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993B1 -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993B1
KR101910993B1 KR1020160076728A KR20160076728A KR101910993B1 KR 101910993 B1 KR101910993 B1 KR 101910993B1 KR 1020160076728 A KR1020160076728 A KR 1020160076728A KR 20160076728 A KR20160076728 A KR 20160076728A KR 101910993 B1 KR101910993 B1 KR 101910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elevating member
extending
lift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736A (ko
Inventor
유경남
정준
정홍구
김승우
김태윤
염성길
이광현
Original Assignee
(주)리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프텍 filed Critical (주)리프텍
Priority to KR1020160076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993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기재의 승강 장치는 건축물로부터 이격되어 지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결합된 제1 승강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함께 승강되는 제2 승강 부재 및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 장치{Lift apparatus}
본 발명은 승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 또는 건축 자재를 이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서는 작업자의 이동과 시멘트나 강철빔과 같은 건축 자재 등의 신속한 공급을 위하여 골조가 진행중이거나 완료된 건축물의 외벽에 승강 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승강 장치의 설치로 인하여,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건설용 승강 장치는 수직프레임에 하나의 캐리어를 승강가능하게 설치하여 구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승강 장치를 고층 건축물에 설치하여 캐리어를 운행하면, 운행시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오래 소요되므로 캐리어의 이송 효율과 함께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08202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작업자 및 건축 자재의 이송 효율이 증가할 수 있게 한 승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승강 장치는 건축물로부터 이격되어 지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결합된 제1 승강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함께 승강되는 제2 승강 부재 및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2 승강 부재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 제1 연장 부재, 상기 제2 승강 부재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2 승강 부재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 부재와 대응되는 제2 연장 부재, 상기 제1 연장 부재 또는 상기 제2 연장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의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 부재 및 상기 제1 연장 부재 또는 상기 제2 연장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는 걸쇠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가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하는 이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 유닛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하측 및 상기 제2 승강 부재의 상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지지 부재 및 탄성 변형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하측 및 상기 제2 승강 부재의 상측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 및 상기 제2 승강 부재가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승강할 수 있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는 건축 자재의 이송이 집중되는 경우, 제1 승강 부재와 제2 승강 부재가 동시에 이동됨으로써, 1회 운송량이 종래의 승강 장치와 비교하여 2배 정도 증가될 수 있다. 즉, 제1 승강 부재와 제2 승강 부재가 동시에 이동되면서 한번에 많은 인원의 작업자들을 각각의 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 장치가 한번에 다량의 건축 자재를 이동하여 더욱 빠르게 공사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을 단축시켜서 공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나 건축 자재의 이송이 여유로운 경우에는, 제1 승강 부재로부터 제2 승강 부재를 신속하게 분리하여 제1 승강 부재 하나만 운행함으로써, 승강 장치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1 승강 부재와 제2 승강 부재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에서 연결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는 가이드 부재(110), 제1 승강 부재(120), 제2 승강 부재(130) 및 연결 유닛을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110)는 건축물로부터 이격되어 지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부재(110)는 일례로 프레임 형상의 구조물일 수 있다.
제1 승강 부재(120)는 가이드 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부재(110)에 결합된다.
제2 승강 부재(130)는 가이드 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부재(1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2 승강 부재(130)는 제1 승강 부재(120) 아래의 하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승강 부재(120)와 함께 승강된다.
