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669B1 -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 시스템 - Google Patents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669B1
KR101919669B1 KR1020160181034A KR20160181034A KR101919669B1 KR 101919669 B1 KR101919669 B1 KR 101919669B1 KR 1020160181034 A KR1020160181034 A KR 1020160181034A KR 20160181034 A KR20160181034 A KR 20160181034A KR 101919669 B1 KR101919669 B1 KR 101919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rail
vent hole
pressur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651A (ko
Inventor
현재열
김형준
윤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60181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669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3809Common rail control systems
    • F02D41/3836Controlling the fuel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7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연료공간이 구비되고, 연료펌프에 연결되는 연료를 공급받는 인렛(111)과 엔진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가 결합되는 아웃렛(112)이 구비되는 메인레일(110)과, 메인레일(110)의 근처에 구비되고, 연료탱크(150)에 연결되는 서브레일(120)과, 메인레일(110)에 결합되어 메일레일(110)로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130)와, 메인레일(110)의 압력에 따라 메인레일(110)의 압력을 조절하고, 메인레일(110)과 서브레일(120) 및 연료탱크(150)에 각각 연결되는 압력 조절 밸브(140)와, 압력센서(130)로부터 압력을 전송받아 압력 조절 밸브(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연료레일의 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차량의 응답속도 및 맥동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 시스템 {Fuel Rail System Having Pressure Controllable function}
본 발명은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 시스템의 압력에 따라 능동적으로 연료레일의 체적을 변화시켜 응답속도 및 맥동에 유리하도록 하는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연료장치는 엔진의 실린더로 분사되는 연료를 엔진의 구동 제어 정도에 따라 적절한 양으로 연속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연료장치는 연료탱크로부터 펌핑된 일정한 압력으로 압송되는 연료가 연료레일에 유입된 후에 엔진의 각 실린더로 분사되는데, 리턴 연료공급장치에서는 일측에 연료탱크로부터 연료가 진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엔진의 각 실린더로 연료를 공급하는 다수의 유출구가 마련되는 연료레일에서 엔진으로 분사되고 남은 연료가 압력 레귤레이터를 통해 다시 연료탱크로 회수된다.
이 연료장치에서 엔진의 각 실린더로 연료를 분배하여 분사하기 위한 종래의 연료레일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연료레일(10)은 연료를 분배하기 위해 안내하는 레일밸브바디(11)와, 이 레일밸브바디(1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각 실린더로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인젝터가 결합되는 아웃렛 결합부(12)와, 레일밸브바디(1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레일밸브바디(11) 내로 연료를 유입되도록 연료펌프에 연결되는 인렛 결합부(13), 레일밸브바디(11)의 외측에서 레일밸브바디(11) 내로 관통 결합되어 레일밸브바디(11)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4), 레일밸브바디(11)에 돌출 형성되며 연료레일(10)을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결합돌출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일밸브바디(1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로 일정길이로 길게 형성된다. 레일밸브바디(11)에는 아울렛 결합부(12)와 인렛 결합부(13)를 형성하기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된다.
아웃렛 결합부(12)는 다수의 실린더로 각각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인젝터가 각각 결합되도록 다수로 구성된다.
