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630B1 - 변좌 커버 - Google Patents

변좌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630B1
KR101915630B1 KR1020167007993A KR20167007993A KR101915630B1 KR 101915630 B1 KR101915630 B1 KR 101915630B1 KR 1020167007993 A KR1020167007993 A KR 1020167007993A KR 20167007993 A KR20167007993 A KR 20167007993A KR 101915630 B1 KR101915630 B1 KR 101915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seat
sheet
cov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5697A (ko
Inventor
퀴 홍 팡
Original Assignee
퀴 홍 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퀴 홍 팡 filed Critical 퀴 홍 팡
Publication of KR20160135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47K13/18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of paper or plastic we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변좌 커버 및 변좌 커버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변좌 커버는 상부 시트 재료와 하부 시트 재료를 포함하며, 하부 시트는 하부 시트의 두 개의 결합 에지에서 상부 시트에 결합되고, 상기 두 개의 결합 에지는 대향하는 외부 에지이며, 상기 커버는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 및 대향하는 외부 에지들 사이에 변좌를 수용할 수 있고, 상부 및 하부 시트들은 개별적인 구멍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별적인 구멍부는 커버의 중앙 개구를 형성하도록 정렬되며, 변좌가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수용될 때 상기 중앙 개구는 변좌의 중공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Description

변좌 커버{A TOILET SEAT COVER}
본 발명은 변좌 커버 및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식 변기는 예를 들면 배설물을 수용하는 통 부분(또는 변기통)을 포함한다. 통 부분은 통 부분의 테두리(rim)에 의해 한정되는 개구를 갖는다. 사용자가 더욱 편안하게 변기통에 앉을 수 있도록, 테두리에는 위생적인 변좌가 그 위에 놓여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좌는 앉으려고 할 때 변좌가 테두리 위에 놓여질 수 있도록 테두리의 단부에 절첩되어 있다. 또한, 변좌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변좌는 통 부분의 개구와 실질적으로 직각인 기립 위치로 테두리에서 들어 올려지거나 회전될 수 있고, 수세식 변기의 물 탱크 또는 벽면에 기대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변좌는 사용자가 변좌에 앉거나 변좌와 접촉하는 것을 꺼리게 지저분해지거나 더럽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 위에 놓인 변좌는 서서 소변을 보는 남성 이용자에 의해 더럽혀질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변좌는 힌지를 통해 테두리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고, 힌지 주위의 구역은 배설물 예를 들면 남성 이용자에 의해 남겨지고 일반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소변에 의해서 종종 더럽혀진다.
예를 들어 이전 사용자의 배설물에 의해 초래될 수 있는 눈에 보이는 얼룩 및 더러움 이외에, 사용자는 예를 들면 박테리아 및/또는 세균과 같은 눈에 보이지 않은 오염물과 접촉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감염성 또는 전염성 질병의 위험에 대해서도 걱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은 공중 화장실에서 더욱 높다.
일부 회사들은 사용하고 나면 곧 각 변좌를 청소하도록 청소원을 고용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많은 비용이 들며 변기 사용의 피크 시기에 맞추어 청소원을 두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더욱이, 청소원이 변좌의 표면을 청결하게 하기 위하여 소독제 또는 살균제를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더러운 변좌와 마주할 때, 일부 사용자는 예를 들어 비치된 살균제 및 화장지를 사용하여 변좌를 청결하게 하거나 급수 호스로 통에 물을 뿌리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청결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사용자 측에 가외의 노력 및 비용이 유발된다. 따라서, 극히 적은 사용자들만이 변좌를 청결하게 하려고 시도한다. 사용자가 변좌를 청결하게 하려고 시도하더라도,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변좌를 청소하는 숙련자가 아니며, 변좌가 적절하게 청소되지 않고/않거나 청소하는데 과도한 휴지, 세척 재료 등이 사용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청소에서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박테리아 및 세균이 또한 남을 수 있고, 따라서 여전히 사용자는 이러한 오염물에 노출될 수 있다.
일부 사용자는 직접 변좌에 놓여질 수 있는 일회용 커버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변좌 커버는 일반적으로 변좌와 비슷한 형상의 종이 시트(sheet)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트는 제조 비용 유효성을 위해 두께가 부적당하며, 적절하게 취급하지 않을 경우 특히 예를 들면 이전 사용자의 소변 또는 젖은 변좌로 인해서 일회용 커버가 젖을 경우에 쉽게 끊어질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일회용 종이 커버는 변좌에 비해 크기가 작기 때문에 변좌에 양호하게 맞추어 설치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변좌를 완전히 커버하고 또한 충분한 두께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러한 일회용 종이 커버를 몇 장 서로 포개서 놓아야만 한다. 이러한 비효율적인 방식은 추가적인 비용 발생을 초래한다. 또한, 이러한 시트는 변좌에 적절하게 놓이지 않으며 사용자가 그 위에 앉을 때 시트가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들 중의 하나 이상을 해결하거나 적어도 개선할 수 있는 변좌 커버 및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상존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라, 상부 시트 재료와 하부 시트 재료를 포함하는 변좌 커버가 제공되며, 하부 시트는 하부 시트의 두 개의 결합 에지에서 상부 시트에 결합되고, 상기 두 개의 결합 에지는 대향하는(opposing) 외부 에지이며, 상기 커버는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 및 대향하는 외부 에지들 사이에 변좌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부 및 하부 시트들은 개별적인 구멍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별적인 구멍부는 커버의 중앙 개구를 형성하도록 정렬되며, 변좌가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수용될 때 상기 중앙 개구는 변좌의 중공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변좌 커버는 중앙 개구의 측면에 절첩되는 플랩(hinged flap)을 또한 포함할 수 있고, 변좌가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수용될 때 상기 플랩은 변좌의 중공부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시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천공부가 찢어질 때 개별적인 구멍부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천공부는 천공부가 찢어질 때 플랩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시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천공부가 찢어질 때 플랩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랩은 커버의 전방 에지에 인접해서 절첩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시트들은 유체 투과성 재료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시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유체 불투과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시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내부 층의 재료 및 외부 층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층은 커버의 외부이다.
내부 층은 유체 불투과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층은 흡수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시트들은 형상이 직사각형일 수 있다.
하부 시트는 하부 시트의 하나 이상의 다른 에지에서 상부 시트에 또한 결합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다른 에지는 결합 에지에 대응하고, 각각의 다른 에지와 개별적인 결합 에지가 편자 형상인 변좌의 하나의 포크(fork)를 수용하기 위한 슬리브(sleeve)를 형성하도록 각각의 상기 다른 에지는 대응하는 결합 에지에 배치된다.
다른 에지는 링을 형성하도록 개별적인 원주를 따라 실질적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시트는 하부 시트의 전방 에지에서 상부 시트에 또한 결합될 수 있고, 커버는 변좌가 그곳을 통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입구(mouth)를 또한 포함한다.
하부 시트는 중앙 개구와 입구 에지 사이에 위치한 추가적인 개구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추가적인 개구는 대향하는 외부 에지를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연장한다.
상부 및 하부 시트들은 수용된 변좌의 표면적을 초과하여 연장하고, 접혀지고 변좌 아래에 배치될 수 있는 둘레 구역(peripheral area)을 또한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시트는, 변좌가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수용될 때 변좌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둘레 구역이 접혀질 때, 둘레 구역은 수용된 변좌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시트는, 하부 시트보다 상부 시트가 실질적으로 길이가 길게 되도록 연장부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시트는 하부 시트보다 길이가 450mm 클 수 있다.
연장부는 물 탱크 또는 지지 벽에 대해 연장부를 유지하도록 물 탱크 또는 지지 벽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는, 찢어질 때 하나 이상의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는, 변좌 뚜껑의 절첩되지 않은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시트 또는 하부 시트는 하나 이상의 고정 스트립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 스트립은 상부 시트 또는 하부 시트에 결합된 결합 단부와, 루프가 변좌의 일부 둘레에 실질적으로 형성되도록 변좌의 중공부 및 상부 시트 위 혹은 하부 시트 아래를 통해 연장할 수 있는 자유 단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단부는 외부 에지들 중의 하나에 인접한, 중앙 개구의 원주를 따른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다.
자유 단부는 대향하는 외부 에지에 인접한, 중앙 개구의 원주를 따른 다른 위치에서 절단될 수 있다.
상부 시트 또는 하부 시트는 찢어질 때 하나 이상의 고정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 스트립 천공부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라,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며, 제조 방법은 상부 시트 재료 및 하부 시트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하부 시트를 하부 시트의 두 개의 결합 에지에서 상부 시트와 결합하는 단계; 상부 및 하부 시트에 개별적인 구멍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커버의 중앙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개별적인 구멍부를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결합 에지는 대향하는 외부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개구는 변좌가 커버에 의해 수용될 때 변좌의 중공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중앙 개구의 측면에서 절첩되는 플랩을 형성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랩은 변좌가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수용될 때 변좌의 중공부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상부 및 하부 시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하나 이상의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천공부는 천공부가 찢어질 때 개별적인 구멍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천공부는, 천공부가 찢어질 때 플랩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상부 및 하부 시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천공부는 추가적인 천공부가 찢어질 때 플랩의 길이가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플랩을 형성하는 단계는 커버의 전방 에지에 인접해서 절첩된 플랩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각각의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를 위한 유체 투과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상부 및 하부 시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위한 유체 불투과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상부 시트 또는 하부 시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위한 내부 층 재료와 외부 층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층은 커버의 외부이다.
제조 방법은 내부 층을 위한 유체 불투과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외부 층을 위한 흡수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직사각형 형상의 상부 및 하부 시트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하부 시트의 하나 이상의 다른 에지를 상부 시트에 결합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다른 에지는 결합 에지에 대응하고, 각각의 다른 에지와 개별적인 결합 에지가 편자 형상인 변좌의 하나의 포크를 수용하기 위한 슬리브를 형성하도록 각각의 상기 다른 에지는 대응하는 결합 에지에 배치된다.
제조 방법은 링을 형성하도록 개별적인 원주를 따라 다른 에지를 실질적으로 함께 결합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하부 시트의 전방 에지를 상부 시트에 결합하고, 변좌가 그곳을 통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입구를 결합되지 않은 에지에 형성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중앙 개구와 하부 시트의 입구 에지 사이에 위치한 추가적인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추가적인 개구는 대향하는 외부 에지를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연장한다.
제조 방법은 수용된 변좌의 표면적을 초과하여 연장하는 둘레 구역을 상부 및 하부 시트들에 제공하고, 둘레 구역이 접혀지고 변좌 아래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하부 시트에 구멍을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멍은 변좌가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수용될 때 변좌에 구비된 결합 부재와 정렬된다.
제조 방법은 수용된 변좌에 구비된 결합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수용 구멍을 적어도 하부 시트에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시트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는, 하부 시트보다 상부 시트가 실질적으로 길이가 길게 되도록 연장부를 구비한 상부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시트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는, 하부 시트보다 길이가 450mm 긴 상부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물 탱크 또는 지지 벽에 대해 연장부를 유지하도록 물 탱크 또는 지지 벽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을 연장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천공부가 찢어질 때 하나 이상의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천공부를 연장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변좌 뚜껑의 절첩되지 않은 단부를 수용하거나 결합하기 위한 포켓을 연장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상부 시트 또는 하부 시트에 하나 이상의 고정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시트 또는 하부 시트에 하나 이상의 고정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부 시트 또는 하부 시트에 고정 스트립의 결합 단부를 연결하고, 루프가 변좌의 일부 둘레에 실질적으로 형성되도록 변좌의 중공부 및 상부 시트 위 혹은 하부 시트 아래를 통해 연장할 수 있는 고정 스트립의 자유 단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단부를 연결하는 것은 외부 에지들 중의 하나에 인접한, 중앙 개구의 원주를 따른 위치에서 고정 스트립의 결합 단부를 결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자유 단부를 제공하는 것은 대향하는 외부 에지에 인접한, 중앙 개구의 원주를 따른 다른 위치에서 절단된 자유 단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찢어질 때 하나 이상의 고정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스트립 천공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수세식 변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a는 실시예의 변좌 커버의 분해도이다.
