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239B1 -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 - Google Patents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239B1
KR101733239B1 KR1020150150464A KR20150150464A KR101733239B1 KR 101733239 B1 KR101733239 B1 KR 101733239B1 KR 1020150150464 A KR1020150150464 A KR 1020150150464A KR 20150150464 A KR20150150464 A KR 20150150464A KR 101733239 B1 KR101733239 B1 KR 101733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llecting tank
dust collecting
dust
treatmen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규
권병근
최규환
선홍국
이해수
장인식
Original Assignee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0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함진공기와 처리액의 혼합을 유도하면서도 와류를 통해 접촉시간을 길게 하여 함진공기에 포함된 석탄분진의 제거율을 향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는, 내부에 처리액이 저장되며 저부에는 슬러지 배출구가 상부에는 정화공기 배출구가 구비된 집진조(10)와; 상기 집진조 내부에 함진공기를 분사하되, 함진공기를 상기 집진조의 원주방향을 따라 와류형태로 분사하는 함진공기 분사수단(20)과; 상기 집진조에 저장된 처리액을 상기 집진조 내부에 분사하되, 상기 함진공기 분사수단에 의해 분사되는 함진공기와 근접되면서 함진공기와 동일 방향으로 처리액을 분사하여 상기 함진공기와 접촉됨으로써 함진공기를 작게 깨는 처리액 분사수단(30)과; 상기 집진조의 정화공기 배출구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공기 배출구를 향해 상승하는 함진공기가 충돌에 의해 잘게 깨지도록 함과 아울러 체류시간을 길게 하는 다공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WET DUST COLLECTOR USING SWIRL AND AIR SPRAY}
본 발명은 습식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함진공기와 처리액의 접촉시간을 길게 하고 분사 압력 등을 통해 공기와 분진의 제거율을 높이는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화력발전소와 같은 석탄 취급 플랜트에서는 컨베이어 등을 이용하여 석탄을 운송하며, 석탄의 운송 경로, 컨베이어의 길이 등에 따라 다수의 컨베이어가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되고, 이때, 이웃하는 컨베이어는 상호 간에 높이차를 두고 연결되어 상류측의 컨베이어를 따라 운송되는 석탄이 하류측의 컨베이어에 낙하하도록 하여 운송한다.
석탄에는 매우 작은 입도의 분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분진은 석탄의 운송 과정 중(석탄혼탄설비, 괴탄분리기, 분쇄기 및 분배설비 등에 의한 석탄 운송 공급 과정)에 대기 중으로 비산되고, 특히 하류측의 컨베이어에 낙하할 때 발생되는 충격에너지에 의해 더욱 극심하게 대기 중으로 비산된다.
분진은 인체의 호흡기 장애를 유발하고 발암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석탄 취급 플랜트로 예컨대 화력발전소에서는 분진을 제거하는 장비가 적용되어 있다.
종래 석탄분진은 백필터 방식의 건식집진기를 이용하여 제진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석탄분진은 에너지자원 고갈에 따른 수급경쟁으로 저품위 석탄의 공급이 증가하는 것에 따른 자연적 수분함량의 증가 및 석탄 원료 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내부 수분 보다는 화력발전소 주변으로의 비산방지와 운반과정에서 자연발화의 방지를 위하여 살수를 실행함으로써, 수분함량 약15% 이상인 고습분화가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고습분의 분진을 백필터 집진기로 처리할 경우, 백필터의 표면에 고습분의 분진이 흡착 및 고착되어 공극을 막아 버리고, 궁극적으로 압력상승으로 이어져 백필터 자체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건식 집진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진을 물속으로 통과시켜 분진과 물의 충돌과 분진의 응집을 통해 물로 분진을 흡착 제거하는 습식 집진기가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511304호)은, 하우징, 격판, 공기유입실, 집진침전실, 분사구, 충돌판, 회수판, 세척임펠러 및 하우징세척수분사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가 빈 상자 형상의 본체이다. 상기 격판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좌우 분할한다. 상기 공기유입실은, 상기 격판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획되고, 급기구를 통해 분진이 함유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집진침전실은, 상기 격판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구획된다. 