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615A -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 소음 마찰패드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 소음 마찰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615A
KR20080042615A KR1020060111293A KR20060111293A KR20080042615A KR 20080042615 A KR20080042615 A KR 20080042615A KR 1020060111293 A KR1020060111293 A KR 1020060111293A KR 20060111293 A KR20060111293 A KR 20060111293A KR 20080042615 A KR20080042615 A KR 20080042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material
brake system
friction
low noise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301B1 (ko
Inventor
김상호
김유신
이범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Priority to KR1020060111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301B1/ko
Publication of KR20080042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69/0408Attachment of linings specially adapted for plane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2Composition of linings ; Methods of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2069/0425Attachment methods or devices
    • F16D2069/045Bonding
    • F16D2069/0458Bonding metallurgic, e.g. welding, brazing, sin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50/00Manufacturing; Assembly
    • F16D2250/0038Surface treatment
    • F16D2250/0046Co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50/00Manufacturing; Assembly
    • F16D2250/0061Joining
    • F16D2250/0076Welding,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마찰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브레이크 패드가 브레이크 디스크와 마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견디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도록 단열층과 제진층을 구비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 높이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마찰재와 상기 다수의 마찰재가 전면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 및 상기 백플레이트 후면에 결합되는 도브테일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브레이크 패드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후면에서 상기 도브테일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마찰재의 마찰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 후면에 형성되는 제진층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브레이크 시스템, 저소음 마찰패드, 단열층, 제진층

Description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 소음 마찰패드{Low Noise Friction Pad for Brak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패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A-A 수직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1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패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B-B 수직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의 연결플랜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C-C 수직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의 "B"부분을 확대한 부분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300, 400 -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패드
110, 210, 310 - 백플레이트 120, 220, 320 - 연결플랜지
222 - 베이스플레이트 124, 224 - 접합부
126 - 결합부 128 - 지지부
130, 230, 330 - 마찰재 140, 240, 340 - 도브테일
150, 450 - 단열층 160, 460 - 제진층
본 발명은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마찰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브레이크 패드가 브레이크 디스크와 마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견디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도록 단열층과 제진층을 구비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에너지가 큰 항공기 또는 철도차량 등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은 회전하는 바퀴의 축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소정 형사의 마찰부재와 상기 마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인 백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은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에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부재가 접촉되어 마찰력에 의하여 바퀴를 제동하게 된다. 또한, 항공기나 철도차량은 일반 차량과 달리 운동에너지가 크므로, 브레이 크 패드는 주행 과정 중에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를 제동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마찰력을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내마모성과 내구성이 요구되며, 마찰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특성변화가 적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에 사용되는 마찰부재는 소결마찰재료가 사용되며, 구리 또는 철과 같은 금속재료를 기지로 하고, 마찰부재의 마찰특성을 조정하기 위하여 세라믹, 흑연과 같은 비금속재료 또는 금속을 분산시켜 만들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소결마찰재료를 구성하는 금속재료의 내열성과 열전도도 및 기계적 강도와 비금속재료의 마찰특성에 따라 우수한 마찰성능을 갖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미리 소정 형상으로 성형 및 소결되어 제조된 마찰부재가 백플레이트에 용융 용접 또는 브레이징(brazing)에 의하여 결합되거나 별도의 플랜지에 의하여 지지되어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철도 차량의 경우에 제동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마찰부재와 브레이크 디스크가 모두 주성분이 금속인 재질로 형성되므로,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과정에서는 금속간 마찰로 인하여 소음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고속전철은 그 속도가 다른 철도 차량에 비하여 높아 제동과정에서 많은 제동에너지를 요구하게 되며, 제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증가되어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레이크 시스템에 서 브레이크 패드가 브레이크 디스크와 마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견디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도록 단열층과 제진층을 구비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발명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마찰패드는 소정 높이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마찰재와 상기 다수의 마찰재가 전면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 및 상기 백플레이트 후면에 결합되는 도브테일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브레이크 패드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후면에서 상기 도브테일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마찰재의 마찰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 후면에 형성되는 제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하부가 개방되는 통 형상의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하단에서 외곽방향으로 적어도 2개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연결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찰재는 하부가 상기 접합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연결플랜지의 상기 결합부는 리벳팅 또는 스폿 용접에 의하여 상기 백플레이트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정 