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463B1 -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 - Google Patents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463B1
KR102271463B1 KR1020190072242A KR20190072242A KR102271463B1 KR 102271463 B1 KR102271463 B1 KR 102271463B1 KR 1020190072242 A KR1020190072242 A KR 1020190072242A KR 20190072242 A KR20190072242 A KR 20190072242A KR 102271463 B1 KR102271463 B1 KR 102271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using
road
reverse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335A (ko
Inventor
김용배
김순호
Original Assignee
(주)로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드텍 filed Critical (주)로드텍
Priority to KR1020190072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463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주행 차량을 예방하는 도로 시설용 안전유닛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크기를 가지고, 차량이 다니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내지 갓길이나 측구에 설치되는 함체(10); 위 함체(10)의 상단에 배치되어 전원을 생산하는 태양광패널(21)과, 위 함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생산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25)로 구성된 전원모듈(20); 위 함체(10)의 전면에 배치되어 도로에 마이크로파장을 발신하고, 차량으로부터 반사되는 마이크로파장을 실시간 수신하는 감지모듈(30); 위 함체(10)의 상단과 전면에 각각 배치되어 역주행 내지 교통상황을 경고하는 경광등(41)과 전광판(45)으로 구성된 경보모듈(40); 위 함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신된 마이크로파장에 따라 역주행 차량을 판별하고, 주행 차량에 대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이더를 이용하여 주야간에 관계없이 도로에 역주행으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고, 즉시 역주행 차량 운전자에게 시청각 경고 메시지를 연출함으로써 역주행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Anti-reverse vehicle safety unit}
본 발명은 역주행 차량을 예방하는 도로 시설용 안전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이더를 이용하여 역주행 또는 역주행하려는 차량 운전자에게 즉각적으로 경고해줌으로써 역주행으로 인한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에 관한 것이다.
통상 도로를 포함한 고속도로에서는 차선 및 차량의 주행 방향이 정해진 상태에서 소정 범위의 속도로 차량을 운행하도록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운전자가 음주 상태이거나, 운전자의 졸음이나 부주의 상황 내지 진입 경로의 착오 및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비상상황 등의 경우 도로 상에 정해진 방향의 역으로 주행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역주행 상황은 특히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화 도로에서는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며, 이러한 상황은 정주행 중인 타 차량과의 충돌 및 이어지는 후방 차량과의 추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더구나 시야의 확보가 불리한 야간 또는 흐린 날씨의 상황에서는 역주행과 같은 충돌 및 추돌은 자칫 대형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역주행 발생 상황에서는 역주행 중인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역주행 상황을 중단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요구되며, 인근의 타 운전 차량에도 역주행 발생 사실을 알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7451호 (발명의 명칭: 역주행 차량 방지 시스템)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0025호 (발명의 명칭: 역방향 주행 차량 감지 경보시스템)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9147호 (발명의 명칭: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를 제안한 바 있다.
전자는 일방통행도로에 정방향 감지용 센서부 및 역방향 감지용 센서부를 설치하여 정상주행 차량 감지 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전기적으로 역방향 감지용 센서부의 신호를 OFF시켜 정상주행 차량은 통과시키고, 역주행 차량만을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자는 도로 상에 설치되는 차량 감지 센서부가 도로 상에 일정 간격 한 쌍 설치되고, 한 쌍의 차량 감지센서부를 통해 지나가는 차량의 속도를 계산하여 계산되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시각신호 발생부가 다르게 제어되도록 하였다.