상기 집진침전실은, 일정 높이로 세정수가 저수되고 세정수에 흡착된 분진이 침전되는 하측의 저수부, 상기 저수부의 상측에 형성되고 세정수에 의해 세정된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실, 상기 저수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구, 상기 공기실의 세정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 및 상기 저수부의 분진슬러지를 함유한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구는, 상기 격판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실의 공기를 상기 집진침전실의 세정수 속으로 분사하여, 공기 중의 분진이 세정수에 흡착되게 한다. 상기 충돌판은, 상기 분사구의 전방에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집진침전실에 설치되고, 분사되는 공기와 세정수가 충돌하여 세정수의 액적을 형성하며, 공기와 세정수의 액적을 상기 공기실로 유도한다. 상기 회수판은, 상기 충돌판의 상부의 상기 공기실에 설치되고, 세정수의 액적을 상기 저수부의 세정수로 유도한다. 상기 세척임펠러는, 상기 저수부의 세정수를 교반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부착된 분진슬러지를 세척한다. 상기 하우징세척수분사구는, 상기 하우징 내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부착된 분진슬러지를 세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특허문헌은 구조가 매우 복잡하면서도 함진공기와 세정수의 접촉시간이 짧아 분진 제거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51130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함진공기와 처리액의 혼합을 유도하면서도 접촉시간을 길게 하여 함진공기에 포함된 석탄분진의 제거율을 향상하는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는, 내부에 처리액이 저장되며 저부에는 슬러지 배출구가 상부에는 정화공기 배출구가 구비된 집진조와; 상기 집진조 내부에 함진공기를 분사하되, 함진공기를 상기 집진조의 원주방향을 따라 와류형태로 분사하는 함진공기 분사수단과; 상기 집진조에 저장된 처리액을 상기 집진조 내부에 분사하되, 상기 함진공기 분사수단에 의해 분사되는 함진공기와 근접되면서 함진공기와 동일 방향으로 처리액을 분사하여 상기 함진공기와 접촉됨으로써 함진공기를 작게 깨는 처리액 분사수단과; 상기 집진조의 정화공기 배출구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공기 배출구를 향해 상승하는 함진공기가 충돌에 의해 잘게 깨지도록 함과 아울러 체류시간을 길게 하는 다공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에 의하면, 함진공기를 처리액 안에 분사 및 처리액을 함진공기와 함께 처리액 안에서 분사하여 함진공기를 더욱 잘게 부수어 함진공기에 포함된 분진이 공기에서는 분리되면서 처리액 안에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석탄분진의 정화율을 높이고 또한 함진공기를 와류 형태로 분사하여 체류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분진의 회수율을 극대화하므로 정화공기의 정화율을 높이며, 결과적으로 화력발전소 등 석탄 운송현장을 석탄분진으로 오염되지 않은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양호한 건강 상태를 유지하고 설비측면에서 볼 때 유지보수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에 적용된 집진조와 처리액 공급관 및 처리액 분사노즐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에 적용된 함진공기 분사노즐과 처리액 분사노즐의 분사 위치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에 적용된 다공판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에 의한 함진공기와 처리액을 이젝터로 분사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의 전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에 적용된 함진공기 분사노즐과 배기덕트의 배열을 보인 평면도.
<실시예 1>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는, 집진조(10), 집진조(10) 내부에 저장되어 제진 분위기를 조성하는 처리액, 집진조(10) 내부의 처리액에 함진공기를 분사하는 함진공기 분사수단(20), 집진조(10) 내부에 저장된 처리액을 함진공기에 분사하여 함진공기를 잘게 부수고 아울러 분진을 제거하는 처리액 분사수단(30), 처리액을 통해 분진이 제거된 함진공기의 상승을 구속하여 함진공기를 잘게 부수는 한편 체류시간을 길게 하는 다공판(40), 집진조(10)의 정화공기 배출구 전에 설치되어 정화공기에 포함된 액적을 제거하는 액상 제거기(50)로 구성된다.
집진조(10)는 내부에 처리액이 저장되는 공간을 갖는 원형의 탱크 구조로서 저부에는 슬러지 배출구(11)가 상부에는 정화공기 배출구(12)가 형성된다. 정화공기 배출구(12)에는 정화공기를 강제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팬이 적용 가능하다.
