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506B1 - 미스트 제거 베인의 현장 세척 설비 - Google Patents

미스트 제거 베인의 현장 세척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506B1
KR101920506B1 KR1020137017564A KR20137017564A KR101920506B1 KR 101920506 B1 KR101920506 B1 KR 101920506B1 KR 1020137017564 A KR1020137017564 A KR 1020137017564A KR 20137017564 A KR20137017564 A KR 20137017564A KR 101920506 B1 KR101920506 B1 KR 101920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assembly
mist removal
cleaning
vane
clean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698A (ko
Inventor
파드마나바 제이 프라부
Original Assignee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컴퍼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컴퍼니 엘엘씨 filed Critical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컴퍼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002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B01D45/1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which are wet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8Cleaning-o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용 현장 세척 설비에 관한 것이다. 세척 설비는 유입구 및 다공판을 구비한 분사 챔버를 포함하며, 다공판은 실질적으로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의 길이에 걸쳐서 수평적으로 연장된다. 세척 유체 공급원은 세척 공정시에 분사 챔버에 연결된다. 분사 챔버는 세척 유체를 수용하여, 세척 유체를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의 복수의 베인을 따라 하방으로, 드레인 트로프 내로 흘리도록 설계된다. 이 현장 세척 설비는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로부터 스케일 축적물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그에 따라 베인의 효율성을 회복시킨다.

Description

미스트 제거 베인의 현장 세척 설비{MIST REMOVAL VANE IN SITU CLEANING FIXTURE}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1년 1월 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 61/429,785 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본 발명은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mist removal separator vane)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케일 축적물을 제거하기 위한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의 현장(in situ) 세척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은 포화 증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구성요소에 설치된다.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은 스팀 증기(steam vapor) 사이에 액적(liquid droplet)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은 베인의 포켓에 미스트(mist)를 수집하고, 이러한 미스트를 포켓 아래로 흐르게 하여 스팀 증기로부터 액체를 분리한다. 다양한 구성요소 및 응용에서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는 비핵 응용뿐만 아니라 원자력 산업에도 사용된다. 비핵 시설물에서,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는 수분 분리기 및 유사한 구성요소에 설치된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는 또한 증기 발생기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증기 발생기에서의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의 설치 및 작동에 의해 베인 조립체 상에 스케일이 축적된다. 스케일 축적 속도는 증기 발생기 내로의 자철석(magnetite)과 같은 입자상 물질의 진입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가압수형 원자로(pressurized water reactor) 또는 중수형 원자로와 같은 원자로는 물의 분리 스트림을 1차 유체와 열전달 관계로 순환시키는 증기 발생기를 포함한다. 증기 발생기는 전형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쉘(shell), 및 튜브 번들(bundle)을 형성하기 위해 쉘에 배치된 복수의 U자형 튜브로 이루어진다. 1차 유체는 원자로를 통한 순환에 의해 가열되어 1차 유체 유입구를 통해 증기 발생기에 들어가고, U자형 튜브 번들을 통과하고 1차 유체 유출구를 빠져나와 원자로 쿨런트(coolant)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으로 흘러나간다. 동시에, 급수(feedwater)는 증기 발생기 2차측, 즉, 튜브 번들의 외측에 접속하는 증기 발생기의 측부에 도입된다. 열은 튜브 내의 1차 유체로부터 튜브 주변의 물로 전달되어 튜브 주변의 물의 일부가 증기로 변환되게 한다. 다음에, 수증기 및 물의 혼합물은 상승하여 증기로부터 혼입된 물(entrained water)을 분리시키는 다수의 수분 분리기를 통과하게 되며, 그 다음에 스팀 증기는 증기 발생기를 빠져나와서, 당해 분야에 잘 알려진 방식으로 발전하도록 전형적으로 터빈을 통해 순환된다.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는 증기 발생기(예를 들면, 2차측) 및/또는 수분 분리기에 위치될 수 있다.
