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268B1 - 비상정지장치의 작동 - Google Patents

비상정지장치의 작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268B1
KR101922268B1 KR1020137018420A KR20137018420A KR101922268B1 KR 101922268 B1 KR101922268 B1 KR 101922268B1 KR 1020137018420 A KR1020137018420 A KR 1020137018420A KR 20137018420 A KR20137018420 A KR 20137018420A KR 101922268 B1 KR101922268 B1 KR 101922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top
operating
emergency
stop device
conne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771A (ko
Inventor
베누아 레그레트
에릭 비러
마커스 주잉
필립 지멜리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42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0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rotatable eccentrically-moun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승강장치(1)에 있어서, 카(3, 4)는 카에 배치되어 카(3, 4)를 필요에 따라 안내레일(9) 또는 제동레일에 제동 및 고정시키도록 마련된 비상정지장치(11)를 포함하고 있다. 비상정지장치(11)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장치는 또한 비상정지장치(11)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는, 필요한 경우, 승강 샤프트에, 바람직하게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9)에 가압될 수 있는 구동체(20)를 포함하고, 비상정지장치(11)는 비상정지장치(11)와 승강 샤프트에 가압된 구동체(20) 사이의 상대운동에 의하여 작동된다. 구동체(20)는, 이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승강 샤프트와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9)과 결합하게 되는 곡면인 구동표면(21)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비상정지장치의 작동{ACTUATION OF AN INTERCEP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비상정지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 및 이에 상응하는 비상정지장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빌딩 내에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현가(suspension)로프 또는 현가벨트와 같은 현가수단을 통하여, 균형추 또는 제2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카로 구성된다. 현가수단에, 또는 카나 균형추에 바로 작용하도록 선택될 수 있는 구동장치에 의하여, 카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된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빌딩 내의 하나 이상의 층들의 사이에서 사람들과 물품을 운반하는데 이용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구동장치 또는 현가수단이 고장 난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를 고정하거나, 또는 한 층에서 정지하고 있을 때의 원치 않는 이동 또는 낙하를 방지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를 안내레일 상에서 제동할 수 있는 비상정지장치가 통상적으로 이용된다.
오늘날까지는, 이러한 비상정지장치들이 기계적인 속도조절기들에 의하여 작동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필요한 경우에 제동장치 또는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전자감시장치들이 또한 이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지되고 입증된 비상정지장치들에 의존하기 위하여, 그에 따라 작동될 때, 비상정지장치들을 작동시킬 수 있는 전기기계적 작동부가 필요하다.
EP0543154에서 이러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장치의 수단에 의하여, 보조 캘리퍼 브레이크가, 필요한 경우에, 안내레일과 결합하게 되고, 이러한 보조 캘리퍼 브레이크는 기존의 레버 시스템을 작동시키며, 이에 의하여 비상정지장치들이 작동된다. 이러한 보조 캘리퍼 브레이크는 레버 시스템 및 비상정지장치의 전체 부품들을 이동시킬 수 있거나, 또는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필요한 전기기계부는 그에 따라 크기가 대형으로 되어야 한다.
WO 2008/057116에서 유사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필요한 경우에, 비상정지장치 내에 배치되어 있는 연결기 본체가 안내레일에 가압됨으로써, 비상정지장치가 작동된다.
US7575099에서 또 하나의 이러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해결책에 있어서는, 필요한 경우에, 비상정지장치의 결합 쐐기들이 스프링에 의하여 바로 작동된다. 이러한 스프링들은 전자석에 의해 장력이 사전에 부여되고, 필요한 경우, 사전 장력이 부여된 스프링은 해제된다. 이 스프링들은 스핀들 구동장치에 의하여 리셋 또는 다시 재장력이 부여된다. 이 전자석은 그에 따라 크기가 대형으로 되어야 하며, 그 이유는 복수의 스프링들의 전체초기장력이 바로 흡수되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작동에 의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의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그것을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통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해결책, 또는 이들 해결책들은 종래의 비상정지장치와 조합될 수 있어야 하고/하거나 이러한 해결책, 또는 이들 해결책들은 안전해야 한다.
비상정지장치의 신속한 작동, 비교적 낮은 에너지 요건, 간단한 설치, 전원 상실 또는 부품의 고장 시의 위 장치의 거동과 같은 추가의 양태들이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본 특허의 독립청구항들에 규정된 해결책들은 이들 요건 중 적어도 개별적인 양태를 충족하고, 위 독립청구항들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위 종속청구항들에 따른 추가의 유익한 양태를 고려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빌딩 내에서 물품과 사람들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람들과 물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균형추를 포함하고 있다. 균형추와 엘리베이터 카는, 예컨대, 현가로프, 현가벨트, 또는 다른 하나의 현가수단과 같은 하나 이상의 현가수단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 현가수단이 리버서 풀리 또는 구동시브, 및 균형추 위를 지나고 있음으로써, 엘리베이터 카가 빌딩 내에서, 더욱 정확하게는 빌딩 내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서 양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카, 및 경우에 따라서는 균형추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이들 이동체 - "이동체"는 이하 엘리베이터 카 또는 균형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 의 잘못된 거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엘리베이터 카, 및 경우에 따라서는 균형추도 비상정지장치를 구비한다. 이동체는 통상적으로 두 개의 비상정지장치를 포함하는데, 이들의 각각은 안내레일에 할당된다. 안내레일들 - 통상 두 개의 안내레일 -은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따라 이동체를 안내하고, 비상정지장치가 제동을 위하여 결합할 수 있는 웹(web)을 포함하고 있다.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은, 예컨대, 결합 쐐기, 결합롤러, 또는 결합 편심륜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결합 편심륜 중 하나 이상을 결합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이러한 종래의 비상안전장치의 실시예가, 예컨대 편심 비상정지장치이다. 여기에서, 제동 또는 결합 동작을 개시하기 위하여, 편심륜의 형태로 된 결합요소는 안내레일과 접촉하여 그 후 파지하게 됨으로써 파지 및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결합요소가 회전하여야 한다.
하나의 해결책은, 이동체에 배치되어 비상정지장치에 연결된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가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결합 쐐기 또는 결합롤러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결합요소를 결합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하여,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는 이동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 본체를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에, 연결기 본체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에 가압된다. 가압된 연결기 본체와 비상정지장치 사이의 상대운동에 의하여,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이 실행된다. 상대운동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에 각각 가압되고, 레일과의 접촉 지점에서 견고하게 유지되는 연결기 본체, 및 비상정지장치와 함께 계속 이동함으로써, 이러한 지점에 대하여 계속 이동하는 이동체를 통하여 발생된다. 연결기 본체는 유리하게는 곡면 형상의 연결기 표면을 포함하고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에서의 회전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곡면 형상인 연결기 표면이 연결기 본체가 이제 연결기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결합쐐기, 또는 결합롤러, 또는 결합요소를 결합 위치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 결합체는 연결 바에 의하여 결합쐐기, 결합롤러, 또는 결합요소에 연결된다.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하우징 내에서 비상정지장치에 바로 인접한 곳, 및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된다.
