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825A -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력선 방호관 - Google Patents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력선 방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825A
KR20190012825A KR1020170096405A KR20170096405A KR20190012825A KR 20190012825 A KR20190012825 A KR 20190012825A KR 1020170096405 A KR1020170096405 A KR 1020170096405A KR 20170096405 A KR20170096405 A KR 20170096405A KR 20190012825 A KR20190012825 A KR 20190012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line protection
protection pipe
unit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덕
사재운
김효열
최문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096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2825A/ko
Publication of KR20190012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50Energy storage in industry with an added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력선 방호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는, 전력선 방호관에 배치된 다수의 센서들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감지영역 내에 물체가 접근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전력선 방호관에 배치된 다수의 LED들의 점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LED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LED 발광부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력선 방호관{DEVICE FOR INDUCING SAFETY WORK OF POWER LINE SAFETY COVER AND POWER LINE SAFETY COV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력선 방호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력선 방호관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안전작업 유도 동작(예를 들어, LED 점멸 동작, 경보음 또는 경고성 멘트 출력 등)을 제공함으로써, 전력선 방호관을 통해 안전사고 발생에 대해 작업자에게 사전에 경고하기 위한,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력선 방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선은 송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전압으로 전력을 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송전선으로 주로 전주 위에 높이 설치된 가공선을 형성하고 있다.
고압선이 설치된 장소가 건설현장 가까운 곳에 위치된 경우에는 건축공사 등에서 낙하되는 물품으로부터 고압선을 보호하고, 크레인과 같이 높은 중장비가 이동될 때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전력선 방호관이 사용된다.
그런데, 건설현장에서는 일반인의 작업중 충전부 방호 소홀 또는 작업자 부주의로 인한 금속자재 전선 접촉으로 안전사고가 매년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안전사고는 사고발생의 원인을 작업자에게 사전에 경고함으로써 작업자 부주의 및 작업자 경각심 미인지 등에 의한 전력선 감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선 방호관은 안전사고 발생에 대해 작업자에게 사전에 경고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될 필요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10974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3092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선 방호관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안전작업 유도 동작(예를 들어, LED 점멸 동작, 경보음 또는 경고성 멘트 출력 등)을 제공함으로써, 전력선 방호관을 통해 안전사고 발생에 대해 작업자에게 사전에 경고하기 위한,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력선 방호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는, 전력선 방호관에 배치된 다수의 센서들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감지영역 내에 물체가 접근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전력선 방호관에 배치된 다수의 LED들의 점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LED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LED 발광부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경보음 또는 경고성 멘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알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알람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태양전지판에 의해 발생된 전력을 충전하여 저장하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선 방호관의 이상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관제센터로 통보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센서들 각각은, 상기 전력선 방호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전력선 방호관의 내부에 형성된 패턴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LED들 각각은, 상기 전력선 방호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전력선 방호관의 내부에 형성된 패턴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수의 센서들 각각의 감지 거리, 사용주파수, 수신감도, 빔각도, 설치방향을 고려하여 감지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LED들 각각을 소정의 점멸 패턴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방호관은, 절연커버 및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전력선 방호관으로서, 상기 절연커버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센서부 및 LED 발광부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다수의 센서들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감지영역 내에 물체가 접근하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LED 발광부는, 다수의 LED들의 점멸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LED 발광부의 점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경보음 또는 경고성 멘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알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알람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태양전지판에 의해 발생된 전력을 충전하여 저장하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판을 외부로 표출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이상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관제센터로 통보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센서들 각각은, 상기 절연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절연커버의 내부에 형성된 패턴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LED들 각각은, 상기 절연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절연커버의 내부에 형성된 패턴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력선 방호관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안전작업 유도 동작(예를 들어, LED 점멸 동작, 경보음 또는 경고성 멘트 출력 등)을 제공함으로써, 전력선 방호관을 통해 안전사고 발생에 대해 작업자에게 사전에 경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 실수로 전력선 인근 비계작업 접근시 안전 안내메세지 경보에 의한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즉, 건축(설)공사 및 화물이동, 이삿짐 운반 등 작업시에는 안전경각심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사현장 야간작업자 및 일반인 LED 식별기능추가로 건설현장 일반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특정 다수 특고압 전력선 근접 안전사고, 일반인 전력선 혼촉 및 단선 등에 의한 정전피해를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한 작업환경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자가 고압전력선(설비 등) 위험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 방호관 및 위험표지판이 설치되었으나 시각적 효과로는 안전관리에 한계가 있어 음성안내와 경보를 통한 위험을 사전 경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방호관에 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에 대한 도면,
도 3은 전력선 방호관을 전력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전력선 방호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방호관에 대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이하 "안전작업 유도 장치"라 함, 100)는, 전력선 방호관(10)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안전사고 발생 예방을 위해 작업자의 안전작업을 유도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안전작업 유도 장치(100)는 센서부(110), LED 발광부(120), 제어부(130), 알람부(140), 통신부(150), 배터리(160), 태양전지판(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력선 방호관(10)은 건설장비 등이 전력선과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절연용 방호구로서, 절연커버(1)와 메인프레임(3)로 구성된다.