다수의 아웃렛 결합부(12)와 인렛 결합부(13)는 레일밸브바디(11)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되,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연료레일은 일정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연료시스템의 압력 변화에 따른 응답 속도에 한계가 있어 연비 및 배기가스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5-0048548(2015.05.0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주행에 따라서 연료시스템의 압력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연료레일의 체적을 변화시켜서 응답속도 및 맥동에 유리하도록 한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연료공간이 구비되고, 연료펌프에 연결되는 연료를 공급받는 인렛(111)과 엔진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가 결합되는 아웃렛(112)이 구비되는 메인레일(110)과, 메인레일(110)의 근처에 구비되고, 연료탱크(150)에 연결되는 서브레일(120)과, 메인레일(110)에 결합되어 메일레일(110)로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130)와, 메인레일(110)의 압력에 따라 메인레일(110)의 압력을 조절하고, 메인레일(110)과 서브레일(120) 및 연료탱크(150)에 각각 연결되는 압력 조절 밸브(140)과, 압력센서(130)로부터 압력을 전송받아 압력 조절 밸브(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 조절 밸브(140)는, 내부에 연료가 흐르는 공간이 형성되며, 메인레일(110)에 연결되는 제1통기홀(141a)과, 서브레일(120)에 연결되는 제2통기홀(141b)과, 연료탱크(150)에 연결되는 제3통기홀(141c)이 형성된 밸브바디(141); 밸브바디(141) 내의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통기홀(141a), 제2통기홀(141b), 제3통기홀(141c)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유동부재(142); 밸브바디(141)에 결합되며, 유동부재(142)를 이동시키는 구동부(143); 및 밸브바디(141)의 내측 일단부와 유동부재 (142)사이에 구비되어 유동부재(142)를 구동부(143) 측으로 이동되게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동부재(142)는, 선택적으로 제1통기홀(141a)과 제2통기홀(141b) 또는 제2통기홀(141b)과 제3통기홀(141c)을 연결하도록 외주면에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유동홈(142a); 및 선택적으로 제1통기홀(141a)과 제3통기홀(141c)을 연결하도록 탄성부재(144)가 지지되는 단부의 측면 중앙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후에 절곡되어 외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유로(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동부재(142)는, 제1 위치에서 제1통기홀(141a)과 제2통기홀(141b)과 제3통기홀(141c)을 폐쇄하고, 제1 위치에서 탄성부재(144) 측으로 이동한 제2 위치에서 유동홈(142a)을 통하여 제1통기홀(141a)과 제2통기홀(141b)을 연결하고, 제1 위치에서 구동부(143) 측으로 이동한 제3 위치에서 유로(142b)를 통하여 제1통기홀(141a)과 제3통기홀(141c)을 연결하고, 3 위치에서 구동부(143) 측으로 이동한 제4 위치에서 유동홈(142a)을 통하여 제2통기홀(141b)과 제3통기홀(141c)을 연결하되 유로(142b)는 폐쇄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삭제
또한, 밸브바디(141)는, 제1통기홀(141a)과 제2통기홀(141b) 사이의 내주면과 제2통기홀(141b)과 제3통기홀(141c) 사이의 내주면에 각각 밸브바디(141) 내로 들어온 연료의 흐름을 유동부재(142)와 함께 차단하기 위한 차단돌기(141d)(141e)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동홈(142a)은, 그 길이(l)가 제2통기홀(141b)과 인접한 제1차단돌기(141d)의 측면과 제2통기홀(141b)과 인접한 제2차단돌기(141e)의 측면 사이의 거리(L1)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통기홀(141a)에 인접한 제1차단돌기(141d)의 측면과 제3통기홀(141c)과 인접한 제2차단돌기(141e)의 측면 사이의 거리(L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엔진 시동후 출발시 연료펌프로부터 메인레일(110)로 연료가 공급되어 압력이 증가하도록 유동부재(142)를 제1 위치에 위치시켜 메인레일(110)에 연결되는 제1통기홀(141a)이 유동부재(142)에 의해 막힌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차량이 주행 중 감속이 발생되거나 목표압력보다 압력이 상승된 경우 감압을 위해서 유동부재(142)를 제3 위치로 이동시켜 메인레일(110)에 연결되는 제1통기홀(141a)은 개방하고, 서브레일(120)로 연결되는 제2통기홀(141b)은 막은 후에, 유동부재(142)의 유로(142b)로 제1통기홀(141a)과 제3통기홀(141c)을 연결하여 메인레일(110)의 연료가 연료탱크(150)로 빠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량이 고속으로 지속적으로 주행하여 연료시스템의 압력이 일정한 상태로 유지시에는 유동부재(142)를 제2 위치로 이동시켜서 제1통기홀(141a)과 제2통기홀(141b)을 개방시키고, 제3통기홀(141c)은 막아서 메인레일(110)의 연료가 밸브바디(141)를 통하여 서브레일(120)로 들어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속 주행시 가속으로 인하여 압력이 상승될 때 유동부재(142)가 제4 위치로 이동되면서 메일레일(110)의 연료가 서브레일(120)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1통기홀(141a)에서 제2통기홀(141b)로 이동되는 경로는 막아 압력을 증가시키고, 제2통기홀(141b)과 제3통기홀(141c)을 개방하여 서브레일(120)의 연료가 연료탱크(150)로 빠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서브레일을 추가하고, 압력 조절 밸브로 메인레일과 서브레일 사이를 연결하거나 단절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연료레일의 체적을 변화시켜서 차량의 응답속도 및 맥동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료레일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을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의 연료레일에서 유동홈과 유동부재의 통기홀들을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연료레일에서 유동홈과 유동부재의 통기홀들을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료레일 시스템(100)은, 연료탱크(150)의 연료를 연료펌프의 구동으로 연료를 공급받아 엔진의 각 실린더로 분사시키는 인젝터로 연료를 공급하되 주행시 압력에 따라서 체적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메인레일(110)와, 서브레일(120)와, 압력센서(130)와, 압력 조절 밸브(140),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레일(1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로 일정길이로 길게 형성된다.
