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531B1 -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 Google Patents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531B1
KR101537531B1 KR1020140032096A KR20140032096A KR101537531B1 KR 101537531 B1 KR101537531 B1 KR 101537531B1 KR 1020140032096 A KR1020140032096 A KR 1020140032096A KR 20140032096 A KR20140032096 A KR 20140032096A KR 101537531 B1 KR101537531 B1 KR 101537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material
friction
back plate
metal
damp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병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3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69/0408Attachment of linings specially adapted for plane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2069/0425Attachment methods or devices
    • F16D2069/0433Connecting elements not integral with the braking member, e.g. bolts,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2069/0425Attachment methods or devices
    • F16D2069/045Bonding
    • F16D2069/0458Bonding metallurgic, e.g. welding, brazing, sin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차량용 브레이크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판상 구조의 백플레이트와,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금속 제진재와, 상기 백플레이트와 동일한 외형을 가지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금속 제진재 상부에 결합하되 상기 금속 제진재가 상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결합공이 이격 설치되는 마찰재 지지판과, 상기 금속 제진재 상면에 하면 전체가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결합공에 하부가 결합되며 동일 높이의 원기둥 모양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개의 마찰재, 및 상기 백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는 브래킷으로 구성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견고하며, 반복적인 충격 하중이나 고온 및 진동 등에 의해서도 제진 성능의 저하를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찰재의 유연성과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Low noise brake pad}
본 발명은 철도 차량용 브레이크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찰판을 가압하여 접촉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운동에너지를 소진시킴으로써, 철도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는 대용량의 고성능 제동장치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용 브레이크 패드(Brake Pad)는 차량의 차축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찰판에 밀착됨으로써,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마찰열 에너지로 소산시켜 차량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브레이크 패드는 열 하중과 기계적 하중이 동시에 가해지기 때문에 비틀림 변형, 열팽창, 수축 작용 등을 받게 될 뿐 아니라, 열 충격은 물론 반복적인 충격 하중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는 것이다.
특히 고속화 추세로 가고 있는 현재의 철도 차량에서는 마찰 제동력이 우수한 대용량의 고성능 브레이크 디스크와 패드에 대한 요구가 한층 더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패드는 마찰재, 마찰재와 결합되어 마찰재를 지지하는 마찰재 지지판, 및 마찰재와 마찰재 지지판을 보강하며 브래킷이 취부되는 백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공압, 유압 또는 전자기력 등의 힘으로 상기 백플레이트에 압력을 부가하면 브레이크 패드는 브레이크 디스크 쪽으로 이동하여 마찰재 면이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찰면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마찰재 면과 디스크 면 사이에서의 마찰에 의해 마찰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소진시켜 차량을 정지시키게 된다.
특히 철도차량, 항공기, 대형 차량은 운행 시 큰 운동에너지를 가지므로 제동을 체결하여 운동을 멈추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고성능 제동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제동 장치는 운동에너지를 마찰에 의한 열에너지로 소진시키는 것이므로, 충분한 마찰계수를 가져야 함은 물론 고온에서도 안정된 마찰계수를 유지하고 내마모성도 우수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가 많이 채용되고 있다.