센서부(110)와 LED 발광부(120)는 절연커버(1)에 배치되며, 제어부(130), 알람부(140), 통신부(150), 배터리(160), 태양전지판(170)은 메인프레임(3)에 수용된다.
센서부(110)는 다수의 센서들(110-1∼110-n)을 포함하며, 다수의 센서들(110-1∼110-n)은 절연커버(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된다. 이때, 절연커버(1)는 다수의 센서들(110-1∼110-n)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패턴 라인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패터 라인은 구리 재질이 바람직하다.
한편, 센서부(110)는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10)는 절연커버(1)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감지영역을 형성한다. 여기서, 센서부(110)는 센서의 감지 거리, 사용주파수, 수신감도, 빔각도, 설치방향 등을 고려하여 감지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초음파 센서의 경우에는, 감지거리 0.6m∼1m 또는 0.3m∼0.6m, 사용주파수 40㎑, 수신감도 -80㏈, 빔각도 90°, 설치방향 건물향일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110)는 절연커버(1)에 형성된 감지영역 내에 물체가 접근하는지를 감지한다. 즉, 다수의 센서들(110-1∼110-n)은 상호 교차되는 감지영역을 형성함에 따라 전체 절연커버(1)의 감지영역을 형성한다.
센서부(110)는 절연커버(1)에 형성된 감지영역 내에 물체가 접근하는지에 대한 감지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이때, 센서부(110)는 다수의 센서들(110-1∼110-n) 중 어느 하나의 센서라도 물체를 감지하면 해당 감지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LED 발광부(120)는 다수의 LED들(120-1∼120-n)을 포함하며, 다수의 LED들(120-1∼120-n)은 절연커버(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된다. 이때, 절연커버(1)는 다수의 LED들(120-1∼120-n)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패턴 라인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패터 라인은 구리 재질이 바람직하다.
