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887B1 - 케이블 거치대 - Google Patents

케이블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887B1
KR101280887B1 KR1020110117250A KR20110117250A KR101280887B1 KR 101280887 B1 KR101280887 B1 KR 101280887B1 KR 1020110117250 A KR1020110117250 A KR 1020110117250A KR 20110117250 A KR20110117250 A KR 20110117250A KR 101280887 B1 KR101280887 B1 KR 101280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cable
roller
main
hoo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2048A (ko
Inventor
이봉왕
배창호
유영목
김병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7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887B1/ko
Publication of KR2013005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케이블 거치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는 메인걸이부, 상기 메인걸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구비된 메인롤러, 상기 메인롤러와의 사이에 케이블이 안착되어 상기 케이블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시 상기 메인롤러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보조롤러 및 상기 보조롤러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역회전방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케이블 거치대{Cable Hanger}
본 발명은 케이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피복을 보호하고 케이블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케이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설비 또는 통신설비를 이용하기 위하여 실외에서 케이블의 설치작업을 한다. 그런데, 작업용 케이블은 무거워서 이동이 불편하고 특히 케이블을 이용하는 경우 지면이나 주변 설비의 모서리 부위 등에 케이블이 걸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지는 등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고자 케이블 거치대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것처럼, 기존의 케이블 거치대는 몸체부(1), 롤러(2) 및 걸림판(3)으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2)는 상기 몸체부(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케이블(C)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시 상기 롤러(2)가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C)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 시, 지면이나 주변 설비의 모서리 부위 등에 상기 케이블(C)이 걸리지 않게 되어, 케이블(C)의 이동이 수월하고 케이블(C)의 피복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게 되었다.
한편, 상기 걸림판(3)은 상기 몸체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C)이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상기 걸림판(3)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황에 따라서 상기 걸림판(3)이 이탈되는 경우도 발생하였으며, 상기 걸림판(3)의 모서리 부위에 케이블의 피복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점도 여전히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기존 케이블 거치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블을 일방향으로만 이동시키고,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케이블이 피복되는 등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블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케이블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메인걸이부, 상기 메인걸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구비된 메인롤러, 상기 메인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어 상기 케이블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시 상기 메인롤러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보조롤러 및 상기 보조롤러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역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거치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롤러는 단면상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케이블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걸이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힌지유닛에 의하여 연결되는 보조걸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롤러는 상기 보조걸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걸이부는 상기 보조롤러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제1보조걸이부, 상기 제1보조걸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메인걸이부의 일측에 힌지연결되는 제2보조걸이부 및 상기 제1보조걸이부와 상기 제2보조걸이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걸이부는 타측에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걸이부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편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편은 상기 메인걸이부와 상기 보조걸이부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돌기에 고정되는 고정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보조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원웨이클러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보조롤러와 동일 회전축을 가지고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보조롤러에 구비되는 레치휠 및 상기 보조롤러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보조걸이부에 구비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메인걸이부에 지지되며 케이블이 안착된 메인롤러, 보조롤러와 역회전방지부를 이용함으로써 케이블을 일방향으로만 이동시키고, 역방향으로 이동 시 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의 설치작업 시 케이블이 메인롤러에 안착됨으로써 지면에 끌리지 않고 주변 설비들로부터 이동에 방해를 받지 아니하여 케이블 설치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보조롤러의 횡단면을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게 되어, 케이블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케이블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걸이부는 메인걸이부와 힌지연결되어 케이블을 메인롤러에 안착시키고 분리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보조걸이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케이블의 다양한 크기에 호환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보조롤러와 보조걸이부의 연결부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고정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에 적용되는 역회전방지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는, 기본적으로 메인걸이부(100), 메인롤러(200), 보조롤러(310), 보조걸이부(320) 및 받침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걸이부(100)는 상기 메인롤러(200)의 양측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롤러(200)의 외부면은 케이블(C)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이루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C)이 안착되는 메인롤러(200)의 안착면은 일반적인 롤러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안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롤러(310)는 양측 회전축이 상기 보조걸이부(3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되며, 이를 위해 상기 보조걸이부(320)는, 상기 보조롤러(310)의 양측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양측으로 한 쌍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보조걸이부(320) 중 일측 보조걸이부(320)는 상기 메인걸이부(100)에 상대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유닛(340)에 의하여 연결된다. 