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874B1 -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 - Google Patents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874B1
KR101899874B1 KR1020157024315A KR20157024315A KR101899874B1 KR 101899874 B1 KR101899874 B1 KR 101899874B1 KR 1020157024315 A KR1020157024315 A KR 1020157024315A KR 20157024315 A KR20157024315 A KR 20157024315A KR 101899874 B1 KR101899874 B1 KR 101899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pherical
friction
support surface
fric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4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973A (ko
Inventor
페이팡 우
Original Assignee
베이징 티아니샹지아 뉴 머티어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티아니샹지아 뉴 머티어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티아니샹지아 뉴 머티어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18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5/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es with substantially 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2069/0425Attachment methods or devices
    • F16D2069/0433Connecting elements not integral with the braking member, e.g. bolts,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2069/0425Attachment methods or devices
    • F16D2069/0441Mechanical interlocking, e.g. roughened lining carrier, mating profiles on friction material and lining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차용 제동 브레이크 패드는 배판, 마찰블록, 클램프스프링 및 상기 마찰블록과 상기 배판 사이에 설치된 탄력성지지편을 포함한다. 탄력성지지편은 구형지지면과 구형지지면의 외측에 설치한 지지포울을 포함한다. 구형지지면과 마찰블록의 구형지지부가 접합하고, 구형지지면의 밑바닥부분 중심에는 마찰블록의 정위치부가 통과할 가이드홀이 성형되어 있다. 지지포울은 구형지지면의 변두리 구형지지면의 밑바닥부분으로 상기 가이드홀에서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경도되고 연장되며, 지지포울의 연결연과 구형지지면의 변두리를 평활과도단에 의해 연결하며 상기 지지포울과 상기 연결연에 대응하는 지지연은 상기 구형지지면의 밑바닥부분을 초과하여 연장된다. 본 발명의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는 제동 브레이크의 탄력성지지부품의 부분지지포울이 밖으로 뻗지 못하고 안으로 접혀 굽어지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응력을 받아 탄력성지지편이 받침멈춤쇠 방향으로 바깥으로 뻗을 때 상응한 부분의 지지 효과를 잃는 것을 피하였다.

Description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Floating type brake pad for train}
본 발명은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에 관한 것이고, 열차제동 기술영역에 속한다.
현재, 고속열차 제동기 중에, 보통 원판식 제동구조를 채용한다. 원판식 제동구조는 주요하게 브레이크 디스크(brake disc)와 제동 브레이크 패드(brake pad)를 포함하고, 상술한 제동구조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제동 브레이크 패드의 상호 마찰을 통하여, 운동차량 또는 설비의 운동에너지를 소모하여, 열차의 운행을 정지시킨다. 하지만, 제동 브레이크 패드는 보편적으로 리벳으로 고정하여 연결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그래서 제동 시 제동 브레이크 패드에 있는 마찰블록과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에 완전히 접합하지 못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여, 작용력이 마찰블록과 브레이크 디스크에 균일하게 작용하지 못하게 되면서, 제동 브레이크 패드의 높은 응력 작용점에 균열, 블록이 떨어지거나, 결손이 발생하여, 극부고온구가 생기므로, 제동 브레이크 패드의 사용수명을 줄여 제동효과에 영향을 준다.
상술한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국특허 CN102384195A는 조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 제동 브레이크 패드는 받침판 위에 대칭으로 배열 분포된 제동블록조립이 있고, 제동블록조립은 제동블록과 베이스판이 일체로 소결된 마찰블록, 철면받침, 요면받침, 연결레버와 핀을 포함하고, 철면받침은 마찰블록의 베이스판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철면받침의 철면구면 위에는 철면구면 형태와 맞물려 회전하는 요면구면형의 요면받침을 설치한다. 상술한 조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는 철면받침을 마찰블록의 베이스판에 고정 연결하는 것을 통하여, 베이스판과 철면받침 사이에 이와 배합되는 요면받침을 설치하고, 마찰블록과 베이스판 사이에 부동식 구조를 형성하여, 받침판에 골고루 제동압력을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구조는 아래의 문제가 존재한다. 1. 철면받침은 탄력성을 갖지 않고, 마찰블록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에서의 자유로운 조절을 동시에 만족할 수 없으며, 마찰블록이 최적화의 작업면으로 자유로이 조절되기 어렵다. 2. 마찰블록과 철면받침 사이의 연결구조는 마찰블록과 철면받침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하여 마찰블록의 사용수명을 줄인다.
