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500A - 케이블 낙하 방지용 안전지지 기구 - Google Patents

케이블 낙하 방지용 안전지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500A
KR20190059500A KR1020170157165A KR20170157165A KR20190059500A KR 20190059500 A KR20190059500 A KR 20190059500A KR 1020170157165 A KR1020170157165 A KR 1020170157165A KR 20170157165 A KR20170157165 A KR 20170157165A KR 20190059500 A KR20190059500 A KR 20190059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oller
sliding friction
support ar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지훈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9500A/ko
Publication of KR2019005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8Devices affording mechanical protection in the event of breakage of a line or cable, e.g. net for catching broken lin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설되는 케이블의 임의적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지지 기구에 있어서: 케이블의 일면으로 미끄럼 마찰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래칫(22)에 장착된 베이스롤러(25)를 구비하는 본체(20); 케이블의 타면으로 미끄럼 마찰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원웨이클러치(33)에 장착된 역지롤러(35)를 구비하는 지지아암(30); 및 케이블에 대한 미끄럼 마찰력을 증대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롤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시운전용 장비테스트를 위한 케이블 설치/해체 작업에서 수직방항으로 케이블을 포설할 때 케이블의 임의적 낙하를 억제하면서 손상을 방지하여 편의성, 안전성,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낙하 방지용 안전지지 기구 {Safety support device for preventing cable drop}
본 발명은 케이블 안전지지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운전용 장비테스트를 위한 케이블 설치/해체 시 수직방항으로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에 사용되는 케이블 낙하 방지용 안전지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선박 등의 건조 현장에서 각종 장비테스트를 위하여 케이블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테스트 종료후에 케이블을 해체하는 작업이 수반된다. 단순히 파이프 등의 일반적 도구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 케이블이 낙하되는 사고 우려는 물론 케이블에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5-0002442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280887호(선행문헌 2) 등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선행문헌 1은 케이블 트레이에 클램프로 고정되는 본체; 본체의 내부로 다수의 걸림구를 수용하여 케이블의 낙하운동을 구속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플랜트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케이블이 자유낙하하는 경우 케이블을 고정하는 걸림구와 이를 고정하는 본체로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그러나, 케이블의 하중이 증가할수록 걸림구의 점접촉으로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고 케이블을 해체하는 경우의 낙하가 곤란하여 용도가 제한적이다.
선행문헌 2는 메인걸이부, 메인걸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구비된 메인롤러, 메인롤러와의 사이에 케이블이 안착되어 케이블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시 메인롤러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보조롤러 및 보조롤러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역회전방지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걸쇠만으로 케이블 낙하를 방지하는 장력이 충분하지 않고 다각형 접촉인 경우 장력에 의하여 케이블 손상이 유발되기 쉽다. 메인롤러와 보조롤러를 사용하지만 케이블 제원에 따른 미끄럼 마찰력의 변동이 커지므로 항시 정확한 조절 상태를 요구한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5-0002442호 "케이블 자유낙하 방지용 고정장치" (공개일자 : 2015.06.2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280887호 "케이블 거치대" (공개일자 : 2013.05.22.)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운전용 장비테스트를 위한 케이블 설치/해체 작업에서 수직방항으로 케이블을 포설할 때 케이블의 임의적 낙하를 억제하면서 손상을 방지하는 케이블 낙하 방지용 안전지지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설되는 케이블의 임의적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지지 기구에 있어서: 케이블의 일면으로 미끄럼 마찰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래칫에 장착된 베이스롤러를 구비하는 본체; 케이블의 타면으로 미끄럼 마찰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원웨이클러치에 장착된 역지롤러를 구비하는 지지아암; 및 케이블에 대한 미끄럼 마찰력을 증대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는 래칫의 잠금과 해제를 외부에서 조절하기 위한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아암은 본체 상에 힌지핀을 개재하여 분리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가압롤러는 지지아암의 상면에서 베이스롤러와 역지롤러의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가압롤러는 지지아암 상에서 링크를 개재하여 위치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운전용 장비테스트를 위한 케이블 설치/해체 작업에서 수직방항으로 케이블을 포설할 때 케이블의 임의적 낙하를 억제하면서 손상을 방지하여 편의성, 안전성,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설치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포설되는 케이블의 임의적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지지 기구에 관하여 제안한다. 