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487B1 -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 - Google Patents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487B1
KR101895487B1 KR1020160121938A KR20160121938A KR101895487B1 KR 101895487 B1 KR101895487 B1 KR 101895487B1 KR 1020160121938 A KR1020160121938 A KR 1020160121938A KR 20160121938 A KR20160121938 A KR 20160121938A KR 101895487 B1 KR101895487 B1 KR 101895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pipe
yoke body
yok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3336A (ko
Inventor
박지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4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33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는 요크 몸통의 양측으로 펼쳐져 파이프 적재소에 적재된 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요크 몸통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요크 몸통의 양측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YORK OF PIPE CRANE}
본 발명은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에 관한 것이다.
드릴쉽에는 라이저 등을 포함하는 파이프를 적재하는 파이프 적재부가 마련되어 있다. 또, 파이프 적재부의 상측에는 파이프 적재부에 적재된 파이프를 운반하기 위한 파이프 크레인이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파이프 적재부(10)는 여러 개의 파이프(P)를 각 열마다 층층이 쌓아 올릴 수 있도록 파이프(P)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H’빔 형태의 지지부재(15)를 마련할 수 있다. 또, 파이프 적재부(10)는 해상 작업 중 파도나 바람으로 인한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에도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Yoke, 20)를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벽면(12)에 가이드 레일(13)을 마련할 수 있다.
이때, 요크(20)의 양측에는 가이드 레일(13)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부재(25)가 마련되어, 요크(20)가 안정적으로 파이프 적재부(10) 내에서 이동하면서 파이프(P)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이드 레일(13)은 각 파이프(P)의 열마다 설치되어 있어, 사람의 이동 통로 배치나 기타 설치물의 배치에 제약을 가져올 수 있다. 또, 철 구조물의 가이드 레일(13)을 각 파이프(P)의 열마다 설치하여야 하므로, 비용 및 구조물의 중량이 증가하게 된다.
관련 기술로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2150호(2015.06.05. 공개)를 참조하기 바란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2150호(2015.06.05.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간편하게 안정적으로 파이프를 운반할 수 있는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요크 몸통의 양측으로 펼쳐져 파이프 적재소에 적재된 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요크 몸통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요크 몸통의 양측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요크 몸통에 형성된 설치홈에 배치되며, 상기 설치홈에 형성된 힌지축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설치홈에 구비된 유압실린더와, 끝단에 상기 가이드부재와 접촉하는 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신축되는 돌출부와, 양단이 각각 상기 설치홈과 상기 가이드부재에 연결된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설치홈 바깥쪽으로 상기 가이드부재를 밀어내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수축 시 탄성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설치홈 내로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설치홈에 구비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에 결합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 끝단에 상기 회전기어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요크 몸통의 양측으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는 간편하게 안정적으로 파이프를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적재부 및 이에 적재된 파이프를 운반하는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적재부 내측에서 이동하는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파이프 적재부 내측에서 이동하는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와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요크에 마련된 가이드부재의 펼쳐진 형태 및 접힌 형태를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가이드부재의 동작 형태의 다른 구현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100)는 요크 몸통(100a)의 양측으로 펼쳐져 파이프 적재소(102)에 적재된 파이프(P)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104)의 내면에 접촉되며, 요크 몸통(100a)을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10)와, 가이드부재(110)가 요크 몸통(100a)의 양측으로 펼쳐지거나 내측으로 접히도록 하는 구동유닛(120)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파이프 적재소의 벽면에 설치되었던 종래의 가이드 레일(도 1 참조)을 생략한 채, 양측의 지지부재(104)에 접촉되는 가이드부재(110)를 통해 해상 작업 중 파도나 바람으로 인한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요크(100)가 승강될 수 있다. 지지부재(104)는 예컨대 ‘H’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크(100)는 드릴쉽 등의 선박에 설치되는 파이프 크레인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와이어(W)와 연결된 파이프 크레인의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또, 요크(100)는 양측 하부에 부착된 관절 형태의 그립부재(105)에 의해 파이프 적재소(102)에 적재된 파이프(P)를 양쪽에서 그립한 상태에서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그립부재(105)는 가이드부재(110)보다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가이드부재(110)는 요크 몸통(100a)에 형성된 설치홈(H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단이 힌지축(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유닛(120)은 설치홈(H1)에 구비된 유압실린더(122)와, 끝단에 가이드부재(110)와 접촉하는 롤러(123)가 마련되고, 유압실린더(122)에 의해 신축되는 돌출부(121)와, 양단이 각각 설치홈(H1)과 가이드부재(110)에 연결된 스프링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1)는 설치홈(H1) 바깥쪽으로 가이드부재(110)를 밀어내고, 돌출부(121)에 마련된 롤러(123)은 가이드부재(110)를 밀어내면서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123)은 지지부재(104)와 가이드부재(110) 간 마찰 시 완충역할을 수행하여, 요크(100)가 승강하면서 파이프(P) 운반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부재(125)는 돌출부(141)가 수축 시 탄성에 의해 가이드부재(110)를 설치홈(H1) 내로 위치시킬 수 있다.
도 4와 도 5에서는 돌출부(121) 및 유압실린더(122)를 이용하여 가이드부재(110)를 밀어내는 방식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텔레스코프나 자바라 등을 이용한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구동유닛(120)은 설치홈(H1)에 구비된 모터(128)와, 모터(128)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기어(12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재(110)가 설치홈(H1) 바깥쪽으로 펼쳐지거나 원위치로 접히도록 하기 위해, 힌지축(130)에 결합된 가이드부재(110)의 일측 끝단에 회전기어(126)에 치합되는 나사산(110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10)는 모터(128)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기어(126)의 회전방향에 따라 요크 몸통(100a)의 양측으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회전기어(126)는 예컨대, 웜기어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가이드부재(11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나사산(110a)은 반원형의 웜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모터(128)의 작동은 원격지 제어 장치(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원격지에서 모터(128)를 동작시켜 가이드부재(110)를 요크 몸통(100a)의 양측으로 펼친 상태에서, 요크(100)를 파이프 적재소(102)에서 승강시키면서 파이프(P) 운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요크 110: 가이드부재
120: 구동유닛 122: 유압실린더
125: 스프링부재 126: 회전기어
128: 모터 130: 힌지축

