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147B1 -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147B1
KR101899147B1 KR1020180026101A KR20180026101A KR101899147B1 KR 101899147 B1 KR101899147 B1 KR 101899147B1 KR 1020180026101 A KR1020180026101 A KR 1020180026101A KR 20180026101 A KR20180026101 A KR 20180026101A KR 101899147 B1 KR101899147 B1 KR 101899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vehicle
solar panel
notif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춘
Original Assignee
율진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진이앤씨(주) filed Critical 율진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180026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통행로에 설치된 감지센서의 감지를 통해 역진입하는 차량에 경고를 발생시키는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하부가 일방통행로의 바깥쪽에 매립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형상의 폴대; 역주행을 알리는 표지판과, 상기 표지판에 후면에 구성되어 표지판을 폴대에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탄성결합구로 구성된 역주행알림판;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하여 역주행알림판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폴대에 결합고정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감지센서 의한 차량의 역진입 감지시 진입금지를 문자로 알리는 디스플레이와,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구성한 알림수단; 클램프를 통해 상기 폴대의 상부에 결합되어 알림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Converse Driving Preven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 및 조립하여 설치를 이용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 전원의 사용으로 전기 인입선으로 인한 터파기 공사가 불필요하여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문자와 음향 및 시각적인 효과를 통해 운전자에게 역주행을 손쉽게 인지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클램프 및 조절수단을 통해 태양광패널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설정하여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태양광발전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음과 더불어, 탄성체를 이용한 간편한 조작으로 방향 설정을 용이하게 이룸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제2감지센서에 의한 감지시 회동 또는 슬라이드이동 작동하는 시각인식수단을 통해 운전자가 역주행하는 것을 강제로 인식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시각인식수단이 제한범위 내에서만 작동하는 것에 의해 충돌사고가 예방되어 파손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도, 지방도로, 고속도로 휴게소 및 인터체인지 등은 진입로와 진출로가 구별되어 일방통행도로가 설치되며, 차량의 역주행 진입시에 이를 알리기 위한 경고수단이 동작한다. 최근 들어, 차량의 증가와 더불어 전국 도로망의 확충이 가속화 됨에 따라 증가되는 역주행 차량 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며, 그 노력이 다양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또한, 백화점, 마트, 시장, 병원, 기업 등의 주차장에는 차량의 역진입/진출을 주변의 차량 및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하여 경광등이 설치되어 있다. 위와 같은 건물들은 도시의 곳곳에 늘어나고 건물의 크기가 거대화 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건물의 주차장은 대부분 차로가 건물의 모양을 따라 곡선 형태로 설치되어 양방향 주행을 하게 되어, 손님들의 착각을 불러일으키며 역주행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위와 같이, 도로의 정방향에 대하여 차량이 역방향으로 주행하여 발생되는 역주행 사고는, 대형 교통사고를 유발 또는 도로 정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아, 각별한 방지 대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일방통행도로가 필요한 장소에서는, 일방통행도로를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운전자를 통제하기 위해서 일방통행도로 진입금지 표시판을 설치하거나, 도로면에 주행방향을 알리는 화살표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인식을 시켜주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덧붙여서, 최근에는 일방통행도로의 진입로나 역주행 사고가 빈발하는 구간에 적외선 감지기 또는 영상 검지기를 한 쌍으로 설치한 역주행 방지 시스템을 이용해, 차량의 주행을 감지하는 순서에 따라 차량의 진행 방향을 검지 또는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73941호 (2001.08.03.) "차량 역진입 자동 차단 장치" - 이명철
하지만, 위 종래의 차량 역진입 자동 차단 장치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대형 제조물이기 때문에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별도의 전기공급시설을 복잡하게 구성해야 함으로 철도를 경계하는 등과 같이 아주 위험한 장소가 아니고서는 일반통행로에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파손이 발생하거나, 고장이 생겼을 때에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 및 조립하여 설치를 이용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 전원의 사용으로 전기 인입선으로 인한 터파기 공사가 불필요하여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문자와 음향 및 시각적인 효과를 통해 운전자에게 역주행을 손쉽게 인지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가 예방되는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프 및 조절수단을 통해 태양광패널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설정하여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태양광발전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으며, 탄성체를 이용한 간편한 조작으로 방향 설정을 용이하게 이룸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2감지센서에 