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932B1 -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 - Google Patents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932B1
KR101911932B1 KR1020180105709A KR20180105709A KR101911932B1 KR 101911932 B1 KR101911932 B1 KR 101911932B1 KR 1020180105709 A KR1020180105709 A KR 1020180105709A KR 20180105709 A KR20180105709 A KR 20180105709A KR 101911932 B1 KR101911932 B1 KR 101911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control signal
lamp
uni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성
황용수
Original Assignee
최기성
황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성, 황용수 filed Critical 최기성
Priority to KR102018010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산업용 차량(예를 들어, 굴삭기, 휠 로더, 지게차, 백호 로더, 기타)의 작업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인체가 감지되면 경고라인(불빛)을 점멸시켜 위험을 알리고, 경고라인의 거리 및 폭을 자유롭게 조절하며, 과열로 인한 경고등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 경고등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감지 센서, 입력되는 기능에 따라 안전영역 표시거리 조절 제어신호와 경고라인 폭 조절 제어신호와 형상 조절 제어신호와 경고문자 표출 제어신호와 램프 구동 제어신호와 고장 방지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안전영역 표시거리 조절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거리를 조절하는 경고거리 조절부, 경고라인 폭 조절 제어신호에 따라 안전영역 표시용 경고라인의 폭을 조절하는 경고라인 폭 조절부, 형상 조절 제어신호에 따라 램프를 이용하여 표출하는 경고라인의 형상을 변경하는 형상 조절부, 경고문자 표출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문자를 레이저 빔으로 생성하고 생성한 경고문자를 경고라인에 중첩시켜 표출하는 경고문자 표출부를 포함하여,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Warning light for safety of industrial vehicles}
본 발명은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용 차량(예를 들어, 굴삭기, 휠 로더, 지게차, 백호 로더, 기타)의 작업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인체가 감지되면 경고라인(불빛)을 점멸시켜 위험을 알리고, 경고라인의 거리 및 폭을 자유롭게 조절하며, 과열로 인한 경고등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 또는 토목현장에서는 높은 소음이 발생하므로 산업용 차량의 운전자는 차량 주위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다른 작업자나 보행자들을 감지하지 못하고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작업자나 보행자가 산업용 차량에 상해를 당하는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지게차를 예로 들면, 작업반경 내에서 이동 작업을 하고 있을 때, 갑작스럽게 후진하는 경우, 운전자는 앞쪽에 달린 후면 거울에만 의존하여 후방을 관찰하므로 산업용 차량의 후면에는 사각지대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작업자나 보행자가 사각지대에 있으면 차량의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로 산업용 차량을 후진시켜 작업자나 보행자가 미처 피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산업용 차량에서는 안전거리를 표시하여 작업자나 보행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하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경고등을 이용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 에는 산업용 차량에서 안전거리 표시를 통해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산업용 차량에 설치되어 레이저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동하는 산업용 차량의 후진시 일정시간 후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 예상위험영역을 지면에 표시하는 레이저 빔 발생기, 레이저 빔 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이동식 산업용 차량이 '온'되면 레이저 빔 발생기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이동식 산업용 차량이 '오프'되면 레이저 빔 발생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이동하는 산업용 차량의 이동특성을 실시간으로 연산하여 산업용 차량이 후진하여 일정시간 후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 예상위험영역을 지면에 호형 형태로 표시하여 줌으로써 후진중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 지게차 근접 경고 및 충돌 방지 장치는 각각의 작업자가 휴대하여 지게차의 근접을 경고하는 작업자 단말기, 각각의 지게차에 설치되어 작업자 또는 지게차의 근접을 경고하는 지게차 경고유닛, 각각의 지게차에 설치되어 지게차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지게차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RFID와 지그비(Zigbee)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지게차 운행시 작업자 또는 지게차에 대해 근접 경고를 알리고 위험 영역 내까지 근접하였을 경우에는 지게차의 운행을 자동 정지시킨다.