LED 발광부(120)는 절연커버(1)에 형성된 감지영역 내에 물체가 접근한 상태를 외부에 알려주기 위해 온/오프(on/off)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다수의 LED들(120-1∼120-n)은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른 다양한 점멸 패턴으로 동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30)는 LED 발광부(120)의 점멸 패턴에 대한 하나 이상의 모드를 저장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LED 발광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점멸 패턴은 예를 들어, 다수의 LED들(120-1∼120-n)이 동시에 점멸하는 경우, 다수의 LED들(120-1∼120-n)이 순차적으로 점멸하는 경우, 다수의 LED들(120-1∼120-n)이 교대로 점멸하는 경우, 다수의 LED들(120-1∼120-n)이 점멸 속도를 변경하면서 점멸하는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센서부(11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됨에 따라 LED 발광부(12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30)는 센서부(11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LED 발광부(120)를 소정의 점멸 패턴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전력선 방호관(10)은 절연커버(1)에 설치된 LED 발광부(120)에 의해 야간에도 육안으로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전력선 방호관(10)은 절연커버(1)에 형광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점등 시간에 따라 LED 발광부(120)의 점등 상태를 유지시킨다. 즉, 제어부(130)는 센서부(11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될 때, LED 발광부(120)의 점등 시간에 따라 LED 발광부(120)의 점등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점등 시간이 0초이면, 제어부(130)는 센서부(11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될 때, LED 발광부(120)의 점등 상태를 빠르게 점멸한다. 기 설정된 점등 시간이 10초이면, 제어부(130)는 센서부(11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될 때, LED 발광부(120)의 점등 상태를 10초간 유지시킨 후 소등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110)는 물체의 접근 거리를 감지하고, LED 발광부(120)는 적색(Red) 또는 청색(Blue)으로 발광색을 변경하여 동작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에 의해 감지된 물체의 접근 거리에 따라 LED 발광부(120)의 발광색을 변경하는 점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에 의해 감지된 물체의 접근 거리에 따라 감지영역을 '경계영역'과 '위험영역'으로 구분하고, 물체가 경계영역 또는 위험영역의 접근에 따라 LED 발광부(120)의 발광색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의 감지영역이 절연커버(1)로부터 1m인 경우에, 1m∼0.5m 사이의 영역을 '경계영역', 0.5m∼0m 사이의 영역을 '위험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경계영역에서 LED 발광부(120)의 발광색을 청색으로 표시하고, 위험영역에서 LED 발광부(120)의 발광색을 적색으로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센서부(11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됨에 따라, LED 발광부(12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알람부(140)를 통해 외부로 경고음 또는 경고성 멘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30)는 물체의 접근을 감지함에 따라 안전작업 유도 동작(즉, LED 발광부(120)의 온/오프 동작, 경고음 또는 경고성 멘트 발생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알람부(140)는 단순 경고음을 외부로 발생시키는 버저(buzzer) 또는 비퍼(beeper)이거나, 경고성 멘트(예, 전력선에 근접했습니다. 안전에 주의하세요)를 외부로 출력하는 음성안내 스피커(speaker)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력선 방호관(10)의 이상 상태를 확인하면, 통신부(150)를 통해 관제센터(미도시)로 통보한다. 여기서, 전력선 방호관(10)의 이상 상태는 전력선 방호관(10)의 물체 접근 빈도 횟수가 임계값 이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 충전량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등일 수 있다. 통신부(15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CDMA칩 또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랜카드 등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터리(160)를 제어하여 안전작업 유도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160)는 태양전지판(170)을 통해 발생된 전력을 충전하여 저장한 후, 필요한 경우에 저장된 전력을 방전하여 안전작업 유도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에 공급한다.
한편, 안전작업 유도 장치(100)는 배터리(160)와 태양전지판(170) 대신에 변류기(Current Transformer)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변류기는 전력선(즉, 특고압선) 전류를 이용하여 안전작업 유도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전력선 방호관을 전력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전력선 방호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 방호관(10)은 절연커버(1)와 메인프레임(3)으로 전력선을 둘러싸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형태로 전력선에 설치된다.
메인프레임(3)은 수용부(3a), 전력선 결합부(3b), 그립부(3c)를 포함한다.
수용부(3a)는 제어부(130), 알람부(140), 통신부(150), 배터리(160)를 내부에 수용하며, 태양전지판(170)을 외부에 표출하여 설치한다. 또한, 수용부(3a)는 안전작업 유도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스위치를 측면에 구비한다. 또한, 수용부(3a)는 상부, 측부, 하부 각각에 대해서도 센서부(11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전력선 결합부(3b)는 억지끼움 형태의 구조로 전력선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립부(3c)는 전력선에 억지끼움할 때 미끄럼 방지용 구조가 형상화되어 있다.
