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561B1 -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냉각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냉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561B1
KR102255561B1 KR1020210012860A KR20210012860A KR102255561B1 KR 102255561 B1 KR102255561 B1 KR 102255561B1 KR 1020210012860 A KR1020210012860 A KR 1020210012860A KR 20210012860 A KR20210012860 A KR 20210012860A KR 102255561 B1 KR102255561 B1 KR 102255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uilding
insulation
flow path
insula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수
홍승준
Original Assignee
홍종수
홍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수, 홍승준 filed Critical 홍종수
Priority to KR1020210012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단열패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은 기 설정된 넓이로 형성되고, 양 측이 절곡되어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볼트가 형성되는 제1 패널과, 단면이 '└┘'자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패널의 내측에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결합되는 유로부와, 상기 유로부와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흡배기부와, 단열성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로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단열부와, 상기 단열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패널과 결합되는 제2 패널과, 유리섬유 성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패널의 상부에 도포되어 외부의 열을 차단하는 제1 차단층과, 열차단 페인트 성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차단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제2 차단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냉각시스템{INSULATION PANEL FOR CONSTRUCTION AND COOLING SYSTEM USING THE INSULATION PANEL}
본 발명은 건축용 단열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유로를 이용하여 열교환하며, 외부의 열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패널을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건축물의 벽체에는 단열, 방음 등을 위한 단열층이 시공되는데, 이러한 단열층은 단열판넬을 벽면과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시공한 다음, 이들의 사이에 스티로폼 등과 같은 단열재를 설치하여 시공한다. 그러나, 사막과 같이 극단적으로 건조하고 온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콘크리트 벽체가 외부의 열을 차단하지 못해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4284호(2019년 6월 22일 등록)는 공동주택의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열층과 전기배선을 분리하여 시공함으로써 화재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고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벽체로부터 다수의 지지부재를 지지함으로 인해 불규칙한 건축물의 벽체에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단열층과 벽체 간이 이격되도록 하여 그 벽체로부터 전달되는 냉기의 차단을 통한 단열효과의 향상과 함께 벽체 간에 발생되는 소음등을 차단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더운 날씨나 기후를 가진 곳에서 벽체 내부에 유로를 통해 실내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여 열교환이 가능하며, 다중의 열차단 부재를 이용하여 단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건축용 단열패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림패널을 연결하여 햇빛을 차단하고 표면에 그림자를 형성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건축용 단열패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솔라패널을 연결하여 순환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건축용 단열패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건축물 내부에 수조를 형성하고 저전력으로 수조를 냉각하여 실내에 기체를 순환시켜 냉각시킬 수 있는 건축용 단열패널을 이용한 냉각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은 기 설정된 넓이로 형성되고, 양 측이 절곡되어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볼트가 형성되는 제1 패널과, 단면이 '└┘'자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패널의 내측에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결합되는 유로부와, 상기 유로부와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흡배기부와, 단열성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로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단열부와, 상기 단열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패널과 결합되는 제2 패널과, 유리섬유 성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패널의 상부에 도포되어 외부의 열을 차단하는 제1 차단층과, 열차단 페인트 성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차단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제2 차단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볼트와 결합하여, 상기 제2 패널과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면서 햇빛을 차단하는 가림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솔라패널은 상기 지지볼트를 통해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된 전원기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널의 절곡부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패널의 양측에는 절곡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패널에 끼움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을 이용한 냉각시스템은, 제1항에 의한 건축용 단열패널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건축물과, 상기 건축물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건물구조체의 바닥면에 기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물을 수용하는 수조부와, 상기 수조에 있는 물을 냉각하여 기체상태로 상기 건축물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부와, 상기 건축물 내부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상기 수조의 물을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여 열교환이 가능하며, 다중의 열차단 부재를 이용하여 단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가림패널을 연결하여 햇빛을 차단하고 표면에 그림자를 형성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솔라패널을 연결하여 순환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 내부에 수조를 형성하고 저전력으로 수조를 냉각하여 실내에 기체를 순환시켜 냉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에서 유로부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에 솔라패널이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을 이용한 냉각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냉각시스템 내에서 건축물 실내의 유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에서 유로부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100)은 제1 패널(110), 유로부(120), 흡배기부(130), 단열부(140), 제2 패널(150), 제1 차단층(160) 및 제2 차단층(170)을 포함한다.