집진조(10)는 슬러지의 포집을 위하여 슬러지 배출구(11)를 향해 가면서 점진적으로 면적이 좁아지는 상광하협의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며, 최하단에 형성되는 슬러지 배출구(11)에는 배출관(13)과 밸브가 연결되어 슬러지를 다른 곳(슬러지 저장부 등)으로 운반하도록 한다.
집진조(10) 내부에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처리액(물 등)이 저장되며, 처리액은 분진 제거 공정시 함진공기 분사수단(20)과 처리액 분사수단(30)의 분사부가 잠기는 수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집진조(10) 내부에는 처리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14)가 갖추어지고, 수위감지기(14)에 의한 감지 값이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처리액의 보충이 가능하도록 집진조(10) 내부로서 바람직하게 함진공기 분사수단(20)과 처리액 분사수단(30)의 분사부의 아래쪽에는 보충관(15)이 연결되고, 이 보충관(15)은 예를 들어 처리액 탱크와 연결되면서 펌프의 가동에 의해 처리액을 공급받아 집진조(10) 안에 공급 보충한다. 상기 펌프의 가동은 관리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제어되어 저수위 감지기와 고수위 감지기 및 컨트롤러를 통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고, 즉 저수위 감지기에 의한 감지시 펌프는 컨트롤러를 통해 처리액이 자동으로 보충되도록 제어되는 한편 고수위 감지기에 의한 감지시 펌프는 컨트롤러를 통해 자동으로 정지 제어된다.
또한, 집진조(10) 내부의 처리액 저장 정도, 함진공기와 처리액의 분사 등 집진조(10) 내부 상황을 집진조(10)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집진조(10) 내부에 저장된 처리액의 결빙(동절기 등) 방지를 위하여 히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전기식 히터, 스팀식 히터 등 다양한 제품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집진조(10)의 내부에는 분진을 고착없이 원활하게 슬러지 배출구(11)로 배출하기 위한 스크래퍼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리액 내부에서 함진공기와 처리액을 분사하는 것은 처리액을 통해 함진공기를 기포화하고 처리액의 고압분사를 통해 함진공기를 분산(잘게 분쇄)시켜 분진의 정화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집진조(10)에서 슬러지와 함께 회수되는 물은 폐기되지 않고 집진조(10)에 보충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함진공기 분사수단(20)은 함진공기의 오염원과 연결되어 함진공기를 회수하는 함진공기 회수관(21), 함진공기 회수관(21)을 통해 회수되는 함진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22), 집진조(10) 내부에 배관되며 송풍기(22)를 통해 송풍되는 함진공기를 집진조(10) 내부로 유도하는 함진공기 공급관(23), 함진공기 공급관(23)을 통해 공급되는 함진공기를 분사하는 함진공기 분사노즐(24)로 구성된다.
함진공기 회수관(21)은 스틸관, 플렉시블 호스 등 다양한 제품의 사용이 가능하다. 함진공기의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함진공기는 송풍기(22)의 송풍력에 회수되거나 별도의 팬을 통해 송풍기(22)에 공급된다.
송풍기(22)는 함진공기 회수관(21)을 통해 회수되는 함진공기를 함진공기 공급관(23)에 송풍하여 분사노즐(24)에 의해 분사되도록 한다.
함진공기 공급관(23)은 집진조(10)의 외부에서부터 집진조(10)의 내부에 걸쳐 배관되며, 집진조(10)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는 집진조(10)의 외벽 또는 내벽에 근접되면서 집진조(10)의 형태를 따라 원형으로 배열됨으로써 와류의 형성을 유도한다.
함진공기 분사노즐(24)은 함진공기 공급관(23)에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분기 형성되며 분사구는 와류 형성이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배열되고, 예를 들어 함진공기 공급관(23)의 저부로 연장되는 수직의 분기부, 상기 수직의 분기부에서 원주방향(횡방향)으로 형성되는 분사부로 구성될 수 있다.
처리액 분사수단(30)은 처리액을 고압 분사하여 함진공기의 기포화를 돕고 체류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분진의 정화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처리액 유입관(31), 펌프(32), 처리액 공급관(33), 처리액 분사노즐(34)로 구성될 수 있다.