면적과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재의 하부가 삽입되어 접합되는 다수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연결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플랜지는 스폿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평면부를 포함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평면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내측에 상기 마찰재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결합홀을 구비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홀로 삽입되는 상기 마찰재를 지지하는 연결플랜지와 상기 마찰재의 하부와 백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안착되어 상기 마찰재를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플랜지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재는 하면에 접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마찰재의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찰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플랜지는 상기 돌출부와 평면부 사이에 상기 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지지홀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스프링은 원뿔대 형상의 판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열층은 산화물 또는 질화물의 세라믹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Al2O3, TiO2, ZrO2, SiO2, MnO2, MgO, Si3N4 및 B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층은 세라믹 재질이 90 내지 10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층은 페이퍼, 플레이트 및 코팅층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층은 0.2 내지 2.0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진층은 금속플레이트와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후면에 고무 또는 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진층은 상기 단열층의 후면에 고무 또는 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진층은 상기 금속플레이트가 상기 백플레이트의 외측 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백플레이트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패드는 소정 높이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마찰부재와 상기 마찰부재의 하면에 접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다수의 마찰재과,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진층과, 평면부를 포함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평면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내측에 상기 마찰재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결합홀을 구비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홀로 삽입되는 상기 마찰재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응되는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 및 상기 백플레이트 하면에 결합되며, 브레이크 시스템에 결합되어 마찰패드를 고정하는 도브테일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마찰부재의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와 평면부 사이에 상기 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지지홀을 포함하며, 상기 마찰재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부와 상기 지지홀은 각각 3개씩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가 지지홀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재의 하부와 백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안착되어 상기 마찰재를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스프링은 원뿔대 형상의 판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마찰패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A-A 수직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1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백플레이트(110)와 연결플랜지(120)와 마찰재(130)와 도브테일(140)과 단열층(150) 및 제진층(1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10)는 소정 두께의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백플레이트(110)는 장착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면적과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 고정되는 마찰재(130)의 수량에 따라 적정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110)는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에 따라 적정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110)는 상기 마찰재(130)가 결합되는 일면의 소정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동도금층 또는 니켈도금층과 같은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금층은 마찰재(130)가 백플레이트(110)에 접촉되어 함께 소결 될 때, 마찰재(130)와 백플레이트(110)의 결합강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플랜지(120)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소정 높이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접합부(124)와 상기 접합부(124)의 하부에서 소정 각도 간격과 외곽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12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플랜지(120)는 접합부(124) 하부의 결합부(126) 사이 영역에서 외곽방향으로 소정 폭 연장되는 지지부(128)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6)와 지지부(128)는 연결플랜지가 백플레이트에 결합될 때 백플레이트의 표면과 평행한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플랜지(120)는 백플레이트(110)의 일면에 결합부(126)가 리벳팅 또는 스폿용접에 의하여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결플랜지(120)는 항공기나 철도차량 등에서 제동을 위하여 요구되는 마찰력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마찰재(130)의 수량에 상응하는 수량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플랜지(120)는 상기 접합부(124)와 마찰재(130)가 접촉되는 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도금층이 형성된다. 상기 도금층은 마찰재(130)가 소결 되는 과정에서 마찰재(130)와 접합부(124)의 접합강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도금층은 마찰재(130)의 성분에 따라 구리도금층, 니켈도금층 등 다양한 성분의 도금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마찰재(130)의 기지가 구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금층은 구리도금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금층 은 바람직하게는 5㎛ - 3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124)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재(130)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접합부(124)는 바람직하게는 마찰재(130) 전체 높이의 25%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접합부(124)는 내부에 성형된 마찰재(130)가 삽입되며, 상기 연결플랜지(120)는 마찰재(130)와 함께 소결된다. 