의한 감지시 회동 또는 슬라이드이동 작동하는 시각인식수단을 통해 운전자가 역주행하는 것을 강제로 인식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시각인식수단이 제한범위 내에서만 작동하는 것에 의해 충돌사고가 예방되어 파손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가 일방통행로의 바깥쪽에 매립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형상의 폴대; 역주행을 알리는 표지판과, 상기 표지판에 후면에 구성되어 표지판을 폴대에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탄성결합구로 구성된 역주행알림판;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하여 역주행알림판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폴대에 결합고정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감지센서 의한 차량의 역진입 감지시 진입금지를 문자로 알리는 디스플레이와,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구성한 알림수단; 클램프를 통해 상기 폴대의 상부에 결합되어 알림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을 이용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 및 조립하여 설치를 이용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 전원의 사용으로 전기 인입선으로 인한 터파기 공사가 불필요하여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문자와 음향 및 시각적인 효과를 통해 운전자에게 역주행을 손쉽게 인지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가 예방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프 및 조절수단을 통해 태양광패널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태양광발전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으며, 탄성체를 이용한 간편한 조작으로 방향 설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2감지센서에 의한 감지시 회동 또는 슬라이드이동 작동하는 시각인식수단을 통해 운전자가 역주행하는 것을 강제로 인식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시각인식수단이 제한범위 내에서만 작동하는 것에 의해 충돌사고가 예방되어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통행로에 본 발명의 차량 역진입 방지시스템을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3은 본 발명의 차량 역진입 방지시스템의 전체적인 형상을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절수단이 구비된 클램프를 분해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태양광패널의 방향을 조절하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모터를 통해 작동하는 시각인식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시각인식수단을 분해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시각인식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린더를 통해 작동하는 시각인식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시각인식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반통행로에 차량에게 역진입 발생을 경고하는 경고수단이 더 포함되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통행로(1)에 설치된 감지센서(3)의 감지를 통해 역진입하는 차량(미도시)에 경고를 발생시키는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100)에 관한 것으로, 하부가 일방통행로(1)의 바깥쪽에 매립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형상의 폴대(10); 역주행을 알리는 표지판(21)과, 상기 표지판(21)에 후면에 구성되어 표지판(21)을 폴대(10)에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탄성결합구(23)로 구성된 역주행알림판(20); 내부에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하여 역주행알림판(2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폴대(10)에 결합고정되는 함체(31)와, 상기 함체(31)의 전면에 구비되어 감지센서(3)에 의한 차량의 역진입 감지시 진입금지를 문자로 알리는 디스플레이(33)와,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35)를 구성한 알림수단(30); 클램프(41)를 통해 상기 폴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알림수단(3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패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100)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일방통행로(1)에 2개의 감지센서(3)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2개의 감지센서(3)가 순차적 또는 역 순차적으로 감지되는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작동 여부가 결정되며, 이러한 감지센서(3)에 의한 작동은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폴대(10)와, 역주행알림판(20)과, 알림수단(30)과, 태양광패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폴대(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일방통행로(1)의 바깥쪽에 매립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역주행알림판(20)과, 알림수단(30) 및 태양광패널(40)의 설치를 위해 구성되며, 견고성 및 설치의 용이성을 위하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역주행알림판(2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주행을 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표지를 통해 역주행을 알려주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역주행을 알리는 표지판(21)과, 상기 표지판(21)에 후면에 구성되어 표지판(21)을 폴대(10)에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탄성결합구(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역주행알림판(20)의 탈, 부착이 손쉬워져, 작업자에 의한 설치의 용이성이 높아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셋째, 알림수단(3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문자나 사이렌 및 멘트 등을 통해 차량의 운전자가 역진입을 했다는 것을 알려주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내부에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하여 