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243B1 - 슬리브, 접촉 장치, 그리고 초음파를 이용한 얇은 연선형 도체의 용접 방법 - Google Patents

슬리브, 접촉 장치, 그리고 초음파를 이용한 얇은 연선형 도체의 용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243B1
KR101911243B1 KR1020160023252A KR20160023252A KR101911243B1 KR 101911243 B1 KR101911243 B1 KR 101911243B1 KR 1020160023252 A KR1020160023252 A KR 1020160023252A KR 20160023252 A KR20160023252 A KR 20160023252A KR 101911243 B1 KR101911243 B1 KR 101911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nductor
wire
carrier object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341A (ko
Inventor
마르쿠스 이쎄레르
Original Assignee
젠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젠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05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M2/2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9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7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combined with 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01R4/625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07Ultrasonic-, H.F.-, cold- or impact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5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soldering or welding connectors to a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선형 도체의 단부편을 수용하기 위한 슬리브를 통해 연선형 도체와 캐리어 객체 사이의 연결을 개량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상기 슬리브에 의해 단부편은 압축되고, 상기 슬리브는 초음파를 통해 캐리어 객체 상에 용접되거나, 또는 상기 캐리어 객체와 압축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슬리브, 접촉 장치, 그리고 초음파를 이용한 얇은 연선형 도체의 용접 방법{SLEEVE, CONTACTING DEVICE, AND METHOD FOR WELDING THIN STRAND-SHAPED CONDUCTORS BY USING ULTRASOUND}
본 발명의 대상은, 특히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르는 접촉 장치, 슬리브, 전기 장치 및 운송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야에 있어서 종래기술은 구리선은 초음파에 의해 전도성 금속 상에 용접될 수 있다. 특히 0.5㎟를 상회하는 횡단면은 충분한 인출력(pull-off force)과 결부된다. 용접 동안 압축(pressing)을 통해 일반적으로 특히 0.35㎟ 이하의 횡단면의 용접을 어렵게 하는 재료 약화 및 설정 파괴점이 발생한다. 감소된 파열력은 상기 얇은 라인들의 사용을 더 이상 실행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용접 전의 압축(compacting)은 아주 조금만 도움이 된다.
상대적으로 더 큰 횡단면을 얻기 위해, 대개는 빈번히 개방형 크림프 슬리브(crimp sleeve)의 사용에 의지한다. 여기서 단점은, 연결부의 품질이 연결 박판 상에서 압착(crimping)된 기하구조의 배향에 따라서 결정되고 압착의 강도는 원칙상 초음파 에너지를 통해 약화된다는 점에 있는데, 그 이유는 크림프 플랭크들(crimp flank)이 말려지기만 하고 압축 시 다시 개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크림프의 내부에서 상대 이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크림프는 파괴될 수도 있게 된다.
공개독일특허 3405797 A1
상기 종래 기술의 배경에서, 청구항 제1항, 제7항, 제10항, 제13항 및 제14항의 특징들을 갖는 기술 개념이 제안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추가 청구항들과 하기의 기재내용에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캐리어 객체(1)(carrier object)와 용접하기 위한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연선형 도체(3)의 단부편(end piece)을 수용하기 위한 슬리브(4)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특히 슬리브(4)는 연선형 도체(3)의 외주의 둘레에서 국소적으로 360°만큼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방식으로 폐쇄된다. 이는 접촉점의 경계 구역을 부식으로부터 보호한다.
바람직하게는, 연선형 도체(3)를 삽입하기 위해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 개구부는, 연선형 도체(3)의 안정성을 위태롭게 하는 날카로운 에지를 방지하기 위해, 자신의 외경에서 자신의 내경 쪽으로 깔때기 형태로 좁아지는 전이부의 형태인 삽입 깔때기부(insertion funnel)를 포함한다.
그것은, 삽입 깔대기부가 0.5㎜ 미만의 곡률 반경을 방지할 때, 설정 파괴점을 방지한다.
그것은, 슬리브(4)가 자신의 두단부 상에 각각 하나의 삽입 깔때기부를 포함할 때, 조립을 간소화한다.
