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514B1 - 볏짚과 글라스울을 이용한 단열벽체 - Google Patents

볏짚과 글라스울을 이용한 단열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514B1
KR101913514B1 KR1020170125705A KR20170125705A KR101913514B1 KR 101913514 B1 KR101913514 B1 KR 101913514B1 KR 1020170125705 A KR1020170125705 A KR 1020170125705A KR 20170125705 A KR20170125705 A KR 20170125705A KR 101913514 B1 KR101913514 B1 KR 101913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lass wool
panel
outdoo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철
Original Assignee
조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철 filed Critical 조민철
Priority to KR1020170125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45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with ventilation means for the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을 갖도록 볏짚과 글라스울을 이용한 단열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단열벽체가 복수의 단열재로 겹쳐지되 복수의 단열체가 각각 통기성을 갖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또 가구, 벽지 등과 같은 각종 건자재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환기시키는 동시에 밖으로 빠져나가는 실내 열 에너지를 부분적으로 회수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쾌적한 환경과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열회수 환기부를 갖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구성의 다음과 같다.
벽체의 주 역할을 하는 글라스울판넬(10)과, 상기 글라스울판넬(10) 일면에 해당하는 측벽에 볏집보드(20)가 겹치고 상기 볏집보드(20) 측벽에 실내마감부재(30)가 겹치며, 상기 글라스울판넬(10) 이면은 상기 글라스울판넬(10)이면 전체면적에
반사필름(40)을 밀착하되 공기가 글라스울판넬(10)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타공(41)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필름(40) 측면에 실외마감부재(50)를 위치하되 상기 실외마감부재(50)는 상기 반사필름(40)과 간격을 이격시켜 공기층(60)을 형성한 구성이다.