메인레일(110)은 연료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 유입되는 하나의 인렛(111)과 엔진으로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인젝터가 결합되는 복수의 아웃렛(112)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메인레일(110)의 외주면에는 엔진에 메인레일(110)을 결합하기 위한 장착돌기부(113)가 돌출 형성된다.
서브레일(120)은 후술하는 압력 조절 밸브(140)에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메인레일(110)의 내측 공간과 연결되거나 단절되면서 연료가 공급되는 체적을 확장하여 연료레일 시스템의 압력 증대 및 감소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압력센서(130)는 메인레일(110)에 결합되어 메인레일(110) 내로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레일(110) 내의 압력을 검출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압력 조절 밸브(140)은 메인레일(110)과 서브레일(120) 및 연료탱크(150)에 각각 연결되되, 차량의 주행시 연료시스템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 메인레일(110)의 공간과 서브레일(120)의 공간을 연결하거나 단절시키는 것으로, 밸브바디(141), 유동부재(142), 구동부(143), 탄성부재(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밸브바디(141)는 내부에 연료가 흐르는 공간이 형성되고, 메인레일(110), 서브레일(120), 연료탱크(150)에 각각 연결되어 연료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하는 통기홀(141a)(141b)(141c)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메인레일(110)에 연결되는 것을 제1통기홀(141a), 서브레일(120)에 연결되는 것을 제2통기홀(141b), 연료탱크(150)에 연결되는 것을 제3통기홀(141c)이라 한다.
즉, 통기홀(141a)(141b)(141c)은 3개가 밸브바디(14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각각 메인레일(110), 서브레일(120), 연료탱크(150)에 파이프로 연결되어 연료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밸브바디(141)는 제1통기홀(141a)과 제2통기홀(141b) 사이와 제2통기홀(141b)과 제3통기홀(141c) 사이의 내주면에 내주면 둘레를 따라 유동부재(142)와 함께 연료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돌기(141d)(141e)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제1통기홀(141a)과 제2통기홀(141b)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제1차단돌기(141d)라하고, 제2통기홀(141b)과 제3통기홀(141c)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제2차단돌기(141e)라 한다.
유동부재(142)는 밸브바디(141)의 내측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구동부(143)의 구동에 의해 밸브바디(141) 내의 공간에서 이동되면서 메인레일(110)의 공간과 서브레일(120)의 공간을 연결하거나 차단하여 연료시스템의 압력증가 및 감소에 따라 연료레일 시스템(100)의 체적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동부재(142)는 그 외주면이 밸브바디(141)에 형성되는 차단돌기(141d)(141e)에 밀착되어 연료가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단돌기(141d)(141e)의 내경과 같은 크기로 형성된다.
유동부재(142)에는 유동부재(142)가 밸브바디(141)의 공간에서 이동되면서 밸브바디(141)와 유동부재(142) 사이로 연료가 흐르도록 하는 유동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유동부재(14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하는 유동홈(142a)이 일정길이로 형성된다.
이 유동홈(142a)은 도 7과 같이, 그 길이(l)가 제2통기홀(141b)과 인접한 제1차단돌기(141d)의 측면과 제2통기홀(141b)과 인접한 제2차단돌기(141e)의 측면 사이의 거리(L1)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통기홀(141a)과 인접한 제1차단돌기(141d)의 측면과 제3통기홀(141c)과 인접한 제2차단돌기(141e)의 측면 사이의 거리(L2)보다 작게 형성된다.
유동부재(142)에는 메인레일(110)의 연료가 제1통기홀(141a)을 통해 밸브바디(141) 내로 유입된 후에 제3통기홀(141c)을 통해 연료탱크(150)로 배출되도록 제1통기홀(141a)과 제3통기홀(141c)을 연결하기 위한 유로(142b)가 형성된다.
