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752B1 - 저소음 제동 패드 - Google Patents

저소음 제동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752B1
KR101619752B1 KR1020140063125A KR20140063125A KR101619752B1 KR 101619752 B1 KR101619752 B1 KR 101619752B1 KR 1020140063125 A KR1020140063125 A KR 1020140063125A KR 20140063125 A KR20140063125 A KR 20140063125A KR 101619752 B1 KR101619752 B1 KR 101619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material
friction
buffer space
back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925A (ko
Inventor
구병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63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75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5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5/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es with substantially 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차량용 제동(브레이크)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에 마찰면이 형성된 다수개의 마찰재와, 상기 마찰재의 하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마찰재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결합홈이 배치된 판상 구조의 마찰재 지지판과, 상기 마찰재 지지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면에는 완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완충공간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마찰재 지지판의 하면을 밀착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부가 상향 돌출된 백플레이트, 및 상기 백플레이트 하면에 결합되는 브래킷으로 구성됨으로써, 구조가 견고하며, 완충공간을 통해 진동 전달을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찰재의 유연성을 증대시켜 마찰면 사이의 원활한 접촉은 물론 균일한 압력 분포를 확보하여 반복적인 충격 하중이나 고온 및 진동 등에 의해서도 안정된 제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저소음 제동 패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소음 제동 패드{Low noise brake pad}
본 발명은 철도 차량용 제동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찰판을 가압하여 접촉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철도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마찰재가 구비된 대용량의 고성능 제동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용 제동 패드(Brake Pad)는 차량의 차축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찰판에 밀착됨으로써,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마찰열 에너지로 소산시켜 차량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제동 패드는 열 하중과 기계적 하중이 동시에 가해지기 때문에 비틀림 변형, 열팽창, 수축 작용 등을 받게 될 뿐 아니라, 열 충격은 물론 반복적인 충격 하중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는 것이다.
특히 고속화 추세로 가고 있는 현재의 철도 차량에서는 마찰 제동력이 우수한 대용량의 고성능 브레이크 디스크와 제동 패드에 대한 요구가 한층 더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동 패드는 마찰재, 마찰재와 결합되어 마찰재를 지지하는 마찰재 지지판, 및 마찰재와 마찰재 지지판을 보강하며 브래킷이 취부되는 백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공압, 유압 또는 전자기력 등의 힘으로 상기 백플레이트에 압력을 부가하면 제동 패드는 브레이크 디스크 쪽으로 이동하여 마찰재 면이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찰면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마찰재 면과 디스크 면 사이에서의 마찰에 의해 마찰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소진시켜 차량을 정지시키게 된다.
특히 철도차량, 항공기, 대형 차량은 운행 시 큰 운동에너지를 가지므로 제동을 체결하여 운동을 멈추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고성능 제동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제동 장치는 운동에너지를 마찰에 의한 열에너지로 소진시키는 것이므로, 충분한 마찰계수를 가져야 함은 물론 고온에서도 안정된 마찰계수를 유지하고 내마모성도 우수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가 많이 채용되고 있다.
