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619B1 -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619B1
KR102585619B1 KR1020230051719A KR20230051719A KR102585619B1 KR 102585619 B1 KR102585619 B1 KR 102585619B1 KR 1020230051719 A KR1020230051719 A KR 1020230051719A KR 20230051719 A KR20230051719 A KR 20230051719A KR 102585619 B1 KR102585619 B1 KR 102585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 wire
alarm
detection
liv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호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호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호산전
Priority to KR1020230051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01R19/155Indicating the presence of volt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의 활선신호를 감지하는 안테나 형태의 무선 활선감지부; 상기 활선감지부의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활선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활선 판단에 따라 점멸되는 LED; 상기 제어부의 활선 판단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버저; 상기 제어부의 활선 판단에 따라 경고 멘트를 방출하는 음성방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보는 LED, 버저 및 음성방출부를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수행하되, 활선 감지레벨에 따라 LED, 버저 및 음성방출부 순으로 경보하거나 또는 2 가지 또는 3 가지를 동시에 이용하여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또한, 무선형 활선 경보장치가 안테나를 통해 전기설비 내의 전기신호를 감지하여 활선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활선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활선신호의 레벨을 분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분석된 활선신호 레벨에 따라 차등 제어에 의해 경보를 수행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보는 LED, 버저 및 음성방출부를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수행하되, 활선신호 레벨에 따라 LED, 버저 및 음성방출부 순으로 경보하거나 또는 2 가지 또는 3 가지를 동시에 이용하여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통전 경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전기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여부 및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전기설비의 도어 개방 여부에 차등 제어에 의해 경보를 수행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전기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 여부에 따른 차등 경보는 상기 전기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 거리에 따라 이루어지고, 상기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전기설비의 도어 개방 여부에 따른 차등 경보는 상기 감지된 활선레벨에 연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전기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 거리와, 상기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전기설비의 도어 개방 여부에 따른 차등 경보는 LED, 버저 및 음성방출부를 통해 이루어지되, LED의 점멸간격과 버저 및 음성방출부의 음량 크기가 제어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NON-CONTACTING TYPE ALARMING SYSTEM FOR APPLIED ELECTRIC CURRENT AND ALARMING METHOD}
본 발명은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 활선 감지레벨과,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 거리 및 설비 도어 개방여부에 따라 활선 경보레벨을 다르게 판단하고, 그 판단된 활선 경보레벨에 따라 안전여부를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경보장치를 상시 구동할 수도 있으나, 선택적으로 위험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활성화하여 활선 감지 및 경보를 수행토록 함으로써, 경보장치의 효율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활선(活線)이란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의 전력 공급선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특히 고전압이 흐르는 활선은 감전의 위험 뿐만 아니라, 방사되는 전자기장에 의해서도 인체에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발전소, 송전소, 변전소와 같은 전력 발전 계통과 실외의 가공 선로 또는 지중 선로 등의 전력 설비 계통에는 이러한 고압의 활선을 판별하여 활선의 취급이나 접근을 주의하고 있다.
종래에 실외의 가공선로나 지중에 매설된 선로 등의 전력설비 공사나 고압선 공사 등의 작업을 할 때에 작업자는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고압선 주위에서 작업을 하게 되므로 항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모, 절연복 및 절연신발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되지만, 고압선의 경우에는 고전압뿐만 아니라 활선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기장에 의해서도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특히 작업자가 작업에 몰두하는 동안에 활선에 근접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62057호는 활선 접근 경보기용 회로에 관한 것으로써, 송배전 선로의 점검 및 수리시에 작업모에 부착하여 안전거리를 넘을 경우 이를 자동으로 작업자에게 경보해주는 활선 안전 경보기의 회로를 개발한 것으로, 기존의 활선 안전 경보기는 정확한 안전거리가 설정이 되어 있지 않고, 주로 6~229[㎸]의 전압을 갖는 송배전선로에서만 사용되어 왔지만, 송배전선로에는 이보다 더욱 높은 특고전압인 66[㎸], 154[㎸]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국내의 기준에 만족하고 작업자가 66[㎸]~154[㎸]작업시 송전선로에서 활선 작업거리 각각 95[㎝], 160[㎝]의 오차범위 이내의 사용이 가능한 활선 안전 경보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공개 제10-2005-0080716호는 감전 재해 예방용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문자 메시지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와 음성 메시지를 방송하는 스피커와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케이블로 이루어져 문자 메시지와 음성메시지를 사람에게 전달하는 경보표시부와; 사람이 접근하면 반응하는 사람감지센서와, 개폐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차단기오프감지센서와, 차단기의 인출 인입 상태를 감지하는 차단기인출감지센서와, 통전선에 부착하여 통전상태를 감지하는 통전검출감지센서와, 판넬도어의 열고 닫힘을 감지하는 판넬도어감지센서와, 삼상의 단락접지 여부를 감지하는 삼상단락접지감지센서와, 판넬의 메인 스위치에 부착하여 정상 또는 정전 여부를 감지하는 판넬조건선택스위치으로 이루어져 