그것은, 슬리브(4) 및 연선형 도체(3)의 총 횡단면은 0.5㎟ 이상일 때, 좌굴 강도를 증가시키다.
그것은, 연선형 도체(3)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4)에 의해 이 슬리브 상에 고정되고, 특히 초음파로 용접되거나 압축되며, 연선형 도체(3)는 슬리브(4)에 의해 바람직하게 압축될 때, 캐리어 객체(1) 및 연선형 도체(3)를 포함하는 접촉 장치의 특히 뛰어난 내식성을 나타 낸다.
접촉 장치에 있어서, 압축은 슬리브(4)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길이의 일부분에 걸쳐서만 실행되고, 슬리브(4)가 길이의 압축되지 않은 부분에서 캐리어 객체(1) 상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상기 접촉 장치는 더욱 안정적이다.
접촉 장치에 있어서, 연선형 도체(3)의 코어의 금속 재료 및 캐리어 객체(1)의 금속 재료는 0.3V를 초과하는 전기 화학 전위차를 보유하고, 슬리브(4)는 연선형 도체(3)의 코어의 전기 화학 전위와 캐리어 객체(1)의 전기 화학 전위 사이인 전기 화학 전위를 보유하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객체(1)는 알루미늄 재료로 구성되고, 연선형 도체(3)의 코어는 구리 재료로 구성되며, 슬리브(4)는 황동 재료 또는 CuZn 재료로 구성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상기 접촉 장치는 부식 문제의 방지를 허용한다.
적합하게는, 하기 방법 단계들을 포함하면서 청구항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접촉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캐리어 객체(1)와 연선형 도체(3)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a) 청구항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슬리브(4) 내로 연선형 도체(3)를 삽입하는 방법 단계,
b) 연선형 도체(3)를 포함한 슬리브(4)를 일차로 압축함으로써 연선형 도체(3)가 슬리브(4) 내에서 고정되게 하는 방법 단계,
c) 캐리어 객체(1) 상에 슬리브(4)를 이용하여 연선형 도체(3)를 안착하는 방법 단계,
d) 초음파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것을 통해, 그리고/또는 이차로 압축하는 것을 통해, 연선형 도체(3)를 에워싸는 슬리브(4)와 캐리어 객체(1)를 연결하는 방법 단계.
상기 방법의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일차 압축이 전체 길이에 걸쳐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만 실행되고, 슬리브(4)와 캐리어 객체(1) 사이의 연결부는 압축되지 않은 슬리브 영역에서만 형성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슬리브(4)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 대칭형 횡단면을 보유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 후에도 회전 대칭형으로 유지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상기 방법은 형성되는 슬리브의 용접성을 개량한다.
특히 알루미늄 재료로 이루어진 캐리어 객체(1)를 구비한 상기 접촉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는 신뢰성 있게 부식으로부터 보호된다.
상기 접촉 장치,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를 장착한 운송수단은 바람직하다.
접촉 장치를 위한, 또는 본원에서 청구되는 방법을 위한, 또는 배터리를 위한, 또는 운송수단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4)의 이용은 언급한 장점들을 제공한다.
이와 동일한 사항은, 방법을 위한, 배터리를 위한, 또는 운송수단을 위한 접촉 장치의 이용에도 적용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상세 내용이 설명된다. 대응하는 실시예들은 발명의 이해를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들은 예시의 특성만을 갖는다. 자명한 사실로서,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정의되는 발명의 범위에서, 기술된 개별 특징들 또는 다수의 특징은 생략되거나, 변형되거나, 보충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자명한 사실로서 서로 조합될 수도 있다. 매우 중요한 사항은, 본 발명의 개념이 실질적으로 구현된다는 점에 있다. 하나의 특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족된다고 하면, 이는, 상기 특징이 완전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충족된다는 점도 포함한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란, 특히 구현이 식별 가능한 정도로 의도하는 사용의 달성을 허용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는, 특히 상응하는 특징이 50% 이상,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까지 충족된다는 점을 의미할 수 있다. 최소량이 명시되어 있다면, 자명한 사실로서 상기 최소량을 상회하는 양도 이용될 수 있다. 구조 부재의 개수가 하나 이상으로 명시되어 있다면, 이는 특히 2개, 3개, 또는 기타 복수의 구조 부재를 포함하는 실시예들 역시도 포함한다. 객체에 대해 기술된 사항은, 또 다른 동일한 유형의 모든 객체의 대부분 또는 그 전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별다른 사항이 명시되어 있지 않은 점에 한해, 간격들은 자신들의 경계점들도 함께 포함한다. 독일어에서 사용되는 부정관사 "Ein(하나)"은 "하나 이상"도 의미한다. 하기에는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모두 해소된 슬리브, 접촉 장치, 그리고 초음파를 이용한 얇은 연선형 도체의 용접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압축 및 용접하기 위한 슬리브를 도시한 각각의 상면도(a), 횡단면도(b) 및 종단면도(c)이다.