이러한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에 있어서, 비상정지장치는 신속하고 안전하게 작동될 수 있다. 연결기 본체는 비상정지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연결 바에 의하여 기존의 비상정지장치들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 또는 피벗이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의 하우징에 쉽게 설치되거나, 또는 하우징 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회전축 또는 피벗은 또한 비상정지장치의 하우징 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에 대한 연결기 본체의 가압력이 연결기 본체의 회전 범위를 지남에 따라 증가되게 하는 식으로 곡면 형상의 연결기 표면이 구현되어 있다. 연결기 표면의 곡면 구현은, 비교적 낮은 가압력으로 회전이 개시될 수 있고, 회전각도를 지남에 따라 가압력이 증가함으로써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는 힘 또한 증가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이동체가 적어도 두 개의 비상정지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에서, 제1 비상정지장치는 제1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과 상호작용하고, 제2 비상정지장치는 제2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과 상호작용한다. 비상정지장치들의 각각은 각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비상정지장치들의 각각이 필요한 경우에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연결기 본체의 두 회전축이, 예컨대, 연결축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연결기 본체는 서로 회전된다. 따라서 양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 및 그에 따라 양 비상정지장치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작동되게 하는 식으로 두 개의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비상정지장치들의 비대칭적인 작동이 방지된다.
일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들의 각각은, 이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들이 단독으로 연결기 본체의 회전축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설계되었다. 이로써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이 증대된다. 두 개의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가 서로 작동이 유발될 수 있음으로써, 각각의 관련되는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두 개의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 중 하나가 고장 난 경우에, 남아 있는 장치가 단독으로 비상정지장치들을 양자 모두 완전히 작동시킬 수 있다.
일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기 본체의 곡면 형상인 연결기 표면이 공주장치를 통하여 비상정지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기기에 가압되는 연결기 본체와 비상정지장치 사이의 제1 상대운동 영역을 통하여, 연결기 본체만이 회전하고, 그 결과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에 각각에 대한 연결기 본체의 가압력이 증대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제2 상대운동 영역을 통하여서만, 비상정지장치는 그 때 작동된다. 이에 의해 다시 작동동작의 제1 작업-단계에서의 가압력이 작게 유지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연결기 본체 그 자체만 회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 제1 영역의 전체에 걸쳐서, 상응하게 형성된 곡면 형상인 연결기 표면 때문에, 가압력은 증대되고, 그 때 그에 상응하게, 제2 상대운동 영역에서는, 증대된 작동력이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에 이용될 수 있다.
일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스프링에 의하여, 바람직하게는 압축스프링에 의하여, 연결기 본체가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에 각각 가압되고, 전자석에 의하여 준비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특히 안전하다. 작동 실패, 또는 에너지의 손실이 있는 경우에, 전자석이 불가피하게 전원이 끊겨서 가압스프링이 연결기 본체를 가압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의 전자석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이는 추가로, 이동체의 양측에 배치된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이 동시에 발생되는 것을 보증한다. 대안적으로, 전자석이 또한 공급장치를 단지 해제할 수 있음으로써, 연결기 본체가, 예컨대 스프링에 의하여, 각각 엘리베이터 승강로로부터,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로부터 간격을 두고 유지된다.
일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기 본체는 가동형 및 고정형 연결기 부분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가동형 연결기 부분이 가압스프링에 의하여 각각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을 가압할 수 있고, 전자석은 가동형 연결기 부분을 준비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동형 연결기 부분은 유리하게는 고정형 연결기 부분 내에서 안내된다. 가동형 연결기 부분은 작게 그리고 적은 질량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응시간이 짧게 유지될 수 있다. 가동형 연결기 부분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과 각각 제1 마찰접촉을 창출한다. 약간의 회전운동 후에, 가동형 연결기 부분의 마찰접촉이 고정형 연결기 부분으로 전달되고, 이는 이 순간부터는, 추가의 회전운동을 확보한다. 연결기 본체의 연결기 표면은 가동형 및 고정형 연결기 부분들에 의하여 공동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기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엠보싱(embossing)처리되었거나, 널링(knurling)처리되었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구성된 구조의 표면을 가지는 논-슬립이다.
이 실시예에서 가동형 연결기 부분을 준비 위치로 유지하는 전자석은 바람직하게는 연결기 본체의 회전축의 영역 내에, 또는 가능한 한 두 개의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의 연결축 내에 바로 배치된다.
일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석이 전기기계적 공급장치 내에 일체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기계적 공급장치는, 예컨대, 연결기 본체의, 회전축의 영역 내에, 바람직하게는 연결축 내에 바로 배치되어 있다.
각 연결축은 각각의 제1 및 제2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에 할당된 연결요소와, 이 두 개의 연결요소를 연결하는 연결요소, 바람직하게는 연결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요소의 길이는 이동체의 폭에, 또는 두 개의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의 간격에 맞추어 만들어져 있다. 전기기계적 공급장치는 이제, 예컨대, 연결요소 내, 또는 연결요소의 영역 내에 일체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각의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에 대하여, 각 별도의 공급장치가 제공되지만, 이는 -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필요한 경우에, 연결축을 통하여, 제2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를 또한 끌고 간다.
일 예에 있어서, 공급장치가 연결요소의 정렬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정상 동작에서는, 아마츄어 핀을 아마츄어 스프링의 힘을 거스르게 유지하는 리프팅 자석의 형태로 된 전자석으로 구성된다. 아마츄어 핀에는 원추형, 또는 쐐기 형상의, 가압 첨단부가 마련되어 있다. 전자석은 즉시 무전류 상태로 스위칭되고, 아마츄어 스프링이 아마츄어 핀을 밀어젖혀서, 쐐기 경사부 또는 원추형 가압 첨단부를 통하여, 안내핀이 밀려나간다. 이 안내핀은 연결기 본체의 가동형 연결기 부분의 구성부분이고/이거나 연결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다. 정상적인 동작에서는, 이 안내핀은, 각각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로부터 간격을 둔 채로, 안내스프링과 함께 준비 위치로 유지되고, 전자석의 무전류 상태에서는 쐐기 경사부를 통하여 아마츄어 핀이 안내핀을, 가동형 연결기 부분과 함께, 각각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에 접촉되도록 민다.
자명하게,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의 정확한 반응을 확인하기 위하여, 작업 위치들이 스위치들에 의하여 감시될 수 있다.
공급장치의 이러한 상기 형상은 공간절약 구조를 허용하여, 전자석의 유지력이 작아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게다가, 연결축에서의 공급장치의 배열이 유리한데 이는, 연결기 본체의 회전 시, 연결축의 축 중심이 변위를 하지 않아, 연결축 내부에서, 전자석이 먼지, 때, 및 부식 분진과 같은 마모된 금속에 대하여 보호되기 때문이다.