도 2b는 실시예의 조립된 변좌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2c는 실시예의 조립된 변좌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수세식 변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a는 실시예의 변좌 커버의 분해도이다.
도 4b는 실시예의 조립된 변좌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4c는 실시예의 조립된 변좌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변좌 커버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의 변좌 커버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실시예의 변좌 커버의 분해도이다.
도 7b는 변좌 커버를 사용하는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의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의 대략적인 치수를 나타낸, 조립되지 않은 변좌 시트 커버의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실시예의 변좌 커버의 분해도이다.
도 9b는 조립된 변좌 커버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c는 조립된 변좌 커버를 사용하는 실시예의 대체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의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의 대략적인 치수를 나타낸, 조립되지 않은 변좌 커버의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의 변좌 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통상의 기술자에게 더욱 잘 이해되고 분명해질 것이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된" 또는 "연결된" 용어들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경우, 직접 연결되거나 하나 이상의 중간의 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도록 의도한 것이다.
명세서에서, 시트(sheet)라는 용어는 여기에서 설명하는 용도에 적합한 재료의 시트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제한하는 것을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또는 "완전히" 및 유사한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포함하는", "포함하고"와 같은 용어는 이들 용어 다음에 지시하는 요소/구성 및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은 다른 구성을 광범위하게 포함하는 비-제한적으로 서술하는 표현으로 의도한 것이다. 또한, "약", "대략"과 같은 용어는 일반적으로 타당한 차이, 예를 들면 제시한 값의 +/- 20%의 차이, 제시한 값의 +/- 10%의 차이, 제시한 값의 +/- 5%의 차이, 또는 제시한 값의 +/- 4%의 차이, 또는 제시한 값의 +/- 3%의 차이, 또한 제시한 값의 +/- 2%의 차이, 또는 제시한 값의 +/- 1%의 차이를 의미한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 어떤 값들은 범위로 제시될 수 있다. 범위의 끝을 나타내는 값들은 바람직한 범위를 나타내도록 의도한 것이다. 범위가 기재되었을 때, 그 범위는 모든 가능한 하위 범위뿐만 아니라 그 범위 내의 개별적인 수치를 전부 포함하여 교시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다. 즉, 범위의 끝 수치들이 융통성이 없는 한계로 해석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1% 내지 5%의 범위는 하위 범위인 1% 내지 2%, 1% 내지 3%, 1% 내지 4%, 2% 내지 3% 등 뿐만 아니라 1%, 2%, 3%, 4%, 5%와 같은 그 범위 내의 개별적인 값들을 나타내도록 의도한 것이다. 위에서 특별히 설명한 것에서 의도하는 것은 임의의 범위의 깊이/폭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수세식 변기(100)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수세식 변기(100)는 예컨대 배설물을 수용하는 통 부분(변기통)(102)을 포함한다. 통 부분(102)은 통 부분(102)의 둘레 또는 테두리(106)에 의해 한정되는 개구(104)를 포함한다.
변좌(110)는 후방 단부 또는 힌지 단부(108)에서 테두리(106)에 절첩된다. 앉으려 할 경우에 변좌(110)는 테두리(106) 위에 놓이도록 전개된다. 이것은 전개 위치로 지칭할 수 있다. 변좌(110)는 중공부(112)를 가진 환형상 또는 링 형상이고 테두리(106) 상에 놓이도록 전개될 때 실질적으로 완전히 테두리(106)를 덮는다. 앉는 것을 원하지 않을 때, 변좌(110)가 통 부분(102)의 개구와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단부(108)와 직경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변좌(110)의 반대편 단부 또는 전방 단부(114)는 변좌를 기립/수직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테두리(106)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이것은 전개되지 않은 위치로 지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변좌(110)는 기립 위치에 있을 경우 수세식 변기(100)의 벽면 또는 물 탱크에 기대어 질 수 있다.
앉으려 할 경우에, 사용자의 등이 벽면 또는 물 탱크와 마주하도록 수세식 변기(100)의 벽면 또는 물 탱크에서 떨어져 위치한 변좌(110) 위에 사용자가 앉는다. 이런 관점에서, 변좌(110)의 후방 단부 또는 힌지 단부(108)는 벽면 또는 물 탱크에 근접하여 있는 반면에, 전방 단부(114)는 벽면 또는 물 탱크로부터 멀리 있는 변좌(110)의 원위 단부이다.
실시예에서, 변좌(110)는 통 부분(102)에 절첩되어 있다. 변경 실시예에서, 변좌는 대체 수단을 통해 통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변좌는 변좌가 변기통의 테두리를 실질적으로 덮고 있는 전개 위치와 변좌가 변기통을 덮고 있지 않는 전개되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 변기통의 테두리 표면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의 방향으로 선회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
도 2a는 실시예의 변좌 커버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변좌 커버(200)는 제1 시트 또는 상부 시트(202)와 제2 시트 또는 하부 시트(204)를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시트(202, 204)는 형상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며 두 개의 측면 에지(206a, 206b)가 서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예를 들어 외부 측면 에지(206a, 206b)인 두 개의 측면 에지에서 함께 결합되거나 봉인(seal)된다. 함께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시트(202, 204)의 에지들은 결합 에지로 지칭된다.
도 2b는 실시예의 조립된 변좌 커버(20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b에서, 저부 시트(204)는 부분적으로 불투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시트(202, 204)가 함께 결합되지 않고 봉인되지 않은 에지(208)에, 커버(200)의 입구(210)가 형성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110)가 상부 시트(202)와 하부 시트(204) 사이 및 대향하는 측면 에지(206a)와 측면 에지(206b) 사이에서 변좌 커버(200) 내에 수용되도록 변좌(도 1의 변좌(110))는 입구(210)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변좌 커버(200)는 삽입물인 변좌(110)를 수용하기 위한 봉투처럼 기능한다.
실시예에서, 변좌(110)는 힌지 단부(108)에서 변기통(도 2a 및 도 2b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절첩되어 있다. 따라서, 변좌(110)는 먼저 전방 단부(114)에서 커버(200) 내로 삽입된다.
도 2b에는 변좌(110)가 변좌 커버(200) 내에 유지될 때, 변좌 커버(200) 내의 변좌(110)의 위치를 더욱 명확하게 나타내도록 변좌(110)가 도시되어 있다. 변좌 커버(200)가 사용되고 있고 변좌(110)를 덮고 있을 때, 변좌(110)는 평면도에서 시각적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변좌(110)가 삽입되거나 봉인되지 않은 입구 에지(208)를 통해 커버(200)로부터 제거되도록, 입구(210)와 대향하는 커버(200)의 전방 에지(212)는 바람직하게는 봉인된다(즉, 상부 시트(202)와 하부 시트(204)는 함께 결합된다). 변좌(110)가 커버(200) 내로 삽입될 때 봉인된 에지(212)가 변좌(110)의 전방 단부(114)가 상기 에지(212)를 지나서 연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이것은 커버(200)를 변좌(110)에 대해 용이하게 당길 수 있게 허용한다.
커버(200)가 구멍부(214a, 214b)(도 2a)에 의해 형성된 중앙 개구(216)(도 2b)를 포함하도록 상부 및 하부 시트(202, 204)는 구멍부(214a, 214b)(도 2a)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커버(200)가 사용 중일 때(즉, 변좌(110)가 커버(200) 내로 삽입되어 있을 때), 중앙 개구(216)는 변좌(110)의 중공부(112) 상에 또는 안에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중앙 개구(216)는 변좌(110)의 중공부(112)보다 작다.
변좌(110)가 커버(200) 내로 삽입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단일 시트 커버와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리하게 변좌에 대해 더욱 확실하게 설치되는 것을 제공한다. 종래 기술의 단일 시트 커버는 단지 변좌의 표면 위에만 놓여지며 변좌의 표면에 확실하게 고정되지 않을 것이다. 사용자가 변좌의 상면에 놓인 단일 시트 커버에 다가가 앉으려고 할 때 종래 기술의 단일 시트 커버는 종종 공기 이동에 의해서 이동되거나 옮겨진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변좌가 커버 내에 삽입되어 커버에 의해 샌드위치될 수 있고, 따라서 커버가 변좌에 대해 더욱 확실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하기 전에는 중앙 개구(216)가 형성되지 않는다. 대신에, 상부 및 하부 시트(202, 204)는 절단부를 한정하거나 윤곽을 나타내는 천공부(218a, 218b)를 포함한다. 천공부(218a, 218b)가 사용자에 의해 파단될 때, 커버(200)의 중앙 개구(216)를 형성하는 개별적인 구멍부(214a, 214b)를 형성하도록 절단부가 이동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앙 개구(216)는 사용하기 전에 형성되지 않는다. 변경 실시예에서, 중앙 개구(216)가 제조 시점에서 그리고 사용하기 전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것은 예컨대 천공부(218a, 218b)를 파단하지 않고 사용자가 변좌를 삽입한 직후에, 예를 들어 변좌 커버(200)에 앉을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천공부(218a, 218b)는 구멍부(214a, 214b)의 원주를 완전히 둘러 형성되지 않는다. 대신에, 구멍부(214a, 214b)의 원주의 개별적인 섹션(220a, 220b)은 천공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천공부(218a, 218b)가 사용자에 의해 찢어지거나 파단될 때, 절단부는 천공되지 않은 구멍부(214a, 214b)의 원주의 섹션(220a, 220b)에 절첩된 플랩(222a, 222b)을 형성한다.