후자는 일방통행로에 2개의 감지센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순차적 또는 역 순차적으로 감지되는 순서에 따라 역주행 차량을 감지하고, 태양광 전원의 사용으로 전기 끌어들임 선으로 인한 터파기 공사가 불필요하여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차량을 검출하는 감지기가 도로에 복수로 설치됨으로써, 감지기와 배선연결에 의한 도로의 절개나 방지 턱 공사가 불가피함에 따라 전반적인 설치에 소요되는 공수의 낭비를 초래하고, 장기적으로 도로가 훼손하게 되어 추가적인 유지보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감지기가 일반 광 유형이나 루프 코일로 이루어져 있어 차량의 속도나 날씨 및 주야와 같은 다양한 환경 변수에 따라 감지성능의 급격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감지오류를 야기할 가능성이 농후하여 역주행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기엔 부족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7451호 (발명의 명칭: 역주행 차량 방지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0025호 (발명의 명칭: 역방향 주행 차량 감지 경보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9147호 (발명의 명칭: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레이더를 이용하여 차량을 감지함으로써 주야 상관없이 다양한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상시 신속 정확한 감지를 기대할 수 있고, 도로를 훼손하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전반적으로 시설을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함과 함께 불필요한 유지보수로 보급화에 기여할 수 있는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은 적어도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크기를 가지고, 차량이 다니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내지 갓길이나 측구에 설치되는 함체; 위 함체의 상단에 배치되어 전원을 생산하는 태양광패널과, 위 함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생산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로 구성된 전원모듈; 위 함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도로에 마이크로파장을 발신하고, 차량으로부터 반사되는 마이크로파장을 실시간 수신하는 감지모듈; 위 함체의 상단과 전면에 각각 배치되어 역주행 내지 교통상황을 경고하는 경광등과 전광판으로 구성된 경보모듈; 위 함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신된 마이크로파장에 따라 역주행 차량을 판별하고, 주행 차량에 대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위 함체는 하단에 지반으로 매립된 앵커와 볼트로 체결되는 설치플레이트가 구성되고, 인접하는 도로의 역주행 방향을 향해 5 내지 45° 사선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설치플레이트는 앵커의 매립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를 유도하면서 사선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호형의 장공구멍이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함체는 일면에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가 설치되고, 위 내부공간은 다단으로 구획 편성된 선반이 서랍식으로 슬라이드 인출이 가능한 레일에 장착되며, 내면에 전자파를 차단하는 차폐시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차폐시트는 철(Fe) 94~97 중량%, 탄소(C) 1~2 중량%, 크롬(Cr) 1~2 중량%, 실리콘(Si) 1~2 중량%가 배합된 혼합물이 평균 입자 크기가 10~50㎛로 분말 처리된 파우더와 우레탄계 액상 바인더가 1:1 중량비로 혼합된 차폐원료와,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과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이 1:1 중량비로 혼합된 극성용매가 1:0.3 중량비로 혼합된 상태에서 0.5~2㎜ 두께로 압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전원모듈은 함체의 상단에 기립되어 태양광패널을 설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기둥과, 위 기둥 상에 태양광패널의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조인트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조인트는 기둥으로부터 태양광패널을 좌우 및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이중 회전체로 형성되고, 태양광패널이 태양을 따라 자동으로 추적시키는 하나 이상의 조도센서와 모터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전원모듈의 배터리는 둘 이상이 인터록 회로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배터리만을 순차적으로 교번 방전시키고, 나머지 배터리는 태양광패널로부터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감지모듈은 20 내지 30㎓의 마이크로파장을 발신하는 발신부와, 차량에 부딪혀 반사되는 마이크로파장을 수신하는 수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경보모듈은 120 데시벨 이상의 경고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더 구성되고, 위 경광등과 스피커 및 전광판은 먼지나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수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제어모듈은 설치 위치에서 도로의 중앙선까지 거리가 기준치로 설정되고, 수신된 마이크로파장을 분석하여 기준치 보다 먼 거리이면서 근접되는 차량은 정주행 차량으로 판별하며, 기준치 보다 가까운 거리이면서 근접되는 차량은 역주행 차량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제어모듈은 주행하는 차량에 대해 속도를 상시 표시하고, 설치된 도로구간의 최대 속도보다 빠른 경우 경고신호를 출력하며, 기상청과 교통관제센터와 연결되어 날씨와 도로상황에 따른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제어모듈은 차량의 메이커 서버로 간접 연결되어 OBD(On-Board Diagnostics)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nfotainment system)과 간접 연동하거나 차량의 OBD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직접 연동하여 역주행 차량에 대해 운전자 경고와 차선 보정신호 또는 주행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레이더를 이용하여 주야간에 관계없이 도로에 역주행으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고, 즉시 역주행 차량 운전자에게 시청각 경고 메시지를 연출함으로써 역주행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도로를 훼손하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전반적으로 시설을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함과 함께 불필요한 유지보수로 보급화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태양광패널 및 배터리를 내장하여 별도의 외부 전원 없이도 상시 운영이 가능하고, 인터록 회로를 채용하여 배터리의 수명과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넷째, 함체의 내면에 전자파를 차단하는 차폐시트가 부착됨으로써, 전자파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감지성능으로 작동신뢰를 보장할 수 있다.
