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233B1 - 브레이크 패드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233B1
KR101941233B1 KR1020170052881A KR20170052881A KR101941233B1 KR 101941233 B1 KR101941233 B1 KR 101941233B1 KR 1020170052881 A KR1020170052881 A KR 1020170052881A KR 20170052881 A KR20170052881 A KR 20170052881A KR 101941233 B1 KR101941233 B1 KR 101941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rivet hole
plate
rivet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307A (ko
Inventor
나종태
조기출
김유신
이범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Priority to KR1020170052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233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4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or in the vicinity of the pad rim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brake disc axis
    • F16D65/0977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마찰 부재와, 마찰 부재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되며 상면에 접합되는 상기 마찰 부재를 지지하는 마찰재 플레이트와, 마찰재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백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과 백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와,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와 백플레이트 사이의 중앙 이격 높이가 유지되도록 마찰재 플레이트를 백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중앙 리벳 및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와 백플레이트 사이의 외곽 이격 높이가 유지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를 백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외곽 리벳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패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패드{Brake pad}
본 발명은 고속 철도용 브레이크 패드에 관한 것이다.
고속 철도 차량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패드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마찰 부재, 마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지지 부재가 고정된 백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 하면에 결합되어 브레이크 시스템에 장착되는 도브 테일을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고속 철도 차량의 차륜, 차축, 추진축 등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에 직접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고속 철도 차량을 제동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복수 개의 마찰 부재가 마찰 과정에서 동일한 압력으로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백플레이트를 통하여 제동에 필요한 압력이 인가되므로, 각각의 마찰 부재가 균일하게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상기 마찰 부재가 균일하게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 마찰 부재의 위치별로 마찰력의 차이와 이에 따른 국부적인 온도 상승 편차와 마모량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각각의 마찰 부재들 사이에 마모량등의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마찰 부재 별로 마모 정도의 차이가 발생되면서 수명이 단축되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측면이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균일한 접촉이 더 어려워지면서 마찰 과정에서 소음이 증가되는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은 마찰 부재가 브레이크 디스크에 균일하게 접촉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 패드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 부재와, 상기 마찰 부재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되며, 상면에 접합되는 상기 마찰 부재를 지지하는 마찰재 플레이트와,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백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과 백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백플레이트 사이의 중앙 이격 높이가 유지되도록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를 상기 백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중앙 리벳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백플레이트 사이의 외곽 이격 높이가 유지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백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외곽 리벳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찰 부재는 제 1 중앙 리벳 홀을 구비하며.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중앙 리벳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 2 중앙 리벳 홀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중앙 리벳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중앙 리벳 홀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 3 중앙 리벳 홀을 구비하며,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제 3 중앙 리벳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 3 중앙 리벳 홀의 내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제 4 중앙 리벳 홀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 리벳은 상기 제 3 중앙 리벳 홀과 제 4 중앙 리벳 홀을 관통하는 중앙 몸체부와, 상기 중앙 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중앙 리벳 홀을 관통하는 중앙 결합부 및 상기 제 4 중앙 리벳 홀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중앙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는 제 3 중앙 리벳 홀과 제 2 중앙 리벳 홀 사이에 중앙 상부 단턱이 형성하며, 상기 백플레이트는 하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제 4 중앙 리벳 홀을 따라 중앙 하부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 리벳은 상기 중앙 몸체부와 상기 중앙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 몸체 단턱이 상기 중앙 상부 단턱에 접촉되고, 상기 중앙 머리부와 상기 중앙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 머리 단턱이 상기 중앙 하부 단턱에 접촉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리벳은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중앙 결합부가 변형되면서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를 고정하며, 상기 마찰 부재의 마찰 과정에서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와 일체로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중앙 이격 높이가 변하면서 상기 백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중앙 리벳 홀을 중심으로 원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 2 외곽 리벳 홀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 3 외곽 리벳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외곽 리벳 홀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 3 외곽 리벳 홀을 구비하며,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제 3 외곽 리벳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 3 외곽 리벳 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 4 외곽 리벳 홀을 구비하며, 상기 외곽 리벳은 상기 제 4 외곽 리벳 홀을 관통하는 외곽 몸체부와, 상기 외곽 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 3 외곽 리벳 홀을 관통하는 외곽 결합부 및 상기 제 4 외곽 리벳 홀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외곽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제 