또한, 타측 보조걸이부(320)는 상기 보조롤러(310) 및 상기 보조걸이부(320)가 상기 메인걸이부(100)에 고정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고정유닛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보조걸이부(320)에 구비되는 고정편(370)과 상기 메인걸이부(100)에 구비되는 고정돌기(170)로 구성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보조롤러(310)는 단면상 일반적인 롤러와 마찬가지로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케이블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케이블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400)는 상기 메인걸이부(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부(400)가 지면 또는 소정의 구조물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착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는 자력을 이용한 방식 또는 흡착유닛을 이용한 방식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에 있어서 보조롤러와 보조걸이부의 연결부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걸이부(320)는 제1보조걸이부(321)와 제2보조걸이부(3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보조걸이부(321)는 상기 제2보조걸이부(3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보조걸이부(32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2보조걸이부(322)의 내측에는 이동용수용부(328)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용수용부(328)에 상기 제1보조걸이부(321)의 일단부가 수용된 후 상기 이동용수용부(328)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보조걸이부(321)와 제2보조걸이부(322)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에서는 상기 탄성부재로서 상기 이동용수용부(328) 내측에 구비되는 인장스프링(32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장스프링(326)의 일단은 상기 제1보조걸이부(321)의 일단에, 상기 인장스프링(326)의 타단은 상기 제2보조걸이부(322)의 이동용수용부(328) 내측에 각각 구비된 소정 후크 형상의 고정부(301,302)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상기 제1보조걸이부(321)와 상기 제2보조걸이부(322)는 상기 인장스프링(326)의 길이만큼 이격된 상태를 이루되, 상기 제1보조걸이부(321)와 상기 제2보조걸이부(32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메인롤러(200)에 안착된 상기 케이블(C)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상기 메인롤러(200)와 상기 보조롤러(310) 사이에 위치되는 케이블을 가압함은 물론 케이블과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롤러(310)는 상기 제1보조걸이부(3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상기 보조롤러(310)의 제1회전축(312)과 상기 제1보조걸이부(321) 사이에는 상기 보조롤러(310)가 상기 제1회전축(312)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역회전방지부(300)가 구비된다.
첨부된 도 3에서는 이와 같은 역회전방지부(300)로서 원웨이클러치(One-way-clutch, 300)가 적용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보조걸이부(321)에는 클러치수용부(323)가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수용부(323)에 상기 원웨이클러치(3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원웨이클러치(300)에 상기 제1회전축(312)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조걸이부(3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보조롤러(310)의 회전을 일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에 적용되는 원웨이클러치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가능하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그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4는 도 2에 나타난 고정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보조걸이부(3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편(370)과, 상기 메인걸이부(100)에 구비되는 고정돌기(17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편(370)은 일측이 개방되되 이단 절곡되게 이루어진 고정홈(372)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372)에 상기 메인걸이부(100)의 고정돌기(170)가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보조걸이부(320)와 상기 메인걸이부(100)의 결합이 완료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고정홈(372)이 이단 절곡된 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롤러(200)와 상기 보조롤러(310) 사이에 안착되는 케이블을 가압하도록 상기 메인걸이부(100)에 상기 보조걸이부(320)가 고정된 상태를 이룬 경우 상기 고정돌기(170)가 상기 고정홈(37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케이블 거치대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먼저 상기 메인롤러(200)의 안착면에 상기 케이블(C)을 안착시킨 후, 상기 보조걸이부(320)를 상기 힌지유닛(340)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370)의 고정홈(372)에 상기 메인걸이부(100)의 고정돌기(170)를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보조걸이부(320)와 상기 메인걸이부(100)의 결합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에 적용되는 케이블은 상기 메인롤러(200)와 상기 보조롤러(310) 사이의 간격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케이블이 사용된다. 그러므로, 케이블을 상기 메인롤러(200)와 상기 보조롤러(310) 사이에 안착시킨 경우 상기 보조걸이부(320)에 구비된 인장스프링(326)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C)이 가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이 경우 상기 케이블(C)이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메인롤러(200)와 상기 보조롤러(310)가 각각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의 경우에는 상기 제1회전축(312)에 역회전방지부인 원웨이클러치(30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조롤러(310)가 일측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고 타측 방향의 회전은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케이블 또한 일측 방향으로만 길이방향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타측 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롤러(310)의 외부면이 단면상 다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상기 보조롤러(310)의 가압상태와 더불어 상기 케이블(C)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된 상태를 이루어 미끄러짐에 의한 이동 또한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에 있어서 역회전방지부(300)의 다른 형태가 보조롤러에 적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역회전방지부(300)의 또 다른 형태로서는 레치휠(331) 및 스토퍼(333)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회전축(312)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도록 상기 보조롤러(310)의 일측에는 상기 레치휠(331)이 결합되고, 상기 보조걸이부(320)에는 상기 레치휠(331)의 기어에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보조걸이부(320)에서 소정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2회전축(334)에 의하여 연결된 상기 스토퍼(33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역회전방지부의 경우에도 보조롤러의 회전을 일측 방향으로만 제어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상술한 원웨이클러치를 적용하던 케이블 거치대와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메인걸이부(100)에 지지되며 케이블이 안착된 상기 메인롤러(200), 상기 보조롤러(310)와 역회전방지부를 이용함으로써 케이블을 일방향으로만 이동시키고, 역방향으로 이동 시 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롤러(310)의 횡단면을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게 되어, 케이블이 미끄러지는 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보조걸이부(320)에 탄성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케이블의 다양한 크기에 대체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역회전방지부(300)가 상기 보조롤러(310)에 구비된 실시예들만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메인롤러(200)에 역회전방지부(300)가 적용되도록 하여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몸체부 2: 롤러
3: 걸림판 100: 메인걸이부
170: 고정돌기 200: 메인롤러
300: 역회전방지부 310: 보조롤러
312: 제1회전축 320: 보조걸이부
321: 제1보조걸이부 322: 제2보조걸이부
323: 클러치수용부 326: 인장스프링
328: 이동용수용부 331: 레치휠
333: 스토퍼 334: 제2회전축
340: 힌지유닛 370: 고정편
372: 고정홈 400: 받침부