다섯째, 외부로 노출되는 경보모듈을 먼지나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수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고장이나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여섯째, 평상시 주행에 필요한 정보신호를 출력함은 물론, 자율 또는 반 자율주행 차량과 연동이 가능하여 별도 조작 없이도 올바른 차선으로 자동 보정할 수 있어 운전 숙련도나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유닛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실물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유닛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계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유닛의 전원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유닛의 전원모듈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유닛이 역주행 차량을 감지하는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유닛의 사양을 나타내는 규격서.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일방통행도와 양방향통행도의 역주행 차량을 예방하는 도로 시설용 안전유닛과 관련되며, 도 1 및 도 2처럼 함체(10)와 전원모듈(20) 및 감지모듈(30)과 경보모듈(40) 그리고 제어모듈(5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100)이다.
본 발명의 안전유닛(100)은 레이더를 이용하여 주야간에 관계없이 도로에 역주행으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고, 즉시 역주행 차량 운전자에게 시청각 경고 메시지를 연출함으로써 역주행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함체(10)는 모듈(20)(30)(40)(50)들을 수용하는 캐비닛으로 도 1처럼 적어도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크기를 가지고, 차량이 다니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내지 갓길이나 측구에 설치된다. 이러한 함체(10)는 스테인리스스틸 1.5t 전착도장 패널로 이루어지고, 하단에 지반으로 매립된 앵커와 볼트로 체결되는 설치플레이트(11)가 일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함체(10)는 도 5와 같이 인접하는 도로의 역주행 방향을 향해 5 내지 45° 사선으로 설치된다. 즉, 설치플레이트(11)는 사선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호형의 장공구멍(15)이 복수로 형성된다. 따라서 앵커의 매립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신속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이때, 함체(10)는 일면에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가 설치되고, 내부공간은 다단으로 구획 편성된 선반이 서랍식으로 슬라이드 인출이 가능한 레일에 장착된다. 즉, 함체(10)는 랙 유형으로 이루어져 모듈(20)(30)(40)(50)의 편리한 유지보수를 유도한다.
한편, 함체(10)의 내면에는 전자파를 차단하는 차폐시트가 부착되는 것이 좋다. 차폐시트는 차폐원료와 극성용매가 1:0.3 중량비로 혼합된 상태에서 0.5~2㎜ 두께로 압출 성형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차폐원료로는 철(Fe) 94~97 중량%, 탄소(C) 1~2 중량%, 크롬(Cr) 1~2 중량%, 실리콘(Si) 1~2 중량%가 배합된 혼합물이 평균 입자 크기가 10~50㎛로 분말 처리된 파우더와 우레탄계 액상 바인더가 1: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이용한다.
그리고 극성용매로는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과 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이 1: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이용한다. 물론, 차폐원료 총 중량%에 대해 탄소나노섬유를 1~3% 더 첨가할 수도 있다.