도 2는 연선형 도체 및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와 캐리어 객체를 용접한 상태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슬리브와 함께 연선형 도체를 부분적으로 압축한 상태에서 도시한 각각의 상면도(a) 및 횡단면도(b 및 c)이다.
도 4는 연선형 도체 및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와 캐리어 객체를 용접한 상태에서 도시한 확대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운송수단에 관한 것이다. "운송수단"이란 개념은 특히 사람 및/또는 화물의 운송을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육상 차량, 수상 차량, 철도 차량 및 항공 수단, 특히 항공기, 선박 및 자동차, 특히 전기 자동차를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운송수단 및 바람직하게는 전기 자동차를 위한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은 특히 알루미늄 재료로 이루어진 배터리의 부재들의 접촉을 위해 중요할 수 있으며, 특히 배터리의 단위 셀을 위한 접촉판(contact plate)의 접촉을 위해 중요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리브는 연선형 도체의 위쪽으로 당겨진다. 그런 다음, 슬리브는, 도체와 슬리브를 상호 간에 연결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압축된다. 이에 이어서 슬리브는 도체와 함께 캐리어 객체 상에 용접되고, 그리고/또는 그에 따라 압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들은 특히 하기와 같다.
1. 슬리브는 폐쇄되어 있으며, 예컨대 슬리브는 박판으로 휘어져 폐쇄되지 않은 슬릿형 이음매(slit-shaped seam)를 구비할 수 있거나, 또는 완전히 폐쇄(특히 용접)될 수 있거나, 또는 완전히 이음매 없이 튜브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그 결과, 슬리브는 특히 압축 동안 전혀 개방되지 않거나, 또는 보다 적게만 개방될 수 있다.
2. 슬리브는 회전 대칭형이고 압착/압축은 회전 대칭형으로 실행되거나, 또는 압축되지 않은 영역을 회전 대칭형으로 유지한다. 그 결과, 슬리브가 종축을 중심으로 한 정렬과 무관하게 캐리어 객체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점이 보장된다.
3. 압착/압축은 전체 길이에 걸쳐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만 실행된다. 그 결과, 라인 및 슬리브의 실질적인 압축은 용접 공정을 통해서도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캐리어 객체와 압축되지 않은 슬리브 영역의 연결은 예컨대 초음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4. 슬리브 상에는, 라인을 약화시킬 수도 있는 날카로운 에지를 수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라인을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 깔때기부가 위치된다.
5. 슬리브 상에는 2개의 삽입 깔때기부가 위치되며, 그럼으로써 슬리브는 자동화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6. 슬리브 및 라인의 총 횡단면은 0.35㎟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0.5㎟ 이상으로 제공된다. 그 이유는, 기계적 강도(연결부의 내구성)가 매우 낮아지므로, 원형 도체의 초음파 용접이 기술적으로 0.35㎟ 미만에서는 어렵기 때문이다.
본원의 개념은 특히 자신들의 전기 화학 전위가 많이, 다시 말하면 0.3V를 상회하는 정도로 상호 간에 차이를 나타내고 그로 인해 그 자신들은 접촉 부식 문제의 경향을 나타내는 2개의 금속 구조 부재의 용접을 위해 적합하다. 더욱 적합하게 슬리브가 용접할 구조 부재들의 전위들 사이인 전기 화학 전위를 보유하는 재료로 구성된다면, 전위차는 적합한 방식으로 분할될 수 있다. 그 결과 부식 경향은 감소되거나, 또는 심지어 완전히 방지된다.