3 외곽 리벳 홀과 제 2 외곽 리벳 홀 사이에 외곽 상부 단턱이 형성하며, 상기 백플레이트는 하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제 4 외곽 리벳 홀을 따라 외곽 하부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외곽 리벳은 상기 외곽 몸체부와 상기 외곽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외곽 몸체 단턱이 상기 외곽 상부 단턱에 접촉되고, 상기 외곽 머리부와 상기 외곽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외곽 머리 단턱이 상기 외곽 하부 단턱에 접촉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곽 리벳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외곽 결합부가 변형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하며, 상기 마찰 부재의 마찰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외곽 이격 높이가 변하면서 상기 백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중앙 리벳 홀을 중심으로 원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외곽 리벳 홀 사이에 위치하며,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외곽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외곽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홀로 형성되는 제 3 외곽 돌기 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외곽 돌기와 제 3 외곽 돌기 홀은 억지 끼워 맞춤의 공차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 3 외곽 리벳 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3 중앙 리벳 홀에 대응되는 단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는 탄성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마찰 부재의 마찰면이 마찰 과정에서 브레이크 디스크에 균일하게 접촉되므로 온도 편차와 마모량 편차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는 마찰 부재를 지지하는 마찰재 플레이트와 마찰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억지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므로 마찰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브레이크 패드를 구성하는 마찰 부재와 마찰재 플레이트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브레이크 패드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브레이크 패드를 구성하는 백플레이트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부재와 마찰재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브레이크 패드를 구성하는 마찰 부재와 마찰재 플레이트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브레이크 패드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브레이크 패드를 구성하는 백플레이트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 부재와 마찰재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10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마찰 부재(110)와 마찰재 플레이트(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백플레이트(140)와 탄성 부재(150)와 중앙 리벳(160)과 외곽 리벳(170) 및 도브 테일(180)을 포함한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수평 단면이 대략 삼각형이며, 소정 높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여기서 상기 마찰 부재(11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 기둥, 사각 기둥 또는 육각 기둥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사양과 브레이크 패드(100)의 교체 주기에 따라 소정 높이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제 1 중앙 리벳 홀(111)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마찰 부재(1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외곽 홀(113)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중앙 리벳 홀(111)은 마찰 부재(110)의 평면을 기준으로 중앙 영역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중심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중앙 리벳 홀(111)은 마찰 부재(11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소정 직경을 갖는 홀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중앙 리벳 홀(111)은 마찰재 플레이트(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백플레이트(140)에 결합하기 위한 중앙 리벳(160)을 리벳팅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중앙 리벳 홀(111)은 마찰 부재(110)의 마찰 과정에서 발생되는 입자들을 수용하여 마찰 부재(110)와 브레이크 디스크(미도시)의 마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중앙 리벳 홀(111)은 마찰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발산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외곽 홀(113)은 제 1 중앙 리벳 홀(111)로부터 외곽으로 이격되며, 제 1 중앙 리벳 홀(111)을 기준으로 원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위치한다. 상기 제 1 외곽 홀(113)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2 외곽 리벳 홀(12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외곽 홀(113)은 3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외곽 홀(113)은 마찰 부재(11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소정 직경을 갖는 홀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외곽 홀(113)은 마찰 부재(110)의 마찰 과정에서 발생되는 입자들을 수용하여 마찰 부재(110)와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외곽 홀(113)는 마찰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발산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소결 과정에서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접합되어 결합된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소정의 온도에서 소결되어 제조된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기지부와 기지부에 분산되며 마찰 특성을 조절하는 금속계 또는 세라믹계를 포함하는 마찰 조정제, 흑연과 같은 윤활제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기지부는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철계 또는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동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지부는 철계로 형성되는 경우에 철(Fe)외에 망간(Mn), 몰리브덴(Mo)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지부는 동계로 형성되는 경우에 구리(Cu)외에 주석(Sn), 니켈(Ni), 철(Fe), 몰리브덴(Mo)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지부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브레이크 패드(100)에 요구되는 마찰특성, 내열성, 내구성 등 제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금속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금속재료의 성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마찰 조정제는 Fe, Mo, Ni, Cr, W 등과 같은 금속계와 알루미나, 실리콘 산화물 등과 같은 세라믹계 같은 재료를 포함하며, 브레이크 시스템용 브레이크 패드(100)에 요구되는 마찰특성, 내열성, 내구성 등 제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료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마찰 조정제의 성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12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120)는 마찰 부재(11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는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120)는 제 2 중앙 리벳 홀(121)과 제 2 외곽 리벳 홀(123) 및 제 2 외곽 돌기(12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120)는 마찰 부재(11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며, 상면에 접합되는 마찰 부재(110)를 지지한다.