고압전기판넬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제어로직을 저장하고 있으며 각 센서에서 감지된 상태를 판단하여 적절한 메시지의 출력을 명령하는 마이크로프로세스와, 각 센서를 연결하고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스에 전달하는 신호입력카드와, 음성을 저장하는 음성메모리와, 외부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콘넥타와, 디스플레이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기와, 스피커를 제어하는 스피커제어기와, 각 요소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로 이루어져 상황에 맞는 문자 및 음성 메시지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져서, 산업현장의 고압전기판넬에서 사람이 판넬을 혼돈하거나 통전 상태를 착각함으로 인해 감전 재해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등록 제10-1634641호는 전기실 관리자 안전사고 예방 경보 장치에 ㄱ고관한 것으로써, 변전실의 특정 장소에 특별고압(특고압)의 수변전 설비가 설치되며, 상기 수변전 설비가 설치된 변전실의 문을 열거나, 안전범위 내로 시설관리자가 설비 점검을 위해 무의식적으로 접근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감전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전범위로의 접근을 감시하기 위해 설치되는 센서 감지부; 상기 센서 감지부로부터 접근 감시에 따른 접근발생 이벤트의 발생시, 그에 대응하는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 및 상기 센서 감지부 및 경보 발생부의 동작 상태를 관리 제어하며, 상기 센서 감지부로부터 발생한 접근발생 이벤트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경보 발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관리부로 이루어져서, 변전실에 설치되는 특고압의 수변전 설비의 점검 및 고장 시 확인하기 위하여 전기가 살아있는 상태에서 관리자가 문을 열면 문에 있는 리미트 스위치를 통하여 1차로 경광등을 큐비클 내부와 외부에 동작시켜 관리자에게 전기가 살아 있음을 지속적으로 인지시켜 주고, 큐비클 내부로 팔이나 물건 등이 들어가면 감전의 우려가 있으므로 센서가 감지하여 2차로 경보를 울려주어 무의식적으로 접근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감전에 따른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안전사고로부터 인명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62057호(2002년 01월 14일 등록, 명칭 : 활선 접근 경보기용 회로) 특허공개 제10-2005-0080716호(2005년 08월 17일 공개, 명칭 : 감전 재해 예방용 경보장치) 특허등록 제10-1634641호(2016년 06월 23일 등록, 명칭 : 전기실 관리자 안전사고 예방 경보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이 공급되어 전류가 흐르는 전선이나 도체 등에 측정 장비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고도, 전선 등의 도체의 피복이나 표면에 접촉시키거나 접근시키는 것만으로도 전압의 유무를 감지하여, 이를 발광 다이오드, 버저, 음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보하도록 한,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방전 또는 정전이나 사고로 인하여 교류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활선 경보장치에 전원을 계속 공급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활선 감지레벨과,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 거리 및 설비 도어 개방여부에 따라 활선 경보레벨을 다르게 판단하고, 그 판단된 활선 경보레벨에 따라 안전여부를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하는,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은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의 활선신호를 감지하는 안테나 형태의 무선 활선감지부;
상기 활선감지부의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활선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활선 판단에 따라 점멸되는 LED;
상기 제어부의 활선 판단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버저;
상기 제어부의 활선 판단에 따라 경고 멘트를 방출하는 음성방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보는 LED, 버저 및 음성방출부를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수행하되,
활선 감지레벨에 따라 LED, 버저 및 음성방출부 순으로 경보하거나 또는 2 가지 또는 3 가지를 동시에 이용하여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 및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의 도어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방감지부;가 추가 구성되고,
상기 인체 감지신호와 도어 개방 감지신호는 상기 활선 감지레벨과 연계하여 처리된 후, 경보레벨에 따라 LED, 버저 및 음성방출부를 모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경보레벨은 LED 점멸간격, 버저 및 음성방출부의 음량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평상시에는 경보장치를 비활성을 유지하다가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에 대한 사람 접근 또는 도어 개방 여부에 따라 활성화하여 활선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인체 및 도어 개방 감지결과와 연계하여 경보레벨을 판단한 후,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안테나는 평상시에는 비활성을 유지하다가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에 대한 사람 접근 또는 도어 개방이 감지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활성화하여 활선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접촉식 통전 경보방법은
무선형 활선 경보장치가 안테나를 통해 전기설비 내의 전기신호를 감지하여 활선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활선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활선신호의 레벨을 분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분석된 활선신호 레벨에 따라 차등 제어에 의해 경보를 수행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보는 LED, 버저 및 음성방출부를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수행하되,