따라서, 상기 접합부(124)는 내면 및 상면에서 마찰재(130)와 접합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접합부(124)는 표면 특히 내면과 상면에 소정 두께로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면 및 상면에서 마찰재(130)와 보다 강하게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합부(124)는 원통형상 외에도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기둥형상 또는 삼각기둥 형상 등 마찰재의 형상에 상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접합부(124)는 바람직하게는 상부의 내측모서리가 라운드 형상 또는 챔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찰재(130)는 제동과정에서 접합부(124)의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도 힘을 받게되므로, 접합부(124)의 모서리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되면 모서리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마찰재(130)에 부분적으로 손상을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합부(124)는 마찰재(130)와 접촉되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 또는 챔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126)는 접합부(124)의 하단에서 외곽방향으로 수평하게 소정 면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접합부(124)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126)는 별도로 형성되어 접합부(124)의 하부에 용접 등에 의하여 용접 되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결합부(126)는 접합부(124)의 외곽영역에서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3개로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126)는 바람직하게는 3개로 형성되며, 접합부(124)의 외곽에서 12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126)는 리벳(10)에 의하여 백플레이트(110)에 결합되어 연결플랜지(120)를 백플레이트(110)에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26)는 리벳팅에 필요한 소정면적의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원형 판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126)는 연결플랜지(120)가 리벳팅에 의하여 결합되는 경우에 대략 중앙영역에 리벳팅을 위한 관통홀(126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126)는 리벳이 아닌 스폿 용접과 같은 용접에 의하여 백플레이트(1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결합부(126)에 관통홀(126a)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126)는 백플레이트(110)와 접촉되는 밑면에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의 결합부(126)가 먼저 스폿용접에 의하여 백플레이트(110)에 결합되고, 마찰재(130)가 접합부(124)에 결합되어 소결되는 경우에는 도금층은 결합부(126)와 백플레이트(11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지지부(128)는 접합부(124) 하단에 형성된 결합부(126) 사이의 영역에서 외곽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플랜지(120)와 백플레이트(11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연결플랜지(120)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합부(124)에 결합된 마찰재(130)가 마찰과정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지지부(128)는 접합부(124)의 하부에서 연결플랜지(120)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128)는 결합부(126)의 수가 많거나 연결플랜지(120)가 다른 수단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되는 경우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128)는 백플레이트(110)와 접촉되는 밑면에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120)가 먼저 스폿용접에 의하여 백플레이트(110)에 결합되고, 마찰재(130)가 접합부(124)에 결합되어 소결 되는 경우에는 도금층은 지지부(128)와 백플레이트(11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마찰재(130)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소정 높이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성형이 용이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여기서 상기 마찰재(13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각기둥, 삼각기둥과 같은 각기둥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마찰재(130)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사양과 마찰패드의 교체주기에 따라 소정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마찰재(130)는 소결과정에서 접합부(124)의 내면 및 상면과 접합되어 결합된다. 상기 마찰재(130)는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온도와 압력이 동시에 가해지는 가압소결공정에 의하여 소결 및 접합이 진행된다. 따라서, 상기 마찰재(130)는 연결플랜지(120)와 결합되어 백플레이트(110)에 고정된다. 상기 마찰재(130)는 바람직하게는 하부에 상기 연결플랜지의 접합부(124) 상부와 결합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도록 성형되며, 단차부가 접합부(124)의 상부에 안차되어 결합된다.
상기 마찰재(130)는 일차로 소정 높이로 성형되고, 다시 접합부(124)에 삽입되어 소결 되므로 성형시 높이보다 소정량 줄어든 높이로 최종 형성된다. 상기 마찰재(130)의 줄어드는 높이는 마찰재(130)의 조성과 성형조건 및 소결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게된다. 또한, 상기 마찰재(130)는 바람직하게는 접합부(124)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마찰재(130)는 연결플랜지(120)와 일체로 성형되면서 접합부(124)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찰재(130)는 소결과정에서 마찰재의 성분에 따라 일부 수축 또는 팽창되면서 외경이 커지거나 작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마찰재(130)는 연결플랜지(120)와 접합되면, 하면이 연결플랜지(120)의 하면과 대략 평면을 이루게 되며, 백플레이트(110)의 상면과 결합된다.
상기 마찰재(130)는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기지부와 기지부에 분산되며 세라믹 또는 흑연과 같은 비금속을 포함하는 마찰조정제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마찰재(130)의 기지부는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철계 또는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동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부는 철계로 형성되는 경우에 철(Fe)외에 니켈(Ni), 망간(Mn), 몰리브덴(Mo)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부는 동계로 형성되는 경우에 구리(Cu)외에 주석(Sn), 니켈(Ni), 철(Fe), Mo(몰리브덴)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부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패드에 요구되는 마찰특성, 내열성, 내구성 등 제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금속재료의 성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마찰재(130)의 마찰조정제는 알루미나,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세라믹, 흑연과 같은 재료를 포함하며,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패드에 요구되는 마찰특성, 내열성, 내구성 등 제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료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마찰조정제의 성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브테일(140)은 백플레이트(110)의 하면 즉, 상기 연결플랜지(120)가 고정된 면의 반대면에 형성된다. 상기 도브테일(140)은 마찰패드가 사용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브테일(140)은 백플레이트(110)에 용융용접과 스팟용접을 포함하는 용접, 리벳팅, 브레이징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팟용접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단열층(150)은 백플레이트(110)의 후면에서 도브테일(140)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단열층(150)은 마찰재가 브레이크 시스템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마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여 제진층(16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단열층(150)은 내열성이 있으며, 열전도성이 낮아 열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열층(150)은 바람직하게는 산화물 또는 질화물의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단열층(150)을 구성하는 세라믹 재질은 다른 금속 재질에 비하여 단열성이 좋으므로 마찰재 표면에서 발생되어 백플레이트(110)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단열층(150)을 구성하는 산화물과 질화물은 Al2O3, TiO2, ZrO2, SiO2, MnO2, MgO, Si3N4 및 B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산화물과 질화물은 마이크론 또는 나노 크기의 입자로 형성되거나. 휘스커 또는 판상의 입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층(150)을 구성하는 산화물과 질화물은 열적으로 안정하면서도 열전도율이 낮아 효과적으로 백플레이트의 열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열층(150)은 세라믹 재질이 90 내지 10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열층(150)은 전체가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층(150)은 세라믹 재질과 바인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인더는 단열층(150)의 전체 중량 대비 5% 이하로 포함된다. 