상기 제 2 중앙 리벳 홀(121)은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평면을 기준으로 중앙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중앙 리벳 홀(121)은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소정 직경을 갖는 홀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중앙 리벳 홀(121)은 제 1 중앙 리벳 홀(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 1 중앙 리벳 홀(111)과 연결된다. 상기 제 2 중앙 리벳 홀(121)은 마찰재 플레이트(120)를 백플레이트(140)에 고정하기 위한 중앙 리벳(160)이 관통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 2 외곽 리벳 홀(123)은 복수 개로 형성되며, 제 2 중앙 리벳 홀(121)을 중심으로 원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위치한다. 상기 제 2 외곽 리벳 홀(123)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외곽 리벳 홀(123)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외곽 리벳 홀(123)은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외곽 리벳 홀(123)은 외곽 리벳(170)의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외곽 리벳 홀(123)은 외곽 리벳(170)의 상면과 마찰 부재(110)의 하면 사이에 소정의 이격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마찰 과정에서 하강하더라도 하면이 외곽 리벳(170)의 상면과 바로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마찰 부재(110)는 마찰 과정에서 위치별로 상하로 유동하여 틸팅되며, 브레이크 디스크에 균일하게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 2 외곽 리벳 홀(123)은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므로 마찰 부재(110)의 하부가 노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2 외곽 리벳 홀(123)은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하면에서 상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외곽 돌기(125)는 3개로 형성되며, 제 2 중앙 리벳 홀(121)을 중심으로 원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 2 외곽 돌기(125)는 제 2 외곽 리벳 홀(123)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 2 외곽 돌기(125)는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모서리 사이의 변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외곽 돌기(125)는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외곽 돌기(125)는 마찰재 플레이트(120)가 상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압입되어 돌출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120)는 제 2 외곽 돌기(125)가 형성되는 위치의 상면에 하부 방향으로 압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외곽 돌기(125)는 별도의 부재가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하면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외곽 돌기(125)는 마찰재 플레이트(120)를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결합한다. 또한, 상기 제 2 외곽 돌기(125)는 마찰 부재(110)와 마찰재 플레이트(120)가 마찰 과정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마찰 부재(110) 또는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마찰 부재(110)와 동일하게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120)는 제 3 중앙 리벳 홀(131)과 제 3 외곽 리벳 홀(133) 및 제 3 외곽 돌기 홀(135)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하면에 상면이 접촉되도록 마찰재 플레이트(120)와 결합된다.
상기 제 3 중앙 리벳 홀(131)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평면을 기준으로 중앙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제 3 중앙 리벳 홀(131)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소정 직경을 갖는 홀로 형성된다. 상기 제 3 중앙 리벳 홀(131)은 제 2 중앙 리벳 홀(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 2 중앙 리벳 홀(121)과 연결된다. 상기 제 3 중앙 리벳 홀(131)은 제 2 중앙 리벳 홀(12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120)는 제 3 중앙 리벳 홀(131)과 제 2 중앙 리벳 홀(121) 사이에 중앙 상부 단턱(131a)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중앙 리벳 홀(131)은 마찰재 플레이트(120)를 백플레이트(140)에 결합시키기 위한 중앙 리벳(160)이 관통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 3 외곽 리벳 홀(133)은 적어도 3개로 형성되며, 제 3 중앙 리벳 홀(131)을 중심으로 원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위치한다. 상기 제 3 외곽 리벳 홀(133)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외곽 리벳 홀(133)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3 외곽 리벳 홀(133)은 제 2 외곽 리벳 홀(12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3 외곽 리벳 홀(133)은 제 2 외곽 리벳 홀(123)과 연결된다. 상기 제 3 외곽 리벳 홀(133)은 제 2 외곽 리벳 홀(123)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제 3 외곽 리벳 홀(133)과 제 2 외곽 리벳 홀(123) 사이에는 외곽 상부 단턱(133a)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외곽 리벳 홀(133)은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백플레이트(140)에 결합하기 위한 외곽 리벳(170)이 관통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 3 외곽 돌기 홀(135)은 적어도 3개로 형성되며, 제 3 중앙 리벳 홀(131)을 중심으로 원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위치한다. 상기 제 3 외곽 돌기 홀(135)은 제 3 외곽 리벳 홀(133)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 3 외곽 돌기 홀(135)은 제 2 외곽 돌기(12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3 외곽 돌기 홀(135)은 제 2 외곽 돌기(125)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3 외곽 돌기 홀(135)은 제 2 외곽 돌기(125)와 억지 끼워 맞춤의 공차를 갖는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억지 끼워 맞춤의 공차는 한국공업규격 KSB 0401에서 규정하고 있는 억지 끼워 맞춤 공차일 수 있다. 