선박 등의 건조 현장에서 케이블의 수직방향 포설작업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블(10)은 각종 장비테스트를 위한 전원선을 의미하지만 신호선을 비롯한 여타의 전선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20)가 케이블의 일면으로 미끄럼 마찰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래칫(22)에 장착된 베이스롤러(25)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본체(20)는 일측에 선박의 통로 등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21)를 구비하고, 타측에 케이블의 저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베이스롤러(25)를 구비한다. 베이스롤러(25)는 래칫(22)을 개재하여 일방향 회전을 구속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베이스롤러(25)는 대략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케이블과 접촉되는 부분에 미끄럼 마찰력을 높이도록 마찰패드(27)를 구비한다. 마찰패드(27)는 설정된 마찰계수 외에 강도, 내마모성, 내후성을 지니는 소재로 형성되고 마모시 착탈이 용이하도록 고정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20)는 래칫(22)의 잠금과 해제를 외부에서 조절하기 위한 레버(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래칫(22)은 래칫휠과 걸쇠(pawl)로 구성된다. 레버(23)는 걸쇠와 연동하도록 연결하되 본체(20)의 외부에 비교적 큰 길이로 노출되도록 배치한다. 레버(23)의 길이가 짧으면 작업자가 잠금과 해제를 전환할 때 많은 힘이 소요되어 불편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아암(30)이 케이블의 타면으로 미끄럼 마찰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원웨이클러치(33)에 장착된 역지롤러(35)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지지아암(30)은 일측에서 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서 케이블의 상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역지롤러(35)를 구비한다. 역지롤러(35)는 원웨이클러치(33)를 개재하여 일방향 회전을 구속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역지롤러(35)는 대략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케이블과 접촉되는 부분에 미끄럼 마찰력을 높이도록 마찰패드(37)를 구비한다. 역지롤러(35)의 마찰패드(37)는 베이스롤러(25)의 마찰패드(27)와 동일한 물성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아암(30)은 본체(20) 상에 힌지핀(31)을 개재하여 분리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아암(30)은 ㄷ자 구조로 절곡된 형태로서 역지롤러(35)가 위치하는 반대측 단부로 힌지핀(31)이 개재된다. 힌지핀(31)은 케이블의 포설 과정에서 지지아암(30)의 착탈에 의한 케이블의 진출입 원활성을 보장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롤러(40)가 케이블에 대한 미끄럼 마찰력을 증대하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다. 가압롤러(40)는 베이스롤러(25)와 역지롤러(35)의 상측에 배치되는 보조적인 롤러로서 역지롤러(35)를 지지하는 지지아암(30)에 수직압력(미끄럼 마찰력)을 증대하여 케이블의 낙하가 없는 안전한 작업을 유도한다. 가압롤러(40)는 U자형 단면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내마모성 등의 물성은 역지롤러(35)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가압롤러(40)는 지지아암(30)의 상면에서 베이스롤러(25)와 역지롤러(35)의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가압롤러(40)의 중심축이 베이스롤러(25)의 회전중심 및 역지롤러(35)의 회전중심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b)(c)에 나타내는 것처럼 가압롤러(40)가 지지아암(30)을 통하여 역지롤러(35)에 적절하고 안정적인 수직압력을 작용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케이블이 당겨지는 동안 상향된 하중으로 베이스롤러(25)와 역지롤러(35)는 원활하게 회전되며 이동(상승)을 구속하지 않는다. 도 2(c)를 참조하면 케이블의 당김이 멈춘 상태에서 하향된 하중이 베이스롤러(25)와 역지롤러(35)에 의하여 지지되어 낙하를 구속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가압롤러(40)는 지지아암(30) 상에서 링크(45)를 개재하여 위치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가압롤러(40)는 지지아암(30)에 링크(45)를 개재하여 회동됨을 나타낸다. 케이블이 도 2의 상태에서 도 3의 상태로 방향전환되는 경우 가압롤러(40)의 고정식 구조가 무용지물이므로 가변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작업자가 혹시 케이블을 놓치더라도 베이스롤러(25), 역지롤러(35), 가압롤러(40)의 작용에 의하여 역방향으로는 이동이 안되므로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사용과 작동의 일예를 설명하면, 도 4(a)처럼 클램프(21)를 이용하여 본체(20)를 통로 입구에 고정하고, 도 4(b)처럼 케이블(10)을 본체(20)의 베이스롤러(25)에 걸치고, 도 4(c)처럼 지지아암(30)을 본체(20)에 힌지핀(31)으로 결합하고, 도 4(d)처럼 케이블(10)이 베이스롤러(25)와 역지롤러(35) 사이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케이블(10)은 가압롤러(40)에 접촉 상태로 유지하고, 래칫(22)의 레버(23)를 잠금 위치로 둔다.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블(10)을 반복적으로 당겨 포설하더라도 전진 이동만 가능하고 후진 낙하는 방지된다.
소정의 장비테스트를 종료한 후에 레버(23)를 반대로 돌려서 해제 위치로 두면 래칫(22)이 해제되어 케이블(10)의 낙하 및 회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케이블 20: 본체
21: 클램프 22: 래칫
23: 레버 25: 베이스롤러
27: 마찰패드 30: 지지아암
31: 힌지핀 33: 원웨이클러치
35: 역지롤러 37: 마찰패드
40: 가압롤러 42: 회전축
45: 링크