증기 발생기를 통해 순환하는 급수에 포함된 자철석과 같은 입자상 물질의 진입은 증기 발생기에 위치한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에 스케일 축적을 야기할 수 있다. 그 결과,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의 유효성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되고, 증기에서의 수분 캐리오버(carryover)의 양은 증가한다. 수분 캐리오버의 증가는 효율적인 플랜트 가동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베인 조립체를 세척하여 스케일 축적물을 제거하고 베인 조립체의 유효성을 회복하는 것이 유익하다.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는 매우 다양한 설계 및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원자로의 증기 발생기 내부에 설치된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은 지그재그 형상 및 몇몇 매설된 포켓을 구비한다. 이러한 특정 설계는 증기 흐름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데 유효하지만, 베인 조립체를 분해하지 않고 세척하기 어렵다. 또한, 특정 증기 발생기 설계에 있어서, 베인 조립체의 유입면에 용접된 다공판은 또한 세척을 위한 베인에의 접근을 방해한다. 증기 발생기로부터 베인을 제거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 및 수고(labor)가 요구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인 비용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목적은,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를 분해할 필요없이, 베인을 효율적으로 세척하도록, 예를 들어 원자력 및 비핵 응용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에 배치되는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의 현장 세척용 세척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용 현장 세척 설비를 제공하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조립체는 베인 뱅크(vane bank) 및 드레인 트로프(drain trough)를 구비하며, 이들 베인 뱅크 및 드레인 트로프 모두는 실질적으로 조립체의 수평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베인 뱅크는 드레인 트로프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베인을 구비한다. 세척 설비는 베인 뱅크 위에 배치된 분사 챔버를 포함한다. 분사 챔버는 유입구 및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베인 뱅크의 수평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플레이트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세척 설비는 또한 세척 유체 공급원을 분사 챔버의 유입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분사 챔버는 세척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세척 유체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세척 유체는 플레이트의 구멍을 통과하여 복수의 베인을 따라 하방으로, 드레인 트로프 내로 통과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베인 뱅크 및 드레인 트로프를 구비하는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의 현장 세척 방법을 제공하며, 이들 베인 뱅크 및 드레인 트로프 모두는 실질적으로 조립체의 수평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베인 뱅크는 드레인 트로프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을 구비한다. 상기 방법은 분사 챔버, 및 세척 유체 공급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세척 설비를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분사 챔버는 베인 뱅크 위에 배치된다. 분사 챔버는 유입구 및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베인 뱅크의 수평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플레이트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세척 유체 공급원은 분사 챔버의 유입구에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분사 챔버는 세척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세척 유체를 수용하고, 이 세척 유체를 플레이트의 구멍을 통과하여 복수의 베인을 따라 하방으로, 드레인 트로프 내로 흘리도록 설계된다.
또한, 또다른 실시예는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용 현장 세척 설비를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조립체는 베인 뱅크 및 드레인 트로프를 구비하며, 이들 베인 뱅크 및 드레인 트로프 모두는 실질적으로 조립체의 수평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베인 뱅크는 드레인 트로프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베인을 구비한다. 세척 설비는 베인 뱅크 위에 배치된 분사 챔버를 포함한다. 분사 챔버는 유입구 및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베인 뱅크의 수평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플레이트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세척 설비는 또한 세척 유체 공급원을 분사 챔버의 유입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분사 챔버는 세척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세척 유체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세척 유체는 플레이트의 구멍을 통과하여 복수의 베인을 따라 하방으로, 드레인 트로프 내로 통과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읽을 때에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추가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제거 베인 조립체의 세척 설비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제거 베인 조립체의 세척 설비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제거 베인 조립체의 세척 설비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미스트 제거 베인 조립체의 세척 설비를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증기 발생기 및 미스트 제거 베인 조립체의 세척 설비를 포함하는 핵 증기 공급 시스템의 개략도.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세척 설비는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에 통합된다. 세척 설비는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가 현장에서 세척되게 한다.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부터 이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를 제거 또는 분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현장 세척은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을 세척하는 다른 수단에 비해 시간, 수고 및 비용 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가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는 베인 뱅크(vane bank) 및 드레인 트로프(drain through)를 포함하고, 이 드레인 트로프는 베인 뱅크 아래에 위치하고, 이 베인 뱅크는 서로 근접하여 이격되고 드레인 트로프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한다.