실시예에서, 플랩(222a, 222b)은 에지(212) 가까이에서 절첩된다. 즉, 천공되지 않은 섹션(220a, 220b)은 에지(212)에 인접해 있다. 에지(212)는 변좌(110)의 전방 단부에 가까이 있기 때문에 커버(200)의 전방 에지라고 지칭한다. 커버(200)가 변좌(110)와 함께 사용되고 변좌(110)가 변기통(예를 들어 도 1의 도면 부호 102) 위에 전개될 때, 플랩(222a, 222b)은 변좌(110)의 중공부(112) 및 중앙 개구(216)를 통해 수세식 변기(예를 들면 도 1의 도면 부호 100)의 통(예를 들면 도 1의 도면 부호 102) 내로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랩(222a, 222b)은 변기통(예를 들면 도 1의 도면 부호 102)의 내부 벽의 섹션을 가리거나 덮는다. 특히, 플랩(222a, 222b)은 전방 에지(212)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변기통(102)(도 1)의 전방 내부 벽이 플랩(222a, 222b)으로 가려진다. 유리하게, 플랩(222a, 222b)은 사용자가 앉을 때 변기통(102)(도 1)의 전방 내부벽에 남성 이용자의 신체 부분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벽을 제공하고, 따라서 변기통의 내부 벽 상의 세균 및/또는 오염물에 의해 초래되는 오염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부 및 하부 시트(202, 204) 양쪽에 형성된 두 개의 플랩(222a, 222b)을 보여주고 있지만, 플랩은 하부 시트(204)에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부 시트(202)의 천공부가 상부 시트(202)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상부 시트(202)의 천공부는 구멍(214a)의 원주를 완전히 둘러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플랩은 상부 시트(202)에만 형성될 수 있는 한편, 하부 시트(204)의 절단부는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도 2c는 실시예의 조립된 변좌 커버(200)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실시예에서, 변좌(110)는 변좌(110)의 밑면에 후크(116)(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도 2b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상부 및 하부 시트(202, 204), 봉인되지 않은 에지(208), 입구(210), 대향하는 측면 에지(206a, 206b), 전방 에지(212) 및 커버(200)의 중앙 개구(216)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랩(222a, 222b)은 도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2c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플랩이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2c는 변좌(110)의 밑면도 도시하고 있다. 변좌(110)는 상부 및 하부 시트(202, 204) 사이에 그리고 대향하는 측면 에지(206a, 206b) 사이에서 커버(200) 내에 수용된다. 도 2b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힌지 단부(108), 전방 단부(114) 및 변좌(110)의 중공부(112)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2b와 마찬가지로, 사용할 때 변좌 커버(200) 안에 변좌(110)의 위치를 더욱 명확하게 나타내도록 도 2c에 변좌(110)가 도시되어 있다. 변좌 커버(200)가 사용되고 있고 변좌(110)를 덮고 있을 때, 변좌(110)는 저면도에서 시각적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변좌(110)의 밑면은 변좌(110)의 밑면으로부터 돌출한 후크(116)를 포함하고 있다. 변좌 시트의 밑면은 변좌가 전개되어 있을 때 변기통과 마주하거나 접촉하는 변좌의 표면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커버(200)는 커버(200)가 변좌(110)에 대해 설치(즉, 변좌(110)가 커버(200) 내로 삽입)될 때 후크(116)와 정렬되고 커버(200)의 밑면에 위치한 구멍(224)을 또한 포함하고 있다.
커버(200)는 커버(200)의 주위 구역에 수용 구멍(226)을 또한 포함하고 있다. 커버(200)의 주위 구역은 시트가 수용된 변좌를 샌드위치 하지 않도록 상부 및 하부 시트(202, 204)가 수용된 변좌의 표면 구역을 초과하여 연장하는 구역이다. 변좌가 커버에 수용될 때, 커버(200)의 주위 구역은 접힘선(230)을 따라 후크(116)를 향하여 접혀질 수 있다. 커버(200)의 주위 구역이 접혀질 때, 후크(116)는 커버(200)를 변좌(110)에 추가로 고정하도록 수용 구멍(226)과 또한 결합할 수 있다.
변좌(110)의 밑면에 후크(116)를 구비하는 것은 변좌(110)가 커버(200) 내로 삽입될 때 커버(200)가 구멍(224)을 통해 변좌(110)에 더욱더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유리하게, 변좌(110)의 밑면의 후크(116)가 구멍(224)과 상호 작용하여 커버(200)가 변좌(110)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이것은 사용자가 변좌에 앉을 때 커버(200)가 변좌(110)에 대해 쉽게 이동하는 것을 또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후크(116)는 결합 부재로 기능한다.
또한, 예를 들어 수용 구멍(226)이 후크(116)와 또한 결합하도록 커버(200)의 주위 구역이 접혀지고 변좌(110)의 아래에 놓일 때, 변좌(110)에 대한 커버(200)의 고정이 더욱 향상된다.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200)가 조립되는 경우 즉 상부 및 하부 시트(204, 204)가 정렬될 때 수용 구멍(226)이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상부 및 하부 시트(202, 204) 모두에 수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변경 실시예에서, 수용 구멍(226)은 하부 시트(204)에만 구비될 수 있다.
변경 실시예에서, 상부 시트 및/또는 하부 시트의 하나 또는 양자에 형성된 구멍(224) 및/또는 수용 구멍(226)은 구멍부(214a, 214b)에 대해 설명한 것들과 유사한 천공부로부터 절단되는 절단부일 수 있다. 구멍(224) 및/또는 수용 구멍(226)은 상부 및/또는 하부 시트에 절첩되고 상부 및/또는 하부 시트(202, 204)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구멍 플랩으로 또한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가 상부 및 하부 시트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다면 절단부를 처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일부 실시예에서 플랩을 사용하는 것이 커버의 제조 및 재료 비용을 유리하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플랩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절단부가 어지럽혀지는 것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변기 청소에 대한 필요성이 적어질 수 있다.
변경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구멍 및/또는 수용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어떠한 천공부도 파열시킬 필요가 없도록 구멍 및/또는 수용 구멍은 사용하기 전에 제조 과정에서 미리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변좌 커버의 크기는 의도한 변좌의 크기에 기초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크기가 약 365 mm x 420 mm인 변좌를 위해, 변좌 커버 크기는 약 395 mm x 450 mm일 수 있다.
변좌 커버의 중앙 개구의 크기는 변좌의 중공부 크기에 기초한다는 것도 이해될 것이다. 지나치게 커다란 중앙 개구는 사용시 변기통 안의 더러운 물이 사용자에게 튀어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지나치게 작은 중앙 개구는 변좌 커버가 더럽혀지지 않도록, 사용하는 정확한 위치에 사용자가 앉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 직경을 교차하여 약 220 mm x 260 mm 크기의 중공부를 가진 변좌를 위해, 변좌 커버의 중앙 개구는 크기가 그 직경을 교차하여 약 180 mm x 220 mm이다.
도 3은 실시예의 수세식 변기(300)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수세식 변기(300)는 예를 들어 배설물을 수용하는 통 부분(또는 변기통)(302)을 포함한다. 통 부분(302)은 통 부분(302)의 둘레 또는 테두리(306)에 의해 한정되는 개구(304)를 포함한다.
변좌(310)는 후방 단부 또는 힌지 단부(308)에서 테두리(306)에 절첩된다. 앉으려 할 경우에 변좌(310)는 테두리(306) 위에 놓이도록 전개될 수 있다. 이것은 전개 위치로 지칭할 수 있다. 변좌(310)는 중공부(312) 주위에 U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힌지 단부(308)로부터 연장하는 두 개의 포크 또는 암(316)을 포함하는 편자 형상이다. 변좌(310)는 테두리(306) 위에 놓이도록 전개될 때 암(316) 사이의 공간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완전히 테두리(306)를 덮는다. 앉는 것을 원하지 않을 때, 변좌(310)가 통(302)의 개구와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힌지 단부(308)와 직경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변좌(310)의 반대편 단부 또는 전방 단부(314)는 변좌(210)를 기립/수직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테두리(306)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이것은 전개되지 않은 위치로 지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변좌(310)는 기립 위치에 있을 경우 수세식 변기(300)의 벽면 또는 물 탱크에 기대어 질 수 있다. 도 3은 전개 위치와 기립 위치 사이에 있는 변좌(310)를 보여준다.
앉으려 할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등이 벽면 또는 물 탱크와 마주하도록 수세식 변기(300)의 벽면 또는 물 탱크에서 떨어져 위치한 변좌(310) 위에 사용자가 앉는다. 이런 관점에서, 변좌(310)의 후방 단부 또는 힌지 단부(308)는 벽면 또는 물 탱크에 근접하여 있는 반면에, 전방 단부(314)는 벽면 또는 물 탱크로부터 멀리 있는 변좌(310)의 원위 단부이다.
실시예에서, 변좌(310)는 변기통(202)에 절첩되어 있다. 변경 실시예에서, 변좌는 대체 수단을 통해 변기통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변좌는 변좌가 변기통의 테두리를 실질적으로 덮고 있는 전개 위치와 변좌가 변기통을 덮고 있지 않는 전개되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 변기통의 테두리 표면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의 방향으로 선회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
도 4a는 실시예의 변좌 커버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변좌 커버(400)는 제1 시트 또는 상부 시트(402)와 제2 시트 또는 하부 시트(404)를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시트(402, 404)는 형상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며 두 개의 측면 에지(406a, 406b)가 서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외부 측면 에지(406a, 406b)인 두 개의 측면 에지에서 함께 결합되거나 봉인된다. 함께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시트(402, 404)의 에지들은 결합 에지로 지칭된다.
도 4b는 실시예의 조립된 변좌 커버(40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b에서, 저부 시트(404)는 부분적으로 불투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시트(402, 404)가 함께 결합되지 않은 봉인되지 않은 에지(408)에, 변좌 커버(400)의 입구(410)가 형성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310)가 상부 시트(402)와 하부 시트(404) 사이 및 대향하는 측면 에지(406a)와 측면 에지(406b) 사이에서 변좌 커버(400) 내에 수용되도록 변좌(도 3의 변좌(310))는 입구(410)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변좌 커버(400)는 삽입물인 변좌(310)를 수용하기 위한 봉투처럼 기능한다.
실시예에서, 변좌(310)는 힌지 단부(308)에서 변기통(도 4a 및 도 4b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절첩되어 있다. 따라서, 변좌(310)는 먼저 전방 단부(314)에서 커버(400) 내로 삽입된다. 전방 단부(314)는 힌지 단부(30)와 실질적으로 직경 방향으로 반대쪽이다.
도 4b에는 변좌(310)가 변좌 커버(400) 내에 유지될 때, 변좌 커버(400) 내의 변좌(310)의 위치를 더욱 명확하게 나타내도록 변좌(310)가 도시되어 있다. 변좌 커버(400)가 사용되고 있고 변좌(310)를 덮고 있을 때, 변좌(310)는 평면도에서 시각적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변좌(310)가 삽입되거나 봉인되지 않은 입구 에지(408)를 통해 커버(400)로부터 제거되도록, 입구(410)와 대향하는 커버(400)의 전방 에지(412)는 봉인된다(즉, 상부 시트(402)와 하부 시트(404)는 함께 결합된다). 변좌(310)가 커버(400) 내로 삽입될 때 봉인된 에지(412)가 변좌(310)의 전방 단부(314)가 상기 에지(412)를 지나서 연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이것은 커버(400)를 변좌(310)에 대해 용이하게 당길 수 있게 허용한다.
커버(400)가 구멍부(414a, 414b)(도 4a)에 의해 형성된 중앙 개구(416)(도 4b)를 포함하도록 상부 및 하부 시트(402, 404)는 구멍부(414a, 414b)(도 4a)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커버(400)가 사용 중일 때(즉, 변좌(310)가 커버(400) 내로 삽입되어 있을 때), 중앙 개구(416)는 변좌(310)의 중공부(312) 상에 또는 안에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하기 전에는 중앙 개구(416)가 형성되지 않는다. 대신에, 상부 및 하부 시트(402, 404)는 절단부를 한정하거나 윤곽을 나타내는 천공부(418a, 418b)를 포함한다. 천공부(418a, 418b)가 사용자에 의해 찢어지거나 파단될 때, 커버(400)의 중앙 개구(416)를 형성하는 개별적인 구멍부(414a, 414b)를 형성하도록 절단부가 이동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천공부(418a, 418b)는 구멍부(414a, 414b)의 원주를 완전히 둘러 형성되지 않는다. 대신에, 구멍부(414a, 414b)의 원주의 개별적인 섹션(420a, 420b)은 천공되어 있지 않고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쉽게 찢어지거나 파단될 수 없다. 따라서, 천공부(418a, 418b)가 사용자에 의해 찢어지거나 파단될 때, 절단부는 천공되지 않은 구멍부(414a, 414b)의 원주의 섹션(420a, 420b)에 절첩된 플랩(422a, 422b)을 형성한다.