역주행알림판(2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폴대(10)에 결합고정되는 함체(31)와, 상기 함체(31)의 전면에 구비되어 감지센서(3)에 의한 차량의 역진입 감지시 진입금지를 LED 문자로 알리는 디스플레이(33)와, 멘트 및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35)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함체(31)는 전, 후 몸체로 분리 구성되어 공지된 통상의 볼트결합을 통해 폴대(1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는 감지센서(3)에 의한 차량의 역진입 감지시, 알림수단(30)에 구성된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경광등(50)이 폴대(10)에 더 포함되어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경광등(50)은 차량의 운전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보여주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안정적인 설치를 위하여 상기 역주행알림판(20)의 상측에 구성됨으로써 상기 역주행알림판(20)이 알림수단(30)과 경광등(50) 사이에 밀착배치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넷째, 태양광패널(40)은 상기 알림수단(30)의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폴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공지된 통상의 클램프(41)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태양광패널(40)은 종래에 공지된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태양광패널(4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한 쌍의 클램프(41) 결합을 통해 폴대(10)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데, 이때 설치되는 클램프(41)의 전,후방향의 회동을 통해 태양광패널(40)의 전, 후 방향으로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클램프(41)에는 높이조절을 통해 태양광패널(40)의 방향을 설정 즉, 태양광패널(40)의 좌, 우 방향의 회동을 통해 상기 태양광패널(40)이 바라보는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조절수단(60)이 더 포함되어 구비됨으로써 태양광발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절수단(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램프(41)에 각각 구성되어 태양광패널(40)의 일측과 타측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제1조절홀(61)을 등 간격으로 복수 구성하여 각각의 클램프(41)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외통(62)과, 상기 제1조절홀(61)에 대응되는 제2조절홀(63)을 구성하여 외통(62)에 끼워지는 내통(64)과, 상기 제1, 2조절홀(61, 63)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수단(65)과, 제1결합홀(66)을 형성하여 상기 내통(64)의 상부에 구성되는 제1결합부(67)와, 상기 제1결합부(67)와 핀(P) 결합되는 제2결합홀(68)을 형성하여 태양광패널(40)의 양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2결합부(69)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외통(62)과 내통(64)의 위치는 서로 뒤바뀌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태양광패널(4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69)의 제2결합홀(68)은 내통(64)의 높이 조절에 따른 태양광패널(40)의 방향 설정시 핀(P)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슬릿홀(slit hole)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핀(P)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게 해야 하며, 이와 같은 슬릿홀로 형성되는 제2결합홀(68)은 태양광패널(40)의 일측 하부가 아닌 타측 하부에 형성되거나, 양측 하부에 모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65)은 통상의 볼트축을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분실 방지는 물론, 내통(64)의 높이조절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제1끼움부(652)와, 링부(653)와, 탄성체(654)와, 연결부(655)와, 제2끼움부(65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결합수단(65)의 제1끼움부(652)는 내통(64)의 높이조절을 용이하게 이루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내통(64)의 높이조절시 결합수단(65)의 분실이 방지될 수 있도록, 외통(62)의 최하단에 위치한 제1조절홀(61)에 끼워져 구성되며, 상기 제1조절홀(61)에서의 빠지지 않을 수 있도록 일단에는 통상의 스냅링과 같은 링부(653)가 끼워져 결합되는 체결홈(65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링부(65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끼움부(652)의 일단에 결합구성되는 것으로, 스냅링을 통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외에도 제1끼움부(652)의 일단에 용접하거나, 나사결합되는 너트의 구성을 통해서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불어 탄성체(654)는 상기 외통(62)과 링부(653)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1조절홀(61)을 통과한 제1끼움부(652)에 끼워져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끼움부(652)에 인장력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끼움부(652)가 제1조절홀(6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연결부(655)는 상기 제1끼움부(652)의 타단에 일체로 구성되어 외통(62)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구성이며, 제2끼움부(656)는 외통(62)과 내통(64)의 제1, 2조절홀(61, 63)에 끼워지도록 상기 연결부(655)의 끝단에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높이가 조절된 내통(64)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진입 한 차량의 운전자가 역주행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강제로 인식시킬 수 구성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감지센서(3)와 알림수단(30) 사이에 제2감지센서(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역주행알림판(20)에는 제2감지센서(5)의 감지시 모터(72) 또는 실린더(75)를 통해 작동하는 시각인식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통해 이룰 수 있다.
