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021B1 - 브레이크 패드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021B1
KR102247021B1 KR1020190101889A KR20190101889A KR102247021B1 KR 102247021 B1 KR102247021 B1 KR 102247021B1 KR 1020190101889 A KR1020190101889 A KR 1020190101889A KR 20190101889 A KR20190101889 A KR 20190101889A KR 102247021 B1 KR102247021 B1 KR 102247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flow protrusion
fric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2414A (ko
Inventor
이범주
박형철
나선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Priority to KR1020190101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0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2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2069/0425Attachment methods or devices
    • F16D2069/0441Mechanical interlocking, e.g. roughened lining carrier, mating profiles on friction material and lining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마찰 부재와, 마찰 부재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마찰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마찰재 플레이트와, 마찰재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복수 개의 베이스 영역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부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 및 마찰재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마찰재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베이스 플레이트는 하면에서 하부로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돌출되며 적어도 2개의 베이스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는 베이스 유동 돌기에 의하여 백플레이트의 상면에 대하여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패드{Brake pad}
본 발명은 고속 철도용 브레이크 패드에 관한 것이다.
고속 철도 차량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패드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마찰 부재, 마찰 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가 고정된 백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어 브레이크 시스템에 장착되는 도브 테일을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고속 철도 차량의 차륜, 차축, 추진축 등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에 직접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고속 철도 차량을 제동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복수 개의 마찰 부재가 마찰 과정에서 동일한 압력으로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백플레이트를 통하여 제동에 필요한 압력이 인가되므로, 각각의 마찰 부재가 균일하게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상기 마찰 부재가 균일하게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 마찰 부재의 위치별로 마찰력의 차이와 이에 따른 국부적인 온도 상승 편차와 마모량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각각의 마찰 부재들 사이에 마모량등의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마찰 부재 별로 마모 정도의 차이가 발생되면서 수명이 단축되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측면이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균일한 접촉이 더 어려워지면서 마찰 과정에서 소음이 증가되는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은 마찰 부재가 브레이크 디스크에 균일하게 접촉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 패드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마찰 부재와, 상기 마찰 부재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마찰재 플레이트와,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복수 개의 베이스 영역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복수 개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부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 및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마찰재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하면에서 하부로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돌출되며 적어도 2개의 상기 베이스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는 베이스 유동 돌기에 의하여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면에 대하여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제 1 베이스 영역과 제 2 베이스 영역 및 제 3 베이스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유동 돌기는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과 제 2 베이스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는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 및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과 제 3 베이스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는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는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의 하부에서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의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는 상기 제 3 베이스 영역의 타측에서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영역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베이스 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는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의 상기 제 1 베이스 홀의 좌측과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의 상기 제 1 베이스 홀의 우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는 상기 제 3 베이스 영역의 상기 제 1 베이스 홀의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는 상측과 하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와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는 소정 각도를 이루며,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의 일측이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의 측부로 연장되면서 측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와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는 0.5 ∼ 2.0mm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는 하면에서 하부로 소정 곡률을 갖도록 돌출되는 막대 형상이며, 일측과 타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마찰 유동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 유동 돌기는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 유동 돌기는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유동 돌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2개의 상기 베이스 영역에 걸쳐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서 볼 때 소정의 곡률을 갖고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하부 방향으로 곡면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되는 베이스 유동 돌기가 형성되므로 제동 과정에서 