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916A -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0916A
KR20210080916A KR1020190172986A KR20190172986A KR20210080916A KR 20210080916 A KR20210080916 A KR 20210080916A KR 1020190172986 A KR1020190172986 A KR 1020190172986A KR 20190172986 A KR20190172986 A KR 20190172986A KR 20210080916 A KR20210080916 A KR 20210080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tance
warning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대영
Original Assignee
홍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대영 filed Critical 홍대영
Priority to KR1020190172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0916A/ko
Publication of KR20210080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6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istinguishing direction of trave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가능한 간단한 장치로 도로를 파손하지 않고 역주행 진입 차량에 대해 경고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이동하면서 도로에 설치되는 포스트와, 포스트에 고정되며 제어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차량을 센싱하는 차량 센싱부와, 차량 센싱부의 신호에 따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차량 센싱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시간 간격을 두고 센싱되는 차량과의 거리를 각각 제1거리와 제2거리로 측정하고, 제1거리와 제2거리를 비교하여 접근하는 차량과 멀어지는 차량으로 판단하여, 경고부에 경고신호를 보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센서만으로도 차량의 역주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도로를 파손하지 않고 역주행 진입 차량에 대해 경고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of moving type for preventing reverse-moving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가능한 간단한 장치로 도로를 파손하지 않고 역주행 진입 차량에 대해 경고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도, 지방도로, 고속도로 휴게소 및 인터체인지 등은 진입로와 진출로가 구별되어 일방통행도로가 설치되며, 차량의 역주행 진입시에 이를 알리기 위한 경고수단이 동작한다. 최근 들어, 차량의 증가와 더불어 전국 도로망의 확충이 가속화됨에 따라 증가되는 역주행 차량 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며, 그 노력이 다양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또한, 백화점, 마트, 시장, 병원, 기업 등의 주차장에는 차량의 역진입/진출을 주변의 차량 및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하여 경광등이 설치되어 있다. 위와 같은 건물들은 도시의 곳곳에 늘어나고 건물의 크기가 거대화 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건물의 주차장은 대부분 차로가 건물의 모양을 따라 곡선 형태로 설치되어 양방향 주행을 하게 되어, 손님들의 착각을 불러일으키며 역주행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위와 같이, 도로의 정방향에 대하여 차량이 역방향으로 주행하여 발생되는 역주행 사고는, 대형 교통사고를 유발 또는 도로 정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아, 각별한 방지 대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일방통행도로가 필요한 장소에서는, 일방통행도로를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운전자를 통제하기 위해서 일방통행도로 진입금지 표시판을 설치하거나, 도로면에 주행방향을 알리는 화살표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인식을 시켜주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덧붙여서, 최근에는 일방통행도로의 진입로나 역주행 사고가 빈발하는 구간에 적외선 감지기 또는 영상 검지기를 한 쌍으로 설치한 역주행 방지 시스템을 이용해, 차량의 주행을 감지하는 순서에 따라 차량의 진행 방향을 검지 또는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도로를 포함한 고속도로에서는 차선 및 차량의 주행 방향이 정해진 상태에서, 소정 범위의 속도로 차량을 운행하도록 법적으로 규정된다.
그런데, 최근 운전자가 음주 상태에 놓이거나, 또는 운전자의 졸음 또는 부주의 상황, 또는 진입 경로의 착오,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비상상황 등의 경우에 도로 상의 정해진 방향이 아닌 이에 대해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가 가끔 발생된다.
위와 같은 역주행 상황은 특히 차량이 고속으로 운전되는 고속화 도로에서는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며, 이러한 상황은 타 차량과의 충돌 및 이어지는 후방 차량과의 추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시야의 확보가 불리한 야간 또는 흐린 날씨의 상황에서는 상기와 같은 충돌 및 추돌은 자칫 대형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역주행 발생 상황에서는 역주행 중인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역주행 상황을 중단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구되며, 또한 인근의 타 운전 차량에도 역주행 발생 사실을 알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99147호(등록일: 2018.09.10.)
한국공개특허 제2016-0129206호(공개일: 2016.11.09.)
본 발명은 이동가능한 간단한 장치로 접근하는 차와 멀어지는 차를 구분하여 도로를 파손하지 않고 역주행 진입 차량에 대해 경고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는 이동하면서 도로에 설치되는 포스트와, 포스트에 고정되며 제어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차량을 센싱하는 차량 센싱부와, 차량 센싱부의 신호에 따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차량 센싱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시간 간격을 두고 센싱되는 차량과의 거리를 각각 제1거리와 제2거리로 측정하고, 제1거리와 제2거리를 비교하여 접근하는 차량과 멀어지는 차량으로 판단하여, 경고부에 경고신호를 보내게 된다.