먼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72)를 이용한 시각인식수단(70)은, 모터축(71)이 구성된 모터(72)를 역주행알림판(20)에 결합한 후, 연결수단(73)을 통해 상기 모터축(71)에 결합되어 모터(72)의 구동에 따라 회동작동하는 경광봉(74)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제2감지센서(5)에 의한 차량의 역주행 감지시 발광하는 경광봉(74)이 일방통행로(1)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운전자에 의한 식별이 강제적으로 이루어져 역주행방지를 시각적인 효과로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경광봉(74)은 공지된 통상의 것으로, 봉 형상이 아닌 손바닥 형상 등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연결수단(73)은 통상의 볼트를 통해 이룰 수도 있으나, 경광봉(74)의 용이한 결합설치는 물론, 장시간 작동에도 하중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축(71)에 끼워져 볼트 결합되는 연결축(731)과, 경광봉(74)의 하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733)을 구성하여 상기 연결축(731)에 일체로 구성되는 연결구(73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역주행알림판(20)에는 연결구(735)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연결구(735)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안전커버(2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안전커버(25)의 일측에는 모터축(71)과 연결축(731)의 볼트결합을 위한 개구홀(25a)이 더 포함되어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75)를 이용한 시각인식수단(70)은, 로드(76)가 구성된 실린더(75)를 역주행알린판(20)에 결합 후, 통상의 브라켓을 통해 상기 로드(76)와 결합되는 작동알림판(77)을 역주행알림판(20)의 전방에 배치하는 것으로 이룰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제2감지센서(5)에 의한 차량의 역주행 감지시 수평방향 즉, 일방통행(1)로 방향으로 움직이는 작동알림판(77)에 의해 운전자에 의한 식별이 강제적으로 우리어져 역주행방지를 시각적인 효과로 손쉽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알림판(77) 또는 역주행알림판(20)에는 운전자에 의한 식별의 용이성을 위하여 통상의 LED(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작동판(77)에는 역주행을 표시하는 통상의 표시문구가 더 포함되어 구비되어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아울러 상기 역주행알림판(20)의 전면 상, 하측에는 작동알림판(77)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공지된 통상의 레일(78)이 더 포함되어 구비됨으로써 상기 작동알림판(2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방통행로(1)에 복수 개의 감지센서(3)와, 제2감지센서(5)를 일정간격으로 두고 설치하고, 일방통행로(1)의 바깥쪽에 감지센서(3) 및 제2감지센서(5)에 의해 작동하는 본 발명의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100)을 매립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위치 및 지형에 따른 설치조건에 따라 클램프(41) 및 조절수단(60)을 이용하여 태양광패널(40)이 바라보는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태양광패널(40)이 태양열을 가장 오래 받을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작동에 전원부족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시킨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100)의 설치를 완료한 후, 차량이 일방통행로(1)의 출구방향에서 진입 즉, 차량의 역진입이 일어나면, 차량의 역주행에 따라 복수 개의 감지센서(3)가 순차적으로 역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알림수단(30)에 구성된 배터리의 전원으로 경광등(50)과, 디스플레이(33) 및 스피커(35)가 10초 내외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역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는 본 발명이 작동하기 전, 역주행을 알리는 역주행알림판(20)의 표시판(21)을 통해 1차 경고를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감지센서(3)에 의해 시각적, 청각적으로 작동하는 경광등(50)과 디스플레이(33) 및 스피커(35)에 의해 2차 경고하게 되며, 이로 인해 역주행의 인지를 효율적이고 확고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역진입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예방의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제1, 2차 경고에도 운전자가 역진입을 인지하지 못하였을 