제1 패널(110)은 기 설정된 넓이로 형성된 패널이다. 제1 패널(110)은 철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패널(110)은 사각형의 판부재로, 양 측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1 패널(110)은 절곡된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볼트(1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볼트(111)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이는 건축용 단열패널(100)을 건축물(1100)의 벽이나 지붕 등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함이다. 제1 패널(110)은 절곡된 내측면에 후술하는 유로부(120), 흡배기부(130), 단열부(140), 제2 패널(150), 제1 차단층(160) 및 제2 차단층(170)을 수용한다.
유로부(120)는 단면이 '└┘'자 형태로 절곡되어 제1 패널(110)의 내측에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결합된다. 유로부(120)는 제1 패널(110)을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 경우, 유로부(120)의 바닥면은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패널(110)과의 접착제로 접합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유로부(120)는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로 이용된다. 유로부(120)는 후술하는 제2 패널(150)에 의해 상부가 폐쇄된다. 유로부(120)는 후술하는 흡배기부(130)와 연결되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흡배기부(130)는 유로부(120)와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한다. 흡배기부(130)는 유로부(120)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 경우, 흡배기부(130)는 후술하는 제2 패널(150)이 제1 패널(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외부로 노출된다. 이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흡배기부(130)는 상부가 개구된 상태의 정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이 유로부(120)와 연결되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흡배기부(130)는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면의 상단으로 빗물커버(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빗물이 흡배기부(130)를 통해 내부로 유로부(12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흡배기부(130)에는 순환팬(13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순환팬(132)은 흡배기부(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유체를 이동시킨다. 에를 들어, 순환팬(132)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흡배기부(130)는 건축용 단열패널(100)에 여러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순환팬(132) 역시 여러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순환팬(132)의 회전방향, 회전속도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단열부(140)는 단열성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로부(12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단열부(140)는 여러 개로 형성되어 격자 형태로 배열된 유로부(120) 사이에 삽입된다. 이 경우, 단열부(140)는 바닥면에 접착층(141)에 의해 제1 패널(110)과 접합될 수 있다. 단열부(140)는 기 설정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부(140)는 스티로폼 등 발포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열부(140)는 유로부(12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열부(140)는 2중의 구조로 적층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열부(140)는 1층이 유로부(1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배열되고, 2층이 흡배기부(130) 주변에 형성되어 2중의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제2 패널(150)에 의해 밀폐시 단열성능을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단열부(140)는 제1 패널(110) 및 제2 패널(150)과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50)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면서 단열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2 패널(150)은 단열부(14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패널(110)과 결합된다. 제2 패널(150)은 기 설정된 넓이의 판부재로 형성된다. 제2 패널(150)은 제1 패널(110)과 양측을 스팟용접하여 결합할 수 있다. 제2 패널(150)은 제1 패널(110)과의 사이에 유로부(120) 및 단열부(140)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유로부(120)에 의해 내부 유로는 유지된다.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50)은 결합에 의해 단면이 'ㅂ'자 형상의 구조를 형성한다. 제2 패널(150)의 상부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는 제1 패널(110)에 형성된 지지볼트(111)와 흡배기부(130)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단열부(140)와 제2 패널(150) 사이에는 스페이서(151)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페이서(151)는 단열부(140)와 제2 패널(150) 사이에 추가적인 유로를 형성한다. 이는 단열부(140)와 제2 패널(150) 사이에 추가적인 단열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기온이 높은 경우에 유로부(120) 외에 추가적으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날씨가 더운 날에는 냉각 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제1 차단층(160)은 유리섬유 성분으로 형성되어 제2 패널(150)의 상부에 도포되어 외부의 열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제1 차단층(160)은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성분을 이용하여 제2 패널(150)의 상부에 도포될 수 있다. 제1 차단층(160)은 제1 패널(110)의 상부에 기 설정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차단층(160)은 제2 패널(150)의 상부면을 보강하면서 단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뜨거운 기후의 지역에서도 제2 패널(150)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열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차단층(170)은 열차단 페인트 성분으로 형성되어 제1 차단층(160)의 상부에 도포된다. 