세척 설비는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 내의 베인 뱅크 위에 위치한 분사 챔버를 포함한다.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은 (상부에서) 분사 챔버와 (하부에서) 드레인 트로프 사이의 베인 조립체 내에 배치된다. 분사 챔버는 세척 공정이 실행될 때, 세척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원에 연결된 유입구를 포함한다. 또한, 분사 챔버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세척 유체는 공급원으로부터 분사 챔버 내로 흐르고, 그리고 구멍을 통과하여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의 수직 길이를 따라 하방으로 흘러서 드레인 트로프 내로 흐른다. 분사 챔버, 플레이트 및 드레인 트로프는 실질적으로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의 수평 길이에 걸쳐서 수평으로 연장된다.
세척 유체의 유로는 각종의 도달하기 어려운 베인 형상 및 구성에 세척 유체가 접근 및 침투할 수 있게 한다. 당해 분야에 알려진 베인 설계는 세척을 위한 접근이 어려운 앵글, 코너, 크레비스(crevice), 포켓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스케일 축적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의 베인은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고, 몇몇 매설된 포켓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포켓에의 침투 및 세척은, 다른 세척 기술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인 뱅크의 측면 상에 분사되는 세척 유체에 의해 달성되지 못할 수도 있다.
세척 유체는 세척용으로 당해 분야에 알려진 매우 다양한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 유체의 선택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의 구성 재료, 베인 조립체가 위치한 구성요소, 베인 조립체의 특정 적용, 및 스케일 축적물의 성분과 같은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세척 유체는 물, 알려진 세척제, 알려진 화학적 세척 제재 및 이것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의 세척시의 세척 유체의 사용후에 세척 유체 폐기물은 베인으로부터 제거된 스케일과 함께 드레인 트로프의 하류에 수집된다.
또한, 세척 설비의 구성 재료는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적용을 위해 당해 분야에 알려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재료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의 구성 재료, 베인 조립체가 위치한 구성요소, 베인 조립체가 위치한 시스템, 및 베인 조립체의 특정 적용과 같은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세척 설비는 세척 공정의 실행 동안에 세척 유체 공급원과 분사 챔버를 합체시키는 다양한 배관 및 연결부를 포함할 것이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세척 설비(10)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세척 설비(10)는 미스트 제거 베인 뱅크(30) 위에 배치된 세척제 분사 챔버(20)를 포함한다. 미스트 제거 베인 뱅크(30)는 복수의 미스트 제거 베인(본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미스트 제거 베인 조립체(15) 내에 배치된다. 미스트 제거 베인 뱅크(30)는 세척제 분사 챔버(20)와 드레인 트로프(25) 사이에 배치된다. 세척제 분사 챔버(20)는 세척 유체가 미스트 제거 베인 뱅크(30)로 들어가게 하기 위해 개구부(본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세척 유체는 세척제 분사 챔버(20)를 통과하여 미스트 제거 베인 뱅크(30)의 수직 길이를 따라 하방으로 흘러 드레인 트로프(25) 내로 흐른다. 세척 유체는 미스트 제거 베인 뱅크(30)의 미스트 제거 베인의 포켓(본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 내로 침투하여 포켓 상에 부착된 스케일을 제거한다. 세척 유체 및 이 세척 유체에 포함된 스케일은 드레인 트로프(25) 내로 그리고 드레인 트로프를 통해 흐른다. 드레인 트로프(25)로부터, 세척 유체 및 스케일은 증기 발생기(도시하지 않음)의 하측 부분으로 흐를 수 있고, 그곳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제거 베인 조립체 세척 설비(10')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스트 제거 베인 조립체(15), 세척제 분사 챔버(20), 드레인 트로프(25) 및 미스트 제거 베인 뱅크(30)를 포함한다. 또한, 도 2는 세척제 분사 챔버(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다공판(35), 및 다공판(35) 위에 위치한 호스 연결부(40)를 도시한다. 호스 연결부(40)는 세척 유체 공급원(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게 하고, 세척 유체가 세척제 분사 챔버(20)로 들어가게 한다. 그리고, 세척 유체는 다공판(35)를 통과하여 미스트 제거 베인 뱅크(30)를 따라 하방으로 흘러 드레인 트로프(25) 내로 흐른다.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세척 설비(10")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스트 제거 베인 조립체(15), 세척제 분사 챔버(20), 드레인 트로프(25) 및 미스트 제거 베인 뱅크(30)를 포함한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다공판(35)을 포함한다. 또한, 도 3은 미스트 제거 베인 뱅크(30) 내의 복수의 미스트 제거 베인(32), 및 다공판(35)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45)를 도시한다. 당업자는 미스트 제거 베인(32)의 개수, 및 개구부의 개수 및 배열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한 개수 및 배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복수의 미스트 제거 베인(32)을 세척하는 공정에 있어서, 세척 유체는 세척제 분사 챔버(20)로 들어가고, 다공판(35)의 복수의 개구부(45)를 통과하여 복수의 미스트 제거 베인(32)을 따라 하방으로 흘러 드레인 트로프(25) 내로 흐른다.