인가되는 압력과 열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는 마찰 부재를 지지하는 마찰재 플레이트의 하면에도 마찰 유동 돌기가 형성되므로 마찰 과정에서 마찰재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가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유동되므로 마찰 부재의 마찰면을 브레이크 디스크에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는 마찰 부재의 마찰면이 마찰 과정에서 브레이크 디스크에 균일하게 접촉되므로 온도 편차와 마모량 편차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도 1의 C-C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D-D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브레이크 패드를 구성하는 마찰재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브레이크 패드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E-E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9의 F-F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백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브레이크 패드에 도브 테일이 장착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G-G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C-C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D-D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브레이크 패드를 구성하는 마찰재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브레이크 패드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E-E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9의 F-F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백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브레이크 패드에 도브 테일이 장착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G-G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100)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마찰 부재(110)와 마찰재 플레이트(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 및 백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패드(100)는 마찰재 고정 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패드(100)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백플레이트(140)의 하부에 결합되는 도브 테일(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브 테일(160)은 백플레이트(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브 테일(160)은 백플레이트(140)와 별개로 형성되어 백플레이트(1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100)는 제동 과정에서 마찰재 플레이트(120)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상하 방향으로 틸팅되면서 마찰 부재(110)가 브레이크 디스크에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길이 방향은, 도 9를 참조하면, x 방향을 의미하며, 폭 방향은 y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길이 방향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에서 막대가 연장되는 방향이며, 폭 방향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소정 높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평면 형상이 대략 사다리꼴인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여기서 상기 마찰 부재(11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 기둥, 삼각 기둥, 사각 기둥 또는 육각 기둥등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110)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사양과 브레이크 패드(100)의 교체 주기에 따라 소정 높이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마찰 부재 홀(111)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 홀(111)은 마찰 부재(110)의 평면을 기준으로 중앙 영역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중심에 형성된다. 상기 마찰 부재 홀(111)은 마찰 부재(11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소정 직경을 갖는 홀로 형성된다. 상기 마찰 부재 홀(111)은 마찰재 플레이트(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결합하기 위한 마찰재 고정 수단(150)을 삽입하는데 필요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 부재 홀(111)은 마찰 부재(110)의 마찰 과정에서 발생되는 입자들을 수용하여 마찰 부재(110)와 브레이크 디스크(미도시)의 마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 부재 홀(111)은 마찰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발산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접합되어 결합된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소정의 온도에서 소결되어 제조된다.
상기 마찰 부재(110)는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기지부와 기지부에 분 산되며 마찰 특성을 조절하는 금속계 또는 세라믹계를 포함하는 마찰 조정제, 흑연과 같은 윤활제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기지부와 마찰 조정재 및 윤활제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브레이크 패드(100)에 요구되는 마찰특성, 내열성, 내구성 등 제반 특성을 고려하여 재료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재료의 성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12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120)는 마찰 부재(11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들 들면,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120)는 대략 사다리꼴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120)는 마찰 부재(11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며, 상면에 접합되는 마찰 부재(110)를 지지한다.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120)는 마찰 플레이트 홀(121) 및 마찰 플레이트 돌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120)는 마찰 유동 돌기(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찰 플레이트 돌기(122)와 마찰 유동 돌기(123)는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추가로 베이스 유동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마찰 플레이트 홀(121)은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평면을 기준으로 중앙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마찰 플레이트 홀(121)은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소정 직경을 갖는 홀로 형성된다. 상기 마찰 플레이트 홀(121)은 마찰 부재 홀(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마찰 부재 홀(111)과 연결된다. 