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867A -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867A
KR20210045867A KR1020190129405A KR20190129405A KR20210045867A KR 20210045867 A KR20210045867 A KR 20210045867A KR 1020190129405 A KR1020190129405 A KR 1020190129405A KR 20190129405 A KR20190129405 A KR 20190129405A KR 20210045867 A KR20210045867 A KR 20210045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e
underground power
worker
emergency
pow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914B1 (ko
Inventor
박찬문
유충일
장경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29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9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과 연계되어 지하전력구내의 비상 발생 시 작업자의 탈출을 유도하도록 이루어지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은 상기 작업자의 위치추적, 비상탈출상황 및 상기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은,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로컬제어부;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일정 범위 이내로의 상기 작업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로컬제어부로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접근감지부; 및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의 비상 발생 시 상기 작업자의 탈출을 유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컬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로컬제어부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탈출유도장치부를 포함하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EMERGENCY ESCAPE SAFETY INDUCTION SYSTEM IN ELECTRIC POWER LINE UNDER GROUND}
본 발명은 지하전력구내 비상 상황 발생 시 작업자의 비상탈출을 안전하게 유도하기 위한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하전력구는 도심 속 지하를 통해 지나가는 전력선의 설치 공간을 제공한다. 하지만, 현재 지하전력구에는 화재와 같은 돌발 상황 시 작업자의 비상탈출을 위한 안전시스템이 미흡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현재의 선로순시, 설비점검, 보수 작업자들은 양 변전소 출입구 또는 중간 통풍구를 통해 출입하고 있으나 변전소와 통풍구, 통풍구와 통풍구간 거리가 2~3Km로 상당히 멀어 비상시 이동하기가 어려움이 크다. 또한, 지하전력구내 작업자가 비상 상황에 직면할 때 어느 방향으로 몇 미터 달릴지 판단할 수 있는 거리표지가 부재하다. 그리고, 지하전력구 내부는 외부의 빛이 전혀 들어오지 못하여 형광등과 같은 전기 불빛에 의존해 작업해야 하며, 천정에 형광등이 시설되 있지만 조도가 낮아 주위가 어두 컴컴하고, 주변 물제 식별이 어렵다.
한편, 지하전력구 중앙통로의 넓이는 약 1.5m로 폭이 좁고, 양 벽변에 선로 지지용 앵글이 중앙 통로측으로 돌출되어, 빠르게 움직여야 하는 상황에서는 작업자의 머리나 신체가 접촉 부상의 위험이 있다. 지하전력구 시설물 지지용 돌출 앵글 끝 부분에 야광캡이 씌워져 있어 작업자의 머리나 신체접촉 부상을 방지하고, 정전시 중앙통로 식별 용도로 사용하고 있지만, 발광조도가 낮아 비상탈출시 유도장치로 사용하기 부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지하전력구내 비상 상황 발생 시 작업자의 비상탈출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과 연계되어 지하전력구내의 비상 발생 시 작업자의 탈출을 유도하도록 이루어지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은 상기 작업자의 위치추적, 비상탈출상황 및 상기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은,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로컬제어부;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일정 범위 이내로의 상기 작업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로컬제어부로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접근감지부; 및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의 비상 발생 시 상기 작업자의 탈출을 유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컬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로컬제어부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탈출유도장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은, 전원의 충전 및 외부로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컬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로컬제어부, 상기 접근감지부 및 상기 탈출유도장치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출유도장치부는,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에 의해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의 비상 상황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로컬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작업자의 탈출유도와 관련된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음성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정보는, 상기 비상 상황에 관한 정보와 상기 작업자의 탈출 장소, 탈출 방향 및 상기 탈출 장소까지의 도달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출유도장치부는, 빛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 상기 작업자의 이동 경로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에 의해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의 비상 상황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로컬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근거로 상기 빛을 발생시켜 상기 작업자의 탈출 경로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탈출유도로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출유도로표시부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 상기 작업자의 이동 경로상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유도로표시부와 제2 유도로표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컬제어부는, 상기 접근감지부에서 획득되는 상기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작업자가 상기 이동 경로상의 중앙을 따라 이동하는지의 여부를 판단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 경로상의 중앙을 따라 상기 작업자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제1 및 제2 