실시예에서, 플랩(422a, 422b)은 에지(412) 가까이에서 절첩된다. 즉, 천공되지 않은 섹션(420a, 420b)은 에지(412)에 인접해 있다. 에지(412)는 변좌(310)의 전방 단부에 가까이 있기 때문에 커버(400)의 전방 에지라고 지칭한다. 커버(400)가 변좌(310)와 함께 사용되고 변좌(310)가 변기통(예를 들어 도 3의 도면 부호 302) 위에 전개될 때, 플랩(422a, 422b)은 변좌(310)의 중공부(312) 및 중앙 개구(416)를 통해 수세식 변기(예를 들면 도 3의 도면 부호 300)의 통 부분(예를 들면 도 3의 도면 부호 302) 내로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랩(422a, 422b)은 변기통(예를 들면 도 3의 도면 부호 302)의 내부 벽의 섹션을 가리거나 덮는다. 특히, 플랩(422a, 422b)은 전방 에지(412)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변기통(302)(도 3)의 전방 내부 벽이 플랩(422a, 422b)으로 가려진다. 유리하게, 플랩(422a, 422b)은 사용자가 앉을 때 변기통(302)(도 3)의 전방 내부벽에 남성 이용자의 신체 부분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벽을 제공하고, 따라서 변기통의 내부 벽 상의 세균 및/또는 오염물에 의해 초래되는 오염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는 두 개의 플랩(222a, 222b)을 보여주고 있지만, 플랩은 하부 시트(404)에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부 시트(402)의 천공부가 상부 시트(402)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상부 시트(402)의 천공부는 구멍부의 원주를 완전히 둘러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플랩은 상부 시트(402)에만 형성될 수 있는 한편, 하부 시트(404)의 절단부는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부 또는 측면 에지(406a, 406b)에서 함께 결합되는 것에 추가하여, 상부 및 하부 시트(402, 404)는 내부 에지(424a, 424b)에서 또한 함께 결합되거나 봉인된다. 각각의 내부 에지(424a, 424b)는 개별적인 외부 에지(406a, 406b)와 중앙 개구(416) 사이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개별적인 외부 에지(406a, 406b)와 나란하게 있다. 커버(400)의 상부 및 하부 시트(402, 404)가 내부 에지(424a, 424b) 및 외부 에지(406a, 406b)에서 함께 결합될 때, 편자 형상인 변좌(310)의 개별적인 암 또는 포크(316)를 수용하기 위해 개별적인 슬리브(내부 에지와 외부 에지 사이의 부분)가 형성된다. 즉, 각각의 슬리브는 편자 형상인 변좌(310)의 개별적인 암 또는 포크(316)를 수용할 수 있다. 각각의 슬리브는 형상이 실질적으로 튜브형일 수 있다. 그러므로, 내부 에지(424a, 424b)는 편자 형상인 변좌(310)의 암 또는 포크(316)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폭의 개별적인 슬리브 형성하도록, 개별적인 외부 에지(406a, 406b)로부터 거리를 두고 떨어져 배치된다.
변좌 커버의 크기는 의도한 변좌의 크기에 기초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크기가 약 365 mm x 420 mm인 변좌를 위해, 변좌 커버 크기는 약 395 mm x 450 mm일 수 있다.
변좌 커버의 중앙 개구의 크기는 변좌의 중공부 크기에 기초한다는 것도 이해될 것이다. 지나치게 커다란 중앙 개구는 사용시 변기통 안의 더러운 물이 사용자에게 튀어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지나치게 작은 중앙 개구는 변좌 커버가 더럽혀지지 않도록, 사용하는 정확한 위치에 사용자가 앉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 직경을 교차하여 약 220 mm x 260 mm 크기의 중공부를 가진 변좌를 위해, 변좌 커버의 중앙 개구는 크기가 그 직경을 교차하여 약 180 mm x 220 mm이다.
또한, 편자 형상인 변좌를 위한 변좌 커버의 슬리브의 폭은 편자 형상인 변좌의 암 또는 포크의 크기에 기초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폭이 약 70 mm인 암 또는 포크를 구비한 편자 형상의 변좌를 위해, 변좌 커버의 슬리브의 폭은 각각 약 100 mm일 수 있다.
변좌(310)가 커버(400)에 수용될 때 내부 에지(424a, 424b)가 실질적으로 변좌(310)의 개구 중공부(312) 안에 있도록, 결합된 내부 에지(424a, 424b)는 외부 에지(406a, 406b)보다 길이가 짧다.
변경 실시예에서, 내부 에지는 중앙 개구 주위에 완전한 원형 링 또는 타원 링을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내부 에지는 실질적으로 에지의 둘레 및 중앙 개구(416) 주위에서 상부 및 하부 시트에 대해 결합될 수 있다.
변좌(310)의 개별적인 암 또는 포크(316)을 수용하기 위한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은 유리하게 커버(400)가 변좌(310)에 더욱 확실히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슬리브는, 변좌(310)에 설치되었을 때 변좌(300)의 일부가 중앙 개구(416)를 통해 노출되도록 커버(400)가 측면에서 미끄러지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암 또는 포크(316) 상의 더러움 또는 얼룩이 내부 에지(424a, 424b)를 지나서 스며들어 변좌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합된 내부 에지(424a, 424b)는 변좌의 암 또는 포크(316)를 또한 유리하게 봉인한다.
또한, 내부 에지가 중앙 개구(416) 주위에 완전한 원형 링 또는 타원 링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실시예에서, 변좌 커버(400)가 사용될 때 내부 에지에서의 봉인은 사용자의 배설물이 커버(400)의 시트(402, 404) 사이에 갇히는 것을 또한 유리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변좌 커버(400)가 사용될 때 변좌 시트와 하부 시트(404) 사이에는 간극이 전혀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배설물이 하부 시트(404)의 아래로 늘어진 부분에 의도하지 않게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c는 실시예의 조립된 변좌 커버(400)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실시예에서, 변좌(310)는 변좌의 밑면에 후크(318)를 구비하고 있다. 도 4b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상부 및 하부 시트(402, 404), 봉인되지 않은 에지(408), 입구(410), 대향하는 측면 또는 외부 에지(406a, 406b), 전방 에지(412) 및 커버(400)의 중앙 개구(416)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랩(414a, 414b)은 도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4c에는 생략되었다.
도 4c는 변좌(310)의 밑면을 또한 도시하고 있다. 변좌(310)는 상부 및 하부 시트(402, 404) 사이에 그리고 대향하는 측면 에지(406a, 406b) 사이에서 커버(400) 내에 수용된다. 편자 형상인 변좌(310)의 암 또는 포크(316)는 내부 에지(424a, 424b) 및 외부 에지(406a, 406b)에 의해 한정되는 슬리브 내에 유지된다. 도 4b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힌지 단부(308), 전방 단부(314) 및 변좌(310)의 중공부(312)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4b와 마찬가지로, 사용할 때 변좌 커버(400) 안에 변좌(310)의 위치를 더욱 명확하게 나타내도록 도 4c에 변좌(310)가 도시되어 있다. 변좌 커버(400)가 사용되고 있고 변좌(310)를 덮고 있을 때, 변좌(310)는 저면도에서 시각적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변좌(310)의 밑면은 변좌(310)의 밑면으로부터 돌출한 후크(318)를 포함하고 있다. 변좌 시트의 밑면은 변좌가 전개되어 있을 때 변기통과 마주하거나 접촉하는 변좌의 표면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커버(400)는 커버(400)가 변좌(310)에 대해 설치(즉, 변좌(310)가 커버(400) 내로 삽입)될 때 후크(318)와 정렬되고 커버(400)의 밑면에 위치한 구멍(428)을 또한 포함하고 있다.
커버(400)는 커버(400)의 주위 구역에 수용 구멍(426)을 또한 포함하고 있다. 커버(400)의 주위 구역은 시트가 수용된 변좌를 샌드위치 하지 않도록 상부 및 하부 시트(402, 404)가 수용된 변좌의 표면 구역을 초과하여 연장하는 구역이다. 변좌가 커버에 수용될 때, 커버(400)의 주위 구역은 접힘선(430)을 따라 변좌(310)의 밑면 상의 후크(318)를 향하여 접혀질 수 있다. 커버(400)의 주위 구역이 접혀질 때, 후크(318)는 커버(400)를 변좌(310)에 추가로 고정하도록 수용 구멍(426)과 또한 결합한다.
변좌(310)의 밑면에 후크(318)를 구비하는 것은 변좌(310)가 커버(400) 내로 삽입될 때 커버(400)가 구멍(428)을 통해 변좌(310)에 더욱더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유리하게, 변좌(310)의 밑면의 후크(318)가 구멍(428)과 상호 작용하여 커버(400)가 변좌(310)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이것은 사용자가 변좌에 앉을 때 커버(400)가 변좌(310)에 대해 쉽게 이동하는 것을 또한 방지할 수 있다. 후크(318)는 결합 부재로 기능한다.
또한, 수용 구멍(426)이 후크(318)와 또한 결합하도록 커버(400)의 주위 구역이 접혀질 때때, 변좌(310)에 대한 커버(400)의 고정이 더욱 향상된다.
도 4a, 4b 및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400)가 조립되는 경우 즉 상부 및 하부 시트(404, 404)가 정렬될 때 수용 구멍(426)이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상부 및 하부 시트(402, 404) 모두에 수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변경 실시예에서, 수용 구멍(426)은 하부 시트(404)에만 구비될 수 있다.
변경 실시예에서, 상부 시트 및/또는 하부 시트의 하나 또는 양자에 형성된 구멍(428) 및/또는 수용 구멍(426)은 구멍부(414a, 414b)에 대해 설명한 것들과 유사한 천공부로부터 절단되는 절단부일 수 있다. 구멍(428) 및/또는 수용 구멍(426)은 상부 및/또는 하부 시트에 절첩되고 상부 및/또는 하부 시트(402, 404)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구멍 플랩으로 또한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가 상부 및 하부 시트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다면 절단부를 처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일부 실시예에서 플랩을 사용하는 것이 커버의 제조 및 재료 비용을 유리하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플랩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절단부가 어지럽혀지는 것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변기 청소에 대한 필요성이 적어질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의 변좌 커버(500)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변좌 커버(500)는 도 2a, 도 2b 및 도 2c에서 설명한 변좌 커버(200)와 유사하지만, 설계상 차이가 있는 구멍부를 구비한다. 구멍부(502a, 502b)는 상이한 형상이며 실질적으로 두 개의 부분들을 포함하고 있다. 구멍부(502a, 502b)는 플랩(형성되는 경우)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천공부(504a, 504b)를 포함한다. 변좌 커버(500)의 상부 및 하부 시트, 구멍, 에지 등과 같은 다른 구성 요소들은 편의상 나타내거나 도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b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랩(예컨대 도 2b 및 도 4b에서 도면 부호 222a, 222b 및 422a, 422b)은 천공부(예컨대 도 2b 및 도 4b에서 도면 부호 218a, 218b 및 418a, 418b)가 찢어질 때 형성되게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플랩(예컨대 도 2b 및 도 4b에서 도면 부호 222a, 222b 및 422a, 422b)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구멍부의 원주 둘레에 형성된 천공부(예컨대 도 2b 및 도 4b에서 도면 부호 218a, 218b 및 418a, 418b)에 의해 한정된다.