상기 마찰 플레이트 홀(121)은 마찰재 플레이트(120)를 백플레이트(140)에 고정하기 위한 마찰재 고정 수단(150)이 관통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마찰 플레이트 돌기(122)는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 플레이트 돌기(122)는 평면 형상이 원형인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 플레이트 돌기(122)는 2개가 마찰 플레이트 홀(121)을 중심으로 길이 방향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찰 플레이트 돌기(122)는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결합되어 제동 과정에서 마찰 부재(11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하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하면이 측면에서 봤을 때 소정 곡률을 갖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측면에서 봤을 때 하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평면 형상을 기준으로 소정 길이와 폭을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하면에서 전체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폭 방향의 양측 단부가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하면과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길이 방향의 단부에서는 단차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폭 방향의 양측 단부의 모서리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폭 방향으로 따라 하면과 측면이 만나는 부분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하면이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곡률에 따라 일측과 타측이 상하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제동 과정에서 마찰 부재(110)에 편하중이 가해질 때 곡률에 따라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마찰 부재(110)가 전체적으로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평면을 기준으로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강도를 증가시키므로 중앙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마찰 부재(110)에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마찰재 플레이트(120)가 과도하게 변형되거나 소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돌출되는 높이가 0.5 ∼ 2.0mm일 수 있다.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마찰 부재(110)를 유동시키는 정도가 작게 되어 마찰 부재(110)가 브레이크 디스크에 균일하게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마찰 부재(110)를 유동시키는 정도가 너무 크게 되어 마찰 부재(110)가 더 불균일하게 접촉되는 역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브레이크 패드(100)의 전체 높이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마찰재와 하부 구조의 높이 설계에 제약을 받게 될 수 있다.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상면에서 마찰 유동 돌기(123)의 면적에 대응되는 영역이 압입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하면에서 마찰 유동 돌기(123)를 제외한 영역이 압축되거나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상면에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하면이 접촉되도록 마찰재 플레이트(120)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적어도 3개의 마찰재 플레이트(120)가 서로 이격되면서 안착되는데 필요한 면적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3개의 마찰재 플레이트(120)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안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마찰재 플레이트(120)가 안착되는 적어도 복수개의 베이스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마찰재 플레이트(120)가 안착되는 제 1 베이스 영역(130a)과 제 2 베이스 영역(130b) 및 제 3 베이스 영역(130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130a)과 제 2 베이스 영역(130b)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제 1 베이스 영역(130a)과 제 3 베이스 영역(130c)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130a)과 제 2 베이스 영역(130b) 및 제 3 베이스 영역(130c)은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130a)과 제 2 베이스 영역(130b) 및 제 3 베이스 영역(130c)은 각각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대략 평행사변형꼴 형상에서 타측 상부가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130a)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일측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130b)은 제 1 베이스 영역(130a)과 폭 방향의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130b)은 제 1 베이스 영역(130a)과 동일하게 사다리꼴의 단변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 3 베이스 영역(130c)은 제 1 베이스 영역(130a)과 길이 방향의 타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3 베이스 영역(130c)은 제 1 베이스 영역(130a)과 반대로 사다리꼴의 단변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130a)과 제 3 베이스 영역(130c)은 단변과 장변이 서로 반대로 위치하면서 전체적으로 평행사변형꼴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130a)과 제 2 베이스 영역(130b) 및 제 3 베이스 영역(130c)은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제 1 베이스 홀(131)과 제 2 베이스 홀(132)과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 및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를 포함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와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가 공통되는 특성을 가지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될 때, 베이스 유동 돌기의 명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유동 돌기는 적어도 2개의 베이스 영역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유동 돌기는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평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2개의 베이스 영역에 걸쳐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서 볼 때 소정의 곡률을 갖고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제 1 베이스 영역(130a)과 제 2 베이스 영역(130b)에 걸쳐서 형성되고,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제 1 베이스 영역(130a)과 제 3 베이스 영역(130c)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와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제 1 베이스 영역(130a)을 공동 영역으로 하며, 각각 제 2 베이스 영역(130b)과 제 3 베이스 영역(130c)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와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선택적으로 형성되거나 추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홀(131)과 제 2 베이스 홀(132)은 제 1 베이스 영역(130a)과 제 2 베이스 영역(130b) 및 제 3 베이스 영역(130c)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 1 베이스 홀(131)과 제 2 베이스 홀(132)은 제 1 베이스 영역(130a)에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1 베이스 홀(131)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평면을 기준으로 제 1 베이스 영역(130a)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홀(131)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소정 직경을 갖는 홀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베이스 홀(131)은 마찰재 고정 수단(150)이 관통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 2 베이스 홀(132)은 제 1 베이스 홀(131)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베이스 홀(132)은 2개가 제 1 베이스 홀(131)을 중심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홀(132)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베이스 홀(132)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홀(132)은 마찰재 플레이트(120)가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결합될 때, 마찰 플레이트 돌기(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베이스 홀(132)은 마찰 플레이트 돌기(12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마찰 플레이트 