유도로표시부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하여 상기 이동 경로상의 중앙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유도로표시부의 밝기를 서로 다르게 표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컬제어부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이동 경로상의 중앙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유도로표시부의 밝기가 서로 동일하게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제1 및 제2 유도로표시부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하여 상기 이동 경로상의 중앙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작업자를 상기 이동 경로상의 중앙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유도로표시부 중 상기 작업자가 근접하는 측 보다 상기 작업자가 멀어지는 측의 밝기를 더 밝게 표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탈출유도장치부는,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 상기 작업자의 이동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에 의해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의 비상 상황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로컬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작업자의 탈출유도와 관련된 영상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비상 상황에 관한 정보와 상기 작업자의 탈출 장소, 탈출 방향 및 상기 탈출 장소까지의 도달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출유도장치부는, 빛을 발생시키며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 상기 작업자의 이동 경로를 따라 배치되며, 휘도 및 초점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느 랜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랜턴부는, 영구자석 및 유도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유도코일을 상대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발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과 연계되어 지하전력구내의 비상 발생 시 작업자의 탈출을 유도하도록 이루어지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의 안전유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은 상기 작업자의 위치추적, 비상탈출상황 및 상기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의 안전유도 방법은, 로컬제어부를 통해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접근감지부를 이용하여, 일정 범위 이내로의 상기 작업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의 비상 발생 시, 상기 작업자의 탈출을 유도하는 탈출유도장치부를 통해 탈출유도정보를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의 안전유도 방법을 제안한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은, 접근감지부에서 획득되는 작업자의 위치정보와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에서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하전력구내에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탈출유도장치부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지하전력구내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상황 발생 시, 작업자의 비상탈출을 안전하게 유도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생명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과 지하전력구 안전유도 시스템이 적용되는 지하전력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탈출유도로표시부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탈출유도로표시부가 지하전력구내 작업자의 이동 경로에 설치된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도2에 도시된 영상표시부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도2에 도시된 랜턴부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전부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의 안전유도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과 지하전력구 안전유도 시스템이 적용되는 지하전력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100)은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10)과 연계되어 지하전력구(11)내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 발생 시 작업자(W)의 탈출을 유도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10)은 지하전력구(11)에서 발생하는 전반적인 상황들을 감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10)은 작업자(W)의 위치추적, 비상탈출상황,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100)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10)은 지하전력구(11)내에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화재 감지 센서(미도시) 등의 센서류를 포함할 수 있다.
지하전력구(11)는 도심 속 지하를 통해 지나가는 전력선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지하전력구(11)는 비상 상황 발생 시 작업자(W)가 대피할 수 있는 복수의 비상대피소(R1,R2,R3,R4,R5,R6)를 구비할 수 있다.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제어부(110), 접근감지부(120) 및 탈출유도장치부(130)를 포함한다.
로컬제어부(110)는, 후술하는 탈출유도장치부(13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지고,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10)과 연결되어,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11)과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접근감지부(120)는, 지하전력구(11)내에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일정 범위 이내로 작업자(W)가 접근하는 경우, 작업부(W)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작업자(W)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위치정보를 로컬제어부(110)로 송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접근감지부(120)는 예를 들어, 작업자(W)의 체열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근감지부(120)에서 획득되는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W)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작업자(W)의 탈출 또는 작업자(W)의 구난 활동에 활용할 수 있다.