이와 같은 제1 승강 부재(120) 또는 제2 승강 부재(130)의 내부에는 조작 버튼(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조작 버튼은 작업자가 조작함에 따라, 제1 승강 부재(120) 및 제2 승강 부재(130)가 승강되게 하는 동작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조작 버튼은 제1 승강 부재(120) 및 제2 승강 부재(130)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제1 승강 부재(120) 또는 제2 승강 부재(130) 모두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작업자의 다중 입력에 의한 오류를 방지하고자 제1 승강 부재(120)에만 조작 버튼을 설치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승강 부재(120) 및 제2 승강 부재(130)에는 도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게 하며, 출입 공간을 폐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1 승강 부재(120) 및 제2 승강 부재(130)에 설치될 수 있는 제어 박스 및 동작을 위한 다양한 부품들은 일반적인 공지의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결 유닛은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를 연결한다. 연결 유닛에 의하여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안정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동시에 승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연결 유닛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에서 연결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 유닛은 일례로 제1 연장 부재(131), 제2 연장 부재(132), 고정 부재(133) 및 걸쇠 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 부재(131)는 제1 승강 부재(120)의 하측으로부터 제2 승강 부재(13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제2 연장 부재(132)는 제2 승강 부재(130)의 상측으로부터 제2 승강 부재(13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제1 연장 부재(131)와 대응된다. 예를 들어, 제1 연장 부재(131)의 개수는 제2 연장 부재(132)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제2 연장 부재(132)의 자유단은 제1 연장 부재(131)의 자유단과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133)는 제1 연장 부재(131) 또는 제2 연장 부재(132)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고정 부재(133)의 형상은 일례로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걸쇠 부재(134)가 걸릴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든 무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1 연장 부재(131)와 제2 연장 부재(132)의 형상은 일례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틱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133)가 제1 연장 부재(131)에 형성된 경우, 고정 부재(133)는 제1 연장 부재(131)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원기둥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 부재(133)가 제1 연장 부재(131)에 형성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걸쇠 부재(134)는 제1 연장 부재(131) 또는 제2 연장 부재(132)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 부재(133)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걸쇠 부재(134)가 제2 연장 부재(1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경우, 걸쇠 부재(134)는 제2 연장 부재(132)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걸쇠 부재(134)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고정 부재(133)에 체결되거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제1 승강 부재(120)에 형성된 제1 연장 부재(131)와 제2 승강 부재(130)에 형성된 제2 연장 부재(132)가 서로 밀착되면, 작업자가 걸쇠 부재(134)를 고정 부재(133)에 체결하여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의 연결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도 2로 되돌아가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는 이격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격 유닛(140)은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한다.
이를 위한 이격 유닛(140)은 일례로 지지 부재(141)와, 탄성 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141)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 승강 부재(120)의 하측 및 제2 승강 부재(130)의 상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 부재(141)의 형상은 일례로 프레임 형상의 구조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지지 부재(141)에서 후술할 탄성 부재(142)와 접촉되는 부분은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탄성 부재(142)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유리할 수 있다.
탄성 부재(142)는 탄성 변형 되도록 형성된다. 탄성 부재(142)는 제1 승강 부재(120)의 하측 및 제2 승강 부재(130)의 상측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지지 부재(141)를 탄성 지지한다.
이를 위한 탄성 부재(142)는 일례로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142)가 제1 승강 부재(120)에 형성된 경우, 탄성 부재(142)의 상단이 제1 승강 부재(120)의 하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이격 유닛(140)은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함으로써, 건축물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층들에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각각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격 유닛(140)은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의 연결 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에서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의 연결 방법을 설명한다.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를 서로 밀착시키고 작업자가 걸쇠 부재(134)와 고정 부재(133)를 연결시킨다. 이격 유닛(140)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면서 걸쇠 부재가 고정부재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로써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의 연결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는 구동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닛(150)은 제1 승강 부재(120)에 설치되어 제1 승강 부재(120) 및 제2 승강 부재(130)가 가이드 부재(110)를 따라 승강할 수 있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한 구동 유닛(150)은 일례로 모터(미도시)와 피니언 기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회전 모터일 수 있다. 피니언 기어는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와 피니언 기어는 서로 감속기에 의해 연결된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유닛(150)은 제1 승강 부재(120)의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미도시)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레이크는 일반적인 승강 장치에 포함된 브레이크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랙 기어가 가이드 부재(11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가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랙 기어와 맞물리면서 제1 승강 부재(120)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다만, 구동 유닛(150)이 반드시 모터와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고, 랙 기어가 가이드 부재(110)에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구동 유닛(150)은 제1 승강 부재(120)가 승강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할 수 있다.