상기 제 3 외곽 돌기 홀(135)에는 제 2 외곽 돌기(125)가 결합되며, 마찰 부재(110)와 마찰재 플레이트(120)가 마찰 과정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3 외곽 돌기 홀(135)과 제 2 외곽 돌기(125)는 억지 끼워 맞춤 공차로 결합되므로 마찰재 플레이트(120)가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결합 강도가 증가된다.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마찰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아 마찰 또는 충돌이 발생되지 않으며, 마찰 또는 충돌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소음을 감소시킨다.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결합 공차가 억지 끼워 맞춤보다 헐거우면 결합 강도가 낮아 마찰 과정에서 이격에 따른 마찰과 충돌로 인하여 진동 또는 소음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소정 두께의 금속 판형 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평면 형상과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장착되는 마찰 부재(110)의 개수에 따라 그 면적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제 4 중앙 리벳 홀(141) 및 제 4 외곽 리벳 홀(14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의 절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부채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에 따라 스프링강, 합금강, 특수강,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적절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마찰 부재(110)와 마찰재 플레이트(120) 및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지지한다.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부에서 상면이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제 4 중앙 리벳 홀(141)은 상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제 3 중앙 리벳 홀(131)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4 중앙 리벳 홀(141)은 전체 개수가 제 3 중앙 리벳 홀(131)의 전체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상기 제 4 중앙 리벳 홀(141)은 중앙 리벳(160)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 4 중앙 리벳 홀(141)은 제 3 중앙 리벳 홀(131)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하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제 4 중앙 리벳 홀(141)을 따라 중앙 하부 단턱(141a)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 하부 단턱(141a)은 내경이 제 4 중앙 리벳 홀(14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중앙 하부 단턱(141a)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된다.
상기 제 4 외곽 리벳 홀(143)은 상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제 3 외곽 리벳 홀(133)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4 외곽 리벳 홀(143)은 전체 개수가 제 3 외곽 리벳 홀(133)의 전체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상기 제 4 외곽 리벳 홀(143)은 외곽 리벳(170)이 결합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 4 외곽 리벳 홀(143)은 제 3 외곽 리벳 홀(133)의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4 외곽 리벳 홀(143)은 하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외곽 하부 단턱(143a)이 형성된다. 상기 외곽 하부 단턱(143a)은 내경이 제 4 외곽 리벳 홀(14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외곽 하부 단턱(143a)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콘 형상의 판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부재(150)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제 5 외곽 리벳 홀(151)을 구비하며 외측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는 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소정의 높이와 외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제 5 외곽 리벳 홀(151)로부터 외주면으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콘 형상은 원뿔 형상을 밑면에 평행인 평면으로 잘라서 생기는 두 입체도형 중 원뿔의 꼭지점을 포함하지 않는 쪽의 것과 잘린 면으로 이루어지는 도형의 형상을 의미한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제 3 외곽 리벳 홀(133)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부재(150)는 제 3 외곽 리벳 홀(133)과 동일하게 3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제 5 외곽 리벳 홀(151)이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제 3 외곽 리벳 홀(133)과 일치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50)는 제 3 중앙 리벳 홀(131)에 대응되는 단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탄성 부재(150)는 제 5 외곽 리벳 홀(151)이 제 3 중앙 리벳 홀(131)과 일치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5 외곽 리벳 홀(151)은 외곽 리벳(170)이 관통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 5 외곽 리벳 홀(151)은 제 4 외곽 리벳 홀(143)의 내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5 외곽 리벳 홀(151)은 제 4 외곽 리벳 홀(143)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0)의 외경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면적과 탄성 부재(150)의 개수에 따라 적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0)의 높이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과 백플레이트(140)의 상면 사이의 외곽 이격 높이(Ho)보다 큰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백플레이트(140) 사이에 결합될 때 탄성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지지한다.