탄력성이 잦지 않은 구조가 마찰블록을 최적화 작업면으로 자유로 조절시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국특허문헌CN102401047은 구형지지면부분, 중심가이드홀 및 고정지지포울부분을 포함하는 탄력성지지편을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탄력성지지편을 마찰블록과 베이스판 사이에 장착하는 것을 통하여, 열차 제동 시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블록은 탄력성지지편 구형지지면 내에서 자유로이 조절될 뿐만 아니라, 지지편의 수평방향에서의 위치 조절 및 일정한 정도의 지지편과 수직방향에서의 위치 조절도 할 수있다. 그리고 고정지지포울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지지편으로 하여금 구조상의 탄력성을 갖게 하였고, 마찰블록으로 하여금 받침편 수직방향에서 위치 조절을 하여, 마찰블록과 브레이크 디스크의 유효한 마찰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 기술수단 중의 고정포울과 구형지지면 사이는 일정한 각도를 가진 직각을 통하여 과도되고, 마찰블록이 고속제동대가 주는 큰 압력을 받을 때, 상술한 과도면의 협각에 비교적 큰 절단응력이 발생되어 부분적인 포울이 바깥쪽으로 확장되지 목하고 안쪽으로 구부러져 상응한 부분의 지지 효력을 잃으며 심지어 이 부분적인 포울이 절단훼손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열차 제동 브레이크 패드의 탄력성지지부품의 부분 포울이 바깥쪽으로 확장되지 못하고 안쪽으로 구부러져 상응한 부분의 지지 효력을 잃게 되는 기술문제점을 해결하고 더 나아가 안정견실하게 마찰블록과 제동 디스크를 잘 접합시키는 제동 브레이크 패드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는: 두개의 배판이 접합되어 브레이크 패드 배판을 형성한 배판과; 배판에는 성형되어 있는 복수의 정위치홀과; 다수의 마찰블록-마찰블록은 상기 마찰부와 다수의 상기 정위치홀(11)을 삽입하는 정위치부 및 상기 정위치부 사이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는 구면 구조이고, 상기 지지부의 구면은 상기 정위치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및 상기 정위치부(32)에 고정연결되며 상기 마찰편이 일정한 부동량을 갖게 상기 배판에 연결되는 다수의 클램프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마찰블록과 상기 배판 사이의 탄력성지지편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탄력성지지편은: 상기 지지부와 접합하여 연결되는 구형지지면과; 상기 구형지지면의 밑바닥부분에 설치하고 상기 정위치부의 통과에 적합한 가이드홀과; 상기 구형지지면의 외측의 지지포울;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포울은 상기 구형지지면의 가장자리부터 상기 구형지지면의 밑바닥부분으로 상기 가이드홀에서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경도되고 연장되어, 상기 지지포울의 연결연과 상기 구형지지면의 변두리를 평활과도단에 의해 연결하며 상기 지지포울과 상기 인접연에 대응하는 지지연은 상기 구형지지면의 밑바닥부분을 초과하여 경도된다.
상기 배판의 상기 마찰블록과 멀리 떨어진 한쪽 측면에 용접연결 또는 리벳연결 된 더브테일판이 있다.
상기 마찰블록은 마찰체, 정위치부품 및 지지판이 일체로 소결형성되고, 상기 마찰체는 상기 마찰부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판의 중심 부분은 구면구조의 박판이며, 그중 외구면부분은 상기 지지부을 구성하고; 상기 정위치부품의 한단은 상기 정위치부를 성형하며, 상기 정위치부는 상기 지지판을 통과하여 상기 정위치홀 내에 삽입하고, 다른 한단은 상기 마찰체와 연결한다.
상기 배판에 상기 정위치홀과 동축인 복수개의 스폿페이싱이 성형되어 있고, 상기 스폿페이싱에 탄력성지지편을 배치하고, 상기 스폿페이싱의 직경은 상기 탄력성지지편의 외경보다 좀 크다.
두개의 지지다리 및 원형 크로징 링을 포함한 상기 클램프스프링은 스프링 강철을 구부려서 성형하고,상기 원형 크로징 링은 상기 정위치부의 정위치슬롯내에 고정연결되다.
상기 지지포울은 한 구간의 원추형연결면과 한 구간의 원주형의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면과 상기 지지면은 원호를 통해 과도한다.