다시 도 5로 돌아가서, 추가적인 천공부(504a, 504b)는 개별적인 힌지 단부(508a, 508b) 반대쪽의 개별적인 부분(506b, 506b)(도 5에서 음영 처리된)이 변좌 커버(500)로부터 완전히 분리 및 제거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형성되는 경우에 플랩(예컨대 부분(510a, 510b))의 크기가 효과적으로 변경될 수 있게 한다. 특히, 변좌 커버(500)에 형성되는 플랩(예컨대 부분(510a, 510b))은 도 2a에 도시된 변좌 커버(200)에서 형성되는 플랩보다 비교적 작다. 전체 구멍부의 크기(도 2a의 도시된 것)로 되어 있는 플랩은 커버가 전개된 변좌에 위치될 때 변기통 안의 물과 접촉하게 들어가는 플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플랩의 크기를 유리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변기통 안의 물은 예를 들어 세균 및 박테리아로 오염될 수 있고 물이 플랩과 접촉하면 플랩이 오염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오염된 물은 플랩을 통해 변좌에 앉은 사용자 쪽으로 스며들 수 있다. 또한, 사용 후에 변좌 커버를 제거할 때, 크기가 비교적 큰 오염된 플랩은 취급하기 더욱 어려울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의 변좌 커버(600)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변좌 커버(600)는 도 2a, 도 2b 및 도 2c에서 설명한 변좌 커버(200)와 유사하고, 하부 시트(604)에 추가적인 개구(606)를 또한 포함한다. 추가적인 개구는 상부 시트(602)에는 없다. 추가적인 개구(606)는 봉인되지 않은/입구 에지(608) 사이에서 하부 시트(604)에 위치되고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외부 측면 에지들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변좌 커버(600)의 구멍, 에지 등과 같은 다른 구성 요소들은 편의상 나타내거나 도시하지 않는다.
변좌 커버(600)가 사용될 때 변좌 커버(600)의 하부 시트(604)의 추가적인 개구(606)는 사용자의 배설물이 커버(600)의 시트(602, 604) 사이에 갇히는 것을 유리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변좌 커버(600)가 사용될 때 하부 시트(604)의 아래로 늘어짐이 최소화될 수 있거나, 변좌 시트와 하부 시트(604) 사이의 간극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배설물이 하부 시트(604)의 아래로 늘어진 부분에 의도하지 않게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는 실시예의 변좌 커버(700)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변좌 커버(700)는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5에서 각각 설명한 변좌 커버(200 및 500)와 유사하다. 변좌 커버(700)는 상부 시트(702a) 및 하부 시트(702b)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중앙 개구 및 플랩이 형성될 수 있는 천공부(706a, 706b)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시트(702a, 702b)의 대향하는 외부 측면 에지와 전방 단부는 도시하기 용이하도록 도 7a에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조립된 변좌 커버(700)를 형성하도록 서로 봉인되거나 결합된다.
도 5에서 설명한 변좌 커버(500)에 추가하여, 상부 시트(702a)가 하부 시트(702b)보다 길게 되도록 상부 시트(702a)는 상부 시트(702a)의 후방 에지 또는 입구 에지(710)로부터 연장하는 연장부(708)를 또한 포함한다. 변좌 커버의 다른 실시예(예를 들어, 도 2b, 도 2c, 도 4b, 및 도 4c에서의 도면 부호(200, 400))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변좌 커버(7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은 설명되지 않거나 도시의 용이함을 위해 표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상부 시트(702a)는 하부 시트(702b)보다 약 450mm 길다. 상부 시트(702a)의 연장부(708)는 예컨대 변기의 물 탱크 또는 지지 벽면에 걸쳐질 수 있다.
도 7b는 실시예의 변좌 커버(7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시트(702a)의 연장부(708)는 변기의 물 탱크 또는 지지 벽면(716)에 걸쳐져 있다. 연장부(708)는 예를 들면 도 4c에서 설명한 구멍(426/428)과 유사한, 천공부(704)(도 7a 참조)를 찢어서 형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멍(71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물 탱크 또는 지지 벽면(716)은 상부 시트(702a)의 연장부(708)를 예를 들면 물 탱크 또는 지지 벽면에 고정하거나 유지하도록 구멍(712)과 상호 작용하는 결합 수단(714)(예를 들면, 후크)을 포함한다.
연장부(708)는 유리하게는 변기의 넓은 구역이 가려지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변좌(720)의 힌지 단부(718) 주위의 구역은 서서 소변을 보는 남성 이용자에 의한 오줌으로 더렵혀질 수 있고 제거하기 어렵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유리하게 연장부(708)는 변좌의 후방 부분, 특히 변좌(720)가 변기통의 테두리에 연결되는 변좌(720)의 힌지 단부(예를 들면 도 7b의 도면 부호 718)를 더욱 적절하게 가릴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하부 시트(702b)는 고정 스트립(722a, 722b)를 또한 포함한다. 고정 스트립(722a, 722b)은 하부 시트(702b)에 추가 천공부(또는 고정 스트립 천공부)(732)로부터 형성되며, 추가 천공부가 찢어지는 경우 고정 스트립(722a, 722b)는 하부 시트(702b)에 결합되는 개별적인 결합 단부(724a, 724b) 및 자유 단부(726a, 726b)를 포함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스트립(722a, 722b)의 결합 단부(724a, 724b)는 커버(700)의 측면 결합 에지를 형성하기 위해 하부 시트(702b)의 측면 에지로부터 옵셋된 위치에서 하부 시트(702b)와 결합되는 한편, 자유 단부(726a, 726b)는 하부 시트(702b)로부터 잘려서 커버(700)의 측면 결합 에지를 향하여 연장한다.
특히 도 7b를 참조하면, 변좌 커버(700)가 상부 시트(702a)와 하부 시트(702b) 사이의 변좌(720)와 함께 사용될 때, 고정 스트립(722a, 722b)의 자유 단부(726a, 726b)는 변좌 커버(700)(특히 상부 시트(702a))에 형성된 중앙 개구(728) 및 변좌(720)의 중공부(730)를 통해 연장하고, 전개된 경우 고정 스트립(722a, 722b)이 변좌(720)의 일부 둘레에 실질적으로 루프를 형성하고 중공부(728) 및 중앙 개구(730)를 방해하거나 차단하지 않도록 실질적으로 개별적인 결합 단부(724a, 724b)의 방향으로 중공부(726) 및 중앙 개구(728)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멀어지게 당겨지거나 연장된다(도면 부호 734a, 734b로 표시된 화살표 참조). 따라서, 고정 스트립(722a, 722b)은 유리하게는 변좌 커버(700)가 변좌(720)에 고정되거나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배설물 예를 들어 오줌이나 다른 원치않는 물질이 변좌로부터 사용자에게 시트 사이로 스며들지 않도록 고정 스트립(722a, 722b)은 또한 유리하게는 상부 및 하부 시트(702a, 702b)가 이들 사이의 변좌(720)와 함께 결속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스트립(722a, 722b)은 편자 형상의 변좌용 변좌 커버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고정 스트립(722a, 722b)이 변좌 둘레에 루프를 형성될 때 내부 에지의 봉인을 제공하기 때문에, 내부 에지(예를 들어 도 4b의 도면 부호 424a, 424b)를 봉인하는 추가적인 단계가 필요하지 않다. 이것은 변좌 커버의 제조 공정에서의 비용 및 복잡함을 유리하게 낮출 수 있다.
도 8은 도 7a 및 도 7b의 변좌 커버(700)의 상부 및 하부 시트(702a, 702b)의 개략적인 치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시트(702b)의 크기는 약 450mm x 395mm이다. 상부 시트는 하부 시트보다 길도록 연장부를 또한 포함하며 상부 시트의 크기는 900mm x 365mm이다. 상부 및 하부 시트의 중앙 개구(728)(형성되었을 때)는 크기가 260mm x 215mm인 타원이다. 고정 스트립(722a, 722b)(형성되었을 때)은 변좌 커버(700)의 폭을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도록 각각 그 크기가 약 340mm x 60mm이다. 도 8에 도시한 치수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스트립(722a, 722b)은 하부 시트(702b)에 형성된다. 대략적이고 예시적으로 설명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변경 실시예에서 고정 스트립은 상부 및 하부 시트(702a, 702b) 중의 하나 또는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한 특정 치수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는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구멍(712)은 선택 사항이라는 것 그리고 추가적인 고정 수단을 제공하도록 구멍(712)과 상호 작용하는 결합 수단없이 연장부(708)가 물 탱크 또는 지지 벽면이나 마찰 결합을 위한 요소에 걸쳐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컨대 물 탱크 또는 지지 벽면이나 요소에 걸쳐지는 것 이외에 연장부(708)는 변좌의 뚜껑에 걸쳐질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9a는 실시예의 변좌 커버(900)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변좌 커버(900)는 상부 시트(902a) 및 하부 시트(902b)를 포함한다. 조립된 변좌 커버(900)에서, 상부 및 하부 시트(902a, 902b)는 상부 및 하부 시트(902a, 902b)의 개별적인 외부 측면 에지(904, 906) 및 전방 단부(908)에서 함께 봉인되거나 결합된다. 상부 및 하부 시트(902a, 902b)의 대향하는 외부 측면 에지(904, 906) 및 전방 단부(908)는 도시하기 용이하도록 도 9a에 분리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9b는 조립된 변좌 커버(900)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 커버(900)가 조립될 때 상부 및 하부 시트(902a, 902b)의 외부 측면 에지(904, 906) 및 전방 단부(908)는 함께 봉인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변좌가 변좌 커버(900)의 입구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상부 시트(902a)와 하부 시트(902b) 사이 및 대향하는 측면 에지(904)와 측면 에지(906) 사이에서 변좌 커버(900) 내에 수용되도록, 봉인되지 않은 에지 또는 단부(910)는 입구(도 9a 및 도 9b에는 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변좌 커버(900)는 삽입물인 변좌를 수용하기 위한 봉투처럼 기능한다. 도시의 용이함을 위해 도 9a 및 도 9b에 변좌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9c는 변좌(940)와 함께 사용될 때 변좌 커버(900)의 실시예의 변경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c에서, 변좌(940)가 변좌 커버(900) 내에 수용되도록 변좌(940)는 변좌 커버(900)의 입구(918)를 통해 삽입되었다. 변좌(940)는 변좌 커버(900) 내의 변좌(940)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파선으로) 변좌(940)가 변좌 커버 안에 수용되어 있을 때 변좌는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a, 도 2b, 도 2c에서 설명한 커버(200)와 유사하게, 커버(900)의 상부 및 하부 시트(902a, 902b)는 절단부를 한정하거나 윤곽을 나타내는 천공부(912)(도 9a 참조)를 포함한다. 천공부(912)(도 9a 참조)가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파단될 때, 커버(900)에 중앙 개구(916)(도 9b 및 도 9c 참조)를 형성하도록 상부 및 하부 시트(902a, 902b)에 구멍부가 만들어져 있다. 실시예에서, 중앙 개구(916)는 제조 과정에서 형성되지 않으며 사용하기 전에 사용자가 중앙 개구(916)를 형성하도록 천공부를 찢는다. 변경 실시예에서, 중앙 개구(916)는 제조 시점 및 사용하기 전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에서, 천공부(912)는 중앙 개구(916)(도 9a 및 도 9b 참조)의 원주를 완전히 둘러 형성되지 않는다. 대신에, 천공부가 찢어질 때 전방 단부(908)에 인접하여 절첩된 플랩(924)이 형성되도록 중앙 개구(916)의 원주의 섹션(922)(도 9a)은 천공되어 있지 않다. 플랩(924)은 중앙 개구(916) 및 변좌(940)의 중공부를 통해 수세식 변기(예를 들어 도 1의 도면 부호 100)의 통 부분 내로 연장한다. 따라서 플랩은 변기통의 내부 벽의 섹션을 가리거나 덮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플랩(924)(도 9c)이 전체 구멍부 또는 중앙 개구의 크기가 되지 않도록, 플랩(924)의 크기가 형성될 때 변경(또는 감소)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변좌 커버(900)의 상부 및 하부 시트(902a, 902b)에 추가의 천공부(926)(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추가의 천공부(504a, 504b)와 유사한 것)가 제공된다. 이것은 크기가 너무 커질 수 있는 플랩이, 변좌 커버가 사용될 때 변기통 안의 물과 접촉하는 것을 유리하게 방지한다.