몸체에는 경고신호에 따라 회동하게 제어되는 차단봉이 결합된다.
차량 센싱부는 초음파로 차량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로 되어 있다.
몸체에는 태양광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은, 이동하면서 도로에 설치되는 포스트와, 포스트에 고정되며 제어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차량을 센싱하는 차량 센싱부와, 차량 센싱부의 신호에 따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역주행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차량 센싱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시간 간격을 두고 센싱되는 차량과의 거리를 각각 제1거리와 제2거리로 측정하는 거리 측정 단계와, 제1거리와 제2거리를 비교하여 접근하는 차량와 멀어지는 차량으로 판단하는 비교 판단 단계와, 비교 판단 단계의 판단에 따라 경고부에 경고신호를 보내어 경고하는 경고 단계를 포함하여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접근하는 차량과 멀어지는 차량을 구분하여 하나의 센서만으로도 차량의 역주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도로를 파손하지 않고 역주행 진입 차량에 대해 경고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로 차량의 역주행을 방지하는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의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100)는 포스트(110)와, 몸체(120)와, 차량 센싱부(130)와, 제어부(140)와, 경고부(150)와, 차단봉(160)을 포함한다.
포스트(110)는 도로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101)에 세워져 고정되어 있으며, 그 상단에는 몸체(120)가 고정된다. 베이스(101)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달려 있을 수도 있다.
몸체(120)의 내부에는 제어부(140) 등이 설치될 수 있고, 몸체(120)의 외부에는 차량 센싱부(130)와 경고부(150)가 설치된다. 제어부(140)는 몸체(12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차량 센싱부(130)는 접근하는 차량이나 멀어지는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초음파를 발사하여 차량에 반사되어 오는 파에 따라 거리나 방향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초음파 센서로 되어 있다. 차량 센싱부(130)는 초음파 센서 외에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 센싱부(130)의 신호에 따라 본 발명의 장치를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하는 단일보드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으로 되어 있다. 제어부(140)에는 데이터 및 처리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141, 메모리)가 구비된다. 제어부(140)는 차량 센싱부(13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시간 간격을 두고 센싱되는 차량(V: 도 3 참조)과의 거리를 각각 제1거리와 제2거리로 측정하고, 제1거리와 제2거리를 비교하여 접근하는 차량과 멀어지는 차량으로 판단하여, 경고부(150)에 경고신호를 보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만으로도 차량의 역주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경고부(150)는 부저(Buzzer) 등의 음성(소리)으로 경고하는 음성 경고부(151)와, LED 램프 등으로 경고하는 램프 경고부(152)가 있다.
차단봉(160)은 몸체(12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H)로 결합되어 있으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경고부(150)에서 발생하는 경고 신호에 동조하여 회동하게 된다. 몸체(120)에는 도시하지 않은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차단봉(160)을 구동하는 구동부(170)가 설치된다. 차단봉(160)은 차량이 부딪혀도 차가 손상되지 않는 부드러운 재질로 차량의 진입을 막아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170)는 서보 모터 등으로 되어 있다.
제어부(140)에는 무선기기 등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80)가 구비되어, 이를 통해 장치를 관제센터 등에서 무선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40)와 구동부(170)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밧테리 등의 전원공급부(190)가 구비되는데, 전원공급부(190)는 태양전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패널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태양광 패널로 된 전원공급부(190)는 몸체(120)에 세워져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로 차량의 역주행을 방지하는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100)를 제어하는 방법은 거리 측정 단계(S110)와, 비교 판단 단계(S120)와, 경고 단계(S130)를 포함한다.
거리 측정 단계(S110)는 차량 센싱부(13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시간 간격(예를 들어, 1초 간격)을 두고 센싱되는 차량과의 거리를 각각 제1거리(L1)와 제2거리(L2)로 측정하는 단계로서, 차량(V)이 일정범위에 들어오면 차량 센싱부(130, 초음파 센서)에서 나온 초음파(W)가 차량에 반사되어 들어오는 것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두 번 측정하여 저장부(141: 도 2 참조)에 저장하게 된다.
비교 판단 단계(S120)는 제1거리(L1)와 제2거리(L2)를 비교하여 '접근하는(역주행) 차량'와 '멀어지는(정주행) 차량'으로 판단하는 단계로서, 제2거리(L2)가 제1거리(L1)보다 작으면 차량(V1)이 접근(즉, 역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거리(L2)가 제1거리(L1)보다 크면 차량(V1)이 멀어지는 것(정주행)으로 판단한다.