일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가, 연결기 본체 맞은편에 놓여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의 표면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 각각에 대한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의 위치를 확실하게 하는 역압롤러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는 유리하게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의 하우징 내에 설치된다. 이러한 하우징은 이동체에 대한 고정뿐만 아니라 비상정지장치에 대한 고정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하우징 내에 배치된 역압롤러와 함께,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가 결합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의 표면이 각각 해제된다. 게다가, 위 해결책의 추가의 전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이동속도를 측정하고 임계적인 이동속도의 초과 시에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를 자동적으로 즉각 작동시킴으로써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는 속도센서가 이러한 역압롤러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가 또한 속도센서를 가지는 역압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속도의 중복적인 감시가 실현될 수 있다.
일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체가 정지하게 되는 경우에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가 작동된다. 이는, 정지 상태에 머무는 경우, 전자석 또는 이에 균등한 작동기가 연결기 본체를 해제함으로써, 연결기 본체가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에 각각 가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체가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의 회전공주영역에서 이동하는 한, 비상정지장치는 아직 작동되지 않아,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가 전자석을 다시 스위칭 온 함으로써 리셋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체가 비교적 대량으로 내리는 곳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거나, 또는 제어되지 않는 식으로 멀리 이동한다면,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에 각각 접촉하여 놓여 있는 연결기 본체가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킨다. 이로써 이동체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에 대한 훌륭한 보호가 확보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체, 또는 주로 엘리베이터 카는 전자적인 안전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전자적인 안전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전자적인 안전장치는 이동속도의 기준속도로부터의 편차를 감지하여, 필요한 경우에, 비상안전장치 작동용 장치의 작동, 및 이에 의한 비상정지장치의 작동을 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 이동체, 또는 주로 엘리베이터 카는 감시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감시장치에 연결된다. 감시장치는, 예컨대,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한 경우에, 작동될 수 있고, 가능한 엘리베이터 카의 정지상태로부터의 예상치 못하는 이동을 감지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비상정지장치 또한 작동시킬 수 있다.
엘리베이터 기구의 일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추가의 이동체, 예컨대 균형추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추가의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추가의 이동체는 바람직하게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역압롤러 내에 설치된 속도센서를 포함하며, 추가의 이동체는, 예컨대, 다음의 롤러 제너레이터(roller generator)에 의하여 생성되는 에너지 저장기를 가지는 에너지 공급원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추가의 전기 연결부들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러한 추가의 이동체의 고정을 실행할 수 있다. 상태 신호가 무선 연결부를 통하여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자명하게, 대안적으로 이동 케이블 또는 보정 로프가 이동체들의 사이, 통상적으로는 카와 균형추의 사이에서 이용되어 필요한 신호와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 자명하게 속도 및 안전 정보가 이동체들 중 하나에서 처리되고, 그 후 나머지 하나의 이동체로 전달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비상정지장치는 편심 비상정지장치이다. 이러한 형태의 편심 비상정지장치는, 예컨대 개시 DE2139056호에 공지되어 있다.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는 연결 바에 의하여 편심 비상정지장치의 편심륜에 연결될 수 있고, 이 수단에 의하여 이러한 형태의 비상정지장치의 직접적인 작동이 보장된다. 자명하게,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의 필요한 크기가 비상정지장치의 요건들에 맞추어져야 한다. 만약 비상정지장치가 양 이동방향으로 작동하기 위하여 구현되는 것이라면, 필요한 경우,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는 양 측의 작동을 위하여 설계될 수 있다.
일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에는 에너지 저장기로부터의 전기에너지가 공급된다. 이는, 예컨대, 충전가능한 배터리이다. 에너지 저장기는, 예컨대, 빌딩 내의 정전의 경우에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의 원하지 않는 작동을 방지한다. 이동체는 따라서 우선 정상적인 제동수단에 의하여 정지하게 될 수 있다. 자명하게, 필요한 경우, 이 에너지 저장기는 또한 기타의 기능 그룹들에 비상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변형 구성에 있어서, 관련되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를 가지는 한 쌍의 비상정지장치가 카에 배치되어 있다.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들은 연결축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양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에는 전기기계적인 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들, 또는 전기기계적인 공급장치는 안전장치에 의하여 작동된다. 예를 들면, 안전장치는 전기기계적인 공급장치의 전자석들을 직접 또는 상응하는 제동제어장치를 통하여 작동시킨다. 전자석들은 바람직하게는, 이미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직렬로 연결된다.
이 전기적인 조정기는, 예컨대, WO 제03004397호에서 이용되는 것과 같은 속도감시장치일 수 있는데, 전기적인 조정기가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속도센서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전기적인 조정기가 안내레일을 따라 굴러가는 엘리베이터 카 상에서의 롤러들의 회전속도를 구하는 감시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전기적인 조정기가 EP 제1602610호에서 제시된 것과 같은 안전감시시스템일 수 있다. 안전장치는 유리하게는 배터리들, 축전지들(accumulator), 또는 축전기(capacitor) 배터리들과 같은 전기에너지 저장기를 구비한다. 이들 에너지 저장기의 도움으로, 빌딩 내에서의 정전의 경우에, 안전장치가 사전에 규정된 시간 동안 계속 작동된다. 필요한 경우에, 이들 에너지 축전지들이 다양한 기능 그룹과 결합할 수 있다. 자명하게, 한 쌍의 비상정지장치 대신에, 각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관련되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들을 가지는 복수 쌍의 비상정지장치가 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일 변형 구성에 있어서, 균형추는, 현가력이 상실된 경우에만, 느슨해진-로프 감시기 또는 느슨해진-로프 작동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비상정지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균형추 상의 비상정지장치는, 예컨대, 현가수단의 고장 시의 경우인, 균형추에서의 현가력의 상실 시에만 작동된다. 예컨대, 로프의 진동에 의한 우연한 작동유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느슨해진-로프 감시기에는 공압 감쇠기와 같은 감쇠요소가 구비되어 있다. 비상정지장치의 이러한 유형의 작동의 이점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균형추의 전기 연결부가 불필요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균형추가 떨어지지 못하도록 효과적으로 고정된다는 것이다. 균형추 상의 비상정지장치의 잘못될 가능성이 있는 작동은 카 상 또는 구동장치 상에서 감시될 수 있으며, 이는, 이러한 비상정지장치의 작동 시에, 구동장치 상 또는 현가 수단 내에서의 갑작스러운 강력한 부하의 변화가 초래되기 때문이다.
지금부터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측면도에서의 선도이다.
도 2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단면도에서의 선도이다.
도 3은 전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준비 위치에서 설치된 비상정지장치와 함께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작동 위치에 있는 도 4의 장치이다.
도 7은 제2 작동 위치에 있는 도 4의 장치이다.
도 8은 제동 위치에 있는 도 4의 장치이다.
도 9a는 준비 위치에 있는 전기기계 공급장치이다.
도 9b는 제1 작동 위치에 있는 도 9a의 전기기계 공급장치이다.
도 10은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를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장치이다.