상기 단열층(150)에서 바인더의 양이 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마찰재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하여 바인더가 녹으면서 단열층(150)의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열층(150)은 페이퍼, 플레이트 및 코팅층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층(150)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는 페이퍼 형태 또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백플레이트(110)의 후면에 접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페이퍼 형태는 바인더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아 약간의 탄력성이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백플레이트(110)의 후면이 균일하지 않더라도 접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다만, 상기 페이퍼 형태는 바인더 때문에 마찰재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형태는 바인더의 함량이 낮아 탄력성이 없는 형태로 형성되며, 세라믹 재질의 분말이 소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형태는 탄력성이 없는 대신에 바인더가 거의 포함되지 않으므로 마찰재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열층(150)이 페이퍼 형태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내열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단열층(150)을 백플레이트(110)의 후면에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코팅층 형태는 세라믹 재질의 분말이 포함된 액상 물질을 백플레이트(110)에 분사하여 건조 또는 소결하여 형성하게 된다. 상기 코팅층이 소결 과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경우에는 백플레이트(110)의 전면에 마찰재를 결합하기 전에 미리 백플레이트(110)의 후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단열층(150)이 코팅층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 세라믹 재질을 포함하는 액상 물질은 바인더와 함께 용매가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상 물질은 백플레이트(110)의 후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후에 건조 또는 소결과정에서 용매가 증발된다. 또한, 상기 코팅층 형태는 세라믹 재질의 분말을 이용한 용사과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의 용사 방법은 세라믹 재질의 분말을 고온열원으로부터 용융시키면서 고속으로 기재에 충돌시켜 급냉 응고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세라믹 코팅층을 형성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용사방법에 의하면 백플레이트(110)의 후면이 편평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단열층(150)을 형성할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열층(150)이 용사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면 단열층(150)에 바인더의 함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단열층의 내열성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단열층(150)은 0.2 내지 2.0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층(150)의 두께가 0.2mm보다 작게 되면 단열 효과가 작게되어 백플레이트(11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단열층(150)은 2.0mm보다 크게 되면, 세라믹 재질의 분말로 형성되는 관계로 단열층(150)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진층(160)은 금속플레이트(162)와 상기 금속플레이트(162)의 후면 즉, 백플레이트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코팅되는 코팅층(16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진층(160)은 상기 금속플레이트(162)가 상기 백플레이트의 외측 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백플레이트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되는 고정부(165)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진층(160)은 마찰재가 브레이크 디스크와 마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어 백플레이트 방향으로 전달되는 소음을 흡수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찰과정에 발생되는 소음을 전체적으로 줄이게 된다.
또한, 상기 코팅층(164)은 고무 또는 수지와 같이 탄성이 있으며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수지로 형성되는 경우에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진층(160)은 코팅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내열성과 내수성과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가 첨가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진층(160)은 경도와 인장강도와 같은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경질의 수지와 제진 성능 및 차음성능이 우수한 연질의 수지를 혼합한 수지로 형성될 있다. 또한, 상기 제진층(16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진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진층(160)은 단열층(150)의 후면에 고무 또는 수지가 코팅되어 코팅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진층(160)은 제진 성능이 있는 수지로 형성되는 쉬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열층(150)의 후면에 별도의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진층(160)이 단열층(150)의 후면에 코팅층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고정부(165)가 형성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제진층(160)은 코팅층이 수지를 주원료로 하여 형성되지만, 단열층(150)의 후면에 형성되어 마찰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차단되므로, 브레이크 시스템의 사용과정에서 녹거나 분해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제진 성능을 보유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속전철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패드는 마찰과정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단열층(150)이 없게되면 열이 제진층(160)으로 전달되어 제진층(160)이 녹게 된다.
상기 고정부(165)는 상기 금속플레이트가 상기 백플레이트의 외측 영역으로 연장되어 "ㄷ"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백플레이트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는 제진층(160)과 단열층(150)이 백플레이트(110)의 후면에 전체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마찰재의 마찰과정에 발생되는 열이 너무 많은 경우에 내열성 접착제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고정부(165)를 추가로 사용하여 단열층(150)과 제진층(160)을 백플레이트(110)의 후면에 고정하게 된다. 물론, 상기 단열층(150)과 제진층(160)은 별도의 내열성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부(165)에 의하여만 백플레이트(1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65)는 백플레이트(110)의 측면에 전체적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결합되도록 다수의 단위 고정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65)는 별도의 나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백플레이트(110)에 추가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패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B-B 수직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연결플랜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마찰패드(200)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백플레이트(210)와 연결플랜지(220)와 마찰재(230)와 도브테일(240)과 단열층(150)과 제진층(1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브레이크 패드(100)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단열층(150) 및 제진층(16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10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백플레이트(210)는 소정 두께의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백플레이트(210)는 장착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형상과 면적으로 형성되거나, 상면에 결합되는 마찰재(230)의 수량에 따라 적정한 면적 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21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마찰재(230)가 결합되는 일면에 동도금층 또는 니켈도금층과 같은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금층은 마찰재(230)가 백플레이트(210)와 함께 소결 될 때, 마찰재(130)와 백플레이트(110)의 결합강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플랜지(220)는 대략 판상으로 상기 백플레이트(21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222)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베이스플레이트(222)의 소정 위치에 상기 마찰재(230)가 삽입되어 접합되는 다수의 접합부(22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연결플랜지(220)는 상기 백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스폿용접(20)에 의하여 결합되며, 마찰재(230)를 백플레이트(210)에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플랜지(220)는 접합부(224)와 마찰재(230)가 접촉되는 면을 포함하는 영역에 도금층이 형성되며, 도금층에 의하여 마찰재(230)와의 접합강도를 증가시키게 되다. 