돌기(122)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베이스 홀(132)은 원형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베이스 홀(132)은 마찰 플레이트 돌기(122)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홀(132)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상부에 마찰재 플레이트(120)가 결합될 때, 마찰 플레이트 돌기(122)가 상부로부터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베이스 홀(132)과 마찰 플레이트 돌기(122)는 서로 결합되어 제동 과정에서 마찰 부재(11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평면을 기준으로 소정 길이와 폭을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베이스 영역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2개의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치우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폭 방향으로 제 1 베이스 영역(130a)의 하부에서 제 2 베이스 영역(130b)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제 1 베이스 영역(130a)의 하부에 위치하는 장변과 제 2 베이스 영역(130b)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제 1 베이스 영역(130a)의 제 1 베이스 홀(131)의 좌측과 제 2 베이스 영역(130b)의 제 1 베이스 홀(131)의 우측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마찰 유동 돌기(123)와 소정 각도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마찰 유동 돌기(123)와 함께 마찰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마찰재 유동 돌기와 함께 작용함으로써 각각 단독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비해 마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균일 압력에 대한 마찰재의 유동도를 증가 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측면에서 볼 때 상측과 하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측면 형상이 소정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측면에서 볼 때 하부의 백플레이트(140)와 접하는 부분이 전체적으로 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길이 방향에 대한 폭 방향으로는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폭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폭 방향으로의 양측 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과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서는 폭 방향으로의 양측 단부가 단차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폭 방향의 양측 단부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백플레이트(140)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곡률에 따라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제동 과정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도 9에 도시된 폭 방향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상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제동 과정에서 집중 하중을 분산시켜 마찰 부재(110)가 전체적으로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막대 형태의 돌기로 형성되므로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제동 과정에서 제동 압력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과도하게 변형되거나 소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돌출되는 최대 높이가 0.5 ∼ 2.0mm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의 최대 높이는 돌출되는 높이가 가장 높은 위치의 높이를 의미하며, 중앙부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의 최대 높이가 너무 낮으면 마찰 부재(110)를 유동시키는 정도가 작게 되어 마찰 부재(110)가 균일한 접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의 최대 높이가 너무 높으면, 브레이크 패드(100)의 전체 높이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마찰재의 하부 구조의 높이 설계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상면에서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의 면적에 대응되는 영역이 압입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유동 돌기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에서 마찰 유동 돌기(123)를 제외한 영역이 압축되거나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가 형성되는 영역의 상면이 하부로 연장되는 홈 형상을 이루거나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평면을 기준으로 소정 길이와 폭을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제 1 베이스 영역(130a)의 일부와 제 3 베이스 영역(130c)에 걸쳐서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제 3 베이스 영역(130c)의 타측에서 제 1 베이스 영역(130a)에 위치하는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의 측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평면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3)는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를 관통하여 교차하거나 간격을 두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의 일측은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의 타측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제 3 베이스 영역(130c)의 제 1 베이스 홀(131)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마찰 유동 돌기(123)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찰 유동 돌기(123)와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마찰 유동 돌기(123)와 상하로 위치하지 않고 서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마찰 유동 돌기(123)와 함께 마찰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제 3 베이스 영역(130c)의 타측에서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측면에서 봤을 때 소정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와 마찬가지로 소정 곡률을 갖도록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하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폭 방향으로는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폭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폭 방향의 양측 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과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폭 방향의 양측 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백플레이트(140)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와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제동 과정에서 유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제동 과정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길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상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제동 과정에서 집중 하중을 분산시켜 마찰 부재(110)가 전체적으로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막대 형태의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제동 과정에서 제동 압력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과도하게 변형되거나 소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돌출되는 최대 높이가 0.5 ∼ 2.0mm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의 최대 높이는 돌출되는 높이가 가장 높은 위치의 높이를 의미하며, 