이하 도 1과 2를 참조하여 종래의 브레이크 패드를 간략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종래의 브레이크 패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브레이크 패드(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110), 마찰재 지지판(130), 마찰재(150), 및 브래킷(1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브레이크 패드(100)는 제동 작동시 마찰재(150)의 상면이 브레이크 디스크(도시하지 않음)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브레이크 패드는 상하, 좌우, 전후 방향으로의 변형에 대한 유연성이 부족하여 봉 형태의 마찰재 상면 전체가 브레이크 디스크 면과 균일하게 접촉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일부 마찰재는 접촉압력이 높고, 일부 마찰재는 접촉압력이 낮아 접촉의 불안정에 기인하여 편마모를 유발하게 됨으로써, 과도한 소음 및 진동의 발생원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찰재와 마찰재 지지판, 혹은 마찰재 지지판과 백플레이트 사이에 스프링을 넣어 마찰재가 브레이크 디스크의 표면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크의 마찰면과 마찰재의 마찰면이 균일한 접촉을 이루도록 하는 제안들이 있지만, 이와 같이 스프링을 삽입하는 경우 마찰재의 변형에 대한 유연성은 일부 확보할 수 있지만 구조가 복잡해질 뿐 아니라, 마찰재와 마찰재 지지판의 결합강도가 충분하지 못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하게 되고, 또한 스프링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이 공간에 비례하여 마찰재의 길이를 짧게 하여야 하므로 브레이크 패드의 수명이 현저히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이 고온의 마찰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스프링이 탄성을 잃어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27449(2006.12.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다수개의 금속 제진재를 적용하여 제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고온으로 인한 열충격이나 반복적인 충격하중에 의한 제진성능 저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마찰재의 유연성 확보와 강성 조정을 통해 마찰면의 균일한 면접촉을 유도할 수 있게 하고, 넷째, 구조를 단순하고 견고하게 하여 제작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브레이크 패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상 구조를 가지는 일정 면적의 백플레이트와,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판상 구조의 금속 제진재와, 상기 백플레이트와 동일한 외형의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금속 제진재의 상부에 결합하되 상기 금속 제진재의 상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결합공이 이격 설치되는 마찰재 지지판과, 상기 금속 제진재의 상면에 하면 전체가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결합공에 하부가 결합되며 동일 높이의 원기둥 모양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개의 마찰재, 및 상기 백플레이트 하면에 결합되는 브래킷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금속 제진재는 상기 결합홈에 유격없이 각각 채워지도록 삽입 결합되어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금속 제진재는 상기 다수개의 마찰재와 대응되도록 동일 중심을 가지는 원형으로 각각 설치하되, 외경이 상기 마찰재 외경의 0.8 ~ 1.5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금속 제진재는 마그네슘, 마그네슘합금, Al-Zn, Ni-Ti, Cu-Zn, Cu-Al-Ti, Mn-Cu, Cu-Al-Zn, Fe-Cr-Al, Fe-Mn-Si, 또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찰재 지지판의 결합공 둘레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공은 상기 마찰재의 하단면 외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3 ~ 10mm 이격된 위치에 중심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상기 마찰재의 하면 중심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하되, 반경이 1 ~ 5mm를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직경의 3 ~ 5배의 거리를 가지도록 이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온으로 인한 열충격이나 반복적인 충격하중 등에 의한 제진성능 저하를 차단하여 패드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마찰재의 균일한 면접촉을 유도하여 마찰재의 편마모를 방지함으로써, 진동이나 소음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 제작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브레이크 패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1)는 백플레이트(10), 금속 제진재(20), 마찰재 지지판(30), 마찰재(50) 및 브래킷(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백플레이트(10)는 일정 두께와 면적을 가지는 판상 구조로 형성되며, 하기에서 설명하는 금속 제진재(20)와 마찰재(50) 및 브래킷(60)을 보강하는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백플레이트(10)는 강재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마찰재 지지판(30)과 스폿 용접(spot welding) 또는 리벳팅(riveting)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제동장치의 크기와 특성에 따라 다양한 외형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브래킷(bracket)(60)은 백플레이트(10)의 하면에 결합되며, 브레이크 패드(1)를 제동장치의 캘리퍼(calliper)(도시하지 않음)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브래킷(60)은 강재로 구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브테일(dovetail) 형상으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캘리퍼에 체결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브래킷(60)은 백플레이트(10)와 플러그 용접(plug welding) 또는 볼트로 체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체결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백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금속 제진재(20)가 설치된다.