도 11은 균형추 상에 비상정지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선도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의 부품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 및 기호가 사용된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시스템(1)의 전체도를 도시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은 빌딩의 엘리베이터 승강로(2) 내에 설치되어, 빌딩 내에서 사람 또는 물품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안내레일(9)을 따라 위로 및 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3)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카(3)는 안내 슈(10)들에 의하여 안내레일(9)을 따라 안내된다. 엘리베이터 카(3)는 문을 통하여 빌딩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다. 구동장치(6)는 엘리베이터 카(3)를 구동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장치(6)는 빌딩의 상부 영역에 통상 배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카(3)는 현가수단(5), 예컨대 현가로프들 또는 현가벨트들에 의하여 구동장치(6)에 달려 있다. 현가수단(5)들은 구동장치(6) 위를 지나서 균형추(4)까지 추가로 나아간다. 균형추는 엘리베이터 카(3)의 질량 부분을 보정함으로써, 구동장치(6)가 실질적으로 엘리베이터 카(3)와 균형추(4) 사이의 불균형을 단지 보정하거나, 또는 만들고 유지하게 한다. 균형추(4)는 또한 안내 슈(10)에 의하여 안내레일(9)을 따라 안내된다. 엘리베이터 카(3)용의 안내 슈(10)와 균형추(4)는 통상적으로 예상되는 안내력에 따라 선택된다. 소위 슬라이딩 가이드 또는 롤러 가이드가 이용될 수 있다. 구동장치(6)는, 예컨대,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구동장치(6)는 또한 자명하게, 빌딩 내, 또는 균형추(3)의, 또는 카(2)의 영역 내의 다른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1)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7)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 엘리베이터 제어장치(7)는 주로 구동장치(6)를 제어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환경-예, 문들의 폐쇄 상태와 관련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을 감시하는 안전요소들도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7)는 이동케이블(8)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카(3)에 연결되어 있다. 이동 케이블(8)을 통하여, 전기에너지와 제어신호가 전송된다. 예컨대 슬라이딩 접촉으로 신호와 본체가 다닌 길 정보(current tracks)의 무선 전송의 경우에, 이동 케이블 대신에, 케이블이 없는 시스템이 자명하게 에너지의 전달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3)에는 엘리베이터 카(3)를 예상치 못한 이동, 과속, 또는 정지의 경우에 고정 및/또는 감속시키는데 적합한 비상정지장치(11)가 구비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비상정지장치(11)가 엘리베이터 카(3)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비상정지장치(11)는 전기적으로 제어되며, 이러한 목적으로, 비상정지장치작동용 장치(18)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 안전장치(41)와 선택적 감시장치(42)이다. 안전장치(41)는 센서들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는, 예컨대, 속도센서(40)이다. 속도센서(40)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안내레일 또는 복귀 풀리들 내에 또한 일체로 형성된 태코제너레이터(tachogenerator) 또는 증분 펄스 발전기일 수 있다. 위치검출기들 또는 가속센서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순간적인 이동 속도가 측정될 수 있다. 이들 신호로부터, 안전장치(41)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상태를 판정하여 그에 따라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18)를 작동시킨다. 예컨대, 특대형 축전기의 형태로 된 축전지인 에너지 저장기(46) 또한 바람직하게는 안전장치(41)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러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과 같은 기계적인 속도조정기를 없애는 것이 가능해진다.
감시장치(42)는, 예컨대, 엘리베이터 카가 짐을 싣거나 풀기 위한 목적으로 어떤 층에 정지해 있을 때 정지상태의 엘리베이터 카를 감시한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카(3)와 균형추(4)는 한 쌍의 안내레일(9)에 의해 각각 안내되고, 엘리베이터 카는 한 쌍의 비상정지장치(11)를 포함하고 있는데, 제1 비상정지장치(11.1)는 안내레일(9)들 중 하나에 작용하고, 제2 비상정지장치(11.2)는 안내레일(9)들 중 나머지 하나에 작용하고 있다.
자명하게, 비상정지장치들(11.1, 11.2)의 각각이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배정된 장치(18.1, 18.2)를 가진다.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들과 그에 상응하는 제어되어야 하는 비상정지장치들(11.1, 11.2)의 양자는 기능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들은 거울상 이미지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차이가 있다.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에 대한 다음의 설명에서, 비록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들 중 하나만을 참조하였지만, 이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는 좌측 및 우측의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1, 18.2)를 항상 포함하고 있다. 도 4 내지 8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이러한 장치는 유리하게는 비상정지장치(11)와 함께 직접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비상정지장치(11)는 공지의 편심 비상정지장치이다. 편심 비상정지장치는, 필요한 경우에, 편심륜(14)에 의하여 안내레일(9)의 제동면쪽으로 향해 가게 되는 제동 슈(15)를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편심륜은 연결바(17)에 의하여 이동되거나 또는 회전된다. 반대편의 제동 라이닝(16)을 통하여는, 대항력이 전개된다.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는 비상정지장치(11) 위에 배치되어 있어서, 연결 바를 통하여,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는 유리하게는 하우징(19) 내에 일체로 형성된다. 하우징(19) 내에 설치되어 있는 역압롤러(37)가 하우징(19)을 안내하고, 따라서 안내레일(9)을 따라 정확하게 위치하고 있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를 안내한다. 역압롤러(37)는 통상 솟아오른 상태로 구현된다. 대안적으로, 역압롤러는 또한 속도 센서(40)(이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을 직접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내에 위치하는 것은 연결기 본체(20)이다. 연결기 본체(20)는 회전축(2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22)이 연결축(23)을 통하여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1, 18.2)에 연결(도 3, 11 참조)됨으로써, 두 개의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1, 18.2)가 서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래치(latch) 또는 스프링 매커니즘에 의하여, 회전축(22) 또는 연결기 본체(20)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준비 위치로 유지된다. 이 준비 위치에서, 연결기 본체(20), 또는 연결기 본체(20)의 연결기 표면(21) 각각과, 안내레일(9)의 사이에, 공기 간극이 존재한다. 이에 의해 이러한 비상정지장치 작동 목적의 장치(18) 위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가 방해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의 준비 위치에 상응하게, 비상정지장치(11)가 또한 그 준비 위치에 있는데, 예컨대 제동 슈(15), 편심륜(14), 및 반대편의 제동 라이닝(16)은 안내레일(9)에 대한 공기 간극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회전축(22) 상에 지지되어 있는 것은 제어암(control arm)(27)이다. 제어암(27)은 연결기 본체(2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에서 작동될 수 있는 비상정지장치의 이용에 의하여, 제어암은 정상 위치로 -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유지물은, 예컨대, 볼캐치(ball catch)에 의하여, 또는 자기적으로, 또는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연결기 본체(20)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은 연결기(28)들이다. 연결기 본체(20)의 회전 시에, 연결기(28)가 제어암(27)을 함께 끌고 감으로써(도 7 참조) 회전축(22)을 회전시킬 때까지 제어암(27)은 정상 위치로 유지된다.
회전축(22)에 대하여, 연결기 본체(20)의 연결기 표면(21)은, 연결기 본체(20)의 회전으로부터 초래되는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축(22)에 대한 연결기 표면(21)의 거리가 증가하게 하는 식으로 구현된다.