전원모듈(20)은 모듈(20)(30)(40)(5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처럼 함체(10)의 상단에 배치되어 전원을 생산하는 태양광패널(21)과, 함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생산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25)로 구성된다. 물론, 전원모듈(20)은 외부 전원을 상시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전원모듈(20)은 도 3과 같이 함체(10)의 상단에 기립되어 태양광패널(21)을 설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기둥(22)과, 기둥(22)상에 태양광패널(21)의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조인트(23)가 구성된다. 여기서 조인트(23)는 기둥(22)으로부터 태양광패널(21)을 좌우 및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이중 회전체로 형성된다.
즉, 함체(10)의 설지 장소에 따라 조인트(23)를 조절하여 태양광패널(21)을 최적의 방향으로 조절할 수가 있다. 물론, 태양광패널(21)이 태양을 따라 자동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조도센서와 조인트(23)와 연결되는 모터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원모듈(20)의 배터리(25)는 단일로도 충분하지만, 수명과 운영효율을 위해 둘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때, 복수의 배터리(25)로 구성할 경우에는 도 4처럼 인터록 회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록 회로는 복수의 배터리(25)가 동시에 방전(사용)되는 것을 억제하고, 미 사용되는 배터리(25)를 자동 충전되게 유도한다. 즉, 어느 하나의 배터리(25)만을 순차적으로 교번 방전(사용)시키고, 나머지 배터리(25)는 태양광패널(21)로부터 충전시켜준다.
예컨대, 제1 배터리(25)가 사용되어 릴레이가 ON 상태가 되면, 나머지 배터리(25)의 릴레이는 자동으로 OFF 상태로 전환된다. 즉, 제1 배터리(25)의 릴레이는 제2 배터리(25)와 연결되고, 제2 배터리(25)의 릴레이는 제1 배터리(25)와 연결된다. 이러한 인터록 회로는 관리자나 작업자가 실수를 하더라도 쇼트로 인한 단선/단락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25)의 운영제어는 후술하는 제어모듈(40)이 전원(전압 및 전류)상태를 실시간 검출해서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자동 조작된다. 즉, 제1 배터리(25)의 전압이 11.8V, 제2 배터리(25)의 전압이 12.8V일 경우 제1 배터리(25)는 태양광패널(21)과 연결되고, 제2 배터리(25)는 모듈(20)(30)(40)(50)의 전원과 연결된다. 만일 배터리(25)들의 전압이 모두 동일할 경우에는 설정 주기에 따라 방전 배터리(25)를 순차적으로 전환한다.
감지모듈(30)은 도플러 원리로 역주행 차량을 감지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처럼 함체(10)의 전면에 배치되어 도로에 마이크로파장을 발신하고, 차량으로부터 반사되는 마이크로파장을 실시간 수신한다.
이러한 감지모듈(30)은 20 내지 30㎓의 마이크로파장을 발신하는 발신부(31)와, 차량에 부딪혀 반사되는 마이크로파장을 수신하는 수신부(35)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발신부(31)는 24~24.25㎓의 마이크로파장을 발신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즉, 도 5와 같이 발신한 마이크로파장의 주파수와, 반사되어 돌아온 마이크로파장의 주파수의 변화량을 후술하는 제어모듈(50)이 분석하여 정주행 차량과 역주행 차량을 구별한다. 따라서 정주행과 역주행 차량의 구별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어모듈(50)을 토대로 재설명하겠다.
경보모듈(40)은 도로에 주행하는 차량에 대해 경고를 출력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처럼 함체(10)의 상단과 전면에 각각 배치되어 역주행 내지 교통상황을 경고하는 경광등(41)과 전광판(4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경보모듈(40)은 120 데시벨 이상의 경고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42)를 구성하는 바람직하다.
경광등(41)은 Red, Blue 2색의 엘이디로 구성되고, 60~80/m 점멸수와 12V 전압을 이용한다. 알루미늄 하우징과 폴리카보네이트 렌즈 및 스테인리스스틸 중심커버로 구성되어 IP56 등급 이상의 방수구조를 가진다.
전광판(45)은 Red, White / 1 Dot 엘이디 램프가 4 Character 1열 320x320㎜ (16x16 Dot)로 구성되고, 가로 380㎜, 세로 1340㎜, 두께 70㎜의 크기로 먼지나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수구조를 가진다.