전술한 구동 유닛(150)은 하나 또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구동 유닛(150)이 제1 승강 부재(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두 개의 구동 유닛(150)이 제1 승강 부재(120)에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된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만, 구동 유닛(15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 모두를 승강시킬 수 있을 정도의 개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조작 버튼은 제1 승강 부재(120)에만 설치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1 승강 부재(120)에 탑승한 작업자가 조작 버튼 중에서 7층을 입력하면, 제1 승강 부재(120)는 7층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2 승강 부재(130)는 6층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승강 부재(120) 및 제2 승강 부재(130)에 탑승중인 작업자들 각각은 건축 자재를 각각의 층으로 운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100)는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동시에 이동됨으로써, 1회 운송량이 종래의 승강 장치와 비교하여 2배 정도 증가될 수 있다. 특히, 건축 자재의 이송이 집중되는 경우,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가 동시에 이동되면서 한번에 많은 인원의 작업자들을 각각의 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100)가 한번에 다량의 건축 자재를 이동하여 더욱 빠르게 공사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을 단축시켜서 공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나 건축 자재의 이송이 여유로운 경우에는, 제1 승강 부재(120)로부터 제2 승강 부재(130)를 신속하게 분리하여 제1 승강 부재(120) 하나만 운행함으로써, 승강 장치(100)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1 승강 부재(120)와 제2 승강 부재(13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승강 장치 110: 가이드 부재
120: 제1 승강 부재 130: 제2 승강 부재
130: 연결 유닛 131: 제1 연장 부재
132: 제2 연장 부재 133: 고정 부재
134: 걸쇠 부재 140: 이격 유닛
141: 지지 부재 142: 탄성 부재
150: 구동 유닛

Claims (5)

  1. 건축물로부터 이격되어 지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결합된 제1 승강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함께 승강되는 제2 승강 부재; 및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2 승강 부재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 제1 연장 부재;
    상기 제2 승강 부재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1 승강 부재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 부재와 대응되는 제2 연장 부재;
    상기 제1 연장 부재 또는 상기 제2 연장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의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둥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고정 부재; 및
    상기 제1 연장 부재 또는 상기 제2 연장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기둥을 감싸며 걸리도록 체결할 수 있는 갈고리 형태의 걸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상기 제2 승강 부재가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하는 이격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격 유닛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하측 및 상기 제2 승강 부재의 상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지지 부재; 및
    탄성 변형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의 하측 및 상기 제2 승강 부재의 상측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승강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 및 상기 제2 승강 부재가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승강할 수 있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건설용 승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76728A 2016-06-20 2016-06-20 승강 장치 KR101910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728A KR101910993B1 (ko) 2016-06-20 2016-06-20 승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728A KR101910993B1 (ko) 2016-06-20 2016-06-20 승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736A KR20170142736A (ko) 2017-12-28
KR101910993B1 true KR101910993B1 (ko) 2018-10-23

Family

ID=6093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728A KR101910993B1 (ko) 2016-06-20 2016-06-20 승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9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163A1 (ko) * 2017-11-21 2019-05-31 주식회사 리프텍 승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578A (ja) * 1999-04-30 2000-11-14 Sanoyas Hishino Meisho Corp 工事用エレベー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4891B2 (ja) * 1992-11-27 1999-12-27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多層エレベータ装置
JP4158306B2 (ja) * 2000-02-15 2008-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7055799A (ja) * 2005-08-26 2007-03-08 Toshiba Elevator Co Ltd 階間調整機能付き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KR100898916B1 (ko) * 2007-04-02 2009-05-26 최성식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578A (ja) * 1999-04-30 2000-11-14 Sanoyas Hishino Meisho Corp 工事用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736A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057B1 (ko) 물품 반송 설비
JP6223602B2 (ja) エレベータかご用部品の組立体、かご製造方法、及びエレベータのかご
KR101910993B1 (ko) 승강 장치
JP6270692B2 (ja) 揚重装置および揚重方法
KR101441332B1 (ko) 크린룸 악세스 플로어 프레임 설치용 자재 공급방법 및 장치
KR101910994B1 (ko) 승강 장치
JP4520454B2 (ja) 建築部材用貨物昇降機
JP3860813B2 (ja) 地上免震建築構造物の工事用エレベータ設置構造
JP6677153B2 (ja) 搬送台車
JP2015009960A (ja) 段ばらし装置
KR101467108B1 (ko) 다기능 곤돌라
KR20080040838A (ko) 아파트용 유로폼 인양기
KR102242485B1 (ko) 스트랜드 잭을 포함한 모듈 양중 시스템을 이용한 고하중 모듈의 지하층 반입 방법
JP6391135B2 (ja) 仮設柱の設置方法
US20200391978A1 (en) Elevator
JP5444049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015218549A (ja) パネル施工装置およびパネルガイド
JP7330620B2 (ja) 運搬装置
JPH07101510A (ja) 垂直搬送装置
JP2019156558A (ja) 搬器ユニット、及び、エレベータ
JP7483313B2 (ja) 資材運搬システム
KR200378514Y1 (ko) 건축공사용 승강기
CN110198906B (zh) 电梯用长条物运输辅具、电梯的导轨拆除方法及电梯的导轨设置方法
KR200373696Y1 (ko) 크린룸 바닥 구조물 설치용 자재 운반장치
JP2000143186A (ja) 昇降作業ステージ及び壁パネル艤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