Description

볏짚과 글라스울을 이용한 단열벽체{Insulating partition}
본 발명은 통기성을 갖도록 볏짚과 글라스울을 이용한 단열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단열벽체가 복수의 단열재로 겹쳐지되 복수의 단열체가 각각 통기성을 갖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또 가구, 벽지 등과 같은 각종 건자재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환기시키는 동시에 밖으로 빠져나가는 실내 열 에너지를 부분적으로 회수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쾌적한 환경과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열회수 환기부를 갖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참고로,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 및 실내 쾌적성에 있어 건축 외피의 물리적, 기술적 성능이 차지하는 비중은 현저히 높다. 따라서 건축 외피를 통해 외부의 기후환경과 실내환경 요소들을 균형있게 다루고 최적화함으로써 에너지 절약과 실내 환경의 쾌적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건축외피인 벽체는 외부 및 내부 환경의 주요 요소들과 그에 따른 대응방식에 대한 이해와 전략이 필요하다. 우선 외부환경의 영향을 좌우하는 열,빛,소리 등 물리적 요소들에 대한 적절한 대응방식을 고려해야 하며, 내부의 열,시각,음,공기의 질을 개선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실내 쾌적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 이렇듯 건축물의 벽체는 단순히 기밀성을 높이고 단열을 두껍게 한다고 해서 건축물의 종합적인 성능이 향상되는 것은 아니다.
이 건과 비교할 종래 인용기술을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인용기술 내용을 일부 이상 인용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목조주택(Wooden House)은 주택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다른 구조재로 전달하는 주요 구조부가 목재로 이루어진 주택을 말한다.
일반 주택의 경우에는 기둥, 보, 서까래, 장선 등의 부재가 주요 구조부에 해당되며 건물을 지지하는 기능의 하중을 어느 재료가 담당하느냐 하는 것으로 분류된다.
목조주택은 건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목재가 담당하는 주택을 의미하며, 외부에서 보이는 목재의 유무와 상관없으며 내부적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부재가 목재인 경우에만 목조주택에 해당한다.
목조주택은 긴 수명을 갖는 내구성을 가진다. 목재는 철, 콘크리트에 비해 내구성이 월등한 건축자재이며, 50년 평균수명을 가진 콘크리트 주택보다 2배 이상 수명이 길어 장기적으로 볼 때 자산가치가 높다. 해외에서는 신축 주택의 70~80%가 목구조로 건축되어 있고 유럽, 일본, 미국 등 목조주택의 선진국에서는 200년 이상 된 목조주택이 여전히 잘 관리되고 있다. 또한, 목조주택은 경제성이 매우 높다. 목조주택은 조적식 구조나 콘크리트 구조에 비해 벽 두께가 얇기 때문에 내부면적을 최대한 넓게 활용할 수 있다. 콘크리트 주택보다 시공비가 저렴하고 공사기간이 짧으며, 10~20년 후 디자인 노후로 보수(Renovation)를 하게 되어도 저렴한 비용으로 외장과 내장 모두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어 재건축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문제 발생 시 손쉽게 수리가 가능하여 유지보수비가 저렴하다. 또한, 목조주택은 대기 중의 습도에 따라서 수분을 흡수하기도 하고 내뱉기도 하는 목재 고유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여러 가지 골조형태 중에서 습도조절 능력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목조주택은 한국산림청의 조사보고서에 의하면, 단열성능의 척도인 실온 변동 수치가 콘크리트에 비해 우수하여 콘크리트 주택보다 연평균 에너지 절감이 26%에 이른다고 한다. 또한, 목조주택은 우수한 방음력을 갖는다. 목재건축자재들은 흡음성이 높으며, 실내의 음이 울리지 않고 빠른 시간 내에 감쇄되며 잔향 시간이 짧아서 외부로부터의 소음에 대해 콘크리트 주택보다 우수하다. 또한, 목조주택은 안정성이 높다. 목재의 단위 중량당 인장강도나 압축강도가 철이나 콘크리트보다 능가하며, 건물 전체가 가벼운 하중과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져 자체의 유연성을 지님으로써, 진동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또한, 목조주택은 건강에 유익하다. 목재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생리활성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목재의 추출성분은 신체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숙면을 취하게 하며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킴으로서 피로회복을 빠르게 하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맥박이나 혈압을 안정시키는 효능을 지니고 있다. 또한 목재의 추출성분은 곰팡이나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도 지니고 있다. 또한, 목조주택은 친환경성을 갖는다. 목재는 재생 가능한 자원이며, 목재를 원료로 하는 목질자원은 타 재료에 비해 제조 에너지가 적게 들기 때문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적고, 폐기 시에 발생 되는 건축폐기물이나 유해물질도 콘크리트 건물에 비해 현저히 적을 뿐만 아니라 리사이클이 가능하다. 그리고 목조주택은 화재에 약하지 않다. 목조주택은 화재발생 시 연소도 및 화재 확산 속도가 느리고 유해가스 발생이적어 탈출 가능성이 높으며, 생존율이 높고 목재의 단열성능은 철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 구조성은 약화가 철구조 보다 느리다. 또한 적합한 석고보드 또는 섬유보드의 사용으로 화재 시 열 흡수와 수증기를 방출하거나 온도상승을 억제하고 화재가 주택 전체로 확대되는 것을 장시간 지연시키며, 단열재와 석고보드 그리고 섬유보드 등으로 구성된 경골목구조 벽체의 내화성능은 현행 미국, 캐나다, 일본 등 선진국의 법적 기준을 충분히 만족시키고 있다. 특히 실제로 불이 났을 때 대피가 어려워 문제가 되는 집은 단독주택이 아니라 늘 아파트이며, 화재 시 사망의 주원인은 화재가 아니라 유독가스이다.