처리액 유입관(31)은 유입부가 집진조(10) 내부에 배치되고 배출부가 집진조(10) 외부에 배치되어 집진조(10) 내부의 처리액을 외부로 유도한다.
펌프(32)는 집진조(10) 외부에서 처리액 유입관(31)의 배출부와 연결되어 집진조(10) 내부의 처리액을 펌핑하여 처리액 공급관(33)에 공급한다. 물론, 펌프(32)는 수중 펌프도 가능하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처리액 공급관(33)은 집진조(10) 외부에서 펌프(32)와 연결되면서 와류 형성이 가능하도록 집진조(10)의 외형을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는 한편 집진조(10) 외부에서 집진조(10) 내부로 인입된다.
처리액 공급관(33)은 함진공기 공급관(3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물론 이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리액 분사노즐(34)은 다수개[함진공기 분사노즐(24)과 동일한 수량]가 처리액 공급관(33)으로부터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분기되며 분사부는 함진공기 분사노즐(24)의 분사부와 근접 배치되고 함진공기 분사부와 동일 방향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동일 방향으로 배열된다. 처리액 분사노즐(34)은 함진공기 분사노즐(24)과 동일하게 수직의 분기부 및 횡방향의 분사부로 구성 가능하다.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처리액 분사노즐(34)은 함진공기 분사노즐(24)보다 짧게 형성되어 처리액이 함진공기 뒤에서 분사됨으로써 함진공기를 미는 한편 함진공기를 분쇄하도록 구성된다.
함진공기 분사노즐(24)과 처리액 분사노즐(34)은 각각 단품으로 구성된 후 근접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함진공기와 처리액을 공급받은 후 단일 경로를 통해 혼합(함진공기의 공기와 분진이 분리됨)하여 함께 분사하는 하나의 이젝터(37)(도 5 참고)로도 가능하다.
함진공기 분사수단(20)과 처리액 분사수단(30)은 각각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하는 온오프 밸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판(40)은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의 구멍(41)이 형성된 판재로서, 집진조(10)의 내부로서 처리액 분사노즐(34)의 상부에 배치되며, 함진공기가 부상하면서 잘게 부서지고 처리액 속에서 오래 잔류하도록 함으로서 처리액과의 접촉을 활성화시켜 집진효율을 향상한다.
다공판(40)은 하나만도 적용 가능하지만 2개 이상이 일정 공간을 두고 적층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상하부에 적층되는 다공판(40)의 구멍(41)들은 서로 일치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공기가 상승하면서 각각의 다공판(40)에 충돌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집진효율을 향상한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다층 방식의 경우 상부에 배치되는 다공판(40)으로 가면서 구멍(41)의 직경이 작아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부가적으로 다공판(40)을 통과한 공기에 분진이 포함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감안하여 처리액을 이용한 2차 집진이 가능하도록 다음과 구성된다.
처리액 샤워수단은 처리액 분사수단(30)의 구성을 겸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펌프(32)와 연결되어 처리액을 공급받는 처리액 공급관(35), 처리액 공급관(35)을 통해 공급되는 처리액을 다공판(40)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하는 처리액 샤워 노즐(36)로 구성된다.
처리액 공급관(35)은 집진조(10)의 외부에서 집진조(10)의 내부로 삽입 배관되며, 원주형, 동심원형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고 다공판(40)의 전체 면적을 대상으로 하여 처리액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동심원형이 바람직하다.
샤워 노즐(36)은 처리액 공급관(35)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적용되며 처리액을 분사(분무)하여 다공판(40)을 통과한 분진을 흡착하여 공기로부터 제거한다.
액상 제거기(50)는 데미스터(demister), 미스트 엘리미네이터(mist eleminator) 등으로서, 정화율을 향상하고 처리액에 의한 오염 등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에 포함된 액적을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집진조(10) 내부에는 처리액이 적정 수위로 저장되어 있으며, 석탄 운송 공정 등 분진 발생지에서 발생되는 분진은 함진공기 분사수단(20)을 통해 집진조(10) 내부에 분사되고 이와 동시에 집진조(10) 내부의 처리액은 처리액 분사수단(30)을 통해 집진조(10) 내부에 분사된다.