또한,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지게차에 구비되되 지게차 주변을 향해 접근중인 사람 또는 물체와의 감지신호를 실시간으로 인식하는 접근 인식부, 지게차의 주행 신호 및 작동 조작신호를 입력제어할 수 있게 구비되되, 접근 인식부의 인식신호를 전달받아 긴급 주행정지를 위한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메인 제어부, 지게차의 버저 및 스위치 조작에 따른 전자신호를 입력제어하되 접근인식부의 인식신호 전달 여부에 따른 메인제어부의 공급신호를 전달받아 지게차 포크리프트의 작동정지를 위한 전자적인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전자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지게차 작업을 수행하는 중 주변 일정 반경 내 접근중인 사람이나 물체 등이 인식되면 지게차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제어하여 지게차 작업중 주변 안전사고를 효율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특허문헌 4>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중장비 몸체에 설치되고, 광을 발생하는 광 발생장치, 중장비의 이동상황에 따른 다양한 위험경고 멘트가 내장되고, 위험경고 멘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경고 음성 출력장치 및 중장비의 전 후진 동작에 대응하여 광 발생장치와 경고 음성 출력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위험경보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중장비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광을 발생하고, 적절한 위험경고 멘트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공사현장 근로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30327(2015.03.20. 공개)(이동식 산업용 차량의 예상위험영역 실시간 표시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74200(2017.09.01. 등록)(무선 통신을 이용한 지게차 근접 경고 및 충돌 방지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69480(2018.06.14. 등록)(전자제어 방식을 이용한 지게차 작업 안전 제어시스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5-0001086(2015.03.11. 공개)(건설중장비용 위험경보 시스템 및 장치)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산업용 차량과 연동하여 위험상황 발생시 산업용 차량을 정지시키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위험 영역을 표시해주는 경고등 자체적으로 안전을 확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들은 레이저 빔이나 경고등을 이용하여 위험에 대해 경고를 해주는 것은 가능하나, 과열로 인한 경고등의 고장이나 장치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들은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해 표시하는 안전 영역(안전거리)을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산업용 차량(예를 들어, 굴삭기, 휠 로더, 지게차, 백호 로더, 기타)의 작업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인체가 감지되면 경고라인(불빛)을 점멸시켜 위험을 알리고, 경고라인의 거리 및 폭을 자유롭게 조절하며, 과열로 인한 경고등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은, 방열 케이스를 구비하고, 안전영역 표시거리를 조절하는 기능과 경고라인 폭 조절 기능과 안전영역 표시 형상 변경 기능 및 경고문자 표출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 산업용 차량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 경고등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감지 센서;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하고, 조작부에 의해 입력되는 기능에 따라 안전영역 표시거리 조절 제어신호와 경고라인 폭 조절 제어신호와 형상 조절 제어신호와 경고문자 표출 제어신호와 램프 구동 제어신호와 고장 방지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안전영역 표시거리 조절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거리를 조절하는 경고거리 조절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경고라인 폭 조절 제어신호에 따라 안전영역 표시용 경고라인의 폭을 조절하는 경고라인 폭 조절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형상 조절 제어신호에 따라 램프를 이용하여 표출하는 경고라인의 형상을 변경하는 형상 조절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경고문자 표출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문자를 레이저 빔으로 생성하고 생성한 경고문자를 상기 경고라인에 중첩시켜 표출하는 경고문자 표출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램프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안전영역을 불빛으로 표시해주는 램프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며, 상기 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램프 구동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고장방지 제어신호에 따라 역 전압 방지회로 또는 단락 방지 회로를 동작시켜 과열로 경고등 내부의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장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의 전단에는 불빛을 확산시키거나 라인화하는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램프 구동부를 제어하여 램프의 불빛이 점멸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온도 감지 센서에서 검출한 온도와 고장 방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검출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크면 상기 고장 방지부에 고장방지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경고거리 조절부는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램프를 회전시켜 경고거리를 조절하며,
상기 경고라인 폭 조절부는 상기 램프와 렌즈 사이에 조리개를 구비하고, 상기 조리개의 열림 량을 조절하여 경고라인 폭을 조절하며,
