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227B1 -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227B1
KR101545227B1 KR1020140103156A KR20140103156A KR101545227B1 KR 101545227 B1 KR101545227 B1 KR 101545227B1 KR 1020140103156 A KR1020140103156 A KR 1020140103156A KR 20140103156 A KR20140103156 A KR 20140103156A KR 101545227 B1 KR101545227 B1 KR 101545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ck plate
support
fric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길
김상호
박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Priority to KR102014010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8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internally-engaging brakes
    • F16D65/09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마찰 부재와, 상기 마찰 부재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 부재의 하면에 접합되어 결합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하면에 결합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양측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의 하단에 상기 상부판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하부판을 구비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스프링 부재의 하부판 하면이 결합되는 백플레이트 및 상기 백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도브 테일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Flexible Brake pad}
본 발명은 소결 마찰재를 구비하여 고속철도용으로 사용되는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 에너지가 발생하는 운송 수단, 예를 들어, 차량 등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조립체를 구성하는 브레이크 패드는 소정 형상의 마찰 부재와 마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지지 부재가 고정된 백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 하면에 결합되어 브레이크 시스템에 장착되는 도브 테일을 포함한다. 차량의 구동 샤프트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에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 부재가 직접 접촉함으로써 브레이크 디스크와 마찰 부재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며, 마찰력으로 인하여 철도 차량이 제동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일반적으로 구조상의 특징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마찰 부재가 백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유동되지 않는 고정 타입(Rigid Type)과 마찰재가 백플레이트에 고정되지만 마찰 과정에서 압부력을 받았을 때 유동되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플렉서블 타입(Flexible Type)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타입의 브레이크 패드는 마찰 과정에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압부력이 가해지면 마찰 부재가 브레이크 디스크 표면에 직접적으로 압력을 전달하여 제동하는 타입으로 마찰 부재가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하여 유동하지 않으며 브레이크 디스크 형상이나 인가되는 압부력의 차이를 반영할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찰 부재에 동일한 압부력이 가해지므로, 마찰 과정에서 각각의 마찰 부재에서 편마모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여 마찰 부재의 균일한 마모가 진행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타입의 브레이크 패드는 마찰 부재가 브레이크 디스크의 표면에 접촉될 때, 마찰 부재의 전체 면적이 브레이크 디스크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제동 면적이 감소하고 국부적으로 높은 마찰열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타입의 브레이크 패드는 제동면 전체에 균일한 압력이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디스크에 가해지는 열적 충격을 증가시키고, 브레이크 디스크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브레이크 디스크의 파손으로 연결될 수 있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 타입의 브레이크 패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현재 고속철도용 브레이크 패드는 플렉서블 타입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플렉서블 타입의 브레이크 패드는 마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백플레이트 사이에 스프링 기능을 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부재는 마찰 부재와 지지 부재를 지지하면서, 마찰 과정에서 변형되어 마찰 부재가 유동되도록 하여 브레이크 디스크 표면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플렉서블 타입의 브레이크 패드는 스프링 기능을 하는 스프링 부재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많으며,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마찰 성능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한 스프링 부재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마찰 부재의 표면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찰 표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 부재와, 상기 마찰 부재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 부재의 하면에 접합되어 결합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하면에 결합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양측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의 하단에 상기 상부판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하부판을 구비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스프링 부재의 하부판 하면이 결합되는 백플레이트 및 상기 백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도브 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돌기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부재의 상부판은 상기 하부 지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홈 또는 돌기 형상의 상부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지지부와 상부 지지부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지지 부재가 마찰 과정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은 호의 각도가 180도 이상이며, 호의 반지름이 연결판 두께의 1 내지 3배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판은 상기 상부판의 일부가 상기 하부판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마찰 과정에서 상기 상부판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판은 내측단이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백플레이트는 백플레이트는 상면으로부터 상기 하부판의 내측단 사이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판의 하면에 접촉되거나 소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하부판의 내측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 4 중앙홀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 4 중앙홀의 전후측에서 상기 백플레이트가 상부로 절곡되어 서로 대칭인 바 형상 또는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제 4 중앙홀의 전후측에 결합되며, 상부가 소정 면적의 평면을 이루며 상기 하부판의 내측단 사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하부판의 내측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 