 열전달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블로우바이가스와 신기가 급작스럽게 접촉하는 것보다 접촉량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가는 것이 응결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제1가이드(211)와 제2가이드(212)는 상기 흡기매니폴드(1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재질 자체로 인한 열전달 억제효과는 작으나 이중 격벽구조로 인해 열전달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가이드(211)와 제2가이드(212)의 단부에는 연결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15)는 상기 제1가이드(211)와 제2가이드(212)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결합수단(300)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15)는 후술하는 흡기매니폴드(100)의 중간쉘(112)과 하부쉘(111)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래넘챔버(120)의 내측벽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200)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제2실시예]
도 13에 도시된 가이드(210')는 제1가이드(211')와 제2가이드(212')의 사이에 단열재(231)가 충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위해 제1가이드(211')와 제2가이드(212')의 선단이 동일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드(211')와 제2가이드(212')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흡기매니폴드(1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재질 자체로 의한 열전달 억제효과는 크지 않으나, 상기 단열재(231)가 상기 제1가이드(211')와 상기 제2가이드(21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가이드(211')로부터 상기 제2가이드(212')로의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
도 14에 도시된 가이드(210")는 제2가이드(212")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의 제2가이드(212")는 단열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가이드(212")는 단독으로 신기와의 열을 차단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흡기매니폴드(100)와는 다른 단열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제2실시예의 단열재(231)의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제4실시예]
도 15에 도시된 가이드(210''')는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가이드(212''')만으로 이루어지고, 제2가이드(212''')의 외측에 단열재(232)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제2가이드(212''')는 흡기매니폴드(1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단열에 의한 열전달차단 효과는 작은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제2가이드(212''')의 외측에 신기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재(232)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는 상기 가이드(210)의 측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되 상기 플래넘챔버(120)의 내측벽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는 상기 가이드(210)의 양쪽 측면 중 한쪽 측면에만 구비되어 있다. 그로 인해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상기 가이드(210)의 일측에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로 막히게 되고 반대편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매니폴드(100)는 엔진 장착시 중력방향에 대하여 상기 상부쉘(113)이 상기 중간쉘(112)의 위쪽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하부쉘(111)이 상기 중간쉘(112)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가 구비된 부분이 개방부에 대하여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흡기매니폴드(100)에 결합된다. 이에 상기 가스유입구(142)로부터 토출되는 블로우바이가스와 신기의 접촉으로 인해 수분이 응결된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로 낙하하여 포집된다.
이러한 응결수가 결빙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에 드레인홀(221,222)을 형성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블로우바이가스는 상기 가이드(210)에 의해 상기 가스유입구(142)로부터 먼 곳에서 신기와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가스유입구(142) 근처에서 수분이 응결되거나 결빙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만일에 생성되는 응결수도 상기 드레인홀(221,222)을 통해 플래넘챔버(120)의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의 반대쪽 개방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200)의 내부로 신기가 유입되는데, 이로 인해 신기와 블로우바이가스와의 점진적인 접촉을 허용함으로써 온도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상기 신기유입구(130)의 원통 형상에서 중앙 좌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의 반대쪽 개방부는 상기 신기유입구(130)의 중앙부분보다 위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그로 인해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개방부를 통한 유입되는 신기량이 현저히 적게 되고, 소량으로 유입되는 신기와 블로우바이가스를 조금씩 점차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급격한 온도차에 의한 결빙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드레인홀(221,222)은 상기 가이드(210)의 형태와 위치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에서의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경우 제1가이드(211)와 제2가이드(212)의 사이에 상기 드레인홀(221)이 형성되고, 도 13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경우 제1가이드(211)의 안쪽으로 상기 드레인홀(2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제3실시예 및 도 15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경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 상에서의 상기 드레인홀(221)의 위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드레인홀(221)이 제1가이드(211)와 제2가이드(212)의 사이에 형성되면 상기 제1가이드(211)와 