Claims (4)

  1. 요크 몸통 양측의 좌우 측면 부위에 한 쌍으로 각각 마련되며, 상기 좌우 측면 바깥쪽으로 펼쳐져 파이프 적재소에 적재된 파이프를 좌우 양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요크 몸통을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요크 몸통의 상기 좌우 측면 바깥쪽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요크 몸통에 형성된 설치홈에 배치되며, 상기 설치홈에 형성된 힌지축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설치홈에 구비된 유압실린더와,
    끝단에 상기 가이드부재와 접촉하는 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신축되는 돌출부와,
    양단이 각각 상기 설치홈과 상기 가이드부재에 연결된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설치홈 바깥쪽으로 상기 가이드부재를 밀어내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수축 시 탄성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설치홈 내로 위치시키는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설치홈에 구비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에 결합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 끝단에 상기 회전기어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요크 몸통의 양측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
KR1020160121938A 2016-09-23 2016-09-23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 KR101895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938A KR101895487B1 (ko) 2016-09-23 2016-09-23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938A KR101895487B1 (ko) 2016-09-23 2016-09-23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336A KR20180033336A (ko) 2018-04-03
KR101895487B1 true KR101895487B1 (ko) 2018-09-07

Family

ID=6197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938A KR101895487B1 (ko) 2016-09-23 2016-09-23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4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84U (ko) * 1986-06-20 1988-01-08
KR101336178B1 (ko) * 2011-10-28 2013-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이드를 구비한 라이저 인양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KR200487090Y1 (ko) 2013-11-28 2018-08-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다중 그립 핑거를 가지는 라이저 요크
KR20150064334A (ko) * 2013-12-03 2015-06-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안티 스트레스 라이저 요크
KR101622278B1 (ko) * 2014-08-13 2016-05-18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물 적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336A (ko) 201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6680B2 (ja) 搬送装置、搬送システム及び伸長機構
US7815032B2 (en) Pipe roller assembly
KR101690751B1 (ko) 윈드 터빈 설치선
KR101280887B1 (ko) 케이블 거치대
KR20220080196A (ko) 신축 장치 및 운반 로봇
KR101895487B1 (ko) 파이프 크레인의 요크
KR101715302B1 (ko) 호이스트 크레인 래칭 장치
KR101246890B1 (ko) 승강형 작업대
JP2018035574A (ja) 資機材の搬送装置、及び資機材の搬送方法
KR20140135046A (ko) 라이저 이송대차
JP6180874B2 (ja) ケーブルクレーン
KR101690763B1 (ko) 포터블 대빗 고정장치
JP6152768B2 (ja) 海底パイプラインの敷設工法
JP2003039373A (ja) 産業用ロボット
JP4992543B2 (ja) ロボット
TWI494190B (zh) 刀庫鏈框導引裝置
JP2009173391A (ja) オートテンション機能を有するウィンチ装置
KR200480043Y1 (ko) 선박용 해치 조립체
JP2016124089A (ja) ケーブル保護部材の支持装置
KR101914989B1 (ko) 시추용 승강유닛
KR101644492B1 (ko) 부유식 구조물
JP6104204B2 (ja) 岸壁クレーン
CN203791868U (zh) 焊装生产线
JP2019002234A (ja) 資材搬送装置、資材搬送方法
KR101732512B1 (ko) 체인 스토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