또한, 상기 연결플랜지(220)는 백플레이트(210)와 접촉되는 영역에도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220)의 도금층은 마찰재(230)의 성분에 따라 구리도금층, 니켈도금층 등 다양한 성분의 도금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224)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소정 높이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마찰재(230)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접합부(224)는 바람직하게는 마찰재(230) 전체 높이의 10% 내지 25%의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접합부(224) 의 높이가 너무 작게 되면 마찰재(230)를 지지하는 힘이 약하게 되며 마찰재(230)이 마찰과정에서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224)의 높이가 너무 높게 되면 마찰재(230)가 마찰되어 조기에 접합부(224)가 노출되어 사용이 불가하게 된다. 상기 접합부(224)는 내부에 상기 마찰재(23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즉, 상기 접합부(224)는 상기 접합부(224)는 내부에 삽입된 마찰재(230)와 함께 소결 되어 내면과 상면에 마찰재(230)가 접합되어 결합된다. 상기 접합부(224)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플레이트(222)와 일체로 형성되며, 별도로 형성되어 용접 등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222)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합부(224)는 원통형상 외에도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기둥형상 또는 삼각기둥 형상 등 마찰재의 형상에 상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마찰재(230)는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기지부와 기지부에 분산되며 세라믹 또는 흑연과 같은 비금속을 포함하는 마찰조정제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찰재(230)는 연결플랜지(220)와 결합되어 백플레이트(210)에 고정된다. 상기 마찰재(230)의 구성 성분에 대하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마찰재(230)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성형되며, 바람직하게는 성형이 용이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찰재(230)는 접합부(224)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플랜지(220)와 함께 소결 되며, 접합부(224)에 접합되어 백플레이트(21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접합 부(224) 내면과 상면에는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접합강도가 증가된다.
한편, 상기 마찰재(230)는 하면이 상기 백플레이트(210)와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플랜지(220)와 백플레이트(210)가 먼저 결합되고, 마찰재(230)가 연결플랜지(220)에 삽입되어 소결 공정이 진행되면 상기 마찰재(230)는 백플레이트(210)와 연결플랜지(220)에 동시에 접합된다. 상기 마찰재(230)는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온도와 압력이 동시에 가해지는 가압소결공정에 의하여 소결 및 접합이 진행된다. 따라서, 상기 마찰재(230)는 접합강도가 증가되어 마찰패드의 제동과정에서 백플레이트(210) 또는 연결플랜지(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브테일(240)은 제1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100)의 도브테일(140)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C-C 수직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7의 지지스프링 부분을 확대한 부분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300)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백플레이트(310)와 연결플랜지(320)와 마찰 재(330)와 지지스프링(336)과 도브테일(340)과 단열층(150) 및 제진층(1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패드(300)에 대한 설명에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패드(100)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단열층(150)과 제진층(16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10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백플레이트(310)는 소정 두께의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백플레이트(310)는 장착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평면 형상과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 고정되는 마찰재(330)의 수량에 따라 적정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310)는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에 따라 적정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320)는 백플레이트(31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평면부(320a)와 돌출부(322) 및 지지홀(326)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연결플랜지(320)는 하면이 백플레이트(3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즉, 상기 백플레이트(310)는 상면이 연결플랜지(320)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플랜지(320)는 용접 또는 리벳팅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백플레이트(310)에 결합되며, 다만, 여기서 연결플랜지(320)가 백플레이트(310)에 결합되는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320)는 마찰패드(300)에 사용되는 마찰재(330)의 수량에 대응되는 수의 돌출부(322)가 연결플랜지(320)에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22)는 바람직하게는 연결플랜지(320)와 일체로 형성되며, 연결플랜지(320)의 대응되는 부분이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소정 높이로 돌출 되도록 형성된다. 다만, 상기 돌출부(322)는 별도의 링 형상 부재를 사용하여 용접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돌출부(322)는 상기 마찰재(330)를 지지하기에 적정한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322)는 내부에 마찰재(330)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결합홀(324)이 형성되며, 결합홀(324)을 통하여 마찰재(33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지지홀(326)은 연결플랜지(320)의 평면부(320a)와 돌출부(322)의 경계영역에 형성되며, 하기에서 설명하는 마찰재(330)의 지지부재(334)에 형성되는 결합부(334b)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지지홀(326)은 상기 돌출부(322)의 결합홀(324)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홀(326)은 바람직하게는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3개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2개 또는 4개 이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마찰재(330)는 마찰재료로 형성되는 마찰부재(332)와 상기 마찰부재(332)의 하면에 접촉되어 마찰부재(33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3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마찰재(330)는 결합홀(324)에 삽입되어 연결플랜지(320)에 의하여 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마찰재(330)는 마찰부재(332)가 연결플랜지(320) 의 하부로부터 결합홀(324)에 삽입되며, 상기 지지부재(334)가 지지홀(326)에 결합되면서 지지된다.