특히 적합하게는, 황동, 또는 다른 구리 및/또는 아연을 함유한 합금으로 이루어진 슬리브를 이용하여 구리 케이블/와이어와 알루미늄 구조 부재(예: 접촉판)를 용접하는 점이 제공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슬리브 재료는 적어도 다른 구조 부재에 접촉하는 영역에서 두 접촉할 구조 부재의 전기 화학 전위들 사이인 전기 화학 전위를 보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 화학 전위는 구리의 경우 +0.52V 내지 +0.34V이며, 알루미늄의 경우에는 약 -1.66V이다.
또한, "혼성 재료(hybrid material)"로, 다시 말하면 적어도 국소적으로 상호 간에 혼합되지 않는 2가지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재료로 슬리브를 제조하는 점도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성분들은, 접촉면 상에 접촉 부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밀 밀봉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이중 층으로 구현되며, 다시 말하면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갖는 2개의 층을 포함하는 재료로 구현된다. 이런 재료들은 예컨대 냉간압연 결합 방법(cold rolling bonding method)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1 층은 바람직하게는 연질의 전기 전도성 재료, 예컨대 구리로 이루어진다. 본원에서 연질이란 특히 황동보다 더 부드러운 것을 의미한다. 구리는 구리 합금 상에서 압착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파지력(holding force)이 발생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리는 연질 알루미늄과는 충분히 용접될 수 있다. 제2 층은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더 경질인 재료, 예컨대 황동으로 구성된다. 이런 재료는 압착될 수 있지만, 그러나 연질 알루미늄 상에는 충분히 용접되지는 않는다.
그에 따라,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황동으로 이루어진 내부 관형 층을 포함한다. 이 내부 관형 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리로 이루어진 외부 관형 층에 의해 둘러싸인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4)가 확인되며,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원추형으로 확대되는 개구부들을 포함한 중공 실린더로서 확인된다(도 1c) 참조). 이 경우, 원추형 확대부와 원통형 중공 공간 사이의 전이부에 표시된 에지들은, 연선형 도체(3)의 관통 코어의 하중을 최소화하기 위해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이는 원추형 확대부의 외부 단부 상의 에지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연선형 도체(3)의 코어(5)가 슬리브(4) 안쪽으로 삽입된 사항이 확인된다(도 3c)). 이런 상황에서, 여전히 회전 대칭이 존재한다[이 경우 코어(5)의 개별 필라멘트들은 중요하지 않다]. 그런 다음, 공지된 크림핑 플라이어(crimping pliers)로 슬리브(4)의 길이와 관련하여 부분적으로 압축되며,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도 3a)에 도시된 2개의 영역에서 압축된다. 상기 영역들은 도 3b)에 단면도로 확인할 수 있다. 코어(5)는 압착되고 이런 압축된 상태에서는 도면부호 6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슬리브(4)의 외주면은 압축된 영역에서는 라운딩된 모서리들을 보유한 대략 정방형 형태를 갖는다. 또 다른 압축 기하구조들(6각형, 4회 점 형태, 등) 역시도 생각해볼 수 있다. 도 3a)에서는, 상기 모서리(중앙)와, 상기 모서리의 위쪽 정방형의 에지, 그리고 상기 모서리의 아래쪽 정방형의 또 다른 에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외에 슬리브는 각각의 압축된 영역들의 전방 및 후방에서 회전 대칭형으로 유지된다.