이와 같이, 목조주택은 타 공법(다른 주택)에 비해 수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집안의 각 모서리나 구석진 곳, 창문주위 등에 틈새로 인해 온도차가 발생하면, 물질과 물질 사이의 연결에 생긴 틈으로 열이 전도(Conduction)되어 결로현상이나 열에너지가 유출 또는 손실되는 열교현상(Thermal Bridge)이 발생한다.
이를 위해, 도 1의 (a)와 같은 외장재(10) 안쪽에 OSB(20), 발포수지(30), 발(40) 및 황토미장(50)으로 이루어진 단열벽체와, 도 1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장재(10) 안쪽에 OSB(20), 압축 볏짚(30), 발(40) 및 황토미장(50)으로 이루어진 단열벽체 시공 방법이 제안되고 실제 목조주택 현장에서 많이 시공되고 있는 공법이다.
그러나, 도 1의 (a) 시공 방법은 목조주택의 시공비와 공시기간을 줄이고 발포수지의 사용으로 벽체의 기밀성은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는 통기성이 결여(缺如)되어 결로현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실내공기가 밀폐되어 쾌적한 시내공기를 유지할 수 없는 관계로 주기적으로 창문을 개방하여 환기를 시켜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열벽체가 복수의 단열재로 겹쳐지되 복수의 단열체가 각각 통기성을 갖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과제와,
그리고 단열벽체에 가구, 벽지 등과 같은 각종 건자재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환기시키는 동시에 밖으로 빠져나가는 실내 열에너지를 부분적으로 회수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쾌적한 환경과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열회수환기부를 갖는 기술을 제공한다.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살펴보면,
벽체의 주 역할을 하는 글라스울판넬(10)과, 상기 글라스울판넬(10) 일면에 해당하는 측벽에 볏집보드(20)가 겹치고 상기 볏집보드(20) 측벽에 실내마감부재(30)가 겹치며, 상기 글라스울판넬(10) 이면은 상기 글라스울판넬(10)이면 전체 면적에
반사필름(40)을 밀착하되 공기가 글라스울판넬(10)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타공(41)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필름(40) 측면에 실외마감부재(50)를 위치하되 상기 실외마감부재(50)는 상기 반사필름(40)과 간격을 이격시켜 공기층(60)을 형성한 구성이다.
상기 글라스울판넬(10)과, 상기 글라스울판넬(10) 일면에 해당하는 측벽에 볏집보드(20)와, 상기 실내마감부재(30)를 관통한 후 실외방향이나 실내방향으로 송풍하는 환풍기(70)를 설치하여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경우 상기 송풍기(70)를 통해 실내공기를 송풍하여 공기층(60)에 배출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고자 할 경우 상기 환풍기(70)를 통해 공기층(60)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실외마감부재(50)에 환풍기(70)의 바람이 드나들도록 형성한 통풍구(51)와
상기 통풍구(51)를 개폐하는 개폐장치(52)를 설치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개폐장치(52)를 개방하여 환풍기(70)를 통해 실내공기를 외부(실외 공중으로)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외부공기를 상기 통풍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시킨다.
상기 환풍기(70)는 폐열회수환기부에 해당하는데 폐열회수환기부의 일측에 있는 외부환풍기(72)는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타측에 있는 내부환풍기(73)는 실내공기를 외부(공기층 포함)로 배출시킨다.
종래는 통기성이 결여(缺如)되어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점을 감안 할 때
본 발명은 단열벽체가 복수의 단열재로 겹쳐지되 복수의 단열체가 각각 통기성을 갖도록 함으로서 실내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항상 쾌적한 실내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단열벽체에 가구, 벽지 등과 같은 각종 건자재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환기시키는 동시에 밖으로 빠져나가는 실내 열 에너지를 부분적으로 회수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쾌적한 환경과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열회수환기부를 설치함으로 인해 이 또한 쾌적한 실내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 1도는 볏짚과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통기성을 갖도록 하는 단열벽체의 구성도,
제 2도는 제 1도의 분해 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 4도는 제 1도의 분해 사시도.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제차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단열벽체(1)에 있어서
벽체의 주 역할을 하는 글라스울판넬(10)과, 상기 글라스울판넬(10) 일면에 해당하는 측벽에 볏집보드(20)가 겹치고 상기 볏집보드(20) 측벽에 실내마감부재(30)가 겹치며,
상기 글라스울판넬(10) 이면은 상기 글라스울판넬(10)이면 전체면적에
반사필름(40)을 밀착하되 공기가 글라스울판넬(10)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타공(41)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필름(40) 측면에 실외마감부재(50)를 위치하되 상기 실외마감부재(50)는 상기 반사필름(40)과 간격을 이격시켜 공기층(60)을 형성한 구성이다.
상기 구성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글라스울판넬(10)과, 볏집보드(20)와 타공(41)이 형성된 반사필름(40)은 통기성을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통기성이 있는 내부마감재와 외부마감재를 더 한다.
상기 반사필름(40)에 타공이 형성되어 있어 통기성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통기성이 있는 재료를 이용함으로 실내공기는 쾌적한 상태가 유지된다.
더욱 상세한 설명은 후술에서 밝혀진다.