때에는, 차량의 지속적인 역주행에 따라 제2감지센서(5)가 차량을 감지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2감지센서(5)에 의해 시각인식수단(70)이 일방통행로(1)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작용이 이루어져, 운전자가 역주행하는 것을 강제로 인식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운전자가 역주행을 인지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100)을 이용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 및 조립하여 설치를 이용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 전원의 사용으로 전기 인입선으로 인한 터파기 공사가 불필요하여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문자와 음향 및 시각적인 효과를 통해 운전자에게 역주행을 손쉽게 인지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클램프(41) 및 조절수단(60)을 통해 태양광패널(40)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설정하여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태양광발전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음과 더불어, 탄성체(654)를 이용한 간편한 조작으로 방향 설정을 용이하게 이룸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제2감지센서(5)에 의한 감지시 회동 또는 슬라이드이동 작동하는 시각인식수단(70)을 통해 운전자가 역주행하는 것을 강제로 인식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시각인식수단(70)이 제한범위 내에서만 작동하는 것에 의해 충돌사고가 예방되어 파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역진입시 정주행하는 차량에게 역진입을 경고하는 경고수단(9)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1 : 일방통행로 3 : 감지센서 5 : 제2감지센서 9 : 경고수단
10 : 폴대
20 : 역주행알림판 21 : 표지판 23 : 탄성결합구 25 : 안전커버 25a : 개구홀
30 : 알림수단 31 : 함체 33 : 디스플레이 35 : 스피커
40 : 태양광패널 41 : 클램프
50 : 경광등
60 : 조절수단 61 : 제1조절홀 62 : 외통 63 : 제2조절홀 64 : 내통 65 : 결합수단 651 : 체결홈 652 : 제1끼움부 653 : 링부 654 : 탄성체 655 : 연결부 656 : 제2끼움부 66 : 제1결합홀 67 : 제1결합부 68 : 제2결합홀 69 : 제2결합부 P : 핀
70 : 시각인식수단 71 : 모터축 72 : 모터 73 : 연결수단 731 : 연결축 733 : 끼움홈 735 : 연결구 74 : 경광봉 75 : 실린더 76 : 로드 77 : 작동알림판 78 : 레일
100 :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Claims (9)

  1. 일방통행로(1)에 설치된 감지센서(3)의 감지를 통해 역진입하는 차량에 경고를 발생시키는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하부가 일방통행로(1)의 바깥쪽에 매립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형상의 폴대(10);
    역주행을 알리는 표지판(21)과, 상기 표지판(21)에 후면에 구성되어 표지판(21)을 폴대(10)에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탄성결합구(23)로 구성된 역주행알림판(20);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하여 역주행알림판(2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폴대(10)에 결합고정되는 함체(31)와, 상기 함체(31)의 전면에 구비되어 감지센서(3)에 의한 차량의 역진입 감지시 진입금지를 문자로 알리는 디스플레이(33)와,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35)를 구성한 알림수단(30);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한 쌍의 클램프(41) 결합을 통해 상기 폴대(10)의 상부에 고정결합되어 알림수단(3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패널(40);
    제1조절홀(61)을 복수 구성하여 각각의 클램프(41)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외통(62)과, 상기 제1조절홀(61)에 대응되는 제2조절홀(63)을 구성하여 외통(62)에 끼워지는 내통(64)과, 외통(62)의 최하단에 위치한 제1조절홀(651)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652), 상기 제1끼움부(652)의 일단에 구성되는 링부(653), 상기 외통(62)과 링부(653)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1조절홀(61)을 통과한 제1끼움부(652)에 끼워져 상기 제1끼움부(652)에 인장력을 가하는 탄성체(654), 상기 제1끼움부(652)의 타단에 일체로 구성되어 외통(62)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연결부(655), 상기 연결부(655)의 끝단에 일체로 구성되어 외통(62)과 내통(64)의 제1, 