상기 연결면의 테이퍼 각도는 90-150°이다.
상기 구형지지면은 변두리 구면부분과 밑바닥부분 구면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변두리 구면부분의 곡률반지름이 상기 밑바닥부분 구면부분의 곡률반지름보다는 작다. 상기 변두리 구면부분과 상기 마찰블록의 상기 지지부는 면으로 접촉하고, 상기 밑바닥부분 구면부분과 상기 마찰블록의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간격이 있다.
상기 구형지지면은 한 구간의 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형지지면과 상기 마찰블록의 상기 지지부는 면으로 접촉한다.
인접한 상기 지지포울 사이에 U형 오프닝을 통하여 과도하고, 상기 U형 오프닝의 오프닝밑부분과 상기 평활과도단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구비한다.
상기 구형지지면의 외측을 따라 대칭으로 네 개의 상기 지지포울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기술방안은 종래기술보다 이하의 장점을 갖고 있다.
(1) 본 발명의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는 상기 마찰블록과 상기 배판 사이에 탄력성지지편을 설치하고, 상기 탄력성지지편은 구형지지면과 지지포울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포울은 상기 구형지지면의 가장자리부터 상기 구형지지면의 밑바닥부분으로 상기 가이드홀에서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연장되고,상기 지지포울의 인접연과 상기 구형지지면의 변두리를 평활과도단에 의해 연결하며, 상기 지지포울과 상기 연결연에 대응하는 지지연은 상기 구형지지면의 밑바닥부분을 초과하여 연장되면서, 평활과도는 응력을 더욱 균일화하여, 국부적으로 접혀서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탄력성지지편의 지지포울이 바깥쪽으로 확장되지 목하고 안쪽으로 구부러져 부분의 지지 효력이 없어지는 문제를 피한다. 상기 지지포울의 상기 연결연과 대응되는 지지연은 상기 구형지지면의 밑바닥부분을 초과하여 연장되어 구형지지면의 밑바닥부분이 응력을 받지않은 상태에서 허공에 뜬 상태에 처하고 부동식 구조를 형성하여, 탄력성지지편이 응력을 받을때 더욱 큰 탄력량을 제공할수 있다.
(2) 본 발명의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블록은 마찰체, 정위치부품 및 지지판이 소결되어 일체로 성형되고. 이는 마찰체와 정위치부품 사이의 마찰로 마찰블록의 수명을 줄이는 문제를 피면한다.
(3) 본 발명의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의 배판 위에는 복수개의 스폿페이싱이 성형되어 있고, 상기 탄력성지지편을 놓는 스폿페이싱의 직경은 탄력성지지편의 외경보다 좀 더 크다. 이는 탄력성지지편의 포울이 응력을 받아 외측으로 뻗는데 충족한 공간을 주고, 동시에 포울이 바깥으로 과도하게 뻗어 탄력성지지편이 변형하여 외력을 없앤 후에도 회복할수 없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중에 탄력성지지편의 지지포울은 한 구간의 원추형연결면과 한 구간의 원주형의 지지면을 포함하고 연결면과 지지면은 원호를 통해 연결된다. 지지포울은 원호로 연결된 원추형연결면과 원주형지지면으로 구성되고, 균등하게 응력을 받을 수 있으며, 탄력성지지편이 극부적으로 접혀서 손상되는 현상을 피한다.