도 9b 및 도 9c를 참조하면, 커버(900)는 고정 스트립(928a, 928b)을 또한 포함한다. 고정 스트립(928a, 928b)은 상부 및 하부 시트의 다른 추가의 천공부(또는 고정 스트립 천공부)(930)로부터 형성된다(도 9a 참조). 형성될 때(즉, 고정 스트립 천공구(930)가 찢어질 때), 고정 스트립(928a, 928b)은 커버에 결합된 개별적인 결합 단부(932a, 932b) 및 자유 단부(934a, 934b)를 포함한다.
도 9a,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스트립(928a, 928b)은 실질적으로 중앙 개구의 직경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고정 스트립(928a, 928b)은 실질적으로 중앙 개구(916)를 형성하기 위해 절단된 상부 및 하부 시트(902a, 902b)의 일부분으로 형성된다. 고정 스트립(928a, 928b)은 외부 측면 에지(904, 906) 중 인접한 하나의, 중앙 개구(916)의 원주를 따른 위치의 개별적인 결합 단부(932a, 932b)에서 상부 및 하부 시트(902a, 902b)에 결합된다. 자유 단부(934a, 934b)가 대향하는 외부 측면 에지(906, 904)에 인접한 결합 단부와 실질적으로 반대쪽인 중앙 개구(916)의 원주를 따른 다른 위치에서 절단되도록 고정 스트립(928a, 928b)은 실질적으로 중앙 개구를 가로질러 연장한다.
실시예에서, 고정 스트립(928a)은 커버(900)의 외부 측면 에지(906)에 인접하며 중앙 개구(916)의 원주를 따른 위치의 결합 단부(932a)에서 커버(900)에 결합된다. 고정 스트립(928a)은 중앙 개구(916)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단된 스트립 부분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그 길이는 실질적으로 중앙 개구(916)의 직경이다. 고정 스트립(928a)은 대향하는 측면 에지(904)에 인접한 실질적으로 반대쪽의 결합 단부(932a)인 중앙 개구의 원주를 따른 다른 위치로부터 절단된 자유 단부(934a)를 갖는다.
특히 도 9b 및 도 9c를 참조하면, 변좌 커버(900)가 상부 시트(902a)와 하부 시트(902b) 사이의 변좌(940)(도 9c)와 함께 사용될 때, 고정 스트립(928a, 928b)의 자유 단부(934a, 934b)는 변좌 커버(900)(특히 상부 시트(902a))에 형성된 중앙 개구(916) 및 변좌의 중공부를 통해 연장하며, 전개된 경우 고정 스트립(928)이 변좌(940)의 일부 둘레에 실질적으로 루프를 형성하고 중공부 및 중앙 개구(916)를 방해하거나 차단하지 않도록 실질적으로 개별적인 결합 단부(932a, 934b)에 인접한 외부 측면 에지(904, 906)의 방향으로 중공부 및 중앙 개구(916)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멀어지게 당겨지거나 연장된다(도면 부호 936a, 936b로 표시된 화살표 참조). 따라서, 고정 스트립(928a, 928b)은 유리하게는 변좌(940)가 변좌 커버(900) 내에서 실질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변좌 커버(900)가 변좌(940)에 고정되거나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 스트립(722a, 722b)(도 7a 및 도 7b에서 설명한)과 유사하게, 배설물 예를 들어 오줌이나 다른 원치않는 물질이 변좌(940)로부터 사용자에게 시트 사이로 스며들지 않도록 고정 스트립(928a, 928b)은 또한 유리하게는 상부 및 하부 시트(902a, 902b)가 이들 사이의 변좌(940)와 함께 결속되게 할 수 있다.
도 9a, 도 9b, 도 9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스트립(928a, 928b) 각각은 상부 및 하부 시트(902a, 902b)로부터 개별적으로 형성된 상부 고정 스트립 및 하부 고정 스트립을 포함한다. 고정 스트립(928a, 928b)은 변좌(940) 및 커버(900)에 감기거나 접혀지기 때문에 도 9b 및 도 9c에서 하부 고정 스트립 만이 시각적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배열에서, 그 사이에 고정 스트립(928a, 928b)이 있는 상태로 사용자는 커버(900)에 앉을 수 있다. 대안으로, 고정 스트립(928a, 928b)이 변기의 테두리(예를 들면 도 1의 도면 부호 106)와 커버(900) 사이에 있도록 커버(900) 아래에 고정 스트립(928a, 928b)이 접혀 넣어지거나 감긴 상태로 사용자가 커버(900)에 앉을 수 있게, 고정 스트립(928a, 928b)은 변좌(940) 및 커버 아래에 감기거나 접혀질 수 있다.
고정 스트립(928a, 928b)이 커버(900) 위 또는 아래에 감기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사용자는 커버(900)에 앉을 때 스트립에 대해 여전히 압력을 가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와 같이, 커버(900) 내에 변좌(94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9a, 도 9b, 도 9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시트(902a)가 하부 시트(902b)보다 길게 되도록 상부 시트(902a)는 상부 시트(902a)의 전방 에지 또는 입구 에지(938)로부터 연장하는 연장부(914)를 또한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부 시트(902a)는 하부 시트(902b)보다 약 450mm 길다. 전술한 연장부(708)(도 7b)와 유사하게, 연장부(914)가 유리하게는 변기의 넓은 구역이 가려질 수 있게 한다. 변좌의 힌지 단부 주위의 구역은 서서 소변을 보는 남성 이용자에 의한 오줌으로 더렵혀질 수 있고 제거하기 어렵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유리하게 연장부(914)는, 특히 변좌가 변기통의 테두리에 연결되는 변좌의 힌지 단부에서 변좌의 후방 부분을 더욱 적절하게 가리고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9a, 도 9b, 도 9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장부(914)는 커버(900)의 단부에서 연장된 단부 또는 멀리 떨어진 단부에 배치된 포켓(942)을 포함한다. 도 9c를 참조하면, 연장부(914)가 뚜껑(944)에 고정될 수 있도록 포켓(942)은 그 안에 변좌(940)의 뚜껑(944)의 자유 단부 또는 절첩되지 않은 단부를 수용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 포켓(942)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변좌 커버의 높이에 기초한다. 실시예에서, 포켓(942)은 깊이가 대략 100mm 내지 120mm이다(도 9c의 도면 부호 948 참조).
실시예에서, 연장부(914)는 도 7b에서 설명한 구멍(712)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구멍(946)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914)를 변기의 물 탱크 또는 상응하게 지지 벽면에 고정하도록 구멍(946)은 예컨대 물 탱크 또는 지지 벽면에 포함된 결합 수단(예를 들면, 후크)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구멍(946)은 제조 천공부를 찢는 것에 의해 형성되거나 구멍(946)은 제조 과정 중에 미리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구멍(946)은 포켓(942) 상에 위치된다. 구멍(946)의 위치는 도시된 특정 위치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0은 상부 및 하부 시트(902a, 902b)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9a, 도 9b, 도 9c의 변좌 커버(900)의 상부 및 하부 시트(902a, 902b)의 대략적이고 예시적인 치수가 또한 표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시트(902b)의 크기는 약 450mm x 395mm이다. 상부 시트는 하부 시트보다 길도록 연장부(914)를 또한 포함하며 상부 시트의 크기는 900mm x 395mm이다. 상부 및 하부 시트의 중앙 개구(916)(형성되었을 때)는 크기가 260mm x 215mm인 타원이다. 고정 스트립(928a, 928b)(형성되었을 때)은 중앙 개구(916)의 폭을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도록 각각 그 크기가 약 215mm x 60mm이다. 연장부(914)는 상부 시트(902a)의 연장된 단부 또는 멀리 떨어진 단부에 포켓(942)을 포함한다. 포켓(942)은 깊이가 대략 100mm이다. 구멍(946)을 형성하기 위한 천공부는 포켓(942) 상에 위치되고 직경은 약 10mm이다.