상기 탄성 부재(150)의 경사 각도는 탄성 부재(150)의 외경과 제 5 외곽 리벳 홀(151)의 내경 및 높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강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보유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150)는 판상이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일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백플레이트(140)의 상면과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 과정에서 브레이크 디스크와 마찰 부재(110)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마찰 부재(110)가 탄성력을 갖도록 지지한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 과정에서 마찰 부재(110)의 위치별로 가해지는 하중이 상이한 경우에 마찰 부재(110)의 표면이 브레이크 디스크의 표면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마찰 부재(110)를 틸팅시킨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100)가 브레이크 디스크에 전체적으로 접촉될 때, 상기 브레이크 패드(100)의 각 위치에 있는 마찰 부재(110)는 표면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포가 서로 상이하게 된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 부재(110)를 틸팅시켜 각각의 마찰 부재(110)가 전체적으로 브레이크 디스크에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100)는 각 마찰 부재(110)가 전체적으로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되어 균일한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마찰 부재(110)와 브레이크 디스크의 국부적인 마찰과 마모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마찰 부재(110)를 3개의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 마찰 부재(110)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리벳(160)은 중앙 몸체부(161)와 중앙 머리부(163) 및 중앙 결합부(16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중앙 머리부(163)는 중앙 몸체부(161)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중앙 결합부(165)는 중앙 몸체부(16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중앙 리벳(160)은 중앙 몸체부(161)와 중앙 결합부(165) 사이에 중앙 몸체 단턱(161a)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 리벳(160)은 중앙 머리부(163)와 중앙 몸체부(161) 사이에 중앙 머리 단턱(163a)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 리벳(160)은 백플레이트(140)의 제 4 중앙 리벳 홀(141)과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제 3 중앙 리벳 홀(131) 및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제 2 중앙 리벳 홀(121)을 통하여 마찰 부재(110)의 제 1 중앙 리벳 홀(111)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중앙 리벳(160)은 중앙 결합부(165)가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 머리부(163)가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중앙 몸체부(161)는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두께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두께와 백플레이트(140)의 두께 및 탄성 부재(150)의 높이에 따라 소정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 몸체부(161)는 제 3 중앙 리벳 홀(131)과 제 4 중앙 리벳 홀(141)을 관통하며, 제 2 중앙 리벳 홀(121)을 관통하지 않는다. 상기 중앙 몸체부(161)는 중앙 리벳(160)이 결합되었을 때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과 백플레이트(140)의 상면 사이의 중앙 이격 높이(Hc)가 탄성 부재(150)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앙 몸체부(161)의 높이가 너무 크면 탄성 부재(150)가 고정되지 못하거나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지 못한다. 상기 중앙 몸체부(161)의 높이가 너무 작으면 탄성 부재(150)에 압력이 과도하게 인가되어 변형을 초래하며 탄성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중앙 몸체부(161)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제 3 중앙 리벳 홀(13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 몸체부(161)는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제 2 중앙 리벳 홀(121)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 몸체부(161)는 제 3 중앙 리벳 홀(131)을 관통하며, 제 2 중앙 리벳 홀(121)을 관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중앙 몸체부(161)는 상면 외측이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중앙 몸체부(161)는 중앙 몸체 단턱(161a)가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중앙 머리부(163)는 제 4 중앙 리벳 홀(141)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 머리부(163)는 중앙 하부 단턱(141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 머리부(163)는 중앙 하부 단턱(141a)에 삽입되어 위치한다. 상기 중앙 머리부(163)는 중앙 머리 단턱(163a)이 중앙 하부 단턱(141a)과 접촉된다. 상기 중앙 머리부(163)는 중앙 하부 단턱(141a)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 머리부(163)의 높이가 너무 크면 마찰 과정에서 중앙 머리부(163)가 백플레이트(140)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중앙 결합부(165)는 제 2 중앙 리벳 홀(12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 결합부(165)는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두께보다 큰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 결합부(165)는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리벳팅 과정에서 변형되며,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상면과 접촉된다. 상기 중앙 결합부(165)는 마찰재 플레이트(120)를 중앙 몸체부(161)의 상부에 고정한다.
상기 중앙 리벳(160)은 중앙 몸체 단턱(161a)이 중앙 상부 단턱(131a)과 접촉되면서 중앙 몸체부(161)의 상면 외측이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하면을 지지하며, 중앙 결합부(165)의 변형된 부분이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마찰재 플레이트(120)와 결합된다. 상기 중앙 리벳(160)은 중앙 몸체부(161)의 상부에 마찰재 플레이트(120)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중앙 리벳(160)은 중앙 머리 단턱(163a)이 중앙 하부 단턱(141a)과 접촉되면서 중앙 머리부(163)의 상면 외측이 중앙 하부 단턱(141a)을 지지한다.