그에 따라, 슬리브는 임의의 위치에서 접촉판, 요컨대 도 2에 따르는 캐리어 부재(1) 상에, 예컨대 초음파 용접 또는 추가 압축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배향은 중요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상기 고정 및 접촉을 위해, 슬리브(4)의 압축되지 않은 부분들만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도 4에는, 초음파 용접의 결과로서 (여기서 용접되었기 때문에 도면부호 7로 표시된) 슬리브(4)의 상면과 캐리어 부재(1)의 하면이 공지된 방식으로 변경되어 있는 초음파로 용접된 상태가 상징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접촉판 또는 캐리어 부재(1)는 예컨대 특히 전기 자동차의 차량 배터리의 단위 셀의 접촉판이면서 알루미늄 재료로 구성되는 상기 접촉판일 수 있다. 여기서 특히 구리 재료 케이블을 통한 접촉 동안 전기 화학 전위차로 인해 어려움이 존재하는데, 이런 어려움은 슬리브 재료의 적합한 선택을 통해 대처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은, 캐리어 부재(1)와 슬리브(4)를 연결할 때 위치 불감성(position insensitivity)(회전 대칭)으로 인해, 그 밖에도 자신의 원추형 확대부(도 1c))와 관련한 슬리브(4)의 거울 대칭(반사 대칭)으로 인해 자동화된 조립에 대한 적합성도 매우 우수하다.
1: 연결 상대 부재로서 캐리어 객체(박판)
2: 압축된 슬리브
3: 절연 재료를 포함한 전기 도체
4: 압축되지 않은 슬리브
5: 압축되지 않은 도체의 구리 코어
6: 압축된 도체의 구리 코어
7: 압축되고 초음파로 용접된 슬리브

Claims (17)

  1. 캐리어 객체(1)와 용접하기 위한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연선형 도체(3)의 단부편을 수용하기 위한 슬리브(4)로서,
    상기 슬리브(4)는 회전 대칭형이고, 슬리브(4)의 압축된 영역은 회전 대칭형이거나 압축된 영역은 압축되지 않은 영역을 회전 대칭형으로 유지하고,
    상기 슬리브(4)는 황동, 또는 구리 또는 아연을 함유한 합금으로 구성되거나,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갖는 2개의 층으로 구성된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4)는 연선형 도체(3)의 외주의 둘레에서 국소적으로 360°만큼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방식으로 폐쇄되고,
    상기 슬리브(4)는 중공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층은 황동보다 더 부드러운 전기 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제1 층 및 황동으로 구성된 제2 층을 포함하고, 황동으로 구성된 제2 층은 내부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4).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선형 도체(3)를 삽입하기 위해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 개구부는, 상기 연선형 도체(3)의 안정성을 위태롭게 하는 날카로운 에지를 방지하기 위해, 자신의 외경에서 자신의 내경 쪽으로 깔때기 형태로 좁아지는 전이부의 형태인 삽입 깔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4).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깔때기부는 0보다 크고 0.5㎜ 미만의 곡률 반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4).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4)는 자신의 두 단부 상에 각각 하나의 삽입 깔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4).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슬리브(4) 및 연선형 도체(3)의 총 횡단면은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4).
  8. 캐리어 객체(1) 및 연선형 도체(3)를 포함하는 접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선형 도체(3)는 제1항에 따르는 슬리브(4)에 의해 이 슬리브 상에 고정되고, 상기 연선형 도체(3)는 상기 슬리브(4)에 의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압축은 상기 슬리브(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길이의 일부분에 걸쳐서만 실행되며, 상기 슬리브(4)는 상기 길이의 압축되지 않은 부분에서 상기 캐리어 객체(1)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선형 도체(3)의 코어의 금속 재료 및 상기 캐리어 객체(1)의 금속 재료는 0.3V를 상회하는 전기 화학 전위차를 보유하고, 상기 슬리브(4)는 상기 연선형 도체(3)의 코어의 전기 화학 전위와 상기 캐리어 객체(1)의 전기 화학 전위 사이인 전기 화학 전위를 보유하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캐리어 객체(1)는 알루미늄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연선형 도체(3)의 코어는 구리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슬리브(4)는 황동 재료 또는 CuZn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장치.