활선신호 레벨에 따라 LED, 버저 및 음성방출부 순으로 경보하거나 또는 2 가지 또는 3 가지를 동시에 이용하여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전기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여부 및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전기설비의 도어 개방 여부에 따라 차등 제어에 의해 경보를 수행하는 단계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전기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 여부에 따른 차등 경보는 상기 전기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 거리에 따라 이루어지고, 상기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전기설비의 도어 개방 여부에 따른 차등 경보는 상기 감지된 활선레벨에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전기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 거리와, 상기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전기설비의 도어 개방 여부에 따른 차등 경보는 LED, 버저 및 음성방출부를 통해 이루어지되, LED의 점멸간격과 버저 및 음성방출부의 음량 크기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에 따르면, 활선 경보장치를 종래와 같이 별도의 측정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선 등의 도체의 피복이나 표면에 접촉시키거나 접근시키는 것만으로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활선을 구별하여 경보하게 할 수 있다. 즉 전력이 공급되어 전류가 흐르는 전선이나 도체 등에 측정 장비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고도, 전선 등의 도체의 피복이나 표면에 접촉시키거나 접근시키는 것만으로도 전압의 유무를 감지하여, 이를 발광 다이오드, 버저, 음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보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방전 또는 정전이나 사고로 인하여 교류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활선 경보장치에 전원을 계속 공급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활선 감지레벨에 따라 경보레벨을 다르게 설정하여 경보레벨에 따라 위험 등급을 인지시킬 수 있고, 상기 활선 감지레벨을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 거리 및 설비 도어 개방여부에 연관하여 활선 경보레벨을 다르게 판정하고, 그 판정된 활선 경보레벨에 따라 안전여부를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다.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의 제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장치가 설비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장치의 AC, DC 이용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장치의 활선 감지신호로서의 입력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의 제어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장치에 안테나가 설치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방법의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장치가 설비에 장착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장치의 AC, DC 이용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장치의 활선 감지신호로서의 입력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활선 감지레벨은 활선이 감지되되, 감지된 전압의 높고 낮음을 일정단계로 구분한 것이고, 경보레벨은 상기 활선 감지레벨에 따라 LED, 버저, 음성방출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모두 동시에 제어하기 위하여 일정단계로 구분한 것임과 아울러, 상기 활선 감지레벨과 본 발명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거리 및 설비 도어 개방 여부 등을 연관지어 LED, 버저, 음성방출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모두 동시에 제어하기 위하여 일정단계로 구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활선'은 전기를 통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통전'과 혼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은 제어부(100), 활선감지부(200), LED(500), 버저(600), 음성방출부(700)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활선감지부(200)에서 입력된 활선 감지신호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따라 활선 감지레벨 및 경보레벨을 판단하여 LED(500), 버저(600), 음성방출부(700)를 통해 활선 경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활선감지부(200)는 예를 들어, 수배전반 등 특히 고압전기가 흘러 주의가 요구되는 설비의 활선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입력한다.
활선감지부(200)는 전력이 공급되어 전류가 흐르는 전선이나 도체 등에 측정 장비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고도, 전선 등의 도체의 피복이나 표면에 접촉시키거나 접근시키는 것만으로도 전압의 유무를 감지하여, 이를 LED(500), 버저(600), 음성방출부(700)를 통해 경보하도록 안테나 형태로 구성된다. 안테나는 활선을 감지하면 검지전극(INPUT)이 활선에 흐르는 전압에 대전됨으로써 전계신호를 생성하고 활선의 경보 작동이 수행될 수 있다.
활선감지부(200)는 활선 상태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여 활선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활선 시 전자기 유도 현상을 비접촉식으로 검출하여 활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활선감지부(200)에 의한 감지전압 크기, 즉 감지레벨의 높고낮음에 따라 경보레벨의 높고낮음이 판단되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LED(500)에 의한 점멸시간 조절, 버저(600) 및 음성방출부(700)를 통한 음량 조절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감지전압 크기에 관계없이 LED(500) 점멸, 버저(600)를 통한 경보, 음성방출부(700)를 통한 음성경보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비접촉식 활선 경보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T)과 같은 설비의 도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안테나에 의해 배전반의 내부 또는 외부의 활선을 경보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접촉식 활선 경보장치의 전원공급부는 활선 경보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교류-직류 변환기에 의해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정전 또는 천재지변 등 외부 요인에 의해 교류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활선경보장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어 경보시스템이 작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류-직류 변환기로 공급되는 전원공급을 이원화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AC-Power)의 공급 선로와 직류전원(DC-Power)의 공급 선로를 구성하되, 상기 교류전원의 공급 선로와 직류전원의 공급 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기를 구성한다.
상기 전원공급부 결선도상에서 상기 교류전원 활선 경보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이며, 상기 직류전원은 활선 경보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상기 상용 교류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가동되는 비상발전기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이다.
또는, 상기 직류전원은 활선 경보장치가 부착되는 배전반에 내장된 별도의 배터리(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일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용 교류전원이 교류-직류 변환기에 공급되되, 상용 교류전원의 출력이 전자접촉기(MC)의 단락된 상태의 제1 접점(r1)과 제5 접점(r5)으로 이루어진 스위치와 단락된 상태의 제2 접점(r2)과 제6 접점(r6)으로 이루어진 스위치를 통과하여 활선 경보장치(1)로 공급되며, 활선 경보장치(1)로 공급된 교류 전원은 교류-직류 변환기에서 직류전원으로 변환되어 활선 경보장치(1)에 공급된다.