제2가이드(212)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제2가이드(212)를 넘어 유입되는 신기가 블로우바이가스와 접촉되고, 이때 발생할 수 있는 응결수가 드레인홀(221)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13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가이드(211)와 제2가이드(212) 사이에 단열재(232)가 채워짐으로 인해 제1가이드(211)의 안쪽에 상기 드레인홀(2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플래넘챔버(12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보스수용부(321)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보스부(310), 및 상기 결합보스부(310)를 수용하는 보스수용부(32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결합보스부(310)는 상기 가이드부재(200)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211)와 제2가이드(212)의 단부 및 상기 연결부(215)에 결합브라켓(315)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브라켓(315)에 상기 결합보스부(310)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브라켓(315)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에 대하여 평행한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보스부(31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20)에 대하여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스수용부(321)는 상기 흡기매니폴드(100)에 구비되어 있다. 즉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스수용부(321)는 상기 흡기매니폴드(100)의 하부쉘(111)과 중간쉘(112)이 포개어지는 결합부(115)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스수용부(321)는 상기 중간쉘(112)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쉘(111)에는 상기 결합브라켓(315)을 수용하는 하부수용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수용부(322)는 하부쉘(111)의 결합부(115)보다 함입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보스부(310)가 상기 보스수용부(321)에 끼워져 결합될 때 상기 결합브라켓(315)이 상기 하부수용부(322)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보스부(310)가 상기 보스수용부(3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쉘(111)과 상기 중간쉘(112)이 포개어져 조립된다. 상기 결합보스부(310)는 상기 하부쉘(111)과 상기 중간쉘(112)이 포개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보스수용부(321)에 끼워지게 된다. 즉 상기 결합보스부(310)는 상기 하부쉘(111)과 상기 중간쉘(112)이 합체되는 방향으로 상기 보스수용부(321)에 끼워진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스수용부(321)에 상기 결합보스부(310)가 먼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쉘(111)을 상기 중간쉘(112)에 합체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중간쉘(112)에 형성된 하부수용부(322)에 상기 결합브라켓(315)도 안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보스부(310)가 상기 보스수용부(321)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쉘(112)과 하부쉘(111)이 합체되면 상기 중간쉘(112)과 하부쉘(111)이 분리되지 않는 한 상기 가이드부재(200)가 상기 플래넘챔버(120)의 내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흡기매니폴드 111 : 하부쉘
112 : 중간쉘 113 : 상부쉘
115 : 결합부 120 : 플래넘챔버
130 : 신기유입구 141 : PCV니플
142 : 가스유입구 200 : 가이드부재
210,210',210",210''' : 가이드
211,211' : 제1가이드
212,212',212",212''' : 제2가이드
215,215' : 연결부
220 : 베이스플레이트 221,222 : 드레인홀
231,232 : 단열재 300 : 결합수단
310 : 결합보스부 315 : 결합브라켓
321 : 보스수용부 322 : 하부수용부

Claims (13)

  1. 엔진의 크랭크케이스로부터 빠져나와 가스유입구를 통해 흡기매니폴드의 플래넘챔버로 유입되는 블로우바이가스가 결빙되어 상기 가스유입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넘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신기와의 접촉을 지연시키도록 상기 가스유입구로부터 토출되는 블로우바이가스를 신기유입구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플래넘챔버의 내부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흡기매니폴드에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스유입구로부터 토출되는 블로우바이가스의 토출방향을 상기 신기유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엘보우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측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되 상기 플래넘챔버의 내측벽에 접촉되게 구비되고, 상기 가스유입구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플래넘챔버의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블로우바이가스를 차단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외측에 신기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가 서로 이격되게 이중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제1가이드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되 상기 제1가이드보다 상기 신기유입구로부터 더 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의 양쪽 측면 중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반대편은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드레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와 일체로 사출성형되고, 보스수용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보스부; 및
    상기 흡기매니폴드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보스부를 수용하는 보스수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수용부는,
    상기 흡기매니폴드의 하부쉘과 중간쉘이 포개어지는 결합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스부가 상기 보스수용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부쉘과 상기 중간쉘이 포개어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스부는 상기 하부쉘과 상기 중간쉘이 합체되는 방향으로 상기 보스수용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KR1020170096153A 2017-07-28 2017-07-28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KR101923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153A KR101923318B1 (ko) 2017-07-28 2017-07-28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US16/029,105 US10508627B2 (en) 2017-07-28 2018-07-06 Anti-icing device for intake manifold