다음, 상기 글라스울판넬(10)과, 상기 글라스울판넬(10) 일면에 해당하는 측벽에 볏집보드(20)와, 상기 실내마감부재(30)를 관통한 후 실외방향이나 실내방향으로 송풍하는 환풍기(70)를 설치하여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경우 상기 환풍기(70)를 통해 실내공기를 송풍하여 공기층(60)에 배출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고자 할 경우 상기 환풍기(70)를 통해 공기층(60)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외부마감부재(50)에 환풍기(70)의 바람이 드나들도록 형성한 통풍구(51)와
상기 통풍구(51)를 개폐하는 개폐장치(52)를 설치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개폐장치(52)를 개방하여 환풍기(70)를 통해 실내공기를 외부(실외 공중으로)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외부공기를 상기 통풍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시킨다.
이처럼 하는 이유는, 주간에 햇빛에 의해 실외마감부재(50)가 따뜻해지면
공기층(60) 또한 간접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하는데 이 상승한 공기층의 공기를 환풍기(70)를 가동으로 실내로 유입한다.
그러므로 따뜻한 낮에는 환풍기(70)로 하여금 실내공기를 외부마감부재(50)에 형성한 통풍구(5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공기는 온도가 상승한 공기층(60)에서 유입시킨다.
여기서 설명을 더하면, 복수면(동서남북)에 시공되는 복수(미도시)의 외부마감부재(50)는 태양의 방향에 따라 실외마감부재(50)가 가열되는 방향이 다르므로 필요에 따라 공기층(60)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온도가 상승한 공기층(60)이 있는 경우 상승한 공기층(60) 내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 할 수 있다.
이처럼 실시하면, 따뜻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상승한 공기층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므로 실내공기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환풍기(70)는 폐열회수환기부에 해당하는데 상기 폐열회수환기부는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71)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폐열회수환기부의 일측에 있는 외부환풍기(72)는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타측에 있는 내부환풍기(73)는 실내공기를 외부(공기층 포함)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내부환풍기(73)를 예를 들어 2분간 동작시켜 실내공기를 외부로 2분간 배출하고, 반대로 외부환풍기(72)를 2분간 동작시켜 실외공기를 2분간 실내로 유입시킨다.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반복하면 실내는 쾌적한 공기가 지속된다.
상기 공기층(60)에 공기여과기(61)를 형성하여 환풍기(70)를 통해 상기 공기층(60)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공기여과기(61)로 하여금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여과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실외마감부재(50)의 하단에 송풍기(70)의 송풍량(바람의 세기)에 따라 열리거나 닫혀지는 개폐부(54)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경우 송풍량을 높혀 공기여과기(61)에 흡착된 이물질을 외부로 날려보내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풍바람의 세기로 환풍기(70)를 동작시키면 그 미풍바람의 세기에 따라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공기여과기(61)에 흡착된다.
이 상태로 내버려두면 먼 훗날 미세먼지가 공기층(60)에 가득 채워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환풍기(70)의 바람의 세기를 높혀 공기층에 머물고 있는 미세먼지를 외부로 날려보내기 위함이다.
상기 볏짚보드(20)는, 벽체의 높은 기밀성과 통기성 및 안정적
인 단열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열재 수단으로, 벼를 탈곡한 볏짚을 이엉으로 엮은 것과 압축하여 제작된 보드이다. 상기 벽체 상기 볏짚보드(20)는 글라스울판넬(10)에 겹친 다음 못박기 등을 이용하여 글라스울판넬(10) 벽면 전체에 고정한다.
상기 볏짚보드(20)는 볏짚을 계면활성제로 세정하고 건조 시킨 후 볏짚 직조기를 이용하여 볏짚을 위사경사 방식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직조할 수 있고
또한, 직조된 볏짚 상하부에 부직포를 덮어 압축기로 압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시중에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볏짚보드(20)는 통기성(압축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좋다.
그리고 글라스울판넬(10)의 경우 소다 성분이 많은 저 융점의 유리를 섬유상으로 뽑아 내어 만든 것이다. 내열성과 높은 인장 강도가 있다 대단히 뛰어난 전기적 성질을 지니고 있다. 용도는 보온재, 여과제, 절연재들이다.
글라스울 제품의 사용온도한계는 유리섬유자체와, 병용하는 결합재들에 의해서 좌우된다. 유리섬유자체의 한계온도는, 장시간 노출되어도 실투(失透), 영구변형, 강도, 강성 등의 현저한 저하 등을 일으키지 않는 온도로 생각하는 것으로, 대체적인 가늠으로 연화점보다 200℃ 낮은 온도를 취하면 된다. 단, 안전최고사용온도는 350℃이다. 페놀수지 결합재는 약 120℃, 멜라민수지 결합재는 약 200℃가 된다. FRP는 수지를 유리섬유를 사용해 보강한 강화 플라스틱이며, 가볍고 또한 강도가 커서 내식성에도 우수하다.
이러한 글라스울판넬(10)은 압축형태로 하여 판넬 형태로 하기 때문에 압축강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어느 정도 통기성이 있다.
그리고 실외마감부재(50)와 실내마감부재(30)는 시공자가 선택적으로 선택하여 시공하면 된다. 예를 들어 실내의 경우 황토보드를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고,
실외의 경우 목재판넬이나 황토벽돌을 이용할 수 있다.
삭제
삭제
1 : 단열벽체 10 : 글라스울판넬
20 : 볏집보드 30 : 실내마감부재
40 : 반사필름 41 : 타공
50 : 실외마감부재 51 : 통풍구
60 : 공기층 61 : 공기여과기
70 : 환풍기 71 : 열교환기
72 : 외부환풍기 73 : 내부환풍기