이 실시예에서, 연결기 본체(20)는 두 개의 부분으로 구현되어 있다. 연결기 본체는 연결기 본체(20)의 주 본체를 형성하는 고정된 연결기 부분(20.1)을 포함하고 있다. 고정된 연결기 부분(20.1)은, 충분히 회전하였을 때, 제어암(27)을 함께 끌고 가는 연결기(28)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된 연결기 부분(20.1)에 매입되어 있는 것은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이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준비 위치에서,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은 고정된 연결기 부분(20.1) 내에 들어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관련되는 공급장치(43)는 도 9a 및 9b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가, 예컨대, 안전장치(41) 또는 감시장치(42)(도 1, 3, 또는 11)에 의하여 이제 작동되면,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는 도 6에서와 같이 안내레일(9)쪽으로 향해 가게 된다. 이동체, 또는 비상정지장치작동용 장치(18)가 안내레일(9)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로 남아있는 한, 비상정지장치(11)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은 그 자체가 다시 준비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예컨대,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를 이용할 때, 또는 비교적 장시간의 정전 중에도, 도움이 된다. 비록 에너지 저장기가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을 사전에 규정된 시간 동안 준비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고 하여도, 에너지 절감의 이유 또는 다른 이유로,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은 안내레일(9)쪽으로 향해 갈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스위치가 다시 온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가동형 연결기 부분만이 다시 준비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시스템은 다시 작동을 위한 준비상태가 된다. 특히, 자명하게도,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예컨대, 어떤 이동지시도 없을 때, 내리는 곳 또는 층에서의 비교적 짧은 정지 도중에도,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는 안내레일(9)을 향해 갈 수 있다. 이동지시가 있자마자, 가동형 연결기 부분은 간단하게 준비 위치로 다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 또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가 안내레일(9)에 대하여 더욱 이동하자 마자, 연결기 본체(20)는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과 고정형 연결기 부분(20.1)에 의하여 결정되는 연결기 표면(21)에 의해 회전축(22) 상에서 회전한다. 그러나, 공주장치(26)의 연결기(28)가 제어암(27)에 도달하지 않는 한, 제어암(27)은 그의 안정 위치로 남아 있게 된다. 비상정지장치(11)는 그 자체가 비작동 상태로 남아 있다. 연결기 본체(20)만이 이러한 이동 거리에 걸쳐서 이동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압력이 비교적 적게 유지될 수 있다. 연결기 표면(21)의 곡면을 통하여, 이러한 가압력이 천천히 증가되어, 공주장치(26)의 공주 실행 후에는, 충분한 가압력 및 그에 따른 연결력이 비상정지장치(11)의 작동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체 또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가 이제 안내레일(9)에 대하여 계속 이동하면, 연결기 본체(20)는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과 고정형 연결기 부분(20.1)에 의하여 결정되는 연결기 표면(21)에 의해 회전축(22) 상에서 더욱 회전하게 된다. 공주장치(26)의 연결기(28)는 이제 연결기와 함께 제어암(27)을 동반함으로써 연결 바(17)를 통하여 비상정지장치(11)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편심륜(14)를 회전시켜 안내레일(9)과 마찰 접촉하게 함으로써, 제동 슈(15)와 반대편의 제동 라이닝(16)을 통한 제동력의 생성을 초래한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이동체 또는 엘리베이터 카는 안전하게 정지상태에 이를 수 있다.
자명하게, 연결 바(17) 및 가능한 배열의 레버들 또는 조인트들에 의하여, 결합 쐐기(wedge)들 또는 결합 롤러들을 가지는 비상정지장치들이 이용되거나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비상정지장치의 경우에 있어서는, 편심륜 대신에 쐐기 또는 롤러가 상응하여 상승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도 5의 실시예에서는, 공급장치(43)가 연결축(23)의 구성부품으로서 구현되어 있다. 도 9a 및 9b에서는, 이 공급장치(43)의 기능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위 도면들은, 단부-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양 단부-영역에서, 이러한 공급장치(43)를 포함하는 연결축(23)의 수평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에서는, 안내레일(9)의 제동면과 연결기 본체(20)의 사이에, 공기 간극이 있다. 이는 도 4에서 설명되고 도시된 바와 같은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의 준비 위치에 해당된다. 고정형 연결기 부분(20.1)은 연결축(23)의 연결요소(23.1)에 배치되어 있다. 이 고정형 연결기 부분(20.1) 내에,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이 안내핀(35)을 통하여 수용되어 있다. 압축스프링으로 도시되는 것이 바람직한 안내스프링(36)이 안내핀(35)을 통하여 안내레일의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를 가압하여 멀어지게 하거나, 또는 가동형 연결기 부분을 고정형 연결기 부분(20.1)의 안으로 끌어 당긴다. 연결축(23)의 연결요소(23.1)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는 것은 아마츄어 핀(32)을 끌어당길 수 있는 전자석(29)이다. 전자석(29)의 무전류 상태에서, 아마츄어 핀(32)은 아마츄어 스프링(34)에 의하여 작동 위치로 가압되고, 전자석(29)의 부족-전류 상태에서는, 아마츄어 스프링(34)을 거슬러서 준비 위치로 유지된다. 만약,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마츄어 핀(32)이 아마츄어 스프링(34)에 의하여 작동 위치로 가압되면, 아마츄어 핀의 원추형의 구현에 의하여, 첨단부(33)가 안내핀(35)를 가압하고, 그에 따라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을 가압하여 안내레일(9)에 맞닿게 한다. 따라서 아마츄어 스프링(34)은 안내레일(9)에 대해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를 가압하는 가압스프링(34)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해 안내레일(9)에 대한 가압력이 생성되어, 연결기 본체(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되거나 작동될 수 있다.
전자석(29)를 스위칭 온 및 오프함으로써, 연결기 본체(20)의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이 준비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거나, 또는 이동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석(29)의 부족-전류 상태는 준비 위치에 해당된다. 비상정지장치(11)를 작동시키는 제1 단계에서는, 연결기 본체(20)만이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관련되는 가압력은 적게 선택될 수 있다. 이는, 그에 따라 더 작은 전자석이 선택될 수 있음으로써, 에너지 소비도 적게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명하게, 원칙적으로, 이러한 작동원리는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 및 이 연결기 부분을 준비 상태로 유지하는 아마츄어 스프링을 가압하는 통전된 전자석을 통하여, 반대로 이용될 수도 있다. 비록 이 때문에 더 적은 에너지가 필요하다고는 하여도, 전자석은 전기 에너지의 공급을 항상 필요로 한다.
연결기 본체(20)가 공주장치(26)의 공주에 따라 각각 연결축(23) 또는 연결축(23)의 연결요소(23.1)에서 회전할 때(도 4 내지 도 8 참조), 제어암(27)이 연결축(23)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들, 또는 관련되는 비상정지장치(11)들의 불가피한 동시작동이 발생된다.
유리하게는, 공급장치(43)가 연결축(23)의 양 단부-영역에 설치되기 때문에, 공급장치(43)들 중 하나가 고장 난 경우에도, 양 비상정지장치는 여전히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도 10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하게는 두 개의 공급장치(43)의 두 개의 전자석(29)이 안전장치(41)에 직렬로 연결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예컨대, 전자석의 권선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직렬로 연결된 제2 전자석도 즉시 차단된다.