이 유로(142b)는 후술하는 탄성부재(144)가 지지되는 유동부재(142)의 일단부 중앙부를 관통하여 유동부재(14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후에 절곡되어 유동부재(142)의 외측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구동부(143)는 전류가 흐름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켜 유동부재(142)를 구동부(143)의 반대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마그넷, 코어밸브로 구성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구동부(143)는 밸브바디(141)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밸브바디(141) 내에 구비되는 유동부재(142)에 연결된다.
탄성부재(144)는 밸브바디(141)의 타단부의 내측면과 유동부재(142)의 일단부 사이에서, 밸브바디(141)에 대해 유동부재(142)를 탄력 지지하며, 구동부(143)의 구동이 종료된 후에 유동부재(142)를 원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탄성부재(144)는 구동부(143)가 결합되는 밸브바디(141)의 반대쪽 단부의 내측면과 유동부재(142)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 탄성부재(144)는 구동부(143)의 구동에 의해 유동부재(142)가 탄성부재(144) 쪽으로 이동될 때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레일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구동부(143)로 전기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는 도 2와 같이, 밸브바디(141)의 통기홀(141a)(141b)(141c) 중 메인레일(110)에 연결되는 제1통기홀(141a)은 막혀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주행을 위하여 시동을 켜서 엔진을 작동시킨 후에 출발하기 위하여 악셀을 밟고 출발하게 되면, 메인레일(110)로 연료펌프로부터 연료가 공급됨에 따라 메인레일(110)의 압력은 증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60)는 압력센서(130)로부터 전달받은 메인레일(110)의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압력 조절 밸브(140)의 구동부(143)를 제어하되, 구동부(143)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 즉, 도 3과 같이, 압력 조절 밸브(140)에서 메인레일(110)로 연결되는 밸브바디(141)의 제1통기홀(141a)이 닫힌 상태 즉, 유동부재(142)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3과 같은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에 일정속도까지 가속된 후에 일정속도로 유지된다.
이후에, 차량의 주행 중 감속이 발생되거나 목표압력 보다 압력이 상승된 경우 감압을 위해서 도 4와 같이, 구동부(143)를 제어하여 유동부재(142)를 구동부(143) 쪽인 제3 위치로 이동시켜서 메인레일(110)로 연결되는 제1통기홀(141a)은 개방하고, 서브레일(120)로 연결되는 제2통기홀(141b)은 막은 후에, 밸브바디(141)에 형성되는 유로(142b)를 제1통기홀(141a)과 제3통기홀(141c)을 연결한다. 그러면 메인레일(110)의 연료가 제1통기홀(141a)을 통해 밸브바디(141)로 들어가고, 유동부재(142)에 형성되는 유로(142b)를 따라 흘러 제3통기홀(141c)을 통해 연료탱크(150)로 빠지도록 함으로써 압력을 낮추게 된다.
한편, 고속 주행시 즉, 일정이상 속도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주행하게 되면, 연료시스템의 압력이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5와 같이, 유동부재(142)를 구동부(143)의 반대편인 제2 위치로 이동시켜서 제1통기홀(141a)과 제2통기홀(141b)을 개방시키고, 제3통기홀(141c)은 막아서, 메인레일(110)의 연료가 밸브바디(141)를 통하여 서브레일(120)로 들어가도록 한다.