이하 도 1과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제동 패드를 간략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종래의 제동 패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제동 패드(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150), 마찰재 지지판(130), 마찰재(110), 및 브래킷(17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동 패드(100)는 제동 작동시 마찰재(110) 상부의 마찰면(115)이 브레이크 디스크(도시하지 않음)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제동 패드는 상하, 좌우, 전후 방향으로의 변형에 대한 유연성이 부족하여 봉 형태의 마찰재 상면 전체가 브레이크 디스크 면과 균일하게 접촉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일부 마찰재는 접촉압력이 높고, 일부 마찰재는 접촉압력이 낮아 접촉의 불안정에 기인하여 편마모를 유발하게 됨으로써, 과도한 소음 및 진동의 발생원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찰재와 마찰재 지지판, 혹은 마찰재 지지판과 백플레이트 사이에 스프링을 넣어 마찰재가 브레이크 디스크의 표면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크와 마찰재가 균일한 접촉을 이루도록 하는 제안들이 있지만, 이와 같이 스프링을 삽입하는 경우 마찰재의 변형에 대한 유연성은 일부 확보할 수 있지만 구조가 복잡해질 뿐 아니라, 마찰재와 마찰재 지지판의 결합강도가 충분하지 못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하게 되고, 또한 스프링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이 공간에 비례하여 마찰재의 길이를 짧게 하여야 하므로 브레이크 패드의 수명이 현저히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으로 마찰재를 지지하기에는 강도가 부족하고, 스프링이 고온의 마찰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스프링이 탄성을 잃어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은 물론 구조가 복잡하고 강성이 약하여 진동과 소음이 커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27449(2006.12.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백플레이트에 완충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지지부가 마찰재 하부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제동시 발생하는 진동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마찰재가 전후, 좌우는 물론 상하 방향으로도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여 마찰면에서의 원활한 접촉과 균일한 압력분포를 가지도록 하며, 셋째, 제진재를 설치하여 진동과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 또는 억제할 수 있도록 하고, 넷째,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증대시킨 저소음 제동 패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에 마찰면이 형성된 일정 높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마찰재와, 상기 마찰재의 하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마찰재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결합홈이 배치된 판상 구조의 마찰재 지지판과, 상기 마찰재 지지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면에는 완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완충공간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마찰재 지지판의 하면을 밀착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부가 상향 돌출된 백플레이트, 및 상기 백플레이트 하면에 결합되는 브래킷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마찰재와 동일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면은 상기 마찰재의 하면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지지부는 일정 높이의 원기둥 또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면을 가지는 다각형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부는 일정 높이의 원추형 또는 사다리형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백플레이트의 완충공간에는 금속계 또는 고무계의 제진재가 삽입 설치되어 상기 마찰재 지지판의 하면을 밀착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계 제진재는 마그네슘, 마그네슘합금, Al-Zn, Ni-Ti, Cu-Zn, Cu-Al-Ti, Mn-Cu, Cu-Al-Zn, Fe-Cr-Al, Fe-Mn-Si, 또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양단이 상기 백플레이트의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양측면이 닫힌 밀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브래킷은 사다리형 구조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백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완충공간과 제진재를 통해 제동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차단할 수 있어 제동 패드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마찰재의 유연성 확보를 통해 마찰면의 균일한 압력분포를 유도할 수 있어 고온으로 인한 열충격이나 반복적인 충격하중 등에 의해서도 제동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과 강성 확보로 내구성 증대는 물론 제작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동 패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제동 패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저소음 제동 패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저소음 제동 패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저소음 제동 패드에 제진재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제동 패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저소음 제동 패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저소음 제동 패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소음 제동 패드(1)는 마찰재(10), 마찰재 지지판(30), 백플레이트(50), 및 브래킷(7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마찰재(10)는 상단에 형성된 마찰면(15)이 제동 디스크(Brake Disc)(도시하지 않음)에 밀착되어 마찰열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마찰열 에너지로 소산시켜 차량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의 원기둥 모양으로 구비된다.
이때 각각의 마찰재(10)는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마찰면(15)이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하면 전체가 마찰재 지지판(3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마찰재(10)의 배치구조 또는 개수나 높이, 직경 등은 제동장치의 크기와 특성 또는 사용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찰재(10)는 제동 디스크에 밀착되어 마찰열을 발생시켜야 하는 특성상 마찰 및 마모 성능이 우수하고 열전달 특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한데, 양호한 내열성도 요구되므로 금속계 소결재나 탄소 복합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금속계 소결재로서 철계 소결재는 철(Fe)을 기지금속으로 하고 구리, 니켈, 망간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흑연, 황산바륨, 실리콘 산화물을 첨가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금속계 소결재로서 동계 소결재는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고 철, 니켈, 망간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고, 마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흑연, 황산바륨, 실리콘 산화물을 첨가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탄소 복합재는 탄소기지에 탄소섬유를 보강한 탄소/탄소 복합재에 규소(Si)나 구리(Cu)를 함침시켜 탄소/탄소-SiC 복합재 혹은 탄소/탄소-Cu 복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은 마찰, 마모 특성, 내열성, 진동, 소음 성능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성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마찰재 지지판(30)은 강재로 구성되며 일정 면적을 가지는 판상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마찰재 지지판(30)은 마찰재(10)와 소결 공정에서 결합되고, 이때 마찰재(10)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소결 전 구리 도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마찰재 지지판(30)은 상부면에 각각 결합된 다수개의 마찰재(10)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마찰재 지지판(30)의 상부면에는 마찰재(10)의 하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결합홈(35)이 일정 깊이로 설치된다.