(5) 본 발명의 열차용 부동식 제동브레이크 패드 중에, 탄력성지지편의 인접한 지지포울은 U형 오프닝에 의해 이격되고, U형 오프닝의 밑부분과 상기 평활과도단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구비한다. U형 오프닝은 각개의 지지포울이 바깥방향으로 뻗을 때 서로 간섭하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오는 응력을 받을 때 좋은 완화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내용을 더 쉽고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패드의 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의 두 배판이 결합한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의 더브테일판을 배판에 설치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의 국부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열차용 부동식 재동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블록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의 배판의 국부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의 클램프스프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의 탄력성지지편의 입체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의 탄력성지지편의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의 탄력성지지편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분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1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이다.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는 아래의 구조를 포함한다. 다수의 정위치홀(11)이 성형되어 있는 배판(1), 두 개의 상기 배판(1)이 접합되어 브레이크 배판을 형성한다. 다수의 마찰블록(3)은 마찰부(31)와; 상기 정위치홀(11)을 삽입한 정위치부(32)와; 및 상기 마찰부(31)와 상기 정위치부(32) 사이에 설치한 지지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33)은 구면구조 이고, 상기 지지부(33)의 구면은 상기 정위치부(32) 방향으로 돌출된다. 다수의 클램프스프링(4)은 상기 정위치부(32)에 고정연결되며 상기 마찰블록(3)이 일정한 부동량을 갖게 상기 배판(1)에 연결된다.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는 상기 마찰블록(3)과 상기 배판(1) 사이에 설치된 탄력성지지편(2)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탄력성지지편(2)는 상기 지지부(33)와 접합연결되는 구형지지면(21)과; 상기 구형지지면(21)의 밑바닥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정위치부(32)가 통과에 적합한 가이드홀(211)과; 상기 구형지지면(21)의 외측에 지지포울(22);를포함한다. 상기 지지포울(22)은 상기 구형지지면(21)의 가장자리(212)부터 상기 구형지지면(21)의 밑바닥부분으로 상기 가이드홀(211)에서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경도된다. 상기 지지포울(22)의 연결연(221)과 상기 구형지지면(21)의 변두리를 평활과도단(23)에 의해 연결하며, 상기 지지포울(22)과 상기 연결연(221)에 대응하는 지지연(222)은 상기 구형지지면(21)의 밑바닥부분을 초과하여 연장된다.
제동장치 작동 시, 제동압력이 상기 배판(1)에 작용되고, 다수의 탄력지탱편(2)을 통하여 상기 마찰블록(3)에 전달되며, 다수의 마찰블록(3)이 제동 디스크에 온정하게 접합하여 제동을 실시한다. 상기 탄력성지지편(2)의 구형지지면(21)과 상기 마찰블록(3)의 지지부(33)이 접촉하여 브레이크 마찰블록이 세 방향으로 아주 작게 회전할 수 있게 하고, 마찰블록의 마찰작용면이 최대한도로 제동 디스크와 접촉하여 마찰블록의 편마모를 방지한다.
상기 배판(1)은 상기 마찰블록(3)과 멀리 떨어진 한쪽 측면에 더브테일판(5)이 고정되어 있다. 그 중, 상기 더브테일판(5)의 고정방식은 용접연결 또는 리벳연결을 포함하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 중 상기 더브테일판(5)에는 리벳홀을 배치하고, 리벳으로 더브테일판(5)을 배판(1)에 장착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함에 있어서, 상기 마찰블록(3)의 성형방식은 유일하지 않고 본 실시예가 제공한 일종의 바람직한 실시방식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블록(3)은 마찰체(3a), 정위치부품(3b), 및 지지판(3c)이 일체로 소결되어 형성되었다. 그 중 상기 마찰체(3a)는 상기 마찰부(31)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판(3c)의 중심 부분은 구면구조의 박판이다. 그 중 외구면부분은 상기 지지부(33)를 구성하고, 그 외형은 상기 마찰블록(3)의 외형과 일치하다. 상기 정위치부품(3b)의 한 단은 상기 정위치부(32)를 성형하고, 상기 정위치부(32)는 상기 지지판(3c)을 통과하여 상기 정위치홀(11) 내에 삽입된다. 다른 한 단은 마찰체(3a)와 연결되어 있다. 이런 실시방식은 마찰체와 정위치부품 사이에 마찰이 생겨 마찰블록의 수명을 줄이는 것을 피한다.
동시에, 상기 마찰블록(3)의 형태도 유일하지 않고, 인접한 마찰블록과의 상호 맞물림만 보증하면, 상기 마찰블록(3)이 상기 배판(1)의 장착평면 내의 수평방향에서 고정된다. 본 실시예 중,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중간부분에 위치한 마찰블록(3)의 마찰면은 두 개의 평행된 직변을 갖고 있고, 평행직변의 양단은 원호를 통하여 연결된다. 호형변과 상기 배판(1)의 호형부분은 기본적으로 어울리고, 직변부분은 상호 고정되어 상기 마찰블록(3)은 아주 작은 양으로 편이할 뿐 수평방향에서 회전 할 수는 없다. 상기 배판의 단부분에 있는 상기 마찰블록(3)은 한 개의 변이 호형인 오변형절단면 블록을 갖고있다. 그 중 호형변은 상기 배판(1)의 호형부분에 접근하고, 기타 직변과 인접한 상기 마찰블록(3)의 직변은 상호 고정되어 상기 마찰블록(3)을 아주 작게 이동시킬 뿐 수평방향에서 회전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함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스프링(4)의 성형방법도 유일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종의 구체적인 설계방식을 제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스프링(4)는 스프링 강철을 구부려서 성형하고, 이는 두개의 지지다리(41) 및 원형 크로징 링(42)을 포함하며 상기 원형크로징 링(42)은 상기 정위치부(32)의 정위치슬롯(320) 내에 걸려서 고정연결된다.