금속 제진재(20)는 마찰재(50)의 하면을 지지하여 마찰재(50)의 진동을 흡수 또는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일정 두께의 판상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백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일정 깊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결합홈(15)을 이격 설치하고, 이 결합홈(15)에 금속 제진재(20)가 각각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홈(15)과 금속 제진재(20)는 마찰재(50)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다수개를 백플레이트(10) 상면에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한편 금속 제진재(20)는 각각의 결합홈(15)에 유격없이 채워지도록 삽입 결합하여 상면이 백플레이트(1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금속 제진재(20)는 상면이 마찰재(50)의 하면 전체에 밀착되어 마찰재(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금속 제진재(20)와 결합홈(15)은 원기둥 모양의 마찰재(50)에 대응하도록 원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 제진재(20)의 외경은 마찰재(50) 외경의 0.8∼1.5배가 되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나, 그 크기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금속 제진재(20)는 외경이 너무 작으면 마찰재(50)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 또는 억제하는 기능이 저하되고, 너무 크면 제작비용이 올라가게 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외경을 가지도록 선택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금속 제진재(20)는 브레이크 디스크(도시하지 않음)와 마찰재(50)의 마찰 접촉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 또는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금속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기계 구조물의 진동 억제에는 고무 계통의 제진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브레이크 패드(1)의 마찰재(50)는 상용제동 시는 100℃ 이상, 비상제동 시는 500℃ 이상까지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고무계의 제진재는 반복하여 열적 기계적 하중이 작용하면 그 기능이 퇴화하여 본래의 의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금속 제진재(20)는 마그네슘, 마그네슘합금, Al-Zn, Ni-Ti, Cu-Zn, Cu-Al-Ti, Mn-Cu, Cu-Al-Zn, Fe-Cr-Al, Fe-Mn-Si 기타 형상기억합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은 내부 마찰이 커 변형과 복원 과정에서 에너지를 소진시켜 진동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마찰재 지지판(30)은 백플레이트(10) 상면에 결합되어 다수개의 마찰재(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백플레이트(10)와 동일한 외형을 가지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백플레이트(10) 상면에 결합된다.
이때 마찰재 지지판(30)은 백플레이트(10)의 상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금속 제진재(20)의 상면이 노출될 수 있게 금속 제진재(2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결합공(32)이 이격 설치된다.
결합공(32)은 각각의 금속 제진재(20)와 동일 중심을 가지며 직경이 약간 작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마찰재(50)는 하면이 결합공(32)에 결합된다.
결합공(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로 상향 돌출되어 마찰재(50) 하측부에 형성되는 소직경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마찰재(50)의 하면 전체는 금속 제진재(20)의 상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마찰재(50)와 금속 제진재(20) 및 결합공(32)은 동일 중심을 가지는 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결합공(32)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관통공(35)이 설치된다.
관통공(35)은 마찰재(50)와 마찰재 지지판(30)이 결합되는 부위의 유연한 변형이 가능토록 하는 것은 물론 설계자가 요구하는 원하는 크기의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마찰재(50)의 밑면의 원주에서 외측 방향으로 3∼10 mm 떨어진 위치에 중심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관통공(35)은 반경의 크기가 1∼5 mm인 구멍을 마찰재(50) 밑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하며, 또한 인접한 다른 마찰재(50)의 위치를 고려하여 서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약간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관통공(35)은 인접한 두 개의 마찰재(50) 사이에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약간의 간격 조정을 통해 간섭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또 관통공(35)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는 반경의 4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서 그 크기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마찰재(50)는 상측에 형성된 마찰면(55)이 브레이크 디스크에 밀착되어 마찰열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마찰열 에너지로 소산시켜 차량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의 원기둥 모양으로 구비된다.