상기 형상 조절부는 상기 렌즈의 상부에 구비되는 형상 조절판을 상기 렌즈 앞으로 하강시켜 경고라인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굴삭기, 휠 로더, 지게차, 백호 로더와 같은 산업용 차량의 작업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인체가 감지되면 경고라인(불빛)을 점멸시켜 위험을 알려 사고를 방지하며, 경고라인의 거리 및 폭을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하여 경고영역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과열로 인한 경고등의 고장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고등이 산업용 차량(지게차)에 장착된 상태에서 경고거리를 조절하는 예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고등이 산업용 차량(지게차)에 장착된 상태에서 경고라인 폭을 조절하는 예시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고등이 산업용 차량(지게차)에 장착된 상태에서 경고라인의 형상을 변경하는 예시도,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고등이 산업용 차량(지게차)에 장착된 상태에서 산업용 차량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이하, "경고등"이라 약칭함)(100)의 사시도이다. 경고등(100)은 방열 케이스(101)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렌즈(102)를 포함하여 다양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100)의 블록 구성도로서, 안전영역 표시거리를 조절하는 기능과 경고라인 폭 조절 기능과 안전영역 표시 형상 변경 기능 및 경고문자 표출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103), 산업용 차량(1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104), 경고등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감지 센서(105),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부(106), 상기 전원부(106)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하고, 조작부(103)에 의해 입력되는 기능에 따라 안전영역 표시거리 조절 제어신호와 경고라인 폭 조절 제어신호와 형상 조절 제어신호와 경고문자 표출 제어신호와 램프 구동 제어신호와 고장 방지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107)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체 감지 센서(104)는 적외선을 이용하는 방식,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방식, 열을 감지하는 방식 등 이미 알려진 다양한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인체감지 방식의 다른 예로서, 작업자에게 전자 태그를 부착하고, 상기 작업자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전자 태그를 감지하여 인체를 감지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온도 감지 센서(105)도 알려진 다양한 온도 감지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전원부(106)는 내장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는 것으로 가정한다. 내장 배터리는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100)은, 상기 제어부(107)에서 발생하는 안전영역 표시거리 조절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거리를 조절하는 경고거리 조절부(108), 상기 제어부(107)에서 발생하는 경고라인 폭 조절 제어신호에 따라 안전영역 표시용 경고라인의 폭을 조절하는 경고라인 폭 조절부(109), 상기 제어부(107)에서 발생하는 형상 조절 제어신호에 따라 램프(113)를 이용하여 표출하는 경고라인의 형상을 변경하는 형상 조절부(110), 상기 제어부(107)에서 발생하는 경고문자 표출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문자를 레이저 빔으로 생성하고 생성한 경고문자를 상기 경고라인에 중첩시켜 표출하는 경고문자 표출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100)은 상기 제어부(107)에서 발생하는 램프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안전영역을 불빛으로 표시해주는 램프(113)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며, 상기 램프(113)의 점멸을 제어하는 램프 구동부(112), 상기 제어부(107)에서 발생하는 고장방지 제어신호에 따라 내장된 역 전압 방지회로 또는 단락 방지 회로를 동작시켜 과열로 경고등 내부의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장 방지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같은 경고등(100)을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게차와 같은 산업용 차량(10)의 소정 위치에 장착시킨다. 여기서 경고등(100)의 장착 위치는 좌측 상부, 우측 상부, 후면 상부에 장착할 수 있다. 전면 상부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나, 실제 전면은 운전자가 육안으로 보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오히려 작업에 방해될 우려가 있다. 좌측, 우측, 후면에 장착되는 경고등은 모두 동일한 구성과 동일한 작용을 하므로, 이하, 하나의 경고등(예를 들어, 후면 장착)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경고등(100)을 산업용 차량(10)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전원부(106)가 전원 스위치(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제어부(107)는 초기화를 수행한다.
이어, 사용자(운전자)는 조작부(103)를 통해 경고거리를 조절하거나, 경고라인 폭을 조절하거나, 형상을 조절하거나 경고문자 표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기능 선택을 위해 조작부(103)에 기능 선택과 조작 버튼이 마련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설정을 마치고, 동작을 시키면 제어부(107)는 인체 감지 센서(104)와 온도 감지 센서(105)에서 검출한 정보와 사용자가 조작부(103)를 통해 설정한 기능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램프(113)를 이용한 경고라인의 표출을 제어하여, 산업용 차량(10)의 주변 작업자나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먼저, 램프 구동부(112)를 동작시키게 되고, 램프 구동부(112)는 경고라인 표출용 램프(113)를 점등시킨다. 이때, 램프(113)의 전단에는 렌즈(102)가 부가되어, 램프(113)에서 발산되는 불빛이 라인화되어 투사된다. 도 2d에서 경고라인(1)이 기본적으로 표출되는 경고라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기본적으로 표출되는 경고라인을 운전자의 기능 설정에 따라 자유롭게 가변하여, 경고라인을 이용한 경고 효과를 더욱 확대하는 것이다.