2조절홀(61, 63)에 끼워지는 제2끼움부(656)로 구성된 결합수단(65)과, 제1결합홀(66)을 형성하여 상기 내통의 상부에 구성되는 제1결합부(67)과, 상기 제1결합부(67)와 핀(P) 결합되는 제2결합홀(68)을 형성하여 태양광패널(40)의 양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2결합부(69)로 이루어지며, 상기 태양광패널(4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69)의 제2결합홀(68)은 태양광패널(40)의 방향 설정시 핀(P)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슬릿홀(slit hole)로 형성되어 높이조절을 통해 태양광패널(40)의 방향을 설정하도록 된 조절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주행알림판(20)의 상측에는 감지센서(3)에 의한 차량의 역진입 감지시 발광하는 경광등(50)이 폴대(10)에 더 포함되어 결합되어, 상기 역주행알림판(20)이 알림수단(30)과 경광등(50) 사이에 밀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3)와 알림수단(30) 사이에는 제2감지센서(5)가 더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역주행알림판(20)에는 제2감지센서(5)의 감지시 모터(72) 또는 실린더(75)를 통해 작동하는 시각인식수단(70)이 더 포함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인식수단(70)은
    모터축(71)을 구성하여 역주행알림판(20)에 결합되는 모터(72);
    연결수단(73)을 통해 상기 모터축(71)에 결합되어 모터(72)의 구동에 따라 회동작동하는 경광봉(7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73)은
    상기 모터축(71)에 끼워져 볼트 결합되는 연결축(731)과, 경광봉(74)의 하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733)을 구성하여 상기 연결축(731)에 일체로 구성되는 연결구(735)로 이루어지며,
    상기 역주행알림판(20)에는 연결구(735)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연결구(735)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안전커버(2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인식수단(70)은
    역주행알림판(20)에 결합되는 실린더(75);
    상기 역주행알림판(2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실린더(75)의 로드(76)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75)의 구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알림판(77);
    상기 역주행알림판(20)의 상, 하측에 각각 구성되어 작동알림판(77)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레일(7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KR1020180026101A 2018-03-06 2018-03-06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KR101899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101A KR101899147B1 (ko) 2018-03-06 2018-03-06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101A KR101899147B1 (ko) 2018-03-06 2018-03-06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147B1 true KR101899147B1 (ko) 2018-09-14

Family

ID=63599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101A KR101899147B1 (ko) 2018-03-06 2018-03-06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14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780B1 (ko) * 2019-07-26 2020-11-04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진입 금지 표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200144335A (ko) 2019-06-18 2020-12-29 (주)로드텍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
KR102220672B1 (ko) * 2020-12-24 2021-02-26 (주)피엘티 고장 감지 기능을 구비한 역주행 경고 장치
KR20210080916A (ko) 2019-12-23 2021-07-01 홍대영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54252B1 (ko) * 2022-03-22 2022-10-14 지티에스 주식회사 조향제어 및 조도제어를 이용하여 안전성과 시인성을 향상시킨 경광등
CN116752471A (zh) * 2023-08-23 2023-09-15 湖北工业大学 一种潮汐车道可变向阻拦地锁及警示引导系统
KR20230151793A (ko) * 2022-04-26 2023-11-02 주식회사 두광 화면과 음향이 구비된 움직이는 도로안전표지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941A (ko) 2000-01-22 2001-08-03 이명철 차량 역진입 자동 차단 장치