이후에, 일정속도로 고속 주행 중에 가속으로 인하여 압력 상승될 때 구동부(143)의 구동으로 인하여 도 6과 같이, 유동부재(142)가 구동부(143) 쪽인 제4 위치로 이동되면서 메인레일(110)의 연료가 서브레일(120)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1통기홀(141a)에서 제2통기홀(141b)로 이동되는 경로는 막아 압력을 증가시키고, 제2통기홀(141b)과 제3통기홀(141c)을 개방하여 서브레일(120)의 연료가 연료탱크(150)로 빠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연료레일 시스템
110 : 메인레일
111 : 인렛 112 : 아웃렛
113 : 장착돌기부
120 : 서브레일
130 : 압력센서
140 : 압력 조절밸브
141 : 밸브바디 141a; 제1통기홀
141b; 제2통기홀 141c : 제3통기홀
141d : 제1차단돌기 141e : 제2차단돌기
142 : 유동부재
142a : 유동홈 142b : 유로
143 : 구동부
144 : 탄성부재
150 : 연료탱크
160 : 제어부

Claims (11)

  1. 내부에 연료공간이 구비되고, 연료펌프에 연결되는 연료를 공급받는 인렛(111)과 엔진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가 결합되는 아웃렛(112)이 구비되는 메인레일(110);
    메인레일(110)의 근처에 구비되고, 연료탱크(150)에 연결되는 서브레일(120);
    메인레일(110)에 결합되어 메일레일(110)로 공급되는 연료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130);
    메인레일(110)의 압력에 따라 메인레일(110)의 압력을 조절하고, 메인레일(110)과 서브레일(120) 및 연료탱크(150)에 각각 연결되는 압력 조절 밸브(140); 및
    압력센서(130)로부터 압력을 전송받아 압력 조절 밸브(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력 조절 밸브(140)는,
    내부에 연료가 흐르는 공간이 형성되며, 메인레일(110)에 연결되는 제1통기홀(141a)과, 서브레일(120)에 연결되는 제2통기홀(141b)과, 연료탱크(150)에 연결되는 제3통기홀(141c)이 형성된 밸브바디(141);
    밸브바디(141) 내의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통기홀(141a), 제2통기홀(141b), 제3통기홀(141c)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유동부재(142);
    밸브바디(141)에 결합되며, 유동부재(142)를 이동시키는 구동부(143); 및
    밸브바디(141)의 내측 일단부와 유동부재 (142)사이에 구비되어 유동부재(142)를 구동부(143) 측으로 이동되게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144);를 포함하고,
    유동부재(142)는,
    선택적으로 제1통기홀(141a)과 제2통기홀(141b) 또는 제2통기홀(141b)과 제3통기홀(141c)을 연결하도록 외주면에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유동홈(142a); 및
    선택적으로 제1통기홀(141a)과 제3통기홀(141c)을 연결하도록 탄성부재(144)가 지지되는 단부의 측면 중앙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후에 절곡되어 외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유로(142b);를 포함하며,
    유동부재(142)는,
    제1 위치에서 제1통기홀(141a)과 제2통기홀(141b)과 제3통기홀(141c)을 폐쇄하고,
    제1 위치에서 탄성부재(144) 측으로 이동한 제2 위치에서 유동홈(142a)을 통하여 제1통기홀(141a)과 제2통기홀(141b)을 연결하고,
    제1 위치에서 구동부(143) 측으로 이동한 제3 위치에서 유로(142b)를 통하여 제1통기홀(141a)과 제3통기홀(141c)을 연결하고,,
    제3 위치에서 구동부(143) 측으로 이동한 제4 위치에서 유동홈(142a)을 통하여 제2통기홀(141b)과 제3통기홀(141c)을 연결하되 유로(142b)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밸브바디(141)는,
    제1통기홀(141a)과 제2통기홀(141b) 사이의 내주면과 제2통기홀(141b)과 제3통기홀(141c) 사이의 내주면에 각각 밸브바디(141) 내로 들어온 연료의 흐름을 유동부재(142)와 함께 차단하기 위한 차단돌기(141d)(141e)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유동홈(142a)은,
    그 길이(l)가 제2통기홀(141b)과 인접한 제1차단돌기(141d)의 측면과 제2통기홀(141b)과 인접한 제2차단돌기(141e)의 측면 사이의 거리(L1)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통기홀(141a)에 인접한 제1차단돌기(141d)의 측면과 제3통기홀(141c)과 인접한 제2차단돌기(141e)의 측면 사이의 거리(L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엔진 시동후 출발시 연료펌프로부터 메인레일(110)로 연료가 공급되어 압력이 증가하도록 유동부재(142)를 제1 위치에 위치시켜 메인레일(110)에 연결되는 제1통기홀(141a)은 유동부재(142)에 의해 막힌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연료레일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차량이 주행 중 감속이 발생되거나 목표압력 보다 압력이 상승된 경우에 감압을 위해서는 유동부재(142)를 제3 위치로 이동시켜 메인레일(110)에 연결되는 제1통기홀(141a)은 개방하고, 서브레일(120)로 연결되는 제2통기홀(141b)은 막은 후에, 유동부재(142)의 유로(142b)로 제1통기홀(141a)과 제3통기홀(141c)을 연결하여 메인레일(110)의 연료가 연료탱크(150)로 빠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차량이 고속으로 지속적으로 주행하여 연료시스템의 압력이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유동부재(142)를 제2 위치로 이동시켜서 제1통기홀(141a)과 제2통기홀(141b)을 개방시키고, 제3통기홀(141c)은 막아서 메인레일(110)의 연료가 밸브바디(141)를 통하여 서브레일(120)로 들어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고속 주행시 가속으로 인하여 압력이 상승될 때 유동부재(142)가 제4 위치로 이동되어 메일레일(110)의 연료가 서브레일(120)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1통기홀(141a)에서 제2통기홀(141b)로 이동되는 경로는 막아 압력을 증가시키고, 제2통기홀(141b)과 제3통기홀(141c)을 개방하여 서브레일(120)의 연료가 연료탱크(150)로 빠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 시스템.