예컨대, 조작부(103)에 의해 입력되는 기능이 안전영역 표시거리 조절 기능이면,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거리의 조절을 위한 안전영역 표시거리 조절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경고거리 조절부(108)에 전달한다. 여기서 안전영역 표시거리 조절 기능 입력시 사용자는 원하는 안전영역 표시거리를 설정하게 되고, 안전영역 표시거리가 설정되면 제어부(107)는 내부 메모리에 미리 등록된 거리조절 룩-업테이블에서 해당 거리에 맞는 제어 값을 추출하여 경고거리 조절부(108)에 전달한다. 상기 경고거리 조절부(108)는 상기 안전영역 표시거리 조절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거리를 조절한다. 여기서 경고거리 조절은 구동 모터(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상기 램프(113)를 회전시켜 경고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a는 램프(113)를 회전시켜 경고라인(1)의 경고거리를 조절하는 것의 예시이다.
다음으로, 조작부(103)에 의해 입력되는 기능이 안전영역 표시용 경고라인(1)의 폭 조절 기능이면, 경고라인 폭 조절을 위한 경고라인 폭 조절 제어신호를 경고라인 폭 조절부(109)에 전달한다. 여기서 경고라인 폭 조절 기능 입력시 사용자는 원하는 경고라인 폭을 설정하게 되고, 경고라인 폭이 설정되면 제어부(107)는 내부 메모리에 미리 등록된 경고라인 폭 조절 룩-업테이블에서 해당 폭에 맞는 제어 값을 추출하여 경고라인 폭 조절부(109)에 전달한다. 상기 경고라인 폭 조절부(109)는 상기 경고라인 폭 조절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라인 폭을 조절한다. 여기서 경고라인 폭 조절은 상기 램프(113)와 램프(113)의 전단에 설치된 렌즈 사이에 조리개(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상기 조리개의 열림 양을 조절하여 경고라인 폭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b는 조리개의 열림 양을 조절하여 경고라인(1)의 폭을 조절하는 것의 예시이다.
다음으로, 조작부(103)에 의해 입력되는 기능이 경고라인 형상 조절 기능이면, 경고라인 형상 조절을 위한 경고라인 형상조절 제어신호를 형상 조절부(110)에 전달한다. 여기서 경고라인 형상 조절 기능 입력시 사용자는 원하는 경고라인 형상을 선택하게 되고, 경고라인 형상이 설정되면 제어부(107)는 내부 메모리에 미리 등록된 경고라인 형상 제어 값을 추출하여 형상 조절부(110)에 전달한다. 상기 형상 조절부(110)는 상기 제어부(107)에서 발생하는 형상 조절 제어신호에 따라 램프(113)를 이용하여 표출하는 경고라인의 형상을 변경한다. 여기서 형상 조절은 상기 렌즈의 상부에 형상 조절판(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상기 형상 조절판을 하강시켜 경고라인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형상 조절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고라인이 직선으로 표출되도록 하고, 상기 형상 조절이 발생할 경우에는 렌즈의 상부에 위치한 형상 조절판을 렌즈 앞에 위치시켜 간단하게 경고라인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원래의 경고라인으로 변경하고자 하면 하강시킨 형상 조절판을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키면 된다. 도 2c는 타원형의 형상이 복수로 이루어진 형상 조절판을 이용할 경우, 표출되는 경고라인의 형상 예시이다. 본 발명에서는 형상 변경으로 타원형의 형상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을 가진 형상 조절판을 이용하면 무한한 형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조작부(103)를 통해 입력되는 기능이 경고문자 표출 기능이면, 경고문자 표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경고문자 표출부(111)에 전달한다. 여기서 경고문자 표출 제어신호는 경고문자 표출 온(on) 신호 또는 경고문자 표출 오프(off) 신호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7)에서 발생하는 경고문자 표출 제어신호가 온 신호이면, 경고문자 표출부(111)는 미리 등록된 경고문자를 레이저 빔으로 생성하고, 생성한 경고문자를 상기 경고라인(1)에 중첩시켜 표출한다. 이로써 경고라인(1)의 소정 위치에 경고문자(예를 들어, 위험, 작업중, 기타)를 표출하여, 작업자나 보행자가 직관적으로 위험 상황을 인지하도록 한다. 실제 직선으로 표출되는 경고라인으로 안전영역의 표시는 가능하지만, 주변 작업자나 보행자가 직선으로 표출되는 경고라인을 보고 위험을 직시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직선으로 표출되는 경고라인을 더욱 부각하여 주변 작업자나 보행자가 직관적으로 위험 상태를 인지하도록 경고라인에 부가적으로 경고문자를 표출하여 위험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지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문자를 표출하거나, 레이저 빔으로 표출하는 문자를 경고라인에 중첩하는 것은 당해 분야에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기능에 맞게 경고라인을 표출하여 안전영역을 표출한 상태에서, 제어부(107)는 인체 감지 센서(104)와 온도 감지 센서(105)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기초로 램프 점등이나 고장 방지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인체 감지 센서(104)는 산업용 차량(1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게 되고, 이때 인체가 감지되면 인체 감지 신호를 제어부(107)에 전달한다. 