탄력성지지편의 포울이 응력을 받아 외측으로 뻗을 때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동시에 포울이 외측으로 과도하게 뻗어 탄력성지지편이 변형되어 효력을 잃어 외력을 없앤 후 회복될 수 없는 것을 방지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판(1)에 상기 정위치홀(11)과 동축인 복수개의 스폿페이싱(12)이 성형되어 있고, 상기 스폿페이싱(12)에 상기 탄력성지지편(2)을 배치하고, 상기 스폿페이싱(12)의 직경은 상기 탄력성지지편(2)의 외경보다 좀 더 크다.
상기 지지포울이 균일하게 응력을 받을 수 있고, 탄력성지지편이 국부적으로 접혀서 손상되는 현상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포울(22)은 이하의 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포울(22)은 한 구간의 원추형연결면(a)과 한 구간의 원주형 지지면(b)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면(a)과 상기 지지면(b)은 원호를 통해 과도한다. 그 중, 상기 연결면(a)의 테이퍼 각도는 유일하지 않으며, 90-150°사이의 임의 수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중, 바람직한 설계방식을 제공하고, 상기 연결면(a)의 테이퍼 각도는130°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함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울(22)의 수량도 유일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중에서 구체적인 설계방식을 제공한다. 상기 구형지지면(21)의 외측에 대칭되게 4개의 상기 지지포울(22)을 설치한다.
마찰블록의 수평방향에서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 중, 상기 구형지지면(21)은 변두리 구면부분(c)과 밑부분구면부분(d)으로 구성되고, 상기 변두리 구면부분(c)의 곡률반지름이 상기 밑바닥부분 구면부분(d)의 곡률반지름보다는 작으며. 상기 변두리 구면부분(c)과 상기 마찰블록(3)의 상기 지지부(33)은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밑바닥부분 구면부분(d)과 상기 마찰블록(3)의 상기 지지부(33) 사이에는 간격이 있다.
각 지지포울이 외측방향으로 연장할 때 서로 방해하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부터 오는 응력을 받을 때 좋은 완화작용을 하기 위하여, 인접한 상기 지지포울(22) 사이에 U형 오프닝(223)을 통하여 과도하고, 상기U형 오프닝(223)의 오프닝밑부분과 상기 평활과도단(23)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구비한다.
실시예2
본 실시예와 실시예1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비슷하고 구별점은 아래와 같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중, 상기 구형지지면(21)은 한 구간의 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형지지면(21)과 마찰블록(3)의 상기 지지부(33)는 면으로 접촉하며, 실시예1중의 변두리 구면부분(c)과 밑바닥부분 구면부분(d)로 구성된 상기 구형지지면(21)을 대체한다. 본 실시예 중, 상기 구형지지면(21)의 설치방식으로 탄력성지지편의 가공조작은 더 편리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분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례 및 수정례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례 및 수정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배판;11:정위치 홀; 12:스폿페이싱; 2:탄력성지지편; 21:구형지지면; 211:가이드홀; 212:가장자리; 22:지지포울; 221:인접연; 222:지지연;223:U형 오프닝; a:연결면; b:지지면; c:변두리 구면부분; d:밑바닥부분 구면 부분; 23:평활과도단; 3:마찰블록; 31:마찰부; 3a:마찰체; 32:정위치부; 320:정위치슬롯; 3b:정위치부품; 33:지지부; 3c:지지판; 4:클램프스프링; 41:지지다리; 42:크로징링.