일단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일측의 높이가 인접한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의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의 최대 높이가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의 높이보다 너무 낮거나 높으면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와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 사이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마찰 부재(110)가 부드럽게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가 형성되는 영역의 상면이 하부로 연장되는 홈 형상을 이루거나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상면에서 베이스 유동 돌기의 면적에 대응되는 영역이 압입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 유동 돌기(123)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에서 마찰 유동 돌기(123)를 제외한 영역이 압축되거나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소정 두께의 금속 판형 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평면 형상과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의 절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부채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장착되는 마찰 부재(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개수에 따라 그 면적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마찰 부재(110)와 마찰재 플레이트(120) 및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지지한다. 상기 백플레이트(140)의 상면은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133)와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134)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하면과 베이스 유동 돌기의 높이에 대응되는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백플레이트 홀(141)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백플레이트 홀(141)은 복수 개가 백플레이트(14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백플레이트 홀(141)은 상면에 결합되는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형성되는 제 1 베이스 홀(13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백플레이트 홀(141)은 제 1 베이스 홀(131)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백플레이트 홀(141)은 마찰재 고정 수단(150)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하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백플레이트 홀(141)의 내주면에 단턱(14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큰 직경을 갖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140)의 단턱(141a)은 내경이 백플레이트 홀(14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40)의 단턱(141a)은 백플레이트(140)의 하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마찰재 고정 수단(150)은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마찰 플레이트 홀(121)과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제 1 베이스 홀(131) 및 백플레이트(140)의 백플레이트 홀(141)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즉, 상기 마찰재 고정 수단(150)은 마찰재 플레이트(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 및 백플레이트(140)를 결합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마찰재 고정 수단(150)은 마찰재 플레이트(12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재 고정 수단(150)은 각각의 마찰재 플레이트(120)를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결합시키면서,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백플레이트(14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마찰재 고정 수단(150)은 고정 핀과 같은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재 고정 수단(150)은 고정 핀의 하부에 결합되는 클립(1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151)은 백플레이트(140)의 백플레이트 홀(141)로 노출되는 고정 핀에 결합되어 고정 핀을 백플레이트(140)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 핀은 클립(151)이 안착되는 안착 홈(15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재 고정 수단(150)은 마찰재 플레이트(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백플레이트(140)에 결합시킨다.
상기 도브 테일(160)은,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백플레이트(140)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도브 테일(160)은 서로 평행한 2개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브 테일(160)은 2개의 막대의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브 테일(160)은 외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내측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도브 테일(160)은 백플레이트(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브 테일(160)은 백플레이트(140)와 한 몸체로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브 테일(160)은 별도로 가공되어 백플레이트(14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도브 테일(160)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브레이크 패드(100)가 사용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캘리퍼(미도시)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브 테일(160)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도브 테일(160)은 결합되는 캘리퍼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는 경우에 캘리퍼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캘리퍼의 재질보다 낮은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실시 가능한 다양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100: 브레이크 패드
110: 마찰 부재 111: 마찰 부재 홀
120: 마찰재 플레이트 121: 마찰 플레이트 홀
122: 마찰 플레이트 돌기 123: 마찰 유동 돌기
130: 베이스 플레이트
130a: 제 1 베이스 영역 130b: 제 2 베이스 영역
130c: 제 3 베이스 영역
131: 제 1 베이스 홀 132: 제 2 베이스 홀
133: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 134: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
140: 백플레이트 141: 백플레이트 홀
141a: 백플레이트의 단턱 150: 마찰재 고정 수단
150a: 안착 홈 151: 클립
160: 도브 테일

Claims (11)

  1.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마찰 부재와,