4 중앙홀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 4 중앙홀의 양측에서 이격되면서 서로 대칭을 이루고, 수직 단면이 호 형상을 이루고 상면이 라운드진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백플레이트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도브 테일이 결합되는 도브 테일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는 간단한 구조의 스프링 부재를 사용하여 마찰 부재와 지지 부재를 지지하면서 마찰 과정에서 마찰 부재가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찰 표면에 대하여 유동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는 마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백플레이트 사이에 스프링 부재가 장착되어 마찰 부재의 표면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찰 표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는 마찰 부재가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찰 표면에 균일하게 접촉되므로 브레이크 디스크가 제동 마찰열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과열되어 열충격을 받는 것이 감소되어 브레이크 디스크의 손상이 방지되고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는 유동을 갖는 각각의 스프링 부재에 의하여 마찰 부재와 지지 부재가 지지되므로 마찰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 열의 배출이 용이하며, 제동 소음도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찰 부재와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링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백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D-D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도브 테일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도브 테일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의 백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E-E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찰 부재와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링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백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D-D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도브 테일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도브 테일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100)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마찰 부재(110), 지지 부재(120), 스프링 부재(130), 백플레이트(140), 도브 테일 플레이트(150) 및 도브 테일(1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100)는 도브 테일(160)이 백플레이트(140)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도브 테일 플레이트(150)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100)는 지지 부재(120)를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130)에 의하여 마찰 과정에서 마찰 부재(110)가 유동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브레이크 디스크(미도시)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측 또는 상면은 도 1을 기준으로 +z 축을 향하는 방향 또는 면을 의미하며, 하측 또는 하면은 -z축을 향하는 방향 또는 면을 의미한다. 또한, 수평 방향은 +z축에 수직이고 +x축 및 y축에 평행인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일측은 -x 축 방향, 타측은 +x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전측은 +y축 방향, 후측은 -y축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수평 단면이 대략 사각 형상이며, 소정 높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여기서 상기 마찰부재(11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 기둥, 삼각 기둥 또는 육각 기둥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사양과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100)의 교체 주기에 따라 소정 형상과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제 1 홀(110a)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홀(110a)은 마찰 부재(110)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중앙 영역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중심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홀(110a)은 마찰 부재(11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소정 직경을 갖는 홀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홀(110a)은 지지 부재(120)를 스프링 부재(130)에 고정하기 위한 중앙 리벳(10)이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홀(110a)은 바람직하게는 중앙 리벳(10)의 머리 부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홀(110a)은 마찰 부재(110)의 마찰 과정에서 발생되는 입자들을 수용하여 마찰 부재(110)와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홀(110a)은 마찰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발산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하면이 소결 과정에서 지지 부재(120)의 상면과 결합된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온도가 가해지는 연속 소결 방식 또는 온도와 압력이 동시에 가해지는 가압 소결 방식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소결 과정에서 지지 부재(120)와 결합되어 백플레이트(140)에 고정된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소결 과정에서 브레이징 접합 또는 동시 가압 소결 접합에 의하여 지지 부재(120)와 결합된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기지부와 기지부에 분산되며 세라믹 또는 흑연과 같은 비금속을 포함하는 마찰 조정제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마찰 부재(110)의 기지부는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철계 또는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동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부는 철계로 형성되는 경우에 철(Fe)외에 망간(Mn), 몰리브덴(Mo)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부는 동계로 형성되는 경우에 구리(Cu)외에 주석(Sn), 니켈(Ni), 철(Fe), 몰리브덴(Mo)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부는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100)에 요구되는 마찰특성, 내열성, 내구성 등 제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금속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금속 재료의 성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마찰 조정제는 알루미나,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세라믹, 흑연과 같은 재료를 포함하며,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100)에 요구되는 마찰특성, 내열성, 내구성 등 제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료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20)는 제 2 홀(120a)과 하부 지지부(121)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지지 부재(120)는 마찰 부재(110)의 평면 형상 또는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 부재(120)는 마찰 부재(110)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되며, 상면에 결합되는 마찰 부재(110)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120)는 하면이 스프링 부재(130)에 결합된다.