도 4는 증기 발생기(100) 및 증기 발생기(100) 내에 배치된 세척 설비(10)(도 1 참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스트 제거 베인 조립체(15), 세척제 분사 챔버(20), 드레인 트로프(25) 및 미스트 제거 베인 뱅크(30)를 포함한다. 세척 설비(10) 및 미스트 제거 베인 조립체(15)는 당해 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연결부(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증기 발생기에 연결된다.
도 5는 핵 증기 공급 시스템(110), 증기 발생기(도 4 참조), 및 핵 증기 공급 시스템(110) 내에 배치된 세척 설비(10)(도 1 참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증기 발생기(1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스트 제거 베인 조립체(15), 세척제 분사 챔버(20), 드레인 트로프(25) 및 미스트 제거 베인 뱅크(30)를 포함한다. 또한, 도 5는 원자로(111) 및 유동 라인(112, 113)을 도시한다. 1차 냉각수는 유동 라인(112, 113)을 통해 순환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의 현장 세척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세척 설비(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를 포함함)를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에, 예를 들어 부착 또는 결합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는 베인 뱅크 및 드레인 트로프를 포함하며, 이들 베인 뱅크 및 드레인 트로프 모두는 실질적으로 조립체의 수평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베인 뱅크는 드레인 트로프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을 갖는다. 상기 방법은 분사 챔버, 및 세척 유체 공급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세척 설비를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분사 챔버는 베인 뱅크 위에 배치된다. 분사 챔버는 실질적으로 베인 벵크의 수평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플레이트 및 유입구를 갖는다. 이 플레이트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세척 유체 공급원은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 분사 챔버의 유입구와 연결된다. 분사 챔버는 세척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세척 유체를 수용하고, 세척 유체를 플레이트의 구멍을 통과하여 복수의 베인을 따라 하방으로, 드레인 트로프 내로 흘리도록 설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세척 설비 및 현장 세척 방법은 다양한 구성요소 및 시스템에 포함된 다양한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세척 설비 및 현장 세척 방법은 증기 발생기 및 수분 분리기에 이용된다. 또한,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세척 설비 및 현장 세척 방법은 가압수형 원자로 및 중수형 원자로와 같은 원자로 시스템 내의 구성요소인 증기 발생기 및 수분 분리기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세부 사항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 및 대안예는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개시내용을 고려하여 개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전체 범위와, 그것의 임의의 모든 등가물로서 주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비한정적인 예시로서, 개구부(40)의 크기, 형상 및 개수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계자의 재량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비한정적인 예시는 분사 챔버의 바닥부에 다공판이 있으며, 이 다공판은 평판과 다른 형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현장 세척 설비(10)를 갖는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로서,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 및 현장 세척 설비(10)는 가압수형 원자로 내의 증기 발생기 내에 위치하고,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는 상기 가압수형 원자로 내에서 생성된 증기로부터 수분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의 수평 길이에 걸쳐서 연장하고 복수의 베인(32)을 구비하는 베인 뱅크(30); 및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의 수평 길이에 걸쳐서 연장하는 