상기 중앙 리벳(160)은 마찰 과정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 탄성 부재(150)의 탄성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백플레이트(140) 사이의 중앙 이격 높이가 유지되도록 마찰재 플레이트(120)를 고정한다. 상기 중앙 리벳(160)은 마찰 과정이 진행되면 중앙 결합부(165)가 마찰재 플레이트(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중앙 몸체부(161)와 중앙 머리부(163)가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백플레이트(1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중앙 이격 높이는 변하게 되며, 마찰 과정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된다. 상기 중앙 리벳(160)은 중앙 결합부(165)가 마찰재 플레이트(120)와 결합된 상태이므로 마찰재 플레이트(120)와 일체로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중앙 리벳(160)은 마찰 과정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백플레이트(140) 사이의 중앙 이격 높이가 변하면서 마찰재 플레이트(12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중앙 리벳(160)은 백플레이트(1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상기 외곽 리벳(170)은 외곽 몸체부(171)와 외곽 머리부(173) 및 외곽 결합부(17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외곽 머리부(173)는 외곽 몸체부(171)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외곽 결합부(175)는 외곽 몸체부(17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상기 외곽 리벳(170)은 외곽 몸체부(171)와 외곽 결합부(175) 사이에 외곽 몸체 단턱(171a)이 형성된다. 상기 외곽 리벳(170)은 외곽 머리부(173)와 외곽 몸체부(171)와 사이에 외곽 머리 단턱(173a)이 형성된다.
상기 외곽 리벳(170)은 백플레이트(140)의 제 4 외곽 리벳 홀(143)과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제 3 외곽 리벳 홀(133)을 통하여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제 2 외곽 리벳 홀(123)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외곽 리벳(170)은 외곽 결합부(175)가 상부에 위치하며 외곽 머리부(173)가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외곽 몸체부(171)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두께와 백플레이트(140)의 두께 및 탄성 부재(150)의 높이에 따라 소정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외곽 몸체부(171)는 외곽 리벳(170)이 결합되었을 때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과 백플레이트(140)의 상면 사이의 외곽 이격 높이(Ho)가 탄성 부재(150)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외곽 몸체부(171)의 높이가 너무 크면 탄성 부재(150)가 고정되지 못하거나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지 못한다. 상기 외곽 몸체부(171)의 높이가 너무 작으면 탄성 부재(150)에 압력이 과도하게 인가되어 변형을 초래하며 탄성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외곽 몸체부(171)의 높이는 중앙 몸체부(161)의 높이보다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두께만큼 작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곽 몸체부(171)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제 3 중앙 리벳 홀(131)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 몸체부(161)는 제 3 중앙 리벳 홀(131)을 관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중앙 몸체부(161)는 상면 외측이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중앙 몸체부(161)는 중앙 몸체 단턱(161a)가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외곽 머리부(173)는 제 4 중앙 리벳 홀(141)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곽 머리부(173)는 외곽 하부 단턱(143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곽 머리부(173)는 상면 외측이 외곽 하부 단턱(143a)에 접촉되도록 백플레이트(14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외곽 머리부(173)는 외곽 머리 단턱(173a)이 외곽 하부 단턱(143a)과 접촉된다. 상기 외곽 머리부(173)는 외곽 하부 단턱(143a)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외곽 머리부(173)의 높이가 너무 크면 마찰 과정에서 외곽 머리부(173)가 백플레이트(140)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외곽 결합부(175)는 제 3 중앙 리벳 홀(13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곽 결합부(175)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두께보다 큰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외곽 결합부(175)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리벳팅 과정에서 변형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상면과 접촉된다. 상기 외곽 결합부(175)는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외곽 몸체부(171)의 상부에 고정한다.
상기 외곽 리벳(170)은 외곽 몸체 단턱(171a)이 외곽 상부 단턱(133a)과 접촉되면서 외곽 몸체부(171)의 상면 외측이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을 지지하며, 외곽 결합부(175)의 변형된 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결합된다. 상기 외곽 리벳(170)은 외곽 몸체부(171)의 상부에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외곽 리벳(170)은 외곽 머리 단턱(173a)이 외곽 하부 단턱(143a)과 접촉되면서 외곽 머리부(173)의 상면 외측이 외곽 하부 단턱(143a)을 지지한다.