함진공기 분사노즐(24)와 처리액 분사노즐(34)은 집진조(10)의 처리액에 잠겨 있으므로 함진공기와 처리액은 집진조(10)에 저장되어 있는 처리액 내부에 분사된다. 이 과정에서 함진공기와 처리액은 집진조(10) 내부에 와류 형태로 분사되고 함진공기는 기포 상태로 집진조(10) 내부를 순환하면서 분진이 제거되며 또한 처리액 분사수단(30)의 처리액 분사노즐(34)은 함진공기 분사노즐(24)의 후단에서 처리액을 분사하여 함진공기 분사노즐(24)에서 분사되는 함진공기를 후방에서 밀면서 잘게 부수어 공기와 분진을 분리한다.
따라서, 집진조(10) 내부의 처리액에는 분진이 흡착되어 잔류하고 공기는 처리액으로부터 분리되어 상승하게 된다.
처리액으로부터 분리되어 상승하는 공기는 다공판(40)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 때 다공판(40)에 부딪치게 되고 분진은 다공판(40)에 부딪치면서 상승하지 못하여 처리액으로 낙하하지만 공기는 상승기류를 통해 다공판(40)의 구멍(41)을 통해 정화공기 배출구(12)를 향해 상승한다.
다공판(40)의 구멍(41)을 통과한 공기는 액상 제거기(50)를 통과하면서 액상이 제거된 후 정화공기 배출구(12)를 통해 배기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함진공기는 정화공기와 분진의 슬러지로 분리되며, 슬러지는 집진조(10)의 저부에 침전된 후 슬러지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실시예 2>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는, 처리액이 저장되는 집진조(10), 함진공기 분사수단(20), 처리액 분사수단(30), 다공판(40) 및 액상 제거기(50)로 이루어져 처리액을 통해 함진공기로부터 분진을 제거하는 개념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본 실시예에 의해 신규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함진공기 분사수단(20)은 도 6과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함진공기 공급관(23)이 집진조(10)의 내부에서 십자형으로 배열되고, 함진공기 분사노즐(24)은 십자형의 함진공기 공급관(23)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저부를 향해 연장되면서 분사부가 처리액에 잠기도록 배치된다.
함진공기 분사노즐(24)은 함진공기를 와류 형태로 분사하기 위하여 둘레부에 하나 이상의 분사공(24a)이 형성된다. 또는 함진공기 분사노즐(24)은 분사부가 집진조(10)의 곡률을 따라 밴딩되어 함진공기를 와류형태로 분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집진조(10) 내부에는 다공판(40)을 통과한 공기를 정화공기 배출구(12)로 유도하는 배기덕트(16)가 갖추어진다.
배기덕트(16)는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함진공기 분사노즐(24)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에 예를 들어 4개소에 저부를 향해 개방되는 관형의 유입부(16a)가 갖추어지고 아울러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공기 배출구(12)로 유도하는 경로를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배기덕트(16)는 판상으로서 집진조(10) 내부를 구획하면서 유입부(16a)를 통해 공기의 유입을 유도 및 정화공기 배출구(12)로 배출을 유도한다.
본 실시예에서 처리액 분사수단(30)의 처리액 샤워 노즐(36)은 처리액을 배기덕트(16)의 유입부(16a) 안에서 저부를 향해 분사(분무)하도록 구성되며, 물론, 처리액 분사수단(30)의 처리액 공급관(35)은 처리액 샤워노즐(36)의 배치에 맞도록 배관된다.