이때 각각의 마찰재(50)는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상측의 마찰면(55)이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하면 전체가 금속 제진재(20)의 상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마찰재(50)는 마찰 및 마모 성능이 우수하고 열전달 특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한데 양호한 내열성도 요구되므로 금속계 소결재나 탄소 복합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금속계 소결재로서 철계 소결재는 철(Fe)을 기지금속으로 하고 구리, 니켈, 망간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찰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흑연, 황산바륨, 실리콘 산화물을 첨가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금속계 소결재로서 동계 소결재는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고 철, 니켈, 망간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고, 마찰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흑연, 황산바륨, 실리콘 산화물을 첨가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탄소 복합재는 탄소기지에 탄소섬유를 보강한 탄소/탄소 복합재에 규소(Si)나 구리(Cu)를 함침시켜 탄소/탄소-SiC 복합재 혹은 탄소/탄소-Cu 복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은 마찰, 마모 특성, 내열성, 진동, 소음 성능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성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마찰재 지지판(30)은 강재로 구성되며 마찰재(50)와 소결 공정에서 결합되고, 이때 마찰재(50)와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소결 전 구리 도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마찰재 지지판(30)은 마찰재(50)의 하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고, 금속 제진재(20)는 상면이 마찰재(50) 하면에 밀착되어 마찰재(50)를 지지함으로써, 제동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나 소음 등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5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6의 실시예는 금속 제진재(20a,20b)의 구성 외에는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변경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제진재(20a)는 백플레이트(10)의 상면에 형성된 하나의 결합홈(15a)에 삽입 설치되어 다수개의 마찰재(50)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백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하나의 큰 결합홈(15a)을 형성하고, 이 결합홈(15a)에 하나의 일체형 금속 제진재(20a)를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금속 제진재(20a)가 모든 마찰재(50)의 하면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금속 제진재(20a)는 백플레이트(10) 상면을 두 개 또는 세 개의 구역으로 분할하도록 복수로 설치하여 각각의 금속 제진재(20a)가 복수의 마찰재(50)를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의 실시예는 도 5에서와 같은 별도의 결합홈(15a)을 백플레이트(10)에 형성하지 않고, 금속 제진재(20b)의 하면이 백플레이트(10) 상면 전체에 밀착 결합되어 적층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백플레이트(10)와 금속 제진재(20a,20b), 마찰재 지지판(30), 및 마찰재(50)의 결합은 도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용접, 리벳, 볼트 등을 이용한 방법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도 5,6의 실시예는 하나의 일체형 금속 제진재(20a,20b)를 적용함으로써, 제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금속 제진재(20,20a,20b)가 마찰재(50) 하면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됨으로써, 제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우수한 제진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되고, 또한 고온으로 인한 열충격이나 반복적인 충격하중에 의한 제진성능 저하를 차단하여 브레이크 패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마찰재(50)의 유연성 확보와 강성 조정을 통해 브레이크 디스크와 패드의 균일한 면접촉을 유도하여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진동이나 소음 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구조가 단순하고 견고하여 제작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0 : 브레이크 패드
10,110 : 백플레이트 15,15a : 결합홈
20,20a,20b : 금속 제진재
30,130 : 마찰재 지지판
32 : 결합공 35 : 관통공
50,150 : 마찰재 55 : 마찰면
60,160 : 브래킷

Claims (7)

  1. 판상 구조를 가지는 일정 면적의 백플레이트;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판상 구조의 금속 제진재;
    상기 백플레이트와 동일한 외형의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금속 제진재의 상부에 결합하되, 상기 금속 제진재의 상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결합공이 이격 설치되는 마찰재 지지판;
    상기 금속 제진재의 상면에 하면 전체가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결합공에 하부가 결합되며, 동일 높이의 원기둥 모양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개의 마찰재; 및
