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976B1 - 철근이동용 지그대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철근이동용 지그대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976B1
KR101907976B1 KR1020160145062A KR20160145062A KR101907976B1 KR 101907976 B1 KR101907976 B1 KR 101907976B1 KR 1020160145062 A KR1020160145062 A KR 1020160145062A KR 20160145062 A KR20160145062 A KR 20160145062A KR 101907976 B1 KR101907976 B1 KR 101907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reinforcing bar
reinforcing
support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8022A (ko
Inventor
이호석
조상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명실업
이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명실업, 이호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명실업
Priority to KR1020160145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9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48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이격되도록 세팅된 철근을 이동시켜 거푸집 내측에 설치하고,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함에 있어서, 개별철근을 세팅하기도 용이하고, 철근 또는 철근망 이동 시 처짐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철근조립 및 설치 품질관리에 용이한 철근이동용 지그대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철근이동용 지그대는 상면에 형성된 연결봉안착홈;과 상기 연결봉안착홈에 형성된 삽입홀;을 포함하는 블럭 형태의 연결봉받침대; 상기 연결봉안착홈에 연결봉받침대를 가로질러 안착되는 중간연결봉;과 상기 중간연결봉 양 단부로부터 단차면이 형성되면서 연장 형성된 단부연결봉; 및 상기 단부연결봉에 삽입 고정되어 철근이 매달려지도록 세팅된 중공관인 지지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철근이동용 지그대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설치방법{JIG BRACKET FOR REINFORCING BAR LIFTING AND MOVING AND REINFORCING BAR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본 발명은 철근이동용 지그대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격되도록 세팅된 철근을 이동시켜 거푸집 내측에 설치하고,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함에 있어서, 개별철근을 세팅하기도 용이하고, 철근(철근망) 이동 시 처짐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철근조립 및 설치 품질관리에 용이한 철근이동용 지그대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철근콘크리트 부재용 철근망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철근망은 대표적으로 스트럽철근(21)들을 도시되어 있는데, 철근콘크리트 부재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되 스트럽철근(21)들이 다수 이격되어 배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스트럽철근(21)들은 서로 결속되도록 세팅되기 때문에 주철근(22)들도 도 1b와 같이 함께 배근하여 결속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다수의 스트럽철근(21)과 주철근(22)이 철근콘크리트 부재 형상에 따라 다양한 조립형태를 가지게 되고, 통상 이러한 조립된 스트럽철근(21)과 주철근(22)들을 철근망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이에 철근망은 미리 제작장에서 조립 제작한 후, 거푸집 내부에 위치하도록 인양하여 이동시키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이는 철근망 조립 제작 공정과 거푸집 조립 설치하는 공정을 분리함으로서 효율적이고 신속한 철근콘크리트 부재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철근망 인양 후 이동은 통상 제작장에 설치된 크레인 등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철근망의 무게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단거리를 이동하더라도 스트럽철근(21)과 주철근(22)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처짐이 탄성영역에서 복원되면 큰 문제는 없지만 처짐에 의한 변형이 복원되지 않게 되면 스트럽철근(21)과 주철근(22)에 의한 위치 및 형태가 변형되면서 철근들의 간격이 변경되고 철근콘크리트 부재 제작 시 확보해야 하는 피복두께를 일정하게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에 철근콘크리트 부재 제작 품질관리는 어렵게 된다.
이에 도 1b와 같이, 철근망을 제작하거나 적치할 때, 철근망 고정대(10)를 제작장의 바닥에 설치하고, 철근망을 제작 및 적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고정대(10)는 철근망 인양하여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은 아니라 할 수 있다.
도 1c는 종래 철근콘크리트 부재등에 사용되는 원형철근망에 있어 주철근(60)과 원형철근(62)들에 있어 서로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조립하기 위한 원형철근망 조립대(2)를 도시한 것이다.