한편, 상용 교류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전자접촉기(MC)의 마그네틱 스위치가 전환되면서, 단락된 상태의 제1 접점(r1)과 제5 접점(r5)으로 이루어진 스위치와 단락된 상태의 제2 접점(r2)과 제6 접점(r6)으로 이루어진 스위치를 개방시키고, 제3 접점(r3)과 제7 접점(r7)로 이루어진 스위치와 제4 접점(r4)과 제8 접점(r8)로 이루어진 스위치를 단락시켜, 제5 접점(r5)과 제6 접점(r6)에 결선된 상태의 교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고, 제7 접점(r7)과 제8 접점(r8)로 직류전원이 공급되면서 단락된 상태의 제3 접점(r3)과 제7 접점(r7)으로 이루어진 스위치와 제4 접점(r4)과 제8 접점(r8)로 이루어진 스위치를 통해 활선 경보장치에 직류전원이 인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회로의 비반전회로의 궤환저항은 제1 궤환저항(R36, 615), 제2 궤환저항(R37, 625), 제3 궤환저항(R38, 635) 및 제4 궤환저항(R39, 645)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아날로그 스위치(U9A, 610), 제2 아날로그 스위치(U9B, 620), 제3 아날로그 스위치(U9C, 630), 제4 아날로그 스위치(U9D, 640)를 기반으로 비반전회로의 궤환저항을 선택하여 입력신호에 대한 증폭이 수행될 수 있다.
안테나를 통해 CON1(ant input)으로 유입된 입력신호는 제2 저항(R2), 제1 커페시터(C1), 제3 저항(R3)을 거쳐 증폭부(U7, 600)의 제1 입력단자(#2, NON inverter입력 )에 입력될 수 있다.
증폭부(600)에서 입력신호는 비반전 입력으로 입력되므로 증폭저항(R40)과 제1 궤환저항 내지 제4 궤환저항(R36~39, 615, 625, 635, 645)의 선택된 저항값에 따라 증폭될 수 있다.
증폭식은 AV=(1+증폭 저항의 값/선택된 궤환 저항의 값(R36~R39))일 수 있다. 증폭저항(R40)은 100㏀ 정도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제1 궤환저항(615)은 1㏀, 제2 궤환저항(625)은 2㏀, 제3 궤환저항(635)은 3㏀, 제4 궤환저항(645)은 4㏀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증폭식에 따르면 제1 궤환저항(615)을 통한 증폭 값(AV)은 101, 제2 궤환저항(625)을 통한 증폭값(AV)은 51, 제3 궤환저항(635)을 통한 증폭값(AV)은 26, 제4 궤환저항(645)을 통한 증폭값(AV)은 13.5로서 AV값은 13.5 ~ 101일 수 있다.
상기 제1 궤환저항(615) 내지 제4 궤환저항(645)은 2n값으로 설정하여 서로 다른 증폭값으로 비활선 상태에서의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입력회로에서 단계적인 증폭을 통해 판넬 내부에 설치된 활선 경보장치가 고압을 감지시(활선 상태 혹은 잔여 전압이 존재시) 활선 상태가 아닌 비활선 상태에 대해서도 선로의 전압에 대한 체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활선 상태에서의 전압이 380V라고 한다면, 비 활선 상태에서의 전압은 380V 이하이지만, 비활선 상태에서도 사고의 위험이 존재하는 전압값일 수 있으므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비활선 상태는 대부분 선로의 2차 충전 현상에 의해 나타나므로 충분히 위험할 수 있다. 2차 충전 현상이라 함은 선로가 평행으로 진행시 혹은 선로가 중첩 구간이 있을시에 트랜스 원리에 의해 선로전압으로 유기되는 경우이다. 이때의 선로 전압은 유기된 전압을 유지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입력회로에 설치된 비반전회로의 증폭회로를 통해 아날로그 스위치를 프로그램적으로 가변하여 증폭도의 증감을 조절함으로써 현재 판넬의 상황을 정확하게 체크한 후 비활선 상태에 대해서도 선로전압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아날로그 스위치 기반의 증폭 회로를 통해 비활선 상태에서 어떤 잔여 전압이 존재한다면, CPU가 그걸 항상 체크하고 있다가, 판넬을 여는 순간 경보가 울릴 수 있다.
활선에 대한 탐지가 이루어진 경우, 별도의 증폭회로를 통한 입력신호의 증폭은 수행하지 않을 수 있고, 활선에 대한 탐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증폭회로를 통해 입력신호에 대한 증폭을 통해 비활선 상태에서 선간 전압에 대한 탐지가 수행될 수 있다.
입력신호는 활선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이고, 증폭 입력신호는 비활선 상태에서 존재하는 선간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입력신호 및/또는 증폭 입력신호는 필터링부에 의해 필터링되고 필터링된 입력 신호 및/또는 증폭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활선 상태 및/또는 비활선 상태에서 존재하는 선간 전압에 대한 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판단은 무선형 활선 경보장치에 구현된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할선감지부(200)에 의해 활선이 감지되어 그 감지신호가 제어부(100)에 입력된다(S10).
다음에, 상기 제어부(100)는 활선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된 신호의 크기를 분석하여 스텝 S20 및 스텝 S30의 동작을 수행한다.
즉 활선된 전압의 크기인 감지레벨을 분석하고, 제어부(100)의 분석결과, 감지레벨이 낮으면, 즉 경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인 가장 낮은 경보레벨에 해당하면, 제어부(100)는 LED(500)를 제어하여 구동시킨다. 이때, LED 구동은 일정시간 동안 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되거나 또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의 분석결과, 감지레벨이 중간이면, 즉 경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보다 높고 최고의 위험수준보다는 낮은 중간인 경우, 제어부(100)는 LED(500)와 버저(600)가 동시에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LED(500)는 일정시간 동안 점멸이 반복되도록 제어하고, 버저(600)는 일정시간 동안 경보음이 방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0)의 분석결과, 감지레벨이 높으면 즉 경보레벨이 높으면, 제어부(100)는 LED(500), 버저(600), 음성방출부(700)가 모두 동시에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LED(500)는 일정시간 동안 점멸이 반복되도록 제어하고, 버저(600)는 일정시간 동안 경보음이 방출되도록 제어하며, 음성방출부(700)는 일정시간 동안 경보멘트가 방출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관리자 등 수배전반에 접근하는 사람은 이를 통해 급박한 위험상황을 인지한다.