  11. 제8항에 따르는 접촉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캐리어 객체(1)와 연선형 도체(3)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르는 슬리브(4) 내로 연선형 도체(3)를 삽입하는 방법 단계와,
    b) 상기 연선형 도체(3)를 포함한 상기 슬리브(4)를 일차로 압축함으로써 상기 연선형 도체(3)가 슬리브(4) 내에서 고정되게 하는 방법 단계로서, 상기 슬리브(4)는 회전 대칭형이고 압축은 회전 대칭형으로 실행되거나, 또는 슬리브(4)의 일부를 회전 대칭형으로 유지함으로써, 슬리브(4)가 종축을 중심으로 한 정렬과 무관하게 상기 캐리어 객체(1) 상에 배치될 수 있는 방법 단계와,
    c) 상기 캐리어 객체(1) 상에 상기 슬리브(4)를 이용하여 상기 연선형 도체(3)를 안착하는 방법 단계와,
    d) 초음파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것을 통해, 또는 이차로 압축하는 것을 통해, 상기 연선형 도체(3)를 에워싸는 상기 슬리브(4)와 상기 캐리어 객체(1)를 연결하는 방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객체와 연선형 전기 도체의 연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압축은 전체 길이에 걸쳐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만 실행되고,
    상기 슬리브(4)와 상기 캐리어 객체(1) 사이의 연결부는 압축되지 않은 슬리브 영역에서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객체와 연선형 전기 도체의 연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4)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 대칭형 횡단면을 보유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 후에도 회전 대칭형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객체와 연선형 전기 도체의 연결 방법.
  14. 알루미늄 재료로 이루어진 캐리어 객체(1)를 구비하고 제8항 또는 제9항에 따른 접촉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15. 제8항 또는 제9항에 따른 접촉 장치를 포함하는 운송수단.
  16. 삭제
  17. 삭제
KR1020160023252A 2015-02-27 2016-02-26 슬리브, 접촉 장치, 그리고 초음파를 이용한 얇은 연선형 도체의 용접 방법 KR101911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002489 2015-02-27
DE102015002489.2 2015-02-27
DE102015012906.6A DE102015012906A1 (de) 2015-02-27 2015-10-07 Hülse, Kontakti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Schweißen von dünnen strangförmigen Leitern mittels Ultraschall
DE102015012906.6 2015-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341A KR20160105341A (ko) 2016-09-06
KR101911243B1 true KR101911243B1 (ko) 2018-10-24

Family

ID=5668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252A KR101911243B1 (ko) 2015-02-27 2016-02-26 슬리브, 접촉 장치, 그리고 초음파를 이용한 얇은 연선형 도체의 용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24648B2 (ko)
JP (2) JP6543586B2 (ko)
KR (1) KR101911243B1 (ko)
CN (1) CN105932430B (ko)
DE (1) DE1020150129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34016A1 (en) 2016-05-20 2017-11-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form a workpiece employing vibration welding
DE102017215970B3 (de) * 2017-09-11 2018-07-26 Strunk Connect automated solutions GmbH & Co. KG Verfahren zum Verbinden einer elektrischen Aluminiumleitung mit einem Aluminiumrohr
DE202018005770U1 (de) * 2018-12-17 2019-01-16 Nexans Kontakt mit universellem Verbindungsbereic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8445A (ja) * 2003-09-26 2005-04-2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アルミ電線用接続端子
JP2006185902A (ja) * 2004-12-02 2006-07-13 Nishi Nippon Electric Wire & Cable Co Ltd 絶縁被覆層付電線用スリーブおよびその圧縮方法
JP2014100019A (ja) * 2012-11-15 2014-05-29 Nag System Co Ltd 電線の端子構造および電線と端子の接続方法
JP2014235849A (ja) * 2013-05-31 2014-12-1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及びこの端子付き電線を有するバッテリ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短絡保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6561A (en) * 1964-12-30 1967-08-15 Ibm Electrical connection means
US3656092A (en) * 1970-08-07 1972-04-11 Amp Inc Terminal device for welded termination of electrical leads
US3980806A (en) * 1971-09-10 1976-09-14 Consolidation Coal Company Cable splice joining a pair of flexible conducting cables
US3895851A (en) * 1973-08-23 1975-07-22 Amp Inc Brittle-surfaced connector
US4161619A (en) * 1977-11-11 1979-07-17 Republic Steel Corporation Electrode socket design
US4656339A (en) 1980-08-28 1987-04-07 Flexwatt Corporation Electrical resistance heater
DE3405797A1 (de) 1984-02-17 1985-08-29 Kommanditgesellschaft Wärme- und Elektrotechnik B. Ruthenberg GmbH & Co, 8000 Mün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isolationsumhuellung am uebergangsbereich zwischen vielfachbandleitungen und an deren leiter angeschlossenen reihen von kontaktsteckern oder kontaktbuchsen bzw. vielfachbandleitung mit einer solchen isolationsumhuellung
US4661689A (en) 1985-10-28 1987-04-28 Collins & Aikman Corporation Electrical heating pad with antistatic surface
DE3867624D1 (de) 1988-03-08 1992-02-20 Bauerhin I G Elektro Tech Sitz, insbesondere fuer fahrzeuge, mit einer anschlussplatte fuer eine aus der folienkaschierten innenseite des bezugsstoffes angebrachten und durch verschweisste oder verklebte weitere folie abdichtend verbundene elektrische widerstandsheizung.