자명하게, 공급장치, 또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의 작동 위치는 각각, 전기스위치들 또는 센서들에 의하여 감시될 수 있다. 이들 스위치 또는 센서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데, 이들 스위치 또는 센서는 필요에 따라 전문가에 의하여 설치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은 도 1 내지 3에 대하여 보완적이거나 또는 선택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1)의 안전개념의 실시예이다. 여기에서, 비상정지장치(11) 및 관련되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들을 가지고 있고, 안전장치(41) 및/또는 감시장치(42)와 같은 상응하는 제어장치들을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카(3)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속도센서(40)들 및 적당한 에너지 저장기(46)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균형추(4)에는 느슨해진-로프 작동기(38)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질적으로 공지된 비상정지장치(11g)가 구비되어 있다. 이는, 현가력이 사전에 규정된 시간 동안 사전 설정치 미만으로 떨어질 때에는, 비상정지장치(11g)가 작동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동 내의 현가수단(5)이 파손되었다면, 엘리베이터 카(3)의 비상정지장치(11)가 상응하는 제어장치들을 통하여 작동될 것이어서, 엘리베이터 카(3)는 안전하게 제동될 것이다. 현가수단에서의 현가력은 그때 갑자기 없어지기 때문에, 느슨해진-로프 작동기(38)가 그 때 균형추의 비상정지장치(11g)를 작동시켜, 떨어지는 것에 대비하여 균형추(4)를 고정할 것이다. 느슨해진-로프 작동기(38) 내의 작동 지연기 또는 감쇄장치(39)에 의하여, 느슨해진-로프 작동기(38)에서의 순간적인 진동 효과가 비상정지장치(11g)를 작동시키지 못한다는 것이 확실해진다.
자명하게, 균형추(4)에 이전의 기재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가 또한 구비될 수 있고,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은 작동이 별도의 제어장치를 통하거나, 또는 이동 케이블들, 보정로프들,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통한 제어 및 에너지 연결부들을 통하여 발생될 수 있다.
도시된 장치들은 전문가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맞춰질 수 있다. 제동기들이 카(3)의 위 또는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동기 쌍들이 카(3) 상에 이용될 수 있다. 자명하게, 제동장치가,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제동장치를 가지는 복수의 카들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제동장치가 또한 균형추(4) 상에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동장치가 자체-추진형 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Claims (15)

  1. 이동체(3, 4)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내레일(9) 또는 제동레일 상에서 이동체(3, 4)를 제동 및 유지하도록 마련된 비상정지장치(11, 11.1, 11.2, 11g)와, 이동체(3, 4) 상에 배치되어 비상정지장치(11, 11.1, 11.2, 11g)에 연결되어 있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상기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9)에 가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 본체(20)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정지장치의 상기 작동이 가압된 연결기 본체(20)와 상기 비상정지장치 사이의 상대운동에 의하여 실행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 내에서 안내레일(9)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체(3, 4)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연결기 본체(20)가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 내의 회전축(22) 주위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곡면인 연결기 표면(21)을 포함하고,
    곡면 형상인 연결기 표면(21)이, 각각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9)에 대한 연결기 본체(20)의 가압력이 연결기 본체(20)의 회전 범위를 지남에 따라 증가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이동체(3, 4)가 적어도 두 개의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9)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고, 각 경우에 있어서, 제1 비상정지장치(11, 11.1)가 제1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9)과 상호작용하여 제1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를 통하여 작동할 수 있게 하는 식으로 적어도 두 개의 비상정지장치(11, 11.1, 11.2, 11g)가 이동체(3, 4)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비상정지장치(11, 11.2)가 제2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9)과 상호작용하여, 제2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2)를 통하여 작동할 수 있고, 추가로 상기 두 개의 상기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 및 이에 의한 양 비상정지장치 둘 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작동하도록 하는 식으로 상기 연결기 본체의 회전축(22)이 두 개의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를 서로 연결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들(18, 18.1, 18.2)의 각각은, 이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들의 각각이 단독으로 연결기 본체(20)의 회전축(22)을 통하여 연결된 상기 비상정지장치들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식으로 설계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가압된 연결기 본체(20)와 비상정지장치(11, 11.1, 11.2, 11g) 사이의 제1 상대운동 범위에 걸쳐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상기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9)에 대한 연결기 본체(20)의 가압력이 각각 증가하게 되고, 제2 상대운동 범위에 걸쳐서는, 안전장치가 작동되게 하는 식으로 연결기 본체(20)의 곡면인 연결기 표면(21)이 공주장치(26)를 통하여 비상정지장치(11, 11.1, 11.2, 11g)에 연결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기 본체(20)는, 가압스프링(24, 34)에 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또는 상기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9)에 각각 가압될 수 있고, 전자석(29)에 의하여 준비 위치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전자석(29)에는 에너지 저장기(46)를 통하여 에너지가 공급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연결기 본체(20)가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과 고정형 연결기 부분(20.1)을 포함하고, 가압스프링(24, 34)에 의하여,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이 상기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9)에 가압될 수 있으며, 전자석(29)이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을 상기 준비 위치로 유지할 수 있거나, 또는 가동형 연결기 부분(20.2)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또는 상기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9)에 각각 가압되지 않게 하는 식으로 전자석(29)이 가압스프링(24, 34)을 거꾸로 가압되게 유지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가 비상정지장치(11, 11.1, 11.2, 11g)를 이동 방향들 중 하나의 이동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고,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가 비상정지장치(11, 11.1, 11.2, 11g)를 양 이동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는, 각각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9)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9)에 대한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의 위치를 확고하게 하는 역압롤러(37)를 추가로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역압롤러(37)가 속도측정장치(40)를 포함하고, 속도 감시장치가 속도측정장치(40)를 이용하여 이동속도를 감시하여, 한계속도가 초과되는 경우에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를 작동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체(3, 4)가 정지하게 되는 경우에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가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정지 상태로부터 이동체(3, 4)가 제어되지 않은 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가 비상정지장치(11, 11.1, 11.2, 11g)를 작동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이동체(3, 4)가 엘리베이터 카(3)이고, 상기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가, 상기 이동속도의 기준속도로부터의 편차를 측정할 수 있고, 허용할 수 없는 편차의 감지 시에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전자 안전장치(41)에 연결되어 있거나,