예컨대, 양 측방에는 고정틀(4,6,10,22)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원형지그대(46)가 각각 고정틀에 장착되어 있으며,
원형지그대(46) 사이에 주철근(60)과 원형철근(62)이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원형지그대(46)가 설치되는 주철근(60)과 원형철근(62)의 위치변동 및 안정적인 조립이 가능하도록 원형지그대(46) 내측에는 십자형으로 강관(30)과 지지봉(36)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강관(30)에 지지봉(36)이 신장 및 축소하면서 원형지그대(46)의 변형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주철근(60)과 원형철근(62)의 조립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원형 철근망 조립대(2)는 원형지그대(46)가 고정틀(4,6,10,22)에 설치되도록 하기 때문에 연장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달리 사용이 어려워 주철근(60)과 원형철근(62)의 인양 후 이동 시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게 된다.
결국, 종래 원통형 철근망을 제작한 후, 운반하는 과정에서 원형유지를 위한 십자형 등의 내측지지대는 다수 소개되어 있으나, 특히 철근 또는 철근망이 매달려 설치되도록 하면서, 인양 자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이동용 지그대는 달리 소개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80666(발명의 명칭: 중공형 콘크리트 거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교량시공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76852(발명의 명칭: 선조립된 철근망과 양성보조부재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 시공방법)
이에 본 발명은 스트럽철근을 포함하는 철근(철근망)을 조립, 인양 및 이동시킴에 있어서 철근 세팅도 용이하고, 인양 후 이동 시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철근망을 구성하는 철근의 간격이 변경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철근콘크리트 부재 제작 시 확보해야 하는 피복두께를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어 철근콘크리트 부재 제작에 있어 철근조립 및 설치 품질관리에 용이한 철근이동용 지그대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설치방법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이동용 지그대는
상면에 형성된 연결봉안착홈;과 상기 연결봉안착홈에 형성된 삽입홀;을 포함하는 블럭 형태의 연결봉받침대; 상기 연결봉안착홈에 연결봉받침대를 가로질러 안착되는 중간연결봉;과 상기 중간연결봉 양 단부로부터 단차면이 형성되면서 연장 형성된 단부연결봉을 포함하는 연결봉; 및 상기 단부연결봉에 삽입 고정되어 철근(철근망)이 매달려지도록 세팅된 중공관인 지지관;을 포함하며, 철근이 지지관에 세팅되고 상기 지지관이 연결된 연결봉이 상기 연결봉받침대에 안착된 상태에서 연결봉받침대에 형성된 인양고리를 이용하여 인양함으로서, 인양하중점이 연결봉받침대의 형성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철근의 자중이 지지관 전체 연장길이에 걸쳐 분산 되어 있어, 인양력이 상방으로 작용하더라도 지지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철근의 세팅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면서 인양 후 이동 시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봉 안착홈에 안착되는 중간연결봉을 포함하는 단부연결봉은 이탈방지핀에 의하여 연결봉받침대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이탈방지핀은 연결봉의 중간연결봉의 중간에 형성된 수직홀 및 연결봉받침대의 연결봉안착홈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연결봉받침대 상방으로 노출되어, 이탈방지핀의 전단력에 의하여 지지관이 연결된 연결봉이 연결봉받침대에 고정 세팅되며, 상기 이탈방지핀은 두부에 일정 깊이로 수직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수직홈에 수직고정핀이 삽입되도록 하고 수직고정핀은 이탈방지핀의 상단부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수평고정핀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이탈방지핀의 설치에 그립감을 가지고 설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이동용 지그대를 이용한 철근 설치방법은