탈출유도장치부(130)는, 지하전력구(11)내에서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 발생 시 작업자(W)의 탈출을 유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컬제어부(110)와 연결되어 로컬제어부(110)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탈출유도장치부(130)는, 음성안내부(131), 탈출유도로표시부(132), 영상표시부(133) 및 랜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안내부(131), 탈출유도로표시부(132), 영상표시부(133) 및 랜턴부(134)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100)은 전원공급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0)는 전원의 충전과, 전원을 외부로 공급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로컬제어부(110)와 연결되어 로컬제어부(110), 접근감지부(120) 및 탈출유도장치부(13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40)는 평상 시 상용 전원 공급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전기의 충전이 가능한 백업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하여 정전 시에 일정 시간 이상 비상 전원을 공급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탈출유도장치부(130)의 음성안내부(131)는,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10)에 의해 지하전력구(11)내에서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상황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로컬제어부(11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작업자(W)의 탈출유도와 관련된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음성정보는 로컬제어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 음성안내부(131)는 예를 들어, 지하전력구(11)내에서 작업자(W)의 이동 경로(11a)를 따라 소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비상 상황에 관한 정보와 작업자(W)의 탈출 장소, 탈출 방향 및 상기 탈출 장소까지의 도달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탈출유도로표시부(132)에 대하여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탈출유도로표시부(132)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탈출유도로표시부(132)가 지하전력구(11)내 작업자(W)의 이동 경로(11a)에 설치된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탈출유도장치부(130)는 탈출유도로표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탈출유도로표시부(132)는, 빛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업자(W)는 탈출유도로표시부(132)에서 발생되는 빛을 따라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출유도로표시부(132)는 복수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LED는 전선(132a',132b')에 의해 연결되어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탈출유도로표시부(132)는 지하전력구(11)내에서의 작업자(W)의 이동 경로(11a)를 따라 배치되고,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10)에 의해 지하전력구(11)내에서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상황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로컬제어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근거로 빛을 발생시켜 작업자(W)의 탈출 경로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 탈출유도로표시부(132)에서 발생되는 빛의 밝기는 로컬제어부(11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로컬제어부(110)는 상기 접근감지부(120)에서 획득되는 작업자(W)의 위치정보에 따라 탈출유도로표시부(132)에 발생되는 빛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W)가 위치하는 주변의 탈출유도로표시부(132)의 밝기는 증가시키고, 주변에 작업자(W)가 없는 경우 탈출유도로표시부(132)의 밝기를 감소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탈출유도로표시부(132)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 지하전력구(11)내에서 작업자(W)의 이동 경로(11a)상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유도로표시부(132a)와 제2 유도로표시부(13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로컬제어부(110)는, 접근감지부(120)에서 획득되는 상기 위치정보를 근거로 작업자(W)가 이동 경로(11a)상의 중앙을 따라 이동하는지의 여부를 판단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지하전력구(11)의 상기 이동 경로(11a)의 중앙을 따라 작업자(W)를 이동시키도록, 작업자(W)가 제1 및 제2 유도로표시부(132a,132b)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하여 이동 경로(11a)상의 중앙에서 벗어나는 경우, 제1 및 제2 유도로표시부(132a,132b)의 밝기를 서로 다르게 표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11)는 이동 경로(11a)상의 중앙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이동 경로(11a)의 좌우 벽면으로부터 이동 경로(11a)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지하전력구(11)의 시설물 지지용 앵글 등에 작업자(W)가 이동 중 충돌하여 부상을 당할 확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상기 로컬제어부(110)는, 작업자(W)가 상기 이동 경로(11a)상의 중앙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유도로표시부(132a,132b)의 밝기가 서로 동일하게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작업자(W)가 상기 제1 및 제2 유도로표시부(132a,132b)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하여 상기 이동 경로(11a)상의 중앙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작업자(W)를 상기 이동 경로(11a)상의 중앙으로 유도하도록, 제1 및 제2 유도로표시부(132a,132b) 중 상기 작업자(W)가 근접하는 측 보다 상기 작업자(W)가 멀어지는 측의 밝기를 더 밝게 표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W)는 비상 시 지하전력구(11)내에서 이동 중, 제1 및 제2 유도로표시부(132a,132b) 중 보다 밝은 측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이동 경로(11a)상의 중앙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W)는, 제1 및 제2 유도로표시부(132a,132b) 중 상기 작업자(W)가 근접하는 측 보다 상기 작업자(W)가 멀어지는 측의 밝기를 더 밝게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특징은, 사전에 안전 교육을 통하여 숙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영상표시부(133)에 대하여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5를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2에 도시된 영상표시부(133)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탈출유도장치부(130)는 영상표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부(133)는, 지하전력구(11)내에서 작업자(W)의 이동 경로(11a)를 따라 배치되고,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10)에 의해 지하전력구(11)내에서의 비상 상황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로컬제어부(11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작업자(W)의 탈출유도와 관련된 영상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영상정보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 상황에 관한 정보와 작업자(W)의 탈출 장소, 탈출 방향 및 상기 탈출 장소까지의 도달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출 장소는 예를 들어, 작업자(W)의 현재 위치와 가장 인접하는 다음 통풍구 또는, 변전소일 수 있다. 상기 영상정보는 문자 또는 이미지로 출력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랜턴부(134)에 대하여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2에 도시된 랜턴부(134)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전부(134a)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탈출유도장치부(130)는 랜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랜턴부(134)는, 빛을 발생시키며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지하전력구(11)내에서 작업자(W)의 이동 경로(11a)를 따라 배치되고, 휘도 및 빛의 초점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랜턴부(134)는 배터리(134c)와, (+,-)극(134b')을 구비하는 DC전원부 충전단자(134b)와,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134d)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랜턴부(134)는 발전부(134a)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부(134a)는, 영구자석(134a1)과 유도코일(134a2)을 구비하고, 상기 유도코일(134a2)을 상기 영구자석(134a1)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발전부(134a)는 상기 유도코일(134a2)을 상대회전시키는 수동로터(134a3)와,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커패시터(134a4)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의 안전유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의 안전유도 방법의 흐름도이다.