도 10에 도시한 치수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포켓(942) 및 하나 이상의 구멍(946)은 선택 사항이라는 것 그리고 추가적인 고정 수단을 제공하도록 구멍(946)과 상호 작용하는 결합 수단없이 연장부(914)가 물 탱크 또는 지지 벽면이나 마찰 결합을 위한 요소에 걸쳐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컨대 물 탱크 또는 지지 벽면이나 요소에 걸쳐지는 것 이외에 연장부(914)는 변좌의 뚜껑에 걸쳐질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에서, 커버(예를 들면, 도 2b, 도 2c, 도 4b, 도 4c, 도 7a, 도 7b, 도 9a, 도 9b, 도 9c에서의 도면 부호 200, 400, 700, 900)는 실질적으로 직선의 에지를 갖는 형상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도시되었다. 특히, 외부 측면 에지(예를 들면, 206a, 206b; 406a, 406b; 904, 906)는 커버(예를 들면, 200, 400, 700, 900)의 종방향 둘레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한편, 입구(210, 410, 918) 및 전방 에지(212, 214, 908)은 커버의 횡방향 둘레 또는 위도상의 둘레를 가로질러 연장한다. 변경 실시예에서, 커버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을 포함하는 대안적인 형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에지는, 광범위하고 예시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곡선이 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측면 에지 및 전방 에지는 커버 또는 시트의 단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에지는 커버 또는 개별적인 시트의 메인 몸체의 내부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즉, 서로 결합된 에지는 외부 에지(예를 들면, 도 4b의 406a, 406b)로 설명되고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결합이 개구(예를 들면 도 2b, 도 4b의 216, 416)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와 같은 다른 에지에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예를 들면 도 2c, 도 4c의 도면 부호 200, 400)는 변좌(예를 들면 도 2c, 도 4c의 도면 부호 110, 310) 아래로 접혀져서 놓이는 둘레 구역을 또한 포함한다. 둘레 구역이 접혀질 때, 변좌에 구비된 후크(예를 들면 도 2c, 도 4c의 도면 부호 116, 318)가 수용 구멍(예를 들면 도 2c, 도 4c의 도면 부호 226, 426)과 또한 결합한다. 변경 실시예에서, 변좌는 후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수용 구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변좌가 전개될 때 커버를 변좌에 추가적으로 고정하고 커버에 대한 안정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커버의 둘레 구역은 여전히 변좌 아래로 접혀져 놓일 수 있다(또는 접혀 넣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변좌를 가리는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커버는 변좌를 감싸면서 확실하게 설치될 수(또는 당겨질 수) 있기 때문에 커버는 사용자를 변좌로부터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구멍(예를 들면 도 2c, 도 4c의 도면 부호 224, 428)이 제공되어, 고정하는 것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수용 구멍(예를 들면 도 2c, 도 4c의 도면 부호 226, 426)이 추가로 제공되어, 고정하는 것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할 경우 새로운 변좌 커버가 변좌에 설치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버는 일회용일 수 있다. 이것은 유리하게는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사용자가 앉는 깨끗하고 새로운 표면을 제공한다. 변기의 사용이 끝났을 때 변좌 커버는 폐기하기 위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변좌 위에 놓여졌을 때 변좌 커버를 통해서 유체가 침투하거나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예를 들면, 도 2b, 도 2c, 도 4b, 도 4c, 도 7a, 도 7b, 도 9a, 도 9b, 도 9c에서의 도면 부호 200, 400, 700, 900)의 상부 및 하부 시트(예를 들면, 도 2a, 도 2b, 도 2c, 도 4a, 도 4b, 도 4c, 도 7a, 도 7b, 도 9a, 도 9b, 도 9c에서의 도면 부호 202, 204, 402, 404, 702a, 702b, 902a, 902b)는 불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예컨대, 불투과성 재료는 폴리머 계열 필름, 오일 코팅된 종이 등등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예를 들면, 도 2b, 도 2c, 도 4b, 도 4c, 도 7a, 도 7b, 도 9a, 도 9b, 도 9c에서의 도면 부호 200, 400, 700, 900)의 상부 및 하부 시트(예를 들면, 도 2a, 도 2b, 도 2c, 도 4a, 도 4b, 도 4c, 도 7a, 도 7b, 도 9a, 도 9b, 도 9c에서의 도면 부호 202, 204, 402, 404, 702a, 702b, 902a, 902b)는 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것은 습식 통, 수세식 변기 등에 폐기하는 상황에서 유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시트(예를 들면, 도 2a, 도 2b, 도 2c, 도 4a, 도 4b, 도 4c, 도 7a, 도 7b, 도 9a, 도 9b, 도 9c에서의 도면 부호 202, 204, 402, 404, 702a, 702b, 902a, 902b)는 다중 층 시트일 수 있다. 즉 각 시트는 내부 층 및 외부 층을 포함하며, 내부 층은 변좌 위에 놓이거나 변좌를 감싸는 경우 변좌와 접촉하는 반면에, 외부 층은 커버의 외부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상부 시트의 외부 층은 사용할 때 사용자와 접촉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내부 또는 내부 층은 유체가 변좌 커버를 통해 스며들거나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불투과성 재료 또는 방수 재료를 포함하며, 외부 층은 그 위에 앉는 사용자에게 더욱 편안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재료의 투과 층 또는 흡수 층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흡수 층은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땀을 흡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더욱 편안한 착석의 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성 재료는 부직 재료 및 폴리에틸렌 계열 재료, 폴리프로필렌, 부직물, 종이, 면화 등일 수 있고, 불투과성 재료는 폴리머 계열 필름, 오일 코팅 종이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혀진 것이 결합된 에지(예를 들면, 도 2a, 도 2b, 도 2c, 도 4a, 도 4b, 도 4c에서의 도면 부호 206a, 206b, 212, 406a, 406b, 412 또는 도 8에서의 도면 부호 802) 중의 하나를 형성하도록 상부 및 하부 시트(예를 들면, 도 2a, 도 2b, 도 2c, 도 4a, 도 4b, 도 4c, 도 7a, 도 7b, 도 9a, 도 9b, 도 9c에서의 도면 부호 202, 204, 402, 404, 702a, 702b, 902a, 902b)는 접혀지는 단일 시트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후크(예들 들면, 도 2c, 도 4c, 도 7b에서의 도면 부호 116, 318, 714)는 예를 들면 유지하는 클립, 기둥 또는 스터브(stub)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결합 부재나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결합 부재, 두 개의 구멍 및 두 개의 수용 구멍이 설명되었지만, 임의 개수의 이러한 구성 요소들이 커버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후크 또는 적절한 결합 부재는 변좌(통상적인 변좌) 또는 물 탱크나 상응하는 벽면에 용이하게 부착되고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변좌 커버를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은 아래에 설명하는 것과 같다. 제1 단계로서, 투과성 및 불투과성 재료의 층들은 단일 시트를 형성하도록 접착제 또는 임의의 접착 재료를 사용하여 함께 접합된다. 다음에, 결합된 단일 시트 재료는 봉투 형상으로 접혀지고, 열 밀봉 기계, 초음파 기계 또는 바느질 수단 등을 사용하여 측면 에지(및 필요한 경우 전방 에지)에서 봉인된다. 입구(예를 들면 도 2b, 도 4b, 도 9c에서의 도면 부호 210, 410 또는 918)는 봉인되지 않고 개방된 채로 유지된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면 포켓(942)(도 9c)이 열 밀봉 기계, 초음파 기계 또는 바느질 수단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변좌 커버는 중앙 구멍부(예를 들면 도 2a, 도 4a에서의 214a, 414a)를 위한 천공부(예를 들면 도 2a, 도 4a, 도 9a에서의 218a, 418a, 912) 뿐만 아니라 구멍(예를 들면 도 2c, 도 4c에서의 224, 428) 및 수용 구멍(예를 들면 도 2c, 도 4c에서의 226, 426)을 위한 천공부를 펀칭하기 위해 보내진다. 플랩(예를 들면 도 9a에서의 926)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것 또는 고정 스트립(예를 들면 930)을 제공하기 위한 것과 같은 다른 천공부들이 또한 형성된다.
편자 형상의 커버(예를 들면 도 4a, 도 4b, 도 4c에서의 400)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가열 밀봉, 초음파 밀봉 또는 바느질 밀봉 등에 의해 내부 에지(예를 들면 도 4b에서의 424a, 424b)를 봉인하는 추가적인 단계가 실행된다.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천공부를 찢어냄에 따라 형성되는 개구 또는 개구부는 변좌 커버의 제조 중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즉, 사용자가 찢어내서 천공부(상부 및/또는 하부 시트들에)를 형성하는 대신에, 제조 과정에서 절단이 미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추후에 찢어내야 할 천공부를 형성할 필요없이, 플랩(222a, 222b)이 형성되도록 도 2a 및 도 2b의 구멍부(214a, 214b)는 변좌 커버의 제조 과정에서 절단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멍부 등을 절단하는 것은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변좌에 대해 당기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는 구조적으로 얇은 커버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나중에 찢을 수 있는 천공부를 제공하는 것은 변좌가 커버 내에 삽입된 후에 필요한 천공부를 후속해서 찢기 전에 사용자가 변좌에 대해 변좌 커버를 더욱 쉽게 전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실시예에서의 변좌 커버를 제조하는 방법(1100)을 도시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단계 1102에서, 상부 시트 재료 및 하부 시트 재료가 제공된다. 단계 1104에서, 하부 시트는 하부 시트의 두 개의 결합 에지에서 상부 시트에 결합되고, 상기 두 개의 결합 에지는 대향하는 외부 에지를 포함한다. 단계 1106에서, 상부 시트 및 하부 시트에 개별적인 구멍부가 형성된다. 단계 1108에서, 개별적인 구멍부는 커버의 중앙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정렬되고, 상기 중앙 개구는 커버에 의해 변좌가 수용될 때 변좌의 중공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특정 실시예에 대한 다른 변경 및/또는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관점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Claims (58)

  1. 변좌 커버는,
    상부 시트 재료,
    하부 시트 재료를 포함하며, 하부 시트는 하부 시트의 두 개의 결합 에지에서 상부 시트에 결합되고, 상기 두 개의 결합 에지는 대향하는 외부 에지이며,
    상기 커버는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 및 대향하는 외부 에지들 사이에 변좌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부 및 하부 시트들은 개별적인 구멍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별적인 구멍부는 커버의 중앙 개구를 형성하도록 정렬되며, 변좌가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수용될 때 상기 중앙 개구는 변좌의 중공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상부 시트 또는 하부 시트는 하나 이상의 고정 스트립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 스트립은 중앙 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단된 상부 및 하부 시트들의 일부로 실질적으로 형성되며,
    하부 시트는 중앙 개구와 입구 에지 사이에 위치한 추가적인 개구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추가적인 개구는 대향하는 외부 에지를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변좌 커버는 중앙 개구의 측면에 절첩되는 플랩을 또한 포함하며, 변좌가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수용될 때 상기 플랩은 변좌의 중공부를 통해 연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시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천공부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천공부는 천공부가 찢어질 때 개별적인 구멍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천공부는 천공부가 찢어질 때 플랩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시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천공부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천공부는 천공부가 찢어질 때 플랩의 크기를 감소시키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6. 제2항에 있어서,
    플랩은 커버의 전방 에지에 인접해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시트들은 유체 투과성 재료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시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유체 불투과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시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내부 층 재료 및 외부 층 재료를 포함하며, 외부 층은 커버의 외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10. 제9항에 있어서,
    내부 층은 유체 불투과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외부 층은 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1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시트들은 형상이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13.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시트는 하부 시트의 하나 이상의 다른 에지에서 상부 시트에 또한 결합되고, 각각의 상기 다른 에지는 결합 에지에 대응하고,
    각각의 다른 에지와 개별적인 결합 에지가 편자 형상인 변좌의 하나의 포크를 수용하기 위한 슬리브를 형성하도록 상기 각각의 다른 에지는 대응하는 결합 에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에지는 링을 형성하도록 개별적인 원주를 따라 실질적으로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15.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시트는 하부 시트의 전방 에지에서 상부 시트에 또한 결합되고, 커버는 변좌가 그곳을 통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입구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시트들은 수용된 변좌의 표면적을 초과하여 연장하고, 접혀지고 변좌 아래에 배치될 수 있는 둘레 구역을 또한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18. 제17항에 있어서,
    하부 시트는, 변좌가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수용될 때 변좌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둘레 구역이 접혀질 때, 둘레 구역은 수용된 변좌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20.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시트는, 하부 시트보다 상부 시트가 실질적으로 길이가 길게 되도록 연장부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부 시트는 하부 시트보다 길이가 450mm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연장부는, 물 탱크 또는 지지 벽에 대해 연장부를 유지하도록 물 탱크 또는 지지 벽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23. 제22항에 있어서,
    연장부는, 찢어질 때 하나 이상의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24. 제20항에 있어서,
    연장부는, 변좌 뚜껑의 절첩되지 않은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25.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고정 스트립은,
    상부 시트 또는 하부 시트에 결합된 결합 단부와,
    루프가 변좌의 일부 둘레에 실질적으로 형성되도록 변좌의 중공부 및 상부 시트 위 혹은 하부 시트 아래를 통해 연장할 수 있는 자유 단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26. 제25항에 있어서,
    결합 단부는 외부 에지들 중의 하나에 인접한, 중앙 개구의 원주를 따른 위치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자유 단부는 대향하는 외부 에지에 인접한, 중앙 개구의 원주를 따른 다른 위치에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28. 제25항에 있어서,
    상부 시트 또는 하부 시트는 찢어질 때 하나 이상의 고정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 스트립 천공부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
  29.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조 방법은
    상부 시트 재료 및 하부 시트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하부 시트를 하부 시트의 두 개의 결합 에지에서 상부 시트와 결합하는 단계;
    상부 및 하부 시트들에 개별적인 구멍부를 형성하는 단계;
    커버의 중앙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개별적인 구멍부를 정렬시키는 단계;
    중앙 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단된 상부 및 하부 시트들의 일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고정 스트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중앙 개구와 하부 시트의 입구 에지 사이에 추가적인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결합 에지는 대향하는 외부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개구는 변좌가 커버에 의해 수용될 때 변좌의 중공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적인 개구는 대향하는 외부 에지를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중앙 개구의 측면에서 절첩되는 플랩을 형성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플랩은 변좌가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수용될 때 변좌의 중공부를 통해 연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시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하나 이상의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천공부는 천공부가 찢어질 때 개별적인 구멍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천공부는, 천공부가 찢어질 때 플랩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시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천공부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천공부가 찢어질 때 플랩의 길이가 감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34. 제30항에 있어서,
    플랩을 형성하는 단계는 커버의 전방 에지에 인접해서 절첩된 플랩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35. 제2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를 위한 유체 투과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36. 제29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시트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위한 유체 불투과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37. 제29항에 있어서,
    상부 시트 또는 하부 시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위한 내부 층 재료와 외부 층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며, 외부 층은 커버의 외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내부 층을 위한 유체 불투과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외부 층을 위한 흡수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40. 제29항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의 상부 및 하부 시트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41. 제29항에 있어서,
    하부 시트의 하나 이상의 다른 에지를 상부 시트에 결합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다른 에지는 결합 에지에 대응하고,
    각각의 다른 에지와 개별적인 결합 에지가 편자 형상인 변좌의 하나의 포크를 수용하기 위한 슬리브를 형성하도록 각각의 상기 다른 에지는 대응하는 결합 에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링을 형성하도록 개별적인 원주를 따라 다른 에지를 실질적으로 함께 결합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43. 제29항에 있어서,
    하부 시트의 전방 에지를 상부 시트에 결합하는 단계, 및
    변좌가 그곳을 통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입구를 결합되지 않은 에지에 형성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44. 삭제
  45. 제29항에 있어서,
    수용된 변좌의 표면적을 초과하여 연장하는 둘레 구역을 상부 및 하부 시트들에 제공하는 단계, 및
    둘레 구역이 접혀지고 변좌 아래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하부 시트에 구멍을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구멍은 변좌가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수용될 때 변좌에 구비된 결합 부재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47. 제45항에 있어서,
    수용된 변좌에 구비된 결합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수용 구멍을 적어도 하부 시트에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48. 제29항에 있어서,
    상부 시트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는, 하부 시트보다 상부 시트가 실질적으로 길이가 길게 되도록 연장부를 구비한 상부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부 시트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는, 하부 시트보다 길이가 450mm 긴 상부 시트는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50. 제48항에 있어서,
    물 탱크 또는 지지 벽에 대해 연장부를 유지하도록 물 탱크 또는 지지 벽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을 연장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천공부가 찢어질 때 하나 이상의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천공부를 연장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52. 제48항에 있어서,
    변좌 뚜껑의 절첩되지 않은 단부를 수용하거나 결합하기 위한 포켓을 연장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53. 제48항에 있어서,
    상부 시트 또는 하부 시트에 하나 이상의 고정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는,
    고정 스트립의 결합 단부를 상부 시트 또는 하부 시트에 연결하는 단계, 및
    루프가 변좌의 일부 둘레에 실질적으로 형성되도록 변좌의 중공부 및 상부 시트 위 혹은 하부 시트 아래를 통해 연장할 수 있는 고정 스트립의 자유 단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결합 단부를 연결하는 단계는 외부 에지들 중의 하나에 인접한, 중앙 개구의 원주를 따른 위치에서 고정 스트립의 결합 단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55. 제53항에 있어서,
    자유 단부를 제공하는 단계는 대향하는 외부 에지에 인접한, 중앙 개구의 원주를 따른 다른 위치에서 절단된 자유 단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56. 제29항에 있어서,
    찢어질 때 하나 이상의 고정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스트립 천공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커버의 제조 방법.