상기 제 2 홀(120a)은 지지 부재(12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 부재(120)의 상면을 기준으로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홀(120a)은 지지 부재(120)와 스프링 부재(130)을 결합시키기 위한 중앙 리벳(10)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홀(120a)은 삽입되는 중앙 리벳(10)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 지지부(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20)의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소정 높이의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부(121)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면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소정 깊이의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지지부(121)는 하부 지지 돌기 또는 하부 지지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부(121)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부(121)는 수평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 형인 돌기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부(121)는 지지 부재(120)의 평면 형상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 지지부(121)는 지지 부재(120)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각 모서리에 형성되어 전체가 4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120)가 원형 또는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제 2 홀(120a)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3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지지부(121)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지지부(121)는 스프링 부재(130)와 결합되어 마찰 부재(110)와 지지 부재(120)가 마찰 과정에서 중앙 리벳(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프링 부재(130)는 상부판(131)과 연결판(133) 및 하부판(135)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부재(130)는 상부판(131)과 하부판(135)을 연결하는 연결판(133)에 의하여 스프링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부재(130)는 상부판(131)이 지지 부재(120)의 하면에 결합되며, 마찰 부재(110) 및 지지 부재(120)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부재(130)는 하부판(135)이 백플레이트(140)에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 부재(130)는 마찰 과정에서 상부판(131)이 연결판(133)의 스프링 역할에 의하여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하로 유동하면서 마찰 부재(110)가 유동되면서 브레이크 디스크의 표면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 부재(130)는 하나의 판상이 절곡되어 상부판(131)과 연결판(133) 및 하부판(135)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130)는 스프링강,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적절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131)은 제 3 중앙홀(131a)과 상부 지지부(1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판(131)은 지지 부재(120)의 평면 형상 또는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판(131)은 지지 부재(120)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판(131)은 지지 부재(120)의 양측 또는 전후측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130)은 지지 부재(120)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되며, 상면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12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 3 중앙홀(131a)은 상부판(131)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판(131)의 상면을 기준으로 중앙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3 중앙홀(131a)은 지지 부재(120)의 제 2 홀(120a)과 동일 중심을 갖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3 중앙홀(131a)은 지지 부재(120)와 상부판(131)을 결합하기 위한 중앙 리벳(10)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중앙홀(131a)은 삽입되는 중앙 리벳(10)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앙 리벳(10)은 제 2 홀(120a)과 제 3 중앙홀(131a)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지지 부재(120)와 스프링 부재(130)의 상부판(131)을 결합시킨다.
상기 상부 지지부(132)는 하부 지지부(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 지지부(121)와 반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 지지부(121)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부 지지부(132)는 상부판(131)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부(121)가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부판(131)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지지부(132)는 하부 지지부(121)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지지부(132)는 하부 지지부(121)와 결합되어 마찰 과정에서 지지 부재(120) 및 마찰 부재(11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판(133)은 상부판(131)의 양측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y축에 수직인 방향의 단면 형상이 호 형상 또는 이에 상응하는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판(133)은 두 개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단이 상부판(131)의 양측단과 각각 연결되며, 하단이 하부판(135)의 양측단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판(133)은 호 형상외에도 육각 호 형상, 팔각 호 형상과 같이 육각형, 팔각형의 일부분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호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133)은 충분한 탄성력을 갖기 위하여 호의 각도가 180도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판(133)은 충분한 탄성력을 갖기 위하여 호의 반지름이 연결판(133) 두께의 1 내지 3배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133)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부판(131)이 마찰 과정에서 압부력을 받을 때 변형되면서 상부판(131)이 유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133)은 마찰 과정에 종료되면 상부판(131)이 복원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판(135)은 제 3 하부홀(135a)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135)은 연결판(133)의 하단에서 상부판(131)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135)은 바람직하게는 상부판(131)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135)은 전체적으로 상부판(1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하부판(135)은 바람직하게는 