결합홈(35)은 마찰재(10)와 동일한 일정 깊이의 원형 홈 형상으로 설치되며, 마찰재(10)의 배치를 고려하여 마찰재 지지판(30)에 다수개를 이격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결함홈(35)은 마찰재(10)와 동일한 원형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재(10)의 하부가 삽입 결합되었을 때에, 바닥면 전체가 마찰재의 하면 전체에 밀착되어 마찰재(10)를 지지하게 된다.
마찰재(10)는 접착제나 용융접합을 이용하여 하측부를 결합홈(35)에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백플레이트(50)는 마찰재 지지판(30)의 하측부에 결합되어 마찰재(10)와 마찰재 지지판(30) 및 하기에서 설명하는 브래킷(70)을 보강하는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마찰재 지지판(30)과 동일한 외형의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백플레이트(50)는 강재로 구성되며, 마찰재 지지판(30)과 스폿 용접(spot welding) 또는 리벳팅(riveting)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제동장치의 크기와 특성에 따라 다양한 외형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백플레이트(50)는 제동 작동시 마찰재(10)와 제동 디스크의 마찰에 의한 진동이 브래킷(70)을 통해 이들과 접촉하는 제동 캘리퍼(도시하지 않음)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동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따라서 백플레이트(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마찰재(10)의 하측면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한 반경 내부 영역과 가장자리에서 마찰재 지지판(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완충공간(52)을 형성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지지부(55)가 설치된다.
여기서 완충공간(5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50)의 상부면에 일정 폭의 테두리가 형성되도록 일정 깊이로 홈을 형성하여 마찰재 지지판(30)의 하면과 백플레이트(50) 상면이 일정 범위 내에서 서로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완충공간(52)에는 다수개의 지지부(55)가 상향 돌출 되도록 설치되고,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5)는 완충공간(52)의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지지부(55)는 마찰재 지지판(30)의 결합홈(35)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마찰재 지지판(30)의 하면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부(55)는 마찰재(10)와 동일 중심선 상에 배치되며, 마찰재(10)와 마찬가지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55)의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면은 마찰재(10)의 하면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마찰재(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마찰재(10)는 하면의 중심부만 일부 지지되고, 다른 부분은 완충공간(52)에 접하게 됨으로써, 제동 작동시의 충격 하중이나 반복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마찰재(10)가 전후, 좌우는 물론 상하 방향으로도 변형하는 것이 가능해져 유연성을 가지게 되고, 이로 인해 진동과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지지부(55)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기둥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5a)를 원추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지지부(55a)의 상단부가 마찰재(10)의 중심선 상에서 마찰재 지지판(30)과 점접촉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지지부(55a)의 상부 꼭지점은 일정 반경을 가지는 구형으로 형성하여 접촉부에서 두 판이 약간의 손상을 입는 구조로 하는 것이 좋지만, 여기서 그 구조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동 패드(1)는 마찰재 지지판(30)과 지지부(55a)의 접촉부가 점접촉을 구성하게 되어 진동의 전달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5b)는 상단면이 마찰재 지지판(30)과 면접촉이 일어나도록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의 지지부(55b)도 마찰재(10)의 중심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마찰재(10)의 하면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면접촉이 되도록 한다.
그러나 지지부(55,55a,55b)는 상기와 같은 원기둥, 원추형, 또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면이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을 가지도록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면이 연속 형성되는 다각형 기둥으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브래킷(bracket)(70)은 백플레이트(50)의 하면에 결합되며, 제동 패드(1)를 제동장치의 캘리퍼(calliper)(도시하지 않음)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브래킷(70)은 강재로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도브테일(dovetail) 형상으로 구성되지 않고, 양측면이 닫힌 밀폐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도브테일(dovetail) 형상의 브래킷은 도면 2에서 보듯이 브래킷(160)의 양측부가 구속되지 않는 평판 형상이어서 강성이 약하고 진동 발생에 매우 취약한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브래킷(70)은 양단이 상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백플레이트(50)의 하면에 대칭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양측부가 닫힌(밀폐된) 사다리꼴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강성 증대와 진동 억제에 매우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한편 브래킷(70)은 강재로 구성되며 백플레이트(50)와 용접(welding), 리벳(rivet) 혹은 볼트로 연결되지만, 여기서 그 결합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체결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저소음 제동 패드에 제진재가 설치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저소음 제동 패드에 제진재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 내지 6의 실시예와 제진재의 구성 외에는 동일하므로 변경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50)에 형성된 완충공간(52)에는 제진재(60)가 삽입 설치된다.