  57. 삭제
  58. 삭제
KR1020167007993A 2014-03-21 2014-08-26 변좌 커버 KR1019156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SG2014/000139 WO2015142281A1 (en) 2014-03-21 2014-03-21 A toilet seat cover
SGPCT/SG2014/000139 2014-03-21
PCT/SG2014/000400 WO2015142282A1 (en) 2014-03-21 2014-08-26 A toilet seat c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697A KR20160135697A (ko) 2016-11-28
KR101915630B1 true KR101915630B1 (ko) 2018-11-06

Family

ID=5414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993A KR101915630B1 (ko) 2014-03-21 2014-08-26 변좌 커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60206159A1 (ko)
EP (1) EP3016562A4 (ko)
JP (1) JP6441386B2 (ko)
KR (1) KR101915630B1 (ko)
CN (1) CN106061344A (ko)
AU (1) AU2014386815A1 (ko)
CA (1) CA2919625C (ko)
GB (1) GB2531478A (ko)
MY (1) MY171562A (ko)
RU (1) RU2658273C2 (ko)
WO (2) WO20151422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3683B2 (en) * 2017-08-22 2019-10-08 Robert Dale Beadles Disposable toilet seat cover and bowl sanitizer
CN107440591A (zh) * 2017-09-26 2017-12-08 韩彪 一种卷筒式马桶坐垫纸及其生产方法
USD900288S1 (en) 2020-05-11 2020-10-27 Douglas K. Dungee Toilet seat cover
US20220273145A1 (en) * 2021-02-27 2022-09-01 Henrietta Molnar Bernstein Toilet Shield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5257A1 (fr) * 1989-12-05 1991-06-07 Fourlegnie Guillaume Couverture de protection destinee a recouvrir un siege de water-closet a des fins hygieniques et prophylactiques.
JP3132355B2 (ja) * 1995-08-30 2001-02-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Icメモリカードの製造方法
US20120246811A1 (en) * 2011-04-02 2012-10-04 Martha Sayre Disposable Toilet Seat Protector & Methods of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04511A (en) * 1919-05-20 Bttsh
US1377541A (en) * 1919-06-20 1921-05-10 Jacob P Young Sanitary stool-seat cover
US1358222A (en) * 1919-09-27 1920-11-09 Joseph I Levy Sanitary toilet-seat cover
US1490488A (en) * 1922-08-10 1924-04-15 Henry H Schwartz Sanitary toilet-seat protector
GB297247A (en) * 1927-11-30 1928-09-20 Samuel Levinson A device for use upon closet seats
GB319516A (en) * 1928-10-13 1929-09-26 Harry Bennett Improvements in paper coverings for the seats of water closets and the like
US2093168A (en) * 1937-02-17 1937-09-14 Harry H Hamer Sanitary toilet seat
US2858549A (en) * 1954-07-06 1958-11-04 Susan V Carson Removable cover for toilet seats
GB1180551A (en) * 1967-01-04 1970-02-04 Albert Bunting Improvements relating to Toilet Seats
JPS5627099U (ko) * 1979-08-07 1981-03-13
US4920584A (en) * 1987-04-20 1990-05-01 Abdrabbo Ahmed H Disposable toilet seat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920548A (en) * 1988-09-28 1990-04-24 Westinghouse Electric Corp. Source range neutron flux count rate system incorpor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noise from pulse signal
US5144698A (en) * 1991-03-04 1992-09-08 Mckenzie Clancy D Toilet seat cover including handling mitts
US5537693A (en) * 1993-02-19 1996-07-23 Dossola; Liliana L. Toilet seat cover
US5437906A (en) * 1993-11-08 1995-08-01 Snuggs; Stuart E. Sanitary toilet seat covers
CA2169197A1 (fr) * 1996-02-09 1997-08-10 Pierre Turgeon Protection couvre-siege pour cabinet d'aisance
US20010032354A1 (en) * 2000-01-18 2001-10-25 Jarvis Darlene Denise Rainbow fresh/clean & fresh bathroom/toilet liners
CN2435031Y (zh) * 2000-06-06 2001-06-20 吴静 一种隔离病毒霉菌传染的垫片
CN2580895Y (zh) * 2002-12-05 2003-10-22 王凤军 一次性坐便器坐垫用卫生护袋
CN2638642Y (zh) * 2003-06-12 2004-09-08 侯谦 一次性座便器套
CN2631405Y (zh) * 2003-06-17 2004-08-11 陈岚圆 座便器坐垫的卫生安全护套
CN2740126Y (zh) * 2004-09-24 2005-11-16 牛春红 一次性坐便器卫生坐垫
CN200942059Y (zh) * 2006-07-03 2007-09-05 张航 带手纸便洁座垫
JP3132355U (ja) * 2007-03-23 2007-06-07 三浦 恒夫 便座シート
CN201019660Y (zh) * 2007-04-04 2008-02-13 李百增 一次性防水防菌马桶坐垫
US20090070921A1 (en) * 2007-09-14 2009-03-19 Ysquared Enterprises, Inc. Disposable toilet seat cover for use in potty training
CN102462431A (zh) * 2010-11-04 2012-05-23 鲁志强 一次性专用卫生垫
CN202277296U (zh) * 2011-06-17 2012-06-20 中国计量学院 一次性马桶套
CN202313098U (zh) * 2011-11-10 2012-07-11 唐学文 应用于座便器的一次性卫生座垫
KR20130095520A (ko) * 2012-02-20 2013-08-28 유창해 일회용 양변기 시트 커버 제조장치와 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되는 일회용 변기 커버
CN202776124U (zh) * 2012-09-21 2013-03-13 胡玉江 一种坐便器坐圈及卫生坐垫和垫盒组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5257A1 (fr) * 1989-12-05 1991-06-07 Fourlegnie Guillaume Couverture de protection destinee a recouvrir un siege de water-closet a des fins hygieniques et prophylactiques.
JP3132355B2 (ja) * 1995-08-30 2001-02-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Icメモリカードの製造方法
US20120246811A1 (en) * 2011-04-02 2012-10-04 Martha Sayre Disposable Toilet Seat Protector & Methods of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16562A4 (en) 2016-08-31
WO2015142282A1 (en) 2015-09-24
GB201602033D0 (en) 2016-03-23
CN106061344A (zh) 2016-10-26
AU2014386815A1 (en) 2016-02-18
CA2919625C (en) 2018-01-02
RU2658273C2 (ru) 2018-06-19
CA2919625A1 (en) 2015-09-24
GB2531478A (en) 2016-04-20
EP3016562A1 (en) 2016-05-11
RU2016103607A (ru) 2017-10-23
JP2017505693A (ja) 2017-02-23
JP6441386B2 (ja) 2018-12-19
WO2015142281A1 (en) 2015-09-24
KR20160135697A (ko) 2016-11-28
MY171562A (en) 2019-10-18
US20160206159A1 (en)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630B1 (ko) 변좌 커버
US6851131B1 (en) Portable toilet bowl cover
US20070107116A1 (en) Training potty liner
US20090070921A1 (en) Disposable toilet seat cover for use in potty training
KR102380729B1 (ko) 배설물의 포말 비산 및 튐 방지를 위한 일회용 변기 커버
KR102521462B1 (ko) 채변 시트
KR20190002981U (ko) 탈부착이 가능한 소변 튐 방지 기구가 마련된 양변기
JP6415482B2 (ja) トイレキット
JP2015213646A (ja) 便器用吸液具
TWI705784B (zh) 環保拋棄式衛生袋
KR102471803B1 (ko) 친환경 접이식 변기
JP3121374U (ja) 排泄物処理袋
JP3179623U (ja) 簡易トイレ
JP3061272U (ja) 座布団
JP6679129B2 (ja) 便座シート
EP2560538B1 (en) Sanitary device for bowls of water closets and kit comprising said device
JP4485255B2 (ja) 腰掛便座用排泄物処理袋
KR102461418B1 (ko) 휴대용 변기
JP3174692U (ja) 便座シート
JP3124409U (ja) 汚物回収袋の便器用受け具
KR20100085006A (ko) 좌변기용 위생시트
JP3195514U (ja) ロール巻き尿漏れ防止テープ
JPH1057273A (ja) 非常時用排便具
KR20230054955A (ko) 상부 개방형 고양이 화장실
JP3079124U (ja) ダンボ−ル製の椅子式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