한편, 상기 감지레벨에 따라 LED 점멸간격이 제어될 수도 있다. 즉 감지레벨이 높을 경우 낮거나 또는 중간일 경우보다 LED 점멸간격이 짧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레벨에 따라 버저(600) 및 음성방출부(700)의 음량이 조절될 수도 있다. 즉 감지레벨이 높을 경우 낮거나 또는 중간일 경우보다 버저음 및 음성이 최대로 조절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전 경보시스템은 제어부(100), 활선감지부(200), 인체감지부(300), 도어개방감지부(400), LED(500), 버저(600), 음성방출부(700)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활선감지부(200)에서 입력된 활선감지신호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따라 LED(500), 버저(600), 음성방출부(700)를 통해 활선 경보 동작이 수행되도록 장치를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또한,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에 접근하는 사람의 유무와 그 접근거리와,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의 도어 개방 여부를 토대로 경보레벨을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경보레벨에 따라 경보하도록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또한, 상기 활선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된 레벨과, 인체감지부(300)에 의해 감지된 레벨과 도어개방감지부(400)에 의해 감지된 레벨을 연계하여 경보레벨을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경보레벨에 따라 경보하도록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활선감지부(200)는 예를 들어, 수배전반 등 특히 고압전기가 흘러 주의가 요구되는 설비의 활선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입력한다.
인체감지부(300)는 활선 감지장치가 장착된 수배전반 등의 설비에 접근하는 사람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100)에 입력한다.
인체감지부(300)는 인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수단 또는 사람의 접근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사람이 설비에 접근하는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입력하면, 제어부(100)는 그 접근 거리에 따라 LED(500), 버저(600), 음성방출부(700)를 제어하여 경보할 수 있다. 이때, 접근거리, 즉 감지레벨에 따라 경보레벨을 판단하여 LED(500), 버저(600), 음성방출부(700)를 동시에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거리가 활선 경보를 하기 위한 낮은 조건에 해당하면, 먼저 LED(500)를 구동하고, 다음에 버저(600) 및 음성방출부(700)를 차례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거리에 따라 LED(500)의 점멸시간을 조절하거나 버저(600) 및 음성방출부(700)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거리가 가까워질수록(감지레벨이 높을수록) LED(500)의 점멸시간이 짧아지거나, 버저(600) 및 음성방출부(700)를 통한 경보음 및 경보멘트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도어개방감지부(400)는 본 발명 활선 감지장치가 장착된 수배전반 등의 설비 도어의 개방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100)에 입력한다.
상기 인체감지부(300)와 도어개방감지부(400)에 의한 감지신호는 서로 연계 처리될 수 있고, 활선감지부(200)에 의한 감지신호와도 연계하여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감지부(300)에 의해 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이 감지된 상태에서 도어개방감지부(400)에 의해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면, 경보레벨을 높음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예를 들어, 설비 관리자가 개방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고장 등으로 인하여 관리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개방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상기 음성방출부(700)를 통한 경보멘트는 "도어가 개방되었고, 매우 위험합니다"라고 방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체감지부(300) 및 도어개방감지부(400)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한 경보 동작이 수행되기 이전에 활선감지부(200)에 의한 전압 크기에 따라 상기 LED(500)에 의한 점멸시간 조절, 버저(600) 및 음성방출부(700)를 통해 음량 조절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경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활선감지부(200)에 의해 활선이 감지되어 그 감지신호가 제어부(100)에 입력된다(S10).
다음에, 인체감지부(300)에 의해 설비에 접근하는 사람이 있는지가 감지되어 그 감지신호가 제어부(100)에 입력된다.(S20)
상기 인체감지부(300)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활선만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100)는 도 5의 동작 흐름과 같이 활선 경보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에, 상기 활선감지부(200)에 의해 활선이 감지되고, 인체감지부(300)에 의해 설비에 접근하는 사람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설비에 접근하는 사람과 설비간 거리, 즉 감지레벨을 분석하여 스텝 S30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분석결과, 설비에 접근하는 사람과 설비간 거리가 원거리라서 감지레벨벨이 낮으면, 경고레벨도 낮게 하여 제어부(100)는 LED(500)를 구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점멸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LED 구동은 일정시간 동안 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되거나 또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의 분석결과, 감지레벨이 중간이면, 즉 경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보다 높고 최고의 위험수준보다는 낮은 경우 제어부(100)는 LED(500)와 버저(6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LED(500)는 일정시간 동안 점멸이 반복되도록 제어하고, 버저(600)는 일정시간 동안 경보음이 방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0)의 분석결과, 감지레벨이 높으면, 즉 경보하기 위한 최고의 위험수준이면 제어부(100)는 LED(500), 버저(600), 음성방출부(700)가 모두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LED(500)는 일정시간 동안 점멸이 반복되도록 제어하고, 버저(600)는 일정시간 동안 경보음이 방출되도록 제어하며, 음성방출부(700)는 일정시간 동안 경보멘트가 방출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관리자 등 수배전반에 접근하는 사람은 이를 통해 위험상황을 인지한다.