US4829146A (en) * 1988-04-11 1989-05-09 Amerace Corporation Metallic coupling system
US5451747A (en) 1992-03-03 1995-09-19 Sunbeam Corporation Flexible self-regulating heating pad combination and associated method
US5414241A (en) 1992-05-11 1995-05-09 Sekisui Kaseihin Kogyo Kabushiki Kaisha Hea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n anti-condensation mirror incorporating the same
JPH0673868U (ja) * 1993-03-24 1994-10-18 サンクス株式会社 電子部品のケーブル接続構造
JP3392229B2 (ja) * 1993-08-17 2003-03-31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圧着端子組立体
JPH0973963A (ja) * 1995-09-01 1997-03-18 Yazaki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US5961869A (en) 1995-11-13 1999-10-05 Irgens; O. Stephan Electrically insulated adhesive-coated heating element
US6229123B1 (en) 1998-09-25 2001-05-08 Thermosoft International Corporation Soft electrical textile heater and method of assembly
US6442832B1 (en) * 1999-04-26 2002-09-03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oupling a circuit board to a transmission line that includes a heat sensitive dielectric
US6713733B2 (en) 1999-05-11 2004-03-30 Thermosoft International Corporation Textile heater with continuous temperature sensing and hot spot detection
SE9903800L (sv) * 1999-10-21 2001-04-22 Kim Silfverberg Kabelkopplingsanordning
JP2002298995A (ja) * 2001-03-30 2002-10-11 Jst Mfg Co Ltd 樹脂ハンダを用いた同軸ケーブルの結束部材及び同軸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並びに結束部材の同軸ケーブル又は電気コネクタへの接続方法
JP3765777B2 (ja) * 2002-08-23 2006-04-12 エフシーアイ アジア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溶接方法及び溶接端子
US7306283B2 (en) 2002-11-21 2007-12-11 W.E.T. Automotive Systems Ag Heater for an automotive vehicle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4198026B2 (ja) * 2003-10-23 2008-12-17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キャップを用いた電線接続方法
JP4494460B2 (ja) 2004-03-08 2010-06-30 ヴィー・エー・テー・オートモーティヴ・システム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平形加熱要素
DE102005029617A1 (de) 2004-07-28 2006-03-23 W.E.T. Automotive Systems Ag Elektrisch leitfähiges Textil
EP1961264B1 (de) 2005-12-11 2016-05-18 Gentherm GmbH Flächiges heizelement
DE102006026047B4 (de) 2006-06-01 2015-06-11 Gentherm Gmbh Heizelement, Sitz und Fahrzeug mit einem solchen
DE102007010145A1 (de) 2007-02-28 2008-09-11 W.E.T Automotive System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Leiter
KR101168601B1 (ko) 2007-10-18 2012-07-30 베.에.테.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아게 전기 전도성 장치
DE102008005387B4 (de) 2007-12-14 2014-03-06 W.E.T. Automotive Systems Ag Detektoreinrichtung mit Sensorstrang
DE102008031588B4 (de) * 2008-07-03 2011-03-24 Lisa Dräxlmaier GmbH Kontaktierung von Leichtmetallleitungen
JP2010044887A (ja) * 2008-08-11 2010-02-25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ワイヤーハーネ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絶縁電線の接続方法
DE102008061186B4 (de) * 2008-12-09 2010-07-29 Leoni Bordnetz-Systeme Gmbh Elektronische Kontaktverbind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en Kontaktverbindung
JP2010225449A (ja) * 2009-03-24 2010-10-07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接続ユニット
US8353104B2 (en) * 2009-08-11 2013-01-15 Uta Auto Industrial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conducting wire terminal