(a) 중공관인 지지관에 철근이 매달려지도록 세팅하되, 중간연결봉 양 단부로부터 단차면이 형성되면서 연장 형성된 단부연결봉을 포함하는 연결봉을 이용하여 지지관이 상기 단부연결봉에 삽입되도록 하여 지지관의 연장길이를 철근 연장길이에 맞추는 단계;
(b) 상면에 형성된 연결봉안착홈;과 상기 연결봉안착홈에 형성된 삽입홀;을 포함하는 블럭 형태의 연결봉받침대에 있어 상기 연결봉안착홈에 상기 연결봉이 안착되도록 하여, 연결봉을 연결봉받침대에 고정세팅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중간연결봉의 중간에 형성된 수직홀 및 연결봉받침대의 연결봉안착홈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연결봉받침대 상방으로 노출되어, 이탈방지핀의 전단력에 의하여 지지관이 연결된 연결봉이 연결봉받침대에 고정 세팅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이동용 지그대는 간단하게 조립 세팅한 상태에서 개별철근 또는 철근망을 매달아 설치하되 철근 세팅이 간단하며, 철근 인양 후 이동 시 처짐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철근의 처짐에 따른 철근 간격변경, 피복두께 확보를 위한 품질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철근이동용 지그대는 길이조정 및 조립이 용이하고, 이동 시 철근 또는 철근망의 이탈방지가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로서 철근이동용 지그대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부재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철근망의 예시도,
도 1c는 종래 철근망 제작대의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이동용 지그대의 구성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이동용 지그대와 철근의 결합사시도,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이동용 지그대를 이용한 철근 설치방법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철근이동용 지그대(100) ]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이동용 지그대(100)의 구성사시도 및 연결봉(120), 연결봉받침대(130) 및 이탈방지핀(140)의 결합사시도이다.
상기 철근이동용 지그대(100)는 도 2a와 같이, 지지관(110), 연결봉(120), 연결봉받침대(130) 및 이탈방지핀(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관(110)은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중공관으로서 원형 강관을 이용하게 되며 한 쌍의 원형 강관을 서로 이격시켜 세팅시켜 놓게 된다.
이때 상기 원형 강관은 통상 작업을 위한 연장길이가 정해지기 때문에 최종 필요한 길이 확보를 위하여 원형 강관은 서로 수평으로 연결시켜줄 필요가 있다. 이에 지지관(110)을 서로 수평으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것이 연결봉(120)이다.
상기 연결봉(12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강봉을 이용하게 된다. 강봉은 원형 강관과는 달리 중실단면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진 중간연결봉(121)과 중간연결봉 양 단부에 단부연결봉(122)이 중간연결봉 보다 작은 직경으로 양 지지관(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중간연결봉(121)과 양 단부연결봉(122)의 연결부위는 단차면(B)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단차면에 양 지지관(110)의 단부면이 삽입되어 접하도록 하고, 상기 양 지지관(110)과 연결봉(120)은 서로 용접에 의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연결봉(120)은 중실단면의 봉 부재이므로 양 단부에 지지관(110)이 삽입 연결되어 캔틸레버 구조로 형성된다 할지라도 연결부위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중간연결봉(121)의 개략 중간에는 수직홀(123)이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이탈방지핀(1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연결봉(120)의 형성개수에 의하여 다수의 지지관(110)을 연결시켜 필요한 길이만큼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봉받침대(13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직육면체 강재블록을 이용하게 되며, 상면에는 연결봉안착홈(131)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봉(120)이 연결봉안착홈(131)에 삽입 지지되도록 하게 된다.