상기 외곽 리벳(170)은 마찰 과정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 탄성 부재(150)의 탄성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백플레이트(140)의 외곽 이격 높이가 유지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백플레이트(140)에 고정한다. 상기 외곽 이격 높이는 중앙 이격 높이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외곽 리벳(170)은 마찰 과정이 진행되면 외곽 결합부(175)가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곽 몸체부(171)와 외곽 머리부(173)가 탄성 부재(150)와 백플레이트(1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외곽 리벳(170)은 외곽 결합부(175)가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결합된 상태이므로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함께 하부로 이동한다. 상기 외곽 리벳(170)은 마찰 과정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백플레이트(140) 사이의 외곽 이격 높이가 변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외곽 이격 높이는 3개의 외곽 리벳(170)의 경우에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외곽 이격 높이는 마찰 과정에서 중앙 이격 높이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외곽 리벳(170)은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결합되므로 중앙 리벳(160)과 별개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마찰재 플레이트(120)는 제 3 외곽 돌기 홀(135)과 제 2 외곽 돌기(125)가 억지 끼워 맞춤 공차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중앙 리벳(160)과 외곽 리벳(170)은 서로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도브 테일(180)은 백플레이트(140)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도브 테일(180)은 서로 평행한 2개의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브 테일(180)은 2개의 바의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브 테일(180)은 외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내측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도브 테일(180)은 백플레이트(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브 테일(180)은 백플레이트(140)와 한 몸체로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브 테일(180)은 별도로 가공되어 백플레이트(140)에 용접될 수 있다.
상기 도브 테일(180)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브레이크 패드(100)가 사용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캘리퍼(미도시)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브 테일(180)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도브 테일(180)은 결합되는 캘리퍼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는 경우에 캘리퍼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캘리퍼의 재질보다 낮은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도브 테일(180)은 브레이크 시스템에 결합되는데 필요한 다양한 홀과 홈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브 테일(180)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판상으로 형성되므로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살빼기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100: 브레이크 패드 110: 마찰 부재
120: 마찰재 플레이트 130: 베이스 플레이트
140: 백플레이트 150: 탄성 부재
160: 중앙 리벳 170: 외곽 리벳
180: 도브 테일

Claims (9)

  1. 삭제
  2. 적어도 하나의 마찰 부재와,
    상기 마찰 부재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되며, 상면에 접합되는 상기 마찰 부재를 지지하는 마찰재 플레이트와,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백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과 백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백플레이트 사이의 중앙 이격 높이가 유지되도록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를 상기 백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중앙 리벳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백플레이트 사이의 외곽 이격 높이가 유지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백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외곽 리벳을 포함하며,
    상기 마찰 부재는 제 1 중앙 리벳 홀을 구비하며.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중앙 리벳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 2 중앙 리벳 홀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중앙 리벳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중앙 리벳 홀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 3 중앙 리벳 홀을 구비하며,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제 3 중앙 리벳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 3 중앙 리벳 홀의 내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제 4 중앙 리벳 홀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 리벳은 상기 제 3 중앙 리벳 홀과 제 4 중앙 리벳 홀을 관통하는 중앙 몸체부와, 상기 중앙 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중앙 리벳 홀을 관통하는 중앙 결합부 및 상기 제 4 중앙 리벳 홀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중앙 머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는 제 3 중앙 리벳 홀과 제 2 중앙 리벳 홀 사이에 중앙 상부 단턱이 형성하며,
    상기 백플레이트는 하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제 4 중앙 리벳 홀을 따라 중앙 하부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 리벳은 상기 중앙 몸체부와 상기 중앙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 몸체 단턱이 상기 중앙 상부 단턱에 접촉되고, 상기 중앙 머리부와 상기 중앙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 머리 단턱이 상기 중앙 하부 단턱에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리벳은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중앙 결합부가 변형되면서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를 고정하며, 상기 마찰 부재의 마찰 과정에서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와 일체로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중앙 이격 높이가 변하면서 상기 백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중앙 리벳 홀을 중심으로 원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 2 외곽 리벳 홀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외곽 리벳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외곽 리벳 홀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 3 외곽 리벳 홀을 구비하며,
    상기 백플레이트는 상기 제 3 외곽 리벳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 3 외곽 리벳 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 4 외곽 리벳 홀을 구비하며,