한편, 상기 감지레벨에 따라 LED 점멸간격이 제어될 수도 있다. 즉 감지레벨이 높을 경우 낮거나 또는 중간일 경우보다 LED 점멸간격이 짧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레벨에 따라 버저(600) 및 음성방출부(700)의 음량이 조절될 수도 있다. 즉 감지레벨이 높을 경우 낮거나 또는 중간일 경우보다 버저음 및 음성이 최대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LED 의 점멸간격과 버저 및 음성의 음량은 상기와 반대로 나타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즉 설비와 설비에 접근하는 사람간의 간격이 경고하기 위한 최소의 조건에 해당하는 원거리라면 오히려 LED 점멸간격을 단축시켜 원거리에서도 위험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버저 및 음성의 크기도 크게 하여 원거리에서도 청각적인 인지도를 높임으로써 관리자가 위험상황을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활선감지부(200)에 의한 감지신호와 인체감지부(300)에 의한 감지신호를 연계하여 활선 경보레벨을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경보함으로써, 활선이라 하더라도 설비에 접근하는 사람이 없는 경우 활선 경보가 수행되는 비효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7에서는 활선 감지레벨을 구분하지 않고, 활선여부와 인체 접근거리, 즉 인체 감지레벨만을 연계하여 경보레벨을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경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활선의 감지레벨이 높으나 인체에 대한 감지레벨은 낮은 경우 경보레벨을 낮게 판단할 수 있고, 반대로 활선의 감지레벨은 낮으나 인체의 감지레벨은 높은 경우 경보레벨을 높게 판단하여 그에 부합하는 경보를 수행할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경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활선감지부(200)에 의해 활선이 감지되어 그 감지신호가 제어부(100)에 입력된다(S10).
다음에, 인체감지부(300)에 의해 설비에 접근하는 사람이 있는지가 감지되어 그 감지신호가 제어부(100)에 입력된다.(S20)
다음에, 도어개방센서(400)에 의해 설비 도어가 개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가 제어부(100)에 입력된다.(S30)
상기 인체감지부(300)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활선만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100)는 도 5의 동작 흐름과 같이 활선 경보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도어개방센서(400)에 의해 도어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활선 및 인체만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100)는 도 7의 동작 흐름과 같이 활선 경보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분석결과, 설비에 접근하는 사람과 설비간 거리가 최소값이면, 즉 원거리라서 감지레벨과 경보레벨이 모두 낮지만 도어가 개방되었으면, 제어부(100)는 LED(500)를 구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점멸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LED 구동은 일정시간 동안 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되거나 또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점멸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의 분석결과, 감지값이 중간값이면, 즉 활선이 감지되었지만 사람은 원거리에 위치하고 도어가 개방되었으면, 제어부(100)는 경보레벨을 중간으로 하여 LED(500)와 버저(6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LED(500)는 일정시간 동안 점멸이 반복되도록 제어하고, 버저(600)는 일정시간 동안 경보음이 방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0)의 분석결과, 감지값이 최고값이면, 즉 활선이 감지되고 사람도 도어에 인접하며 도어가 개방되었으면, 제어부(100)는 경보레벨을 높음으로 하여 LED(500), 버저(600), 음성방출부(700)가 모두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LED(500)는 일정시간 동안 점멸이 반복되도록 제어하고, 버저(600)는 일정시간 동안 경보음이 방출되도록 제어하며, 음성방출부(700)는 일정시간 동안 경보멘트가 방출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관리자 등 수배전반에 접근하는 사람은 이를 통해 위험상황을 인지한다.
한편, 상기 감지레벨에 따라 LED 점멸간격이 제어될 수도 있다. 즉 감지레벨이 높을 경우 낮거나 또는 중간일 경우보다 LED 점멸간격이 짧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레벨에 따라 버저(600) 및 음성방출부(700)의 음량이 조절될 수도 있다. 즉 감지레벨이 높을 경우 낮거나 또는 중간일 경우보다 버저음 및 음성이 최대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LED 의 점멸간격과 버저 및 음성의 음량은 상기와 반대로 나타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즉 설비와 설비에 접근하는 사람간의 간격이 경고하기 위한 최소의 조건에 해당하는 원거리라면 오히려 LED 점멸간격을 단축시켜 원거리에서도 위험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버저 및 음성의 크기도 크게 하여 원거리에서도 청각적인 인지도를 높임으로써 관리자가 위험상황을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제3 실시예는 수배전반 등의 설비에 장착된 비접촉식 활선 경보장치의 동작을 평상시에는 비활성화를 유지하다가 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과 도어 개방 등이 감지되는 경우 활성화하여 활선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경보를 수행하도록 한다.