결국 연결봉(120)은 연결봉안착홈(131)에 연결봉받침대를 가로질러 안착되는 중간연결봉(121)과 상기 중간연결봉 양 단부로부터 단차면이 형성되면서 연장 형성된 단부연결봉(220)을 포함하도록 하여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결봉안착홈(131)은 연결봉받침대(130) 각각에 1개씩 서로 이격되어 있어 연결봉(120)이 각각 안착되도록 하게 되고, 인양고리(132)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철근(200, 철근망 포함)이 지지관(110)에 세팅된 상태에서 인양고리(132)를 통해 철근(200) 인양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봉안착홈(131)에는 삽입홀(1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삽입홀(133)에 이탈방지핀(140)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봉받침대(130)는 철근(200)이 지지관(110)에 세팅되고 상기 지지관(110)이 연결된 연결봉(120)이 안착된 상태에서 인양고리(132)를 이용하여 인양함으로서 인양하중점이 연결봉(120)이 안착된 연결봉받침대(130)의 형성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철근(200) 인양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핀(14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연결봉(120)의 중간연결봉(121)의 중간에 형성된 수직홀(123) 및 연결봉받침대(130)의 연결봉안착홈(131)에 형성된 삽입홀(133)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연결봉받침대(130)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데, 이에 이탈방지핀(140)의 전단력에 의하여 지지관(110)이 연결된 연결봉(120)이 연결봉받침대(130)에 고정 세팅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철근(200) 인양 후 이동 시에도 안정적인 철근(200)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연결봉받침대(130)와 지지관(110)이 서로 분리 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탈방지핀(140)은 두부에 일정 깊이로 수직홈(141)이 형성되도록 하고, 수직홈(141)에 수직고정핀(142)이 삽입되도록 하고 수직고정핀(142)은 이탈방지핀(140)의 상단부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수평고정핀(143)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이탈방지핀(140)의 설치에 그립감을 가지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 철근이동용 지그대(100)와 철근(200) ]
도 3은 철근이동용 지그대(100)와 철근(200)의 결합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철근(200)은 철근이동용 지그대(100)에 상단이 매달려 설치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으로서 스트럽철근(210) 및 주철근(220)을 포함한다.
이에 도 3과 같이 스트럽철근(210)은 U형 철근으로 다수가 서로 이격되도록 세팅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스트럽철근(210)은 철근 길이방향으로 주철근(220)이 관통하는 형태로 배근된다.
이에 상기 스트럽철근(210)의 상단은 절곡되어 있어 철근이동용 지그대(100)의 지지관(110)에 매달려 설치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철근이동용 지그대(100)의 양 지지관(110)은 앞서 살펴본 다수개의 연결봉(12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120)은 연결봉받침대(130)에 안착되어 있고, 상기 연결봉받침대(130)와 연결봉(120)은 이탈방지핀(140)에 의하여 고정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봉받침대(130)는 2개가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사이사이에 지지관(110)이 연결봉(120)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관(110)들에는 철근(200)이 매달려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봉받침대(130)의 인양고리(132)에 와이어등을 걸고, 미도시된 크레인등을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잡으면서 철근(200)을 인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철근(200)은 스트럽철근(210)이 지지관(110)에 각각 하중 지지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철근의 자중이 지지관(110) 전체 연장길이에 걸쳐 분산 되어 있고, .
상기 연결봉받침대(130)는 인양하중점으로 인양력이 상방으로 작용하더라도 상기 분산된 철근 자중을 연결봉(120)에 의하여 휘어짐등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철근(200)의 스트럽철근(210)의 세팅위치는 변경되지 않으며, 처짐이 발생하지 않아 최종 거푸집 내부에 세팅시킬 때 원하는 위치에 피복두께를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스트럽철근(210)은 개별 이동 시 작업자가 일일이 운반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지만 본 발명과 같이 지지관(110)에 미리 표시된 위치에 스트럽철근(210)을 세팅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과 시공성이 현저하게 증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럽철근(210)을 거푸집 내부에 설치후 주철근을 배근할 수 도 있지만 미리 스트럽철근(210)에 도 1b와 같이 다수이 주철근등을 미리 매근하여 인양 후 이동시키는 경우 특히 처짐에 대한 우려가 없어 철근조립 및 설치 품질관리가 매우 용이(숙련기술자가 아니더라도 철근(200) 배근이 매우 용이함)하게 됨을 알 수 있다.
[ 철근이동용 지그대 설치방법 ]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철근이동용 지그대(100) 설치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4a와 같이 앞서 살펴본 철근(200)을 조립 제작해야 한다.