2 개의 판으로 형성되며, 내측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중앙 리벳(10)의 하부 머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하부판(135)은 백플레이트(140)의 상면에 결합되며, 스프링 부재(130)가 백플레이트(140)에 고정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 3 하부홀(135a)은 하부판(135)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3 하부홀(135a)은 스프링 부재(130)의 하부판(135)을 백플레이트(140)에 고정하는 하부 리벳(20)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하부홀(135a)은 하부 리벳(20)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3 하부홀(135a)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지지부(13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지지부(132)가 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제 3 하부홀(135a)은 중심이 상부 지지부(132)의 중심과 일치하며, 상부 지지부(132)의 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리벳은 상부 지지부(132)를 통하여 제 3 하부홀(135a)에 결합되며, 하부판(135)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 부재(130)는 상부판(131)에서 하부판(135)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부 지지 돌기(137)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 돌기(137)는 상부판(131)의 중앙 영역에서 서로 이격되어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 돌기(137)는 상부판(131)의 일부가 하부판(135)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마찰 과정에서 상부판(131)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상부 지지 돌기(137)는 하부판(135)의 상면 또는 백플레이트(140)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상부판(131)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제 4 외곽홀(140a) 및 탄성 지지부(141)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소정 두께의 금속 판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백플레이트(140)의 상면에는 스프링 부재(130)의 하부판(135)이 결합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평면 형상과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장착되는 마찰 부재(110)의 개수에 따라 그 면적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복수 개의 마찰 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에 따라 스프링강, 합금강, 특수강,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적절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외곽홀(140a)은 백플레이트(14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4 외곽홀(140a)은 스프링 부재(130)가 백플레이트(140)에 장착될 때 제 3 하부홀(135a)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 4 외곽홀(140a)은 4개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외곽홀(140a)은 제 3 하부홀(135a)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4 외곽홀(140a)은 스프링 부재(130)의 제 3 하부홀(135a)에 결합되는 하부 리벳(20)이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리벳(20)은 스프링 부재(130)를 백플레이트(140)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탄성 지지부(141)는 백플레이트(140)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바 형상 또는 상부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소정 면적의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부(141)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 지지부(141)는 바람직하게는 백플레이트(140) 자체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탄성 지지부(141)의 형성에 따른 제 4 중앙홀(141a)이 형성된다. 상기 제 4 중앙홀(141a)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4 중앙홀(141a)은 전후측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상부판(131)의 전후측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4 중앙홀(141a)은 스프링 부재(130)의 하부판(135)의 내측단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4 중앙홀(141a)은 스프링 부재(130)의 상부판(131)에 형성되는 제 3 중앙홀(131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4 중앙홀(141a)은 제 3 중앙홀(131a) 및 제 2 홀(120a)에 하부 리벳(20)이 결합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탄성 지지부(141)는 하부가 백플레이트(140)에 결합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4 중앙홀(141a)의 전후측에 각각 결합된다. 즉, 상기 탄성 지지부(141)는 제 4 중앙홀(141a)의 전후측에서 백플레이트(140)가 상부로 절곡되어 서로 대칭인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지지부(141)는 제 4 중앙홀(141a)의 내측에서 서로 대칭되며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부(141)는 상부가 하부판(135) 내측단 사이로 돌출되며, 상부판(131)의 하면에 접촉되거나 소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탄성 지지부(141)는 별도의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백플레이트(140)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부(141)는 스프링 부재(130)와 함께 지지 부재(120)에 유동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부(141)는 스프링 부재(130)의 상부판(131)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부판(131)을 지지하여 스프링 부재(130)의 탄성력이 저하되었을 때 스프링 부재(130)의 상부판(131)을 지지하고, 지지 부재(120)가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도브 테일 플레이트(150)는 제 5 외곽홀(150a) 및 제 5 중앙홀(150b)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브 테일 플레이트(150)는 제 5 리벳홀(150c)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브 테일 플레이트(150)는 소정 두께의 금속 판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브 테일 플레이트(150)는 바람직하게는 백플레이트(14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도브 테일 플레이트(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에 따라 스프링강, 합금강, 특수강,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적절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브 테일 플레이트(150)는 백플레이트(140)의 하면에 결합되며 백플레이트(140)를 지지한다.
상기 제 5 외곽홀(150a)은 도브 테일 플레이트(15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5 외곽홀(150a)은 스프링 부재(130)의 하부판(135)에 형성되는 제 3 하부홀(135a) 및 제 4 외곽홀(140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5 외곽홀(150a)은 제 3 하부홀(135a) 및 제 4 외곽홀(140a)에 하부 리벳(20)이 결합되는 통로를 제공하며, 하부 리벳(20)의 하부 머리를 수용한다.