먼저, 비접촉식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에 대해 접근하는 사람이 있는지를 감지한다.(S10)
다음에,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 도어가 개방되었는지를 감지한다.(S20)
상기 감지결과, 설비에 대해 접근하는 사람이 있고,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경보장치의 동작을 활성화하고 활선감지부(200)가 활선 여부를 감지하도록 제어한다.(S30)
상기 활선감지부(200)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제어부(100)에서 분석한 결과, 활선인 것으로 판단되면, LED(500), 버저(600), 음성방출부(700)를 제어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상기 LED(500), 버저(600), 음성방출부(700)의 동작은 도 7 및 도 8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다.
[제4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장치에 안테나가 설치된 예시도이다. 도 11은 안테나 회전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제4 실시예는 도 6의 제어 구성에 더하여, 안테나(50)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구동부(55)와, 회전구동부(55)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5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1)와, 상기 구동모터(51)에 일단이 연결되어 구동모터(51)의 회전에 따라 경보장치 측면으로 회전하거나 되돌아오는 안테나(50)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50)는 구동모터(51)에 연동하여 감지영역을 향해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안테나(50)의 회전량에 따라 안테나가 어느 영역을 향하는지가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즉 안테나(50)가 어느 정도 회전하느냐에 따라 수배전반 등의 설비 내부에 대하여 정확하게 활선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지가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4 실시예는 평상시에는 안테나(50)가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져 있다가, 설비에 대해 접근하는 사람이 있는지가 감지되면 제어부(100)의 제어신호를 받은 회전구동부(55)가 안테나(50)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 경보방법의 동작 흐름을 살펴보면, 먼저,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에 대해 접근하는 사람이 있는지를 감지한다.(S10)
상기 감지신호를 제어부(100)에서 분석한 결과, 설비에 접근하는 사람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면, 제어부(100)는 회전구동부(55)를 제어하여 안테나(50)가 회전되도록 하고, 안테나(50)가 활선 감지영역을 향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20)
상기 판단결과, 안테나(50)가 감지영역쪽을 향하고 있으면, 제어부(100)는 경보장치의 동작을 활성화하고 활선감지부(200)가 활선 여부를 감지하도록 제어한다.(S30)
상기 활선감지부(200)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제어부(100)에서 분석한 결과, 활선인 것으로 판단되면, LED(500), 버저(600), 음성방출부(700)를 제어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상기 LED(500), 버저(600), 음성방출부(700)의 동작은 도 7 및 도 8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다.
한편, 제4 실시예를 수배전반 등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에 대해 접근하는 사람이 감지되었을 경우에만 안테나(50)를 수배전반 내부 감지영역쪽으로 회전시켜 활선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것으로만 제한하지는 않는다.
즉 제어부(100)는 도어 개방을 감지한 경우에도 안테나(50)를 감지영역쪽으로 회전시켜 활선을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인체감지와 도어개방이 모두 감지되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 감지되어도 제어부(100)는 안테나(50)를 회전시켜 활선을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정시간 경과 후 사람이 감지되지 않거나 도어가 폐쇄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회전구동부(55)를 제어하여 안테나(50)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제어부 200 : 활선감지부
300 : 인체감지부 400 : 도어개방감지부
500 : LED 600 : 버저
700 : 음성방출부

Claims (9)

  1.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의 활선신호를 감지하는 안테나 형태의 무선 활선감지부;
    상기 활선감지부의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활선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활선 판단에 따라 점멸되는 LED;
    상기 제어부의 활선 판단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버저;
    상기 제어부의 활선 판단에 따라 경고 멘트를 방출하는 음성방출부;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 및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의 도어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방감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보장치가 장착된 전기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 여부에 따른 차등 경보가 상기 전기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 거리에 따라 이루어지고,
    상기 경보장치가 장착된 전기설비의 도어 개방 여부에 따른 차등 경보가 활선 감지레벨에 연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는 평상시에는 비활성을 유지하다가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에 대한 사람 접근 또는 도어 개방이 감지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활성화하여 활선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안테나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구동부와, 회전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안테나의 회전량에 따라 안테나가 어느 영역을 향하는지가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활선영역을 감지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제어부로 이루어진 제어장치에 의해 회전구동이 제어되며,
    상기 인체감지부에 의해 설비에 접근하는 사람이 있으면서 상기 도어개방감지부에 의해 설비 도어가 개방되었을 경우 또는 설비에 접근하는 사람이 있는 경우와 도어가 개방되었을 경우 중 어느 하나가 만족되었을 경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은 회전구동부가 안테나를 회전시켜 안테나가 활선 감지영역을 향하도록 하고, 활선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가 감지결과를 인체 및 도어 개방 감지결과와 연계하여 경보레벨을 판단한 후,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LED, 버저, 음성방출부를 제어하여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보레벨은 LED 점멸간격, 버저 및 음성방출부의 음량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여부 및 도어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의 인체 감지 또는 도어 개방 감지에 따라 무선형 활선 경보장치가 안테나를 통해 전기설비 내의 전기신호를 감지하여 활선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활선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활선 감지레벨을 분석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거리에 따라 차등 경보가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활선 감지레벨과 도어 개방 감지신호가 연관되어 차등 경보가 수행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테나는 평상시에는 비활성을 유지하다가 경보장치가 장착된 설비에 대한 사람 접근 또는 도어 개방이 감지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활성화하여 활선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안테나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구동부와, 회전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안테나의 회전량에 따라 안테나가 어느 영역을 향하는지가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활선영역을 감지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된 제어부로 이루어진 제어장치에 의해 회전구동이 제어되며,
    상기 인체감지부에 의해 설비에 접근하는 사람이 있으면서 상기 도어개방감지부에 의해 설비 도어가 개방되었을 경우 또는 설비에 접근하는 사람이 있는 경우와 도어가 개방되었을 경우 중 어느 하나가 만족되었을 경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은 회전구동부가 안테나를 회전시켜 안테나가 활선 감지영역을 향하도록 하고, 활선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가 감지결과를 인체 및 도어 개방 감지결과와 연계하여 경보레벨을 판단한 후,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LED, 버저, 음성방출부를 제어하여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통전 경보방법.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전기설비에 대한 사람의 접근 거리와, 상기 활선 경보장치가 장착된 전기설비의 도어 개방 여부에 따른 차등 경보는
    LED, 버저 및 음성방출부를 통해 이루어지되,
    LED의 점멸간격과 버저 및 음성방출부의 음량 크기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통전 경보방법.