제2 차단층(170)은 제1 차단층(160)을 열로부터 보호하고, 내부를 단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차단층(170)은 방수성분이 포함되어 내부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차단층(170)은 기 설정된 두께로 형성되어 열차단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패널(150)은 제1 차단층(160)과 제2 차단층(170)이 이중으로 형성되어 열차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100)은 가림패널(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림패널(180)은 일측이 기 설정된 각도로 절곡된 형태의 패널이다. 가림패널(180)은 지지볼트(111)와 결합하여 제2 패널(150)의 상부에 결합된다. 가림패널(180)은 햇빛을 차단하여 건축용 단열패널(100)의 표면을 보호하고,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1 패널(110)에는 4개의 지지볼트(111)가 형성되고, 여기에 가림패널(180)이 '||', '〓', '/', '\'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림패널(180)은 단면이 '┌'자 형태로 절곡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림패널(180)은 단면이 '
Figure 112021011887136-pat00001
' 형태로 절곡될 수 있으며, 지지볼트(111)에 의해 기 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는 태양이 비추는 방향에 따라 그림자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태양과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그림자의 길이가 변경되도록 하면서 건축용 단열패널(100)의 표면에 형성그림자의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가림패널(180)은 기본 패널에 강철 소재의 골격을 형성한 후 플라스틱으로 사출할 수 있다. 가림패널(180)의 외표면에도 유리섬유 재질의 제1 차단층(160)과 부식방지용 페인트 성분의 제2 차단층(170)이 형성되어 햇빛으로부터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면, 단열시킬 수 있다. 가림패널(180)에 의해 건축용 단열패널(100)의 노출 표면에는 햇빛으로부터 그림자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건축용 단열패널(100)이 시공된 건축물의 실내는 단열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에 솔라패널이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은 솔라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솔라패널(190)은 건축용 패널(100)의 노출 표면의 일측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패널(150)의 상부에 형성된다. 솔라패널(190)은 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전환한다. 솔라패널(190)은 지지볼트(111)와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볼트(111)는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어 일종의 전극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50) 중 지지볼트(111)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비전도성 물질이 도포되어 전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사막과 같은 지역이나 우기가 긴 지역에서는 전선이 외부에 노출되어 열화되거나 누전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솔라패널(190)는 태양광을 이용한 전기를 실내의 가전기구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솔라패널(190)은 순환팬(132)에 전기를 공급하여 공기의 흐름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이는 자연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공급이 어려운 곳에서도 전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솔라패널(190)에서 생성되는 전기는 축전지에 저장되어 필요시 이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솔라패널(190)의 크기 및 형성되는 위치는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을 이용한 냉각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냉각시스템 내에서 건축물 실내의 유체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건축용 단열패널(100)을 이용한 냉각시스템(1000)은 건축물(1100), 감지부(1200), 수조부(1300), 순환부(1400) 및 제어부(1500)를 포함한다.
건축물(1100)은 건축용 단열패널(100)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건축용 단열패널(100)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구성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건축물(1100)은 건축용 단열패널(100)을 이용하여 벽체와 지붕을 형성한다. 건축물(1100)의 크기는 사용자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건축물(1100)의 용도는 냉장저장고, 주택, 공장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건축물(1100)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고, 외벽에 건축용 단열패널(10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건축물(1100)은 건축용 단열패널(100)에 형성된 가림패널(180)에 의해 햇빛을 차단하면서 건축용 단열패널(100)의 표면에 그림자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건축용 단열패널(100)이 햇빛에 직접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하고, 햇빛을 차단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건축물(1100)의 설치 위치에 따른 태양의 이동경로에 따라 가림패널(180)의 설치 각도는 가변될 수 있다. 건축물(1100)의 건축용 패널은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그 개수 및 배열은 달라질 수 있다.
감지부(1200)는 건축물(1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한다. 감지부(1200)는 온도센서 또는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감지정보를 획득한다. 감지부(120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건축물(1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감지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감지정보는 실내의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후술하는 순환부(1400)를 제어하는 기준정보로 사용된다. 감지부(1200)는 건축물(1100) 외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건축물(1100) 실내와 실외의 온습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순환부(1400)를 제어하기 위함이다.