KR1020160181034A 2016-12-28 2016-12-28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 시스템 KR101919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034A KR101919669B1 (ko) 2016-12-28 2016-12-28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034A KR101919669B1 (ko) 2016-12-28 2016-12-28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651A KR20180076651A (ko) 2018-07-06
KR101919669B1 true KR101919669B1 (ko) 2018-11-16

Family

ID=6292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034A KR101919669B1 (ko) 2016-12-28 2016-12-28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6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0735A (ja) * 2008-10-03 2010-04-22 Toyota Motor Corp 燃料噴射制御装置
KR100970810B1 (ko) * 2006-01-06 2010-07-16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솔레노이드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8066A (ja) * 1998-02-03 1999-08-10 Toyota Motor Corp 蓄圧式燃料噴射装置
JP2002161821A (ja) * 2000-11-29 2002-06-07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4111135B2 (ja) * 2003-12-26 2008-07-0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スプール弁
KR20050120919A (ko) * 2004-06-21 2005-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엔진의 커먼레일 시스템
KR101080773B1 (ko) * 2009-12-04 2011-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능동제어용 비례제어방식 삼방향 밸브 및 이를 이용한 냉각수 능동형 비례제어방법
JP2012107677A (ja) * 2010-11-16 2012-06-07 Denso Corp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装置
JP5975571B2 (ja) * 2012-12-20 2016-08-23 ボッシュ株式会社 蓄圧式燃料噴射制御装置及び蓄圧式燃料噴射制御装置の制御方法
CN205479484U (zh) * 2016-01-22 2016-08-17 奉化鑫益气动工程有限公司 一种大流量两位四通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810B1 (ko) * 2006-01-06 2010-07-16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솔레노이드 밸브
JP2010090735A (ja) * 2008-10-03 2010-04-22 Toyota Motor Corp 燃料噴射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651A (ko)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7633E1 (en) Accumulating fuel injection apparatus
JP4718885B2 (ja) 内燃エンジンにおける燃料噴射装置
JP6264221B2 (ja) 燃料噴射ノズル
CN102713235B (zh) 使用于喷射燃料到内燃机燃烧室里面的喷射装置的喷射器恒温的方法
KR101619591B1 (ko) 전자식 간접 바이패스 세미 액티브 마운트, 전자식 세미 액티브 마운트 장치 및 동특성 가변율 제어방법
EP2762718A1 (en) Fuel injection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5909392B (zh) 用于减少在怠速下发动机中的气流的方法
US201701382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vacuum generation using a throttle body comprising a slidable throttle valve
KR101919669B1 (ko)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연료레일 시스템
CN102933831B (zh) 压力调节器
JP5384380B2 (ja) アスピレータ及びアスピレータを備えた燃料供給装置
KR101601105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EP2541037A2 (en) A fuel valve for large turbocharged two stroke diesel engines
CN109072817A (zh) 具有维护端口的化油器
FI123386B (fi) Polttoaineen syöttölaite, mäntämoottori ja menetelmä mäntämoottorin käyttämiseksi
US10883442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KR102127935B1 (ko) 연료 공급 파이프의 배기 방법 및 내연기관
JP2013127220A (ja) 燃料供給装置
JP5261238B2 (ja)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JP4623930B2 (ja) 自動車用のコモンレール式燃料噴射装置
JP2007046501A (ja) 高圧燃料供給装置
JP2007187108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US7712685B2 (en) Device for fuel injection rate shaping
KR101394040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SE529810C2 (sv) Insprutningsorgan för en förbrännings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