이러한 철근(200)은 예컨대 스트럽철근(210)과 주철근(220)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살펴본 바와 같다.
이에 제작장의 철근조립대에서는 상기 철근(200)이 필요한 개수만큼 만들어져야 하고, 제작장의 철근콘크리트 부재 제작장에는 형상대로 거푸집이 세팅되어 있다.
이때 비숙련자의 경우 스트럽철근(210)과 주철근(220)을 원하는 위치에 배근하여 서로 조립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스트럽철근(210)과 주철근(220)의 배근을 철근이동용 지그대(100)의 지지관(110)에 표시된대로 스트럽철근(210)과 주철근(220)을 배근하게 되면 배근오차를 쉽게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4b와 같이, 철근의 스트럽철근이 매달려지도록 지지관(110)이 세팅되면 원하는 길이만큼 연결봉(120)을 이용하여 지지관(110)의 연장길이를 철근 연장길이에 맞추게 된다.
이에 상기 연결봉(120)과 지지관(110)은 용접에 의하여 일체화되게 되며, 도 2와 같이 연결봉(120)을 연결봉받침대(130)의 연결봉안착홈(131)에 안착되도록 세팅하게 된다.
이때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수직고정핀(142)이 형성된 이탈방지핀(140)을 이용하여 연결봉(120)을 연결봉받침대(130)에 고정세팅 시키게 된다.
인양하중(P)은 상방으로 작용하고, 철근 자중은 하방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이탈방지핀(140)을 굳이 상, 하방향으로 고정 세팅 필요는 없으므로 이탈방지핀(140)의 구조를 복잡하게 형성시키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철근(200)은 스트럽철근과 지지관의 마찰력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 세팅되고, 자중은 분산되어 처짐방지용 지그대(100)에 의한 인양하중에 의하여 인양되어 수평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철근(200)은 개별적으로 이동되지 않고, 이격되어 세팅된 상태 그대로 이동 가능하게 되므로 철근 세팅이 매우 용이하게 되며, 주철근을 함께 배근하여 철근망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특히 이동 시 자중에 의한 처짐 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4c와 같이 거푸집(300) 내부에 상기 처짐방지용 지그대(100)에 고정 세팅된 철근(200)을 계획된 위치에 세팅하고, 이탈방지핀(140)을 연결봉받침대(130)로부터 해체하게 된다.
이에 연결봉받침대(130)를 분리하고, 연결봉(120)과 지지관(110)을 수평으로 거푸집으로부터 빼내게 되며 최종 거푸집 내부에 철근(200)이 세팅된다.
이에 도 4d와 같이, 상기 거푸집(30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탈형시켜 철근콘크리트 부재(A)를 제작하게 된다.
통상 철근의 연장길이는 정해지게 마련이므로 분리된 연결봉(120)과 지지관(110), 연결봉받침대(130) 및 이탈방지핀(140)은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관(110)의 외주면에는 미리 철근의 스트럽철근이 위치되어야 위치에 표식을 하여둠으로써 철근(200)의 최종 조립상태를 미리 확인 가능하여 미숙련 작업자라도 용이하게 철근 조립 및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철근이동용 지그대
110: 지지관 120: 연결봉
121: 중간연결봉 122: 단부연결봉
123: 수직홀 130: 연결봉받침대
131: 연결봉안착홈 132: 인양고리
133: 삽입홀 140: 이탈방지핀
141: 수직홈 142: 수직고정핀
143: 수평고정핀 200: 철근
210: 스트럽철근 B: 단차면

Claims (7)

  1. 상면에 형성된 연결봉안착홈(131);과 상기 연결봉안착홈에 형성된 삽입홀(133);을 포함하는 블럭 형태의 연결봉받침대(130); 상기 연결봉안착홈(131)에 연결봉받침대(130)를 가로질러 안착되는 중간연결봉(121);과 상기 중간연결봉(121) 양 단부로부터 단차면이 형성되면서 연장 형성된 단부연결봉(122)을 포함하는 연결봉(120); 및 상기 연결봉의 단부연결봉(122)에 삽입 고정되어 철근(200)이 매달려지도록 세팅된 중공관인 지지관(110);을 포함하며,