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10)과 연계되어 지하전력구(11)내의 비상 발생 시 작업자의 탈출을 유도하도록 이루어지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100)의 안전유도 방법에 있어서,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10)은 작업자(W)의 위치추적, 비상탈출상황 및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100)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의 안전유도 방법은, 로컬제어부를 통해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S100)와,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접근감지부를 이용하여, 일정 범위 이내로의 작업자(W)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작업자(W)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0)와, 상기 작업자(W)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하전력구(11)내에서의 비상 발생 시, 상기 작업자(W)의 탈출을 유도하는 탈출유도장치부(130)를 통해 탈출유도정보를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0 :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110 : 로컬제어부
120 : 접근감지부 130 : 탈출유도장치부
131 : 음성안내부 132 : 탈출유도표시부
132a : 제1 유도로표시부 132b : 제2 유도로표시부
133 : 영상표시부 134 : 랜턴부
134a : 발전부

Claims (13)

  1.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과 연계되어 지하전력구내의 비상 발생 시 작업자의 탈출을 유도하도록 이루어지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은 상기 작업자의 위치추적, 비상탈출상황 및 상기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은,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로컬제어부;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일정 범위 이내로의 상기 작업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로컬제어부로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접근감지부; 및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의 비상 발생 시 상기 작업자의 탈출을 유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컬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로컬제어부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탈출유도장치부를 포함하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전원의 충전 및 외부로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컬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로컬제어부, 상기 접근감지부 및 상기 탈출유도장치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유도장치부는,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에 의해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의 비상 상황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로컬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작업자의 탈출유도와 관련된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음성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정보는, 상기 비상 상황에 관한 정보와 상기 작업자의 탈출 장소, 탈출 방향 및 상기 탈출 장소까지의 도달 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유도장치부는,
    빛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 상기 작업자의 이동 경로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에 의해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의 비상 상황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로컬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근거로 상기 빛을 발생시켜 상기 작업자의 탈출 경로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탈출유도로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유도로표시부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 상기 작업자의 이동 경로상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유도로표시부와 제2 유도로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제어부는, 상기 접근감지부에서 획득되는 상기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작업자가 상기 이동 경로상의 중앙을 따라 이동하는지의 여부를 판단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 경로상의 중앙을 따라 상기 작업자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제1 및 제2 유도로표시부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하여 상기 이동 경로상의 중앙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유도로표시부의 밝기를 서로 다르게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제어부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이동 경로상의 중앙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유도로표시부의 밝기가 서로 동일하게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제1 및 제2 유도로표시부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하여 상기 이동 경로상의 중앙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작업자를 상기 이동 경로상의 중앙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유도로표시부 중 상기 작업자가 근접하는 측 보다 상기 작업자가 멀어지는 측의 밝기를 더 밝게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유도장치부는,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 상기 작업자의 이동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에 의해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의 비상 상황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로컬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작업자의 탈출유도와 관련된 영상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비상 상황에 관한 정보와 상기 작업자의 탈출 장소, 탈출 방향 및 상기 탈출 장소까지의 도달 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유도장치부는,
    빛을 발생시키며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 상기 작업자의 이동 경로를 따라 배치되며, 휘도 및 초점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느 랜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랜턴부는,
    영구자석 및 유도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유도코일을 상대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13.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과 연계되어 지하전력구내의 비상 발생 시 작업자의 탈출을 유도하도록 이루어지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의 안전유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은 상기 작업자의 위치추적, 비상탈출상황 및 상기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의 상태를 감시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의 안전유도 방법은,
    로컬제어부를 통해 상기 지하전력구 감시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접근감지부를 이용하여, 일정 범위 이내로의 상기 작업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하전력구내에서의 비상 발생 시, 상기 작업자의 탈출을 유도하는 탈출유도장치부를 통해 탈출유도정보를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의 안전유도 방법.