    상기 외곽 리벳은 상기 제 4 외곽 리벳 홀을 관통하는 외곽 몸체부와, 상기 외곽 몸체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 3 외곽 리벳 홀을 관통하는 외곽 결합부 및 상기 제 4 외곽 리벳 홀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외곽 머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제 3 외곽 리벳 홀과 제 2 외곽 리벳 홀 사이에 외곽 상부 단턱이 형성하며,
    상기 백플레이트는 하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제 4 외곽 리벳 홀을 따라 외곽 하부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외곽 리벳은 상기 외곽 몸체부와 상기 외곽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외곽 몸체 단턱이 상기 외곽 상부 단턱에 접촉되고, 상기 외곽 머리부와 상기 외곽 몸체부 사이에 형성되는 외곽 머리 단턱이 상기 외곽 하부 단턱에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리벳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외곽 결합부가 변형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하며, 상기 마찰 부재의 마찰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외곽 이격 높이가 변하면서 상기 백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중앙 리벳 홀을 중심으로 원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외곽 리벳 홀 사이에 위치하며,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외곽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외곽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홀로 형성되는 제 3 외곽 돌기 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외곽 돌기와 제 3 외곽 돌기 홀은 억지 끼워 맞춤의 공차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 3 외곽 리벳 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 3 중앙 리벳 홀에 대응되는 단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KR1020170052881A 2017-04-25 2017-04-25 브레이크 패드 KR101941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881A KR101941233B1 (ko) 2017-04-25 2017-04-25 브레이크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881A KR101941233B1 (ko) 2017-04-25 2017-04-25 브레이크 패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419A Division KR102139072B1 (ko) 2019-01-14 2019-01-14 브레이크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307A KR20180119307A (ko) 2018-11-02
KR101941233B1 true KR101941233B1 (ko) 2019-04-08

Family

ID=6432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881A KR101941233B1 (ko) 2017-04-25 2017-04-25 브레이크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879A (ko)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브레이크 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4144A (zh) * 2018-11-05 2019-01-01 山东金麒麟股份有限公司 动车组闸片
CN111322334B (zh) * 2020-03-09 2021-02-26 西南交通大学 一种融合界面和加载优化及故障监测的高速列车制动系统
KR102592879B1 (ko) * 2021-10-29 2023-10-23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탄성체와 비드를 이용한 유연 브레이크 패드
KR102641914B1 (ko) * 2021-11-12 2024-03-05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백 플레이트 보강 구조를 구비하는 브레이크 패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946B1 (ko) * 2005-01-25 2007-09-14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패드
KR101162732B1 (ko) * 2009-09-08 2012-07-09 이충열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 패드
KR101545227B1 (ko) * 2014-08-11 2015-08-19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JP6041746B2 (ja) 2013-04-18 2016-12-14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用摩擦パッド組立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946B1 (ko) * 2005-01-25 2007-09-14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패드
KR101162732B1 (ko) * 2009-09-08 2012-07-09 이충열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 패드
JP6041746B2 (ja) 2013-04-18 2016-12-14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用摩擦パッド組立体
KR101545227B1 (ko) * 2014-08-11 2015-08-19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879A (ko)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브레이크 패드
WO2022005202A1 (ko) * 2020-06-30 2022-01-06 (주)다윈프릭션 브레이크 패드
KR102495055B1 (ko) * 2020-06-30 2023-02-02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브레이크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307A (ko)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233B1 (ko) 브레이크 패드
KR20190007510A (ko) 브레이크 패드
JP5512337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
TWI621557B (zh) Brake lining for railway vehicles and disc brakes therewith
KR20110024257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패드
KR102045433B1 (ko) 철도 차량용의 브레이크 라이닝 및 그것을 이용한 철도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EP2703684B1 (en) Brake pad
JP2005530963A (ja) 車両のディスクブレーキ用のブレーキライニング
KR100784504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패드와 이의 제조방법
JP4702272B2 (ja) ブレーキパッド
JP6644869B2 (ja) 鉄道車両用のブレーキライニングおよびそれを用いた鉄道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619752B1 (ko) 저소음 제동 패드
KR20170122341A (ko) 탄성 브레이크 패드
KR102247021B1 (ko) 브레이크 패드
JP2013167263A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およ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545227B1 (ko)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EP4174340A1 (en) Brake pad
KR101162732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 패드
KR102495056B1 (ko) 브레이크 패드
KR102592879B1 (ko) 탄성체와 비드를 이용한 유연 브레이크 패드
JP4785516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
KR102641914B1 (ko) 백 플레이트 보강 구조를 구비하는 브레이크 패드
KR101957712B1 (ko) 타원형 핀을 구비한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패드 어셈블리
KR102040635B1 (ko)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패드 어셈블리
KR20240059990A (ko) 브레이크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