    철근(200)이 지지관(110)에 세팅되고 상기 지지관(110)이 연결된 연결봉(120)이 연결봉받침대(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연결봉받침대(130)에 형성된 인양고리(132)를 이용하여 인양함으로서, 인양하중점이 연결봉받침대(130)의 형성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철근(200)의 자중이 지지관(110) 전체 연장길이에 걸쳐 분산 되어 있어, 인양력이 상방으로 작용하더라도 지지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철근(200)의 세팅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면서 인양 후 이동 시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봉 안착홈(131)에 안착되는 중간연결봉(121)을 포함하는 단부연결봉(122)은 이탈방지핀(140)에 의하여 연결봉받침대(130)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이탈방지핀(140)은 연결봉(120)의 중간연결봉(121)의 중간에 형성된 수직홀(123) 및 연결봉받침대(130)의 연결봉안착홈(131)에 형성된 삽입홀(133)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연결봉받침대(130) 상방으로 노출되어, 이탈방지핀(140)의 전단력에 의하여 지지관(110)이 연결된 연결봉(120)이 연결봉받침대(130)에 고정 세팅되며,
    상기 이탈방지핀(140)은 두부에 일정 깊이로 수직홈(141)이 형성되도록 하고, 수직홈(141)에 수직고정핀(142)이 삽입되도록 하고 수직고정핀(142)은 이탈방지핀(140)의 상단부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수평고정핀(143)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이탈방지핀(140)의 설치에 그립감을 가지고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이동용 지그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200)은 스트럽철근(210)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럽철근(210)은 U형 철근으로 다수가 서로 이격되도록 지지관에 세팅되도록 하되 스트럽철근(210)의 상단은 절곡되어 있어 철근이동용 지그대(100)의 지지관(110)에 매달려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트럽철근(210)을 서로 결속하는 주철근이 더 배근되어 철근망으로 형성되어 인양 후 이동되도록 하는 철근이동용 지그대.
  5. (a) 중공관인 지지관(110)에 철근(200)이 매달려지도록 세팅하되, 중간연결봉(121) 양 단부로부터 단차면이 형성되면서 연장 형성된 단부연결봉(122)을 포함하는 연결봉(120)을 이용하여 지지관(110)이 상기 단부연결봉에 삽입되도록 하여 지지관(110)의 연장길이를 철근 연장길이에 맞추는 단계;
    (b) 상면에 형성된 연결봉안착홈(131);과 상기 연결봉안착홈에 형성된 삽입홀(133);을 포함하는 블럭 형태의 연결봉받침대(130)에 있어 상기 연결봉안착홈에 상기 연결봉(120)이 안착되도록 하여, 연결봉을 연결봉받침대(130)에 고정세팅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중간연결봉(121)의 중간에 형성된 수직홀(123) 및 연결봉받침대(130)의 연결봉안착홈(131)에 형성된 삽입홀(133)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연결봉받침대(130) 상방으로 노출되어, 이탈방지핀(140)의 전단력에 의하여 지지관(110)이 연결된 연결봉(120)이 연결봉받침대(130)에 고정 세팅되도록 하는 철근이동용 지그대를 이용한 철근 설치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a),(b) 단계에 의해 철근이동용 지그대(100)에 세팅된 철근(200)은
    (c-1) 철근(200)이 지지관(110)에 세팅되고 상기 지지관(110)이 연결된 연결봉(120)이 상기 연결봉받침대(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연결봉받침대(130)에 형성된 인양고리(132)를 이용하여 인양하는 단계; 및
    (c-2) 철근이동용 지그대(100)에 의하여 인양된 철근(200)을 거푸집 내부에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철근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하는 철근이동용 지그대를 이용한 철근 설치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는
    이탈방지핀(140)을 연결봉받침대(130)로부터 해체하고, 연결봉받침대(130)를 분리하고, 연결봉(120)과 지지관(110)을 수평으로 거푸집으로부터 빼내게 되며 최종 거푸집 내부에 철근이 세팅되도록 하며,
    (c-2) 단계 이후,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탈형시켜 철근콘크리트 부재(A)를 제작하는 철근이동용 지그대를 이용한 철근 설치방법.