    이동체(3, 4)가 엘리베이터 카(3)이고,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가, 엘리베이터 카(3)가 정지한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3)의 정지상태로부터의 일어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작동하고, 예상치 못한 이동의 감지 시에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를 작동시킬 수 있는 감시장치(42)에 연결되어 있거나,
    추가의 이동체(3, 4), 또는 이동체(3,4)가 각각 균형추이고,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가 속도감시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가 이동케이블 또는 현가로프(8)의 신호 전도체를 통하여 작동되거나, 또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가 무선 연결부를 통하여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이동체(3, 4)가 엘리베이터 카(3)이고,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가, 상기 이동속도의 기준속도로부터의 편차를 측정할 수 있고, 허용할 수 없는 편차의 감지 시에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전자 안전장치(41)에 연결되어 있거나,
    이동체(3, 4)가 엘리베이터 카이고,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가, 엘리베이터 카(3)가 정지한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3)의 정지상태로부터의 일어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작동하고, 예상치 못한 이동의 감지 시에는,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를 작동시킬 수 있는 감시장치(42)에 연결되어 있으며,
    추가의 이동체(3, 4), 또는 상기 이동체가 각각 균형추(4)이고, 이러한 균형추(4)가 비상정지장치(11, 11g)와 이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느슨해진-로프 작동기(38)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느슨해진-로프 작동기(38)가 작동 지연기(39)에 의하여 구현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5.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에서 비상정지장치(11, 11.1, 11.2, 11g)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가, 곡면인 연결기 표면(21)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 본체(20)를 포함하고, 연결기 본체(20)가 비상정지장치 작동용 장치(18, 18.1, 18.2) 내에서 회전축(22) 주위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연결기 본체(20)가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9)에 가압될 수 있으며, 비상정지장치(11, 11.1, 11.2, 11g)의 작동이 가압된 연결기 본체(20)와 비상정지장치(11, 11.1, 11.2, 11g) 사이의 상대운동에 의하여 실행되고, 곡면 형상인 연결기 표면(21)이, 각각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또는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9)에 대한 연결기 본체(20)의 가압력이 연결기 본체(20)의 회전 범위를 지남에 따라 증가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방법은,
    -연결기 본체(20)를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또는, 상기 안내레일 또는 제동레일에 가압하는 단계;
    -연결기 본체(20)를 회전축(22) 주위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가압된 연결기 본체(20)와 비상정지장치(11, 11.1, 11.2, 11g) 사이의 상대운동을 통하여, 비상정지장치(11, 11.1, 11.2, 11g)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37018420A 2010-12-17 2011-12-09 비상정지장치의 작동 KR101922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95791.8 2010-12-17
EP10195791 2010-12-17
PCT/EP2011/072275 WO2012080104A1 (de) 2010-12-17 2011-12-09 Betätigung einer fang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771A KR20140042771A (ko) 2014-04-07
KR101922268B1 true KR101922268B1 (ko) 2018-11-26

Family

ID=4400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420A KR101922268B1 (ko) 2010-12-17 2011-12-09 비상정지장치의 작동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9169104B2 (ko)
EP (1) EP2651809B1 (ko)
KR (1) KR101922268B1 (ko)
CN (1) CN103261075B (ko)
AU (1) AU2011344431B2 (ko)
BR (1) BR112013014960B1 (ko)
CA (1) CA2819149C (ko)
ES (1) ES2558005T3 (ko)
HK (1) HK1185332A1 (ko)
MY (1) MY167018A (ko)
NZ (1) NZ610682A (ko)
RU (1) RU2576366C2 (ko)
SG (1) SG191037A1 (ko)
WO (1) WO2012080104A1 (ko)
ZA (1) ZA2013046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1009909B1 (pt) * 2009-04-20 2019-10-29 Inventio Ag instalação de elevador com no mínimo uma cabine de elevador e com no mínimo um contrapeso
FI122183B (fi) * 2010-03-15 2011-09-30 Kone Corp Menetelmä ja laite hissin sähkökäytön käyntiinajamiseksi
CN102858672B (zh) * 2010-04-19 2015-02-11 因温特奥股份公司 升降机系统中悬吊件运行状态的监控
AU2011344429B2 (en) * 2010-12-17 2017-03-30 Inventio Ag Arrangement for actuating and restoring an intercepting apparatus
KR20140002760A (ko) * 2011-03-22 2014-01-0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제동 시스템
ES2547452T3 (es) * 2011-09-30 2015-10-06 Inventio Ag Dispositivo de freno con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electromecánico
ES2566063T3 (es) 2011-09-30 2016-04-08 Inventio Ag Dispositivo de freno con accionamiento electromecánico
KR102036941B1 (ko) * 2012-03-20 2019-11-26 인벤티오 아게 리프트 시스템에서의 캐치 디바이스
BR112015011997B1 (pt) * 2012-11-27 2022-01-18 Inventio Ag Freio de segurança para um sistema de elevador com pelo menos um corpo móvel e método para a frenagem e retenção de um corpo móvel de um sistema de elevador
US9745171B2 (en) * 2012-12-13 2017-08-29 Inventio Ag Safety brake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EP2837592A1 (en) 2013-08-13 2015-02-18 Aplicaciones Electromecanicas Gervall, S.A. Driving system for a lift safety gear
ES2695649T3 (es) 2013-09-11 2019-01-09 Otis Elevator Co Dispositivo de frenado para frenar un objeto izado con respecto a un miembro de guía
ES2682749T3 (es) * 2014-09-24 2018-09-21 Inventio Ag Freno de ascensor
CN104267730B (zh) * 2014-10-21 2017-07-28 山东鲁能智能技术有限公司 室内轨道式智能巡检机器人系统
CN107531451B (zh) * 2015-04-28 2020-06-09 奥的斯电梯公司 用来确保预定电梯竖井间隙的用于电梯系统的监测系统
US11066274B2 (en) 2015-06-30 2021-07-20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magnetic safety trigger
US10654686B2 (en) 2015-06-30 2020-05-19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magnetic safety trigger
US10894695B2 (en) * 2015-08-04 2021-01-19 Otis Elevator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actuating an elevator safety brake
EP3141511B1 (en) * 2015-09-08 2019-01-02 Otis Elevator Company Housing assembly for a safety actuation device
CN105110121A (zh) * 2015-09-26 2015-12-02 胡特特 顶部拉绳自主供给系统
US10584014B2 (en) * 2015-12-07 2020-03-10 Otis Elevator Company Robust electrical safety actuation module
EP3205615A1 (en) * 2016-02-15 2017-08-16 KONE Corporation Elevator
US10112803B2 (en) * 2016-04-01 2018-10-30 Otis Elevator Company Protection assembly for elevator braking assembly speed sensing device and method
US20170283216A1 (en) * 2016-04-01 2017-10-05 Otis Elevator Company Condition sensing arrangement for elevator system brake assembly and method
US10252884B2 (en) 2016-04-05 2019-04-09 Otis Elevator Company Wirelessly powered elevator electronic safety device
US10889468B2 (en) 2016-12-13 2021-01-12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s safety actuator