수조부(1300)는 건물구조체의 바닥면에 기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물을 수용한다. 예를 들어, 수조부(1300)는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수조부(1300)의 물을 냉각시켜 냉각된 공기를 생성시킨다. 수조부(1300)는 수조부(1300)의 물을 액체 상태로 건축물(1100) 내부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건축물(1100) 내부에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액체 상태의 물을 순환시켜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수조부(1300)는 필터가 형성되어 건축물(1100) 내부를 순환한 물의 이물질을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수조부(1300)는 주변의 강이나 하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조부(1300)는 후술하는 순환부(1400)를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수조부(1300)의 물에 공급하여 물이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조부(1300)에는 황토석과 야자나무 껍데기로 제조된 야자활성탄을 이용하여 오염수를 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수조부(1300)의 물을 정화하여 식물들에게 공급시 병충해를 최소화하고, 건축물(1100) 내부에 상주하는 사람의 건강을 해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순환부(1400)는 수조부(1300)에 있는 물을 냉각하여 기체 상태로 건축물(1100) 내부로 순환시킨다. 예를 들어, 순환부(1400)는 펌프와 팬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순환부(1400)는 저전력 구동방식으로 설계되어 전기 생산이 적은 지역에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순환부(1400)는 건축용 단열패널(100)에 형성된 솔라패널(190)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순환부(1400)는 제어부(1500)에 의해 구동속도 등이 제어된다.
제어부(1500)는 건축물(1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수조의 물을 냉각하여 기체상태로 순환시킨다. 제어부(1500)는 감지부(1200)의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실내의 기온을 낮추기 위해 냉각된 냉각수 또는 냉각된 기체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조부(1300)를 냉각시켜 냉각된 기체를 순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몰 후 외부전력으로 수조부(1300)를 저녁시간에 냉각하고, 이를 해가 뜨고 가장 무더운 시간(오전 10시 ~ 오후 5시)에 공기를 순환함으로써 실내공기를 냉각시켜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제어부(1500)는 건축물(1100) 내부에 식물이 재배되는 경우에는 액체 상태의 물을 분무하는 방식으로 순환시켜 수분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0)는 건축물(1100) 내부에 재배되는 식물에게 기 설정된 주파수의 음악을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식물의 스트레스를 낮춤으로써 생장을 촉진시키기 위함이다. 제어부(1500)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음악이 재생되는 시간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는 해당 식물의 생육환경에 따라 수면시간을 피해 음약이 재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건축물(1100) 내부의 식물들은 더운 여름이나 혹서기에도 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재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건축용 단열패널
110 : 제1 패널
111 : 지지볼트
120 : 유로부
130 : 흡배기부
131 : 빗물커버
132 : 순환팬
140 : 단열부
141 : 접착층
150 : 제2 패널
151 : 스페이서
160 : 제1 차단층
170 : 제2 차단층
180 : 가림패널
190 : 솔라패널
1000 : 냉각시스템
1100 : 건축물
1200 : 감지부
1300 : 수조부
1400 : 순환부
1500 : 제어부

Claims (5)

  1. 기 설정된 넓이로 형성되고, 양 측이 절곡되어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볼트가 형성되는 제1 패널;
    단면이 '└┘'자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패널의 내측에 격자 형태로 배열되어 결합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와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흡배기부;
    단열성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로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단열부;
    상기 단열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패널과 결합되는 제2 패널;
    유리섬유 성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패널의 상부에 도포되어 외부의 열을 차단하는 제1 차단층; 및
    열차단 페인트 성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차단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제2 차단층을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볼트와 결합하여, 상기 제2 패널과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면서 햇빛을 차단하는 가림패널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솔라패널은 상기 지지볼트를 통해 상기 제1 패널과 연결된 전원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건축용 단열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의 절곡부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패널의 양측에는 절곡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패널에 끼움결합하는 건축용 단열패널.