KR1020160145062A 2016-11-02 2016-11-02 철근이동용 지그대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설치방법 KR101907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062A KR101907976B1 (ko) 2016-11-02 2016-11-02 철근이동용 지그대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062A KR101907976B1 (ko) 2016-11-02 2016-11-02 철근이동용 지그대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022A KR20180048022A (ko) 2018-05-10
KR101907976B1 true KR101907976B1 (ko) 2018-10-16

Family

ID=6218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062A KR101907976B1 (ko) 2016-11-02 2016-11-02 철근이동용 지그대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9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9710A (zh) * 2021-04-21 2021-07-09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筏板钢筋混凝土结构施工辅助工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5711A (ja) * 2008-03-26 2009-10-15 Japan Steels Group Kk 組立ユニットおよび鉄筋組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7060B2 (ja) * 1994-07-06 1999-12-06 株式会社熊谷組 梁鉄筋組立用上端筋支え治具
JPH10231584A (ja) * 1997-02-18 1998-09-02 Ando Corp 梁鉄筋支持治具及び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配筋方法
KR20090080666A (ko) 2008-01-22 2009-07-27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중공형 콘크리트 거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교량시공방법
KR101576852B1 (ko) 2014-03-18 2015-1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잭업리그 예인라인 설치방법 및 예인라인 설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5711A (ja) * 2008-03-26 2009-10-15 Japan Steels Group Kk 組立ユニットおよび鉄筋組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022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545B1 (ko) 더블 월 피씨를 이용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56635B1 (ko) 하로식 폼 트래블러와 선조립된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946601B1 (ko) 부재 연결부를 개선한 더블 pc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810203B1 (ko) 강재거더 상부플랜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가 결합된 강합성 거더의 제작방법
JP6752160B2 (ja) 移動作業車
JP2010037725A (ja) Pc橋における柱頭部施工方法
KR101907976B1 (ko) 철근이동용 지그대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설치방법
KR102072685B1 (ko) 접속부재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6431708B2 (ja) 二重鉄筋籠構造、およびその製作方法
JP6362141B2 (ja) 鉄筋籠用の補強枠、フープ筋、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鉄筋籠
KR101959333B1 (ko) 현장에서 철근조립체 세그먼트를 연결하여 철근조립체를 형성하는 psc 빔 제작방법
KR101250482B1 (ko)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JP2014190116A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構築方法
JP2926149B2 (ja) 柱と梁の接合工法及びその構造
KR102004316B1 (ko) 슬래브 보강공법
KR20190106435A (ko) 철근 구조물 고정장치
JP5003253B2 (ja) Rc大梁の施工方法
KR101948026B1 (ko) 현장에서 철근조립체 세그먼트를 연결하여 철근조립체를 형성하는 psc 빔 제작방법
JP2015212495A (ja) 足場装置、及び、その足場装置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躯体の施工方法
KR101665626B1 (ko)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의 시공방법
JP2015045131A (ja) 地中梁配筋用上下分離式架台を用いる地中梁配筋方法及びその架台
JP2000240207A (ja) 中空スラブのボイド部材設置方法
JP2018168599A (ja) 型枠の設置方法及び型枠用吊り具
KR102035996B1 (ko)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 거푸집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도 처짐을 방지하는 결속지지구
KR100776671B1 (ko) 강재 거더의 구속콘크리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