드레인 트로프(25)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32)은 드레인 트로프(25)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현장 세척 설비(10)는, 상기 베인 뱅크(30) 내 스케일 축적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증기 발생기로부터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를 제거하지 않고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의 현장 세척을 제공하기 위해 세척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인 뱅크(30) 위에 배치된 분사 챔버(20)로서, 상기 분사 챔버(20)는 유입구 및 플레이트(35)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35)는 상기 베인 뱅크(30)의 수평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35)에는 복수의 구멍(4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척 유체를 수용하고 상기 세척 유체를 상기 플레이트(35) 내의 구멍(45)을 통과시켜 상기 복수의 베인(32)을 따라 하방으로 그리고 상기 드레인 트로프(25) 내로 흘리도록 구성되는, 상기 분사 챔버(20)와,
    세척 공정의 실행 동안, 상기 분사 챔버(20)로의 상기 세척 유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세척 유체 공급원과,
    상기 세척 유체 공급원을 상기 분사 챔버(20)의 유입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40)을 포함하는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5)는 상기 분사 챔버(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세척 유체 폐기물 및 상기 복수의 베인(32)로부터 제거된 상기 스케일 축적물은 상기 드레인 트로프(25)로부터 상기 증기 발생기의 하측 부분 내로 흐르고, 상기 하측 부분으로부터 배출되는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5)는 상기 베인 뱅크로부터 분사 챔버를 분리하는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
  9. 가압수형 원자로 내의 증기 발생기 내에 위치하는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를 상기 증기 발생기로부터 제거하지 않고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의 현장 세척을 제공하도록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로부터 스케일 축적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증기로부터 수분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는 베인 뱅크(30) 및 드레인 트로프(25)를 구비하고, 상기 베인 뱅크(30) 및 드레인 트로프(25) 모두는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의 수평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고, 상기 베인 뱅크(30)는 상기 드레인 트로프(25)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32)을 구비하는,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 제공 단계와,
    상기 베인 뱅크(30) 내의 스케일 축적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현장 세척 설비(10)를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에 연결하는 단계로서, 상기 현장 세척 설비(10)는,
    상기 베인 뱅크(30) 위에 배치된 분사 챔버(20)로서, 상기 분사 챔버(20)는 유입구 및 플레이트(35)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35)는 상기 베인 뱅크(30)의 수평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35)에는 복수의 구멍(4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사 챔버(20)는 세척 유체를 수용하고 상기 세척 유체를 상기 플레이트(35) 내의 구멍(45)을 통과시켜 상기 복수의 베인(32)을 따라 하방으로 그리고 상기 드레인 트로프(25) 내로 흘리도록 구성되는, 상기 분사 챔버(20)와,
    세척 공정의 실행 동안, 상기 분사 챔버(20)로의 상기 세척 유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세척 유체 공급원과,
    상기 세척 유체 공급원을 상기 분사 챔버(20)의 유입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40)을 포함하는, 상기 현장 세척 설비(10) 연결 단계와,
    세척 공정의 실행 동안, 상기 세척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분사 챔버(20) 내로 상기 세척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 유체가 상기 플레이트(35) 내의 구멍(45)을 통과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32)을 따라 하방으로 흐르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베인(32)으로부터 스케일 축적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와,
    세척 유체 폐기물 및 상기 복수의 베인(32)로부터 제거된 상기 스케일 축적물을 상기 드레인 트로프(25) 내로 모으는 단계와,
    상기 드레인 트로프(25)로부터 상기 세척 유체 폐기물 및 상기 스케일 축적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로부터의 스케일 축적물 제거 방법.