Claims (10)

  1. 두개의 배판(1)이 접합되어 브레이크 패드 배판을 형성한 배판(1)과;
    배판(1)에는 성형되어 있는 복수의 정위치홀(11)과;
    다수의 마찰블록(3)으로서, 각각의 마찰블록(3)은,
    마찰부(31);
    다수의 상기 정위치홀(11)에 삽입되는 정위치부(32); 및
    상기 마찰부(31)와 상기 정위치부(32)사이의 지지부(3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33)는 구면 구조이며, 상기 지지부(33)의 구면은 상기 정위치부(32)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다수의 마찰블록(3); 및
    상기 정치위부(32)에 고정연결되며 상기 마찰블록(3)이 일정한 부동량을 갖게 상기 배판(1)에 연결되는 다수의 클램프스프링(4)을 포함하는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에 있어서,
    상기 마찰블록(3)과 상기 배판(1)사이의 탄력성지지편(2)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력성지지편(2)은:
    상기 지지부(33)와 접합연결되는 구형지지면(21)과;
    상기 구형지지면(21)의 밑바닥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정위치부(32)가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홀(211)과;
    상기 구형지지면(21)의 외측의 지지포울(22);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포울(22)은 상기 구형지지면(21)의 가장자리(212)부터 상기 구형지지면(21)의 밑바닥부분으로 상기 가이드홀(211)에서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포울(22)의 연결연(221)과 상기 구형지지면(21)의 변두리를 평활과도단(23)에 의해 연결하며 상기 지지포울(22)과 상기 연결연(221)에 대응하는 지지연(222)은 상기 구형지지면(21)의 밑바닥부분을 초과하여 연장되고,
    상기 구형지지면(21)은 변두리 구면부분(c)과 밑바닥부분 구면부분(d)으로 구성되고, 상기 변두리 구면부분(c)의 곡률반지름이 상기 밑바닥부분 구면부분(d)의 곡률반지름보다는 작으며, 상기 변두리 구면부분(c)과 상기 마찰블록(3)의 상기 지지부(33)는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밑바닥부분 구면부분(d)과 상기 마찰블록(3)의 상기 지지부(33) 사이에는 간격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부동식 브레이크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판(1)은 상기 마찰블록(3)이 위치한 면과 마주보는 면에 용접연결 또는 리벳연결 되어 더브테일판(5)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부동식 브레이크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블록(3)은 마찰체(3a), 정위치 부품(3b)및 지지판(3c)이 일체로 소결형성되고, 상기 마찰체(3a)는 상기 마찰부(31)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판(3c)의 중심 부분은 구면구조의 박판이며, 그중 외구면부분은 상기 지지부(33)를 구성하고; 상기 정위치 부품(3b)의 한단은 상기 정위치부(32)를 구성하고, 상기 정위치부(32)는 상기 지지판(3c)을 통과하여 상기 정위치홀(11)내에 삽입되며, 다른 한단은 상기 마찰체(3a)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부동식 브레이크 패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판(1)에 상기 정위치홀(11)과 동축인 복수개의 스폿페이싱(12)이 성형되어 있고, 상기 스폿페이싱(12)에 탄력성지지편(2)을 배치하고, 상기 스폿페이싱(12)의 직경은 상기 탄력성지지편(2)의 외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부동식 브레이크 패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개의 지지다리(41)및 원형 크로징 링(42)을 포함한 상기 클램프스프링(4)은 스프링 강철을 구부려서 성형하고, 상기 원형 크로징 링(42)은 상기 정위치부(32)의 정위치슬롯(320)내에 고정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부동식 브레이크 패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울(22)은 한구간의 원추형연결면(a)과 한구간의 원주형의 지지면(b)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면(a)과 상기 지지면(b)은 원호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부동식 브레이크 패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a)의 테이퍼 각도는 9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부동식 브레이크 패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지지면(21)의 외측을 따라 대칭으로 네개의 상기 지지포울(22)을 설치하고,인접한 상기 지지포울(22)은 U형 오프닝(223)에 의해 이격되고, 상기 U형 오프닝(223)의 오프닝밑부분과 상기 평활과도단(23)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부동식 브레이크 패드.