집진조(10)의 슬러지 배출부(11)를 갖는 상광하협 구조의 슬러지 회수부에는 스크래퍼(60)가 갖추어진다. 스크래퍼(60)는 복수개 이상의 날개가 방사형으로 배열되면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 가능하고, 상기 날개가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슬러지 회수부에 쌓인 슬러지를 슬러지 배출구(11)로 유도함으로써 슬러지의 고착과 정체를 막는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10 : 집진조, 11 : 슬러지 배출구
12 : 정화공기 배출구, 13 : 배출관
14 : 수위감지기, 15 : 보충관
16 : 배기덕트, 20 : 함진공기 분사수단
21 : 함진공기 회수관, 22 : 송풍기
23 : 함진공기 공급관, 24 : 함진공기 분사노즐
30 : 처리액 분사수단, 31 : 처리액 유입관
32 : 펌프, 33,35 : 처리액 공급관
34 : 처리액 분사노즐, 36 : 샤워 노즐
40 : 다공판, 50 : 액상 제거기
60 : 스크래퍼,

Claims (4)

  1. 내부에 처리액이 저장되며 저부에는 슬러지 배출구가 상부에는 정화공기 배출구가 구비된 집진조와;
    상기 집진조 내부에 함진공기를 분사하되, 함진공기를 상기 집진조의 원주방향을 따라 와류형태로 분사하는 함진공기 분사수단과;
    상기 집진조에 저장된 처리액을 상기 집진조 내부에 분사하되, 상기 함진공기 분사수단에 의해 분사되는 함진공기와 근접되면서 함진공기와 동일 방향으로 처리액을 분사하여 상기 함진공기와 접촉됨으로써 함진공기를 작게 깨는 처리액 분사수단과;
    상기 집진조의 정화공기 배출구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공기 배출구를 향해 상승하는 함진공기가 충돌에 의해 잘게 깨지도록 함과 아울러 체류시간을 길게 하는 다공판과;
    상기 집진조 내부의 처리액을 상기 다공판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분무하여 상기 다공판을 통과하여 상승하는 함진공기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는 처리액 샤워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함진공기 분사수단은, 함진공기의 오염원과 연결되어 함진공기를 회수하는 함진공기 회수관(21), 상기 함진공기 회수관을 통해 회수되는 함진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22), 상기 집진조의 형태를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어 와류의 형성을 유도하며 상기 송풍기를 통해 송풍되는 함진공기를 집진조 내부로 유도하는 함진공기 공급관(23), 함진공기 분사노즐(24)은 함진공기 공급관(23)에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분기 형성되며 분사구가 와류 형성이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함진공기를 와류 형태로 분사하는 함진공기 분사노즐(24)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액 분사수단은, 유입부가 상기 집진조 내부에 배치되고 배출부가 상기 집진조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조 내부의 처리액을 외부로 유도하는 처리액 유입관(31), 상기 집진조 외부에서 상기 처리액 유입관의 배출부와 연결되어 상기 집진조 내부의 처리액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펌프(32), 상기 집진조 외부에서 상기 펌프와 연결되면서 와류 형성이 가능하도록 상기 집진조의 외형을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는 한편 상기 집진조 외부에서 상기 집진조 내부로 인입되며 처리액을 공급하는 처리액 공급관(33), 상기 처리액 공급관에 상기 함진공기 분사노즐과 동일한 수량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함진공기 분사수단과 동일 방향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동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분사부를 갖는 처리액 분사노즐(34)을 포함하되, 상기 처리액 분사노즐은 상기 함진공기 분사노즐(24)보다 짧게 형성되어 처리액이 함진공기 뒤에서 분사됨으로써 함진공기를 미는 한편 함진공기를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진조 안에 상하를 구획하도록 형성되며 저부를 향해 개방된 다수의 유입부(16a)가 구비된 배기덕트(16)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액 샤워수단의 샤워노즐은 상기 배기덕트의 유입부 안에서 저부를 향해 처리액을 샤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진조의 정화공기 배출구 전에 설치되며 상기 정화공기 배출구를 향해 상승하는 함진공기에 포함된 액상을 제거하는 액상 제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

KR1020150150464A 2015-10-28 2015-10-28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 KR101733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464A KR101733239B1 (ko) 2015-10-28 2015-10-28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464A KR101733239B1 (ko) 2015-10-28 2015-10-28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239B1 true KR101733239B1 (ko) 2017-05-24

Family

ID=5905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464A KR101733239B1 (ko) 2015-10-28 2015-10-28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23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795B1 (ko) 2017-10-27 2018-02-23 박재훈 카본 섬유 강화 플라스틱 가공용 cnc 조각기의 집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 방법