  10. 가압수형 원자로의 핵 증기 공급 시스템 내에 위치하는 증기 발생기(100)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기 내의 증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로서,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는 베인 뱅크(30) 및 드레인 트로프(25)를 구비하고, 상기 베인 뱅크(30) 및 드레인 트로프(25) 모두는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의 수평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고, 상기 베인 뱅크(30)는 드레인 트로프(25)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32)을 구비하는,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와,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에 연결되고 상기 증기 발생기로부터 상기 베인 뱅크(30)의 제거 없이 상기 미스트 제거 분리기 베인 조립체(15)의 현장 세척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베인 뱅크(30)로부터 스케일 축적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현장 세척 설비(10)로서,
    상기 베인 뱅크(30) 위에 배치된 분사 챔버(20)로서, 상기 분사 챔버(20)는 유입구 및 플레이트(35)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35)는 상기 베인 뱅크(30)의 수평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35)에는 복수의 구멍(4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사 챔버(20)는 세척 유체를 수용하고 상기 세척 유체를 상기 플레이트(35) 내의 구멍(45)을 통과시켜 상기 복수의 베인(32)을 따라 하방으로 그리고 상기 드레인 트로프(25) 내로 흘리도록 구성되는, 상기 분사 챔버(20)와,
    세척 공정의 실행 동안, 상기 분사 챔버(20)로의 상기 세척 유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세척 유체 공급원과,
    상기 세척 유체 공급원을 상기 분사 챔버(20)의 유입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40)을 포함하는, 상기 현장 세척 설비(10)를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11. 삭제
  12. 삭제
KR1020137017564A 2011-01-05 2012-01-05 미스트 제거 베인의 현장 세척 설비 KR101920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29785P 2011-01-05 2011-01-05
US61/429,785 2011-01-05
PCT/US2012/020274 WO2012094455A1 (en) 2011-01-05 2012-01-05 Demister vane in situ cleaning fixture
US13/343,736 US8945291B2 (en) 2011-01-05 2012-01-05 Demister vane in situ cleaning fixture
US13/343,736 2012-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698A KR20140002698A (ko) 2014-01-08
KR101920506B1 true KR101920506B1 (ko) 2018-11-20

Family

ID=4637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564A KR101920506B1 (ko) 2011-01-05 2012-01-05 미스트 제거 베인의 현장 세척 설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45291B2 (ko)
EP (1) EP2661313B1 (ko)
JP (1) JP5980230B2 (ko)
KR (1) KR101920506B1 (ko)
CA (1) CA2822906C (ko)
ES (1) ES2707300T3 (ko)
WO (1) WO20120944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1789B (zh) * 2020-08-06 2021-11-26 内蒙古中云盛源科技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喷淋降尘装置
CN112807913A (zh) * 2020-12-26 2021-05-18 界首市成铭塑业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可视化塑料造粒烟气智能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9017A (en) 1926-05-11 1933-02-28 American Air Filter Co Apparatus for filtering air
GB360366A (en) 1930-08-01 1931-11-02 Norman Leslie Snow Improvements in 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gases
GB450439A (en) 1935-01-12 1936-07-17 Hanrez Sa J Atel Improvements in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dust from, and/or the purification of, gases by washing