CN108792877A (zh) * 2017-02-05 2018-11-13 六安永贞匠道机电科技有限公司 风阻感应式电梯制动仪器
US10569993B2 (en) * 2017-03-29 2020-02-25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brake actuation mechanism for a hoisted structure
EP3388709B1 (de) * 2017-04-13 2021-01-06 Wölfel Engineering GmbH & Co. KG. Schwingungsdämpferanordnung
US10501286B2 (en) 2017-05-12 2019-12-10 Otis Elevator Company Simultaneous elevator car and counterweight safety actuation
US10562739B2 (en) * 2017-08-25 2020-02-18 Otis Elevator Company Synchronized electronic safety actuator
US11078045B2 (en) * 2018-05-15 2021-08-03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safety actuator for lifting a safety wedge of an elevator
EP3620419A1 (en) * 2018-09-07 2020-03-11 KONE Corporation Constant deceleration progressive safety gear system
EP3898481A1 (de) * 2018-12-21 2021-10-27 Inventio AG Aufzugssystem-anordnung mit einer aufzugsbremseinrichtung
KR20220051347A (ko) * 2019-08-29 2022-04-26 다이나텍, 다이나믹스 앤드 테크놀러지, 에스. 엘. 승강기용 양방향 비상 정지 장치의 전기 기계적 작동부
ES2821007B2 (es) * 2019-09-06 2022-02-21 Orona S Coop Dispositivo paracaídas electromecánico de aparatos elevadores
CN111024353B (zh) * 2019-12-16 2021-12-21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冲击力测试装置及方法
KR102210831B1 (ko) * 2020-01-23 2021-02-02 김옥수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CN111245301A (zh) * 2020-03-25 2020-06-05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防坠助爬器的控制系统
CN111776913B (zh) * 2020-07-20 2021-11-19 台州学院 一种曲杆式防失效电梯安全钳及电梯
CN115676549A (zh) * 2021-07-21 2023-02-03 奥的斯电梯公司 电梯安全系统和电梯设备
JPWO2023152979A1 (ko) * 2022-02-14 2023-08-17
EP4273081A1 (en) 2022-05-05 2023-11-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with electronic safety actuator
CN115092789B (zh) * 2022-08-25 2022-11-11 河南起升智能科技有限公司 防意外移动装置、防意外移动组件和电梯
US11975945B1 (en) 2022-11-28 2024-05-07 Otis Elevator Company Frictionless safety brake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7751C (ko)
DE476095C (de) 1926-09-19 1929-05-10 Franz Janotta Zwanglaeufig bremsende Fangvorrichtung fuer Foerderschalen und sonstige Fahrstuehle
US2493553A (en) 1948-08-18 1950-01-03 Otis Elevator Co Safety apparatus for elevators
CN2091849U (zh) * 1991-06-08 1992-01-01 上海市建筑施工技术研究所 升降机吊笼防坠制动装置
ATE158560T1 (de) 1991-11-18 1997-10-15 Inventio Ag Vorrichtung zum auslösen von sicherheitseinrichtungen
ATE170822T1 (de) 1993-08-24 1998-09-15 Garaventa Holding Ag Fang- und blockiereinrichtung für einen auf laufschienen geführten laufwagen eines schräg- oder senkrechtaufzugs
CN1308213C (zh) 2001-07-04 2007-04-04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防止电梯轿厢出现不允许的高的运行速度的方法
JPWO2004085303A1 (ja) * 2003-03-24 2006-06-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常ブレーキ装置
RU2253604C2 (ru) * 2003-07-22 2005-06-10 Матвейкин Юрий Владимирович Лифт и устройство включения ловителей кабины лифта с подвешенным на траверсе купе
JP4709650B2 (ja) 2003-10-07 2011-06-2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用の遠隔リセット可能なロープ無し非常停止装置
JP4410248B2 (ja) * 2004-03-15 2010-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動装置
US7721852B2 (en) 2004-03-30 2010-05-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of elevator
EP1602610B1 (en) 2004-06-02 2010-04-14 Inventio Ag Elevator supervision
AT501415B1 (de) * 2005-01-21 2009-01-15 Wittur Gmbh Brems- bzw. fangeinrichtung für eine aufzugskabine
BRPI0601926B1 (pt) * 2005-06-17 2018-06-12 Inventio Aktiengesellschaft Dispositivo de pára-quedas do freio
KR200416358Y1 (ko) * 2006-02-28 2006-05-15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제동장치
US8186483B2 (en) * 2006-11-08 2012-05-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raking device
WO2008099487A1 (ja) * 2007-02-15 2008-08-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101679001B (zh) 2007-06-04 2012-07-0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安全装置
US8297413B2 (en) 2007-06-21 2012-10-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rope slip detection method using drive sheave acceleration
KR101334712B1 (ko) 2009-03-16 2013-11-2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과가속 및 과속 검출 및 처리 시스템
BR112012023034A8 (pt) * 2010-03-18 2017-10-17 Inventio Ag atuador para dispositivo de frenagem e sistema de elevador
KR20140002760A (ko) * 2011-03-22 2014-01-0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제동 시스템
PL2788271T3 (pl) * 2011-12-09 2015-08-31 Inventio Ag Uruchamianie hamulca bezpieczeństwa
KR102036941B1 (ko) * 2012-03-20 2019-11-26 인벤티오 아게 리프트 시스템에서의 캐치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61075A (zh) 2013-08-21
RU2013130304A (ru) 2015-01-27
CA2819149A1 (en) 2012-06-21
SG191037A1 (en) 2013-07-31
CA2819149C (en) 2019-02-12
BR112013014960B1 (pt) 2021-03-09
EP2651809A1 (de) 2013-10-23
NZ610682A (en) 2015-06-26
BR112013014960A2 (pt) 2016-09-13
WO2012080104A1 (de) 2012-06-21
ES2558005T3 (es) 2016-02-01
ZA201304618B (en) 2014-09-25
AU2011344431B2 (en) 2017-05-11
US20120152663A1 (en) 2012-06-21
RU2576366C2 (ru) 2016-02-27
US20150251878A1 (en) 2015-09-10
KR20140042771A (ko) 2014-04-07
HK1185332A1 (en) 2014-02-14
CN103261075B (zh) 2015-12-02
AU2011344431A1 (en) 2013-05-30
US9169104B2 (en) 2015-10-27
MY167018A (en) 2018-07-31
EP2651809B1 (de)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268B1 (ko) 비상정지장치의 작동
CA2821144C (en) Device for actuating and resetting a safety gear
JP5026743B2 (ja) プログレッシブ安全装置
US8991561B2 (en) Elevator braking equipment
RU2583829C2 (ru) Лифтовая установка, содержащая кабину и противовес
CN104203791B (zh) 电梯设备中的防坠装置
CN107337063B (zh) 自推进电梯和电梯制动系统
AU777664B2 (en) Method for braking a traction sheave elevator, traction sheave elevator and use of an emergency power supply
US9688511B2 (en) Brake
US7591351B2 (en) Brake for a lift
US20160272464A1 (en) Elevator with a safety brake
KR20080052449A (ko) 승강기 설비의 승강실을 유지 및 제동하기 위한 제동 장치및 승강기 설비의 유지 및 제동 방법
KR102605526B1 (ko) 승강형 구조체용 제동 시스템 및 승강형 구조체 제동 제어 방법
CN106687404A (zh) 电梯制动器
CN106715307A (zh) 电梯制动器
CN114787062A (zh) 用于作动电梯制动装置的触发单元
JP2004210423A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4829283A (zh) 用于电梯的防坠装置
US7419033B2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WO2021008701A1 (en) Elevator with an elevator car safety device acting on the stator beam
EP3517473A1 (en) Inertia brake for braking a governor rope of a governor system of an elevator system
KR980009084A (ko)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