상기 마찰부재(33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100)의 마찰재(130)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부재(334)는 상기 마찰부재(332)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지지부(334a)와 상기 지지홀(326)의 형성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상기 지지부(334a)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부(334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34)는 마찰부재(332)의 하면과 접합되어 마찰부재(332)를 지지하게 되며, 상기 결합부(334b)가 상기 지지홀(326)에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마찰재(330)가 연결플랜지(320)와 백플레이트(310) 사이에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마찰부재(332)와 지지부재(334)의 지지부(334a)는 마찰부재의 소결과정에서 접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34)는 마찰부재(332)와의 양호한 접합을 위하여 동도금층과 같은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찰부재(332)와 지지부재(334)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소정의 온도와 압력이 동시에 가하여 진행되는 가압소결공정에 의하여 마찰부재(332)의 소결과 마찰부재(332)와 지지부재(334)의 접합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마찰재(330)는 일차로 소정 높이로 성형되고, 다시 결합부(324)에 삽입되어 소결 되므로 성형시 높이보다 소정량 줄어든 높이로 최종 형성된다. 상기 마찰재(330)의 줄어드는 높이는 마찰재(330)의 조성과 성형조건 및 소결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게된다.
상기 지지스프링(336)은 상면과 하면으로 관통되어 내부가 중공이며, 전체적으로 두께가 균일한 원뿔대 형상의 판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원뿔대는 원뿔을 밑면에 평행인 평면으로 잘라서 생기는 두 입체도형 중 원뿔의 꼭지점을 포함하지 않는 쪽의 것과 잘린 면으로 이루어지는 도형의 형상을 의미한다. 상기 지지스프링(336)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강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보유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스프링(336)은 판상이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일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스프링(336)은 연결플랜지(320)의 결합홀(324)의 내부에서 마찰재(330)의 지지부재(334)와 백플레이트(310)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스프링(336)은 하부 외경이 연결플랜지(320)의 결합홀(324)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스프링(336)은 하부 외경이 지지부재(334) 직경의 80%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스프링(336)의 하부 직경이 지지부재(334) 직경의 80%보다 작게 되면, 마찰재(330)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지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스프링(336)은 상부 외경이 하부 외경보다 작게 되며, 지지부재(334) 직경의 50% 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스프링(336)은 상부 직경이 지지부재(334) 직경의 50% 보다 작게 되면 마찰재(330)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지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스프링(336)은 측면의 경사 각도가 5도 내지 45도의 각도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스프링(336)은 측면의 경사 각도가 5도보다 작게 되면 변형되는 높이가 작게 되어 마찰부재(332)의 부분적인 영역에서의 상하 이동거리가 제한되어 마찰부재(332) 표면의 각도를 조정하는데 한계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스프링(336)은 측면의 경사각도가 45보다 크게 되면 마찰재(330)에 국부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하면서 마찰부재(332)의 표면 각도를 조정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스프링의 하부 외경은 마찰재(330)의 지지부재(332) 직경의 95%로 형성되며, 하부 외경은 60%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스프링(336)은 높이가 상기 마찰재의 지지부재(334)와 백플레이트(310)사이에서 허용되는 간격에 상응하는 높이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34)와 백플레이트(310)의 간격은 브레이크 시스템의 전체적인 설계 사양에 따라 결정된다. 즉,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의 높이는 백플레이트(310)의 두께와 지지스프링(336)의 높이 및 마찰재의 높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백플레이트(310)의 두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전체적인 강도에 영향을 주며, 마찰재의 높이는 마찰패드의 교체 주기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스프링(336)의 높이는 마찰패드의 전체 높이에서 백플레이트(310)의 두께와 마찰재(330)의 높이를 제외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스프링(336)은 마찰재(330)가 제동과정에서 브레이크 디스크와 접촉되면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마찰재(330)가 탄성력을 갖도록 마찰재(330)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찰재(330)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과정에서 마찰부재(332)의 표면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국부적으로 서로 상이한 경우에 마찰부 재(332)의 표면의 각도가 브레이크 디스크의 표면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조정된다. 즉, 상기 마찰패드(300)가 브레이크 디스크에 전체적으로 접촉될 때, 상기 마찰패드(300)의 각 위치에 있는 상기 마찰재(330)는 표면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포가 서로 상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마찰재(330)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스프링(336)은 마찰재(330)의 표면에 가해지는 하중 분포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부재(332)의 표면각도를 조정하여, 마찰재(330)가 전체적으로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마찰패드(300)는 각 마찰재(330)가 전체적으로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되어 균일한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브레이크 디스크의 국부적인 마찰과 마모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 디스크와 마찰재(330)의 국부적인 마찰이 방지됨에 따라 핫스팟과 같은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기 도브테일(340)은 백플레이트(310)의 하면 즉, 마찰재(330)가 고정된 면의 반대면에 형성된다. 