여기서 인체 감지 센서(104)는 적외선을 이용하는 방식,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방식, 열을 감지하는 방식, 동작 감지 방식 등 이미 알려진 다양한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인체감지 방식의 다른 예로서, 작업자에게 전자 태그를 부착하고, 상기 작업자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전자 태그를 감지하여 인체를 감지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체 감지 센서(104)는 RFID 리더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RF태그와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감지하는 방식은 이미 잘 알려진 기술 내용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인체 감지 센서(104)에 의해 인체 감지 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107)는 감지된 인체가 산업용 차량(10)의 안전거리를 침범하여 산업용 차량(10)과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램프 구동부(112)에 점멸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램프 구동부(112)는 전달되는 점멸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램프(113)를 점멸시키게 된다. 램프(113)가 점멸되면 산업용 차량(10)에 접근하는 사람은 직관적으로 위험을 느끼고, 이로부터 벗어나려는 행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경고등(100)이 빛을 장시간 발산하면 과열로 인해 부품에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다. 따라서 온도 감지 센서(105)는 동작과 함께 경고등(100) 내부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제어부(107)에 전달한다. 제어부(107)는 온도 감지 센서(105)에서 검출되는 검출 온도와 과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검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는 달리 상기 검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높으면 과열 상태로 판단을 한다. 과열 상태일 경우, 역 전압이 발생하거나 쇼트(단락) 등이 발생하여 회로를 손상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회로 손상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어부(107)는 고장 방지부(114)에 고장 방지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고장 방지부(114)는 상기 제어부(107)에서 발생하는 고장방지 제어신호에 따라 내장된 역 전압 방지회로 또는 단락 방지 회로를 동작시켜 역 전압을 방지하고, 단락을 방지하여 과열로 경고등 내부의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역 전압 방지회로는 쇼트키다이오드를 이용한 역 전압 방지회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단락 방지 회로는 전기 저항이 매우 적은 도체를 이용하고, 순간적으로 큰 전류가 흐르면 회로를 차단하는 차단기나 퓨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굴삭기, 휠 로더, 지게차, 백호 로더와 같은 산업용 차량의 작업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인체가 감지되면 경고라인(불빛)을 점멸시켜 위험을 알려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경고라인의 거리 및 폭을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하여 경고영역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과열이 발생하면 역 전압 방지회로나 단락 방지 회로를 가동시켜 과열로 인한 경고등의 고장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 경고라인
10: 산업용 차량
100: 경고등
104: 인체 감지 센서
105: 온도 감지 센서
107: 제어부
108: 경고거리 조절부
109: 경고라인 폭 조절부
110: 형상 조절부
111: 경고문자 표출부
112: 램프 구동부
114: 고장 방지부

Claims (1)

  1. 방열 케이스를 구비하고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해 경고영역을 표시해주는 경고등에 있어서,
    안전영역 표시거리를 조절하는 기능과 경고라인 폭 조절 기능과 안전영역 표시 형상 변경 기능 및 경고문자 표출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
    산업용 차량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
    경고등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감지 센서;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하고, 조작부에 의해 입력되는 기능에 따라 안전영역 표시거리 조절 제어신호와 경고라인 폭 조절 제어신호와 형상 조절 제어신호와 경고문자 표출 제어신호와 램프 구동 제어신호와 고장 방지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안전영역 표시거리 조절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거리를 조절하는 경고거리 조절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경고라인 폭 조절 제어신호에 따라 안전영역 표시용 경고라인의 폭을 조절하는 경고라인 폭 조절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형상 조절 제어신호에 따라 램프를 이용하여 표출하는 경고라인의 형상을 변경하는 형상 조절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경고문자 표출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문자를 레이저 빔으로 생성하고 생성한 경고문자를 상기 경고라인에 중첩시켜 표출하는 경고문자 표출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램프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안전영역을 불빛으로 표시해주는 램프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며, 상기 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램프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고장방지 