    상기 마찰 부재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 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마찰재 플레이트와,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복수 개의 베이스 영역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복수 개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부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 및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마찰재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하면에서 하부로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돌출되며 적어도 2개의 상기 베이스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는 베이스 유동 돌기에 의하여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면에 대하여 유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제 1 베이스 영역과 제 2 베이스 영역 및 제 3 베이스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유동 돌기는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과 제 2 베이스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는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 및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과 제 3 베이스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는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는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의 하부에서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의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는 상기 제 3 베이스 영역의 타측에서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영역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베이스 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는 상기 제 1 베이스 영역의 상기 제 1 베이스 홀의 좌측과 상기 제 2 베이스 영역의 상기 제 1 베이스 홀의 우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는 상기 제 3 베이스 영역의 상기 제 1 베이스 홀의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는 상측과 하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와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는 소정 각도를 이루며,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의 일측이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의 측부로 연장되면서 측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유동 돌기와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는 0.5 ∼ 2.0mm의 최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는 하면에서 하부로 소정 곡률을 갖도록 돌출되는 막대 형상이며, 일측과 타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마찰 유동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유동 돌기는 상기 마찰재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유동 돌기는 상기 제 2 베이스 유동 돌기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동 돌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2개의 상기 베이스 영역에 걸쳐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서 볼 때 소정의 곡률을 갖고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
KR1020190101889A 2019-08-20 2019-08-20 브레이크 패드 KR102247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889A KR102247021B1 (ko) 2019-08-20 2019-08-20 브레이크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889A KR102247021B1 (ko) 2019-08-20 2019-08-20 브레이크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414A KR20210022414A (ko) 2021-03-03
KR102247021B1 true KR102247021B1 (ko) 2021-04-30

Family

ID=7515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889A KR102247021B1 (ko) 2019-08-20 2019-08-20 브레이크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0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056B1 (ko) * 2021-09-24 2023-02-06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브레이크 패드
KR102592879B1 (ko) * 2021-10-29 2023-10-23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탄성체와 비드를 이용한 유연 브레이크 패드
KR102641914B1 (ko) * 2021-11-12 2024-03-05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백 플레이트 보강 구조를 구비하는 브레이크 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8781A (ja) 2006-12-01 2008-06-19 Sumitomo Denko Brake Systems Kk ブレーキパッドとそのパッドのライニングの研磨方法
JP2009008270A (ja) 2005-01-10 2009-01-15 Cofren Srl 特に鉄道分野で使用される、摩擦要素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パッドの改良
KR101772609B1 (ko) 2017-02-13 2017-08-3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시소 구조를 이용한 철도차량용 브레이크 패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M20120542A1 (it) * 2012-11-07 2014-05-08 Cofren Srl Pattino per freni a disco per veicoli ferroviari
DE102014119489B4 (de) * 2014-12-23 2016-11-03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Bremsbelag für eine Teilbelag-Scheibenbremse und Anordnung eines Bremsbelags an einem Belaghalter
KR102139072B1 (ko) * 2019-01-14 2020-08-11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브레이크 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8270A (ja) 2005-01-10 2009-01-15 Cofren Srl 特に鉄道分野で使用される、摩擦要素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パッドの改良
JP2008138781A (ja) 2006-12-01 2008-06-19 Sumitomo Denko Brake Systems Kk ブレーキパッドとそのパッドのライニングの研磨方法
KR101772609B1 (ko) 2017-02-13 2017-08-3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시소 구조를 이용한 철도차량용 브레이크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414A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021B1 (ko) 브레이크 패드
KR101373762B1 (ko) 브레이크 패드
KR101427501B1 (ko) 철도 차량용 브레이크 라이닝
JP5706237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およ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941233B1 (ko) 브레이크 패드
KR102139072B1 (ko) 브레이크 패드
KR101772609B1 (ko) 시소 구조를 이용한 철도차량용 브레이크 패드
JP6601505B2 (ja) 鉄道車両用のブレーキライニングおよびそれを用いた鉄道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CN110486399B (zh) 用于铁路车辆的盘式制动器的垫
KR20110024257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패드
JP6567084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およ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6532062A (ja) 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のブレーキパッドセット
JP6773670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およ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545227B1 (ko)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TWI727445B (zh) 鐵道車輛用煞車碟盤的安裝構造及使用該安裝構造的煞車碟盤單元
KR20170122341A (ko) 탄성 브레이크 패드
KR102641914B1 (ko) 백 플레이트 보강 구조를 구비하는 브레이크 패드
CN111836976B (zh) 制动钳的拉杆装置的布置和制动钳
KR102495056B1 (ko) 브레이크 패드
KR102047318B1 (ko) 고무 댐퍼를 구비한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패드 어셈블리
CN113864368B (zh) 制动片
KR101162732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 패드
KR102592879B1 (ko) 탄성체와 비드를 이용한 유연 브레이크 패드
JP4785516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
US20050023088A1 (en) Torque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