제진재(60)는 제동 작동시 마찰재(10)의 진동과 소음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흡수 또는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완충공간(52)에 상응하도록 일정 두께의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되, 지지부(55)가 관통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진재(60)는 완충공간(52)에 유격없이 채워지도록 삽입 결합하여 상면 전체가 마찰재 지지판(30)의 하면에 밀착되어 마찰재(10)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진재(60)는 금속계 또는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고온용 고무계의 제진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동 패드(1)의 마찰재(10)는 상용 제동 시는 100℃ 이상, 비상 제동 시는 500℃ 이상까지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반복하여 열적, 기계적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고온용 고무계 제진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계 제진재(20)는 마그네슘, 마그네슘합금, Al-Zn, Ni-Ti, Cu-Zn, Cu-Al-Ti, Mn-Cu, Cu-Al-Zn, Fe-Cr-Al, Fe-Mn-Si 기타 형상기억합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은 내부 마찰이 커 변형과 복원 과정에서 에너지를 소진시켜 진동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고무계 제진재로는 천연고무, 스틸렌고무, 니트릴고무, 부틸고무, 우레탄고무 등 다양한 고무가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실리콘고무, 불소고무, 아크릴고무는 저온과 고온에서도 그 특성을 잘 유지하므로 제동 패드(1)의 제진재(60)로서 적절하다.
또한 제진 효과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제진재(60)와 마찰재 지지판(30) 그리고 백플레이트(50)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백플레이트(50)에 완충공간(52)을 형성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지지부(55)가 마찰재(10) 하부를 국부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마찰재(10)가 전후, 좌우는 물론 상하 방향으로도 유연성을 가지게 되어 제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우수한 제진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되고, 또한 고온으로 인한 열충격이나 반복적인 충격하중에 의한 제진 성능 저하를 차단하여 제동 패드(1)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진재(60)가 마찰재 지지판(30)의 하면을 밀착 지지하게 됨으로써, 진동이나 소음 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구조가 단순하고 견고하여 제작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0 : 제동 패드
10,110 : 마찰재 15,115 : 마찰면
30,130 : 마찰재 지지판
35 : 결합홈 50,150 : 백플레이트
52 : 완충공간 55 : 지지부
60 : 제진재 70,170 : 브래킷

Claims (9)

  1. 상단에 마찰면이 형성된 일정 높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마찰재;
    상기 마찰재의 하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마찰재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결합홈을 이격 배치하되, 상기 결합홈의 바닥면 전체가 상기 마찰재의 하면 전체에 밀착되어 상기 마찰재를 지지하는 판상 구조의 마찰재 지지판;
    상기 마찰재 지지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면에는 둘레를 따라 테두리가 형성되도록 일정 깊이의 홈 형상의 완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공간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마찰재 지지판의 하면을 밀착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완충공간의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향 돌출되도록 구비된 백플레이트; 및
    상기 백플레이트 하면에 결합되는 브래킷;으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마찰재와 동일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면은 상기 마찰재의 하면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백플레이트의 완충공간에는 금속계 또는 고무계의 제진재를 삽입 설치하되, 상기 제진재는 상기 지지부를 제외한 상기 완충공간 전체에 유격없이 채워지도록 설치되어 상면 전체가 상기 마찰재 지지판의 하면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제동 패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정 높이의 원기둥 또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면을 가지는 다각형 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제동 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정 높이의 원추형 또는 사다리형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제동 패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계 제진재는 마그네슘, 마그네슘합금, Al-Zn, Ni-Ti, Cu-Zn, Cu-Al-Ti, Mn-Cu, Cu-Al-Zn, Fe-Cr-Al, Fe-Mn-Si, 또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제동 패드.
  8. 제1항, 제4항,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양단이 상기 백플레이트의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양측면이 닫힌 밀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제동 패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사다리형 구조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제동 패드.