Claims (3)

  1. 벽체의 주 역할을 하는 글라스울판넬(10)과, 상기 글라스울판넬(10) 일면에 해당하는 측벽에 볏집보드(20)가 겹치고 상기 볏집보드(20) 측벽에 실내마감부재(30)가 겹치며, 상기 글라스울판넬(10) 이면은 상기 글라스울판넬(10)이면 전체면적에
    반사필름(40)을 밀착하되 공기가 글라스울판넬(10)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타공(41)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필름(40) 측면에 실외마감부재(50)를 위치하되 상기 실외마감부재(50)는 상기 반사필름(40)과 간격을 이격시켜 공기층(60)이 형성된 단열벽체(1)에 있어서,

    상기 단열벽체에 내부환풍기(73)와 외부환풍기(72)를 설치하여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경우 내부환풍기(73)를 통해 실내공기를 송풍하여 공기층(60)에 배출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고자 할 경우 외부환풍기(72)를 통해 공기층(60)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되되,

    상기 공기층(60)에 실내공기가 유입되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여과하도록 공기여과기(61)를 형성하고
    상기 실외마감부재(50)의 하단에 내부환풍기(73)의 송풍량에 따라 열리거나 닫혀지는 개폐부(54)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경우 송풍량을 높혀 공기여과기(61)에 흡착된 이물질을 외부로 날려보내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과 글라스울을 이용한 단열벽체.
  2. 삭제
  3. 삭제
KR1020170125705A 2017-09-28 2017-09-28 볏짚과 글라스울을 이용한 단열벽체 KR101913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705A KR101913514B1 (ko) 2017-09-28 2017-09-28 볏짚과 글라스울을 이용한 단열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705A KR101913514B1 (ko) 2017-09-28 2017-09-28 볏짚과 글라스울을 이용한 단열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514B1 true KR101913514B1 (ko) 2018-10-30

Family

ID=6410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705A KR101913514B1 (ko) 2017-09-28 2017-09-28 볏짚과 글라스울을 이용한 단열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561B1 (ko) * 2021-01-29 2021-05-25 홍종수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냉각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425Y1 (ko) * 2005-12-02 2006-02-22 주식회사 윈코 단열성 및 불연성이 개선된 통기성 열반사 단열재(2)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425Y1 (ko) * 2005-12-02 2006-02-22 주식회사 윈코 단열성 및 불연성이 개선된 통기성 열반사 단열재(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561B1 (ko) * 2021-01-29 2021-05-25 홍종수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냉각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514B1 (ko) 볏짚과 글라스울을 이용한 단열벽체
JP2010111992A (ja) 外壁構造および屋根構造の空気断熱工法
JP2008297874A (ja) 省エネルギー建物
DK1880065T3 (en) Low energy
CN216766399U (zh) 含湿气管理系统的预制光伏一体板及装配式光伏围护系统
WO2012120340A1 (en) Prefabricated building elements and relative system for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U2014302029A1 (en) Building membranes
JPH10317528A (ja) 建物の壁体構造
JP4000145B2 (ja) 外断熱工法を用いた屋根構造
JP2018040105A (ja) パイプ状発泡断熱材
JP5950714B2 (ja) 住宅の壁体構造部における換気構造
JP2006200331A (ja) 基礎パッキン
JP4756397B2 (ja) 木造住宅の籾殻壁断熱工法
EP1880065B1 (en) Low-energy buildings
JP2006241773A (ja) 断熱性建物
JP2007092362A (ja) 建築物
JPH1181509A (ja) 建造物の断熱壁構造
TWI541414B (zh) To prevent the summer type of condensation outside the wall structure
JP3089747U (ja) 建 物
CN211690918U (zh) 一种透气墙
EP4350097A1 (en) Dynamic insulation wall assembly and respective control method
WO2023082331A1 (zh) 含湿气管理系统的预制光伏一体板及装配式光伏围护系统
TWM587190U (zh) 防潮建築
JP5180432B2 (ja) 通気外壁
JP4829582B2 (ja) 外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