경고 단계(S130)는 비교 판단 단계(S120)의 판단에 따라 경고부(150: 도 2 참조)에 경고신호를 보내어 경고하는 단계이다. 즉, 제2거리(L2)가 제1거리(L1)보다 작으면(L2 < L1), 음성 경고부(151)를 통해 부저를 울리고 램프 경고부(152)를 통해 램프를 점등하는 한편, 구동부(170: 도 2 참조)를 통해 차단봉(160)을 내려 운전자에게 막는 표시를 인식하게 한다.
제2거리(L2)가 제1거리(L1)보다 크면(L2 > L1), 음성 경고부(151)와 램프 경고부(152)가 작동하지 않는 한편, 구동부(170: 도 2 참조)를 통해 차단봉(160)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포스트 101: 베이스
120: 몸체 130: 차량 센싱부
140: 제어부 150: 경고부
151: 음성 경고부 152: 램프 경고부
160: 차단봉 170: 전원 공급부
180: 무선 통신부 190: 구동부
H: 힌지 V: 차량
W: 초음파
L1: 제1거리 L2: 제2거리

Claims (5)

  1. 이동하면서 도로에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고정되며 제어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차량을 센싱하는 차량 센싱부와,
    상기 차량 센싱부의 신호에 따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센싱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시간 간격을 두고 센싱되는 차량과의 거리를 각각 제1거리와 제2거리로 측정하고,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를 비교하여 접근하는 차량과 멀어지는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부에 경고신호를 보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경고신호에 따라 회동하게 제어되는 차단봉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센싱부는 초음파로 차량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태양광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5. 이동하면서 도로에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에 고정되며 제어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차량을 센싱하는 차량 센싱부와, 상기 차량 센싱부의 신호에 따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역주행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차량 센싱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시간 간격을 두고 센싱되는 차량과의 거리를 각각 제1거리와 제2거리로 측정하는 거리 측정 단계와,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를 비교하여 접근하는 차량과 멀어지는 차량으로 판단하는 비교 판단 단계와,
    상기 비교 판단 단계의 판단에 따라 상기 경고부에 경고신호를 보내어 경고하는 경고 단계를 포함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172986A 2019-12-23 2019-12-23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80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986A KR20210080916A (ko) 2019-12-23 2019-12-23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986A KR20210080916A (ko) 2019-12-23 2019-12-23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916A true KR20210080916A (ko) 2021-07-01

Family

ID=7686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986A KR20210080916A (ko) 2019-12-23 2019-12-23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091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206A (ko) 2015-04-29 2016-11-09 (주)경봉 역방향 주행 차량 감지 경보시스템
KR101899147B1 (ko) 2018-03-06 2018-09-14 율진이앤씨(주)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206A (ko) 2015-04-29 2016-11-09 (주)경봉 역방향 주행 차량 감지 경보시스템
KR101899147B1 (ko) 2018-03-06 2018-09-14 율진이앤씨(주)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451B1 (ko) 역주행 차량 방지 시스템
US752870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injuries and material damage caused by motor vehicle doors
EP2002415B1 (en)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7830243B2 (en) Dual mode vehicle blind spot system
JP5476914B2 (ja) 指向性制御照明装置
US20080218381A1 (en) Occupant exit alert system
KR102168689B1 (ko) 차량높이 감지시스템
US10933804B2 (en) School bus child safety system, compon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TW201416268A (zh) 車輛警示方法以及使用該方法的車輛警示系統
KR101889957B1 (ko) 비상 상황 알림 및 경고장치
KR20140046953A (ko) 충돌 경고 장치 및 충돌 경고 방법
KR20160092959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050640A (ko) 차량의 안전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는 방법
US20190096249A1 (en) Infrastructure based backup and exit aid
KR20160092965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방지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35761B1 (ko)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KR20180117776A (ko)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KR100644813B1 (ko) 자동차용 주행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방법
TWM595068U (zh) 車輛警示系統
KR20210080916A (ko) 이동식 차량 역주행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4752279U (zh) 地下停车场l型路口智能来车报警器
KR101693262B1 (ko) 자동차 운행 가이드 시스템
KR101953754B1 (ko) 차량 측면용 안전시스템
KR20170082840A (ko) 통행 보조 장치 및 방법
KR20070030449A (ko)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이용한 차선변경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