KR1020140063125A 2014-05-26 2014-05-26 저소음 제동 패드 KR101619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125A KR101619752B1 (ko) 2014-05-26 2014-05-26 저소음 제동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125A KR101619752B1 (ko) 2014-05-26 2014-05-26 저소음 제동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925A KR20150135925A (ko) 2015-12-04
KR101619752B1 true KR101619752B1 (ko) 2016-05-12

Family

ID=5486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125A KR101619752B1 (ko) 2014-05-26 2014-05-26 저소음 제동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7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388B1 (ko) * 2016-12-23 2018-09-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
KR20190027535A (ko) 2017-09-07 2019-03-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회전방향 자유도를 갖는 철도차량용 시소타입 제동패드
KR20190081400A (ko) * 2017-12-29 2019-07-09 상신브레이크주식회사 고무 댐퍼를 구비한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패드 어셈블리
KR20220049382A (ko) 2020-10-14 2022-04-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완만한 곡면을 갖는 철도차량용 시소타입 제동패드
KR20220049837A (ko) 2020-10-15 2022-04-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중 레일 곡면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시소타입 제동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0285A (zh) * 2018-09-28 2019-02-15 贵州新安航空机械有限责任公司 可拆卸刹车块的闸片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8781A (ja) 2006-12-01 2008-06-19 Sumitomo Denko Brake Systems Kk ブレーキパッドとそのパッドのライニングの研磨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8781A (ja) 2006-12-01 2008-06-19 Sumitomo Denko Brake Systems Kk ブレーキパッドとそのパッドのライニングの研磨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388B1 (ko) * 2016-12-23 2018-09-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
KR20190027535A (ko) 2017-09-07 2019-03-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회전방향 자유도를 갖는 철도차량용 시소타입 제동패드
KR20190081400A (ko) * 2017-12-29 2019-07-09 상신브레이크주식회사 고무 댐퍼를 구비한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패드 어셈블리
KR102047318B1 (ko) 2017-12-29 2019-11-21 상신브레이크 주식회사 고무 댐퍼를 구비한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패드 어셈블리
KR20220049382A (ko) 2020-10-14 2022-04-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완만한 곡면을 갖는 철도차량용 시소타입 제동패드
KR20220049837A (ko) 2020-10-15 2022-04-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중 레일 곡면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용 시소타입 제동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925A (ko) 201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752B1 (ko) 저소음 제동 패드
JP5512337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
JP5333205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
CN1804422B (zh) 特别用于铁路领域的具有摩擦元件的盘式制动衬垫
US20060266599A1 (en) Control of brake noise by tuned mass dampers
JP6693015B2 (ja) ブレーキ作動時に摩擦ライニング要素の間の接触力を増大させるためのブレーキライニング内の摩擦ライニング要素の構成
JP6325444B2 (ja) 特に商用車用のディスクブレーキ並びにディスクブレーキ用ブレーキパッド
JP5538417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キャリパのためのスリーブおよびそのようなスリーブを取り付けられたディスクブレーキ
TWI621788B (zh) 鐵道車輛用煞車來令及使用該煞車來令的鐵道車輛用碟式煞車器
EP2290257A1 (en) Friction pad for brake system
EP2881611B1 (en) Backing plate for brake pad of a disc brake
US20050039992A1 (en) Brake lining with damping layer
CN102483115A (zh) 制动板
KR101537531B1 (ko)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EP1767804B1 (en) Disk-brake device with shape memory damping means
JP7156384B2 (ja) 鉄道車両用のブレーキディスクの取付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ブレーキディスクユニット
KR101545227B1 (ko)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KR101352498B1 (ko) 하이브리드실링재를 구비한 자동차 브레이크용 디스크 로터
KR102047318B1 (ko) 고무 댐퍼를 구비한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패드 어셈블리
KR102094691B1 (ko) 탄성 플레이트를 이용한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패드 어셈블리
KR101537761B1 (ko)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KR20100035258A (ko) 주차 브레이크용 드럼과 디스크 브레이크용 디스크 로터가 일체로 형성된 dih 구조의 브레이크 디스크
KR101162732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 패드
US8708113B2 (en) Brake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friction material
JP4785516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