제어모듈(50)은 전원모듈(20) 내지 경보모듈(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처럼 함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신된 마이크로파장에 따라 역주행 차량을 판별하고, 주행 차량에 대해 경고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일방통행도의 경우 도 5와 같이 감지모듈(30)로부터 역주행 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감지되면, 경보모듈(40)로 시청각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켜준다. 여기서 양방통행도의 경우에는 정주행 차량과 역주행 차량을 차선별로 구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즉, 양방통행도의 경우 설치 위치에서 도로의 중앙선까지 거리가 기준치로 설정되고, 수신된 마이크로파장을 분석하여 기준치 보다 먼 거리이면서 근접되는 차량은 정주행 차량으로 판별한다. 반대로 기준치 보다 가까운 거리이면서 근접되는 차량은 역주행 차량으로 판별한다.
이때, 제어모듈(50)은 주행하는 차량에 대해 속도를 상시 표시하고, 설치된 도로구간의 최대 속도보다 빠른 경우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운전자로부터 경각심을 불러일으켜 안전운전을 유도한다.
물론, 제어모듈(50)은 기상청과 교통관제센터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날씨와 도로상황에 따른 정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폭우나 강풍과 같은 재난상황이나 사고 및 공사 위치를 알려 운전자의 주위사항을 전달한다.
또한, 제어모듈(50)은 차량의 메이커 서버로 간접 연결되어 OBD(On-Board Diagnostics)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nfotainment system)과 간접 연동하거나 차량의 OBD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직접 연동하여 역주행 차량에 대해 운전자 경고와 차선 보정신호 또는 주행 정지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제어모듈(50)은 유무선 통신망으로 현대의 블루링크나 기아의 유보(UVO)와 연결되어 역주행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일 자율 주행 또는 반 자율 주행 차량의 경우에는 올바른 차선으로 보정을 유도하거나 안전지대에서 주행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물론, 차량의 메이커와 협약을 통해 차량과 직접 연결을 통해 보정 또는 정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모듈(50)은 역주행 차량을 감지해서 경고신호를 출력하였음에도 역주행 차량이 차선 변경이나 변경하려는 상황이 감지되지 않고 통과한 경우, 인근 파출소로 도로 지번과 함께 역주행 차량이 있음을 자동적으로 신고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유닛(100)은 제어모듈(50)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운영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나 버그를 조치하기 위한 서버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서버는 정보를 대칭형 스트림 암호로 코딩시켜 제어모듈(50)로 송신하고, 제어모듈(50)은 수신된 정보를 기록하며 서버와의 인증을 처리한다.
즉, 외부로부터 주고받는 모든 정보는 서버를 통해 암호처리 되어 통신망으로 송신하고, 제어모듈(50)은 통신망으로부터 정보를 수신 받으며 서버와 인증과정으로 부여받은 암호문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복호로 디코딩한다.
여기서 서버는 대칭형 스트림 암호로 코딩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암호문을 비대칭형 스트림 암호로 코딩하여 정보화 함께 제어모듈(50)로 송신한다. 따라서 비교적 보안에 취약한 통신망의 보안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유닛(100)은 도로에 주행하는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테레오 열화상 카메라 또는 영상 카메라와 마이크로 구성된 보정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예컨대, 마이크를 통해 주위의 소음을 감지하여 레이더 신호를 보정하여 역주행 차량을 보다 정밀하게 감지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보정모듈에 의한 신호는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즉시 반영하지 않고, 인공지능 학습기능을 통해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이더를 이용하여 주야간에 관계없이 도로에 역주행으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고, 즉시 역주행 차량 운전자에게 시청각 경고 메시지를 연출함으로써 역주행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도로를 훼손하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전반적으로 시설을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함과 함께 불필요한 유지보수로 보급화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태양광패널 및 배터리를 내장하여 별도의 외부 전원 없이도 상시 운영이 가능하고, 인터록 회로를 채용하여 배터리의 수명과 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함체의 내면에 전자파를 차단하는 차폐시트가 부착됨으로써, 전자파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감지성능으로 작동신뢰를 보장할 수 있다.