도 4의 전력선 방호관(10)은 물체(손)가 근접할 때 절연커버(1)에 설치된 LED 발광부(120)가 점등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전력선 방호관 1 : 절연커버
3 : 메인프레임 3a : 수용부
3b : 전력선 결합부 3c : 그립부
100 : 안전작업 유도 장치 110 : 센서부
120 : LED 발광부 130 : 제어부
140 : 알람부 150 : 통신부
160 : 배터리 170 : 태양전지판

Claims (15)

  1. 전력선 방호관에 배치된 다수의 센서들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감지영역 내에 물체가 접근하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전력선 방호관에 배치된 다수의 LED들의 점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LED 발광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LED 발광부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경보음 또는 경고성 멘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알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알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태양전지판에 의해 발생된 전력을 충전하여 저장하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방호관의 이상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관제센터로 통보하기 위한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센서들 각각은,
    상기 전력선 방호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전력선 방호관의 내부에 형성된 패턴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격 배치되는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LED들 각각은,
    상기 전력선 방호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전력선 방호관의 내부에 형성된 패턴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격 배치되는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수의 센서들 각각의 감지 거리, 사용주파수, 수신감도, 빔각도, 설치방향을 고려하여 감지영역을 형성하는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LED들 각각을 소정의 점멸 패턴으로 제어하는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9. 절연커버 및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전력선 방호관으로서,
    상기 절연커버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센서부 및 LED 발광부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다수의 센서들에 의해 형성된 소정의 감지영역 내에 물체가 접근하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LED 발광부는, 다수의 LED들의 점멸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메인프레임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LED 발광부의 점멸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선 방호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경보음 또는 경고성 멘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알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알람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선 방호관.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태양전지판에 의해 발생된 전력을 충전하여 저장하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판을 외부로 표출하는 전력선 방호관.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이상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관제센터로 통보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력선 방호관.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센서들 각각은,
    상기 절연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절연커버의 내부에 형성된 패턴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격 배치되는 전력선 방호관.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LED들 각각은,
    상기 절연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절연커버의 내부에 형성된 패턴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격 배치되는 전력선 방호관.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LED들 각각을 소정의 점멸 패턴으로 제어하는 전력선 방호관.
KR1020170096405A 2017-07-28 2017-07-28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력선 방호관 KR20190012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405A KR20190012825A (ko) 2017-07-28 2017-07-28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력선 방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405A KR20190012825A (ko) 2017-07-28 2017-07-28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력선 방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825A true KR20190012825A (ko) 2019-02-11

Family

ID=6537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405A KR20190012825A (ko) 2017-07-28 2017-07-28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력선 방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28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867A (ko) * 2019-10-17 2021-04-27 한국전력공사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867A (ko) * 2019-10-17 2021-04-27 한국전력공사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4202B2 (en) Mechanized area controller
AU20242034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When an Individual is in Proximity to an Object
KR20190012825A (ko)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력선 방호관
KR101896540B1 (ko) 화재안전 엘이디조명 시스템
KR101765330B1 (ko) 임시소방장치가 수용된 이동카트 및 이를 이용한 화재관리시스템
KR20170110460A (ko) 누전표시장치
CN104502680A (zh) 防触电装置
KR101911932B1 (ko) 산업용 차량의 안전확보를 위한 경고등
KR20200134034A (ko) 작업장 내 사고 예방 및 근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783826B1 (ko)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102489089B1 (ko) 활선 경보 장치
KR102272914B1 (ko)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KR100227862B1 (ko) 중장비의 작업자 접근감지장치
US6229446B1 (en) Alarm apparatus
KR101493721B1 (ko) 활선 경보 장치를 구비한 cos 조작봉
JP2011150471A (ja) 接近警報装置
KR101625205B1 (ko) 부착형 터치식 검전기 및 그 작동방법
CN105205961A (zh) 用于变压器的智能围栏系统
KR20190068248A (ko) 전기안전 시각화 장치
JP2016009563A (ja) トンネル用注意喚起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トンネル用注意喚起システム
CN112337007A (zh) 充电桩及其火情控制方法
IT202000004084A1 (it) Sistema di sicurezza automatico per ambienti di lavoro a rischio di esplosione
KR102585619B1 (ko)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
CN219046200U (zh) 防护警示装置
US20240127640A1 (en) Proximity detection system cap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