KR1020190129405A 2019-10-17 2019-10-17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KR102272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405A KR102272914B1 (ko) 2019-10-17 2019-10-17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405A KR102272914B1 (ko) 2019-10-17 2019-10-17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867A true KR20210045867A (ko) 2021-04-27
KR102272914B1 KR102272914B1 (ko) 2021-07-05

Family

ID=75725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405A KR102272914B1 (ko) 2019-10-17 2019-10-17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9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6566A (ko) * 2008-03-08 2009-09-11 이강민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00045749A (ko) * 2008-10-24 2010-05-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재난 유도 시스템
JP2015004920A (ja) * 2013-06-24 2015-01-08 平岡織染株式会社 多機能看板装置およびその表示作動方法
KR20190012825A (ko) * 2017-07-28 2019-02-11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력선 방호관
KR20190084197A (ko) * 2018-01-06 2019-07-16 주식회사 우정하이텍 스마트 피난구 유도등
JP7104989B2 (ja) * 2016-11-18 2022-07-22 ゴールデン バイオ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トピー性皮膚炎を処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6566A (ko) * 2008-03-08 2009-09-11 이강민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00045749A (ko) * 2008-10-24 2010-05-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재난 유도 시스템
JP2015004920A (ja) * 2013-06-24 2015-01-08 平岡織染株式会社 多機能看板装置およびその表示作動方法
JP7104989B2 (ja) * 2016-11-18 2022-07-22 ゴールデン バイオ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トピー性皮膚炎を処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KR20190012825A (ko) * 2017-07-28 2019-02-11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방호관의 안전작업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력선 방호관
KR20190084197A (ko) * 2018-01-06 2019-07-16 주식회사 우정하이텍 스마트 피난구 유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914B1 (ko) 202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473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ации и указатель пути эвакуации для него
KR100653604B1 (ko)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101383563B1 (ko) 스마트 볼라드를 이용한 교통관리 시스템
KR20160064662A (ko)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KR102348594B1 (ko) 안전유도가 가능한 배전반(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mcc, ess)
KR101807264B1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KR101079681B1 (ko) 공항 전력시설의 장애관리 시스템
KR20110041042A (ko) 비접촉식 안전용 검전기
KR101896540B1 (ko) 화재안전 엘이디조명 시스템
KR200402264Y1 (ko) 복합 비상유도장치
KR102272914B1 (ko) 지하전력구 비상탈출 안전유도 시스템
CN103543724A (zh) 一种围栏监控装置以及一种围栏
CN109347962A (zh) 一种交通隧道智能安全管理系统
KR20200134034A (ko) 작업장 내 사고 예방 및 근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32974A (ko) 고정형 활선 접근 경보시스템
WO2009017628A2 (en) Programmable, progressive guid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CN111462441B (zh) 灯具自带蓄电池供电的非集中型低电压疏散系统
KR102429226B1 (ko) 스마트 보안등 점멸기를 이용한 안심귀가 시스템
KR102105965B1 (ko) 비상 화재 발생시 비상문 유도 제어장치
KR20230100788A (ko) 전기 자동차 충전정보 안내 기능을 갖는 주차장용 비상벨
Unit How it works
CN209417891U (zh) 消防安全指示系统及楼层管理系统
CN219039977U (zh) 一种隧道紧急疏散路线诱导系统
KR102489089B1 (ko) 활선 경보 장치
KR20170100130A (ko) 옥외주차 유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