상기 도브테일(340)은 마찰패드가 사용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브테일(340)은 백플레이트(310)에 용융용접과 스팟용접을 포함하는 용접, 리벳팅, 브레이징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팟용접에 의하여 결합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는 평면 형상이 제3실시예의 평면도와 유사하여 평면도를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며, 제3실시예의 평면도인 도 7을 참조하면 평면 형상이 명확하게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400)는, 도 10을 참조하면, 백플레이트(310)와 연결플랜지(320)와 마찰재(330)와 도브테일(340)과 단열층(450) 및 제진층(4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400)는 마찰재(330)와 백플레이트(310) 사이에 안착되는 지지스프링(336)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패드(300)에 대한 설명에서는 제3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패드(300)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400)는 기본적인 구성은 제3실시예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300)와 동일하며 다만, 단열층(450)과 제진층(460)이 마찰재(330)의 하면, 보다 정확하게는 마찰재(330)의 마찰부재(33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34)의 하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400)는 제진층(460)이 마찰재(330)의 마찰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위치에 보다 근접하게 형성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열층(450)은 마찰재(33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단열층(150)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진층(460)은 마찰재(330)의 하면에 형성되는 단열층(450)의 하면에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제진층(4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기 단열층(450)과 제진층(4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스프링(336)은 제진층(460)의 하부에서 백플레이트(310)의 상면 사이에 지지되어 형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도 마찰재의 구성과 결합방법에는 차이가 있지만, 단열층(150)과 제진층(160)의 작용은 동일하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가 장착된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재(130)가 외부의 힘에 의하여 브레이크 디스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접촉하게 되면 마찰재(130)는 마찰력을 발생시키며 브레이크 디스크를 제동하게 된다. 상기 마찰재(130)가 브레이크 디스크에 마찰될 때 마찰재(130)와 브레이크 디스크의 접촉면에서는 열이 발생되어 백플레이트(110)로 전달 된다. 하지만 백플레이트(110)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열층(150)은 열을 차단하여 열이 제진층(160)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제진층(160)이 열에 의하여 녹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마찰재(130)가 브레이크 디스크에 마찰될 때 마찰재(130)와 브레이크 디스크의 접촉면에서는 고주파대의 주파수를 갖는 소음이 발생된다. 이 소음은 마찰재(130)와 백플레이트(110) 및 단열층(150)을 통하여 제진층(160)으로 전달되며 제진층(160)은 이러한 소음을 흡수하여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가 장착된 브레이크 시스템은 마찰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가 장착된 브레이크 시스템은 일반적인 브레이크 시스템에 비하여 적어도 10dB의 소음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에 의하면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브레이크 패드가 브레이크 디스크와 마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여 전체적으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층이 제진층과 백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어 마찰재의 마찰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수지로 형성되는 제진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진층이 열에 의하여 녹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소정 높이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마찰재와 상기 다수의 마찰재가 전면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 및 상기 백플레이트 후면에 결합되는 도브테일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브레이크 패드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후면에서 상기 도브테일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마찰재의 마찰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 후면에 형성되는 제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하부가 개방되는 통 형상의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하단에서 외곽방향으로 적어도 2개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연결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찰재는 하부가 상기 접합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연결플랜지의 상기 결합부는 리벳팅 또는 스폿 용접에 의하여 상기 백플레이트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소정 면적과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 트에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재의 하부가 삽입되어 접합되는 다수의 접합부를 포함하는 연결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플랜지는 스폿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4. 제 1항에 있어서,
    평면부를 포함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평면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내측에 상기 마찰재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결합홀을 구비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홀로 삽입되는 상기 마찰재를 지지하는 연결플랜지 및
    상기 마찰재의 하부와 백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안착되어 상기 마찰재를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플랜지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는 하면에 접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마찰재의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찰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플랜지는 상기 돌출부와 평면부 사이에 상기 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지지홀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스프링은 원뿔대 형상의 판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산화물 또는 질화물의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Al2O3, TiO2, ZrO2, SiO2, MnO2, MgO, Si3N4 및 B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세라믹 재질이 90 내지 10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페이퍼, 플레이트 및 코팅층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0.2 내지 2.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층은 금속플레이트와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후면에 고무 또는 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층은 상기 단열층의 후면에 고무 또는 수지가 코팅되어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층은 상기 금속플레이트가 상기 백플레이트의 외측 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백플레이트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16. 소정 높이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마찰부재와 상기 마찰부재의 하면에 접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다수의 마찰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에 형성되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진층과,
    평면부를 포함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평면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내측에 상기 마찰재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결합홀을 구비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홀로 삽입되는 상기 마찰재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응되는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 및