KR1020230051719A 2023-04-20 2023-04-20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 KR102585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719A KR102585619B1 (ko) 2023-04-20 2023-04-20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1719A KR102585619B1 (ko) 2023-04-20 2023-04-20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619B1 true KR102585619B1 (ko) 2023-10-06

Family

ID=8829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1719A KR102585619B1 (ko) 2023-04-20 2023-04-20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61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057Y1 (ko) 2001-10-19 2002-02-06 김웅태 활선 접근 경보기용 회로
KR20050080716A (ko) 2004-02-10 2005-08-17 정재곤 감전 재해 예방용 경보장치
KR101404102B1 (ko) * 2012-07-26 2014-06-0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활선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부스바의 복합 센서
KR101634641B1 (ko) 2014-07-25 2016-07-08 참빛파워텍 주식회사 전기실 관리자 안전사고 예방 경보 장치
KR20200006916A (ko) * 2018-07-11 2020-01-21 이상준 무선형 활선경보장치
KR20200111965A (ko) * 2019-03-20 2020-10-05 김정현 활선부 접근 및 지진 경보 시스템을 갖춘 수배전반
KR102412115B1 (ko) * 2020-04-20 2022-06-21 백우민 작업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49154B1 (ko) * 2021-12-27 2022-09-29 주식회사 수경피에스티 통전 감지 경보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057Y1 (ko) 2001-10-19 2002-02-06 김웅태 활선 접근 경보기용 회로
KR20050080716A (ko) 2004-02-10 2005-08-17 정재곤 감전 재해 예방용 경보장치
KR101404102B1 (ko) * 2012-07-26 2014-06-0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활선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부스바의 복합 센서
KR101634641B1 (ko) 2014-07-25 2016-07-08 참빛파워텍 주식회사 전기실 관리자 안전사고 예방 경보 장치
KR20200006916A (ko) * 2018-07-11 2020-01-21 이상준 무선형 활선경보장치
KR20200111965A (ko) * 2019-03-20 2020-10-05 김정현 활선부 접근 및 지진 경보 시스템을 갖춘 수배전반
KR102412115B1 (ko) * 2020-04-20 2022-06-21 백우민 작업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49154B1 (ko) * 2021-12-27 2022-09-29 주식회사 수경피에스티 통전 감지 경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8239B2 (en) Electric shock warning distribution board system including wearable device for warning electric shock and distribution board linked thereto
KR100978470B1 (ko) 출력펄스개수로 추정한 활선전압크기에 따른 배전반 활선 상태 음성경보장치
KR200470826Y1 (ko)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CN108538004B (zh) 一种电气火灾监控探测器和电气火灾监控系统
CN211293018U (zh) 一种新型电表箱防火装置
KR102585619B1 (ko) 비접촉식 통전 경보시스템 및 경보방법
US7233866B2 (en) Device for the management of electrical sockets
US4668935A (en) Visual alarm reliability assurance system
CN109244700A (zh) 一种防误挂接地线装置及控制方法
CN111426349A (zh) 一种高压柜母线接头温度和电流监测保护系统
CN210327004U (zh) 一种便携式自动报警断电的保护装置
KR20050032974A (ko) 고정형 활선 접근 경보시스템
CN107276024A (zh) 一种漏电监控设备
CN208737288U (zh) 一种基于nb-iot通信的校园宿舍用电监控系统
KR20050080716A (ko) 감전 재해 예방용 경보장치
WO2020108477A1 (zh) 一种带自检功能的金属壳电器产品漏电报警装置
CN110611293A (zh) 一种便携式自动报警断电的保护装置
CN212779366U (zh) 一种变电站停电检修防感应电事故预警装置
CN111047825A (zh) 一种新的防社会人员触电装置
KR102620379B1 (ko) 미세전류 검출 및 제거 기능을 갖는 자동접지장치
CN205911829U (zh) 一种具备温度测量功能的微型断路器
KR20160013491A (ko) 전기실 관리자 안전사고 예방 경보 장치
KR101686039B1 (ko) 블랙박스가 구비된 분전반
CN214380042U (zh) 一种实验室用电保护电路
CN212693874U (zh) 高压试验区域智能断电安全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