더불어 외부로 노출되는 경보모듈을 먼지나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수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고장이나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고, 평상시 주행에 필요한 정보신호를 출력함은 물론, 자율 또는 반 자율주행 차량과 연동이 가능하여 별도 조작 없이도 올바른 차선으로 자동 보정할 수 있어 운전 숙련도나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10: 함체 11: 설치플레이트
15: 장공구멍 20: 전원모듈
21: 태양광패널 22: 기둥
23: 조인트 25: 배터리
30: 감지모듈 31: 발신부
35: 수신부 40: 경보모듈
41: 경광등 42: 스피커
45: 전광판 50: 제어모듈
100: 안전유닛

Claims (4)

  1. 적어도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크기를 가지고, 차량이 다니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내지 갓길이나 측구에 설치되는 함체(10);와, 함체(10) 상단에 배치되어 전원을 생산하는 태양광패널(21)과 함체(10) 내부에 배치되어 생산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25)로 구성된 전원모듈(20);과, 함체(10) 전면에 배치되어 도로에 마이크로파장을 발신하고, 차량으로부터 반사되는 마이크로파장을 실시간 수신하는 감지모듈(30);과, 함체(10)의 상단과 전면에 각각 배치되어 역주행 내지 교통상황을 경고하는 경광등(41)과 전광판(45)으로 구성된 경보모듈(40);과, 함체(10) 내부에 배치되어 수신된 마이크로파장에 따라 역주행 차량을 판별하고, 주행 차량에 대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50);을 포함하는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에 있어서,
    위 전원모듈(20)은 함체 상단에 기립되어 태양광패널을 설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기둥(22)과, 기둥 상에 태양광패널의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조인트(23)를 포함하되, 위 조인트(23)는 기둥으로부터 태양광패널을 좌우 및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이중 회전체로 이루어져 태양광패널이 태양을 따라 자동으로 추적시키는 하나 이상의 조도센서와 모터가 구성되고,
    위 전원모듈의 배터리(25)는 둘 이상이 인터록 회로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배터리만을 순차적으로 교번 방전시키고, 나머지 배터리는 태양광패널로부터 충전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위 감지모듈(30)은 20 내지 30㎓의 마이크로파장을 발신하는 발신부(31)와, 차량에 부딪혀 반사되는 마이크로파장을 수신하는 수신부(35)로 구성되고,
    위 경보모듈(40)은 120 데시벨 이상의 경고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42)가 더 구성되고, 위 경광등과 스피커 및 전광판은 먼지나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수구조를 가지는 것을 포함하고,
    위 제어모듈(50)은 설치 위치에서 도로의 중앙선까지 거리가 기준치로 설정되고, 수신된 마이크로파장을 분석하여 기준치보다 먼 거리이면서 근접되는 차량은 정주행 차량으로 판별하며, 기준치보다 가까운 거리이면서 근접되는 차량은 역주행 차량으로 판별하는 것을 포함하되, 주행하는 차량에 대해 속도를 상시 표시하고, 설치된 도로구간의 최대 속도보다 빠른 경우 경고신호를 출력하며, 기상청과 교통관제센터와 연결되어 날씨와 도로상황에 따른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고,
    위 제어모듈(50)은 차량의 메이커 서버로 간접 연결되어 OBD(On-Board Diagnostics)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nfotainment system)과 간접 연동하거나 차량의 OBD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직접 연동하여 역주행 차량에 대해 운전자 경고와 차선 보정신호 또는 주행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위 함체(10)는 하단에 지반으로 매립된 앵커와 볼트로 체결되는 설치플레이트(11)가 구성되고, 인접하는 도로의 역주행 방향을 향해 5 내지 45° 사선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위 설치플레이트(11)는 앵커의 매립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를 유도하면서 사선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호형의 장공구멍(15)이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위 함체(10)는 일면에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가 설치되고, 위 내부공간은 다단으로 구획 편성된 선반이 서랍식으로 슬라이드 인출이 가능한 레일에 장착되며, 내면에 전자파를 차단하는 차폐시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