    상기 백플레이트 하면에 결합되며, 브레이크 시스템에 결합되어 마찰패드를 고정하는 도브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 이크 패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마찰부재의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와 평면부 사이에 상기 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지지홀을 포함하며,
    상기 마찰재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지지홀은 각각 3개씩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가 지지홀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의 하부와 백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안착되어 상기 마찰재를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스프링은 원뿔대 형상의 판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층은 제 12항 내지 제 15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KR1020060111293A 2006-11-10 2006-11-10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 소음 마찰패드 KR100947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293A KR100947301B1 (ko) 2006-11-10 2006-11-10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 소음 마찰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293A KR100947301B1 (ko) 2006-11-10 2006-11-10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 소음 마찰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615A true KR20080042615A (ko) 2008-05-15
KR100947301B1 KR100947301B1 (ko) 2010-03-16

Family

ID=3964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293A KR100947301B1 (ko) 2006-11-10 2006-11-10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 소음 마찰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30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90257A1 (en) * 2009-09-01 2011-03-02 Dawin Friction Friction pad for brake system
KR101537531B1 (ko) * 2014-03-19 2015-07-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KR101537761B1 (ko) * 2014-03-28 2015-07-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CN109931352A (zh) * 2017-12-18 2019-06-25 中车戚墅堰机车车辆工艺研究所有限公司 弹性浮动闸片
EP3674448A1 (en) * 2018-12-28 2020-07-01 Tungaloy Corporation Friction material
KR102470912B1 (ko) * 2022-09-15 2022-11-28 주식회사 에스디호이스트 라이닝 일체형 브레이크 휠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브레이크 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9273A (zh) * 2012-08-24 2014-03-12 北京天宜上佳新材料有限公司 一种浮动式双层背板制动闸片
KR102047318B1 (ko) * 2017-12-29 2019-11-21 상신브레이크 주식회사 고무 댐퍼를 구비한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패드 어셈블리
WO2020235723A1 (ko) * 2019-05-23 2020-11-26 상신브레이크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패드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7912A (ja) 1998-07-15 2000-01-25 Sumitomo Electric Ind Ltd ディスクブレーキパッド
JP2000186729A (ja) 1998-12-22 2000-07-04 Endless Project:Kk 車輪のディスクブレ―キ
KR100456966B1 (ko) * 2002-05-07 2004-11-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제동시 진동저감장치
FR2849133B1 (fr) 2002-12-20 2005-11-11 Bosch Gmbh Robert Dispositif de frein a disque muni d'un attenuateur de vibration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90257A1 (en) * 2009-09-01 2011-03-02 Dawin Friction Friction pad for brake system
KR101537531B1 (ko) * 2014-03-19 2015-07-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KR101537761B1 (ko) * 2014-03-28 2015-07-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CN109931352A (zh) * 2017-12-18 2019-06-25 中车戚墅堰机车车辆工艺研究所有限公司 弹性浮动闸片
EP3674448A1 (en) * 2018-12-28 2020-07-01 Tungaloy Corporation Friction material
KR102470912B1 (ko) * 2022-09-15 2022-11-28 주식회사 에스디호이스트 라이닝 일체형 브레이크 휠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브레이크 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301B1 (ko) 201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301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 소음 마찰패드
CN1804422B (zh) 特别用于铁路领域的具有摩擦元件的盘式制动衬垫
JP2004522118A (ja) ライニング、特に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
RU2501998C2 (ru) Фрикционные колодки из спече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е для дисковых тормозов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вагонов
KR20110024257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패드
JP5512337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
US9206865B2 (en) Brake lining for a partially lined disc brake
JP2016503148A (ja) ブレーキディスクを作製する方法、ディスクブレーキ用ブレーキディスク、およびディスクブレーキ
KR20160003631A (ko) 우설날씨용 부동식 제동 브레이크 패드
JPH07269614A (ja) 高エネルギー制動用複合材ディスク
KR100784504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패드와 이의 제조방법
US20090020383A1 (en) Damped part
US20080047790A1 (en) Brake Lining for a Disk Brake of a Vehicle, Particularly a Rail Vehicle
JP2013531194A (ja) ハイブリッドブレーキパッド
US20080035434A1 (en) Brake Insulator for Disc Brake Pads
JP2008138781A (ja) ブレーキパッドとそのパッドのライニングの研磨方法
KR20150135925A (ko) 저소음 제동 패드
JP661093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パ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62732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 패드
KR101545227B1 (ko) 플렉서블 브레이크 패드
US20100038194A1 (en) Disk brake pad having reduced heat transfer to an application device
KR20170122341A (ko) 탄성 브레이크 패드
KR102047318B1 (ko) 고무 댐퍼를 구비한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패드 어셈블리
KR101537531B1 (ko)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KR100671784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찰패드와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