Claims (5)

  1. 포설되는 케이블의 임의적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지지 기구에 있어서:
    케이블의 일면으로 미끄럼 마찰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래칫(22)에 장착된 베이스롤러(25)를 구비하는 본체(20);
    케이블의 타면으로 미끄럼 마찰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원웨이클러치(33)에 장착된 역지롤러(35)를 구비하는 지지아암(30); 및
    케이블에 대한 미끄럼 마찰력을 증대하도록 설치되는 가압롤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낙하 방지용 안전지지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래칫(22)의 잠금과 해제를 외부에서 조절하기 위한 레버(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낙하 방지용 안전지지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아암(30)은 본체(20) 상에 힌지핀(31)을 개재하여 분리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낙하 방지용 안전지지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40)는 지지아암(30)의 상면에서 베이스롤러(25)와 역지롤러(35)의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낙하 방지용 안전지지 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40)는 지지아암(30) 상에서 링크(45)를 개재하여 위치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낙하 방지용 안전지지 기구.
KR1020170157165A 2017-11-23 2017-11-23 케이블 낙하 방지용 안전지지 기구 KR20190059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165A KR20190059500A (ko) 2017-11-23 2017-11-23 케이블 낙하 방지용 안전지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165A KR20190059500A (ko) 2017-11-23 2017-11-23 케이블 낙하 방지용 안전지지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500A true KR20190059500A (ko) 2019-05-31

Family

ID=6665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165A KR20190059500A (ko) 2017-11-23 2017-11-23 케이블 낙하 방지용 안전지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950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887B1 (ko) 2011-11-11 2013-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거치대
KR20150002442A (ko) 2013-06-28 2015-01-0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압전 재료, 압전 소자, 액체 분사 헤드, 액체 분사 장치, 초음파 센서, 압전 모터 및 발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887B1 (ko) 2011-11-11 2013-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거치대
KR20150002442A (ko) 2013-06-28 2015-01-0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압전 재료, 압전 소자, 액체 분사 헤드, 액체 분사 장치, 초음파 센서, 압전 모터 및 발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1644B2 (en) Method for replacing sloped cables, and temporary hanger for replacing sloped cables
JP2011244607A (ja) 危険標示旗取付装置
US20160029827A1 (en) Stand for Elongated Objects
US20140345097A1 (en) Ratcheting tie-down with strap quick release feature
US6592101B2 (en) Hoist with shock absorbing device for the load
JPS581933Y2 (ja) ケ−ブルのクランプ装置
KR20190059500A (ko) 케이블 낙하 방지용 안전지지 기구
CN102491226A (zh) 举升机的保险机构
US20140048758A1 (en) Fence Stretcher
US3861650A (en) Stringing puller
KR20190043383A (ko)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
US20100140017A1 (en) Ladder support apparatus
US7644894B1 (en) Cable management and tie-off apparatus
US2826392A (en) Post pulling device
US2999655A (en) Pole tensioner
JPH10224931A (ja) 吊下物移動用制動機
JP2018093628A (ja) ケーブルグリッパ
CN202322216U (zh) 举升机的保险机构
JP3098256U (ja) 吊り具
GB2614315A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nsioning a lifeline
EP2955146A1 (fr) Tendeur de chaîne de levage
US6619623B1 (en) Chain pulling device
US5895083A (en) Automatic cable disconnector
JP2007270432A (ja) 養生ネットの被覆ワイヤーの緊張用治具および養生ネットの設置方法
US200702044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automotive door handling process