상기 제 5 중앙홀(150b)은 도브 테일 플레이트(15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5 중앙홀(150b)은 스프링 부재(130)의 상부판(131)에 형성되는 제 3 중앙홀(131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5 중앙홀(150b)은 제 3 중앙홀(131a) 및 제 2 홀(120a)에 하부 리벳(20)이 결합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 5 리벳홀(150c)은 도브 테일 플레이트(15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5 리벳홀(150c)은 제 5 외곽홀(150a)과 제 5 중앙홀(150b)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제 5 리벳홀(150c)은 도브 테일(160)과 도브 테일 백플레이트(150)를 결합시키는 리벳이 결합되는 홀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도브 테일(160)과 도브 테일 백플레이트(150)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는 경우에, 제 5 리벳홀(150c)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도브 테일(160)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도브 테일 플레이트(150)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상기 도브 테일(160)은 도브 테일 플레이트(150)에 리벳,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브 테일(160)은 리벳 또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 6 홀(160a)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6 홀(160a)은 도브 테일(16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제 5 리벳홀(150c)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다만, 상기 도브 테일(160)과 도브 테일 백플레이트(150)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는 경우에, 제 6 홀(160a)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브 테일(160)은 백플레이트(14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브 테일(160)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100)가 사용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캘리퍼(미도시)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브 테일(160)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도브 테일(160)은 결합되는 캘리퍼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는 경우에 캘리퍼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캘리퍼의 재질보다 낮은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도브 테일(160)은 브레이크 시스템에 결합되는데 필요한 다양한 홀과 홈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브 테일(160)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판상으로 형성되므로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살빼기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의 백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E-E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브레이크 디스크는, 도 1 내지 도 10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마찰 부재(110), 지지 부재(120), 스프링 부재(130), 백플레이트(240), 도브 테일 플레이트(150) 및 도브 테일(1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는 도브 테일(160)이 백플레이트(240)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도브 테일 플레이트(150)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브레이크 디스크는,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블렉서블 브레이크 디스크와 비교하면, 백플레이트를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브레이크 디스크는 백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브레이크 디스크는 백플레이트만을 도시한다.
상기 백플레이트(240)는 제 4 외곽홀(140a)과 탄성 지지부(241) 및 제 4 중앙홀(241a)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탄성 지지부(241)는 백플레이트(240)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수직 단면이 호 형상을 이루고 상면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 지지부(241)는 백플레이트(240)의 상면에 반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 지지부(241)는 백플레이트(240)의 하면으로부터 상부로 압입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부(241)는 상부가 하부판(135) 내측단 사이로 돌출되며, 상부판(131)의 하면에 접촉되거나 소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부(241)는 제 4 중앙홀(241a)의 양측에서 이격되며 제 4 중앙홀(241a)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지지부(241)는 제 4 중앙홀(241a)과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 지지부(241)는 스프링 부재(130)와 함께 지지 부재(120)에 유동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부(241)는 스프링 부재(130)의 상부판(131)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부판(131)을 지지하여 스프링 부재(130)의 탄성력이 저하되었을 때 스프링 부재(130)의 상부판(131)을 지지하고, 지지 부재(120)가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 4 중앙홀(241a)은 탄성 지지부(241) 사이에서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4 중앙홀(241a)은 스프링 부재(130)의 하부판(135)의 내측단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 4 중앙홀(241a)은 평면 형상이 원 형상 또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4 중앙홀(241a)은 스프링 부재(130)의 상부판(131)에 형성되는 제 3 중앙홀(131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4 중앙홀(241a)은 제 3 중앙홀(131a) 및 제 2 홀(120a)에 하부 리벳(20)이 결합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100: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110: 마찰부재 120: 지지 부재
130: 스프링 부재 140, 240: 백플레이트
150: 도브 테일 플레이트 160: 도브 테일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마찰 부재와,
    상기 마찰 부재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 부재의 하면에 접합되어 결합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하면에 결합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양측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의 하단에 상기 상부판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하부판을 구비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스프링 부재의 하부판 하면이 결합되는 백플레이트 및