DE202011102425U1 (de) 2010-07-15 2011-11-08 W.E.T. Automotive Systems Ag Elektrische Leitung
JP2013093261A (ja) * 2011-10-27 2013-05-16 Yazaki Corp 電線端末接続構造及び中間キャップ
DE202011110107U1 (de) 2011-11-17 2013-02-19 W.E.T. Automotive Systems Ag Temperier-Einrichtung
FR2995459B1 (fr) * 2012-09-07 2014-10-10 Mecatraction Procede d'assemblage d'un dispositif de connexion sur un troncon terminal denude d'un cable electrique et ensembl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assemble solidairement sur un tel troncon de cable
US9384872B2 (en) * 2012-10-11 2016-07-05 John Mezzalingua Associates, LLC Coaxial cable device and method involving weld connectiv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8445A (ja) * 2003-09-26 2005-04-2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アルミ電線用接続端子
JP2006185902A (ja) * 2004-12-02 2006-07-13 Nishi Nippon Electric Wire & Cable Co Ltd 絶縁被覆層付電線用スリーブおよびその圧縮方法
JP2014100019A (ja) * 2012-11-15 2014-05-29 Nag System Co Ltd 電線の端子構造および電線と端子の接続方法
JP2014235849A (ja) * 2013-05-31 2014-12-1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及びこの端子付き電線を有するバッテリ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短絡保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32430A (zh) 2016-09-07
DE102015012906A1 (de) 2016-09-01
JP6728444B2 (ja) 2020-07-22
KR20160105341A (ko) 2016-09-06
US20160254602A1 (en) 2016-09-01
US10224648B2 (en) 2019-03-05
CN105932430B (zh) 2020-02-14
JP2016162756A (ja) 2016-09-05
JP2019140120A (ja) 2019-08-22
JP6543586B2 (ja)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784B1 (ko) 압착 단자, 압착 단자의 제조방법, 전선 접속 구조체, 및 전선 접속 구조체의 제조방법
US8609988B2 (en) Electric wire with termin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89414B1 (ko) 크림프되고 용접된 연결조인트
KR101911243B1 (ko) 슬리브, 접촉 장치, 그리고 초음파를 이용한 얇은 연선형 도체의 용접 방법
US9444154B2 (en) Terminal fitting-equipped conductor
WO2014129217A1 (ja) 電線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電線接続構造体
US9225076B2 (en) Connection element for an electrical conductor
JP2010044887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絶縁電線の接続方法
JP2007305314A (ja) 接続端子付きケーブル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接続端子とケーブルとの超音波溶接方法および超音波溶接機
US10305240B2 (en) Wire harness, connection method between covered conducting wire and terminal, and wire harness structure body
KR101824343B1 (ko) 단자, 와이어 하니스, 단자와 피복 도선의 접속 방법 및 와이어 하니스 구조체
JP2020009640A (ja)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
JP6373077B2 (ja) 圧着端子付き電線
JP6803877B2 (ja) 端子付き電線
DE102013013151A1 (de) Vefahren zum elektrischen Verbinden der Litze eines elektrischen Leiters mit einem Leiteranschlusselement sowie konfektionierte elektrische Leitung
KR102000372B1 (ko) 전선 접속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전선 접속 구조체
CN108886205B (zh) 导体的连接结构以及线束
CN109494542A (zh) 用于将电的铝导线与铝管道连接的方法
CN110707443B (zh) 带端子的电线
JP6861223B2 (ja) ケーブルの接合、端末処理または交差接続の機構、ならびにケーブルの接合、端末処理または交差接続の機構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JP2009176547A (ja) アルミ電線への端子圧着構造
JP6935310B2 (ja)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US9853367B2 (en) Wire harness, method of connecting terminal and coated wire, and mold
JP2014164845A (ja) ワイヤハーネスおよび端子
JPH0982376A (ja) 電線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