KR1020190072242A 2019-06-18 2019-06-18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 KR102271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242A KR102271463B1 (ko) 2019-06-18 2019-06-18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242A KR102271463B1 (ko) 2019-06-18 2019-06-18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335A KR20200144335A (ko) 2020-12-29
KR102271463B1 true KR102271463B1 (ko) 2021-07-01

Family

ID=7409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242A KR102271463B1 (ko) 2019-06-18 2019-06-18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4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011B1 (ko) 2022-12-30 2023-06-27 염주백 레이더를 이용한 역주행 감지장치
KR102653414B1 (ko) 2024-01-24 2024-04-01 (주)썬로드테크 역주행 차량 방지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7208A (ja) * 2009-05-18 2010-11-25 Irf:Kk 逆走防止装置
KR101436937B1 (ko) * 2014-04-14 2014-09-05 (주)한일에스티엠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한 랙 내장형 지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451B1 (ko) 2014-12-01 2015-04-08 이영조 역주행 차량 방지 시스템
KR101760025B1 (ko) 2015-04-29 2017-07-21 주식회사 아이지스시스템 역방향 주행 차량 감지 경보시스템
KR101963842B1 (ko) * 2017-02-02 2019-04-01 (주)티앤티테크 역주행 감지 장치의 관리 시스템
KR101899147B1 (ko) 2018-03-06 2018-09-14 율진이앤씨(주) 차량 역진입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7208A (ja) * 2009-05-18 2010-11-25 Irf:Kk 逆走防止装置
KR101436937B1 (ko) * 2014-04-14 2014-09-05 (주)한일에스티엠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한 랙 내장형 지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011B1 (ko) 2022-12-30 2023-06-27 염주백 레이더를 이용한 역주행 감지장치
KR102653414B1 (ko) 2024-01-24 2024-04-01 (주)썬로드테크 역주행 차량 방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335A (ko)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4049B2 (en)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US9875653B2 (en)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US4816827A (en) Road safety installation with emission of sound messages
KR102271463B1 (ko)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
KR101256041B1 (ko) 스쿨존에서의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KR101760025B1 (ko) 역방향 주행 차량 감지 경보시스템
KR101245510B1 (ko) 도로상의 사고 감지 및 경보 시스템
KR101511900B1 (ko) 무선 안전 삼각대
KR101682061B1 (ko) 도로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76026B1 (ko) 차량의 연쇄 충돌 사고 방지 시스템
KR20160134016A (ko) 시야 사각지대 위험 감지 및 알림 시스템
CN114764975A (zh) 一种隧道内用智能交通用防护栏系统及其控制方法
US9466211B1 (en) Early warning system of emergency vehicles for alerting roadway traffic
US20060180712A1 (en) Advance warning system for railroad crossing
CN207773004U (zh) 转向预警系统及车辆
NL1007437C2 (nl) Inrichting en stelsel voor het afgeven van een waarschuwing in reactie op een spookrijder.
CN207140943U (zh) 一种车辆安全预警系统
US20210327266A1 (en) Retrofittable modular school bus safety apparatus
JP3868193B2 (ja) 道路反射鏡併用出合い頭事故防止装置
US20020007245A1 (en) Traffic control system for signalling timely any obstruction on the road
KR20180013076A (ko) 보안프로토콜을 적용한 터널 암순응구간 장애물감지 시스템
KR200428629Y1 (ko) 교통사고방지용 주행속도 경보시스템
KR102409485B1 (ko) 감응형 블록과 차량감지를 이용한 보행자 안전 시스템
FI112717B (fi) Elektroniikkalaitteisto ajoneuvojen yhteentörmäysten estämiseksi
JP2000265425A (ja) 発光式誘導警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