KR200426065Y1 (ko) * 2006-06-09 2006-09-19 김종철 도로용 경고표시장치
KR20100090880A (ko) * 2009-02-09 2010-08-18 구귀회 차량 역주행 방지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85462A (ko) * 2010-01-20 2011-07-27 (주)대양커뮤니케이션 항로표지장치
KR101101305B1 (ko) * 2011-05-31 2011-12-30 김찬식 태양전지를 이용한 사인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941A (ko) 2000-01-22 2001-08-03 이명철 차량 역진입 자동 차단 장치
KR200426065Y1 (ko) * 2006-06-09 2006-09-19 김종철 도로용 경고표시장치
KR20100090880A (ko) * 2009-02-09 2010-08-18 구귀회 차량 역주행 방지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85462A (ko) * 2010-01-20 2011-07-27 (주)대양커뮤니케이션 항로표지장치
KR101101305B1 (ko) * 2011-05-31 2011-12-30 김찬식 태양전지를 이용한 사인보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335A (ko) 2019-06-18 2020-12-29 (주)로드텍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
KR102173780B1 (ko) * 2019-07-26 2020-11-04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진입 금지 표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210080916A (ko) 2019-12-23 2021-07-01 홍대영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20672B1 (ko) * 2020-12-24 2021-02-26 (주)피엘티 고장 감지 기능을 구비한 역주행 경고 장치
KR102454252B1 (ko) * 2022-03-22 2022-10-14 지티에스 주식회사 조향제어 및 조도제어를 이용하여 안전성과 시인성을 향상시킨 경광등
KR20230151793A (ko) * 2022-04-26 2023-11-02 주식회사 두광 화면과 음향이 구비된 움직이는 도로안전표지판
KR102622521B1 (ko) 2022-04-26 2024-01-09 주식회사 두광 화면과 음향이 구비된 움직이는 도로안전표지판
CN116752471A (zh) * 2023-08-23 2023-09-15 湖北工业大学 一种潮汐车道可变向阻拦地锁及警示引导系统
CN116752471B (zh) * 2023-08-23 2023-10-27 湖北工业大学 一种潮汐车道可变向阻拦地锁及警示引导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147B1 (ko)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US9157200B2 (en) Vehicle barrier system with illuminating gate arm and method
KR101507451B1 (ko) 역주행 차량 방지 시스템
KR200423358Y1 (ko) 스쿨존의 속도 감지 및 표시장치
KR100847153B1 (ko) 도로 등 토목용터널 진입차단장치
KR100608974B1 (ko) 지하주차장 진출입구의 안전시설 시스템
US9273435B2 (en) Vehicle barrier system with illuminating gate arm
ES2231834T3 (es) Dispositivo de vigilancia para zonas de visibilidad reducida o sin visibilidad alrededor de vehiculos de motor.
KR101499827B1 (ko) 태양광 조명이 구비된 차량 방호용 울타리
KR101125095B1 (ko) 무인 교통 알림장치
KR101212855B1 (ko) 가로등
KR101682061B1 (ko) 도로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0062A (ko) 무단횡단금지용 차선분리대
KR20160134016A (ko) 시야 사각지대 위험 감지 및 알림 시스템
KR102146863B1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스마트 신호등시스템
KR102324942B1 (ko) 차량 충돌을 방지하는 주차 차단기
KR20090040636A (ko) 역주행방지시스템
KR100619807B1 (ko) 교통시설물 보호용 전기시설
EP3995627A1 (en)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intended to be installed in an entrance of a pedestrian crossing
KR102271463B1 (ko)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
KR20190033666A (ko) 고속 주행 도로에서의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경보시스템
KR102492493B1 (ko) 침수도로 및 침수발생 지역의 차량진입 차단 장치
KR20130004561U (ko) 스쿨존 내에 설치되는 교통신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시스템
JP2008127979A (ja) 交通安全表示体及び交通安全表示体を用いた交通安全表示システム。
KR102355297B1 (ko) 가상체험 방식에 기반한 도로의 통행 높이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