KR1020157024315A 2013-02-06 2014-01-26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 KR101899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047736.XA CN103133571B (zh) 2013-02-06 2013-02-06 列车用浮动式制动闸片
CN201310047736.X 2013-02-06
PCT/CN2014/071451 WO2014121704A1 (zh) 2013-02-06 2014-01-26 列车用浮动式制动闸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973A KR20150118973A (ko) 2015-10-23
KR101899874B1 true KR101899874B1 (ko) 2018-11-05

Family

ID=4849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4315A KR101899874B1 (ko) 2013-02-06 2014-01-26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101899874B1 (ko)
CN (1) CN103133571B (ko)
DE (1) DE112014000704T5 (ko)
EA (1) EA029606B1 (ko)
ES (1) ES2553928B1 (ko)
WO (1) WO20141217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3571B (zh) * 2013-02-06 2016-04-13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列车用浮动式制动闸片
CN104728318A (zh) * 2013-12-18 2015-06-24 天津机辆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一种高速列车制动闸片
CN104482079B (zh) * 2014-12-10 2017-04-05 贵州新安航空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独立摩擦块制动闸片
KR102535994B1 (ko) * 2015-02-18 2023-05-24 코프렌 에스.알.엘. 철도 차량을 위한 디스크 브레이크용 패드
DE102015109034A1 (de) * 2015-06-09 2016-12-15 Federal-Mogul Bremsbelag Gmbh Flexible Lagerung von Reibbelagelementen in Bremsbelägen
DE102015109033A1 (de) * 2015-06-09 2016-12-15 Federal-Mogul Bremsbelag Gmbh Anordnung von Reibbelagelementen in Bremsbelägen zur Erhöhung einer Kontaktkraft zwischen den Reibbelagelementen bei Bremsbetätigung
CN106678206A (zh) * 2015-09-28 2017-05-17 北京浦然轨道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浮动式制动闸片
CN108474425B (zh) * 2015-12-25 2019-12-13 日本制铁株式会社 铁道车辆用的制动摩擦衬片及采用其的铁道车辆用盘形制动器
CN106641035A (zh) * 2016-11-30 2017-05-10 北京天宜上佳新材料股份有限公司 汽车刹车片
CN107061576A (zh) * 2017-03-09 2017-08-18 湖南博科瑞新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动车组用的粉末冶金闸片
CN107061577A (zh) * 2017-04-11 2017-08-18 北京天宜上佳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大浮动量弹性元件的制动闸片
CN106996430A (zh) * 2017-04-27 2017-08-01 克诺尔车辆设备(苏州)有限公司 一种浮动式闸片
CN107152480A (zh) * 2017-07-24 2017-09-12 南昌大学 带有三级调整机构的制动闸片
CN108061117A (zh) * 2017-12-21 2018-05-22 北京瑞斯福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动车组用闸片
CN108488279A (zh) * 2018-05-22 2018-09-04 沈阳精合数控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非燕尾型粉末冶金闸片
CN108644258B (zh) * 2018-07-13 2024-02-20 北京天仁道和新材料有限公司 一种浮动式制动闸片
CN109307027A (zh) * 2018-10-10 2019-02-05 北京瑞斯福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列车用制动闸片
DE102019118297A1 (de) * 2019-07-05 2021-01-07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Belaghalter für eine Bremsbelaghalterung eines Schienenfahrzeugs
CN110273954A (zh) * 2019-07-17 2019-09-24 中铁隆昌铁路器材有限公司 一种动车组列车用粉末冶金闸片
DE102020100139A1 (de) * 2020-01-07 2021-07-08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Bremsbelag für eine Scheibenbremse eines Schienenfahrzeugs und Scheibenbremse
DE102020117630B4 (de) * 2020-07-03 2022-04-28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Bremsklotz und Bremsklotzeinrichtung eines Schienenfahrzeugs
RU200218U1 (ru) * 2020-07-20 2020-10-1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ермостойкие изделия и инженерные разработки" (АО "ТИИР") Колодка дискового тормоза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работающего н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тяге
CN114110055A (zh) * 2021-11-30 2022-03-01 昆山唐泽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液压刹车卡钳
CN114658780A (zh) * 2022-03-23 2022-06-24 北京浦然轨道交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卡簧防脱扣和列车制动闸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9523A (zh) * 2011-08-22 2012-02-22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可更换摩擦块的浮动式列车闸片
CN102705405A (zh) * 2012-05-07 2012-10-03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速列车用浮动式制动闸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514607U1 (de) * 1985-05-17 1985-07-04 Jurid Werke Gmbh, 2056 Glinde Trägerplatte für Bremsbeläge von Scheibenbremsen
TW593905B (en) * 2002-05-16 2004-06-21 Knorr Bremse Systeme Brake lining for the disk brake of a vehicle
JP2005133798A (ja) * 2003-10-29 2005-05-26 Mitsubishi Electric Corp 球面座機構