    상기 백플레이트 하면에 결합되는 브래킷;으로 구성하되,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 깊이를 가지는 결합홈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금속 제진재는 상기 결합홈에 유격없이 각각 채워지도록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삽입 결합되어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상기 금속 제진재는 상기 다수개의 마찰재와 대응되도록 동일 중심을 가지며, 상기 마찰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으로 각각 구비되어 상면이 상기 마찰재의 하면 전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마찰재 지지판의 결합공 둘레에는 상기 마찰재와 상기 마찰재 지지판이 결합되는 부위의 유연한 변형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원형의 관통공이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제진재는 마그네슘, 마그네슘합금, Al-Zn, Ni-Ti, Cu-Zn, Cu-Al-Ti, Mn-Cu, Cu-Al-Zn, Fe-Cr-Al, Fe-Mn-Si, 또는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마찰재의 하단면 외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3 ~ 10mm 이격된 위치에 중심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마찰재의 하면 중심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하되, 반경이 1 ~ 5mm를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직경의 3 ~ 5배의 거리를 가지도록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KR1020140032096A 2014-03-19 2014-03-19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KR101537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096A KR101537531B1 (ko) 2014-03-19 2014-03-19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096A KR101537531B1 (ko) 2014-03-19 2014-03-19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531B1 true KR101537531B1 (ko) 2015-07-20

Family

ID=5387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096A KR101537531B1 (ko) 2014-03-19 2014-03-19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5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347B1 (ko) * 2015-11-30 2018-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 패드
US10344817B2 (en) 2015-11-30 2019-07-09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brake pa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1415A1 (de) * 1993-04-22 1994-10-26 AlliedSignal Bremsbelag GmbH Bremsbelag für Scheibenbremsen, insbesondere für Hochgeschwindigkeitszüge
JP2000027912A (ja) * 1998-07-15 2000-01-25 Sumitomo Electric Ind Ltd ディスクブレーキパッド
KR20030085135A (ko) * 2001-03-13 2003-11-03 페더럴-모굴 프릭션 프로덕츠 리미티드 마찰패드
KR20080042615A (ko) * 2006-11-10 2008-05-15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 소음 마찰패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1415A1 (de) * 1993-04-22 1994-10-26 AlliedSignal Bremsbelag GmbH Bremsbelag für Scheibenbremsen, insbesondere für Hochgeschwindigkeitszüge
JP2000027912A (ja) * 1998-07-15 2000-01-25 Sumitomo Electric Ind Ltd ディスクブレーキパッド
KR20030085135A (ko) * 2001-03-13 2003-11-03 페더럴-모굴 프릭션 프로덕츠 리미티드 마찰패드
KR20080042615A (ko) * 2006-11-10 2008-05-15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 소음 마찰패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347B1 (ko) * 2015-11-30 2018-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 패드
US10344817B2 (en) 2015-11-30 2019-07-09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brake p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2337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
KR101619752B1 (ko) 저소음 제동 패드
CN1804422B (zh) 特别用于铁路领域的具有摩擦元件的盘式制动衬垫
JP5924413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ディスク
TWI621788B (zh) 鐵道車輛用煞車來令及使用該煞車來令的鐵道車輛用碟式煞車器
JP2012251597A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およ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
EP2290257A1 (en) Friction pad for brake system
JP6644869B2 (ja) 鉄道車両用のブレーキライニングおよびそれを用いた鉄道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JP4478067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ディスク付車輪
KR101537531B1 (ko)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US20150159709A1 (en) Backing plate for brake pad of a disc brake
JP2014092267A (ja) 車両用ブレーキディスク
JP2008138781A (ja) ブレーキパッドとそのパッドのライニングの研磨方法
KR101866046B1 (ko) 이중 냉각 구조를 갖는 브레이크 디스크
JP4572893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
JP5418782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
JP7156384B2 (ja) 鉄道車両用のブレーキディスクの取付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ブレーキディスクユニット
WO2017069140A1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およ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352498B1 (ko) 하이브리드실링재를 구비한 자동차 브레이크용 디스크 로터
KR10180504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JP2008309319A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
JP4785516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537761B1 (ko)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KR101957712B1 (ko) 타원형 핀을 구비한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패드 어셈블리
CN211924779U (zh) 制动盘、盘式制动器、车辆底盘系统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