제어신호에 따라 역 전압 방지회로 또는 단락 방지 회로를 동작시켜 과열로 경고등 내부의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장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의 전단에는 불빛을 확산시키거나 라인화하는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램프 구동부를 제어하여 램프의 불빛이 점멸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온도 감지 센서에서 검출한 온도와 고장 방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검출한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크면 상기 고장 방지부에 고장방지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경고거리 조절부는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램프를 회전시켜 경고거리를 조절하며,
    상기 경고라인 폭 조절부는 상기 램프와 렌즈 사이에 조리개를 구비하고, 상기 조리개의 열림 양을 조절하여 경고라인 폭을 조절하며,
    상기 형상 조절부는 상기 렌즈의 상부에 구비되는 형상 조절판을 상기 렌즈 앞으로 하강시켜 경고라인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

KR1020180105709A 2018-09-05 2018-09-05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 KR101911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709A KR101911932B1 (ko) 2018-09-05 2018-09-05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709A KR101911932B1 (ko) 2018-09-05 2018-09-05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932B1 true KR101911932B1 (ko) 2018-10-25

Family

ID=6413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709A KR101911932B1 (ko) 2018-09-05 2018-09-05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9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57451A1 (de) * 2019-06-24 2020-12-30 ZKW Group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20220040911A (ko) 2020-09-24 2022-03-31 한국전력공사 위험 표시용 센서 알람 장치 및 위험 표시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203B1 (ko) * 2017-03-08 2017-08-24 이명근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안전 삼각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203B1 (ko) * 2017-03-08 2017-08-24 이명근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안전 삼각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57451A1 (de) * 2019-06-24 2020-12-30 ZKW Group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20220040911A (ko) 2020-09-24 2022-03-31 한국전력공사 위험 표시용 센서 알람 장치 및 위험 표시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689B1 (ko) 건설기계의 안전경고장치
KR101911932B1 (ko)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
KR101547564B1 (ko) 지게차용 안전거리표시장치
JP4946661B2 (ja) 車両用警報表示装置
GB2553137A (en) Anti-entrapment device for scissor lifts
KR20170016622A (ko)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US11225192B2 (en) Vehicle advancing monitoring system
KR20070058242A (ko) 지게차의 후방 장애물 감지 제어장치
KR20190139512A (ko) 중장비의 작업 안전장치
KR102031400B1 (ko) 지면 조사 기능을 가지는 차량
KR102338221B1 (ko) 사각지대 사고방지용 보조신호등
KR101672099B1 (ko) 2차사고 예방을 위한 델리네이터 모듈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1348398B1 (ko) 차량용 안전표시 장치 및 그 방법
CN113383133A (zh) 工程机械
KR20160017485A (ko) 중장비 또는 대형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인체 감지 알람 시스템
KR20140010804A (ko) 차문의 손잡이 모듈에 설치되는 근접센서와 엘이디를 갖는 근접 경보장치
KR100227862B1 (ko) 중장비의 작업자 접근감지장치
KR20110057837A (ko) 나이트 뷰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484297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지게차 주행 안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게차용 안전주행방법
KR20130004413U (ko) 중장비용 후방 근접 감지 경보장치
KR102361044B1 (ko) 차량용 안전 경보시스템
KR20190012825A (ko)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력선 방호관
KR101601163B1 (ko) 사고방지 및 회피를 위한 경음기 작동과 연동되는 상향등 작동시스템
KR102643530B1 (ko) 건설현장 중장비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CN212181592U (zh) 一种投影警戒装置及具有该装置的物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