Claims (8)

  1. 메인걸이부;
    상기 메인걸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구비된 메인롤러;
    상기 메인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어 상기 케이블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시 상기 메인롤러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보조롤러; 및
    상기 보조롤러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역회전방지부;
    상기 메인걸이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힌지유닛에 의하여 연결되는 보조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롤러는 상기 보조걸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보조걸이부는 상기 보조롤러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제1보조걸이부, 상기 제1보조걸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메인걸이부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는 제2보조걸이부 및 상기 제1보조걸이부와 상기 제2보조걸이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롤러는 단면상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케이블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도록 하는 케이블 거치대.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거치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걸이부는 타측에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걸이부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편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편은 상기 메인걸이부와 상기 보조걸이부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돌기에 고정되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케이블 거치대.
  7. 제 1항, 제 2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보조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원웨이클러치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거치대.
  8. 제 1항, 제 2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보조롤러와 동일 회전축을 가지고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보조롤러에 구비되는 레치휠; 및
    상기 보조롤러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보조걸이부에 구비되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케이블 거치대.
KR1020110117250A 2011-11-11 2011-11-11 케이블 거치대 KR101280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250A KR101280887B1 (ko) 2011-11-11 2011-11-11 케이블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250A KR101280887B1 (ko) 2011-11-11 2011-11-11 케이블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048A KR20130052048A (ko) 2013-05-22
KR101280887B1 true KR101280887B1 (ko) 2013-07-02

Family

ID=4866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250A KR101280887B1 (ko) 2011-11-11 2011-11-11 케이블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500A (ko) 2017-11-23 2019-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낙하 방지용 안전지지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582B1 (ko) * 2018-09-05 2020-09-2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선박 육상전력공급케이블 지지장치
KR102313746B1 (ko) * 2021-02-25 2021-10-19 주식회사 한길이앤씨 공동주택 건축물의 배선 관리시스템
KR200497314Y1 (ko) * 2021-11-24 2023-10-0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부두설비 ssl용 케이블 이탈방지 장치
CN114301012B (zh) * 2021-12-03 2024-01-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一种电动式电缆敷设辅助装置
KR102632449B1 (ko) * 2021-12-27 2024-02-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케이블 안착 지그
KR102624432B1 (ko) * 2023-01-12 2024-01-15 (주)건축사사무소건일종합기술 건축용 전선보호관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8127A (ja) * 1994-12-13 1996-06-25 Toudentsuu:Kk アンチバック金車
EP0877461A2 (en) 1997-05-05 1998-11-11 Ensto Sekko Oy Suspension bracket for a cable
KR100320565B1 (ko) 2000-03-23 2002-01-16 변무원 케이블배선용 삽입장치
KR100669231B1 (ko) * 2006-06-05 2007-01-16 지에스네오텍 주식회사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8127A (ja) * 1994-12-13 1996-06-25 Toudentsuu:Kk アンチバック金車
EP0877461A2 (en) 1997-05-05 1998-11-11 Ensto Sekko Oy Suspension bracket for a cable
KR100320565B1 (ko) 2000-03-23 2002-01-16 변무원 케이블배선용 삽입장치
KR100669231B1 (ko) * 2006-06-05 2007-01-16 지에스네오텍 주식회사 전선 교체용 가이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500A (ko) 2017-11-23 2019-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낙하 방지용 안전지지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048A (ko)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887B1 (ko) 케이블 거치대
US20190274228A1 (en) Support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US8690095B2 (en) Bobbin fixing apparatus
JP4972592B2 (ja) ベルト保持装置
KR19990022405U (ko) 휴대폰홀더
KR101520275B1 (ko) 화장용 브러시 케이스
KR100979547B1 (ko) 이중파이프의 완충장치
CN102777476B (zh) 搭扣结构
KR100954935B1 (ko) 모니터 리프트 장치
US20150362121A1 (en) Spanner-controlled panel member coupling structure
JP5997913B2 (ja) 電動日射遮蔽装置のモーターユニット取付装置
JP2005258391A (ja) 光送受信モジュールの抜出構造
KR200484478Y1 (ko) 회전 방지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릴
KR101558730B1 (ko) 와치형스마트단말기편의장치
JP6033188B2 (ja) ゲーム機用蝶番
KR20160125056A (ko) 모바일기기 파지용 액세서리
US20130168424A1 (en)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KR20120043331A (ko) 바닥 긁힘 방지수단이 구비된 의자
KR101778288B1 (ko) 잠금식 맨홀뚜껑
CN105275061A (zh) 一种自锁式花洒固定装置及其实现自锁的方法
KR101448481B1 (ko) 차량용 컵 홀더
JP2019061687A5 (ko)
KR20140022591A (ko) 오픈 스토퍼 기능을 갖는 도어용 힌지
KR20110011448A (ko) 도어 고정장치
JP5996212B2 (ja) 電動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移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