CN201810751500.7A CN109306923B (zh) 2017-07-28 2018-07-10 吸气歧管的防结冰装置
RU2018126987A RU2699046C1 (ru) 2017-07-28 2018-07-23 Противообледе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пускного коллектор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153A KR101923318B1 (ko) 2017-07-28 2017-07-28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318B1 true KR101923318B1 (ko) 2018-11-28

Family

ID=6456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153A KR101923318B1 (ko) 2017-07-28 2017-07-28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08627B2 (ko)
KR (1) KR101923318B1 (ko)
CN (1) CN109306923B (ko)
RU (1) RU2699046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7614A (zh) * 2018-01-24 2019-07-30 福特全球技术公司 发动机的进气歧管排放总成
KR102054811B1 (ko) * 2018-06-11 2019-12-11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흡기매니폴드의 pcv 출구 결빙 방지 장치
USD880528S1 (en) * 2019-04-18 2020-04-07 Oliver Matt Shurdim Intake manifold pair
CN110529696A (zh) * 2019-09-19 2019-12-03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预防曲轴箱通风管路结冰堵塞的连接结构
US11415141B1 (en) * 2021-03-03 2022-08-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entrifugal compressor having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tube extending through compressor housing to avoid high crankcase press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568B1 (ko) * 2001-11-13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씨브이 호스의 결빙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952B1 (ko) * 2001-08-08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지탱크의 블로바이가스 인입장치
KR20050108562A (ko) 2004-05-12 2005-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지탱크측 피씨브이 호스와 피씨에스브이 호스의 접속구조
KR100645576B1 (ko) * 2004-07-06 2006-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 인테이크 시스템
DE102004043545A1 (de) 2004-09-09 2006-03-30 Audi Ag Kurbelgehäuseentlüftungsein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SE529167C2 (sv) 2005-06-15 2007-05-22 Volvo Lastvagnar Ab Vevhusventilation
KR101234649B1 (ko) 2010-11-25 2013-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기통 엔진의 pcv결빙 방지 장치
KR101189243B1 (ko) * 2010-12-03 2012-10-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cv 결빙 방지 장치
JP5321852B2 (ja) 2011-04-01 2013-10-23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環流装置
US9316131B2 (en) 2012-09-14 2016-04-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ankcase integrity breach detection
JP6053835B2 (ja) * 2015-01-21 2016-1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
KR101700527B1 (ko) * 2015-09-18 2017-01-26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통합형 유로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568B1 (ko) * 2001-11-13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피씨브이 호스의 결빙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06923B (zh) 2021-04-02
US10508627B2 (en) 2019-12-17
RU2699046C1 (ru) 2019-09-03
US20190032611A1 (en) 2019-01-31
CN109306923A (zh) 201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318B1 (ko) 흡기매니폴드의 결빙방지장치
US6234154B1 (en) Integral PCV system
JP4486582B2 (ja) 内燃機関
JP2018003630A (ja) ブローバイガス還流構造
JP2009013941A (ja) エンジンのブリーザ装置
KR101189243B1 (ko) Pcv 결빙 방지 장치
WO2019080816A1 (zh) 具有曲轴箱通风气体副腔的进气歧管及发动机
KR101965836B1 (ko) 흡기 매니폴드 블로바이가스 결빙방지 구조
US20130269636A1 (en) Engine assembly with engine block-mounted air-oil separator and method of ventilating an engine crankcase
EP3674539A1 (en) Cylinder head cover
KR20120026768A (ko) 블로바이가스 통로를 가진 흡기 매니폴드
US10975810B2 (en)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CN110242386B (zh) 具有用于漏气的气液分离器的内燃机
JP6982542B2 (ja) 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付エンジン
JP2014214616A (ja) スロットル上流構造
KR20180137692A (ko) 흡기매니폴드의 가스유입구조
US8602008B2 (en)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KR101597920B1 (ko) 흡기 매니폴드의 블로우바이 가스 결빙방지장치
JP6025582B2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JP7144294B2 (ja) シリンダブロック
KR20190130476A (ko) 블로바이 가스 환류장치 부착 엔진
JP7092690B2 (ja) 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付エンジン
US11939896B2 (en) Blowby gas return apparatus and head cover
JP7291642B2 (ja) 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付エンジン
JP7081976B2 (ja) 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付エン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