    상기 백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도브 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돌기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부재의 상부판은 상기 하부 지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홈 또는 돌기 형상의 상부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지지부와 상부 지지부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지지 부재가 마찰 과정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호의 각도가 180도 이상이며, 호의 반지름이 연결판 두께의 1 내지 3배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상기 상부판의 일부가 상기 하부판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마찰 과정에서 상기 상부판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은 내측단이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백플레이트는 백플레이트는 상면으로부터 상기 하부판의 내측단 사이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판의 하면에 접촉되거나 소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하부판의 내측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 4 중앙홀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 4 중앙홀의 전후측에서 상기 백플레이트가 상부로 절곡되어 서로 대칭인 바 형상 또는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제 4 중앙홀의 전후측에 결합되며, 상부가 소정 면적의 평면을 이루며 상기 하부판의 내측단 사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하부판의 내측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 4 중앙홀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 4 중앙홀의 양측에서 이격되면서 서로 대칭을 이루고, 수직 단면이 호 형상을 이루고 상면이 라운드진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백플레이트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도브 테일이 결합되는 도브 테일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KR1020140103156A 2014-08-11 2014-08-11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KR101545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156A KR101545227B1 (ko) 2014-08-11 2014-08-11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156A KR101545227B1 (ko) 2014-08-11 2014-08-11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227B1 true KR101545227B1 (ko) 2015-08-19

Family

ID=54061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156A KR101545227B1 (ko) 2014-08-11 2014-08-11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2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609B1 (ko) * 2017-02-13 2017-08-3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시소 구조를 이용한 철도차량용 브레이크 패드
KR20180119307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브레이크 패드
CN114508556A (zh) * 2022-03-01 2022-05-17 山东倍瑞恳新材料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铝基制动盘复合闸片、配方及其制作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3852A (ja) 2007-03-12 2008-09-25 Akebono Brake Ind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用摩擦材組立体、及びその組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3852A (ja) 2007-03-12 2008-09-25 Akebono Brake Ind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用摩擦材組立体、及びその組立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609B1 (ko) * 2017-02-13 2017-08-3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시소 구조를 이용한 철도차량용 브레이크 패드
KR20180119307A (ko) * 2017-04-25 2018-11-02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브레이크 패드
KR101941233B1 (ko) * 2017-04-25 2019-04-08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브레이크 패드
CN114508556A (zh) * 2022-03-01 2022-05-17 山东倍瑞恳新材料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铝基制动盘复合闸片、配方及其制作工艺
CN114508556B (zh) * 2022-03-01 2023-11-24 山东倍瑞恳新材料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铝基制动盘复合闸片、配方及其制作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501B1 (ko) 철도 차량용 브레이크 라이닝
TWI621557B (zh) Brake lining for railway vehicles and disc brakes therewith
KR101373762B1 (ko) 브레이크 패드
KR101941233B1 (ko) 브레이크 패드
TWI621788B (zh) 鐵道車輛用煞車來令及使用該煞車來令的鐵道車輛用碟式煞車器
KR101772609B1 (ko) 시소 구조를 이용한 철도차량용 브레이크 패드
JP6362850B2 (ja) 鉄道車両のディスクブレーキパッド
KR102139072B1 (ko) 브레이크 패드
KR101545227B1 (ko)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WO2014121704A1 (zh) 列车用浮动式制动闸片
CN110486399B (zh) 用于铁路车辆的盘式制动器的垫
CN102003478A (zh) 刹车系统的摩擦垫
JP4702272B2 (ja) ブレーキパッド
US20190078629A1 (en) Brake lining for railway vehicle and disk brake for railway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619752B1 (ko) 저소음 제동 패드
KR102414561B1 (ko)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체 보호 패드 및 브레이크 패드
WO2013121731A1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およ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5028377A (ja) 鉄道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パッド
KR20170122341A (ko) 탄성 브레이크 패드
KR100784504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패드와 이의 제조방법
KR20210022414A (ko) 브레이크 패드
KR102094691B1 (ko) 탄성 플레이트를 이용한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패드 어셈블리
JP2010270826A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摩擦材組立て体
KR102047318B1 (ko) 고무 댐퍼를 구비한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패드 어셈블리
KR101162732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