CN109333826A (zh) * 2018-11-27 2019-02-15 许昌德通振动搅拌技术有限公司 带有除尘系统的搅拌机
KR20200075822A (ko) * 2017-11-03 2020-06-26 상하이 아이찬 로봇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조리기 흄 처리 시스템 및 조리기
KR102155962B1 (ko) 2019-05-21 2020-09-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공정용 유체 확산 성능 향상을 위한 베인 어셈블리
KR20200134633A (ko) 2019-05-23 2020-12-0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체의 확산 성능을 향상시키는 반도체 공정용 다공판
KR102609738B1 (ko) 2023-07-20 2023-12-05 에스씨이엔이 주식회사 2중 흡착구조의 액상집진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0547A (ja) 1998-11-05 2000-05-23 Takashi Yamada 集塵及び空気浄化装置
KR101253456B1 (ko) * 2012-08-20 2013-04-11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습식 전기 집진과 싸이클론을 이용한 석탄을 포함하는 플랜트의 분진 제거 장치
KR101296243B1 (ko) * 2013-06-27 2013-08-13 이성헌 공기 정화용 습식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0547A (ja) 1998-11-05 2000-05-23 Takashi Yamada 集塵及び空気浄化装置
KR101253456B1 (ko) * 2012-08-20 2013-04-11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습식 전기 집진과 싸이클론을 이용한 석탄을 포함하는 플랜트의 분진 제거 장치
KR101296243B1 (ko) * 2013-06-27 2013-08-13 이성헌 공기 정화용 습식 집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795B1 (ko) 2017-10-27 2018-02-23 박재훈 카본 섬유 강화 플라스틱 가공용 cnc 조각기의 집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 방법
KR20200075822A (ko) * 2017-11-03 2020-06-26 상하이 아이찬 로봇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조리기 흄 처리 시스템 및 조리기
KR102341425B1 (ko) 2017-11-03 2021-12-20 상하이 아이찬 로봇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조리기 흄 처리 시스템 및 조리기
CN109333826A (zh) * 2018-11-27 2019-02-15 许昌德通振动搅拌技术有限公司 带有除尘系统的搅拌机
CN109333826B (zh) * 2018-11-27 2024-04-19 德通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带有除尘系统的搅拌机
KR102155962B1 (ko) 2019-05-21 2020-09-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공정용 유체 확산 성능 향상을 위한 베인 어셈블리
KR20200134633A (ko) 2019-05-23 2020-12-0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체의 확산 성능을 향상시키는 반도체 공정용 다공판
KR102609738B1 (ko) 2023-07-20 2023-12-05 에스씨이엔이 주식회사 2중 흡착구조의 액상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239B1 (ko) 와류 현상과 분사에 의한 복합 습식 집진기
KR101462398B1 (ko) 미세먼지 포집용 스크러버 장치
KR101753542B1 (ko) 미세먼지를 포함한 유해물질 집진장치
KR100750480B1 (ko) 선박용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중의 유해성분을 제거하기위한 세정집진기
JP2009539579A (ja) 湿式静電集塵装置
KR20130005079A (ko) 더스트 포집장치
JP2008231749A (ja) トンネル粉塵・排気ガス等の清浄装置
KR101180064B1 (ko) 침액식 스크러버
KR20190067655A (ko) 페인트 부유물 제거 시스템
KR20150139120A (ko) 도장시설의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KR20130119336A (ko) 공기정화장치
KR102308434B1 (ko) 고효율 세정식 탈취장치
KR102061003B1 (ko) 미세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20200006820A (ko) 백연방지 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집진장치
KR101570613B1 (ko) 공기 정화장치
US6267804B1 (en) Wet gas stripper
KR101558268B1 (ko) 섬유가공용 텐터시설의 유증기 처리장치
KR101926302B1 (ko) 화인 스크러버 장치
KR20170049270A (ko) 터널식 오존 세정 악취 제거 장치
KR101755229B1 (ko) 다중 분사노즐을 구비한 저압 침액식 세정 집진장치
JP6894159B2 (ja) 排ガス浄化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排ガス除害装置
KR101074031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정집진기
RU2753559C1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EP2903420B1 (en) A method and means for the cleaning of air, in particular stable air
KR101180066B1 (ko) 침액식 스크러버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