  5. 제1항에 의한 건축용 단열패널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건축물;
    상기 건축물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건물구조체의 바닥면에 기 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물을 수용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에 있는 물을 냉각하여 기체상태로 상기 건축물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부; 및
    상기 건축물 내부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상기 수조의 물을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단열패널을 이용한 냉각시스템.
KR1020210012860A 2021-01-29 2021-01-29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냉각시스템 KR102255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860A KR102255561B1 (ko) 2021-01-29 2021-01-29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냉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860A KR102255561B1 (ko) 2021-01-29 2021-01-29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냉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561B1 true KR102255561B1 (ko) 2021-05-25

Family

ID=76145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860A KR102255561B1 (ko) 2021-01-29 2021-01-29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냉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56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3577A (ja) * 2000-05-12 2001-11-22 Masahiro Kamata 熱交換可能な建物壁面パネル
JP2002021205A (ja) * 2000-07-11 2002-01-23 Toshio Iizuka 住宅の空冷省エネ屋根構造
JP2009263958A (ja) * 2008-04-24 2009-11-12 Achilles Corp 通気溝付き外断熱パネル
KR100982812B1 (ko) * 2009-08-12 2010-09-16 남정무 외장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8020U (ko) * 2010-02-08 2011-08-17 손봉규 시공이 편리한 일체형 단열재 패널
KR200458057Y1 (ko) * 2011-09-19 2012-01-18 김태섭 태양광 집광 및 제어를 위한 차양을 포함하는 천창 및 창호 시스템
KR101913514B1 (ko) * 2017-09-28 2018-10-30 조민철 볏짚과 글라스울을 이용한 단열벽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3577A (ja) * 2000-05-12 2001-11-22 Masahiro Kamata 熱交換可能な建物壁面パネル
JP2002021205A (ja) * 2000-07-11 2002-01-23 Toshio Iizuka 住宅の空冷省エネ屋根構造
JP2009263958A (ja) * 2008-04-24 2009-11-12 Achilles Corp 通気溝付き外断熱パネル
KR100982812B1 (ko) * 2009-08-12 2010-09-16 남정무 외장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8020U (ko) * 2010-02-08 2011-08-17 손봉규 시공이 편리한 일체형 단열재 패널
KR200458057Y1 (ko) * 2011-09-19 2012-01-18 김태섭 태양광 집광 및 제어를 위한 차양을 포함하는 천창 및 창호 시스템
KR101913514B1 (ko) * 2017-09-28 2018-10-30 조민철 볏짚과 글라스울을 이용한 단열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27921A (ja) 採冷システム
JP2009264721A (ja) アース・ソーラーシステム(一層式)
JP3946634B2 (ja) 地熱利用構造物
WO2009025786A1 (en) C.o.r.e. - continuous omnidirectional radiant energy geodesic hubs/structures
JP2004197974A (ja) 住宅の空調装置および空調方法
KR101480303B1 (ko) 1-자연에너지 생산 시설과 생활 편의시설 및 인체건강 시설이 주변과 내부로 설치된 자연환경 조립식 건축물.
JP6135905B2 (ja) アース・ソーラーシステム
JP2009235677A (ja) 温熱環境改善システム
JP2005061786A (ja) 地温を利用した室内温度調整構造
KR102255561B1 (ko)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냉각시스템
JP3099952U (ja) 地温を利用した建物の温度調整構造
JP3031862B2 (ja) 屋根材
JP2520125B2 (ja) 建築物構造
JP3819156B2 (ja) 建築物の蓄熱・蓄冷構造および建築物の蓄熱・蓄冷構造の構築方法
TW579416B (en) Solar energy air conditioning system
JP2954872B2 (ja) 家 屋
JP2006097425A (ja) ソーラーシステムハウスの換気方法
JP3848652B2 (ja) ソーラーシステムハウス
JP3106422B2 (ja) 住宅の断熱壁構造
JP2005241073A (ja) パッシブソーラーシステムハウス
JP2005163482A (ja) 建物の換気システム
JP2009085553A (ja) 建物の地熱システム
CN205954828U (zh) 一种超节能建筑系统
JPH0712869U (ja) 太陽熱利用建築物
JP2007271113A (ja) 床暖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