US2878892A (en) * 1954-09-22 1959-03-24 Ozonair Engineering Company Lt Self-cleaning filters
JPS4124943Y1 (ko) * 1964-11-07 1966-12-20
US4157250A (en) * 1972-09-22 1979-06-05 Ulrich Regehr Scrubber apparatus for washing gases and having a coarse and fine droplet separator
JPS5150950A (en) * 1974-10-30 1976-05-06 Dainippon Toryo Kk Kanshikitosobuusuno toryomisutokaishusochi
US4056477A (en) 1976-06-21 1977-11-01 Riga, Inc. Separating apparatus for clarifying liquid
US4251242A (en) * 1979-02-12 1981-02-17 Ngk Insulators, Ltd. Mist eliminator
DE3008718A1 (de) 1980-03-07 1981-09-24 Heinz Ing.(grad.) 4390 Gladbeck Hölter Chemisorptionswaescher mit integrierter oxidationsstufe
JPS604898A (ja) * 1983-06-23 1985-0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単胴式廃液濃縮器
GB8431361D0 (en) 1984-12-12 1985-01-23 Parmatic Filter Corp Drain box
JPS61288197A (ja) * 1985-06-17 1986-12-18 株式会社東芝 原子力用蒸気乾燥器
JPS62102883A (ja) * 1985-10-30 1987-05-13 Hitachi Ltd 廃液濃縮器
US4714054A (en) 1986-04-02 1987-12-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isture trap for a moisture separator reheater
US5908376A (en) * 1997-09-11 1999-06-01 Costner Industries Nevada, Inc. Self-cleaning rotor for a centrifugal separator
JP2003028977A (ja) * 2001-05-11 2003-01-29 Mitsubishi Heavy Ind Ltd 湿分分離器及び蒸気発生器
JP2009275594A (ja) * 2008-05-14 2009-11-26 Toshiba Corp 湿分分離器の取替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1313A4 (en) 2014-06-18
KR20140002698A (ko) 2014-01-08
JP5980230B2 (ja) 2016-08-31
WO2012094455A1 (en) 2012-07-12
EP2661313A1 (en) 2013-11-13
CA2822906A1 (en) 2012-07-12
EP2661313B1 (en) 2018-10-24
ES2707300T3 (es) 2019-04-03
JP2014507266A (ja) 2014-03-27
CA2822906C (en) 2018-02-06
US8945291B2 (en) 2015-02-03
US20120167533A1 (en)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291496A (ja) スラッジ及び細片の遊離・除去方法及び装置
JP2009539579A (ja) 湿式静電集塵装置
KR101733239B1 (ko)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
DE2229792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Gasen
CA131140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sludge from a spray booth
KR20080048415A (ko) 증기 발생기 이물질 수집기 보
KR101920506B1 (ko) 미스트 제거 베인의 현장 세척 설비
CN205760276U (zh) 一种废气净化装置的自动清洗装置
KR101558268B1 (ko) 섬유가공용 텐터시설의 유증기 처리장치
KR101587736B1 (ko) 중력 침강으로 입자상 불순물을 제거하는 머드 드럼 슬러지 포집시스템을 포함하는 재순환형 원자력 증기발생기
JP2685578B2 (ja) 蒸発器において固体粒子の流れを調節するための装置
KR102096029B1 (ko) 냉각식 스크러버
EP0484042B1 (en) Method for removing sludge and deposits from the interior of a heat exchanger vessel
JP7250300B2 (ja) スケール対策が施された熱交換装置
CN101301655A (zh) 冷却水管道清洗用装置
JP2831333B2 (ja) スラッジ等の付着物の除去方法
KR102667437B1 (ko) 단계별 유수를 분리하는 유수분리장치
KR100281840B1 (ko) 모듈형 저준위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 장치
CN216572214U (zh) 一种定型机废气处理系统
US3370574A (en) Steam generating apparatus
RU2778712C1 (ru) Бак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и сбора мусора
KR101509621B1 (ko) 펠렛 보일러용 집진장치
CN215250316U (zh) 振动筛式污泥除油装置
KR102613140B1 (ko) 열교환기 튜브의 친환경 습식 자동 세관수 처리 및 재사용장치
CN118059623A (zh) 一种水膜除尘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