DE102004049105B4 (de) * 2004-10-07 2006-11-02 Ims Gear Gmbh Lagerelement
DE102008040552A1 (de) * 2008-07-18 2010-01-2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Federvorrichtung und Vorrichtung mit einer bezüglich einer Axialachse drehbar gelagerten Welle
JP5333205B2 (ja) * 2009-12-28 2013-11-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
CN201606435U (zh) * 2010-01-14 2010-10-13 贵州新安航空机械有限责任公司 弹性浮动结构刹车片
DE202011001991U1 (de) * 2011-01-27 2011-03-31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Bremsbelag für eine Scheibenbremse eines Fahrzeuges
CN202690828U (zh) * 2011-08-23 2013-01-23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弹性支撑片
CN102401047A (zh) * 2011-08-23 2012-04-04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弹性支撑片
CN102748417A (zh) * 2012-04-09 2012-10-24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可更换摩擦块的浮动式列车闸片
CN202545660U (zh) * 2012-04-09 2012-11-21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可更换摩擦块的浮动式列车闸片
CN202597552U (zh) * 2012-05-07 2012-12-12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速列车用浮动式制动闸片
CN102927170A (zh) * 2012-06-05 2013-02-13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摩擦块可浮动、燕尾连接钢背结构的制动闸片
CN202790228U (zh) * 2012-06-06 2013-03-13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摩擦块可浮动、燕尾连接钢背结构的制动闸片
CN203146657U (zh) * 2013-02-06 2013-08-21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雨雪天气用浮动式制动闸片
CN103133571B (zh) * 2013-02-06 2016-04-13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列车用浮动式制动闸片
CN103133570B (zh) * 2013-02-06 2016-01-13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组合浮动式制动闸片
CN203146655U (zh) * 2013-02-06 2013-08-21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组合浮动式制动闸片
CN103133569B (zh) * 2013-02-06 2016-04-06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浮动式制动闸片
CN203146656U (zh) * 2013-02-06 2013-08-21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浮动式制动闸片
CN203146658U (zh) * 2013-02-06 2013-08-21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列车用浮动式制动闸片
CN103133579B (zh) * 2013-02-06 2016-05-25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雨雪天气用浮动式制动闸片
CN203161918U (zh) * 2013-02-06 2013-08-28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浮动式双层背板制动闸片
CN103133568B (zh) * 2013-02-06 2016-04-13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浮动式双层背板制动闸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9523A (zh) * 2011-08-22 2012-02-22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可更换摩擦块的浮动式列车闸片
CN102705405A (zh) * 2012-05-07 2012-10-03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速列车用浮动式制动闸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0704T5 (de) 2015-10-22
EA201500829A1 (ru) 2016-03-31
ES2553928B1 (es) 2017-07-13
EA029606B1 (ru) 2018-04-30
CN103133571A (zh) 2013-06-05
ES2553928A2 (es) 2015-12-14
ES2553928R1 (es) 2016-10-10
CN103133571B (zh) 2016-04-13
WO2014121704A1 (zh) 2014-08-14
KR20150118973A (ko) 2015-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874B1 (ko) 열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
JP6811536B2 (ja) 鉄道車両用の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
JP5001948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のパッドアセンブリ
CN110375013A (zh) 用于商用车的盘式制动器以及制动衬片组
KR102100302B1 (ko) 철도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CN108350963A (zh) 用于商用车的盘式制动器以及制动衬片组
CN102032293A (zh) 车辆用盘式制动器
KR101772609B1 (ko) 시소 구조를 이용한 철도차량용 브레이크 패드
BR112013028750B1 (pt) Freio e método para fazer um freio
EP2290257A1 (en) Friction pad for brake system
KR101619752B1 (ko) 저소음 제동 패드
JP2017057882A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摩擦パッド組立て体
CN102748417A (zh) 可更换摩擦块的浮动式列车闸片
JP2015028377A (ja) 鉄道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パッド
KR20180119307A (ko) 브레이크 패드
CN102022459B (zh) 无励磁动作制动器
CN101793298A (zh) 盘式制动器
CN103133570B (zh) 组合浮动式制动闸片
KR101545227B1 (ko)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ES2872474T3 (es) Zapata de freno para un freno de rueda ferroviaria
JP2014018283A (ja) 便座の製造方法、便座
KR20170122341A (ko) 탄성 브레이크 패드
CN102401047A (zh) 弹性支撑片
KR101963382B1 (ko) 회전방향 자유도를 갖는 철도차량용 시소타입 제동패드
CN107218325B (zh) 高速列车用制动闸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